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경기도, 2016년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공시 -경기도, 올해 일자리 17만개 창출 위해 5조 6천억 원 투입한다

하이거 2016. 3. 29. 13:44

경기도, 2016년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공시 -경기도, 올해 일자리 17만개 창출 위해 56천억 원 투입한다

 

2015. 3. 29. 담당부서 : 일자리정책과 일자리정책팀

 

, 올해 일자리 17만개 창출 위해 56천억 원 투입한다

- , 2016년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공시 -

 

<주요 내용>

2016년도 경기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발표

7개 분야 214개 사업에 56,227억 원 사업비 투입

중앙민간과 협업으로 일자리 증가 도모. 179천개 일자리 창출 목표

 

 

첨부자료 2016년 경기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공시).hwp




















































































































 

경기도가 올해 179천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7개 분야 214개 사업에 총 56,227억 원의 사업비(국비 9,609억 원, ·시군비 12,896억 원, 민간 등 기타 33,722억 원)를 투입한다.

경기도는 2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도 경기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을 경기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했다.

올해 일자리 대책에서는 청년, 여성, 장년 등 계층별 맞춤 지원, 지역산업 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고객 중심 일자리 서비스 향상을 위한 체계 구축, 좋은 일터 만들기, NEXT경기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따복 공동체를 통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 등을 6대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또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직접일자리 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일자리 인프라 구축, 기타사업 등 7개 분야의 세부목표를 설정했다.

직접일자리창출 분야에서는 복지와 일자리를 접목한 공공 일자리 제공,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가정 양립형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기본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34,338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약 4,217억 원이 투입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노인일자리 지원사업, 노숙인 자활지원, 따복공동체지원센터 운영 등 75개 사업이 추진된다.

직업능력개발훈련에는 직무능력을 키울 수 있는 각종 교육 및 훈련 사업들이 추진되며, 4,212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약 334억 원을 투입한다. 아이돌봄 지원, 여성IT전문교육, 군인가족 맞춤형 취업교육 등 18개 사업이 계획돼 있다.

고용서비스 분야의 기본 방향은 원스톱 지원서비스체제 구축, 취업현장에 적합한 취업설계, 맞춤형 취업지원을 통한 미스매치 해소, 찾아가는 일자리 행정서비스 정착이며, 45,682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약 249억 원을 투입한다. 경기청년 뉴딜사업, 온라인커리어코칭 서비스 운영, 4050 재취업 지원 등 16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고용장려금 분야로는 사회적기업의 자생력 확보 차원에서 사회적기업 취약계층 인건비 지원사업을 추진, 534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약 101억 원을 투입한다.

창업지원 분야의 기본 방향으로는 사회적 경제기업 창업지원, 기술형 및 문화콘텐츠 창업 촉진, 소상공인 자생력 강화를 위한 경영·기술 중심 지원을 설정했다. 이 분야에서는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 경기도 굿모닝론 운영, SW융합 클러스터 조성 등 20개 사업을 추진, 6,136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약 359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일자리 인프라구축 분야의 기본 방향은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 추진, 고용복지 플러스센터 확산, 경기도형 일자리 인프라 모델 개발 보급, 일자리우수 기업 인센티브 지원, 중소기업 수출 및 판매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이다. 이를 위해 약 699억 원을 투입, 경기 벤처센터 허브 조성, 비정규직 고용개선, 일자리재단 설립 등 12개 사업을 마련했다.

기타 산업, 문화, 국토·환경, 농림·해양·복지 분야로 총 72개 사업에 약 5265억 원을 투입해 76,395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사업으로 중소기업 및 뿌리산업 육성 지원에 중점을 둔 산업분야 31개 사업, 게임, 출만, 영상, 만화, 스마트콘텐츠 등 문화콘텐츠 육성에 중점을 둔 문화분야 17개 사업, 미래형 농축산관광단지 및 해외환자유치에 중점을 둔 농정·해양·복지분야 11개 사업, 미군 반환공여구역 활용 및 접경지역 개발 등 북부지역 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둔 13개 사업 등 총 72개 사업을 마련했다.

7개 분야 이외에도 기업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시 인근 첨단산단 확충, 자연보전권역 입지규제 및 개발제한구역 조정, 대학유치 및 물류단지 조성 등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개발제한구역 조정 등 5개 민간부문 사업을 지원해 4,766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중 최근 심각한 현안이 되고 있는 청년실업 극복을 위한 청년 취창업지원 사업은 총 45개로 966억 원이 투입된다. 세부 내역으로는 고교 및 대학기반 취업 활성화 지원 사업으로 10개 사업 278억 원,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지원 사업으로 10개 사업 125억 원, 고용서비스 사업으로 5개 사업 94억 원, 창업 활성화 지원 사업으로 19개 사업 463억 원, 청년근로자 근로유지 인센티브 사업의 일환인 일하는 청년통장 운영사업 6억 원 등이 있다.

특히, 올해에는 지난해 10월 열린 넥스트경기 일자리창출 토론회에 선정됐던 NEXT경기 스타트업콜라보레이션, 경기도 나무진료센터 설치 및 나무의사 양성, 경기숲자원화 및 나눔목공소 설치 운영, 농촌마을 체험도시락, 콘텐츠 전용펀드 조성사업들이 추진돼 높은 성과를 가져올 것으로 도는 전망하고 있다.

오병권 경기도 경제실장은 올 한 해는 청년실업 해소 등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하여 전력을 다할 것,”이라면서, “특히 가칭 경기도 일자리 재단 설립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공공 고용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 홈페이지(http://www.gg.go.kr)를 참조하면 된다.

 

 

 

-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
2016년 경기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2016년 3월

경    기    도

목   차


Ⅰ. 요약 1
Ⅱ. 지역여건 분석
  1. 지리적 특성 6
  2. 인구변화 및 구조 7
  3. 산업 구조 7
  4. 노동시장 구조 8
Ⅲ. 비전 및 전략
  1. 일자리 창출 비전 9
  2. 추진전략 10
Ⅳ. 일자리 창출 목표
  1. 공통 일자리 목표 18
  2. 부문별 일자리 목표 19
  3. 일자리 예산 19
Ⅴ. 부문별 사업계획
  1. 정부부문 20
  2. 민간부문 63
  3. 부문별 대표사업 65
Ⅵ. 일자리창출 인프라 개선 계획 102
Ⅶ. 의견수렴 106

Ⅰ. 요  약


1

‘16년 일자리 창출 핵심 전략

6대 전략
추진배경
내용
청년, 여성,
중․장년, 취약계층 등
계층별 맞춤 지원
ㅇ  여성․청년의 낮은
    고용률

ㅇ 베이비 부머 세대 조기퇴직에 따른
    노후 생활안정 기여

ㅇ 취약계층 약 160만명 추정
ㅇ 협업형 취업성공패키지 확대
ㅇ 경기 청년 뉴딜 사업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 기반 강화
ㅇ 4050 재취업 지원 사업
ㅇ 사회적 일자리 활성화
   (노인․장애인․자활 일자리)
 지역 ․ 산업
현장맞춤형 인력양성
ㅇ 그간의 인력양성은 공급자 위주로 산업수요와 미스매치
ㅇ 산업현장에 불필요한 스펙 쌓기로 시간적‧경제적 낭비 초래
ㅇ 인적개발委 운영 내실화
ㅇ 뿌리산업 인력양성, 빅데이터 전문인력양성
ㅇ 기능인 발굴, 기업맞춤지원
고객 중심 일자리
서비스 향상을 위한
체계 구축
ㅇ 남양주․동두천 고용복지+센터는 전국최초 정부시범사업으로 선정
ㅇ 일자리센터 및 새일센터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ㅇ 고용복지+ 센터 설치 확대(31개 전 시․군)
ㅇ 일자리센터 운영 및 여성새로일하기센터 확대 운영
ㅇ 찾아가는 일자리버스 운영, 채용박람회 개최
ㅇ 온라인커리어코칭 서비스 제공
좋은 일터 만들기
ㅇ 중소기업 낮은 보수, 문화시설 부족으로 미스매치 상존
ㅇ 비정규직, 통상임금, 장시간근로 등 사회적 이슈
ㅇ 청년 친화적 고용환경개선
ㅇ 노사민정협의회 활성화
ㅇ 공공부문 비정규직 처우 등 개선
NEXT 경기,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ㅇ 중첩된 수도권
   규제로 인한 투자위축
ㅇ 중소기업에서 일자리 90% 창출, 맞춤형 육성 필요
ㅇ 경기 북부-남부 간
    커다란 발전 격차
ㅇ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투자 촉진
ㅇ 맞춤형 중소기업 종합지원
ㅇ 지식 ‧ 기술 융합형 신산업 육성
ㅇ 경기 북‧동부 경제발전 기반조성
ㅇ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
 따복 공동체 등
사회적 경제 활성화
ㅇ 마을기업, 협동조합, 따복 공동체 등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서민 일자리 창출
ㅇ 지속성장 사회적 기업 생태 조성
ㅇ 사회적경제 기업인 역량 강화
ㅇ 따복공동체 지원센터 설립 운영


2

지역여건

※ 경기도인구통계(통계법 제18조 국가통계승인 제21001호) 및 통계청 인구동향


‘16년 동향
공통
인구(명) 및
인구구성
❍ ‘15년 말 기준 道 총인구는 12,522,606명(24.3%, 전국1위), 전국대비 30~50대 인구비중이 높고 60세 이상은 낮음

❍ ‘15년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6,626천명으로 남성은 3,893천명, 여성은 2,732천명으로 전국 1위 규모(전국 대비 24.6%)

❍ 경제참여 주요 인구 비중 높음(20~59세 62.9%)
  - 20~29세(13.1%), 30~39세(15.7%), 40~49세(18.4%), 50~59세(15.7%)
예 산
(백만원)
국비
도비
6,253,537
   (총 예산 대비 31.5%)
13,604,359
   (총 예산 대비 68.5%)
일자리예산
(백만원)
960,911
(일자리 예산 대비 비중 53.2%)
845,720
(일자리 예산 대비 비중 46.8% )


❍ (‘15년 실적) ‘15년 취업자 수는 6,364천명으로 전년대비 138천명 증가(전국  증가의 40.9%), 고용률은 66.6%(OECD 기준) 기록
   - 경기도의 경제성장세 둔화에 따라 도의 취업자 증가세도 둔화되었지만 여전히 전국 대비 비중은 높음

❍ (‘16년 전망) 경기회복 둔화, 연이는 경제전망 하향 및 내수부족 등 위험 요인 상존하여 고용증가세 둔화 예상

 ➡ 일자리 70만 창출을 위해 ‘16년 취업자 증가 목표를 179천명으로 설정
   - 제조업부문에서 둔화된 고용흡수력을 서비스부문에서 다소 보충 예상


❍ `16년에는 건설투자, 민간소비, 수출 등 경기도가 한국경제 회복의 견인차 역할 기대

  - (경제성장) GDP 성장률을 상회 전망, 3.0%(GDP) → 3.7%(GRI 전망)
  - (민간소비) 내수위주 경기 회복 등 소폭 증가 전망

  - (건설투자) 건설 및 부동산 등 완만한 투자확대 예상

  - (수   출) 세계 경제회복의 부진으로 반도체, 자동차 산업 등 소폭증가 전망예상


❍ 경기 북부지역 고용구조 : 비경제활동인구가 많고 고용률은 낮은 가운데 취업자 중 여성, 고령층, 전통 제조업 종사자의 비중이 높아 규제완화를 통한 개발수요 창출 등 균형발전 정책 필요


3

공통 일자리 목표


‘15년 일자리 실적
‘16년 일자리 목표
증감(률)
목표
실적
고용률
(15세-64세)

67.2
66.6
67.6
1%p(1.5%), 증

15세 이상
62.3
61.4
62.4
1%p(1.6%), 증
취업자 수(15세 이상)
6,425
6,364
6,543
179(2.8%), 증
상용근로자 수
3,442
3,367
3,498
131(3.9%), 증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2,615
2,639
2,794
155(5.9%), 증
(단위 : 천명, %,)


※ 증감(률) : ‘15년 일자리실적 대비 ’16년 일자리목표


4

부문별 일자리 목표


‘16년 목표(명)
사업비(백만원)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총계
172,063
5,622,704
960,911
845,720
443,886
88,575
3,283,612
정부
부문
소계
167,297
5,622,704
960,911
845,720
443,886
88,575
3,283,612
직접일자리창출
34,338
421,746
187,699
79,411
154,577
59

직업능력개발훈련
4,212
33,427
15,782
12,478
5,155

12
고용서비스
45,682
24,977
14,856
7,305
2,379
437

고용장려금
534
10,136
7,603

2,533


창업지원
6,136
35,927
5,694
17,126
7,843
164
5,100
일자리인프라 구축
12건
69,956
4,711
43,861
13,530

7,854
기타
소계
76,395
5,026,535
724,566
685,539
257,869
87,915
3,270,646
산업
53,227
3,497,178
38,098
491,197
5,378
5,904
2,956,601
복지
3,213
4,642
1,729
2,173
740


문화
3,404
153,358
24,842
82,305
46,211


농림·해양
2,131
136,980
46,475
6,491
20,648
63,366

국토·환경
14,420
1,234,377
613,422
103,373
184,892
18,645
314,045
민간
부문
기업 등 유치
4,766




(단위 : 명, 건)

  ※ 정부부문, 민간부문 구분은 재원으로 판단
   정부부문은 인프라 구축 및 기타 국비․지방비가 투입되는 일자리사업
   민간부문은 국비·지방비가 지원되지는 않으나 기업유치 등으로 민간의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사업

5

전문가 및 이해당사자 등 의견수렴


일 자
내 용
비 고
‘14.6.24.-27.
ㅇ 일자리 공시제 추진 2/4분기 권역별 정기모임
  - 민선6기 종합계획 수립 관련
·4개 권역별 컨설팅
·도 및 31개 시군
 ‘14.6.30, 7.3.
ㅇ 민선6기 일자리 공약(‘14년 계획 포함) 추진계획 보고회
  - 24개課 / 일자리 수, 예산계획, 예상 문제점, 향후계획 등
·경제실장 주재
‘14.7.18
ㅇ ‘14년 제2회 경기도 노‧사‧민‧정 협의회
  - 생활임금 도입지원 방안 논의, 팬택 경영정상화를 위한 결의문 채택 등
·도지사 주재
‘14.5~8월
ㅇ 민선6기 일자리 수 및 ‘14년 수정공시를 위한 목표 조정협의
  - 민선6기 일자리목표(700천개), 고용률(70.4%),산출근거 등
  - ‘14년 일자리목표(234천개), 고용률(66.1%), 산출근거 등
·GRI 조성종 위원
·일자리정책과장
※ 실무자 포함 수시협의
‘14.8.21.
ㅇ 민선6기 주요 공약 끝장 토론회
  - 일자리 70만개 창출방안(‘14년 계획 포함)
·도지사 주재
‘14.9.4.-5.
ㅇ 지역일자리목표공시제 2차 워크숍
  - 민선6기 종합계획 및 ‘14년 세부계획 수정공시 관련
·집합컨설팅
·도 및 31개 시군
‘14.9.11.
ㅇ 민선6기 일자리 70만개 창출을 위한 실․국 일자리사업 보고회
  - 일자리 예산 확보방안, 중앙․시군․유관기관간 협업 활성화 방안, 민간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 등 (‘14년 계획 포함)
·도지사 주재
‘14.9.22.
ㅇ 민선6기 실․국별 일자리 창출 계획 확정․제출
  ※ 매년 상하반기 추진실적을 평가분석하여 연차별 계획에 반영
·‘14년 수정공시
   부문별 일자리
  155개 사업 확정
‘14.9.24.
ㅇ 민선6기 일자리 목표 및 정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일자리 넘치는 따뜻한 경기도를 위한 상생 협약 체결
·도지사, 고용부 장관, 31개 시장 군수, 경총‧ 노총 등 37개 기관장
‘14.11.27.-12.4.
ㅇ 지역일자리목표공시제 3차 워크숍 및 권역별 모임
 - ‘15년 연차별 일자리 대책 공시 및 ’14년 일자리 평가 관련
·집합컨설팅
·도 및 31개 시군
·고용센터
‘15.1.12
ㅇ 2015 넥스트 경기 토론회
  - ‘15년 고용전망 및 일자리 창출 방안 토론 / 지사님 주재 일자리 월례회의 정례화 추진
·도지사 주재
‘15.1.28
ㅇ 제1회 일자리창출 전략회의
  - ‘14년 도 일자리 실적과 ’15년 전망, 핵심 추진전략 토의
  - 미국 오바마 정부의 일자리정책 방안 관련 토론
·도지사 주재
‘15.1~2월
ㅇ ‘15년 일자리 수 및 연차별 일자리 대책 공시를 위한 목표 조정 협의
  - ‘15년 일자리목표(199천개), 고용률(66.1%), 산출근거 등
·GRI 문미성 박사
  숭실대 조성종 박사 등
‘15.2.26
ㅇ 제2회 일자리창출 전략회의
 - 청년 고용 문제, 중소기업 미스매치 해소, 민간기관 일자리 협업 등 논의
·도지사 주재
‘15.3.16
ㅇ ‘15년 제1회 경기도 노‧사‧민‧정 협의회
  -노루페인트 노사상생 우수사례 발표,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졸업생 취업지원 방안, 취약근로계층 지원을 위한 컨설팅 방안, 고용전망 논의
·도지사 주재
‘15.3.30.
ㅇ 제3회 일자리창출 전략회의
 - 특성화고 등 고교 졸업생 취업대책
·도지사 주재
‘15.4.29.
ㅇ 제4회 일자리창출 전략회의
 - 대학(졸업)생 취업지원 대책
·도지사 주재
‘15.8.25.
ㅇ 제5회 일자리창출 전략회의
 - 중장년 일자리 대책
·도지사 주재
‘15.10.15.
ㅇ NEXT 경기 일자리 창출 토론회
 - 도민 일자리 제안사업 공모 심사
·도지사 주재
‘15.11.27.
ㅇ 일자리창출 도-시군 부단체장 회의
·도 및 31개 시군
(행정1부지사 주재)
‘15.12.9.
ㅇ 도-시군 상생협력 토론회
  (도-시군 연계한 청년일자리 창출 방안 토론 및 결의문 채택)
·도 및 31개 시군
(도지사 주재)
‘16.2.15.
ㅇ 개성공단 입주기업 간담회
 - 개성공단 폐쇄에 따른 입주기업 등 지원방안
·도지사 주재
‘16.2.18.
ㅇ 일자리재단 설립 관련 공개토론회
 - 일자리재단 설립 과정상의 쟁점 논의 및 의견수렴
·도의회 주관
 (행2부지사 참석)


Ⅱ. 지역 여건 분석


1. (총괄) 인구․고용․생산 등 주요부문에서 국가경제의 20%이상 차지

 ❍ 젊은 세대와 R&D인력이 전국 최고(각각 ’13년 30.3%, ’12년 35%)로 인적자원 우수




취업자수(2015)
6,364천명
지역내 총생산(2014)
329조원
국제교역규모(2015)
2,087억 달러
  R&D투자비(2014)
31조원

2 지리적 특성

 ❍ 경기도는 서울이 위치적으로 양분하고 있는 체제, 경기도와 서울의 경계지역은 서울의 경제권역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며,

  - 특히 경기남부와 북부지역은 서울이 중간에 위치해 있음으로 산업 및 공간적 괴리 발생

  - 경기도내에서는 북부-남부 간 인구 및 GRDP 규모가 「2 대 8」구조
    * 북부의 인구비중 ’06년 25.6%→ ’15년 26.3%, GRDP비중 ’06년 20.1%→’12년 18.1%

 ❍ 수도권의 각종 규제로 권역별로 산업별 발전정도 및 사업체수가 커다란 편차

   - 북부지역은 군사시설보호구역, 동부지역은 상수원보호구역, 서울인근지역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각종 개발사업에서 불이익

 ❍ 서울로 가서 소비 경기도민의 신한, 국민 및 BC(11개 회원사 포함) 등 3종류 신용카드 사용현황을 분석(한국은행)
(’12년 35.9%)도, 취업(’12년 2/4분기 20%)도 많이 하는 상황


 ❍ 수도권 규제 및 정부 정책으로 인해 기업 및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전
     * 기업 ’03~’13.6월 371개, 공공기관 ’08~’15년 60개 기관, 22,000명
  
3. 인구변화 및 구조

 ❍ (인구규모) ‘15년 말 기준 道 총인구는 12,522,606명(24.3%, 전국1위), 전국대비 30~40대 인구비중이 높고 60세 이상은 낮음

 ❍ (인구이동) 전입․전출 모두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전출보다 전입이 많아 인구는 지속 증가(’03년 서울 인구 추월)
   * (이동률) 전입 ’09년 19.1% → ’15년 15.9% / 전출 ’09년 18.3% → ’15년 15.2%

❍ (장래인구추계) 50세 이상 인구는 증가하나 다른 연령대는 감소하여 저출산 고령사회로 이미 진입
   * (’15~’19년까지 평균 장래인구추계 증감률) 0~14세 △0.2% / 15~29세 △0.5% / 30~39세 △1.3% / 40~49세 △0.7% / 50~59세 2.1% / 60세 이상 6.2%
4. 산업구조

 ❍ (지역내총생산) '14년 329조원 규모, 경제성장률 5.6% 최고수준(전국1위), 다만 국내․외 경제상황에 따라 경기 변동성*이 높은 구조

    * 2006~2012년, GRDP 성장률의 표준편차 : 경기도 2.8 ⇔ 전국평균 1.9

  - 반도체․휴대폰․자동차 등 수출 중심**으로 제조업 비중 높은 반면, 안정적인 소비 수요가 뒷받침되는 서비스업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데 기인
   ** 수출의 절반이 상위 5개 품목(반도체, 자동차, 휴대폰, LCD, IT부품)에 집중



<경기도 업종별 구성비>
<경기도 주요 업종별 성장률>


 ❍ (경제전망) 수출호조, 제조업 생산 증가, 설비투자의 IT 부문 중심 증가세 확대, 건설투자 소폭 반등으로 ‘16년 3.7% 성장 전망, 유로존 금융시장   불안정성, 중국 등 신흥국 성장 둔화 등 위험요인 잠재
5. 노동시장 구조

◈ ’15년 경기도 취업자수는 138천명 증가, 고용률은 61.4% 기록


 ❍ (경제활동인구) ‘15년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6,626천명으로 남성은 3,893천명, 여성은 2,732천명으로 전국 1위 규모(전국 대비 24.6%)

 ❍ (취업자) ‘15년 취업자 수는 6,364천명으로 전년대비 138천명 증가(전국 증가의 40.9%)

  - 청년 취업자는 1,027천명으로 전년 대비 40천명 증가(전국 3,938천명, 69천명 증가)
    * 전년 대비 증감추이 (‘12 ) △33천명→ (‘13 ) △39천명→ (‘14 ) 26천명 → (‘15 ) 40천명

  - 50세 이상 취업자는 2,060천명으로 전년 대비 90천명 증가 (도 전체 증가수의 65.2%)

   * (50~59세) 1,407천명으로 전년 대비 52천명 증가 (전국 5,994천명, 149천명↑)
   * (60세 이상) 653천명으로 전년 대비 38천명 증가 (전국 3,661천명, 172천명↑)

  - 여성 취업자는 2,624천명으로 전년 대비 94천명 증가 (전국 10,965천명, 205천명↑)

 ❍ (고용률) 61.4%로 전년 대비 0.1%p 상승 (전국 60.3%, 0.1%p↑)

  -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6.6%로 전년 대비 0.4%p 상승
   * 전국은 65.7%로 전년 대비 0.4%p 상승

  - 여성 고용률은 50.2%로 전년 대비 0.9%p 상승 (전국 49.9%, 0.4%p↑)

 ❍ (실업률) 3.9%로 전년 대비 0.5%p 상승 (전국 3.6%, 0.1%p ↑)


 ❍ (고용동향) 경기도내 취업 등 고용률은 전국 대비 비중은 높으나 완만한경기회복 대비 고용정책 필요


Ⅲ. 비전 및 전략




 
일자리 넘치는 따뜻한 경기도





 
일자리 70만개 창출 (2016년 179천개 창출)



6대 전략
핵심 과제
청년, 여성, 중․장년 등 계층별 맞춤 지원
• 고교 및 대학 재학때부터 취업 기회 제공
• 여성경제활동 강화 및 경력단절 예방 확대
• 4050 재취업 지원 및 사회공헌형 일자리 확대
• 질 좋은 경기도형 사회적 일자리 창출
지역 ․ 산업
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 경기도일자리재단 설립
•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운영 확대
• 지역별, 산업별 특성에 맞는 인력양성
• 기능인 발굴, 기업맞춤지원
고객 중심 일자리
서비스 향상을 위한
체계 구축
• 일자리센터 운영내실화
• 고용복지+센터 확대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 확대
• 온라인커리어코칭 서비스 제공
좋은 일터 만들기
• 청년 친화적 고용환경개선
• 노사민정협의회 활성화
• 공공부문 비정규직 처우 등 개선
NEXT 경기,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 규제 완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 맞춤형 중소기업 종합지원
• 지식 ‧ 기술 융합형 신산업 육성
• 경기 북‧동부 경제발전 기반조성
•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
따복 공동체 등
사회적 경제 활성화
• 지속성장 사회적 기업 생태 조성
• 사회적경제 기업인 역량 강화
• 따복공동체 지원센터 설립 운영


