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지원사업 2017년도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하이거 2017. 1. 11. 14:42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지원사업 2017년도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공고번호 2017-004 담당부서신재생에너지과 등록일2017-01-02

 

 http://www.motie.go.kr/motie/ne/announce2/bbs/bbsView.do?bbs_seq_n=64061&bbs_cd_n=6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7 - 4호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지원사업」의 2017년도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관련 규정 및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7. 1.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지원사업」
2017년도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1. 사업 목적

 □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 및 설치 기술 표준 개발, 성능시험장비 구축 지원 등을 통한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 및 보급 기반 구축

2. 지원 규모와 내용

 □지원 대상 분야 : 신재생에너지 분야

 □지원규모 : 1,560백만원

 □ 공모방식 : 지정공모

    * 과제를 지정하여 공모하고, 그 수행기관은 공모에 의하여 선정하는 방식

 □정부출연금 지원 비율 : 총 사업비의 100%까지

 □기술료 징수여부 : 비 징수
 □ 추진체계



산업통상자원부





전  담  기  관
(한국에너지공단)

평 가 위 원 회





주관기관
(총괄책임자)









참 여 기 관 1
(참여기관1 책임자)

참 여 기 관 2
(참여기관2 책임자)

참 여 기 관 N
(참여기관N 책임자)


 □신규지원 대상 과제 목록

구분
연번
분야
과 제 명
협약 시기
사업기간
인증
기반
구축

1
태양광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BIPV) 모듈 및 시스템에 대한 표준 및 인증기반 고도화
상반기
(‘17.3월)
▪과제별 총 수행기간 상이
 ‧ 1차년도 10개월
 ‧ 2~3차년도 12개월
2
태양광
태양광발전 연계용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대한 표준화 및 인증기반 구축
3
융복합
태양광열 복합모듈(PVT) 성능평가 기반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4
수력
유속측정계를 활용한 수력발전시스템 유량 및 효율측정법
5
기타
신재생에너지산업 기반조성 중장기 전략수립 연구
6
기타
신재생에너지 국제인증제도(IECRE)대응을 위한 중장기 시험인증 기반 구축
하반기
(‘17.7월)
‧ 1차년도 6개월
‧ 2차년도 12개월
국제표준화
7
태양광
태양광 국제표준화 기반조성
하반기
(‘17.10월)
‧ 1차년도 6개월
‧ 2차년도 9개월
‧ 3차년도 12개월
8
풍력
풍력 국제표준화 기반조성
9
연료
전지
수소‧연료전지기술 국제표준화 기반조성

※ RFP의 정부출연금은 최대 금액으로 평가결과(사업 내용)에 따라 지원 사업비는 평가위원회 및 협약시 조정 가능

※ 과제 세부사항은 [붙임] 제안요청서(RFP) 참조
※ 협약 시기 및 기간은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공모과제 중복성 제기

  ㅇ공모과제가 정부 또는 민간에 의해 기 지원ㆍ기 개발된 사실이 있는 경우 중복성을 제기할 수 있음

      ※ 정부 기 지원ㆍ개발 여부 확인 방법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의 “유사과제” → “유사과제 시작하기”

  ㅇ제기기간 : 2017.1.2(월) ~ 2017.2.3(금) 18:00
 
  ㅇ제기방법 : 제기기관 대표자 명의 공문 제출(관련 근거자료 첨부)

  ㅇ제 기 처 : (16842)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포은대로 388번지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육성실(Tel.031-260-4653)
 
3. 신청자격

 □ 신청자격 : 연구기관, 대학, 공공기관 등
  ㅇ 국·공립연구기관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ㅇ 「특정연구기관육성법」에 따른 특정연구기관
  ㅇ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기술대학
  ㅇ 「산업기술연구조합육성법」에 따른 산업기술연구조합
  ㅇ「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부출연연구기관
  ㅇ「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7조와 「같은 법 시행령」 제8조에 따른 기술지원 공공기관
  ㅇ「민법」 제32조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 법인
  ㅇ「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법인 또는 단체
  ㅇ기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법인 또는 단체

