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마켓 심층분석 리포트] MIPCOM 및 기타 해외콘텐츠산업동향[한국콘텐츠진흥원]
장르 애니,방송 등록일2017-10-20
http://www.kocca.kr/cop/bbs/list/B0000153.do?menuNo=200911
번호 | 제목 | 첨부 | 등록일 | 조회 |
---|---|---|---|---|
13387 | [글로벌 마켓 심층분석 리포트] MIPCOM | ![]() | 2017-10-20 | 18 |
13386 | [글로벌 마켓 심층분석 리포트] 프랑크푸르트도서전 | ![]() | 2017-10-17 | 94 |
13385 | [글로벌 마켓 심층분석 리포트] 브랜드라이선싱유럽(BLE) | ![]() | 2017-10-17 | 99 |
13384 | [미국] 미국콘텐츠산업동향(2017년 19호) | ![]() | 2017-10-13 | 302 |
13383 | [일본] 일본콘텐츠산업동향(2017년 15호) | ![]() | 2017-10-13 | 248 |
13382 | [중동] 중동콘텐츠산업동향(2017년 9호) | ![]() | 2017-10-10 | 247 |
13381 | [일본] 일본콘텐츠산업동향(2017년 14호) | ![]() | 2017-10-10 | 288 |
13380 | [일본] 일본콘텐츠산업동향(2017년 13호) | ![]() | 2017-10-10 | 276 |
13379 | [중국] 중국콘텐츠산업동향(2017년 16호) | ![]() | 2017-09-29 | 545 |
13378 | [유럽] 유럽콘텐츠산업동향(2017년 17호) | ![]() | 2017-09-29 | 369 |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목 차>
Ⅰ. MIPCOM 마켓 정보 ········································································ 1
1. 기본정보 ·········································································································· 1
(1) 행사개요 ············································································································· 1
(2) 프로그램 ············································································································· 2
(3) 행사규모 ············································································································· 3
(4) 비즈니스 팁 ······································································································· 4
2. 주요 프로그램 ································································································ 5
(1) 글로벌 콘텐츠 트렌드 ····················································································· 5
(2) 디지털 배급 ······································································································· 7
(3) 인더스트리 스포트라이트 ··············································································· 8
(4) 4K 울트라 HD ·································································································· 9
3. 참가업체 정보 ······························································································ 11
(1) 핵심바이어 ······································································································· 11
(2) 일반참가사 ······································································································· 18
Ⅱ. 글로벌 방송/애니메이션 산업 현황 및 트렌드 ······················· 28
1. 글로벌 방송/애니메이션 산업 현황 ························································ 28
(1) 글로벌 방송시장 규모 및 전망 ··································································· 28
(2) 글로벌 애니메이션시장 규모 및 전망 ························································ 31
(3) 국내 방송/애니메이션 콘텐츠 수출 현황 ·················································· 33
2. 글로벌 방송/애니메이션 산업 트렌드 및 이슈 ····································· 36
(1) 유료 TV와 OTT 산업 현황 ········································································· 36