전략 1. 청년, 여성, 중‧장년, 취약 계층별 일자리 지원


□ 현 황

 ❍ (청년) 저성장 기조, 사회 구조적 요인 등으로‘99년 이후 청년실업률 최고
   * 도내 15~29세 청년실업률: ’05년7.6%→’09년8.3%→’13년7.3% →‘15년 9.1%

 ❍ (여성) 육아․가사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재취업의 어려움으로 고용률이 낮음
   * ’15년末 도내 고용률은 61.4%(전국 60.3%), 여성은 50.2%(전국 49.9%)

 ❍ (중․장년) 베이비부머 세대*(’55~’63년생)의 조기 은퇴에 따른 노후 불안정
   * ’55~’63년생 전국 717만 명 중 도내 약 163만 명(통계청, ’15년)

 ❍ (취약계층) 전국 최대인구 1,252만명, 돌봐야 할 취약계층* 전국 1위
   * 최저생계비 120% 이하 차상위 취약계층 160만명 (GRI 추정)

□ 정책방향


 ❍ 청년의 꿈과 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고교․대학 재학때부터 취업기회 확대

 ❍ 여성경제활동 강화 및 양질의 시간선택제 확산을 통한 경력단절 예방

 ❍ 중․장년 재취업 및 은퇴 후 사회공헌 일자리 발굴․지원

 ❍ 노인․장애인․자활 일자리, 저소득층 양질의 사회서비스 지원 등


□ 핵심과제

 ❍ (청년) 고교 및 대학 재학때부터 진로지도 및 취업 기회 제공으로 조기 입직 지원 

   - 고교생 직업마인드 교육 및 취업활성화, 취업예약형 전공과정 지원
   - 청년뉴딜(3,000명),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사업(5개 대학), 취업성공패키지 사업 등

 ❍ (여성) 여성인력개발기관을 통한 여성경제활동 강화 및 경력단절 예방 확대

   - 경력단절 여성 원스톱 취․창업 종합서비스 제공 및 경력별 특성 반영 특화사업 추진

   - 일․가정 양립을 위한 여성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고용유지 지원

 ❍ (중․장년) 재취업 지원사업 확대 및 사회공헌형 일자리 사업 발굴․지원

    - 4050재취업(700명), 4050원스톱상담사(32명), 제대군인(170명) 등
   - 퇴직 전문인력의 사회서비스 확산을 위한 사회공헌 일자리 사업 추진(500명)

 ❍ (사회적 일자리) 질 좋은 경기도형 사회적 일자리 창출과 자립기반 조성 지원

   - 사회적 일자리 아이템 개발(일자리발전소 운영 등)과 수요 맞춤형 사회서비스 제공
   - 일하는 청년통장 운영(저소득 근로청년 500명) 등 참여자 중심의 안정적 자립기반 조성 지원 사업 추진


전략 2. 지역․산업 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 현 황

 ❍ 정부 주도 인력양성은 지역의 산업수요 충족에 미흡한 면이 있어, 지역과 산업의 수요에 기반한 인력양성 사업 발굴 및 확대 필요

 ❍ 신규채용자 역량부족에 대비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양성* 필요
    * ‘15년 상반기 채용(54,925명), 채용자중 역량부족(7.,349명), 신규채용 예정인원(36,205명), 양성훈련 필요인원(4,729명), 2015년 경기도지역정기인력 및 훈련수급조사

□ 정책방향

 ❍ 경기도인적자원개발위원회 인력양성 확대 및 운영 활성화
   - 공동훈련센터 확대(‘15년 6개 → ’16년 9개 기관)

 ❍ 지역과 산업 현장중심 인력수요에 기반한 인력양성 및 공급

□ 핵심과제

 ❍ (인적개발委 인력양성 확대) 공동훈련센터 확대 및 운영 활성화

   - 5대 권역별 분과위원회 운영 내실화, 공동훈련센터 9개 기관 운영
   - 지역․산업 수요 조사 정기․상시 실시하여 산업필요인력 양성과정 개설 운영

 ❍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 운영) 도내 산업체에 첨단 기술․기능인력 양성 공급

   - 디스필레이시스템 운용 등 5개 과정, 260명 인력양성

 ❍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일자리와 연계한 빅데이터 전문교육으로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전문가 및 재직자 과정 운영/ 250명)

 ❍ (지역별, 산업별 현장맞춤형 인력양성)나노기술, 해양레저, 시화반월산단 산학융합지구 등 지역과 산업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추진

 ❍ (기능인 발굴, 기업맞춤지원) 기능경기대회 입상‧출전자 지원 및 특화산업 육성

   - 국제‧전국대회 출전지원, 道 교육청‧산업계와 협력하여 시너지 효과 제고

전략 3. 고객 중심 일자리 서비스 향상을 위한 체계 구축


□ 현 황

 ❍ 道, 31개 시․군의 일자리센터는 일자리서비스의 핵심 기능 담당
   - 그러나, 대부분의 직업상담사가 신분이 불안한 기간제 또는 간접고용상태

 ❍ ‘14년 전국최초 남양주․동두천 고용복지+센터 선정, ‘15년 8개소* 추가 선정
   - 시군, 고용․여가․복지부, 보훈처 등이 협업을 통한 고용․복지 서비스 제공
    * 남양주, 동두천, 김포, 구리, 수원, 파주, 의정부, 화성, 오산, 안양

 ❍ 道, 새일센터 25개소에서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 정책방향

 ❍ 일자리센터 직업상담사 정규직화 및 역량 강화로 취업지원 서비스 제고

 ❍ 고용복지+센터 정착 및 도내 전역 확대 설치

 ❍ 새일센터 취업설계사 역량 강화 및 상담, 직업교육훈련, 인턴십 및 취업 후 사후관리 등 종합적인 취업지원서비스 one-Stop 제공

□ 핵심과제

 ❍ (경기도일자리재단) 도내 일자리 관련 4개기관 통합출범으로 경기도 일자리정책 총괄 거버넌스 확립
   - 일자리 70만개 취업자수 증가 등 고용관련 전문과제 수행 및 고용관련 일자리 전문 거버넌스 역할

 ❍ (일자리센터 운영내실화) 상담사확대 배치 및 역량 제고

   - 직업상담사 주민센터 확대 배치: ’15년 384개소(70%) → ’18년 548개소(100%)
   - 시․군 실정에 맞게 무기계약 근로 시간임기제 공무원 채용
   - 노동시장 변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직무교육과정 운영(연 4회)

 ❍ (고용복지+센터) 기관간 협업 강화를 통한 서비스 기능 다양화

   - 고용부, 복지부, 행자부, 여가부, 금융위, 보훈처, 지자체 참여 공간적 통합 및 협업

   - 도내 고용센터가 소재한 시군에 고용복지+ 센터 신규 설치* 추진
    * 향후 신규 설치 예정 : 5개 시(‘16년 성남, 용인, ’17년 양평,포천,하남)

 ❍ (새일센터) 20~30대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경력개발형 새일센터 확대

 ❍ (고객위주 일자리 서비스 제공) 찾아가는 일자리버스 운영, 채용박람회개최, 온라인커리어코칭 서비스 운영*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일자리 지원
    * 경력단절 여성 및 청년층 미취업 여성들의 상황에 맞는 고용가능성 기반 맞춤형 온라인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전략 4. 좋은 일터2) 고용부 정의 : 공정일터, 상생일터, 신바람일터, 안심일터 등
 만들기


 
□ 현 황

 ❍ 중소기업 낮은 보수, 문화시설 부족 등으로 미스매치* 상존
      
 ❍ 비정규직* 등의 불합리한 고용구조, 통상임금 등 노사 갈등 잠재

    * 도내 임금근로자 4,988천명 중 임시․일용근로자 1,621천명(32.4%)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정책방향

 ❍ 청년근로자에 대한 주거복지 지원을 위한 따복하우스 건립 등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 청년친화적 고용환경개선 추진

 ❍ 노‧사‧민‧정 협력 시범사업 성공적 추진으로 新노사문화 정착

 ❍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공공부문부터 솔선수범하여 민간부문으로 확대

□ 핵심과제
 ❍ (청년친화적 고용환경개선) 고용부 주관 4개 부처 합동사업을 패키지로 지원
   - 고용부, 산업부, 국토부, 미래부 / 근로자 복지시설, 산재예방시설 등
   - ‘16년 도내 4개 산업단지 5개 사업 159억원 신청

 ❍ (청년근로자 대상 따복하우스 건립) 저렴한 임대료의 직주근접 주거시설 공급
   - (건립부지) 파주시 신촌동 699번지외 2필지(5,132㎡, 시유지) 등
   - (건립규모) 160명(120호) 내외, 커뮤니티 공간 등 편의시설 설치

 ❍ (노사민정협의회 활성화) 문제해결을 위한 협업중심의 과제 발굴․추진
   - 취약근로계층 보호, 지역사회 대타협을 통한 일자리 확대 시범기업* 발굴 추진
    * 교대근무제 개선 등을 통한 고용확대 및 안전 작업환경 구축
   -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위한 기업맞춤형 컨설팅 등 지속 추진
 ❍ (비정규직) 임금 등 처우개선을 통한 환경개선
   - 공공 : 도 기간제근로자의 무기계약근로자 전환추진, 생활임금 준수 모니터링 등

   - 민간 : 노동법률, 진로상담 등 민간 비정규직 지원(道비정규직지원센터)

 전략 5. NEXT 경기,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 현 황

 ❍ 수정법, GB, 한강수계규제 등 중첩규제로 기업의 투자기피(입지, 이전, 증설 등) 유발 및 성장 저해
   * 22개사 1.4조원(고용창출 1,715명) 이상의 투자가 각종 규제로 지연(‘16. 1월, 규제개혁추진단)

 ❍ 도내 중소기업 종사자수 304만명으로, 일자리 기여도는 90%이나, 최근 내수 및 수출 부진 등의 어려움에 직면


 ❍ 특히, 도내 지역발전지수 하위 그룹(D~E그룹)*이 경기 북‧동부 지역에 편중, 남‧서권역과 북‧동 권역의 지역 경제력 격차 심화

     * A~E그룹 5단계 분류상, 지역발전 하위에 속한 D~E 그룹 15개 중 12개 시․군이 북동부 지역(GRI / ‘13. 2.)
 

□ 정책방향

 ❍ 기업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 개선과제는 적극 발굴․해소 추진
    * 道 규제업무 총괄은 기조실, 경제실은 공장 입지 및 서비스규제 해소 중점

 ❍ SW․R&D․영상 등 지식서비스 산업 등 미래형 신성장 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 맞춤형 중소기업 종합지원 및 경기 북동부 경제발전 기반조성

□ 핵심과제
 ❍ (기업규제 개선) 동북부지역 규제 합리화
    * (과제선정) 북부 낙후지역 수도권 제외, 자연보전권역 공장입지 완화(6만→30~50만㎡) 및 연접규제 완화

 ❍ (맞춤형 중소기업 종합지원) 창업허브 구축 등 기술형 창업 촉진 및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기업SOS 시스템 운영,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 사업 확대

 ❍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매년 성장가능기업(Star기업) 20개사 발굴 집중 지원,  패밀리 기업/디자인 개발지원,  뿌리산업 육성 지원 등
 
 ❍ (지식 ‧ 기술 융합형 신산업 육성) 판교는 IT ․ BT ․ CT 기업 중심의 R&D 단지로, 광교는 공공기관 중심의 산학연 융․복합 R&D 클러스터로 조성
    * 판교제로시티 조성,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SW융합클러스터, 2030 하우스 건립 등
 ❍ (경기 지역균형발전사업) 접경지역 등 지역발전도가 낮은 북동부 6개 시군* 지원
    * 연천, 가평, 양평, 여주, 포천, 동두천(‘16년 도비 401억원)

 ❍ (道 5대 콘텐츠산업 육성)『출판(파주), 게임(성남), 영상(고양), 만화․애니(부천), 스마트콘텐츠(안양)』집중 육성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 경기문화창조허브 확대·운영 및 신규 콘텐츠 클러스터 발굴, G-NEXT(게임산업 육성), 문화융합형 청년 창작소 조성 (150명) 등

전략 6. 따복 공동체 등 사회적 경제 활성화

 
 □ 현 황

  ❍ 양적 성장을 거두었으나, 자생력 결여 및 지속성장에는 한계

     * 기업 : (’11년) 375 → (’15년) 1,931 / 일자리 : (’11년) 5,413명 → (‘15년) 12,917명
       사회적 기업(237사, 7,060명), 예비사회적기업 194개사 1,459명, 협동조합(1,331사, 4,126명), 마을기업(169사, 272명)

    ** 당기순이익(’11년) : 정부보조 포함時 63.7%, 제외時 14%(전국), 19%(경기)만 흑자

  ❍ 경영역량 부족으로 정부의 재정투입은 자립능력 감퇴와 경쟁력 약화 초래
  ❍ 공동체 해체 현상 심화로 교육, 보육, 주거환경 등 각종 사회적 문제 발생

 □ 정책방향

  ❍ 사업성·자생력을 갖추고 경영성과를 실현하는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 통합지원체계 확대, 역량강화 및 성장단계별 차별화된 지원 추진
  ❍ 지역사회에 기반한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 비즈니스 결합 통합지원

 □ 핵심과제

  ❍ (지속성장 기업육성) 우수 기업의 자율참여「경영공시제」도입, 「쇼셜벤처사회문제에 대해 창의적・효과적 솔루션을 갖고 있는 사회적기업가가 지역문제 해소 및 사회적목적 달성을 위한 기업・조직
」기업 육성 지원, 베이비부머 희망 창업 지원  

   - 경영공시(매출액, 순이익 등) 참여기업에 대해 인센티브 부여

   -「쇼셜벤처 경연대회」및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도내대학 캠퍼스 투어 추진

   - 경기희망컨설팅기사단 운영(51명) 및 컨설팅 지원(창업준비→설립・지정・인증 전과정)

  ❍ (시장조성-판로개척․확대) 사회적경제 제품 판매 지원 등 판로확대

   - 따복선물꾸러미 특별판매전 및 인터넷 따복가게 지원 등

  ❍ (사회적경제기업인 역량 강화) 사회적기업가 아카데미 운영, 경영능력 함양

   - 기업가 양성교육, 비즈니스코칭 지원 등 역량강화로 사회적기업 성공 추진

  ❍ (일자리 발굴) 사회적일자리발전소* 매월 정례화 개최하여 사회적일자리 발굴 방안 강구 등
     * 사회적경제분야의 지속가능한 일자리 발굴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는 각계각층의 브레인 회의

 
  ❍ (따복공동체 지원센터 설립 운영) 공동체 역량강화로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 따복공동체 현장 활동가 양성을 위한 단계적, 계층별 교육 추진

민선 6기 종합계획과의 연계성


□ 여건변화 : ‘16년 고용 전망 하향

 ❍ ‘16년 GDP 성장률 및 경기도 GRDP 성장률 추정치 하향 예상에 따라, 일자리 종합계획 추진에 어려운 환경 전망

 ❍ 민선6기 70만 창출을 위해 매년 평균 175천명 내외 증가 필요에 따라 종합계획 수립‘16년 목표치 179천명 달성추진

 ❍ 일자리 중심의 도정체제 구축을 통해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사업에 집중․투자

□ 일자리 창출 중심의 도정 체제 구축

 ❍ (공 시) 일자리목표 사업별 실행계획 공시(公示) 확대로 실천력 담보
    * ‘16년 사업부문별 172,063명 추진

 ❍ (예 산) 1조 8,066억원

 ❍ (조직 강화) 경기도 일자리재단 출범(3본부 1학교, 180명)




대 표 이 사

이 사 회









윤리경영팀(4)
(상근감사)










































기획연구조사본부
(29)

고용성장본부
(77)

북부일자리본부
(32)

경기도기술학교
(38)































(9)






(6)






(10)







(4)







(19)



1


(11)






(7)





1

(18)



1

(22)



2


(9)





2

(6)



2

(17)


(9)



(7)


(22)



 ❍ (실적 점검) 도지사 주재, 핵심과제별 현장중심의 일자리창출 전략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하여, 일자리 실적 주기적 점검

  ➡ 민선6기 종합계획과 연동하여 주요 일자리 공약 사업*을 ‘16년 본격 추진, 일자리 70만 창출 및 정부 고용률 70% 달성에 전력을 다할 계획임
     * 청년 일자리대책, 빅파이프로젝트, 따복공동체 건설 등

<참고 : 민선6기 일자리 70만 창출 종합계획 주요 내용>
 
? 일자리창출 목표 - 70만개

 ❍ (배경) 도민 요구*, 민선6기 최우선 정책과제 선정

   * ’14.7월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 : 1위 일자리 70만개 36.1%, 2위 소외계층 복지 강화 18.9%

 ❍ (추진기간) ’14년 ~ ’18년(5개년)

 ❍ (15세이상 취업자수) ‘14년 6,222천명 → ’18년 6,922천명, 70만명 증가

? 목표 설정 배경

 ❍ (GRDP) 年 평균 5.1% 성장* 時, 취업자 수 523~636천개 증가 예상

    - 경기도 GRDP 1% 성장 時 취업자 수 33천명 증가(’06~’13년 평균)

     *(’15년 8월 기준 예측치) ’14년 4.8%, ’15년 5.6%, ’16년 5.2%, ’17년 5.1%, ’18년 5.0%

 ❍ (주요 정책방향) 일자리 창출 및 고용 개선 효과 큰 사업에 재정 우선 투자, 계층별 맞춤형 시책 발굴, 사회적 경제 활성화 등

    - 道 사업체 부족인력 연평균 68천명(’14.7. 고용부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 분야별 주요사업

 ❍ (창출) 창업․기업지원 및 사회적일자리 등 공공일자리 제공

    - 직접 창출 : 노인 일자리 등 직접일자리 창출 사업

    - 창업 지원 : 창업허브 조성, 단계별 창업 및 성장 지원 등

    - 기업 유치 등 : 외국인 투자유치 및 일자리 관련 투자 추진 등

 ❍ (유지) 청․장년 및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등

    - 직업능력 개발훈련 :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등

    - 일자리 인프라 구축 : 비정규직 고용개선 등 일자리 인프라 구축

 ❍ (알선) 경기도형 취업성공패키지 등 고용서비스



Ⅳ. 일자리 창출 목표


1

공통 일자리 목표


‘15년 일자리 실적
‘16년 일자리 목표
증감(률)
목표
실적
고용률
(15세-64세)

67.2
66.6
67.6
1%p(1.5%), 증

15세 이상
62.3
61.4
62.4
1%p(1.6%), 증
취업자 수(15세 이상)
6,425
6,364
6,543
179(2.8%), 증
상용근로자 수
3,442
3,367
3,498
131(3.9%), 증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2,615
2,639
2,794
155(5.9%), 증
(단위 : 천명, %,)

※ 증감(률) : ‘15년 일자리실적 대비 ’16년 일자리목표


<목표 설정 배경>

 ❍ 道의 강력한 일자리 창출 의지 천명

   - 민선 6기 일자리 70만 창출 및 정부 고용률 70% 견인을 위해
    일자리대책 종합계획‘16년 목표치 179천개 목표 설정

 ❍  ‘16년 상용근로자수 목표 3,498천명

   - 3,367천명(‘15년 실적) +〔3,367천명 × 3.9%(‘11~‘15년 道 평균증가율)〕

 ❍  ‘16년 고용보험 피보험자 목표 2,794천명

   - 2,639천명(‘15년 실적) +〔2,639천명 × 5.9%(‘10~14년 道 평균증가율)〕
 



2

부문별 일자리 목표


‘16년 목표(명)
사업비(백만원)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총계
172,063
5,622,704
960,911
845,720
443,886
88,575
3,283,612
정부
부문
소계
167,297
5,622,704
960,911
845,720
443,886
88,575
3,283,612
직접일자리창출
34,338
421,746
187,699
79,411
154,577
59

직업능력개발훈련
4,212
33,427
15,782
12,478
5,155

12
고용서비스
45,682
24,977
14,856
7,305
2,379
437

고용장려금
534
10,136
7,603

2,533


창업지원
6,136
35,927
5,694
17,126
7,843
164
5,100
일자리인프라 구축
12건
69,956
4,711
43,861
13,530

7,854
기타
소계
76,395
5,026,535
724,566
685,539
257,869
87,915
3,270,646
산업
53,227
3,497,178
38,098
491,197
5,378
5,904
2,956,601
복지
3,213
4,642
1,729
2,173
740


문화
3,404
153,358
24,842
82,305
46,211


농림·해양
2,131
136,980
46,475
6,491
20,648
63,366

국토·환경
14,420
1,234,377
613,422
103,373
184,892
18,645
314,045
민간
부문
기업 등 유치
4,766




(단위 : 명, 건)

  ※ 정부부문, 민간부문 구분은 재원으로 판단
   정부부문은 인프라 구축 및 기타 국비․지방비가 투입되는 일자리사업
   민간부문은 국비·지방비가 지원되지는 않으나 기업유치 등으로 민간의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사업

3

일자리 예산


‘15년
‘16년
‘15년 대비 증감(률)
총예산(a)
18,847,348
19,857,896
1,010,548(105.4%), 증
일자리사업예산(b)
1,705,719
1,806,631
100,912(105.9%), 증
- 국비 예산(c)
899,065
960,911
 61,846(106.9%), 증
- 도비 예산(d)
806,654
845,720
39,066(104.8%), 증
총예산 대비 일자리사업예산 비중 (b/a×100)
9.05%
9.09%
0.04%p, 증
일자리사업예산 대비 도비 비중 (d/b×100)
47.29%
46.81%
0.48%p, 감
(단위 : 백만원, %)

 ※ 총 예산은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을 포함, 총예산 및 일자리사업예산은 본예산 기준임


Ⅴ. 부문별 사업계획


1

정부 부문


 가. 기본방향

□ NEXT 경기,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 판교‧광교 등 창업 Hub 육성
  ○ 지식 ‧ 기술 융합형 신산업 육성,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
  ○ 규제 개선을 통한 기업투자 촉진, 지역개발사업과 연계한 일자리 창출
       * GTX, 한류월드 조성, 경기 북동부 경제발전 기반조성사업 등

□ 청년, 여성, 중‧장년, 취약계층 등 계층별 맞춤 지원
  ○ 경기 청년 뉴딜 사업, 협업형 취업성공패키지 확대 실시
  ○ 시간선택제 일자리 기반 강화, 경단여성 맞춤형 취업지원, 4050 재취업 지원
  ○ 노인, 장애인, 자활 일자리 등 사회적 일자리 활성화

□ 지역•산업 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 인적개발委 운영 내실화,

  ○ 기능인 발굴‧기업맞춤지원, 뿌리산업 인력양성, 빅데이터 전문인력양성 등

□ 고객 중심 일자리 서비스 향상을 위한 체계 구축
  ○ 고용복지+ 센터 설치 확대
  ○ 일자리센터‧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을 통한 현장 밀착형 취업지원
  ○ 온라인커리어코칭 서비스 운영

□ 좋은 일터 만들기
  ○ 청년 친화적 고용환경개선
  ○ 통상임금 컨설팅 등 노사민정협의회 활성화
  ○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 개선 추진

□ 따복 공동체,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통한 서민 일자리 창출
  ○ 지속성장 사회적 기업 생태 조성, 사회적경제 기업인 역량 강화,
     따복공동체 지원센터 설립 운영
 나. 부문별 사업계획
 1) 직접일자리창출
  □ 기본방향
    ○ 복지와 일자리를 접목한 공공 일자리 제공
    ○ 취업능력이 부족한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으로 복지구현
    ○ 장시간근로문화 개선 및 일․가정 양립형 사회적 일자리 창출
  □ 목표설정
(단위 : 명, 백만원)

세부사업명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75개 사업
34,338
421,746
187,699
79,411
154,577
59
0
1. 가사·간병 방문지원
502
2,839
1,987