 □ 5번 과제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기반조성 중장기 전략 수립 연구」는 비영리기관 이외 민간기업 참여 가능

□ 사전 지원제외 대상
  ㅇ 전산접수증이 없는 경우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제20조의 과제수 및 참여율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
  ㅇ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별표3에 해당하는 경우
  ㅇ 공고에 명시된 신청자격 요건에 맞지 않는 경우
  ㅇ 사업계획서 및 제출 서류가 허위이거나 거짓인 경우
     * 선정 및 협약 후에도 허위 및 거짓이 발견된 경우 선정 취소 혹은 협약이 해지될 수 있음
  ㅇ 접수마감일 기준 제출서류 미비 시 지원제외 될 수 있음

4. 신청요령

 □ 신청방법

  ㅇ산업기술R&D 종합정보시스템(www.ernd.go.kr)에서 과제접수를 완료한 후 “온라인 과제관리” → “과제신청내역“에서 전산접수증을 출력하여 사업계획서 및 첨부서류를 우편 또는 인편으로 제출

 □ 신청절차
 
구    분
내     용
공고기간
2017.1.2(월) ~ 2017. 2.3(금)
전산 접수기간
2017. 1. 9(월) ~ 2017. 2 .3(금) 18:00 까지
신청서(사업계획서 등) 접수기간
2017. 1. 9(월) ~ 2017. 2. 3(금) 18:00 까지


  ㅇ전산 등록처 : 산업기술R&D 종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www.ernd.go.kr)

    ※ 전산 등록 마감일에는 전산폭주로 인하여 접수가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접수 요망

  ㅇ제 출 처 : (16842)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포은대로 388번지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육성실 신재생에너지표준화 및 인증지원 업무 담당자

    ※ 서류접수(우편)는 접수마감일 18시까지 도착분에 한함(전산접수증을 첨부하여 제출)
    ※ 우편물 표지에 공고번호, RFP번호, 신청과제명 등을 기재할 것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전산 등록기간에 미등록되어 전산접수증이 없는 과제의 경우는 신청서 접수 불가

 □ 사업계획서 및 관련양식 교부

  ㅇ양식교부 및 접수안내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홈페이지(www.knrec.or.kr) 공지사항 및 산업기술R&D 종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www.ernd.go.kr) 사업공고 참조

5. 평가절차 및 방법

 □ 평가절차

사업공고
(‘17.1월)

신청서 접수
(‘17.1~’17.2)

사전검토
(‘17.2월)

선정평가
(‘17.2월)
산업부

신청기관
→ 전담기관

전담기관

평가위원회
평가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17.2월)

신규과제 확정
(‘17.3월)

협약체결 및 정부출연금 지급
(‘17.3월)


전담기관

산업부

전담기관→주관기관


  ※ 상기일정은 사정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

  ㅇ 공고된 과제는 평가결과에 따라 선정되지 않을 수 있음

  ㅇ 조속한 사업진행을 위해 이의신청 기간은 통보일로부터 5일 이내로 함

 


□ 평가방법

  ㅇ (평가항목) 사업목표의 구체성, 수행능력 여부, 참여 정도, 효과 및 활용방안, 연구기반 확보 정도

  ㅇ (평가기준) 종합평점 60점 이상시“지원대상”, 60점 미만시“지원제외”

    * 평가위원은 신청기관의 신청과제 발표내용 등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점수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범위 내에서 선정

    * 한 과제에 신청한 2개 이상의 기관이 모두 60점 이상시 점수 순으로 선정

6. 관련 규정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 「산업기술혁신사업 사업비 산정, 관리 및 사용, 정산에 관한 요령」,「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산업기술혁신사업 연구윤리·진실성 확보 등에 관한 요령」 등

7. 유의사항

 □ 산업기술혁신평가단 신청

  ㅇ 신규과제로 선정된 경우, 협약체결 전까지 총괄책임자 및 참여기관 책임자는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제6조에 따른 산업기술혁신평가단에 신청하여야 함
 