(2) SVOD 사업자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경쟁 ··········································· 40
(3) 방송 시청 습관의 변화와 인기 콘텐츠 현황 ············································ 43
(4) 방송 기술의 발전과 콘텐츠의 변화 ···························································· 47
(5) 국내 방송/애니메이션 콘텐츠 유럽 진출 사례 ········································ 50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표 목차>
[표 Ⅱ-1] 2013-2020년 글로벌 방송시장 규모 및 성장률 전망 ····························· 28
[표 Ⅱ-2] 2015년 주요국가 방송콘텐츠 수출액 ·························································· 30
[표 Ⅱ-3] 2013-2020년 글로벌 애니메이션시장 규모 및 성장률 전망 ·················· 31
[표 Ⅱ-4] 2013-2015년 국내 방송 산업 수출입 현황 ··············································· 33
[표 Ⅱ-5] 2013-2015년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 수출입 현황 ··································· 34
<그림 목차>
[그림 Ⅰ-1] 2016년 MIPCOM 국내 참가사 장르별/지역별 수출 실적 ···················· 3
[그림 Ⅱ-1] 2016 vs. 2020년 세계 3대 애니메이션시장 점유율 변화 ·················· 32
[그림 Ⅱ-2] 2015년 국내 방송/애니메이션 콘텐츠 해외 수출방법 ························· 35
[그림 Ⅱ-3] 2010 vs. 2016년 플랫폼별 TV 가구 수 및 유료 TV 가입자 추이 36
[그림 Ⅱ-4] 권역별 OTT TV/비디오 시장규모 및 전망 ··········································· 37
[그림 Ⅱ-5] 플랫폼별 SVOD 가입자 수 현황 및 전망 ·············································· 38
[그림 Ⅱ-6] 넷플릭스와 아마존의 오리지널 프로그램 편당 제작비 ························ 41
[그림 Ⅱ-7] 미국 내 톱10 디지털 오리지널 TV 프로그램 ······································· 41
[그림 Ⅱ-8] 기기별/연령별 TV 시청 습관 ··································································· 43
[그림 Ⅱ-9] 2017년 미국 성인층의 스마트폰 및 TV 이용 현황 ····························· 44
[그림 Ⅱ-10] 2016년 북미 지역 장르별 콘텐츠 수요 점유율 ·································· 45
[그림 Ⅱ-11] 2016년 유럽 내 콘텐츠 수요 상위 25개 채널 ···································· 46
[그림 Ⅱ-12] 2016년 메이저 스튜디오의 콘텐츠 수요 점유율 ································ 46
[그림 Ⅱ-13] 2015-2020년 전 세계 4K TV 판매량 추이 ········································ 48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
Ⅰ. MIPCOM 마켓 정보
1. 기본정보
(1) 행사개요
행사명 밉컴(MIPCOM)
기간 2017년 10월 16일(월) ~ 19일(목)
장소 Palais des Festivals (프랑스 칸)
주최/주관 리드미뎀(Reedmidem)
후원/파트너
.플래티넘/글로벌 파트너
.컨퍼런스/이벤트 파트너
.컨퍼런스 미디어 파트너
행사성격
세계 최대 방송영상 마켓으로 전시 행사 외에 비즈니스 네트워
킹, 컨퍼런스, 스크린 상영 등이 이뤄짐
홈페이지
http://www.mipcom.com/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
(2) 프로그램
프로그램 세부내용
컨퍼런스
Media
Mastermind
Keynotes
.HBO, Sky, Movistar+, 스튜디오 램지(Studio
Ramsay), 내셔널 지오그래픽 글로벌 네트워크, 페이스
북 등에 소속된 기조연설자들이 진행함
.일시 : 10월 16일(월) ~ 18일(수)
Global Content
Trends
.업계 영향력 있는 글로벌 리더들과 창작자들이 콘텐츠
산업의 미래에 관한 비전 제시
.일시 : 10월 16일(월) ~ 19일(목)
Digital
Distribution
.더 많은 시청자를 확보할 수 있는 OTT 배급 전략 및
VR에 관한 최신 트렌드 소개
.일시 : 10월 16일(월) ~ 17일(화)
Industry
Spotlight
.Canada Media Fund/Telefilm Canada, 3C, RT,
TIVO, NAGRA가 진행함
.NAGRA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적절한 비즈니스 모델과
저작권 침해 이슈에 대해 논의함
.일시 : 10월 16일(월) ~ 18일(수)
4K Ultra HD
.전 세계 선도적 프로듀서 및 방송관계자들의 UHD/
HDR(High Dynamic Range) 기술 현황을 업데이트함
.일시 : 10월 16일(월) ~ 19일(목)
Russian Content
Revolution
.러시아 드라마 스크리닝, 쇼케이스 및 러시아 탤런트를
만날 수 있는 기회 제공
.일시 : 10월 16일(월) ~ 18일(수)
전시
.바이어 수 : 약 4,825명 (VOD/디지털 바이어 1,600명)
.전시업체 수 : 1,967개
.전시장 규모 : 24,398m²
스크리닝
.월드 프리미어 TV 스크리닝을 통해 모든 장르의 최신.