852


2. 가정위탁지원센터 운영
9
352

352


3.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인건비
87
3,580
2,148
1,432


4. 개인운영아동신고시설 운영
1
9

3
6


5.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15
279
195
13
71


6. 경기 청년 및 대학생 인턴지원사업
199
3,958

3,958


7. 나무진료센터 설치 및 나무의사 양성
43
1,000

1,000


8. 경기도체육회사무처운영
38
8,209
65
8,144


9. 아동보호전문기관 운영
13
549
275
274


10. 경기숲 나눔목공소 조성운영
40
1,450

725
725


11. 경기은빛독서나눔이
46
816

245
571


12. 공공도서관 연장개관운영 지원
300
6,190
3,095
928
2,167


13. 공사립 박물관, 미술관 운영
40
2,167

650
1,517


14. 공연전시 나눔사업(사랑티켓)
1
160
80
80


15.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9
300
150
150


16. 교직원인건비
4,136
56,882
32,376
15,401
9,105


17. 국가지정문화재 안전경비인력 배치
18
557
279
83
195


18.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212
1,566
783
783


19. 귀농귀촌 지원센터 운영
2
600

600


20. 넥스트 희망일자리사업
142
1,319

819
500


21. 노숙인자활지원
100
1,200

360
840


22. 노인일자리지원
6,804
76,376
38,188
5,728
32,460


23. 녹색일자리창출
642
13,845
6,114
2,396
5,335


24. 농가도우미지원
24
436

87
349


25. 농어촌체험마을 사무장채용지원
51
740
370

370


세부사업명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26.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
103
1,151
806
52
293


27.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
11
327
229
15
83


28. 생활체육지도자배치
329
8,946
4,015
1,521
3,410


29. 도립체육시설운영
18
1,950

1,950


30. 따복공동체지원센터운영
49
5,270

5,270


31. 떳다방 근절 경기 시니어감시원
82
179

179


32. 문화관광해설사운영
560
1,200
600

600


33. 문화재돌봄사업
44
1,372
686
686


34.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10
174
87
13
74


35. 비산업부문 사업장온실가스 진단컨설팅
38
120
60
60


36. 사회공헌활동 지원
500
995
796
199


37. 산촌마을 따복리더운영
14
250
50
75
125


38. 생명사랑프로젝트 전담인력 배치
45
1,575

473
1,102


39.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95
1,401
1,121
280


40. 시군아동보호 전문기관 운영
23
971
486
145
340


41. 시군 학교밖 청소년프로그램운영지원
37
2,325

697
1,628


42. 시군청소년통합지원체계운영지원
14
3,065
1,533

1,532


43. 시니어 일자리창출
10
581

406
116
59

44. 쓰리고 프로젝트
680
1,000

1,000


45. 아동보호치료시설운영
22
870

261
609


46. 아동복지교사 지원
572
8,641
4,321
647
3,673


47. 아동시설운영
209
8,849

885
7,964


48. 아동일시보호소운영
32
1,385

1,385


49. 요보호아동 그룹홈형태 보호
59
1,186
474
107
605


50. 요양보호사관리
1
16

16


51. 일하는청년통장운영
500
600

600


52. 임진강평화문화권지역개발사업추진
32
2,000
1,000

1,000


53. 입양기관운영
1
23

2
21


54. 자활기업 신규설립
100
0



55. 자활상품 유통활성화
103
215

215


56. 장애인복지일자리지원
1,346
5,702
2,851
428
2,423


57. 장애인복지일자리 직무지도원파견
25
499

122
377


58.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운영
5
150

150


59. 장애인일반형일자리지원
880
15,851
7,925
1,189
6,737


60. 장애인직업재활시설운영
2,620
29,859

2,590
27,269


세부사업명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61.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311
6,616
3,308
25
3,283


62.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3,443
36,730
25,711

11,019


63. 지역아동센터 돌봄도우미지원
659
7,174

3,587
3,587


64. 지역아동센터지원단운영
3
168
84
84


65. 지역아동센터특기적성교육강사지원
48
1,192

309
883


66. 지역아동센터운영
461
11,834
5,917
887
5,030


67. 지자체 공공근로사업
419
6,000
1,200

4,800


68. 청소년동반자채용 및 활동지원
84
2,917
1,171
305
1,441


69. 청소년쉼터야간근무자 배치지원
44
897

269
628


70.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운영지원
39
1,330
532
120
678


71. 축산위생사업추진
71
7,207
1,309
5,898


72. 취약계층 자활근로
5,533
43,240
35,170
1,211
6,859


73. 치매종합지원서비스체계구축
10
785

253
532


74. 평생학습 마을공동체지원
562
1,200

600
600


75. 학대피해 아동쉼터운영
8
379
152
34
193



 □ 주요사업 추진내용


1-1

 가사간병 방문 지원

  ❍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려운 저소득 취약계층을 위한 가사간병서비스 제공
  ❍ 서비스내용: 가사(청소, 식사준비), 간병, 신체수발 지원 등


1-2

 가정위탁지원센터 운영

  ❍ 위탁보호가정 발굴 및 상시모니터링 등 사후관리, 가정위탁아동 자립지원


1-3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인건비

  ❍ 민관 공동방역체계를 확립하여 가축전염병 사전차단 및 축산물위생 안전성 도모


1-4

 개인운영아동신고시설 운영

  ❍ 개인운영 아동신고시설 지원을 통해 시설 양성화 및 상시모니터링 등 아동의 건전한 보호체계 구축

1-5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 결혼이민자의 가족 간 및 사회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지원을 위해 결혼이민자를 통․번역사로 채용하여 서비스 제공
  ❍ 의사소통이 어려운 결혼이민자에 대한 통․번역 서비스, 가족생활 및 국가 간 문화차이 등 입국초기 상담 및 정보제공 등


1-6

 청년 및 대학생 인턴지원

  ❍ 도내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청년실업문제 해소 및 현장경험 기회 부여를 통한취업역량 강화
  ❍ 도정홍보 및 아이디어 뱅크로 활용


1-7

 나무진료센터 설치 및 나무의사 양성

  ❍ 경기도내 생활권 수목에 대한 전문적인 나무 진료체계를 구축하여 도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전문 일자리 창출


1-8

 경기도체육회사무처 운영

  ❍ 각종 체육관련 사업운영 및 생활체육 프로그램 운영
  ❍ 가맹경기단체, 시군체육회조직관리, 도민체전 및 전국체전 참가 등


1-9

 아동보호전문기관 운영

  ❍ 아동학대예방 전담기관의 아동학대 예방 보호 등 지원을 통한 아동의 건전육성 및 권리 증진을 도모


1-10

 경기숲 나눔목공소 조성운영

  ❍ 산림사업 부산물을 활용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목재제품을 재생산, 목공예 프로그램운영 등 목재문화 활성화 기여
  ❍ 목공체험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목공지도사 운영 등


1-11

 경기은빛 독서 나눔이

  ❍ 독서코칭 교육을 통해 양성된“경기은빛독서나눔이(현직 은퇴 노인)”를 활용하여 어르신들의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
  ❍ 정보소외계층 아동들에게 찾아가는 독서프로그램 지원

1-12

 공공도서관 연장개관 지원

  ❍ 공공도서관 야간 연장 개관을 통해 직장인, 청소년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 및 야간시간 운영인력 채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공공도서관 연장개관 운영을 위한 인건비, 운영비 지원


1-13

 공사립 박물관, 미술관 운영

  ❍ 지역에 다양한 문화예술콘텐츠 및 문화예술 향유기회 제공
  ❍ 개별 박물관, 미술관 여건과 요구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을 통한 박물관, 미술관 역량 강화


1-14

 공연전시 나눔사업(사랑티켓)

  ❍ 문화 소외계층의 공연, 전시 관람료 지원을 통한 문화예술 접근성 제고
  ❍ 문화 향유 및 복지효과 기대


1-15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 역량강화, 네트워크 운영 등 정보인프라 강화
  ❍ 비평연구, 협력체계 구성, 중앙단위 위탁사업 관리 운영


1-16

 교직원인건비

  ❍ 취약보육을 위주로 하는 정부지원 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수준 향상
  ❍ 국공립, 영아전담 등 어린이집 보육교사 인건비 지원


1-17

 국가지정문화재 안전경비인력 배치

  ❍ 중요목조문화재 24시간 감시체계를 통하 문화재 재난예방 및 훼손행위 근절


1-18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 초·중·고교에 파견하여 학생들에게 국악교육을 실시할 국악강사를 선발함으로써 일자리 제공
  ❍ 국악강사의 학교 방문교육을 통한 국악교육의 내실화 및 전통문화 계승


1-19

 귀농귀촌지원센터 운영

  ❍ 귀농, 귀촌인에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을 통한 청․장년 안정적 정착
  ❍ 맞춤형 정보제공 및 컨설팅, 소득창출 프로그램 운영 등


1-20

 넥스트 희망일자리사업

  ❍ 저소득 청․장년층에게 기업과 연계한 현장체험, 기술습득 등 취업역량강화
  ❍ 안정적인 민간취업 지원을 위한 고용알선서비스 확대


1-21

 노숙인 자활지원

  ❍ 자활사업 참여를 통한 노숙인 사회복귀 지원
  ❍ 노숙인 자활근로 참여자 인건비 및 사업비 지원
  ❍ 대  상: 노숙인(자활시설 입소자 중 근로능력과 자활의지가 있는 자)


1-22

 노인일자리 지원사업

  ❍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창출․제공함으로써 소득증대 및 사회참여 기회 제공
  ❍ 기초노령연금 수급 노인에 대한 거리환경개선 등 노인일자리 제공
  ❍ 대  상: 지역 내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권자


1-23

 녹색일자리 창출

  ❍ 산림휴양시설 이용서비스 제공, 생활권주변 숲가꾸기, 산림 재해예방 등을 위한 일자리 창출과 산림분야 직업인 양성
  ❍ 산불예방진화대, 산림병해충예찰단, 산림재해모니터링, 숲해설가, 숲길체험지도사 등


1-24

 농가도우미 지원

  ❍ 출산(예정) 여성농업인의 영농대행 농가도우미 이용으로 농가소득 안정을 도모하고 지역사회 고용창출에 기여
  ❍ 대상/내용: 농촌지역 거주 출산(예정) 여성농업인/1일 5만원, 최대 90일 지원


1-25

 농어촌체험마을 사무장 채용지원

  ❍ 마을단위 농어촌체험관광사업의 활성화와 마을대표의 업무부담 경감 및 인력부족문제 보완
  ❍ 체험프로그램 개발‧운영 등 마을사무담당 사무장 인건비 및 경기농어촌체험휴양마을 사무장 인건비 지원

1-26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

  ❍ 집합교육에 참석하기 어려운 결혼이민자 가정을 지도사가 방문하여 한글교육, 부모 또는 자녀 교육 등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입국 5년 이하 결혼이민자, 중도입국자녀의 한국어교육 및 자녀생활 지원


1-27

 다문화가족자녀 언어발달 지원

  ❍ 다문화가족 자녀가 연령별 수준에 맞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언어발달 진단 및 교육서비스 제공
  ❍ 연령, 상황별 진단도구를 사용하여 아동의 언어발달정도 진단 및 맞춤형 교육 실시


1-28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 찾아가는 생활체육 지도 서비스로 도민 건강 증진 및 청년층 일자리 창출
  ❍ 대  상: 도민 일반(취약층 우선 지원)


1-29

 도립체육시설 운영

  ❍ 종합사격장, 유도, 검도회관 등 도립체육시설의 체계적인 관리 운영 등 지원


1-30

 따복공동체 지원센터 운영

  ❍ 따복공동체 지원센터를 통해 따복공동체 활동가․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일자리 창출


1-31

 떳다방 근절 경기 시니어감시원

  ❍ 현직에서 은퇴한 어르신들의 지식과 경험을 활용, 직무교육을 통해 양성된 「떳다방 근절 경기 시니어감시원」의 일자리 제공
  ❍ 떳다방 업체로부터 피해예방 소비자 행동요령과 신고요령,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식품, 의약품의 올바른 구입방법, 피해발생시 구제방법 등 집중교육 및 상담실시
  ❍ 활동장소 : 도농복합도시 등에 소재한 노인정과 마을회관 등


1-32

 문화관광해설사 운영

  ❍ 관광객들의 이해와 감상, 체험기회 제공을 위해 역사․문화․예술․자연 등 관광자원 전반에 대한 전문적인 해설사 양성 및 배치 활용


1-33

 문화재 돌봄

  ❍ 문화재 상시관리를 통한 내구성 증대 및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 문화재 상시모니터링(방재설비, 문화재점검) 및 경미한 보수정비,
     문화재 주변 환경정비 및 재해예방 실시
  ❍ 대  상: 532개소


1-34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 발달장애인을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업무를 지원하는 일자리에 배치하여 직무능력 습득 및 일자리 경험을 제공하는 일자리
  ❍ 대 상: 만 18세 이상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지적 및 자폐성장애인
  ❍ 주요직무 : 식사 도와드리기, 실·내외 보행 및 이동 도와드리기 등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업무지원


1-35

 비산업부문 사업장온실가스 진단컨설팅

  ❍ 마을과 학교의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저탄소생활 실천을 전파하는 그린컨설턴트 양성으로 지속적인 지역일자리 제공


1-36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 만 50세 이상 퇴직 전문인력이 사회적기업 및 비영리단체 등에서 지식과 경력을 사회공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
  ❍ 대 상: 베이비부머~노인층(51세~65세)


1-37

 산촌마을 따복리더 운영

  ❍ 지속가능하고 따뜻한 산촌마을 공동체 회복을 위한 마을대표 따복리더 운영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산촌마을 활성화 기여
  ❍ 산촌마을을 중심으로 따복리더 운영 및 주민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1-38

 생명사랑 프로젝트 전담인력 배치

  ❍ 자살 고위험군 위기대응관리 및 교육ㆍ상담 등 자살예방 중점업무 담당을 위한 전담인력 배치를 통하여 자살문제 선제적 대응
  ❍ 생명사랑 프로젝트 전담인력 인건비 지원
  ❍ 대  상: 정신보건전문요원,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인력

1-39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 안마사 자격을 지닌 미취업 시각장애인이 노인복지관, 경로당 등을 이용하는 어르신들에게 양질의 안마서비스 제공
  ❍ 일정 시설 여건을 갖춘 노인복지관 및 경로당,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을 1일 1~2개소 순회방문(안마사 2인, 1개조)


1-40

 시군 아동보호전문기관 운영

  ❍ 시군아동보호전문기관 운영지원을 통해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도민의식 제고, 아동의 건전육성 및 권리증진을 도모


1-41

 시군 학교밖 청소년프로그램운영지원

  ❍ 학교 밖 청소년에게 개인 집단상담 등을 제공하여 정상적으로 사회에 복귀하여 성공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


1-42

 시군 청소년통합체계운영지원

  ❍ 종합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긴급보호 및 정상적 생활 복귀지원을 통한 청소년 보호기능 강화
  ❍ 위기청소년통합지원서비스 전문상담원 및 학교폭력 원스톱지원 상담원 배치


1-43

 시니어 일자리창출

  ❍ 시니어들의 재능과 경력을 활용하고 수익성 및 일자리창출 효과가 높은 시장형 일자리창출을 통해 안정된 노후생활 지원


1-44

 쓰리고 프로젝트

  ❍ 맞춤형 급여 신청 탈락자에 대한 사각지대 발생 최소화
  ❍ 초등학교 안전지킴이로 학교폭력 예방 및 안전 등․하교 지원


1-45

 아동보호치료시설 운영

  ❍ 요보호 아동에게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보호치료시설 운영을 통해 요보호 아동의 건전한 양육 및 보호수준 제고


1-46

 아동복지교사 지원

  ❍ 지역아동센터에 전문분야별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센터간 사업지원의 편차를 줄이고, 양질의 아동복지서비스 제공
  ❍ 지역아동센터에 분야별 전문교사 파견


1-47

 아동시설 운영

  ❍ 요보호 아동에게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양육시설 운영을 통해 요보호 아동의 건전한 양육 및 보호수준 제고


1-48

 아동일시보호소 운영

  ❍ 요보호 아동 일시보호 및 연고자 확인, 양육대책 수립, 양육시설의 원할한 수행 지원


1-49

 요보호아동 그룹홈형태 보호

  ❍ 요보호 아동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환경을 제공하여 아동의 건전 육성을 도모
 

1-50

 요양보호사관리

  ❍ 요양보호사 양성 및 자격증 발급 등의 업무추진으로 요양보호사 전문인력 양성 및 노인보호 서비스수준 제고


1-51

 일하는 청년통장 운영

  ❍ 취업난 등 7포세대의 취약계층 근로청년(18~34세)을 대상으로 취업과 근로의지를 고취시키고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로 청년실업 문제해결에 선제적 대응


1-52

 임진강 평화문화권 지역개발사업 추진

  ❍ 낙후된 경기북부 균형발전을 위해 임진강과 한탄강 수계의 역사, 문화, 관광자원을 개발하여 지역발전 및 관광활성화 도모


1-53

 입양기관 운영

  ❍ 요보호 아동이 건전가정에 입양되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입양기관에 대한 인건비, 운영비 지원

1-54

 자활기업 신규 설립

  ❍ 자활근로사업단이 자활기업으로 전환 후 수급자 에게는 6개월(최대2년) 인건비 지원, 비수급 참여자에게는 초기 6개월간 한시적 인건비 지급
    ※ 재  원 : 수급자(자활근로사업 인건비), 비수급자(자활근로사업단 수익금)


1-55

 자활상품 유통 활성화

  ❍ 취약계층 생산품 유통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서로좋은가게’ 본사를 수원 정자동에 두고 전국 지역자활센터가 운영하는 가맹점과 취급점을 두어 자활기업, 노인, 장애인,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제품 판매
  ❍ 전략상품 선정을 통한 디자인 개선 등 취약계층생산품(자활사업) 경쟁력 강화 지원


1-56

 장애인 복지일자리

  ❍ 취업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에게 장애유형별 다양한 일자리를 개발․보급하여 직업생활 및 사회참여 경험 제공
  ❍ 관공서 청소도우미, 도서관 사서보조, 장애인주차단속보조요원, 우편분류 등


1-57

 장애인 복지일자리 직무지도원 파견

  ❍ 장애인복지일자리사업 참여 발달장애인의 안정적인 직업생활 유지를 위한 직무지도원의 체계적 관리
  ❍ 발달장애인 10~12명당 1명, 장애인복지관 등 장애인복지일자리 수행기관에 배치


1-58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운영

  ❍ 장애인 생활체육 현장지도와 생활체육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운영으로 일자리 창출 및 찾아가는 장애인 서비스 제공


1-59

 장애인 일반형일자리

  ❍ 미취업 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일정기간 소득을 보장하고, 일반 노동시장으로의 전이를 위한 실질적 직무능력 습득
  ❍ 행정기관, 민간위탁기관(자립생활센터, 장애인일자리사업수행기관 등)에서 행정 업무지원 및 사회복지 직접서비스 지원

1-60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확충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설치운영으로 취업을 통한 장애인의 자활자립 도모
     ▸ 작업활동, 보호작업, 근로작업, 직업훈련 등


1-61

 지역공동체 일자리

  ❍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공공부문의 일자리 제공으로 생계안정 도모
     지역특화자원 등을 활용한 생산적인 사업 추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 4유형 8대사업 : 지역자원활용사업, 지역기업연계사업, 서민생활지원사업,
                      지역공간개선사업 등 생산적일자리 참여


1-62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 지역특성 및 수요에 적합한 사업 아이템을 발굴, 수요자 욕구에 맞는 서비스 제공
  ❍ 아동․노인․장애인 등의 인지․인성․정서발달 지원, 사회적응 상담지도 등 바우처를 통한 수요자 중심 서비스 제공


1-63

 지역아동센터 돌봄도우미 지원

  ❍ 학습기회가 적은 저소득층 아동에게 학습 및 생활지도 실시
  ❍ 경제적 빈곤에 따른 저소득층 아동의 학습기회를 보충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에 대학생 등 도내 우수자원을 활용, 학습멘토를 실시


1-64

 지역아동센터 지원단 운영

  ❍ 지역아동센터 운영지원, 평가, 컨설팅 등 각종 종사자 교육 등을 총괄하는 기관의 인건비와 운영비를 지원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의 선진화 및 지역사회 아동보호 강화


1-65

 지역아동센터 특기적성 교육강사 지원

  ❍ 지역아동센터에 전문분야 특기적성 교육강사를 파견하여 질 높은 지역사회 아동복지서비스 제공
  ❍ 예체능 특기적성 교육강사 파견


1-66

 지역아동센터 운영

  ❍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등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


1-67

 지자체 공공근로사업

  ❍ 저소득․실업자 등 취약계층에게 공공일자리 제공을 통한 생계안정과 사회통합을 도모


1-68, 70

 청소년동반자 채용 및 활동 지원, 동반자프로그램 운영지원

  ❍ 위기(가능) 청소년과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지원하는 청소년동반자가 지역사회 연계망을 활용하여 청소년에게 맞춤형 서비스제공
  ❍ 위기청소년 동반자 활동비 및 운영비 등


1-69

 청소년쉼터 야간근무자 배치

  ❍ 가출 청소년의 가정 및 사회 복귀 서비스 지원을 위해 청소년 쉼터의 야간 근무자 배치


1-71

 축산위생사업 추진

  ❍ 가축방역, 축산물검사, 동물보호 등 축산위생사업 추진


1-72

 취약계층 자활근로

  ❍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에게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여 일을 통한 자활․자립 지원
  ❍ 자활근로사업 참여자들의 인건비 및 사업비 지원


1-73

 치매종합지원서비스체계 구축

  ❍ 소외된 경증치매환자 대상 다양한 주간활동 및 가족지원 프로그램 병행제공
  ❍ 보건소 등 공공시설 활용, 자원봉사 등 지역자원 활용 운영


1-74

 평생학습 마을공동체 지원

  ❍ 학습마을 조성과 운영을 통하여 마을중심의 공동체 형성 및 학습코디, 주민강사 배치
  ❍ 대  상: 학습마을 내 학습코디 및 주민강사를 희망하는 도민


1-75

 학대피해아동쉼터 운영

  ❍ 가정형태의 환경과 여건을 필요로 하는 학대피해아동에게 공동생활 가정형태의 주거환경을 제공하여 피해아동의 안정적인 성장환경 조성 및 권리증진 도모
  ❍ 학대피해아동쉼터 인건비 및 운영비 지원
2) 직업능력개발훈련
(단위 : 명, 백만원)
세부사업명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18개 사업
4,212
33,427
15,782
12,478
5,155
0
12
1. IT전문교육 운영
110
235

235


2. 결혼이민자 맞춤형 취업지원
18
43

15
28


3. 결혼이민자 취업교육지원
100
202

49
153


4.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
234
1,920

1,920


5. 경력단절여성 디딤돌 취업지원
400
1,000

300
700


6. 고학력(고숙련)심화과정 취업지원
500
1,000

300
700


7. 군인가족 맞춤형 취업교육
24
40

40


8. 기술학교 직업훈련
552
2,912

2,912


9. 문화융합형 청년창작소
150
1,500

1,500


10. 북한이탈주민 맞춤형 취업교육
42
200

200


11. 빅데이터전문인력 양성
114
600

600


12. 섬유산업연계 봉제인력 양성
12
28

28


13. 아이돌봄 지원
306
22,271
15,589
3,341
3,341


14. 전문직업훈련 및 취업과정
66
257

257


15. 지식재산 전문인력 양성 및 취업지원
61
270
135
135


16.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796
500

500


17. 창업후계농업인 교육
27
116
58
46


12
18. 평생학습마을공동체                코디네이터, 리더 등 지원
700
333

100
233


 

 □ 주요사업 추진내용


2-1

 여성IT전문교육 운영

  ❍ IT·CT 분야로의 취․창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위한 전문교육 운영으로 여성기술 인력양성
  ❍ 매년 여성IT전문교육 9개 취업 과정 운영


2-2, 3

 결혼이민자 맞춤형 취업지원, 취업교육지원

  ❍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적합한 직종에 대한 체계적인 취업교육(3~6개월)을 실시하여 일자리와 연계해 줌으로써 생활안정과 자립정착 지원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직업교육기관 등 위탁운영


2-4

 경기산업기술 교육센터 운영지원

  ❍ 첨단기술인력 양성 및 공급으로 기업 인력난 및 실업난 해소
  ❍ 내  용: 두원공과대학 파주캠퍼스위탁, 디스플레이 시스템운용 등 5개 과정 260명 운영


2-5

 경력단절여성 디딤돌 취업지원

  ❍ 경력단절여성들의 입직(취․창업) 지원을 위해 직업경험을 제공하는 형태의
     고용서비스를 보완하고, 최소한의 경력 및 숙련기회 제공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제고
  ❍ 디딤돌 즉‘훈련형 사업공동체’를 육성하여 이를 기반으로 실습 및 심화학습을 통한 새롭고 효율적인 고용서비스 제공


2-6

 고학력/고숙련 심화과정 취업지원

  ❍ 고학력/고숙련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직업훈련 동일과정의 심화교육을 확대 실시하여, 사장될 수 있는 고학력(고숙련) 여성인력의 안정적 경제활동 지원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에서 심화과정 운영


2-7

 군인가족 맞춤형 취업 교육 지원

  ❍ 군부대가 많은 북부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격오지 근무로 취업교육의 기회가 적은 군인 가족들의 취․창업 역량 강화
  ❍ 군인 배우자 대상 찾아가는 맞춤형 자격증 취득과정 운영
  ❍ 대  상: 3군사령부 소속 군인가족


