판교핫뉴스1

한국판 뉴딜 핵심 자원, 공간정보로 디지털 트윈 생태계 실현을 앞당기겠습니다-국토교통부, 4개 기관과 공간정보 활용 협약식… 공간정보 댐 구축 추진

하이거 2021. 6. 7. 12:17

한국판 뉴딜 핵심 자원, 공간정보로 디지털 트윈 생태계 실현을 앞당기겠습니다-국토교통부, 4개 기관과 공간정보 활용 협약식 공간정보 댐 구축 추진

담당부서국가공간정보센터 등록일2021-06-07 11:00

 

 

 

 

한국판 뉴딜 핵심 자원, 공간정보로 

디지털 트윈 생태계 실현을 앞당기겠습니다  

- 국토교통부, 4개 기관과 공간정보 활용 협약식… 공간정보 댐 구축 추진- 

 

□ 정부가 국가 공간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한 협약식을 개최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신산업 활성화와 디지털트윈 기술 확산에 나섰다. 

 

  * 지상, 지하, 해양, 대기 등의 공간에 존재하는 자연 또는 인공적인 객체의 위치정보이며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와 융·복합을 통해 현황분석은 물론 합리적인 의사결정 등에 활용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문화재청(청장 김현모),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김명준) 등의 기관은 각각의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간정보를 협약한 기관과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6월 7일 「2021 국가공간정보 공동 활용 협약식」을 개최하였다.

 

 ㅇ 협약식에는 국토교통부 백승근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을 비롯하여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재청,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5개 기관의 대표가 참석했다. 

□ 이번 협약은 기관마다 보유하고 있는 공간 정보 데이터를 융․복합 활용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ㅇ 공간정보를 보다 정교하게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간정보 댐’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과 미래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협약으로 농식품정보(팜맵), 교량터널제원, 문화재정보, 3D 도시모델 등의 공간정보가 공동으로 활용됨으로써 농업컨설팅, 침수지역의 3D 분석, 교량안전관리 등 신산업을 활성화하고 도시 안전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백승근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은 “한국판 뉴딜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공간정보는 디지털 트윈 생태계 실현을 앞당기는 핵심 자원”이라면서, 

 

ㅇ “공간정보의 융․복합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도록 참여기관 간 긴밀한 협업과 소통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 1

 

 「국가공간정보 공동활용 협약」 참고사항

 

 

□ 양방향 연계 정책('15~)

 

 ㅇ (추진배경) 국가공간정보 생산 및 활용 기관 간 복잡한 연계 방식을 일원화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공동활용체계’ 구축 필요

 

 ㅇ (업무프로세스) 매년 실시하는 공간정보 목록조사(3월)를 통해 각 기관이 생산하는 공간·속성정보를 파악하여 공동활용 기관(시스템) 확대

  

구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기관/시스템수

(누적)

9개/17종

23개/39종

30개/57종

37개/65종

44개/72종

50개/81종

 

 

 ㅇ (추진효과) 시스템간 연계를 통해 변동자료 갱신체계를 구축, 데이터 최신성을 확보하고 이를 공동 활용함으로써 공간정보 중복구축을 방지

 

   - 또한, 다양한 행정정보와 공간정보를 융합한 고품질 정보를 유통·개방함으로써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

  

□ ‘21년 공동활용 업무협약 기관 현황

 

 

기관명

시스템명

송신자료

(공간정보센터→기관)

연계

방식

비고

수신자료

(기관→공간정보센터)

농림축산

식품부

팜맵시스템

각종 공간정보

EAI방식*

행정망

 

영상합성 농경지 전자지도 등

문화재청

문화재공간

정보시스템

연속지적도, 행정경계 등

EAI방식

행정망

 

등록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등

한국건설

기술연구원

교량통합관리시스템

각종 공간정보

EAI방식

행정망

 

교량, 터널 정보 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도시모델 제작시스템

연속지적도, 행정경계 등

EAI방식

행정망

 

주제도, 3D 도시모델 등

 

 

참고 2

 

 국가공간정보 시스템 양방향 연계 개념

 

 

 

행정력 낭비(중복 연계), 활용성 저하(단순 도형정보), 최신성 미흡(수동 갱신)

 

양방향 연계 전

 

 

 

양방향 연계 후

 

공간정보 활용성 강화 및 관련 산업 활성화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