최고의 TV 및 온라인 콘텐츠를 볼 수 있는 기회 제공
.일시 : 10월 15일(일) ~ 18일(수)
네트워킹
.MIPCOM이 운영하는 매치메이킹 프로그램은 방송 산
업 내 핵심 결정권자들 및 콘텐츠 창작자들을 만나 비
즈니스의 기반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
(3) 행사규모
프로그램 2014 2015 2016
참가국수 110개국 103개국 109개국
총 참관객수 13,800명 14,252명 13,612명
기업참가자 4,623명 4,353명 5,001명
전시업체 2,644개사 2,000개사 2,005개사
한국 참가업체
방송 19개사 17개사 21개사
애니 38개사 28개사 30개사
계약실적
방송 14,085천 달러 14,907천 달러 13,692천 달러
애니 25,771천 달러 36,423천 달러 50,369천 달러
[그림 Ⅰ-1] 2016년 MIPCOM 국내 참가사 장르별/지역별 수출 실적1)
<장르별> <지역별>
1)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16년 MIPCOM에 참가한 15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서면인터뷰에 근거해 작성
한 자료임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
(4) 비즈니스 팁
▣ 온라인 매치메이킹
. MIPCOM이 운영하는 매치메이킹 프로그램은 방송 산업 내 핵심 결정권자들 및 콘
텐츠 창작자들을 만나 비즈니스의 기반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함. MIPCOM의 독점적
온라인 툴을 통해 마켓 기간 전에 비즈니스 파트너와 미팅 약속을 잡을 수 있음
▣ 주요 네트워킹 프로그램
일자 시간 주제
10월
15일(일) 19:30~
.MIPCOM PRE-OPENING GALA DINNER
.TV AZTECA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개최
.초청자만 참석 가능
10월
16일(월)
12:30~
14:30
.SUMMIT & EVENT: WOMEN IN GLOBAL
ENTERTAINMENT POWER LUNCH
.A+E Network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개최
.초청자만 참석 가능
.장소 : MAJESTIC HOTEL
19:30~
23:30
.MIPCOM OPENING PARTY
.장소 : INTERCONTINENTAL CARLTON HOTEL
10월
18일(수) 20:00~
.MIPCOM PERSONALITY OF THE YEAR GALA DINNER
.초청자만 참석 가능
.장소 : INTERCONTINENTAL CARLTON HOTEL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
2. 주요 프로그램
(1) 글로벌 콘텐츠 트렌드(Global Content Trends)
▣ 기본정보
이벤트 종류 컨퍼런스
개최일시 2017년 10월 16일(월) ~ 19일(목)
개최장소 Esterel, Auditorium A, Grand Auditorium
▣ 프로그램 세부 내용
일자 시간 주제
10월
16일(월)
9:15~
9:45
.GLOBAL OVERVIEW
.장소 : Esterel
10:00~
10:45
.DEFINING A HIT: NEW METRICS FOR SUCCESS
.행사 후 ‘연사와의 만남’ 있음
.장소 : Esterel
10:00~
11:15
.SUCCESSFUL CONTENT IN THE MIDDLE EAST
.가벼운 아침식사 제공 (9:30~10:00)
.장소 : Auditorium A
11:00~
11:30
.OVER HERE! STANDING OUT IN THE CROWDED OTT
SPACE
.행사 후 ‘연사와의 만남’ 있음
.장소 : Esterel
14:30~
15:15
.POWER SHIFTS: WHO WILL TAKE THE THRONE OF
DRAMA?
.장소 : Esterel
15:30~
16:15
.BEYOND COPRODUCTION: MAKING GLOBAL CREATIVE
CONNECTIONS
.장소 : Esterel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6
일자 시간 주제
10월
17일(화)
9:15~
9:45
.GLOBAL DRAMA: IT’S TIME FOR AFRICA!
.장소 : Auditorium A
9:15~
9:50
.FORMATS: THE NEW CREATIVE HORIZON
.장소 : Esterel
10:00~
10:40
.ORIGINALS: THE QUEST FOR BRAND DEFINING
CONTENT
.장소 : Esterel
10:00~
10:45
.A NEW ERA FOR CONTENT AND PARTNERSHIP IN
TURKEY
.제공 : Turkey Home of Content
.장소 : Auditorium A
15:30~
16:15
.HOW TO SPOT . AND FINANCE . THE INDUSTRY’S
NEXT TOP TALENT
.장소 : Esterel
10월
18일(수)
9:15~
9:45
.HOW WILL THE EUROPEAN DIGITAL SINGLE MARKET
AFFECT MY BUSINESS?
.행사 후 ‘연사와의 만남’ 있음
.장소 : Auditorium A
10:00~
11:30
.MEDIA PROGRAMME BEYOND 2020: CONNECTING
CONTENT, FINANCING AND AUDIENCES
.장소 : Auditorium A
12:15~
13:00
.ACQUISITION SUPERPANEL - WHAT DO
PROGRAMMERS WANT?