 □ 참여연구원의 최소 참여율

  ㅇ 총괄책임자를 포함한 모든 참여연구원의 최소 참여율은 10% 이상이어야 함
 
 □ 기타 유의사항

  ㅇ 상기 공모과제 이외의 신청과제는 평가 대상에서 제외

  ㅇ 선정된 과제는 사업비(연구비) 및 개발기간이 평가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과제 추진 중 규정에 따라 특별평가 등을 통해 과제가 중단될 수 있음

  ㅇ 과제 수행기간 중 정부의 정책, 예산 또는 평가위원회의 평가 결과 등에 따라 정부출연금은 변경될 수 있음

  ㅇ 제출서류 허위 등이 발견될 경우,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및 「산업기술혁신사업 기반조성 평가관리지침」에 따라 처리함

8. 문의처


  ㅇ 사업계획서 전산 등록 관련 문의

   - 산업기술 R&D 종합정보시스템 PMS(☎ 042-712-9156)

    * 전산 등록 관련 문의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사업 문의는 아래 한국에너지공단으로 해주세요.


  ㅇ 과제 평가 및 접수 등 사업 관련 문의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육성실(☎ 031-260-4653)













[붙임] 신규 지원대상과제 제안요청서(RFP)


RFP1

과 제 명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BIPV) 모듈 및 시스템에 대한 표준 및 인증기반 고도화
사업기간
총 34개월 이내(1차년도 : 10개월, 2차년도 : 12개월, 3차년도, 12개월)
정부출연금
‘17년 390백만원 이내( 총 정부출연금 1,170백만원 이내)
 □ 세부내용
사업필요성
ㅇ 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등 관련 정책이 시행 중
 -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이하 BIPV) 시스템은 제로에너지건축물 달성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어 시장 성장 잠재력이 큼
ㅇ BIPV 모듈 및 시스템 시장 확대 등에 맞추어 성능 및 안전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도록 표준 및 인증기반 고도화 필요
최종목표
ㅇ BIPV 모듈 및 시스템 시장동향에 대한 조사 및 분석
ㅇ BIPV 모듈 및 시스템의 표준 및 인증기반 고도화 방안 마련(표준 및 인증방법 개선안 포함)
 - 국내외 BIPV 관련 종류 및 설치형태 등을 반영한 표준 및 인증방법 고도화
 - BIPV 모듈 및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표준 등 고도화
ㅇ BIPV 모듈 및 시스템 관련 국제 표준 활동
 - 국제 표준 선점 및 추진동향 파악 등을 위한 국제협력 활동 실시
주요내용
ㅇ 국내외 BIPV 관련 시장동향 조사·분석 및 표준화 로드맵 마련
 - 주요 제조기업, 시장규모, BIPV 시스템 및 모듈의 종류, 설치형태 등에 따른 보급현황 등 국내외 시장동향 조사 및 분석
 - BIPV 태양전지 종류에 따른 표준화 로드맵 마련*
    * 향후 시장 성장 가능성, 신규 기술개발 동향 등 향후전망 조사 및 분석 필요
ㅇ BIPV 모듈의 표준 및 인증기반 고도화 방안 마련(표준 및 인증방법 제안 포함)
 - BIPV 모듈의 종류, 설치방법 등에 따른 기술요소 등 조사 및 분석
 - BIPV 모듈 성능평가 표준의 시험방법 검증 및 고도화 방안 마련
 - BIPV 모듈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바이패스 다이오드 등 설계 표준화 방안 마련
 - BIPV 모듈의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표준, 정의, 종류, 시험방법, 인증방법 등 고도화 방안 마련
ㅇ BIPV 시스템 표준 고도화 방안 마련 및 시험기반 구축(표준 및 인증방법 제안 포함)
 - BIPV 시스템의 종류, 설치형태* 등에 따른 기술요소 등 조사 및 분석
     * 커튼월, 창호, 지붕, 외벽마감형, 차양형 등
 - BIPV 시스템 및 유사한 시스템(BAPV 등)의 개념정립과 분류방법 마련
 - BIPV 시스템의 종류 및 설치형태 등에 따라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표준, 정의, 종류, 시험방법, 인증방법 등 고도화 방안 마련(건축, 전기 관련 법 등을 고려)
 - BIPV 시스템 시험 기반 구축(시험장비 구축, 사양제안, 소급성 확보 등)
ㅇ BIPV 모듈 및 시스템에 대한 국제 표준화 관련 활동 및 동향 조사·분석
 - 국제 표준화 기구(IEC, ISO 등)에서 추진 중인 BIPV 모듈 및 시스템 관련 표준화 동향 조사 및 분석
 - BIPV 관련 표준 제안 활동 추진 등 국제 표준화 기구에 참여 및 활동
※ BIPV 모듈·시스템에 대한 표준 및 인증기반 고도화 모든 방안은 기업, 전문가 등 의견수렴 반드시 필요(기업 및 전문가 회의, 공청회 등 개최 필요)