2-8

 기술학교 직업훈련

  ❍ 취업희망자, 청년실업자를 대상으로 기술교육을 통한 취업 및 자립기반 확대,
     기업체 및 경제단체 등과 산학협력 강화로 기업체 재직자의 직무능력 향상과 평생교육
  ❍ 취업훈련교육/재직자 직무능력향상교육/주민평생기능교육
  ❍ 대  상: 만15세 이상 경기도민


2-9

 문화융합형 청년 창작소 조성

  ❍ 경기청년들이 꿈과 열정을 펼칠 수 있는 창의 공간 제공 및 문화예술 창작을 지역문화 재생과 청년 사회적 일자리 창출로 연계
  ❍ 공간조성, 청년문화기획자 양성, 문화 일자리(예술인협동조합, 사회적기업)사업화 지원

2-10

 북한이탈주민 맞춤형 취업교육

  ❍ 북한이탈주민 맞춤형 취업교육 및 수료자에 대한 밀착 취업연계를 통해 취업률 제고 도모
  ❍ 대  상: 북한이탈주민 70명
  ❍ 내  용: 3개 과정(경리사무실무자, 조리사, 돌봄서비스전문인력)


2-11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 일자리와 연계한 빅데이터 전문교육으로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
  ❍ 대  상: 대학(원)생, 취·창업 희망자, 중소기업 재직자 등
  ❍ 내  용: 특급인력 양성(빅데이터 아카데미), 실무전문가 양성


2-12

 섬유산업 연계 봉제인력 양성

  ❍ 경기북부 특화산업인 섬유산업 봉제인력을 양성하여 기업체 구인난 해소 및 여성일자리 창출
  ❍ 기업체 실무위주의 패션봉제 교육 및 취업연계
  ❍ 대  상: 북부지역 봉제업체 취업 희망여성


2-13

 아이돌봄 지원

  ❍ 일하는 가정에 수요자 중심의 아이돌봄 서비스를 제공, 가사․육아부담으로 인한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 아이돌보미 양성, 시간제 및 영아종일제 돌봄 서비스 연계


2-14

 전문직업훈련 및 취업과정

  ❍ 경기북부 경력단절 여성 및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의 유망직종 기술습득으로 경제참여 활동기회 확대
  ❍ 컴퓨터 실무, 전문기술, 강사양성 등 맞춤형 교육 21개 과정
  ❍ 대  상: 북부 거주 여성


2-15

 지식재산 전문인력 양성 및 취업지원

  ❍ IP전문기관 및 기업에서 요구하는 현장 실무형 전문지식을 갖춘 지식재산 전문인력 양성
  ❍ 기업 대상 현장실무 경험 취득을 위한 인턴십 운영과 구인을 희망하는 전문기관 취업 연계
  ❍ 대  상: 경기도민으로서 미취업자 및 교육이수 희망자


2-16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 지역 산업계와 지자체가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구성하고 공동교육 훈련기관을 선정하여 산업 수요에 맞는 직업훈련 실시(향상과정, 양성과정)
  ❍ 대  상: 공동훈련센터 9개기관 교육훈련생모집 및 교육실시 등


2-17

 창업후계농업인 교육

  ❍ 경영과 영농기술 교육은 물론 국외연수를 통해 농산물 생산과 유통 및 시장변화에 능동적·전략적 대응이 가능한 미래지향적인 창업 후계농 육성으로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 대  상: ‘16년 (우수)후계농 신규 선정자


2-18

 평생학습마을 공동체 코디네이터, 리더 등 지원

  ❍ 평생학습의 체계적인 운영지원 역할과 평생학습마을 공동체 만들기에 기여하는 코디네이터, 마을리더, 주민강사 양성 교육을 실시하여 지역일자리 창출에 기여
  ❍ 대  상: 평생교육에 관심(봉사)를 희망하는 도민

 3) 고용서비스
  □ 기본방향
   ○ 원스톱 취업지원 서비스체제 구축과 취업현장에 적합한 취업설계로 성공적인 사회진출 도모
   ○ 청년, 중장년 여성 및 4050 등 계층별·유형별 맞춤형 취업지원 및 미스매치 해소
     - 협업형 취업성공패키지 확대 실시
   ○ 현장중심·찾아가는 일자리 행정서비스 정착
     - 경기일자리센터(도 및 시군센터), 취업박람회 및 찾아가는 일자리버스를 통한 취업알선
  □ 목표설정
(단위 : 명, 백만원)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16개 사업
45,682
24,977
14,856
7,305
2,379
437
0
1. 4050재취업 지원
420
400

400


 
2. 경기일자리센터상담실 운영
7,200
252

252


 
3. 경기청년뉴딜사업
2,100
1,000

1,000


 
4. 대학창조일자리센터사업
500
1,500
750
188
125
437
 
5. 여성새로일하기센터고용서비스
14,300
11,385
8,222
1,889
1,274

 
6.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250
30

30


 
7. 온라인커리어코칭서비스 운영
1,620
1,700
500
1,200


 
8. 장애인택시운전원 양성
30
100

100


 
9. 제대군인취업지원사업
102
170

170


10. 중, 장년 여성취업 지원
4,000
800

240
560

 
11. 중소기업맞춤형채용 지원
110
80

80


 
12.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
1,200
6,460
5,384
1,076


 
13. 찾아가는 일자리버스 운영
3,200
300

300


 
14. 채용박람회개최
150
200

200


 
15. 협업형 취업성공패키지 추진
10,000
0



 
16. 희망디자인
500
600

180
420

 

□ 주요사업 추진내용


3-1

 4050 재취업 지원

  ❍ 40대 조기퇴직 및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본격화에 따라 맞춤형 취업교육과 일자리 지원
  ❍ 취업특강(3,200명), 취업지원 프로그램(700명), 취업지원 등 사후관리

3-2

 경기일자리센터 상담실 운영

  ❍ 중앙․도․시군․유관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종합서비스, 구인․구직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one-stop 서비스
  ❍ 구인․구직 상담, 취업 알선, 현장 동행면접 


3-3

 경기청년뉴딜사업

  ❍ 청년층 특성에 맞는 개인별 맞춤형 종합 취업지원을 통한 청년 고용촉진 및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에 기여
    ▸ 대    학 : 취업캠프(2박3일)→취업컨설팅, 잡매칭 및 사후관리
    ▸ 특성화고 : 취업캠프(1박2일)→취업컨설팅, 잡매칭 및 사후관리
  ❍ 대  상: 35세 미만 청년 구직자


3-4

 대학창조일자리센터

  ❍ 고용노동부, 대학, 지자체,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이 협력하여 원스톱 고용서비스
  ❍ 종합적인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맞춤형 조기취업 지원


3-5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고용서비스

  ❍ 임신·출산·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에게 취업상담, 직업교육훈련, 인턴 및 취업 후 사후관리 등 종합적인 취업지원 서비스를 one?Stop제공


3-6

 여성 취업박람회 “일뜰날”

  ❍ 일회성 행사가 아닌 정기적 취업박람회 개최로 중도포기가 많은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지속적 취업기회 마련
  ❍ 여성 구인기업체 발굴 및 여성구직자 다수 기업체 현장면접 기회 제공
  ❍ 성격유형검사 등을 통한 직업적성 탐색 및 직업설계


3-7

 온라인커리어코칭 서비스 운영

  ❍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온라인교육 및 맞춤형 취․창업 코칭을 통해 여성의 사회진출 지원
  ❍ 대  상: 20~50대 경력단절여성 ※ 청년층 미취업 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대학연계 확대
  ❍ 취업가능성진단, 경력개발계획 수립, 교육 수강, 경력 및 이력 관리, 커리어상담을 온라인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제공 등


3-8

 장애인택시운전원 양성

  ❍ 택시운전면허 취득과 택시회사에 취업지원을 통한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시장형 장애인 일자리창출
  ❍ 장애인채용 택시회사 발굴 및 지속 모니터링을 통한 고용유지 지원

3-9

 제대군인 취업지원

  ❍ 고용시장에서 열악한 중장기 복무 전역군인에 대한 맞춤형 취업지원
  ❍ 대 상: 5년이상 군복무 후 전역(예정) 구직자 170명


3-10

 중․장년 여성 취업지원

  ❍ 중장년 여성 대상 취업알선 중심 일자리사업 추진으로 생계형 취약계층 여성 일자리 지원
  ❍ 지역의 생계형 일자리가 필요한 여성들에게 기초교육 수료 후, 신속한 취업․알선으로 연계
  ❍ 도내 15개 여성인력개발기관 활용


3-11

 중소기업 맞춤형 취업지원

  ❍ 중소기업의 구인․구직 미스매치 해소 지원, 기업컨설팅으로 기업의 근로조건 개선
  ❍ 채용지원, 구인관련 기업컨설팅


3-12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

  ❍ 지역특성에 맞는 인력개발, 연구 포럼 등을 실시하여 지역 고용문제 해결을 위한 고용노동부 공모(국비지원) 사업
  ❍ 내  용: 특화, 연구, 포럼사업 등 공모


3-13

 찾아가는 일자리버스 운영

  ❍‘찾아가는 일자리버스’를 통한 취약계층 취업지원
  ❍ 구인·구직 상담, 취업알선, 상설면접, 사후관리 등


3-14

 채용박람회 개최 지원

  ❍ 중소기업 인력 채용지원으로 구인구직 미스매치 완화
  ❍ 구인기업 및 구직자 만남의 장 마련(현장면접 및 채용지원, 취업컨설팅, 일자리정보 제공)


3-15

 협업형 취업성공패키기 추진

  ❍ 고용부의「취업성공패키지」사업에 지자체가 민간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적극적 사업 발굴과 국비 확보
  ❍ 대  상: 청년층(만18~34세) 및 장년층(만35~64세, 최저생계비 250% 이하)
  ❍ 진로설정, 직업훈련, 취업알선 등 맞춤형 종합취업지원


3-16

 희망디자인

  ❍ 지역내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 일자리, 교육의 원스톱 서비스 지원
  ❍ 지역자원 연계를 통한 지역내 자활사업 참여자 및 저소득층 취업지원
4) 고용장려금
  □ 목표설정
(단위 : 명, 백만원)

세부사업명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1개 사업
534
10,136
7,603
0
2,533
0
0 
1. 사회적기업 취약계층 인건비 지원
534
10,136
7,603

2,533
 
 


 □ 추진내용

  ❍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예비)사회적기업에 대한 신규 인건비 지원을 통한 자생력 확보 도모
  ❍ 사회적기업의 신규 고용 인원(취약계층 50%이상 의무)에 대해 최저 임금 인건비와 사회보험료 지원
5) 창업지원
  □ 기본방향
   ○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 경제기업 창업지원
   ○ SW융합 클러스터 조성 및 G-창업프로젝트 등 기술형 및 문화콘텐츠 창업 촉진
   ○ 소상공인 자생력 강화를 위해 창업․자금에서 경영․기술 중심 지원으로 전환
  □ 목표설정
(단위 : 명, 백만원)

세부사업명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20개 사업
6,136
35,927
5,694
17,126
7,843
164
5,100
1. SW융합 클러스터 조성
41
3,000
2,000
1,000


2. 개방공유형 여성창업플랫폼 운영
80
295
115
180


3. 경기도 굿모닝 론
520
2,000

2,000


4. 경기문화창조허브(판교)운영
500
2,900
200
1,500
1,200


5. 곤충자원의 블루오션 산업육성
23
1,313
484
418
372
39

6. 광교경기문화창조허브 운영
250
1,600
800
800


7. 떡 전문판매장개설
5
150

75

75

8.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확대
72
4,700

1,078
2,282

1,340
9. 마을기업 발굴 및 육성지원
30
1,440
720

720


10. 베이비부머, 청년 등 사회적경제 창업지원
25
363

363


11.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운영
125
2,900

2,000
900

 
12. 소규모농산물 가공산업 육성
26
2,900
1,325
75
1,450
50
 
13. 여성창업보육센터 운영
45
136
50
86


 
14. 여성창업지원
18
7

7


 
15. 창업보육센터운영지원
2,990
1,313

394
919

 
16. 창업프로젝트추진
249
2,200

2,200


 
17. 청년창농귀농인 인큐베이터농장 운영
22
500

500


 
18. 청년해외역직구 창업지원
10
300

300


 
19. 콘텐츠전용펀드 조성운영
175
7,760

4,000


3,760 
20. 협동조합 설립 및 육성지원
930
150

150


 

 
 □ 주요사업 추진내용

5-1

 SW융합 클러스터 조성

  ❍ 판교테크노밸리가 국가적 클러스터 수준의 브랜드 효과 제고를 갖도록 국가정책과의 연계
  ❍ 창업기업 발굴부터 성장까지 전주기 지원을 통한 창업 생태계 선순환 추진
  ❍ 기술혁신형 기업 육성과 신시장 창출 사업을 발굴해서 공동 R&BD 및 지식서비스(SW, 콘텐츠 등) 사업화 위한 異種 산업간 융․복합 추진


5-2

 개방공유형 여성창업 플랫폼 운영

  ❍ 혁신적 아이디어를 가진 누구나 함께 모여 정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플랫폼형 창업지원 서비스 활성화
  ❍ 창업교육, 컨설팅, 네트워크교류, 사업화지원 서비스 등


5-3

 경기도 굿모닝 론

  ❍ 제도권 금융기관 이용이 어려운 저소득, 저신용 금융소외계층을 집중지원하여 성공적인 자활, 자립 및 가계안정 유도


5-4

 경기문화창조허브(판교) 운영

  ❍ 콘텐츠창업의 全단계 집중지원을 통한 창업생존률 향상 및 사업화 지원
  ❍ 도내 클러스터 확대 및 수도권 문화콘텐츠 창업 선순환 생태계 구축


5-5

 곤충자원의 블루오션 산업 육성

  ❍ 지역곤충자원산업화지원센터 건립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천적, 식․의약․사료분야 등 중점 육성과 곤충산업을 농업의 신 블루오션 산업으로 육성, 신규 일자리 창출
  ❍ 지역곤충자원산업화지원센터 건립, 곤충산업 기반조성사업 등
  ❍ 대  상: 농업기술원 및 곤충산업 종사 농업인

5-6

 광교경기문화창조허브 운영

  ❍ 문화와 기술이 융복합된 콘텐츠산업 육성을 통한 창조경제 견인
  ❍ 문화기술(CT) 中 VR/AR 기반 융복합 콘텐츠 창업 및 일자리 창출
  ❍ 문화기술분야 교육 및 스타트업 입주공간 운영, 사업화 지원 등


5-7

 떡 전문 판매장 개설

  ❍ 경기도 떡브랜드인 “모닝메이트”를 대한민국 대표 떡 브랜드로 프랜차이즈화하여 떡 산업의 新 모델 창출
  ❍ 경기도 떡 브랜드 모닝메이트의 모델이 될 수 있는 안테나샵 운영에 대한 인테리어 및 시설, 마케팅 비용 등 지원


5-8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 확대

  ❍ 농협 등 생산자단체를 주축으로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 등을 통해 농민과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소비운동 정착
  ❍ 로컬푸드 직매장 설치를 지원하고 이를 운영하는 일자리 제공


5-9

 마을기업 발굴 및 육성지원

  ❍ 마을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지역주민에 소득 및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발전에 기여
  ❍ 지원단체 : 법인(주식회사, 비영리법인, 협동조합 등)
  ❍ 대상사업(예시)
    ▸ 지역자원 활용 (농촌체험, 전통시장 활성화, 공원관리, 학교급식 등)
    ▸ 친환경 녹색에너지 (자원재활용, 자전거 이용 활성화 등)


5-10

 베이비부머․청년 등 사회적경제 창업지원

  ❍ 베이비부머, 청년 등 사회적경제 창업지원을 통해 성공적인 창업기회 제공
  ❍ 컨설팅 기사단(분야별 전문가 등) 구성 및 권역별 교육 등 창업지원


5-11

 북부경기문화창조허브 운영

  ❍ 전통제조업 중심인 경기북부지역 산업고도화 및 콘텐츠창업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입주공간, 청년창업지원, 초기기업 협업지원 등


5-12

 소규모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

  ❍ 농가단위 가공 R&D 지원으로 신제품 시장 확대
    ▸ 새로운 가공제품 생산으로 농식품업체 경쟁력 강화(버섯두부, 카레떡, 술, 과자 등)
  ❍ 국내원료를 기반으로 한 농업인의 농산물 가공사업 지원으로 지역농산물 부가가치 증진 및 지역 일자리 창출과 연계


5-13

 여성창업보육센터 운영

  ❍ 창업보육센터 운영을 통해 안정적 시장진입 및 일자리창출 확대를 위한 여성기업의 성장 도모
  ❍ 입주업체 선발, 창업교육 등 사업화 지원


5-14

 여성창업 지원

  ❍ 유망 여성 예비 창업자 발굴 및 육성을 통한 창업 지원
  ❍ 컨설팅 및 판로개척, 창업실 입주 지원
  ❍ 대  상: 북부여성비전센터창업실 입주업체 및 경기북부지역 예비창업여성


5-15

 창업보육센터 지원

  ❍ 인적, 물적, 기능적 인프라가 풍부한 대학 및 연구소 內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창업 초기기업 창업활성화
  ❍ 입주기업의 공통사업비 보조(실험기자재 등 재료비, 컨설팅, 회계, 법률 등 경영지원, 국내외 인증비용 등)
  ❍ 대  상: 40개 창업보육센터


5-16

 창업프로젝트 추진

  ❍ 청년층 및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원스톱(One-stop) 창업프로그램 지원(‘09년부터)
  ❍ 시제품제작비, 기술․경영컨설팅, 창업보육센터 입주비용, 특허등록비용, 각종 전시회 참가비 등 지원


5-17

 청년창농귀농인 인큐베이터 농장 운영

  ❍ 도시 청년들이 농촌에서 안정적인 창농, 귀농할 수 있도록 조기정착 유도 및 지역사회와 협업을 통한 공동체 형성을 위한 신규일자리 창출
  ❍ 멘토링 및 선도농가 실습프로그램 운영 등

5-18

 청년해외역직구 창업지원

  ❍ 해외역직구 창업성공을 위해 교육, 멘토링, 컨설팅, 홍보 및 온라인 쇼핑몰사 입접지원을 통한 창업 성공 유도


5-19

 콘텐츠전용펀드 조성운영

  ❍ 콘텐츠분야 창업초기기업 투자 활성화 및 성장 지원
  ❍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한 선순환 투자생태계 조성 및 스타트업 생존율 제고


5-20

 협동조합 설립 및 경영지원

  ❍ 창의적 아이디어만 있으면 손쉽게 소규모 협동조합을 창업할 수 있는 단계별 지원체계 마련
  ❍ 협동조합 창업상담 및 창업아카데미 운영, 협동조합 성장단계별 맞춤형 전문컨설팅, 판로·홍보 등 경영지원
  ❍ 대  상: 협동조합 창업자 등

 6) 일자리 인프라 구축
  □ 기본방향
   ○ 안정된 일자리 창출기반 조성을 위해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 추진
     - 노사민정 협업과제 및 비정규직 고용개선 추진
   ○ 고용복지+센터 확산 및 경기도형 모델 개발 보급
   ○ 일자리우수기업 선정 및 인센티브 지원
   ○ 중소기업의 수출 및 판매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
  □ 목표설정
(단위 : 명, 백만원)

세부사업명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12개 사업
-
69,956
4,711
43,861
13,530
0
7,854
1. 10 to 4 일자리만들기
 
330

330


2. 경기벤처센터허브조성
 
7,500

7,500


3. 노사민정협업과제발굴추진 및 협력기반 구축
 
460
80
380


4. 비정규직 고용개선(생활임금지급포함)
 
1,900

1,900


5. 산림소득 증대산업
 
11,557
4,371
1,284
1,284

4,618
6.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
 
20,482

5,000
12,246

3,236
7. 수출활성화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육성
 
11,447
260
11,187


8. 예비창업 프로그램 운영지원
 
650

650


9. 일자리우수기업 인증 및 고용환경개선
 
30

30


10. 정부사업 참여전략 컨설팅
 
500

500


11. 중소기업 국내외 판로지원확대

3,100

3,100


12. 경기도 일자리재단 설립

12,000

12,000


 
 □ 주요사업 추진내용

6-1

 10 to 4 일자리만들기

  ❍ 장시간 근로문화 개선 및 일․가정 양립 가능한 여성일자리 창출 지원
  ❍ 다양한 활성화 사업을 통해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6-2

 경기벤처센터허브 조성

  ❍ 지역별 수요를 반영, 다수의 벤처센터를 조성함으로써 벤처산업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

6-3

 노사민정 협업과제 발굴추진 및 협력기반 구축


  ❍ 통상임금 판결, 근로시간단축, 정년연장 등 노동현안과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를 위해 노사민정의 공동 노력 필요
  ❍ 노사민정협의회 운영을 통한 노동현안 논의 및 협업과제 발굴
  ❍ 통상임금 등 노동현안에 대한 노사민정 공동실천 협약 추진
  ❍ 노사민정 협력활성화 사업 추진을 통한 협력 기반 구축


6-4

 비정규직 고용개선 (생활임금지급 포함)

  ❍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고용안정 및 임금개선 추진
    ▸ 상시·지속업무 정규직 전환 및 복지포인트 지급 등 처우개선

    ▸ 도 비정규직 근로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임금 지급
  ❍ 민간부문 비정규직의 차별개선

    ▸ 상시·지속업무 정규직 전환 및 복지포인트 지급 등 처우개선


6-5

 산림소득 증대사업

  ❍ 임산물의 대량 생산을 위한 현대화, 규모화를 통해 대외경쟁력 강화
  ❍ 전문 임업인의 산림경영에 맞는 시설장비 구입비 지원으로 소득증대
  ❍ 임산물의 생산․가공․유통시설의 지원을 통해 임업인 소득 향상


6-6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 지원

  ❍ 중소기업의 열악한 기반시설 및 근로환경 개선으로 기업하기 좋은 경기도 조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
   - 기반시설(2억원 이내) : 진입로, 상하수도, 가로‧보안등, 안내표지판 등
   - 작업환경(15백만원 이내) : 작업바닥 도장, 작업대, 적재대 설치․개보수 등
   - 지식산업센터(10백만원 이내) : 주차장, 화장실 등


6-7

 수출활성화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육성

  ❍ 중소기업의 수출시장 다변화, 수출저변 확대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 사업분야 : 16개 분야(해외 판로개척 8, 수출인프라 8)
  ❍ 해외시장 개척 및 신규 바이어 발굴 지원, 인프라 조성 등


6-8

 예비창업 프로그램 운영지원

  ❍ 아이디어 발굴 및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교류․협업 중심 개방형 창업 플랫폼 운영을 통한 창업자의 아이디어 사업화 및 창업지원
  ❍ 창업․협업 공간 무료제공 및 창업교육, 멘토링, 네트워킹 등 창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 지원
   

6-9

 일자리우수기업 인증 및 고용환경개선

  ❍ 근로자의 고용안정 및 일자리창출에 기여한 기업을 선정, 고용환경 개선사업 지원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추가적인 일자리 창출 유도
  ❍ 근로자를 배려한 작업환경 개선 및 근로자 복지시설 투자사업을 지원함으로써 추가적인 일자리 창출 유도


6-10

 정부사업 참여전략 컨설팅

  ❍ 기술력이 뛰어난 우수기업 선정 후 전문 컨설턴트 연결 지원(정부과제 참여지원)
  ❍ 사업목표 : 정부지원 과제 46개 선정, 국비 141억원 수주
  ❍ 사업주관 : 경기 테크노파크


6-11

 중소기업 국내․외 판로확대

  ❍ 중소기업 종합 전시·상담회 개최로 국내·외 바이어 만남을 통한 판로개척 지원 등 해외마케팅 기회 제공
  ❍ 대한민국 우수상품 전시회(국내 G-FAIR) 개최
  ❍ 경기우수상품 해외전시회(해외 G-FAIR) 개최


6-12

 경기도 일자리재단 설립

  ❍ 도내 공공고용서비스를 한 곳에 모은 일자리 총괄 거버넌스 구축
  ❍ 취업난 해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

 7) 기타사업
  □ 기본방향

   ○(산업) 중소기업 및 뿌리산업 육성 지원, 첨단산업 중심의 투자유치

   ○(문화) 게임, 출판, 만화·애니, 영상, 스마트콘텐츠 등 문화콘텐츠 육성

   ○(국토·환경) 미군 반환공여구역 활용 및 접경지역 개발로 북부지역 경쟁력 확보

   ○(농정·해양·복지) 미래형 농축산관광단지 및 해외환자유치 등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
 
  □ 목표설정

세부사업명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72개 사업
76,395
5,026,535
724,566
685,539
257,869
87,915
3,270,646
산업(31)
53,227
3,497,178
38,098
491,197
5,378
5,904
2,956,601
1. 3D프린팅 기술지원
22
1,760
350
1,410