.제공 : THE WORLD SCREEN CONTENT TRENDSETTER
AWARD
.장소 : Grand Auditorium
10월
19일(목)
10:00~
12:00
.SESSIONS & WORKSHOPS
.장소 : Auditorium A
14:00~
15:00
.TRENDING TOPICS: THE MOST BUZZWORTHY TRENDS
OF THE MARKET
.장소 : Auditorium A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7
(2) 디지털 배급(Digital Distribution)
▣ 기본정보
이벤트 종류 컨퍼런스
개최일시 2017년 10월 16일(월) ~ 17일(화)
개최장소 Auditorium A, Verriere Californie
▣ 프로그램 세부 내용
일자 시간 주제
10월
16일(월)
14:15~
14:45
.CINEMATIC VR: BUYING IT, SELLING IT AND
FUNDING IT
.장소 : Auditorium A
14:50~
15:20
.THE BEST OF VR CONTENT
.장소 : Auditorium A
10월
17일(화)
9:30~
11:00
.VR INSIGHTS
.장소 : Verriere Californie
14:00~
14:45
.OTT PLATFORMS: A DISTRIBUTION EL DORADO FOR
LIVE CHANNELS & NICHE CONTENT?
.장소 : Auditorium A
15:00~
15:30
.SUCCESSFUL DISTRIBUTION STRATEGIES IN AFRICA
.장소 : Auditorium A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8
(3) 인더스트리 스포트라이트(Industry Spotlight)
▣ 기본정보
이벤트 종류 컨퍼런스
개최일시 2017년 10월 16일(월) ~ 18일(수)
개최장소 Verriere Californie
▣ 프로그램 세부 내용
일자 시간 주제
10월
16일(월)
15:30~
16:00
.INDUSTRY SPOTLIGHT
.제공 : Canada Media Fund / Telefilm Canada
.장소 : Verriere Californie
17:00~
18:00
.INDUSTRY SPOTLIGHT
.제공 : 3C
.장소 : Verriere Californie
10월
17일(화)
17:15~
17:45
.INDUSTRY SPOTLIGHT
.제공 : RT
.행사 후 칵테일 제공
.장소 : Verriere Californie
10월
18일(수)
10:30~
11:00
.INDUSTRY SPOTLIGHT
.제공 : TIVO
.장소 : Verriere Californie
14:00~
14:30
.STREAMING PIRACY: CAN YOUR BUSINESS MODEL
SURVIVE?
.제공 : NAGRA
.장소 : Verriere Californie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9
(4) 4K 울트라 HD(4K Ultra HD)
▣ 기본정보
이벤트 종류 컨퍼런스
개최일시 2017년 10월 16일(월) ~ 19일(목)
개최장소 Sony 4K Ultra HD Theatre
▣ 프로그램 세부 내용
일자 시간 주제
10월
16일(월)
9:45~
10:30
.WELCOME INTRODUCTION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0:30~
11:15
.IHS DELIVERS THE STATE OF THE UHD MARKET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4:15~
15:15
.THE BEST MUSIC IN UHD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5:30~
16:30
.NHK JAPAN: THE ROAD MAP FOR UHD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6:30~
17:00
.TV ASAHI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7:00~
17:30
.KANSAI-TV: PRODUCING IN UHD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0월
17일(화)
9:15~
10:00
.SPAIN, AND ITS COMMITMENT TO UHD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0:15~
11:00
.KEYNOTE: SKY AND THE FUTURE OF UHD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0
일자 시간 주제
10월
17일(화)
14:00~
15:00
.BLUE PLANET II, IN BREATHTAKING UHD/HDR FROM
THE BBC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5:15~
16:15
.SPECTACULAR SPORTS AND ACTION IN UHD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6:30~
17:00
.JAPAN’S FUJI TV NETWORK: PRODUCING IN UHD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7:00~
17:30
.NTT PLALA AND THEIR IPTV/ VOD UHD
PRODUCTIONS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0월
18일(수)
9:15~
10:15
.MAGNIFICENT FACTUAL ENTERTAINMENT IN
UHD/HDR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0:30~
11:30
.INSIGHT-TV, DELIVERING UHD TO A GLOBAL
AUDIENCE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4:00~
14:45
.MORE FACTUAL ENTERTAINMENT 2 IN
SPECTACULAR UHD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0월
19일(목)
10:00~
11:00
.UHD: THE LATEST DEVELOPMENTS #1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1:30~
12:30
.UHD: THE LATEST DEVELOPMENTS #2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14:00~
15:00
.THE VERY BEST IN ULTRA HD
.장소 : Sony 4K Ultra HD Theatre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1
3. 참가업체 정보
(1) 핵심바이어
기업명 프리멘틀미디어(FremantleMedia Ltd.)