RFP2

과 제 명
태양광발전 연계용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대한 표준화 및 인증기반 구축
사업기간
총 22개월 이내(1차년도 : 10개월, 2차년도 : 12개월)
정부출연금
‘17년 325백만원 이내( 총 정부출연금 650백만원 이내)
 □ 세부내용
사업필요성
ㅇ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발전 정책에 따라 에너지저장장치(이하 ESS)의 활용 필요성이 증대
 - ‘16년부터 태양광발전소에 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해 생산한 전기에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5.0을 부여

ㅇ ESS 표준화 및 인증기반 구축을 통해 안전 및 성능을 확보하고 관련 산업 표준화에 기여
최종목표
ㅇ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 표준화 및 인증기반 구축(표준 및 인증방법 포함)
 -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 설비 표준화 방안 마련
 -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 설비 시험 및 인증 방법 마련을 통한 인증기반 구축

ㅇ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 설치방법 표준화 방안 제안
 -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안전 및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ESS 설치 및 설계 방안 마련(ESS, PCS, EMS 등과 연계되는 설계 및 설치 방법 등)
주요내용
ㅇ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 국내외 시장환경 및 인증동향 조사·분석
 - 국내외 제품출시 및 개발현황, 주요 제조기업, 시장규모, 보급동향 등 시장 환경 조사 및 분석
 - 국내외 인증기관, 인증 방법 및 기준 등 인증동향 조사 및 분석

ㅇ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 표준안 개발 및 인증기반 구축(표준 및 인증방법 포함)
 - 국내외 ESS 종류별 특성 및 시험방법 조사·분석
 - 국내외 ESS 관련 표준 현황 및 동향 조사·분석
 - 국내외 ESS 표준, 시험 및 인증방법 등을 고려하여 국내 산업계 실정에 적합한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 종류별 표준안 마련 및 인증체계 구축*
    * 국내 관련 표준, 인증 등과의 중복성 및 연계성 등 고려
 - ESS 시험 기반 구축(시험장비 구축, 사양 제안, 소급성 확보 등)

ㅇ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 설치 및 설계 표준화 방안 제시
 - 태양광발전 시스템 차원에서 ESS가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의 성능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설치 및 설계 표준화 방안 도출(PCS, EMS 등 연계성 고려)

ㅇ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에 대한 국제 표준화 활동 및 동향 조사·분석
 - 국제 표준화 기구(IEC 등)에서 추진 중인 ESS 관련 표준화 동향 조사 및 분석
 - ESS 관련 표준 제안 활동 추진 등 국제 표준화 기구에 참여 및 활동

※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에 대한 표준 및 인증기반 구축 방안은 기업, 전문가 등 의견수렴 반드시 필요(기업 및 전문가 회의, 공청회 등 개최 필요)


RFP3

과 제 명
태양광열 복합모듈(PVT) 성능평가 기반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사업기간
총 10개월 이내 (1차년도 : 10개월 이내)
정부출연금
‘17년 208백만원 이내(총 정부출연금 208백만원 이내)
 □ 세부내용
사업필요성
ㅇ 최근 태양광 모듈과 태양열 집열기를 결합한 형태의 태양광열 복합모듈(PVT; Photovoltaic-Thermal) 관련 연구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성능평가 기반구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보급 확대에 한계