2. G-NEXT(게임산업육성) 추진
67
4,000
2,000
2,000


3. STAR기업육성 프로젝트
37
2,280

1,200
1,080


4. 가구산업 클러스터 구축
14
1,050

750
240

60
5.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지원
138
10,981

4,510
667
5,804

6. 경기콘텐츠코리아랩 운영
56
2,500
1,200
480
720
100

7. 고부가첨단산업중심의 외국인투자유치
8,130
434

434


8. 공연장 상주단체 지원
30
1,822
911
911


9. 과학기술인력 양성
251
19,923
18,316
280
250

1,077
10. 기술닥터
125
4,285

2,500
1,785


11. 기업기술개발사업
256
7,050

7,050


12. 나노기술 성과확산
64
3,920
2,830
970


120
13. 나노산업육성지원
7
550

550


14. 다양성영화산업육성
5
250

250


15. 바이오산업육성 지원
48
3,700

3,700


16. 뷰티산업육성 지원
4
700

700


17. 뿌리산업육성 지원
14
1,496

1,000
496


18. 산업혁신클러스터협의회 지원
1
100

100


19.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42
3,360
1,620
900


840
20. 섬유강소기업육성
34
3,200

3,200


21. 스타트업캠퍼스운영 지원
27
2,000

2,000


22. 스포츠산업 판로지원 육성
10
400

400


23. 시화반월산단 산학융합지구 성과활용 지원
13
1,000

200
100

700
24. 의료기기산업육성지원
4
300

300


25. 전시산업 및 MICE산업 육성
61
230

230


26. 중소기업신용보증 지원
24,130
1,900,000



1,900,000
27.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
19,050
1,500,000

450,000


1,050,000
28. 지능형로봇 국제공동연구개발
19
1,500

1,500


29. 지식재산권육성지원
36
2,919
1,199
1,720


30. 지역혁신핵심기술 R&D 지원
175
13,848
9,472
532
40

3,804
31. 해양레저산업육성
357
1,620
200
1,420


복지(5)
3,213
4,642
1,729
2,173
740


32.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
20
494
247
247


33. 보육인성교육활성화
10
250

250


34. 아이사랑육아사랑방운영
10
240

240


35. 의료서비스해외마케팅강화
2,989
695

695


36. 취약보육국공립어린이집 확충
184
2,963
1,482
741
740


문화(17)
3,404
153,358
24,842
82,305
46,211


37. 경기도미술품거래소 운영
4
200

200


38. 경기도문화의전당 운영
562
25,210

25,210


39. 경기만에코뮤지엄조성
21
950

950


40. 경기문화재단북부사무소 운영
33
1,530

1,530


41. 경기문화재단 운영
742
33,309

33,309


42. 경기콘텐츠진흥원 운영
188
8,445

7,145
1,300


43. 공공캠핑장 조성
147
10,600
1,500
4,300
4,800


44. 공립박물관 건립
297
19,220
1,720

17,500


45. 관광자원개발
115
8,300
4,150

4,150


46. 광명기형도문학관건립
40
2,725
1,000

1,725


47. 국가지정문화재보수정비
658
20,094
13,972
3,061
3,061


48. 남한산성 문화재 보존관리
19
600

600


49. 도 무형문화재 전승지원
92
1,100

1,100


50. 도지정문화재보수정비
307
9,350

4,900
4,450


51. 문예회관 건립
124
8,000
1,000

7,000


52. 문화예술인기념시설 조성
42
2,725
1,000

1,725


53. 작은영화관 건립지원
13
1,000
500

500


농림(6)
2,131
136,980
46,475
6,491
20,648
63,366

54. 농촌종합정비사업
277
18,643
13,050

5,593


55. 대구획경지정리사업
67
5,329
4,263

1,066


56. 생애주기별 맞춤형 산림복지시스템구축
847
50,705
5,292
1,491
4,922
39,000

57. 선택형 맞춤농정
168
13,333

2,000
4,667
6,666

58. 에코팜랜드 조성
597
35,100
10,000
3,000
4,400
17,700

59. 침수지 배수개선사업
175
13,870
13,870



국토환경(13)
14,420
1,234,377
613,422
103,373
184,892
18,645
314,045
60. DMZ 안보생태관광활성화
298
21,582
10,075
6,857
4,650


61. 가평환경성질환 예방관리센터 건립운영
42
600
300
150
150


62. 광역철도 지역업체 참여확대(별내선)
875
129,482
70,000
15,000
15,000

29,482
63. 광역철도 지역업체 참여확대(하남선)
1,605
237,467
108,014
26,978
26,978

75,497
64. 남양주일패사용종료매립지테마파크조성
5
400

120
280


65. 미군반환공여지 및 주변지역체계적인개발
2,354
170,616
92,805

77,811


66.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추진
2,346
170,000
35,400
8,948
8,947

116,705
67. 광역철도 지역업체 참여확대(수인선)
3,499
253,547
146,700
13,636
6,660

86,551
68. 진접선(4호선 연장) 복선전철사업
2,029
147,000
103,000
19,095
19,095

5,810
69. 철도중심 환승센터 건립공사 추진
230
16,735
4,982
6,177
5,576


70. 특수상황지역개발사업
526
35,935
27,858

8,077


71. 폐기물처리시설 확충
556
46,413
11,988
4,112
11,668
18,645

72. 환경신산업육성(업사이클 플라자 구축)
55
4,600
2,300
2,300



 □ 주요사업 추진내용

7-1

 3D프린팅 기술지원

  ❍ 고부가가치 유망 서비스산업 육성 및 혁신적 신서비스 지원을 통한 미래 서비스산업 경쟁력 제고
  ❍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3D프린터를 활용하기 위한 기업수요에 대응


7-2

 G-NEXT(게임산업육성) 추진

  ❍ 글로벌 경쟁력 있는 게임스타트업 기업 육성
  ❍ 차세대 게임인재양성,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및 게임 다양성 제작 지원


7-3

 STAR 기업육성 프로젝트

  ❍ 기술력이 뛰어나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기도형 대표기업으로 육성(‘11년부터)
  ❍ 연구개발 및 사업화 지원 등 각종 지원 사업 연계 및 전문가 멘토링을 통한 현장지원 병행


7-4

 가구산업 클러스터 구축

  ❍ 가구 중소기업의 핵심기술 및 디자인, 마케팅역량 확보로 가구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신기술 개발 및 디자인 지원사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
  ❍ 가구산업 플랫폼 구축, 마케팅교육, 가구유통업체 밀집지역 환경개선지원 등


7-5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지원

  ❍ 대학․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 산학 협력모델 기반구축과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력 확보 지원
  ❍ 지역 산업체의 산업화 또는 상품화 실현을 위한 응용기술 개발
  ❍ 대  상: 가톨릭대 등 13개 센터


7-6

 경기콘텐츠 코리아랩 운영

  ❍ 아이디어 융합 및 비즈니스사업화 프로그램 운영 등 문화콘텐츠 분야 창작 활성화
  ❍ 공간지원, 아이디어융합프로그램, 비즈니스사업화프로그램, 창작장비지원 등


7-7

 고부가 첨단산업 중심의 외국인 투자유치

  ❍ 국내기업과의 상생 및 지역별 타겟기업 선정을 통한 글로벌 첨단기업 투자유치로 산업경쟁력 확보 및 일자리 창출
  ❍ 국내기업과 상생 가능한 첨단 부품소재산업(반도체, 자동차, LCD등) 중점유치
  ❍ 대규모 고용창출이 가능한 서비스분야 중점유치


7-8

 공연장 상주단체 지원

  ❍ 공연예술단체의 안정적 제작환경 조성과 공공 공연장 가동율 제고
  ❍ 공연예술단체 창작역량 강화와 우수 작품제작 발표 촉진 등


7-9

 과학기술 인력양성

  ❍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지역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을 육성하여 지역산업 성장 견인
  ❍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 공학교육혁신센터사업 등


7-10

 기술닥터 사업

  ❍ 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긴급하고 복잡한 기술적 문제를 찾아가서 도와주는 맞춤형 1:1 서비스 제공으로 기업 경쟁력 제고
  ❍ 70개 기관 참여 : 현장·중기애로기술지원, 성과활용지원, 시험/설계/3D목업지원
  ❍ 대  상 : 중소·중견 제조기업


7-11

 기업 기술개발 사업

  ❍ 중소기업 현장 중심의 기술개발 지원으로 기술경쟁력 강화 및 매출향상, 신규고용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
  ❍ 지역산업 육성을 위해 도자체 R&D 지원


7-12

 나노기술 성과확산

  ❍ 나노기술원의 전문인력, 인프라 등을 활용하여 기업지원 및 인력양성, 창업보육시설 운영을 통해 나노산업 성과증대와 일자리창출에 기여
  ❍ 나노공동연구 플랫폼 운영(23개 기업), 특성화고 대상 전문인력 양성 및 1인 창업지원, 사업화 지원 등


7-13

 나노산업 육성지원

  ❍ Iot시대 도래에 따른 센서산업 고도화와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기술 접목을 통한 신성장 촉진
  ❍ 나노바이오산업이 차세대 신성장동력 산업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어 나노기술을 활용한 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


7-14

 다양성영화산업 육성

  ❍ 대기업 상업영화에 밀려 상영율이 감소하고 있는 다양성영화의 상영기회 확보로 영화산업 육성
  ❍ 다양성영화관 운영, 대안 배급체계 형성, 다양한 홍보 및 행사 등


7-15

 바이오산업 육성 지원

  ❍ 바이오센터의 인력, 장비 인프라를 활용하여 도내 바이오 기업에 대한 분석 지원, 천연물 소재 발굴, 메르스 치료물질 개발 등으로 바이오산업 육성
  ❍ 전문분석시험, 유효성평가, 천연물자원 바이오소재 발굴, 바이오상용기술 고도화 추진 등


7-16

 뷰티산업 육성 지원

  ❍ 뷰티산업의 체계적 지원으로 지속적이고 질 좋은 청년 일자리 창출
  ❍ 뷰티산업 육성 전략 수립 추진 등


7-17

 뿌리산업 육성 지원

  ❍ 첨단기술 보급 및 노후시설 개선을 통한 뿌리산업 성장 지원
  ❍ 6개 단위사업, 도내 뿌리산업 기업 100여개 지원
     ※ 6대 뿌리산업 : 금형, 주조, 열처리, 표면처리, 소성가공, 용접


7-18

 산업혁신 클러스터협의회 지원

  ❍ 산업별 특성에 맞는 기술혁신기반 구축 및 산업간 융․복합 촉진
  ❍ 협의회 운영 활성화를 통한 산․학․연․관 협력 네트워크 강화로 기술혁신 기반구축


7-19

 산학연협력기술개발

  ❍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인력 및 장비를 활용하여 기술기반이 취약한 도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능력 제고
  ❍ 기업이 필요한 기술의 공동개발 지원


7-20

 섬유강소기업육성

  ❍ 고부가가치 기술개발사업 및 국내․외 마케팅 지원을 통한 섬유강소기업육성으로 섬유산업 활성화 도모
  ❍ 니트소재 및 고부가가치 섬유소재 개발 등 R&D 기술개발 및 국내외 마케팅 지원


7-21

 스타트업 캠퍼스 운영지원

  ❍ 스타트업 전주기 지원하는 오픈 플랫폼 구축 운영 추진
  ❍ 면적 : 54,075㎡(지하 2층, 지상 8층), 위치 :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7-22

 스포츠산업 판로지원 육성

  ❍ 스포츠산업 인력양성을 통한 일자리창출 및 청년 창업활성화
  ❍ 스포츠레저산업 체험․박람회 개최 및 참가 지원, 창업오디션 개최 및 창업공간제공 등


7-23

 시화반월산단 산학융합지구 성과활용지원

  ❍ 산업단지와 대학의 공간적 통합과 현장중심의 산학융합형 교육시스템 도입을 통해 산업현장에서 R&D-인력양성-고용의 선순환 체계 구축
  ❍ 산단 중소기업과 대학간 공동 R&D, 근로자 평생학습, 현장맞춤형 교육 등 산학융합 촉진사업 지원

7-24

 의료기기산업육성 지원

  ❍ 의료기기산업의 R&D 전주기 효율적인 지원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 및 산업육성에 따른 고용창출 촉진
  ❍ 시제품 및 인증 지원, 선도형 의료기기 제품발굴 지원 등


7-25

 전시산업 및 MICE 산업 육성

  ❍ MICE 유치․개최 지원, 공격적 마케팅 활동, 기반구축으로 도의 MICE 인지도 포지셔닝 및 직간접 MICE 경제파급효과 제고
  ❍ MICE 유치개최 지원, MICE 마케팅 활동 강화
  ❍ MICE 육성을 위한 기반구축, 한국 MICE 산업전 개최 등


7-26

 중소기업 신용보증 지원

  ❍ 담보력은 부족하나 성장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신용보증으로 성공창업 지원 등 일자리 창출
  ❍ 보증목표 : 51,000업체 / 1조 9,000억원
  ❍ 대  상: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7-27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

  ❍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자금지원을 통해 경영안정, 시설투자․신기술․벤처창업 등 지원으로 중소기업육성 및 산업기반 강화
  ❍ 자금용도 : 운전자금, 창업자금, 연구개발비, 공장신증축비, 기계설비 등
  ❍ 대  상: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7-28

 지능형로봇 국제공동연구개발

  ❍ 지능형로봇 국제공동연구사업을 통한 국내 원천기술 확보 및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지원 육성
  ❍ 도내 대학과 해외대학간 컨소시엄 구성 추진
  ❍ 전담기관 : 경기과학기술진흥원


7-29

 지식재산권 육성 지원

  ❍ 지식재산권 창출 촉진, 활용증대 및 사업화 지원, 지식재산권 종합지원체제 구축을 통한 one-stop서비스 제공
  ❍ 중소기업의 지식재산권 창출 및 권리화 지원

7-30

 지역혁신 핵심기술 R&D 지원

  ❍ 산업별 특화분야 R&D 인프라 및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으로 지역산업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지역혁신센터(RIC) 지원, 광응용기기 핵심부품 제품화 지원 등


7-31

 해양레저산업 육성

  ❍ 미래신성장동력 산업인 해양레저산업 육성을 통해 신규 일자리 창출
  ❍ 경기국제보트쇼 개최, 해양엔진정비인력 양성, 해양레저교육프로그램 운영


7-32

 경기북부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

  ❍ 어린이집 및 부모육아지원으로 일자리 제공
  ❍ 지역사회 내 육아지원을 위한 거점기관으로 어린이집 지원관리 등


7-33

 보육인성교육활성화

  ❍ 영유아의 바른 인성함양을 위한 경기도영유아인성예절교육원 운영을 통한 일자리 제공
  ❍ 인성교육 확산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발굴 및 운영


7-34

 아이사랑 육아사랑방 운영

  ❍ 영유아․부모를 위한 쉼터 및 소통의 공간인 아이사랑육아사랑방 운영을 통한일자리 제공
  ❍ 놀이실, 영유아․부모 교육프로그램, 장난감도서관 운영 등


7-35

의료서비스 해외 마케팅 강화

  ❍ 기존 ‘국제의료사업(해외환자유치)’과 연계한 일자리창출(의료, 병원수출 등)
  ❍ 대형병원 설립지원, 융합형 헬스케어사업 등에 따른 의료인력 일자리 창출
  ❍ G2G기반의 의료인 초청 연수, 국가별 병원진출 투자설명회, 허가청 관계자 설명회 등


7-36

 취약보육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 저소득층 밀집지역 등 보육취약계층을 위한 국공립 어린이집 신축 및 리모델링 지원
  ❍ 신축-개소당 503백만원, 리모델링-개소당 50백만원
 

7-37

 경기도미술품 거래소 운영

  ❍ 미술품의 유통구조 다원화와 거래장터 조성 등 실질적인 시장개척 지원
  ❍ 신진 청년작가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 마련 및 홍보지원


7-38

 경기도문화의전당 운영

  ❍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문화예술공간 운영으로 공연예술 활성화
  ❍ 경기문화나눔31, 전당기획공연, 예술단 공연사업 등


7-39

 경기만에코뮤지엄 조성

  ❍ 경기만 안산, 화성, 시흥권역에 예술과 생태, 역사자원을 활용한 에코뮤지엄 조성을 통한 도시재생 및 관광활성화
  ❍ 경기만 일원, 에코 뮤지엄 투어 콘텐츠 구축 및 시범투어


7-40

 경기문화재단 북부사무소 운영

  ❍ 경기문화재단 북부사무소 운영을 통한 경기북부 문화예술 활성화
  ❍ 문화예술 활성화 공모사업 등 추진


7-41

 경기문화재단 운영

  ❍ 경기문화재단 운영을 통한 문화예술 활성화
  ❍ 문화재단 경영본부, 문화예술본부의 각종 사업 및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시설 전시, 교육, 소장품 관리 등


7-42

 경기콘텐츠진흥원 운영

  ❍ 창업활성화와 창의인재 양성, 창조기업 성장지원, 글로벌 시장진출 확대, 콘텐츠 융합 클러스터 활성화, 영상산업 활성화 추진
  ❍ 동반성장 제작지원, 인디스땅스, 굿게임쇼코리아, 수출지원센터 운영, 이스포츠개최 및 참가, 로케이션지원활성화, G씨네인센티브 지원 등


7-43

 공공캠핑장 조성

  ❍ 체류형 관광 인프라 구축 및 건전한 캠핑문화 확산
  ❍ 공공캠핑장 조성 7개소 등 친환경 캠핑장 조성

7-44

 공립박물관 건립

  ❍ 지역문화의 균형발전 도모 및 국민의 문화복지 환경 조성
  ❍ 안산 산업역사박물관, 안성 박두진문학관


7-45

 관광자원개발

  ❍ 지역중심의 차별화된 관광지 및 문화관광자원 개발
  ❍ 역사, 문화, 레저스포츠 자원개발을 위한 기반시설 조성 등


7-46

 광명기형도문학관 건립

  ❍ 기형도 시인의 문학관 건립을 통해 시민의 문화향유 기회확대 및 지역문화발전도모
  ❍ 광명시 대표 시인 기형도문학관 건립을 통한 문화인프라 구축


7-47

 국가지정문화재보수정비

  ❍ 도내 주요 문화유적 복원․정비를 통한 원형보존  및 가치 제고
  ❍ 북한산성 성곽보수 등 20개 시․군 66개사업


7-48

 남한산성문화재보존관리

  ❍ 남한산성 문화재 상시 긴급보수 및 유지관리를 통한 문화재 가치 제고
  ❍ 남한산성 행궁 도배공사 등


7-49

 도 무형문화재 전승지원

  ❍ 무형문화재 전승지원 확대를 통한 무형문화재 전승 및 보전
  ❍ 무형문화재 보유자 전승활동 지원


7-50

 도 지정문화재 보수정비

  ❍ 도지정문화재 적기 보수정비를 통한 원형보존과 문화유산의 계승
  ❍ 도지정 문화재의 적기 보수정비, 주변정비 등 관람환경 개선


7-51

 문예회관 건립

  ❍ 지역문화의 균형발전 도모 및 국민의 문화복지 환경 조성

7-52

 문화예술인 기념시설 조성

  ❍ 지역문화의 균형발전 도모 및 국민의 문화복지 환경 조성


7-53

 작은영화관 건립지원

  ❍ 영화관람을 여가활동 중 가장 선호 하고 있으나, 인구가 적은 지역은 기대수익률이 낮아 대형 영화관 건립이 어려움
  ❍ 극장 부재 시․군 중심으로 작은영화관 건립 지원


7-54

 농촌종합정비사업

  ❍ 농촌마을의 경관개선, 생활환경 정비 및 주민 소득기반 확충
    ▸ 기초생활 : 다목적회관, 연결도로, 마을안길, 주차장, 마을상․하수도 등
    ▸ 소득증대 : 농촌체험시설, 야영장, 특산물 공통판매장, 공동 집하장 등
    ▸ 지역경관 : 마을안길가꾸기, 마을숲 조성, 생태공원, 가로경관정비 등
    ▸ 역량강화 : 지역주민 교육훈련, 마을리더양성, 컨설팅 등


7-55

 대구획 경지정리사업

  ❍ 영농편의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지구획이 작거나 농로 용․배수로 등이 취약한 지역을 영농기계화에 알맞도록 정비
   - 농지규모 확대, 용․배수로 정비에 필요한 현장 근로자 인건비 지원
   - 건설기기, 자재 등 지역업체 동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7-56

 생애주기별 맞춤형 산림복지시스템 구축

  ❍ 산림복지시설 확충: 태교숲, 목재문화체험장, 치유숲, 자연휴양림 등
  ❍ 산림서비스일자리 창출: 숲해설가, 숲길체험·산림치유 지도사 등
 

7-57

 선택형 맞춤농정

  ❍ FTA 등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응하는 지역별 특화품목 육성으로 농업경쟁력 강화 및 농가소득 증대
  ❍ 대상: 시·군, 작목반, 농협, 영농조합법인 등 생산자단체
 

7-58

 에코팜랜드 조성

  ❍ 말(馬)산업, 종자산업, 관광농업 등 지속가능한 신성장산업 육성
  ❍ 화성시 마도․서신면 일원 화옹간척지 4공구
  ❍ 사업기간 : 2008년 ~ 2018년


7-59

 침수지 배수개선사업

  ❍ 배수시설이 노후되거나 부족하여 홍수 시 침수피해가 되풀이 되는 지역에 배수장, 배수로를 정비하여 농작물 침수피해 예방
   - 배수장 설치, 배수로 정비에 필요한 현장 근로자 인건비 지원
   - 건설기기, 자재 등 지역업체 동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7-60

 DMZ 안보·생태 관광 활성화

  ❍ 한반도 평화생태벨트 조성사업(’13~’16 / 김포~파주~연천 일원)
    ▸ 애기봉 평화생태공원(김포), 수리에코타운(파주), 고랑포구 고호팔경풍류촌(연천)

  ❍ 임진각․평화누리 관광지 확대 조성(’12~’23/파주시 문산읍 일원)
    ▸ 확대지정 및 개발(95,410㎡→472,943㎡), 관광지 기반시설 정비,  생태학습시설 확충

  ❍ 캠프 그리브스 반환공여지 활용사업(’12~’24 / 파주시 군내면 일원)
    ▸ 역사공원 조성(안보체험·생태예술·휴양시설), 군 대체시설 조성(훈련장 및 탄약고)
 

7-61

 가평환경성질환 예방관리센터 건립 운영

  ❍ 환경성질환(아토피)의 전문․통합적 치유, 예방관리를 위한 권역별 시설 건립
  ❍ 검사실, 교육장, 아로마체험, 산림․풍욕장, 체류시설 등


7-62, 63

 광역철도 지역업체 참여 확대 (별내선, 하남선)

  ❍ 道에서 직접 시행하는 복선전철 건설공사에 도내 업체 참여 확대
    ▸ 도내 업체 참여비율 상향 및 의무화 : 40% → 49%
  ❍ 수도권 서남부지역 개발촉진 및 지역주민의 교통편의 제공과 경인, 경호축 화물분담 및 대중국 교역에 따른 화물수요 처리를 위한 철도망 구축


7-64

 남양주 일패 사용종료 매립지 테마파크 조성

  ❍ 사용종료 매립지의 친환경적 활용을 통한 지속적인 일자리 제공
  ❍ 다목적구장, 피크닉장, 농구장, 쉼터 등 도시공원화


7-65

 미군 반환공여지 및 주변지역 체계적 개발

  ❍ 지역 특성을 반영한 반환공여지 체계적인 개발을 통한 지역일자리 제공
  ❍ 반환공여지 개발사업
   ▸ 경기북부교육청 건립사업(캠프 에세이욘)
   ▸ 을지대학교 의정부캠퍼스 및 부속병원(캠프 에세이욘)
   ▸ 동양대학교 동두천캠퍼스 건립사업(캠프 캐슬)
  ❍ 공여지 주변지역 도로사업 등
   ▸ 사업대상 : 의정부시 등 13개 시·군 / 43개 사업
 

7-66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추진

  ❍ 수도권 통근자 262만명의 1시간 이상 “출ㆍ퇴근 지옥” 해소
  ❍ 3개 노선 170.4km
    ▸ (A노선) 일 산~삼 성 36.4km, 삼 성~동 탄 39.5km
    ▸ (B노선) 송 도~청량리 48.7km
    ▸ (C노선) 의정부~금 정 45.8km


7-67,68

 광역철도 지엽업체 참여 확대 및 복선 전철사업

  ❍ 북부지역 철도인프라 확충을 통하여 만성적인 교통정체 완화 및 지역균형개발 촉진
  ❍ 서울 4호선 당고개역~남양주 진접 / 14.786㎞(정거장 3개소)
  ❍ 수인선(수원~인천) 개통 등


7-69

 철도중심 환승센터 건립공사 추진

  ❍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철도역중심의 복합 환승체계 구축
     ※ 환승시간·환승거리 50%이상 대폭 축소
  ❍ 수원역, 오산역, 지제역 환승센터 등