ㅇ 신규 기술개발 제품에 대한 성능평가 기반을 선제적으로 구축함으로써 변화하는 국내외 시장 환경에 대응 가능
최종목표
ㅇ 태양광열 복합모듈(PVT) 성능평가 기반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 KS인증을 위한 성능평가 기반구축의 타당성 조사 및 향후 기반구축을 위한  방향성 제시
주요내용
ㅇ 태양광열 복합모듈 관련 국내외 보급 및 산업동향 조사·분석
 - 국내외 기존 제품현황, 업체현황 등 관련 시장환경(시장규모 등) 조사·분석
 - 국내외 기술개발 및 사업화 동향 조사·분석

ㅇ 태양광열 복합모듈 인증 관련 현황 조사·분석 및 국내 적용방안 제시
 - 국내외 관련 표준 및 인증제도 조사, 국내외 성능평가 결과 수집 및 분석
 - 태양광열 복합모듈 성능평가 관련 국제 표준화 동향 조사 및 국제 표준 작업반 활동 참여 등을 통해 국내 적용방안 제시 등

ㅇ 태양광열 복합모듈 성능평가 기반구축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방향성 제시
 - 태양광열 복합모듈 성능평가 기반구축의 필요성 및 타당성 조사·분석
 -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정의 및 범위 설정(표준모델 개발 등)
 - 시험항목 및 시험조건, 시험절차, 장비구축 필요사항 등 기반구축을 위한 방안 제시
 - 국내외 제품의 기초적인 성능평가(태양광·태양열 효율시험 및 주요항목 품질시험 등) 실시를 통해 제시한 기반구축 방안에 대해 검증·보완
 - 태양광열 복합모듈 성능평가 기반구축 방안에 대한 전문가 및 업계 의견수렴

ㅇ 태양광열 복합모듈 기반구축을 통한 관련산업 활성화 방안 제시 및 기대효과 분석

RFP4

과 제 명
유속측정계를 활용한 수력발전시스템 유량 및 효율측정법
사업기간
총 22개월 이내(1차년도 : 10개월, 2차년도 : 12개월)
정부출연금
‘17년 260백만원 이내(총 정부출연금 455백만원 이내)
 □ 세부내용
사업필요성
ㅇ국내 소수력 발전소 중 유입형상이 커 유량 측정이 사실상 불가능한 설비들이 다수 존재하여 정확한 효율측정 및 성능평가가 불가능
ㅇ큰 유입형상을 갖는 저낙차용 소수력 개발 확대 및 관련 산업 기술수준 경쟁력 제고를 위해 관련 측정방법 연구개발 필요
최종목표
ㅇ유입형상이 큰 저낙차용 수력발전(낙차 30m 이내 반동수차타입)에 대하여 유속측정계를 활용한 수력시스템 효율측정법 기술기준(안) 수립
주요내용
ㅇ 유속측정계를 활용한 수력발전시스템 유량 및 효율측정법 기반구축
 - 유속측정계 활용 해외 사례 조사 및 국내 적용 방안 마련
 - 유속측정계 형식 및 요구사항 등 적정 사양 검토
 - 유속측정계를 활용한 유량측정시스템 도입 및 관련 교육 실시
 - 다양한 유속측정계 마운팅 형식 및 유속범위 검토
 - 유속측정계 교정방안 검토 및 시험실 교정 실시

ㅇ 유속측정계를 활용한 수력시스템 유량 및 효율측정 테스트 실시
 - 유속측정계 활용이 가능한 수력 사이트 검토 및 선정
 - CFD해석 검토를 통한 측정단면 유속분포 및 적정 측정위치 검토
 - 유속측정계 및 타 유량 측정법에 대한 측정 결과 비교 검토

ㅇ 유속측정계를 활용한 수력시스템 유량 및 효율 측정법 국내 시험기준(안) 수립
 - 해외 선진기관의 효율 측정법 자료 조사
 - 유량 측정을 위한 유속-면적법 측정법 검토
 - 국내 시험기준(안) 초안 수립 및 테스트를 통한 보완
 - 유속측정계를 활용한 국내 시험기준(안) 수립

ㅇ 신·재생에너지 수력설비 시공기준 개정(안) 마련
 - 국내·외 수력설비 설치 및 제조현황 조사
 - 선진국의 시공기준 현황 및 적용사례 조사
 - 수력설비 시공기준(안) 마련 및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RFP5

과 제 명
신재생에너지산업 기반조성 중장기 전략 수립 연구
사업기간
총 10개월 이내 (1차년도 : 10개월 이내)
정부출연금
‘17년 260백만원 이내 (총 정부출연금 260백만원 이내)
 □ 세부내용
사업필요성
ㅇ 신재생에너지산업의 핵심적인 기술의 지속적 확보 및 세계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산업 기반조성분야에 대한 전략적 추진과 정책목표에 부합한 성과창출
ㅇ 산업정책 및 기술동향 등을 고려한 사업별 지원분야 발굴 및 중장기적으로 확보가 필요한 핵심기술 도출
ㅇ 산업기술의 패러다임 전환과 정부의 국정기조를 반영하는 전략수립 등
최종목표
ㅇ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지원사업 중장기 전략 수립
주요내용
ㅇ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현황조사
  -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활용조사, 문제점 정의
ㅇ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기반 로드맵 수립을 위한 국내외 밸류체인*별 현황 조사 및 비교 분석
    * 밸류체인 : 기술개발 → 실증 → 표준화 → 인증 →보급 → 수출
  - 신재생에너지 원별 기술 현황조사, 표준화 및 인증기반구축 현황, 보급(정부제도 및 지원), 내수 및 수출 현황 국내외 현황조사 및 비교 분석
  - 신재생에너지 원별 기술 및 개발 제품 단계(실증, 실용화, 보급 등) 분석
  - 국가별 보급사업과 연계된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제도 비교분석
ㅇ 국내 환경변화 및 정책방향 분석 
  - 신정부 정책기조 및 산업부 기반조성사업 정책방향 조사
  - 민간의 현장수요 파악
  - 기술로드맵과의 전략적 연계방안 수립
  - 신재생에너지 정부 정책 및 기반조성 정책과의 연계방안 수립
ㅇ 사업별 미래 중장기 전략 수립 (Working Group, 전문가 의견 반영)
  - 미래환경 예측 및 글로벌 트렌드 파악
  - 주요 이슈 Targeting
  - 비전 및 목표, 전략 및 투자방향, 전략과제 설정(전략체계도 수립)
  - 밸류체인 현황 및 정책 방향 연계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기반조성 단기 및 중장기전략 수립


RFP6

과 제 명
신재생에너지 국제인증제도(IECRE)대응을 위한 중장기 시험인증 기반 구축
사업기간
총 18개월 이내(1차년도 : 6개월, 2차년도 : 12개월)
정부출연금
1차년도 195백만원 이내( 총 정부출연금 520백만원 이내)
 □ 세부내용
사업필요성
ㅇ 2016년 11월부터 국제적 상호인정 체제에서 풍력분야 인증서 발행이 시작되어 국내 신재생에너지시장보호 필요
ㅇ 산업계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보호 장치인 국내 인증기관, 시험기관 및 검사기관의 신청이 없는 상황에서 중․장기적으로 전략적인 대응방안 수립 필요
최종목표
ㅇ 본격적인 신재생에너지 국제인증제도 시행에 대비하여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실태조사 및 대응방안 도출
주요내용
ㅇ 신재생에너지 국제인증제도의 한국 도입에 대한 경제성분석
 - IECRE의 국내도입에 따른 거시경제모형을 이용한 모델 수립 및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새로운 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파급효과를 확인하고 도입 필요성을 확인
ㅇ 신재생에너지 국제인증제도의 도입을 위한 중장기 전략수립
 - 영국은 국내법 체계와 IECRE의 운영시스템 상충을 이유로 풍력 인증기관  신청을 포기하고, 프랑스는 태양광 회원에서 탈퇴하는 등 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진입여부를 결정하고 있음. 따라서 우리나라의 산업 역량분석을 통해 국제인증제도 대응에 단계적 대응방안 수립 필요
ㅇ 국제적 선진 인증기관과의 전략적인 협력체계 구축
 - 이미 산업이 성숙된 유럽과 미국 등의 인증기관과의 협력 및 교류 활성화로 선진 인증체계의 도입을 가속화하고 산업계의 해외진출 지원을 연계하는 체계구축 필요
ㅇ 신재생에너지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 RE시스템은 전력 발전과 토목구조물, 기계구조물, 센서, 프로세싱과 신호 같은 시스템의 다수 요소로 이루어져 전문적인 기술 및 인증인력의 확보가 국내 시험인증산업의 기반구축에 필수적인 요건임
ㅇ 국내 태양광발전소에 대한 IECRE 모의평가를 통해 국내 산업계 기술역량 파악 및 개선방향 도출
 - 국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IECRE 인증제도에 대응하고자 국내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소에 대한 모의평가를 실시하여 현재의 설계, 시공, 운영 등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수준을 점검하고 이를 통하여 개선해야 할 내용을 도출하고 이를 산업계에 적용함