7-70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

  ❍ 남북분단으로 소외된 접경지역의 생활기반시설 확충 및 지역소득증대사업
    ▸ 기초생활기반확충 : 도로, 상하수도, 주택, 통신 인프라 구축
    ▸ 지역소득증대 : 유통·가공시설, 농촌체험시설, 생태학습장 등 체험관광시설 등
    ▸ 지역경관개선 : 지붕·담장정비, 경관수목 식재, 마을 보호수 정비 등
    ▸ 지역역량강화 : 주민교육·훈련, 홍보 및 브랜드 제고, 기본계획수립비 등 S/W사업

7-71

 폐기물처리시설 확충

  ❍ 시설 확충을 통한 생활폐기물의 안정적 처리와 생활폐기물의 에너지화를 통한 자원 순환체계 구축
  ❍ 폐기물처리시설 인프라 확충(5개소 1,050톤)


7-72

 환경 新산업 육성 (업사이클프라자 구축)

  ❍ 자원순환 플랫폼 기반마련, 재사용 및 업사이클 문화조성으로 일자리 창출

  ❍ 주요시설 : 작업장, 디자인공방, 소재은행, 판매·전시·교육시설 등

2

민간부문


 가. 부문별 사업계획
7) 기업유치 등
  □ 기본방향
   ○ 도시 인근 첨단산단 확충으로 직주근접 유도 및 고급 일자리 창출
   ○ 자연보전권역 입지규제 및 개발제한구역 조정을 통한 투자환경 개선
   ○ 대학유치 및 물류단지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 목표설정

세부사업명
목표
사업비

국비
도비
시군비
민자
기타
5개 사업
4,766
 
 
 
 
 
 
1. 규제 합리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2,000
 
 
 
 
 
 
2. 대학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646
 
 
 
 
 
 
3. 물류단지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4. 자연보전권역 기업입지규제 합리화
620
 
 
 
 
 
 
5. 지역별 특성에 맞는 개발제한구역 조정
1,500
 
 
 
 
 
 
(단위 : 명, 백만원)


□ 주요사업 추진내용


8-1

 규제 합리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 읍‧면‧동까지 온‧오프라인 규제신고센터 설치
  ❍ 기업전수조사 및 관련 협회‧단체와 협력을 통해 개선과제 적극 발굴
  ❍ 현장방문, 현장성 있는 대책회의를 통해 개선방안 도출
  ❍ 핵심과제 중심으로 중앙부처 직접 방문 건의


8-2

 대학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 4년제 대학 수용률은 전국대비 최저수준(수정법에 의해 대학신설 금지)으로 고등교육여건 개선 및 지역발전을 위한 대학유치(이전) 추진
  ❍ 旣 유치 중인 8개 대학의 차질 없는 이전을 위한 맞춤형 행정지원체계 및 도-시‧군-대학교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TF팀) 구축


8-3

 물류단지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 물류단지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 투자자면담 및 투자유도, 인허가 내용변경, 인허가 기간단축 등
  ❍ 대  상: 기업체, 사업시행자 등


8-4

 자연보전권역 기업입지규제 합리화

  ❍ 수도권규제 도입이전 기존공장에 대한 입지규제 합리화
  ❍ 획일적인 입지‧면적에 대한 규제 합리화


8-5

 지역별 특성에 맞는 개발제한구역 조정

  ❍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을 친환경 복합단지로 개발하여 일자리 창출
   ▸ 광역도시계획상 해제가능 물량 범위 내에서 개발제한구역 해제 추진
   ▸ 해제목적 : 공공주택․사회복지․R&D․복합단지 및 산업․물류․유통단지 조성
  ❍ (지역현안사업) 시군에 배분된 해제가능총량 범위 내에서 개발수요에
                   맞춰 단계적으로 해제 추진
  ❍ (집단취락) 주택 20호 이상 취락은 주거환경 정비를 위한 해제 추진, 기 해제취락의 정비사업 시행을 위해 추가해제


3

부문별 대표사업


구분
대표 단위사업명
정부
부문
 1. 직접일자리창출
 ❶ 노인일자리 지원사업
 ❷ 노숙인 자활지원
 ❸ 따복공동체지원센터 운영
 2. 직업능력개발훈련
 ❹ 아이돌봄 지원
 ❺ 기술학교 직업훈련
 3. 고용서비스
 ❻ 경기청년뉴딜사업
 ❼ 온라인커리어 코칭 서비스 운영
 4. 고용장려금
 ❽ 사회적기업 취약계층 인건비 지원
 5. 창업지원
 ❾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확대
 ❿ 경기도 굿모닝론 운영
 6. 일자리 인프라구축
 ⓫ 경기벤처센터 허브 조성
 ⓬ 비정규직 고용개선
 7. 기타
산업
 ⓭ G-NEXT(게임산업 육성) 추진
 ⓮ 기술닥터
복지
 ⓯ 의료서비스 해외 마케팅 강화
문화
 ⓰ 공공캠핑장 조성
 ⓱ 경기도 미술품거래소 운영
농림·해양
 ⓲ 선택형 맞춤농정
 ⓳ 에코팜랜드 조성
국토·환경
 ⓴ 미군 반환공여지 및 주변지역 체계적 개발
  DMZ 안보생태관광활성화
  환경 新산업 육성
민간
부문
 8. 기업유치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개발제한구역 조정



 1. 직접일자리 창출
 
노인일자리 지원 사업  

 ◈ 고령사회에 따른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노인적합형 일자리 발굴
 ◈ 노인의 사회참여 기회 제공 3苦(질병, 빈곤, 고독) 해소로 편안한 노후 영위


□ 추진배경
 ○ 기대수명의 증가로 65세 이상 고령인구 급속히 증가
   - (13년)1,170천명 → (20년)1,631천명 → (30년)2,804천명 → (40년)3,781천명 * 통계청, 2014.12「장래인구추계」

 ○ 생산가능 인구(15~64세) 2017년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 추세
   - (‘00년) 33,701 →(’10) 35,983 → (‘17년) 37,018 → (‘20년) 36,931천명

 ○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정년 연장 등 노인인력 역할 증대 불가피 
   - (노인) 생산가능인구 역할 가능, 노인자살 예방, 외국인 근로자 대체 효과

□ 사업개요

 ○ 사 업 량 : 40,318명(본청 28,372, 북부청 11,946)
   - (‘14년) 34,873명 →(’15) 37,779명 → (‘16년) 40,318명 * 전년대비 6.7%(2,539명) 확대

 ○ 사 업 비 : 76,376백만원(국비 38,188, 도비 5,728, 시군비 32,460)
   - 본   청 : 53,560백만원(국비 26,780, 도비 4,017, 시군비 22,763)
   - 북부청 : 22,816백만원(국비 11,408, 도비 1,711, 시군비  9,697)

 ○ 수행기관 : 163개소(본청 120, 북부청 43)

 ○ 참여대상 : (공익활동)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 (취․창업, 인력파견) 만 60세 이상

□ 추진현황
 ○ ‘16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가 내시   : ’15. 11.  3
 ○ ‘16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설명회    : ’15. 12. 17
 ○ ‘16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확정 내시 : ’16.  1. 14

□ 향후계획
 ○ (수행기관) 사업계획 수립․승인 및 참여자 모집 및 선발 : ‘16. 1월
 ○ (시군․수행기관) 참여 노인 직무교육 및 사업 추진 : ‘16. 3~12월
 ○ (도․시군․수행기관) ‘15년 노인일자리사업 실적 평가 : ’16. 4~6월
 ○ (도․시군) ‘16년 노인일자리사업 지도․점검  : ’16. 6~10월
 ○ ‘16년 노인일자리사업 우수 시․군 평가 : ’16. 11월


□ 소요예산


국 비
도 비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76,376
38,188
5,728
32,46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6,804
6,804



(단위 : 명)


 ○ 산출기초
      - 40,318명 × 9/12(근무기간 월) × 9/40(주당 근로시간) = 6,804명


   
노숙인 자활지원

 ◈ 노숙인 자립 도모를 위한 자활근로 사업 참여 등 자활기회 부여


□ 추진배경
 ○ 근로능력이 있는 노숙인의 자활근로사업 참여를 통한 자립기반 조성
 ○ 자활사업 참여자의 체계적 임금관리를 통한 조기 사회복귀 도모

□ 사업개요

 ○ 대    상 : 노숙인 자활시설 입소자 중 근로능력 및 의지가 있는 자
 ○ 사 업 량 : 4개 시(수원, 성남, 안양, 의정부) / 7개 사업단
 ○ 주요내용 : 인터넷 헌책방 운영, 부품조립, 양곡 택배배송, 공병 및 폐자원 수거, 친환경 채소 재배·판매 등

□ 추진현황
 ○ 7개 사업단 72여명 참여, 적립금액 247백만원

□ 향후계획
 ○ 신용회복 교육 지원 및 금융관리 능력 향상 지원
 ○ 자활사업 참여자 취업·창업에 필요한 교육 훈련 등 적극 지원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1,200

360
84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100
100



(단위 : 명)


 ○ 산출기초 : 희망지역 자활센터 50명 + Restart사업단 50명 = 100명

따복공동체지원센터 운영

 ◈ 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실현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과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위해 『따복공동체지원센터』운영


□ 추진배경
 ○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의 통합지원과 전문가 중심의 민간지원 강화
 ○ 따복공동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들의 역량강화활동 지원을 통해 따복공동체의 자생력과 지속가능성 제고

□ 운영개요
 ○ 운영형태 : 민간위탁(수탁기관 : (사)마을과사회적경제)
 ○ 규    모 : 6실 12팀 49명
 ○ 주요기능 : 따복공동체 정책 및 우수사례 연구, 마을활동가 및 주민교육, 사회적경제 맞춤교육과 컨설팅, 민간 네트워크 구축 운영 등

□ 추진현황
 ○ 2015. 3.25. 지원센터 설치 기본계획 따복공동체위원회 승인
 ○ 2015. 4.24. 지원센터 민간 수탁기관 선정
 ○ 2015. 6. 3. 지원센터 개소

□ 향후계획
 ○ 2016. 2. 센터 사업 및 주요 공모사업 설명회 개최
 ○ 2016. 2.~12. 센터 주요사업(6개 분야 25개) 추진
 ○ 2016. 12. 사업 성과보고회 개최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5,270

5,27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49
49



(단위 : 명)

 ○ 산출기초 : 정원(49명)


 2. 직업능력개발훈련

아이돌봄 지원

◈ 부모의 야근, 출장 등 긴급·일시적 돌봄 수요가 있는 가정내 개별 돌봄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양육 친화적 환경 조성


□ 추진배경
 ○ 가정내 개별 돌봄서비스의 활성화로 취업부모의 양육부담 경감, 경력단절 여성의 고용증진, 취약계층 육아 역량 강화로 일·가정 양립 지원

□ 사업개요
 ○ 소관부처 : 여성가족부
 ○ 사 업 량 : 31개 시·군
 ○ 총사업비 : 22,271백만원(국 70%, 도 15%, 시군 15%)
 ○ 세부사업
   - 사업추진 계획 수립 및 시·군 사업관리 감독
   - 시·군에 예산 지원 및 사업량 조정
   - 아이돌보미 양성 교육기관 지정 및 관리
 ○ 사업내용
 【아이돌보미 양성】
   - 대    상 : 신체 건강하고 정신상태 양호한 활동 희망자
   - 방    법 : 서류심사 및 면접, 양성교육과정 및 현장실습 수료
   - 직    무 : 아동의 안전한 보호 및 돌봄 업무 수행
   - 급    여 : 시간제(6.5천원), 종일제(월 130만원)

 【돌봄서비스 제공】
   - 시간제 돌봄 : 생후 3개월∼만 12세 이하 아동대상 임시 보육, 보육시설 등․하원, 놀이활동 지원(연 480시간 이내)
   - 종일제 돌봄 : 생후 3개월∼24개월 이하 영아대상 이유식, 젖병소독, 기저귀 갈기 등 영아돌봄과 관련된 활동 지원
                   (월 120~200시간 이내)
   - 서비스제공기관 : 각 시·군 건강가정지원센터

□ 추진현황
 ○ `15년 아이돌보미 실적(돌보미 양성 : 222명, 활동돌보미 : 4,163명)
 ○ 주요현안 : 아이돌봄 이용수요의 꾸준한 증가로 아이돌보미 양성 지속 필요

□ 향후계획
 ○ `16년 아이돌보미 양성목표 달성으로 일자리 창출(306명)
   - 아이돌봄 수요에 탄력적 대응으로 돌보미 양성 추진
   - 아이돌봄 서비스 및 돌보미 모집 안내·홍보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22,271
15,589
3,341
3,341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306

306



(단위 : 명)


 ○ 산출기초

   - 306명(양성목표) × 1.0(전년도 평균 취업률 100%) = 306명

기술학교 직업훈련

◈ 도내 청년실업자와 (재)취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통한 기술인력양성으로 취업 알선 및 자립기반구축


□ 추진배경
 ○ 청․장년고용절벽 해소를 위한 기술인 양성 확대 추진
 ○ 국가기간전략산업 직종 중점운영 및 현장중심의 맞춤형 전문기능인력 양성
 ○ 국가기술자격증 1인 2개 이상 취득으로 취업률 제고

□ 사업개요

 ○ 교육대상 : 만15세 이상 경기도민
 ○ 교육기간 : 2016. 3. 2. ~ 2017. 2. 14.
 ○ 교육과정 : 취업과정(1년, 6월, 3월 과정)

구   분
교육과정
교육인원
비고
취업
교육
합  계
5개학과 20개 과정
600

 1년 과정
 • 컴퓨터응용기계 등 9개 과정
270
        
6개월 과정
 • 자동차정비 과정
 30

3개월 과정
 • MCT&CNC선반 등 7개 과정
210
야간과정
 • 특수용접 등 3개 과정
 90
주말과정


□ 추진실적
 ○ 최근3년간 취업현황
 
연도
교육생
취업
대상
취업형태
취업률
(%)
정규직
비정규직
미취업
2015년
616
587
473
31
83
86%
2014년
635
597
502
53
42
93%
2013년
628
592
514
54
24
96%

  ※ 2015년 취업현황은 미확정 자료임(2016. 3월 중 확정예정)
□ 향후계획

 ○ 2017년 학생 수요가 많은 2개학과 증원(특수용접과 60명, 자동차정비과 60명) 및 1개학과 신설(비파괴검사과 30명)

 ○ 매년 단계적 학생증원 목표로 2020년은 2배로 확대한 1,200명 양성

 《 연차별 교육인원 계획 》     

교육과정명
연차별 교육계획(명)
비고

2016
2017
2018
2019
2020
소 계
4,320
600
750
840
930
1,200

첨단기계학과
600
120
120
120
120
120

전기에너지학과 (‘18 감원)
450
120
120
90
60
60

컴퓨터시스템학과 (‘18 감원)
450
120
120
90
60
60

특수용접학과 (‘17 증원)
990
120
180
210
240
240
1→2개학과
자동차정비학과 (‘17 증원)
990
120
180
210
240
240
1→2개학과
비파괴검사학과 (‘17 신설)
300

30
60
90
120

정보 ‧ 통신 (‘18 변경 증원)
150


30
60
60

신재생에너지 (‘18 변경 증원)
150


30
60
60

요․보트정비학과 (‘20 신설)
120



120

금형학과 (‘20 신설)
120



120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2,912

2,912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552

552



(단위 : 명)



 【산출기초】


  ○ 직업능력개발훈련

    - 산출 기초자료 : 취업교육 대상자 600명, 최근3년 평균 취업률 91.6%

    - 산출(2015. 12월 기준) : 600명 × 0.86  =  일자리 수 : 516명

    - 산출(최근3년 평균 취업률) : 600명 × 0.92  =  일자리 수 : 552명


 3. 고용서비스

경기청년뉴딜사업

◈ 청년층(대학, 특성화고 등) 대상으로 개인별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구직자에게는 역량에 맞는 일자리 제공과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에 기여

□ 추진배경
 ○ 청년층 (대학, 특성화고 등) 특성에 맞는 개인별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
    그램 운영을 통한 고용촉진 및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3. ~ 2016. 12월
 ○ 사업대상 : 도내 대학 및 특성화고 등 취업을 희망하는 35세미만 청년층
 ○ 사 업 량 : 계획인원 3,000명, 취업 70%(2,100명) ※ ‘15년 1,760명
 ○ 사 업 비 : 1,000백만원 
 ○ 추진내용
   - 대  학(2,500명) : 취업캠프(2박3일) → 취업컨설팅, 잡매칭 및 사후관리
   - 특성화고(500명) : 취업캠프(1박2일) → 취업컨설팅, 잡매칭 및 사후관리
 
□ 추진현황
                                                      (단위 : 명,%)
 
구  분
계획인원
참여자
수료자(A)
취업자(B)
취업률
비고

1,760
1,822
1,775
1,121
63.2
15년사업
‘16년 6월까지
진행
대 학
1,420
1,465
1,428
889
62.3
특성화고
250
267
261
187
71.6
기업수요
90
90
86
45
52.3


□ 향후계획
 ○ 민간위탁사업 공모 및 선정 (‘16.1~2월)
 ○ 대학 및 특성화고별 취업캠프 운영 및 잡매칭, 사후관리 (‘16.3~12월)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1,000

1,00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2,100


2,100


(단위 : 명)


 ○ 산출기초 : 예상알선서비스 수혜자수 3,000 × 70%(예상 평균 취업률)
온라인커리어코칭서비스운영

 ◈ 온라인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 제공을 통한 여성의 인적자원 개발 및 사회진출 가능성 제고


□ 추진배경
 ○ 경력단절 여성 및 청년 미취업 여성들의 환경에 맞는 고용가능성 기반 맞춤형 온라인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여성 사회진출 지원

□ 사업개요
 ○ 서비스대상 : 만 15세 이상 여성
 ○ 사업내용 : 온라인을 통한 진단, 취업 코칭 및 취업전문 교육
    ※ 서비스목표 : 220,000명(교육 180,000명, 커리어코칭 15,000명, 진단 25,000명)
 ○ 사 업 비 : 1,700백만원(도비 1,200백만원, 국비 500백만원)
     ※ 여성가족부의 국비지원을 통해 전국 확대 운영

□ 추진현황
 ○ ‘15년 서비스 운영 실적
   - 취업성공 1,166명 경력개발코칭 10,796명, 고용가능성 진단 36,533명
   - 직무능력 강화를 위한 온라인교육 : 195,647명

 ○『정부 3.0 생애주기서비스 공모』최우수사업 선정(교부세 1.5억원, 행자부)

□ 향후계획
 ○ 취업자 온라인사후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사후관리서비스 추진
 ○ 대학연계 온라인학점과정 및 온-오프라인 통합 전문 직무과정 운영
 ○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직업기초능력 온라인콘텐츠 개발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1,700
500
1,20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1,620


1,620


(단위 : 명)


 ○ 산출기초 = 15,000명 × 10.8% = 1,620명


 4. 고용장려금

사회적기업 취약계층 인건비 지원

 ◈ 사회적기업의 수익구조 창출‧확대 지원을 통한 자생력 확보


□ 추진배경
 ○ 안정적인 자립기반 조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적기업 육성

□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인증사회적기업 및 예비사회적기업(지역형, 부처형)
 ○ 지원내용 : 최저임금 수준 인건비+4대보험료 사업주 부담분 일부
   - 지원기준 : 1인당 1,378천원/월, 기업당 1인 이상 50인 이하
   - 지원기간 : 1년(매년 재심사를 통해 1년씩 연장 가능)
      ※ 최대 지원기간 : 5년(인증사회적기업 3년,  예비사회적기업 2년)
   - 연차별 지원 비율
     ‧ 인증 : 60%(1년차), 50%(2년차), 30+20%(3년차)
     ‧ 예비 : 70%(1년차), 60%(2년차)
 ○ 심사기준 : 사업내용의 우수성, 사업주체의 견실성, 지속적 고용창출 가능성, 훈련계획의 충실성 등
 ○ 예 산 액 : 10,136백만원(지특 7,603, 시군비 2,533)

□ 추진현황
 ○ 제1차 공모 : 1 ~ 3월

□ 향후계획
 ○ 제2차 공모 : 6 ~ 8월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10,136
7,603

2,533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534
534



(단위 : 명)


 5. 창업지원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확대

◈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한 로컬푸드 직매장 설치를 직․간접 지원하고 이를 운영하는 일자리 제공


□ 추진배경
 ○ 최근 농산물 소비 유형 다변화로(소량구매, 안전성, 신선도, 가격 등) 로컬푸드의 사회적 관심 고조

 ○ 소비자 수요를 충족하는 로컬푸드 매장 운영 지속 확대

   - ’14년) 11개소 → ’15년) 17개소 → ’16년) 30개소 → ’18년) 50개소

□ 사업개요

 ○ 로컬푸드 직매장운영을 위한 직원 채용(건립지원)

   - 매장운영은 당일 생산한 농산물을 농가가 직접 소포장, 가격을 결정하고, 바코드를 붙여 매장에 진열 판매

   - 매장당 평균 6명 신규채용(정규직 3, 비정규직 3)

□ 추진현황

 ○ 로컬푸드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정(‘14.3. 5.)

 ○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해 농협과 업무협약 체결(’14.3.21.)

   - 도 : 행정지원 및 생산농가 안전성 사후관리
   - 농협 : 농산물 유통, 농가조직화 및 교육,품질관리

 ○ 경기도 로컬푸드 기본여건 마련(’15.2.24.)

   - 기본요건에 맞지 않는 직판장 5개소 로컬푸드 매장 현황에서 제외

 ○ ‘15년 17개 매장 운영(매장당 6~8명 고용)
   - 15년 매출실적 : 450억원(14년 223억원)

 ○ 로컬푸드 직매장은 건축비, 인건비 등 제비용 소요와 고객확보, 상권마찰, 원스톱 쇼핑 등이 어려워“SHOP in SHOP”로 운영 추진

   - ’14년 고양 일산․원당․벽제농협, 화성 직매장, 포천 파머스마켓, 이천 직매장 등 6개소 개장

   - ’15년 안산 반월․고양 일산(2호)․용인 포곡․파주 조리농협, 화성 동탄점, 안성맞춤매장 등 6개소 개장(신규 일자리 72명)

 ○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도지사 방침결재(8.26.)

□ 향후계획

 ○ 로컬푸드 활성화 계획에 따른 직매장, 레스토랑 설치 지원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4,700

1,078
2,282

1,34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72


72


(단위 : 명)


 ○ 산출기초
   ❺ 창업지원
     - 취업자 6명/1개 매장 × 12개 매장 = 72명



경기도 굿모닝론 운영

 ◈ 제도권 금융기관 이용이 어려운 저소득·저신용 금융소외계층을 집중 지원하여 성공적인 자활·자립 및 가계안정 유도


□ 추진배경
 ○ 고금리 대부업과 불법 사금융 피해에 노출되어 있는 금융소외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자활·자립 목적의 무담보 저금리 소액대출 제공

□ 사업개요

 ○ 지원규모 : 연 98억원(예정)
 ○ 지원대상 : 제도권 금융기관 이용이 어려운 저소득·저신용* 금융소외계층
*연소득이 최저생계비(1,668,329원)의 170%이하이면서 신용6등급이하 또는 사회적 약자
 ○ 지원내용 : 자활·자립 목적의 무담보 저금리 소액대출* 제공
*(창업자금) 3,000만원 이내, (경영자금) 2,000만원 이내
 ○ 지원조건 : 연1.86% 고정금리(예정), 상품에 따라 거치 및 상환기간 차등*
*(창업) 3개월 거치·4년9월 균분상환, (경영) 비거치·5년 균분상환

□ 추진현황
 ○ ‘16년 보증지원 규모 확대 추진 (연72억→연98억)
 ○ 경기도 굿모닝론 세부추진계획 수립 (‘16. 1.)