RFP7

과 제 명
태양광 국제표준화 기반조성
사업기간
총 27개월 이내 (1차년도 : 6개월, 2차년도 : 9개월, 3차년도 : 12개월)
정부출연금
‘17년 130백만원 이내 (총 정부출연금 585백만원 이내)
 □ 세부내용
사업필요성
ㅇ신재생에너지 기술 기준 및 인증 표준 관련 국제표준화 지원을 통한 국내 산업의 기술개발 유도 및 경쟁력 확보
ㅇ국제표준 동향 분석을 통한 국가표준 부합화 및 국내 기업의 상황을 고려한 국제표준 대응 등을 통해 국내 산업 육성 및 수출 경쟁력 강화
최종목표
ㅇ국내 산학연 전문가 상설위원회 구성·운영
ㅇ국제표준 문서 검토, 표준 제‧개정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토, 신규표준 발굴 등을 통한 국제표준 대응
ㅇ태양광 국제 표준화 동향 분석 보고서(반기별) 작성
ㅇ국제표준 조사 분석 결과 공유 강화를 위한 정기적 워크숍 및 세미나 개최
ㅇ태양광 분야 국제표준 제‧개정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토
주요내용
ㅇ상설 위원회와 IEC TC 82 WG 별 전문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 국내외 정기적인 회의 통해 주요이슈 등에 대한 논의ㆍ검토 수행
 - 기업 참여 활성화를 위해 위원회에 포함 또는 기업협의체 구성 및 교류

ㅇ전략적 국제표준 대응
 - WG의 지속적인 참석과 표준문서의 정밀검토를 통하여 국내의 여건과 의견 반영
 - 국제표준 단계, 국내표준 제‧개정 현황 분석,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토 등을 통해 필요 국내 부합화 표준 제시(국내 기업 의견 반영 必)
 - 신규제안 국제표준 발굴 및 국제표준 개발 과제 제시(전문가회의, 공청회 필수)
 - 태양광 국제 표준화 대응 및 동향 조사 분석 보고서(반기별) 제출
   * 보고서 학회지 발표 및 관련 내용 온오프라인을 통한 보급 전파

ㅇ표준화 정보 공유 및 기술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기적 워크숍 및 세미나 개최
 - 최소 1회는 신재생에너지 원별 통합 워크숍으로 추진