□ 향후계획
 ○ 경기도 굿모닝론 대출 접수 및 지원, 사후관리 (~ 12월)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2,000

2,00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520


520


(단위 : 명)


 ○ 산출기초
 : 창업지원대상자 수(520명)×전년평균 창업률(100%)×창업 후 연평균 고용인원(1명)


 6. 일자리 인프라 구축

경기 벤처센터 허브 조성

□ 추진배경
 ○ 지역별 수요를 반영, 다수의 벤처센터를 조성함으로써 벤처산업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

□ 사업개요

 ○ (기    간) 2016. 1 ~ 12월
 ○ (목    적) 벤처기업을 벤처센터에 입주시켜 저렴한 업무공간 제공과 전략적인 지원을 통해 강소기업으로 육성
 ○ (주관기관)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 (사업내용) 경기벤처센터 5개소 내외 조성(개소당 1,500백만원 내외)
    - (대    상) 경기남부 시․군 수요조사 및 입지여건 등을 통해 5개소 내외 선정
    - (임차조건) 임대 지역별 시중가의 70% 임대료 적용
    - (지    원) 벤처입주기업에 저렴한 업무공간 제공, 마케팅, 기술상용화 연계 지원(디자인 개발, 3D 프린팅), 시책안내 홍보 등
 ○ (사 업 비) 75억원

□ 추진현황
 ○ 기본계획 수립                         : ‘16. 2월

□ 향후계획

 ○ 위수탁협약 체결 및 세무추진계획 수립  :‘16. 2월
 ○ 임차대상건물 조사 및 임차계약         :‘16. 2~3월
 ○ 리모델링 및 입주기업 모집․선정         :‘16. 4~10월
 ○ 입주기업 입주 및 벤처센터 운영        :‘16. 11월~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7,500

7,500



(단위 : 백만원)

비정규직 고용개선 (생활임금지급포함)

◈ 공공부문 상시ㆍ지속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제근로자의 처우개선 및 양질의 일자리 제공


□ 추진배경

 ○ 저임금, 소득양극화가 비정규직 문제로 집약되며, 사회 이슈화

 ○ 동종․유사 업무를 수행하는 정규직과의 불합리한 차별해소

□ 사업개요

 ○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고용안정 및 임금개선

   - 상시ㆍ지속업무 정규직 전환 등 처우개선

   - 도 비정규직 근로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임금 지급

□ 추진현황

 ○ 도 직접고용 비정규직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합계
‘15년
‘14년
`13년
`12년
`11년
`10년
`09년
`08년
`07년
166명
10명
14명
15명
36명
10명
10명
23명
8명
36명


 ○ 道 직접고용  근로자대상, 생활임금 지급

   - 광역자치단체 중 최대 규모의 시행 ※시급6,810원(최저임금대비122%)
   - 수혜자 : 480명(월평균) 지급효과 : 월111~245천원 급여상승

 ○ 비정규직지원센터 운영을 통한 민간 비정규직 차별시정 지원

   - 노동 법률상담(999건), 비정규직 취업촉진사업(총11회 206건), 비정규직 희망 찾기 행사(9.13, 1500명 참관), 비정규직 정책토론회(7.7, 68명 참석) 등

□ 향후계획

 ○ (공공부문) 道 기간제근로자 정규직(무기계약근로자) 전환 추진 / 생활임금 준수여부 모니터링

 ○ (민간부문) 비정규직지원센터를 통한 비정규직 노동상담, 무료 법률지원 및 차별시정 사업 추진/『용역근로자 보호지침』준수를 위한 시·군 교육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1,900

1,900



(단위 : 백만원)


 7. 정부부문 기타 : 산업


G-NEXT(게임 산업 육성) 추진
□ 추진배경
 ○ 게임산업은 창조경제의 핵심, 미래 먹거리 산업
 ○ 세계 게임시장의 지속적 성장에 반해 국내 게임산업 성장세 둔화 등 위기에 빠진 게임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필요
   ⇒ 글로벌 게임기업이 집적해 있는 판교를 중심으로 게임산업 육성 추진


□ 사업개요
 ○ 사업목표 : 2018년 까지 글로벌 경쟁력 있는 게임스타트업 100개 육성
 ○ 주요내용
   - 차세대 게임인재 양성(게임 창조 오디션 및 게임 아카데미 등 운영)
   - 전략적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및 게임 다양성 제작 지원
   - 생활 속 게임문화 가치 창조(게이미피케이션 시범사업 등)

□ 추진현황
 ○ G-NEXT 추진 기본계획 수립 : ’15.7.14
 ○ 게임 창조 오디션 개최 : 상용화부문(’15.6.30) 및 아이디어부문(’15.12.2)
 ○ 문체부「2016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사업」관련, 국비 20억원 확보 : ’15.8~11월


□ 소요예산


국 비
도 비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4,000
2,000
2,00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67



67

(단위 : 명)


 ○ 산출기초
    40억원(사업비)×〔16.8명(중분류-스포츠 및 오락서비스)/10억원〕= 67명
기술닥터

 ◈ 산․학․연의 연구자원(인력․장비․기술․정보)을 활용한 기업 현장애로기술
    지원으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및 일자리 창출 실현


□ 추진배경
 ○ 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긴급하고 복잡한 기술적 문제를 찾아가서 도와주는 맞춤형 1:1 서비스 제공으로 기업 경쟁력 제고

□ 사업개요

 ○ 사 업 비 : 4,285백만원(도비 2,500, 시군비 1,785)

 ○ 주관기관 : 경기테크노파크

 ○ 협약기관 : 국․공립연구기관, 도 기술(경영)지원기관, 산학협력단,기타 과학기술관련 단체 등 70개 기관(단체)

 ○ 지원대상 : 도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 사업내용 : 현장·중기애로기술지원, 상용화지원, 성과활용/시험/설계/3D목업지원/ICT융합지원

□ 추진현황
 ○ 2015년 주요실적


구 분
목 표
지 원
달 성 률
만 족 도
현장애로기술지원
590
630
107%
96%
중기애로기술지원
78
82
105%
상용화지원
23
23
100%
시험분석지원
40
57
142%
합계
731
792
108%


□ 향후계획

 ○ 현장애로기술지원사업 모집공고 및 전문가매칭 : ’16.2월 초 ~

 ○ 협약체결(도-시군-경기TP)/ 기업지원 : ’16.2월 초 ~

 ○ 기술닥터 성과전시회 : ’16.5월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4,285

2,500
1,785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125



125

(단위 : 명)


 ○ 산출기초
    - 42.8억원(자금지원) × 12.6명(평균 여러 산업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취업유발계수 중분류 평균치 12.6 적용
) / 10억원 = 53명
 


 7. 정부부문 기타 : 복지


의료서비스 해외 마케팅 강화

 ◈ 의료서비스 산업은 급성장이 되는 신 성장 동력 사업으로, 해외환자 유치
    및 IT⋅의료 융합 산업 및 기타 서비스 업종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 가능


□ 사업개요
 ○ 기  간 : 2016.1월 ~ 2016.12월
 ○ 예  산 : 695백만원 (도비)
 ○ 주요내용  
   - 정부 간 보건의료협력(G2G) 및 해외의료마케팅 강화
   - 병원플랜트 등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진출 기반 조성 및 마케팅
   - 의료 + 관광 상품개발 및 융복합 마케팅 강화

□ 추진상황
 ○ 정부간 보건의료협력(G2G) 및 해외마케팅을 통한 해외환자 유치
  - 해외 정부간 MOU(19건), 의료설명회(18회) 및 국제학술대회(12회) 개최
 ○ 해외 의료인 국내연수를 통한 경기도 의료홍보 : 총 366명

총계
카자흐스탄
러시아
몽골
베트남
인도네시아
키르기즈우즈벡
중국
말라위
캄보디아
366
166
91
24
24
21
9
16
5
10

 ○ 융합형 의료산업 진출 : 해외 바이어 초청 설명회 및 박람회 참가
 ○ 경기의료지원센터(GMBC) 운영 및 병원플랜트 진출 지원
 ○ 글로벌 나눔의료 : 해외의료봉사(무료진료 30,052명), 초청 무료 수술(6회)
 ○ 의료+관광 상품개발 및 지원(10회), 공항픽업서비스 (2,862회, 6,051명)

□ 추진계획
 ○ 국제의료 신시장 개척 : 우즈베키스탄 등 CIS(4월), 동남아시아(베트남,9월)
 ○ 해외 의료인 국내연수 : 연 50명 (러시아 등 CIS, 몽골,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 신흥시장 접근성 제고를 위한 주요인사 초청 마케팅 : 몽골(2월), 중국(3월) 등
 ○ 글로벌 나눔의료 추진 : 해외 의료봉사(공모), 해외 무료초청 수술 등
 ○ 의료산업 박람회 참가(KITF, KIHE 등), 메디컬 바이어 초청설명회(CIS, 동남아)
 ○ 의료+관광 상품개발 및 지원, 외국인 환자 편의서비스(공항픽업) 제공
 ○ 글로벌 헬스케어 홈페이지 온라인(SNS등) 광고 및 온라인 마케팅 추진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695

695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2,989



2,989

(단위 : 명)


 ○ 산출기초

 - 외국인 환자 수 (유치실적) × 평균진료수익 × 15.1명 / 10억원
 - 의료관광객 수 (외국인 환자의 30%) × 평균 관광 지출액 × 19.9명 / 10억원
 - 의료기관 해외진출 수 × 수출수익 × 13.29 / 10억원







 7. 정부부문 기타 : 문화

공공캠핑장 조성

 ◈ 체류형 관광 인프라 구축 및 건전한 캠핑 문화 확산


□ 추진배경
 ○ 가족동반 옥외여가 캠핑문화 확산 및 캠핑수요 증가에 따라 괘적하고 안전한 공공캠핑장 공급
 ○ 체류형 관광 활성화를 위해 도내 풍부한 안보․생태 등의 자원을 활용하여 친환경 캠핑장 조성

□ 사업개요
 ○ 국비 지원 공공캠핑장 조성 3개소
    - 국민여가캠핑장 2개소 2,000백만원(화성, 고양)
    - 경기해양캠핑장 조성 1,000백만원(도직접)
 ○ 폐교 등 유휴재산을 활용한 도비 지원 공공캠핑장 조성 : 3개소 1,800백만원
 ○ 거점형 대규모 공공캠핑장(연천 세계해양캠핑존) 조성 : 1개소 5,800백만원

□ 추진현황
 ○ ‘15.01 ~ 12 : 국민여가캠핑장 조성 사업 추진(고양)
 ○ ‘15.12 : 거점형 대규모 공공캠핑장 업무 협의 등
 ○ ‘16.02 : 도비 지원 공공캠핑장 조성사업 공모

□ 향후계획
 ○ ‘16.03      : 도비 지원 공공캠핑장 사업 선정 및 보조금 교부
 ○ ‘16.04 이후 : 공공캠핑장 조성 추진


□ 소요예산


국 비
(지특)
도 비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10,600
1,500
4,300
4,80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147



147

(단위 : 명)


 ○ 산출기초
   ․ 공공캠핑장 조성 = 106억원(사업비) × 13.8명(중분류–토목건설)/10억원 = 146.28명
     ∴ 일자리 수 : 147명

경기도 미술품 거래소 운영

□ 사업개요
 ○ 기   간 : 2016. 3월~ 12월.
 ○ 장   소 : 소규모 미술품 거래소 및 미술장터(도내 3개 지역 거점공간) 
 ○ 지원내용 : 미술품 거래소(시범사업 포함) 설치 및 운영비
 ○ 운영단체 : 미술작가로 구성된 등록 법인·단체 또는 임의 단체 등
   ※ 제외대상 : 개인, 재학생 동아리, 회원전·단체전 및 졸업작품전 등

□ 추진현황
  ? 미술품 거래소
    - 미술품의 유통구조 다원화와 실질적인 시장 개척 지원
    - 신진 청년작가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 마련 및 홍보지원
  ? 미술품 거래소 시범사업
    - 미술작가 본인의 프로모션으로 현장감 있는 거래장터 조성
    - 지역별 작가와 도민이 함께 호흡하는 거점 마련

□ 향후계획
 ○ 미술품거래소 추진단체 공모 : ’16. 3.
 ○ 공모선정위원회 구성 및 단체 선정 : ’16. 3.
 ○ 미술품 거래소 시범사업 연간계획서 작성 및 사업실시 : ’16. 3 ~ 12.
 ○ 미술품 거래소 및 시범사업의 정기적 모니터링 실시 : ’16. 3 ~ 12.

□ 소요예산

 ○ 사 업 비 :  200백만원(개소당 1억~30,000천원 사업성격에 따라 차등지원)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200

20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4



4

(단위 : 명)


 ○ 산출기초
   2억원(사업비) × 22.3명(중분류–문화서비스)/10억원 = 4명


 7. 정부부문 기타 : 농림‧해양
 
선택형 맞춤농정

◈ 영농환경 변화를 반영한 신규소득작목 발굴 및 수출·관광농업 육성으로 농산물 부가가치 증대로 지속적인 농업분야 일자리 제공


□ 추진배경

 ○ FTA 등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응하는 지역별 특화품목 육성으로 농업경쟁력 강화 및 농가소득 증대

   - 지역을 대표하는 특화품목 집중 육성 : ‘10)26개품목→‘13)33→‘18)40

   - 부가가치 창출 : 신규소득작목, 수출·관광농업 및 로컬푸드 육성

□ 사업개요

 ○ 사업대상 : 시·군, 작목반, 농협, 영농조합법인 등 생산자단체

 ○ 사 업 량 : 용인시 등 13개시군 28개 사업

 ○ 총사업비 : 13,333백만원(도비 2,000, 시군 4,667, 자담 6,666)

 ○ 사업내용 : 농업생산시설·유통기반, 농산물 가공시설 등
   - 생산시설 현대화 : 냉난방시스템, 양액재배시설 등
   - 유통기반 확충   : 과일선별시설, 잡곡선별시설, 저온저장고 등
   - 부가가치 증대   : 홍삼수출활성화, 포도가공시설 등

□ 추진현황

 ○ 생산시설현대화·유통기반 확충 등 추진(‘04~‘15) : 371개소 2,520억원

 ○ 사업대상자 선정 : ‘16. 1월

 ○ 사업자별 사업 실행을 위한 세부추진계획 수립 : ‘16. 2월까지

 ○ 사업별 착공, 시설현대화 및 유통기반 확충 추진 : ‘16. 2 ~ 12월

□ 향후계획

 ○ 사업별 준공 등 추진완료 및 사업비 정산 : ‘17. 1월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13,333

2,000
4,667
6,666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168



168

(단위 : 명)


 ○ 산출기초
   ❺ 기타사업(정부부문)
     - 133억원(자금지원) × 12.6명(평균) / 10억원 = 168명
에코팜랜드 조성

 ◈ 전국 최초 간척지에 농축산관광단지 조성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


□ 추진배경
 ○ FTA시대, 농촌의 새로운 소득원 발굴 및 일자리 창출
 ○ 말(馬)산업, 종자산업, 관광농업 등 지속가능한 신성장산업 육성

□ 사업개요
 ○ 위    치 : 화성시 마도․서신면 일원 화옹간척지 4공구
 ○ 면    적 : 7,684천㎡(232만평)
 ○ 사업기간 : 2008년 ~ 2018년
 ○ 사 업 비 : 5,476억원(국비 1,313, 도비 727, 기타 3,436)
 ○ 추진주체 : 경기도, 농어촌공사, 화성시, 마사회, 수원축협, 농우바이오

□ 추진현황
 ○ 기본계획 승인 및 사업시행자 지정(‘12.1월, 농림수산식품부)
 ○ 기반시설 실시설계(시행계획 수립) 완료(‘13.2월, 경기도, 농어촌공사)
 ○ 기반조성 국비(총사업비) 추가 확보(‘14. 3월, 기획재정부)
   - 615억원(‘10.7월) ⇒ 914억원(’14. 3월) : 299억원 증액
 ○ 에코팜랜드 기반시설 토목공사 착공(‘14.12월 농어촌공사)
 ○ 에코팜랜드 건축설계용욕 착수(‘15.11월)

□ 향후계획
 ○ 기반시설 토목공사 및 건축설계 : ‘14년 ∼ ‘16년
 ○ 도시군관리계획 등 각종 인허가 : ‘16년 ∼ ‘17년
 ○ 건축공사 및 사업완료 : ‘17년 ∼ ‘18년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35,100
10,000
3,000
4,400
17,70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597



597

(단위 : 명)


 ○ 산출기초
    - 화옹지구(4공구)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에코팜랜드조성사업) 기본계획 용역 결과(‘11년 10월)



 7. 정부부문 기타 : 국토‧환경

미군반환공여지 및 주변지역 체계적인 개발

◈ 반환공여지 및 주변지역 체계적인 개발을 통한 지속적인 지역일자리 제공


□ 추진배경
 ○ 지역 특성을 반영한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공여지 주변지역 도로사업 ‘17년까지 완료를 통한 기반 여건 개선
 ○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도록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 사업개요

 ○ 반환공여지 개발사업
   - 경기북부교육청 건립사업(캠프 에세이욘)
    ․면적/사업기간/사업비 : 34,331㎡ / 2013~2014년 / 585억원
   - 을지대학교 의정부캠퍼스 및 부속병원(캠프 에세이욘)
    ․면적/사업기간/사업비 : 123,096㎡ / 2015~2021년 / 5,340억원
   - 동양대학교 동두천캠퍼스 건립사업(캠프 캐슬)
    ․면적/사업기간/사업비 : 111,480㎡ / 2014~2016년 / 419억원
   ※ 반환이 완료된 기지 중 현재 사업을 추진 중이거나 가시화되고 있는 3개 사업을 대상으로 선정(의정부시 캠프에세이욘, 동두천 캠프캐슬)


 ○ 공여지 주변지역 도로사업
   - 사업기간 : 2008~2017년
   - 사업대상 : 의정부시 등 13개 시·군 / 41개 사업 99.89㎞
   - 총사업비 : 14,372억원 (국비 5,243, 지방비 9,129)

□ 추진현황
 ○ 반환공여지 개발사업

구 분
추진상황
향후계획
경기북부교육청 건립사업
‘14.12.10 준공

을지대학 의정부캠퍼스 및 부속병원
도시계획시설결정(‘12.12.18)
‘15년 착공예정
동양대학 동두천캠퍼스
공여지 발전종합계획 반영(‘14.7.6)
‘15년 착공예정

 ○ 공여지 주변지역 도로사업
(단위 : 억원)

구분
재원
총 사업비
지원실적
(‘09∼’13년)
‘14년
‘15년
향후
투자
비고
소 계

14,440
7,403
1,398
890
4,749

주변지역
도로사업
(42건)
국  비
5,277
2,898
675
445
1,259
준공 12건, 공사중 16건, 보상중 7건, 설계중 1건, 미착수 6건
지방비
9,163
4,505
723
445
3,490


□ 향후계획
 ○ 지역특성과 여건을 반영해 반환공여지 활용계획(발전종합계획) 재수립 추진
   - 지역경제 활성화에 중점, 지자체 특화 산업․휴양시설, 공공기관 등 유치
 ○ 을지대학교 의정부캠퍼스 및 동양대학교 동두천캠퍼스 ‘15년 착공
 ○ 공여지 주변지역 도로사업 ‘18년까지 완료 추진
 ○「공여구역 지원 특별법」개정을 통한 국비지원대상 확대 등 민간 투자여건 개선 등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198,810
44,505

44,505
109,80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 직접
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2,927



2,927

(단위 : 명)


 ○ 산출기초
   ❺ 기타사업
  - 캠프 에세이욘 내 을지대학교 및 부속병원 건립 당해년도 사업비 1,017억원을 근거
    ․ 1,017억(사업비)×14.6(건물건설 및 건축보수)/10억 = 1,485명
  - 캠프 캐슬 내 동양대학교 건립사업 당해년도 사업비 81억원을 근거
    ․ 81억(사업비)×15.5(건물건설 및 건축보수)/10억 = 125명
  - 공여지 주변지역 도로사업‘15년 예상사업비 890억원을 근거
    ․ 890억(사업비)×14.8(토목건설)/10억 = 1,317명
  ⇒ 1,485명 + 125명 + 1,317명 = 2,927명
DMZ 안보생태관광활성화

 ◈ DMZ일원의 관광인프라 구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 추진배경
 ○ DMZ 일원 관광인프라 구축을 통한 관광객 유치 및 관광활성화 도모

□ 사업개요
 ○ 캠프 그리브스 활용사업 (‘12 ~‘18 / 355억원 )
   - 군 대체시설(237,507㎡) 기부 및 반환공여지(118,714㎡) 양여
 ○ 임진각 평화누리 통합개발 (‘12 ~‘23 / 439억원 )
   - 관광지 확대지정 및 개발 (95,410㎡ → 477,894㎡)
 ○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 (‘13 ~‘16 / 564억원 )
   - 애기봉평화생태공원(김포), 수리에코타운(파주), 고랑포구 풍류촌(연천)

□ 추진현황
 ○ 캠프 그리브스 활용사업
   -‘15. 03  도시관리계획 변경 관련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완료
   -‘15. 10. 군 대체시설 설계용역 재개
 ○ 임진각평화누리 통합개발
   -‘15. 11.  임진각 평화누리 통합개발 기반시설사업 1구역 착공
   -‘15. 12.  관광지 확대지정 및 조성계획 승인고시 (경기도 고시 제2015-257호)
 ○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사업
    -‘15. 06.  독개다리 스카이워크 실시설계 완료
    -‘15. 04.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조성사업 입찰공고
    -‘15. 03.  고랑포구 고호팔경 풍류촌 조성사업 공사착공
    -‘15. 06.  : 독개다리 스카이워크 실시설계 완료

□ 향후계획
 ○ 캠프 그리브스 활용사업
   - 2016.  2~4월 : 문화재생사업 총괄기획자 공모 및 채용, 실시설계용역 착수
   - 2016. 3월 : 도시계획시설(역사공원 및 문화시설) 결정
   - 2016. 4월~12월 공원조성 실시설계, 시설공사
   - 2016. 1월~6월 : 대체시설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조사 실시
   - 2016. 8월 : 대체시설 토지보상 착수
   - 2016. 12월: 대체시설 토지보상 완료
   - 2017. 2월~2018. 8월 : 대체시설 시설공사 착공 및 준공

 ○ 임진각평화누리 통합개발
   - ‘16. 2월~8월    임진각 평화누리 통합개발 기반시설사업 2구역 착공/준공
   - ‘16. 6월~12월   오수처리시설 실시설계 용역 착수 / 완료
   - ‘16. 9월~12월   상수시설 실시설계 용역 착수 / 완료

 ○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사업
   - 2016.  3월 : 애기봉평화생태공원 조성 착공(‘17.12월 준공)
   - 2016.  3월/12월 : 습지체험학습원 실시설계 착수/완료
   - 2016.  3월/9월 : 내일의 기적소리 착공/준공
   - 2016.  8월 : 임진강평화공원 조성 착공
   - 2016.  9월 : DMZ생태관광지원센터 및 내일의 기적소리 개장식
   - 2017. 12월 : 고랑포구고호팔경풍류촌 조성 준공
 
□ 소요예산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21,582
10,075
6,857
4,650


지특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298



298

(단위 : 명)


 ○ 산출기초

   9. 기타사업
   ․ 216억원(사업비) × 13.8(대분류-건설) / 10억 = 298명
환경 新산업 육성[업사이클 플라자 구축]

◈ 자원순환 플랫폼 기반마련, 재사용 및 업사이클 문화조성으로 일자리 창출
   ※ 업사이클(Upcycle) : 폐기물+리사이클+디자인


□ 추진배경

 ○ 폐자원을 단순히 재사용·재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이나 활용성을 더해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으로 재탄생시켜 자원순환 촉진
 ○ 건전한「환경·소비문화」육성으로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 창출
   - 업사이클 산업 육성 및 177명 일자리 창출

□ 사업개요

 ○ 사업위치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 89 (舊 서울농생대)
 ○ 사업기간 : 2015 ~ 2018(4년)
 ○ 사 업 량 : 건축연면적 2,447㎡ (1개동 리모델링)
 ○ 주요시설 : 디자인공방, 작업장, 소재은행, 판매·전시·교육시설 등
 ○ 사 업 비 : 108억 원(국비 54, 도비 54)
   - 2015년 예산 : 20억원(국 10, 도 10) / 2016년 : 26억원(국 13, 도 13)

□ 추진현황
 
 ○ 2015. 4. 8. : 사업추진 자문단(MA) 구성·운영(관련전문가 4명)
                ※ 자문회의 7회, 후보지확인 12회
 ○ 2015. 7.27. : 구 서울농생대 상록회관 부지 확정
 ○ 2015. 8.17. : 업사이클 플라자 구축방안 도지사 보고
 ○ 2015.11.12.∼‘16.2.19 : 상록회관 정밀안전진단용역 진행 중(40일간)
                 ※ 타당성조사와 병행추진을 위해 과업중지 : ‘15.12.2. ∼ ’16.1.29
 ○ 2015.12.17.∼2016.4.16 : 타당성조사용역 진행 중(4개월)
  - 시설배치 및 보강계획을 반영한 공사비 산출
  - 소재은행 및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운영방안 제시 등

□ 향후계획

 ○ 기본 및 실시설계 (2016. 4 ∼ 7)
 ○ 시설공사 (2016. 8 ∼ 2018.12)
 ○ 자원순환 플랫폼 구축 (2016. 1 ∼ 2018.12)
   - 시설설치단계부터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시설설치 전에 운영프로그램 마련

□ 소요예산


국 비
도 비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4,600
2,300
2,30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유치
55



55

(단위 : 명)


 ○ 산출기초

   - 46억원(사업비) × 12명(중분류 – 폐기물 및 자원재활용서비스) / 10억원 = 55명


 8. 민간 부문

지역별 특성에 맞는 개발제한구역 조정

◈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을 친환경 복합단지로 개발하여 일자리 창출


□ 추진배경
 ○보존 가치가 낮은 개발제한구역 합리적 조정과 해제
 ○해제지역 특화 사업으로 개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기여

□ 사업개요

 ○ 대상 사업 : 의왕시 등 16개사업
 ○ 사업 기간 : 2014년 ∼ 2020년
 ○ 개발사업 : 공공주택, 복합단지, 물류 및 유통단지 등

□ 추진현황

 ○ 지역특성에 맞는 합리적인 개발제한구역 해제 추진
   - 심의진행 (4) : 남양주 양정역세권, 구리 월드디자인시티, 의왕 산업단지, 양주 역세권 복합단지개발
   - 절차이행(12) : 수원 R&D Science Park,  하남 교육연구단지 조성, 고양 자동차서비스 복합단지 등

□ 향후계획
 ○ 2016년 30만㎡이하 해제권한 시도지사 위임으로 GB 적기 해제 가능
   - 해제 및 개발사업 동시 추진시 1년으로 기간 단축
 ○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해제 사업 적극 추진 

□ 소요예산 : 해당없음


국 비
(중앙부처기금)
도 비
(도기금)
시군비
민자
기타*
비고**
0




(단위 : 백만원)

□ 일자리 수 목표
 
구분
정부부문
민간부문

❶직접
일자리창출
❷직업능력
  개발훈련
❸고용서비스
❹창업지원
❺기타사업
❻기업등
유치
1,500



1,500

(단위 : 명)


 ○ 산출기초


   ❺ 기타사업 (공공 및 민간부문)               
     o GB 조정대상지역 : 남양주 양정역세권 복합단지개발 등 16개소, 사업비 약 8조
       - 일자리 수 : 80,000억원(사업비) × 14.8명(중분류 – 토목건설) / 10억원 =118,400명
     o GB해제 심의 및 개발계획 수립, 투자유치, 직․간접 지역경제파급효과 등 정책성과가 가시화되기까지는 오랜기간 소요 감안 단계별 일자리 수 산출
    
 * 단계별 일자리 수 산출근거 (누계) : GB해제 착수 (2%), 중도위 심의 (4%), GB해제고시 (5%), 개발계획지정 및 실시계획인가 (7%), 보상 및 착공 (10%), 준공 (100%)




Ⅵ. 일자리 인프라 구축


1

경기도 일자리재단 설립추진

□ 설립추진 경위
  o 추진배경 : 도내 공공고용서비스를 한 곳에 모은 일자리 총괄 거버넌스
               구축으로 취업난 해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o 형   태 : 비영리 재단법인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근거)
    ※ 道 출연을 통해 재단 운영 안정성․유연성 확보 및 민간 전문성 적극 활용

  o 기  능 : 구인․구직자 수요 맞춤형 종합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 기능별, 계층별 분산 지원 ⇨ 통합 지원
     * 4개 부서(기관) 통합 : 일자리센터, 기술학교, 북부비전, 여성능력개발센터 등

    - 일방적 직업훈련․교육 ⇨ 사전 수요조사를 통한 맞춤형 직업훈련․교육
     * 재단內 기획연구조사본부 설치, 구인구직 사전조사를 통한 맞춤형 인력 제공

    - 도민「누구에게나」,「한 장소」에서 취업관련 종합서비스 제공
     * one-stop 취업지원 : 심층상담 → 진로설계 → 직업훈련 → 취업알선

  o 조직(안) : 대표이사, 3본부 1학교, 180여명




대 표 이 사

이 사 회









윤리경영팀(4)
(상근감사)










































기획연구조사본부
(29)

고용성장본부
(77)

북부일자리본부
(32)

경기도기술학교
(38)


□ 2015년 주요 추진실적

  o 설립추진단 구성(10월) 및 정관․인사․조직․보수 등 각종 규정 마련등

  o 타당성 용역 주민공개(10월) 및 행자부 사전협의 완료(11월)

□ 출범계획  ※조례안 의결 및 추경시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o (1단계) 1개 본부(기획연구조사본부) 출범, 이후 통합준비

  o (2단계) 재단조직 완비(4개 기관․부서 통합으로 2개 본부, 1개 학교 추가)

출범 준비

출범

통합 준비

기관 통합
⦁조례제정/예산확보
⦁발기인총회 등 개최
⦁사무실 구비
⦁법인설립등기
⦁출범식(1개 본부)

⦁기구폐지(조례)
⦁도유재산 용도폐지
⦁예산변경
⦁4개기관 통합
⦁사무․재산 인수


□ 추진일정

1. 조례(안) 협의 및 공포
   (‘16.3.2 ~ 3.25)

2. 법인설립위원회 운영
 (‘16. 3. 24~출범시)

3. 발기인 총회 및 창립이사회 개최
    (‘16. 4월중)
o 조례(안) 공포 前 협의

 - 도 의회 법안 송부
   → 법무담당관접수 (3.3)
   → 행자부(선거의회과)
   → 행자부 담당부서 검토
      및 결과 통보
   → 행자부 선거의회과에서
      道 결과 회신(20일 소요)

o 정관(안) 및 대표이사․직원
   채용공고(안) 등 방향제시

o 위원회 운영계획 논의
 - 이사 추천, 발기인 총회
    준비, 주사무소 위치 등



 <발기인 총회 개최>
o 정관서명,설립취지문 채택,
   임원구성(안), 사업계획(안) 등

o 창립이사회 구성
 -당연직 : 도지사, 행정2부지사, 기획조정실장, 경제실장
 -선임직 : 학계, 법조계, 고용
   지원전문가 등 (12인 이내)
   (설립초기 도지사 임명)
o 조례(안) 협의부서 사전 설명
  자료 준비


o‘16.3월 중:위원회 개최
 - 정관(안) 등 사전 심의자료  및
   발기인 총회 준비

o‘16. 4월중: 창립 이사회 개최
 - 인사, 복무, 재무회계 등 제규정 
   (안) 심의·의결 및 임원 추천
 
 


4. 대표이사 추천위원회 운영
 및 대표이사 추천(4월중)

5. 직원 채용 추진
   (16.3.29 ~ 출범시)

6. 주사무소 확보/ 리모델링
  (‘16.5월~ 출범시)
o 도 채용공고 (3.29∼4.12)
  - 공고 기간 : 15일 이상
o 추천위원회 : 6인 이내
   (정관 제8조의 2)
  이사장 3, 도의회 2 추천, 간사1
o 서류, 면접심사→ 추천→ 임명
o 경기도 채용공고
 -공고기간 : 15일 이상

o 인사위원회 구성
 - 채용심사 진행 등

o 사무실 임차계약(사용승락)
  체결

o 사무실 리모델링, 집기구입 등


o 방침결재
  : 3.29 전후

o‘16. 3.29: 채용공고

o‘16. 4.14: 서류·면접 심사

o‘16. 4월중: 위원회 개최
 -대표 선임 추천 및 임명 요청
 -도의회 청문회(4.19∼26)

o‘16. 3.29 : 채용공고

o‘16. 4.18 : 서류·면접

o‘16. 4.22 : 합격발표

o‘16. 4.26 이후 임용
    ※ 평가담당관실 협조

o‘16. 3월중  : 공모/ 확정

o‘16. 4월말  : 본부 사무소
   계약 및 배치(안) 준비 완료
 - 리모델링(안) 확정 및 견적
 
o‘16. 5월초 ~ 5월말
   리모델링 및 집기구입


7. 법인설립 허가 신청/등기/신고
    (‘16. 4.26 이후)

8. 재단 정보시스템 구축
   (‘16.3월 ~ )

9. 재단 출범식
   (‘16. 6월초.)
o 민법 제32조에 의한 설립허가
 - 신청서, 발기인 명단, 정관 등
    요건 구비
 - 처리기관 : 고용노동부

o 내부 업무용 정보시스템 구축
 - 전자결재, 인사 / 급여 등
 - 대민서비스 홈페이지 구축
 - 내부 통신망, 전화망 구축
  → 전산 담당 채용시 까지
     여능센터 직원1명 파견
o 신임 대표이사 체제의
  기획조사본부 출범

o 개원식 및 기념세미나 개최


o‘16.5.02:설립허가 신청<고용부>
 - 처리기한 : 20일
 -취임승락서, 회의록, 재산
   목록(입증자료) 등 서류 구비
 
o‘16.5.23 : 법원 등기 신청
 -신청 기한 : 허가 후 3주 이내

o‘16. 5월말 : 세무서 신고

o 임시홈페이지, 내부정보시스템
  (ERP, 그룹웨어)계획수립: 3월

o 사업계획 발주 : 4월

o 본부 및 통합기관 정보시스템    및 전화망 구축 : 5월말

o 홈페이지 및 학사관리 통합
  등 기획/개발 시행 : 5월말

o‘16. 4월 : 개원행사계획
            수립
 - 개원식 및 기념세미나
 - 주요 초청내빈 확정 등


10. 하반기 재단 직원 채용

11. 통합대상기관 예산통합
     (‘16. 3월 ~  )

12. 시스템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16. 3월 ~  )
o 하반기 3개본부 기관 통합에
  따른 결원 직원 공개채용

  - 고용 지원분야 전문가 및 직업
    상담사 등 신규 배치

o 업무 및 예산 이관 기초작업
  : 3월중

o 업무 및 예산 이관 기본계획
  수립 : 4월중

o 예산 이관 작업(추경) : 6월∼

o 출연금 지급 : 6월∼
 - 기본재산, 운영비 등 교부

 * 예산통합을 위한 추경 미정
o 도민 온라인 고용지원 플랫폼
  - 취업 가능성 진단, 온라인
    취업 지원
  - 온오프라인 직업훈련, 사후
    관리

o 일자리재단 업무지원 플랫폼
  -31개 시군 일자리센터 및 e새일,      워크넷, 학사관리 등 통합
  - 직업훈련, 취업지원, 조사연구
    등
o 채용기본계획 수립 : 6월중

o 도 채용공고  : 7월중
  - 공고 기간 : 15일 이상

o 최종합격자 결정 : 8월중

o 채용 : 9월


o‘16. 6. 1 ~ : 업무이관
 - 기관별 업무 인수인계 등

o‘16.하반기: 예산과목변경
             및 사업 이관
 - 의회승인 절차 이행 등


o 기관별 지원시스템 현황조사
  : 3월중

o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계획
  수립(결재) : 4월중

o 사업 설계 및 발주 : 6월∼

o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작업 :
  7월 ∼ 10월
 
13. 공유재산 및 물품 이관
     (‘16. 3월 ~ )

14. 4개 기관 완전통합
    (16. 9월 ~ )

15. 정책아이디어 및 CI 제작
    (‘16. 4월 ~ )
o 해당 기관별로 이관 추진

 - 완전통합 : 기술학교, 여능
   센터→ 용도폐지후 무상대부

 - 부분통합 : 북부 여성비전
   센터→ 일부(84.9㎡) 사용
   수익허가

o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개정에    따른 조직 폐지

  * 조직폐지 일정 미정

o 4개기관 완전통합 재단 발족
 - 기술학교: 학기 종료 후
 - 여능센터: 직업훈련 종료후
 - 일자리센터: 상담실리모델링
 - 북부여성비전센터: 리모델링
o 재단 CI 제작
 - 전국 최초 설립되는 일자리
    재단의 설립 취지 및 배경,
    발전방향 등을 함축
 
o 정책아이디어 공모 추진
o 대상기관별 이관 물품현황
  조사 : 3월중

o 공유재산 물품이관기본계획
  수립(결재) : 4월중

o 공유재산 용도폐지 : 5월∼

o 공유재산 무상대부 및 물품     이관 : 6월∼


o 4개기관 통합 기본계획 수립
  : 6월

o 하반기 신규 채용 직원 배치
 - 통합 기관 직원 재배치 등

o 공모계획 재개 :‘16. 4월중
 
o 공모결과 자문 및 심사
   : ‘16. 5월

o 재단 CI제작(안) 전문가 검토
   : ‘16.6월∼

o CI제작(안) 확정보고 : 7월

 
 

※ 상기 추진일정은 사안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2

일자리담당자 전문화 강화 등


□ 네트워크 등 인적능력 강화

  ❍ 시․군 일자리공시제 담당자와 네트워크로 일자리 업무능력 향상
     - 밴드 등 소셜네트워크 활용을 통한 상시 업무공유로 업무능력 향상
      ※ 31시‧군 경기도일자리공시제 담당자 밴드 운영 중

□ 협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전문성 강화

  ❍ (정기회의) 일자리사업 관련 유관기관 정기적 협업회의 개최
     - 고용부, 경기경총, 노동계, 인자위, 기업 등(일자리 창출방안 논의 등)

  ❍ (업무연찬회) 일자리창출 업무연찬 및 추진실적 발표(토론)회
     - 도, 시․군 및 유관기관 순회개최를 통한 참여 및 협업 강화

□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시‧군 적극 참여

  ❍ 일자리공시제 1년 이상 장기간 담당 시‧군 직원 중 일자리관련 각종 평가 입상자에 대하여 표창 추진
     - 일자리공시제 추진 우수사 표창 및 선진지 견학 등


Ⅶ. 의견수렴


 1) 네트워크 구축 및 협의 계획


일자
내용
유관기관
비고
1~12월
녹색환경지원센터 운영
환경부, 道, 시군, 대학
환경정책과
1~12월
도지사 주재 일자리창출전략회의 개최(월 1회)
도, 고용노동부, 중기청, 경총, 노총, 시군, 26개 관련기관
일자리정책과
1~12월
수원환경성질환아토피센터 운영
환경부, 道, 수원시, 센터
환경정책과
1~12월
가평환경성질환예방관리센터 건립(토목 및 건축공사)
환경부, 道, 가평군, 센터
환경정책과
1∼12월
광역 업사이클 플라자 구축 운영
 - 부지선정. 기본 및 실시설계 추진
환경부, 경기도, 한국자원재활용협회
자원순환과
1∼12월
폐기물처리시설 등 확충
 - 소각·연료화, 여열활용 발전설비, 음식물처리시설 악취개선, 농촌폐비닐 공동집하장 설치 등
환경부, 경기도, 구리시, 평택시, 안산시, 양주시, 여주시, 안성시
자원순환과
1~12월
생명사랑 프로젝트 전담인력 배치 및 사업운영
시군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자살예방센터
건강증진과
2월
GRRC 전체 워크숍 개최
GRRC 센터 및 협회
과학기술과
2~12월
환경산업 지원허브 운영
 - 환경기업컨설팅, 포털운영 등
경기도, 경기테크노파크
환경정책과
2~12월
경기고용포럼
 - 추진기획단회의(4), 분과회의(3), 워크숍(1),
   지역맞춤형 특화사업 사례발표(1회)
 - 노동거버넌스 네트워크 형성, 지역 노사민정협력,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역인적자원개발분야
도, 경기경영자총협회
일자리정책과
공정경제과
2~12월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 추진을 위한 유관기관 협의
시·군,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전문가 등
사회적일자리과
2월~12월
지역인프라별 네트워크 구축 회의(연 4~6회)
나노유관기관, 나노협의체
과학기술과
3월
GRRC 의료·바이오 공동 세미나 개최
GRRC 센터 및 협회
과학기술과
3~5월
경기도 그린컨설턴트 진단교육
 - 학교건물 에너지 절약 진단을 위한 기본 및 전문교육
도 교육청,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 관련 업체 등
기후대기과
3월/5월/7월
경기도 노사민정협의회 개최 및 추진
한국노총 경기본부,
경기경영자총협회,
지방고용노농관서 등
경기도 공정경제과
3월~6월
판교 리더스포럼 구축
판교포럼, 1조클럽, 판교 입주기업 등
과학기술과
3월/9월
실내공기질 무료측정 및 취약계층 실내환경 개선사업 추진
도, 시군 일자리센터 사회공헌기업
기후대기과
3월/10월
경기북부광역새일본부 지역HR담당자 협의회 추진(2회)
시・군, 여성친화협약기업체 등
북부
여성비전센터
3월/11월
경기북부광역새일센터 여성취업지원 협의회
지역 기업체 및 유관기관
북부여성비전센터
3~12월
경기도 「사회적일자리 발전소」 개최
경기복지재단
사회적일자리과
3~12월
「권역별 장애인 취업지원 설명회」 개최 및 사업운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개발원 등
사회적일자리과
4월
기술닥터사업 시군 워크숍 개최
시군, 경기테크노파크
과학기술과
4월
GRRC 방송·콘텐츠·보안·물류 공동 세미나 개최
GRRC 센터 및 협회
과학기술과
일자
내용
유관기관
비고
4월
BIOKOREA2015 경기도홍보관운영 및 바이오분야 JOB 페어 참가 안내
경기과학기술진흥원
과학기술과
4~12월
환경산업 해외진출 지원사업 추진
 - 무역상담회, 통상촉진단
경기도,경기테크노파크, 道환경산업협회
환경정책과
4~12월
『가족사랑 이음센터(경증치매환자 주간활동 지원)』 사업계획
안내
의정부시, 김포시, 양평군 보건소, 광역치매센터 등
건강증진과
5월
노인일자리 강화 네트워크 구축
경기일자리센터, 시군 등
사회적일자리과
5월/11월
1인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경기·인천지역 합동 워크샵
창업진흥원, 경기·인천지역 1인창조기업 등
과학기술과
7월~11월
직업교육훈련 과정별 일자리협력망
취업알선기관 및 구인기업체 등
북부여성비전센터
10월
GRRC 셀프리더 워크숍 개최
GRRC 센터 및 협회
과학기술과
10월
경기북부새일센터 여성친화기업 컨퍼런스 개최
시·군, 여성친화협약 기업체 등
북부여성비전센터
11월
경기테크노파크 지역사업단 운영사업 시군 워크숍 개최
시군, 경기TP, 주관기관
과학기술과
12월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 운영위원회
두원공과대학, 지역산업체, 한국직업능력개발연구원 등 관계자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

  ※ 경기도 일자리재단 출범시 관련부서 업무는 재단으로 이관하여 추진

 2) 주민과의 소통 및 홍보 계획

일자
내용
수단
비고
연중
실내공기질 무료측정 및 실내 환경 개선
홈페이지, 보도자료
기후대기과
연중
지식재산 인식 제고 교육
교육
과학기술과
1월
환경보전기금 융자사업 안내
홈페이지, 일간지
환경정책과
1~2월,
7~8월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 교육생 모집 안내
홈페이지, 주민센터·아파트 게시판 및 전광판 등
일자리정책과
1~12월
자살예방 교육 및 홍보
교육(대면, 교재 등),
사업홍보(팜플렛, 반회보 등)
건강증진과
2월
노인 사회활동지원 사업 홍보
G버스 TV
사회적일자리과
2월
창업업진흥원 강시우 원장과 함께하는 1인창조기업 간담회
간담회
과학기술과
2월
제1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여성비전센터
2월
새일센터 미지정시군 비타민프로그램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2~3월
나노 1인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상반기 입주기업 모집
홈페이지, 일간지, 블로그 등
과학기술과
2,5,8,11월
기술닥터사업 공동사업설명회 개최
설명회
과학기술과
3월
새일센터 경력단절여성 사업 안내
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참가자 모집 홍보
비타민 집단상담 프로그램 교육내용 및 참가자 모집을 위한 주민홍보
리플릿,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3월
광역새일센터 지원사업 안내
광역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홍보
리플릿,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3월
제2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3월/4월
‘15년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추진 홍보
사업설명회, 홍보자료 제작/배포
및 홈페이지 홍보 등
일자리정책과
3월, 10월
환경성질환예방관리센터 운영계획 및 이용홍보
홈페이지, 일간지
환경정책과
일자
내용
수단
비고
3~12월
사회적일자리 곳간 「블로그」 개설 및 운영
블로그
사회적일자리과
3~12월
노인일자리지원센터 교육 홍보, 의견수렴 등
노인일자리지원센터 홈페이지
사회적일자리과
4월
제3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4~12월
무역상담회, 통상촉진단 참가기업 모집
홈페이지, 일간지
환경정책과
4~12월
『가족사랑 이음센터(경증치매환자 주간활동 지원)』 개소․운영
포스터, 반회보 등
건강증진과
5월
SW융합클러스터 2차년도 사업설명회
설명회, 홈페이지, 포스터, 보도자료, 중앙일간지
과학기술과
5월
제4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6월
노인일자리경진대회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사회적일자리과
6월
제5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6월, 12월
교육생 모집, 선발 홍보
지방지, 포스터
과학기술과
7월
1인창조기업을 위한 특허교육 개최
홈페이지, 블로그 등
과학기술과
7월
제6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7~8월
나노 1인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하반기 입주기업 모집
홈페이지, 일간지, 블로그 등
과학기술과
8월
나노코리아 박람회(입주기업) 참가 지원
박람회 참가
과학기술과
9월
유망환경기업 지정계획 공고
홈페이지, 일간지
환경정책과
9월
제7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10월
나노기술 교류회 개최
홈페이지, 블로그 등
과학기술과
10월
GRRC 공동 성과전시회 개최
전시회
과학기술과
10월
제8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10월
여성친화기업 컨퍼런스 개최 홍보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11월
최신 융합기술 교류회 개최
홈페이지, 블로그 등
과학기술과
11월
제9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12월
제10회 여성취업박람회 “일뜰날” 개최 홍보
포스터, 보도자료
북부
여성비전센터
12월
2015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사업 성과홍보
보도자료
과학기술과

  ※ 경기도 일자리재단 출범시 관련부서 업무는 재단으로 이관하여 추진
 3) 컨설팅 및 모니터링 계획

일시
내용
 참여기관 및
참여자
비고
1~12월
도지사 주재 일자리창출전략회의 개최(12회)
도, 고용노동부, 중기청, 경총, 노총, 시군, 26개 도 공공기관, 등
일자리정책과
2~12월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컨설팅(권역별 정기모임 및 워크숍, 토론회 등 개최)
31개 시군, 고용센터, 한국지역경제학회
일자리정책과
연중
기업별 맞춤형 지식재산 컨설팅 수행
외부전문가, 경기테크노파크
과학기술과
연중
나노 1인 창조기업지원 자문 컨설팅 및 현장 확인
외부전문가, 담당공무원
과학기술과
 1월
『가족사랑 이음센터(경증치매환자 주간활동 지원)』 운영 지침 마련시달
담당공무원, 기관
건강증진과
 1월,7월
장애인 일자리 사업 안내 및 기관 컨설팅
  - (1월) 사업안내, (7월)담당자 보수교육
담당공무원, 단체
장애인복지과
 1월,7월
장애인 일자리 사업 안내 및 기관 컨설팅
  - (1월) 사업안내, (7월)담당자 보수교육
담당공무원, 단체
장애인복지과
2월
사업운영 실태조사 및 평가
- 산업기술진흥원
산업기술진흥원
과학기술과
2월
나노 1인창조기업 중간평가 및 졸업기업 평가
경기지방중소기업청, 경기도, 나노 1인창조기업 등
과학기술과
2~3월
사회적일자리 정책방향 및 2015년 신규사업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복지재단
사회적일자리과
2~12월
환경기업 컨설팅
담당공무원, 경기테크노파크, 환경기업
환경정책과
2~12월
장애인공공일자리 배치 효율화 방안 및 직무지도원파견사업의 효과적인 직무지도 업무모형 개발
경기복지재단
사회적일자리과
3월
센터 졸업기업 성과분석 및 성장지원 방안 수립
창업진흥원, 경기도, 나노 1인창조기업 등
과학기술과
3월, 6월
SW융합 R&BD 및 기술사업화 지원과제 모니터링, 판교테크노밸리 기업 수요조사
판교입주기업, 외부전문가
과학기술과
3~12월
환경기업 간담회 개최
담당공무원, 전문가, 기업 등
환경정책과
4월
GRRC 셀프리더 교육
GRRC 센터 행정원
과학기술과
6월
노인일자리사업 수행기관 모니터링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담당 공무원
사회적일자리과
6월
GRRC 성과평가 및 참여기업 만족도 설문조사
GRRC 센터 및 협회
과학기술과
6월
지식재산창출 지원 사업 개선방안 마련 위한 전문가 간담회
외부전문가, 담당공무원
과학기술과
8월
나노 1인창조기업 중간평가 및 졸업기업 평가
경기지방중소기업청, 경기도, 외부전문가
과학기술과
9월
실내공기질 무료측정 만족도 조사, 지원만족도 조사
도, 시군청 담당자 합동
기후대기과
9월
수료생 취업유지율 및 취업업체 만족도 조사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
일자리정책과
10월~11월
운영위원회 개최
- 사업운영 및 중요사항 의결(연 1~2회)
담당공문원, 유관기관
과학기술과
11월
경기TP 지역사업단 지원 사업 성과분석 및 활성화 방안 수립
외부전문가, 담당공무원
과학기술과
11, 12월
기술닥터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조사
외부기관 및 수혜기업
과학기술과
11, 12월
경기테크노파크 지역사업단 운영사업 성과분석
외부기관 및 수혜기업
과학기술과
12월
지식재산 창출지원 사업 성과평가 및 활성화방안 수립
외부전문가, 담당공무원
과학기술과
 3월~12월
소기업 임금체계 개편 컨설팅 및 아파트 경비직 근로자 노무관리 컨설팅
한국노총 경기본부,
경기경총, 지방고용노농관서,
관련 전문가 등
 일자리정책과
공정경제과


  ※ 경기도 일자리재단 출범시 관련부서 업무는 재단으로 이관하여 추진 


첨부자료 2016년 경기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공시).hwp
0.7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