RFP8

과 제 명
풍력 국제표준화 기반조성
사업기간
총 27개월 이내 (1차년도 : 6개월, 2차년도 : 9개월, 3차년도 : 12개월)
정부출연금
‘17년 130백만원 이내 (총 정부출연금 585백만원 이내)
 □ 세부내용
사업필요성
ㅇ신재생에너지 기술 기준 및 인증 표준 관련 국제표준화 지원을 통한 국내 산업의 기술개발 유도 및 경쟁력 확보
ㅇ국제표준 동향 분석을 통한 국가표준 부합화 및 국내 기업의 상황을 고려한 국제표준 대응 등을 통해 국내 산업 육성 및 수출 경쟁력 강화
최종목표
ㅇ국내 산학연 전문가 상설위원회 구성·운영
ㅇ국제표준 문서 검토, 표준 제‧개정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토, 신규표준 발굴 등을 통한 국제표준 대응
ㅇ풍력 국제 표준화 동향 분석 보고서(반기별) 작성
ㅇ국제표준 조사 분석 결과 공유 강화를 위한 정기적 워크숍 및 세미나 개최
ㅇ풍력 분야 국제표준 제‧개정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토
주요내용
ㅇ상설 위원회와 IEC TC 88 WG 별 전문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 국내외 정기적인 회의 통해 주요이슈 등에 대한 논의ㆍ검토 수행
 - 기업 참여 활성화를 위해 위원회에 포함 또는 기업협의체 구성 및 교류

ㅇ전략적 국제표준 대응
 - WG의 지속적인 참석과 표준문서의 정밀검토를 통하여 국내의 여건과 의견 반영
 - 국제표준 단계, 국내표준 제‧개정 현황 분석,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토 등을 통해 필요 국내 부합화 표준 제시(국내 기업 의견 반영 必)
 - 신규제안 국제표준 발굴 및 국제표준 개발 과제 제시(전문가회의, 공청회 필수)표준 발굴 등을 통한 국제표준 개발 과제 제시(전문가회의, 공청회 필수)
 - 풍력 국제 표준화 대응 및 동향 조사 분석 보고서(반기별) 제출
   * 보고서 학회지 발표 및 관련 내용 온오프라인을 통한 보급 전파

ㅇ표준화 정보 공유 및 기술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기적 워크숍 및 세미나 개최
 - 최소 1회는 신재생에너지 원별 통합 워크숍으로 추진


RFP9

과 제 명
수소‧연료전지기술 국제표준화 기반조성
사업기간
총 27개월 이내 (1차년도 : 6개월, 2차년도 : 9개월, 3차년도 : 12개월)
정부출연금
‘17년 130백만원 이내 (총 정부출연금 585백만원 이내)
 □ 세부내용
사업필요성
ㅇ신재생에너지 기술 기준 및 인증 표준 관련 국제표준화 지원을 통한 국내 산업의 기술개발 유도 및 경쟁력 확보
ㅇ국제표준 동향 분석을 통한 국가표준 부합화 및 국내 기업의 상황을 고려한 국제표준 대응 등을 통해 국내 산업 육성 및 수출 경쟁력 강화
최종목표
ㅇ국내 산학연 전문가 상설위원회 구성·운영
ㅇ국제표준 문서 검토, 표준 제‧개정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토, 신규표준 발굴 등을 통한 국제표준 대응
ㅇ수소·연료전지기술 국제 표준화 동향 분석 보고서(반기별) 작성
ㅇ국제표준 조사 분석 결과 공유 강화를 위한 정기적 워크숍 및 세미나 개최
ㅇ수소·연료전지기술 분야 국제표준 제‧개정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토
주요내용
ㅇ상설 위원회와 ISO TC 197 WG 및 IEC TC 105 WG별 전문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 국내외 정기적인 회의 통해 주요이슈 등에 대한 논의ㆍ검토 수행
 - 기업 참여 활성화를 위해 위원회에 포함 또는 기업협의체 구성 및 교류

ㅇ전략적 국제표준 대응
 - WG의 지속적인 참석과 표준문서의 정밀검토를 통하여 국내의 여건과 의견 반영
 - 국제표준 단계, 국내표준 제‧개정 현황 분석,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토 등을 통해 필요 국내 부합화 표준 제시(국내 기업 의견 반영 必)
 - 신규제안 국제표준 발굴 및 국제표준 개발 과제 제시(전문가회의, 공청회 필수)
 - 수소·연료전지기술 국제 표준화 대응 및 동향 조사 분석 보고서(반기별) 제출
   * 보고서 학회지 발표 및 관련 내용 온오프라인을 통한 보급 전파

ㅇ표준화 정보 공유 및 기술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기적 워크숍 및 세미나 개최
 - 최소 1회는 신재생에너지 원별 통합 워크숍으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