분야/업종
.TV 프로그램 제작 및 유통, 라이선싱
- 베텔스만 소유의 유럽 방송 미디어 RTL그룹의 자회사
- 유럽 18개국, 아시아 8개국, 미주(미국, 캐나다, 브라질, 멕시
코) 등 전 세계 31개국 진출하여 사무소를 두고 있음
- 연간 10,000시간의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20,000시간 분량의
프로그램 카탈로그 보유
본사주소 1 Stephen Street London W1T 1AL, UK
대표자명 Cecile Frot-Coutaz, CEO
대표 이메일 general.enquiries@fremantlemedia.com
담당자 정보
.Sangeeta Desai COO, CEO/Emerging Markets
.Andew Bott CFO
홈페이지 www.fremantlemedia.com
주요 연혁
.2001 회사 설립/RTL 그룹의 콘텐츠 제작부서로 편입됨
<Pop Idol>로 The Golden Rose of Montreux 수상
<American Idol>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음
.2005 라이선싱 및 유통 부문이 프리멘틀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로 통합됨
.2006 호주 및 북유럽 시장 진출
한국과의
비즈니스 현황
.2014년 tvN <더 지니어스>의 포맷이 프리멘틀미디어 프랑스를
통해 프랑스어권 국가로 수출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2
기업명 엔데몰 샤인 그룹(Endemol Shine Group)
분야/업종
.콘텐츠 제작 및 유통
- 주로 방송 포맷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최근에
는 영국, 미국 등에서 드라마를 선보이며 사업 영역을 확대함
- 2016년 엔데몰은 800여 개의 작품을 제작하고, 이를 전 세계
76개 지역의 295개 채널에서 방송함
본사주소 MediArena 1, 1099 CZ Amsterdam, Netherlands
대표자명 Sophie Turner Laing, CEO
담당자 정보
.Peter Salmon CCO
.Martha Brass CEO/International Operations
홈페이지 www.endemolshinegroup.com
주요 연혁
.1994 회사 설립
.2013 온라인 플랫폼 Endemol Beyond 출시
.2014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Apollo Global Management)의
자회사 코어미디어(Core Media)와 21세기 폭스의 샤인
(Shine) 합병
.2015 코어미디어와 샤인의 합병을 통해 엔데몰 샤인 그룹 출범
한국과의
비즈니스 현황
.2016년 10월, tvN과 엔데몰 그룹의 공동제작 프로그램 <소사이
어티 게임>이 방영됨
- 양사가 아이디어 개발 단계에서부터 합작으로 프로그램을 제
작하며 tvN에서 세계 최초로 방송함. 엔데몰 그룹은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해외 배급을 담당함
.2017년 8월, tvN에서 <소사이어티 게임> 시즌 2 방영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3
기업명 카날+(Canal+)
분야/업종
.민영 방송 네트워크
- 비방디가 최대 주주인 Canal+ Group의 자회사이며, Canal+
Group은 유료 채널, 해외 채널 및 영화제작사 Studio Canal
등을 운영함
본사주소
1, place du Spectacle 92863 Issy-Les-Moulineaux Cedex 9
France
대표자명 Jean-Christophe Thiery, Chairman
담당자 정보 Maxime Saada General Manager
홈페이지 www.canalplus.fr
주요 연혁
.1984 프랑스 최초 민영방송으로 개국
.1999 위성방송 시작
.2006 지상파 디지털 HD 방송 시작
.2016
자회사 THEMA를 통해 마이애미 기반의 콘텐츠 유통업
체 Eutelsat Americas(Alterna’TV)를 인수함. THEMA
는 2013년 미국 내 현지 사무소를 설립했으며 카날 플
러스는 이번 인수를 통해 북미 지역 내 기반을 더욱 공
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주요 특징
/최근이슈
.2016년 4월, Studio+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서 시청가능한 모
바일 시리즈를 최초 출시함. 에피소드 당 분량은 5-10분 정도로
구성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4
기업명 BBC 월드와이드(BBC Worldwide Limited)
분야/업종
.방송 네트워크
- BBC 브랜드 상품화
- BBC 및 영국 TV 프로그램 해외 유통
본사주소 Television Centre 101 Wood Lane London W12 7FA UK
대표자명 Tim Davie, Director of Global CEO, BBC Worldwide
담당자 정보
.Tony Hall CBE Director General, BBC
.Tom Fussell
Chief Financial Officer
& Executive Director
홈페이지 www.bbcworldwide.com
주요 연혁
.1995 BBC Enterprises를 이어 비즈니스 시작
.2005
Channels division 구축. Channels division에서는 다
수의 해외 채널 및 자국 내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으
며 가장 수익성이 높은 사업부문
.2006 Content and Production division 구축
.2013
조직 개편 및 CEO 교체
- 지역 개편 : 북미, 영국·호주·뉴질랜드, 글로벌 마켓
등 3개 그룹으로 구분
- 콘텐츠와 브랜드, 2개의 글로벌 비즈니스 영역을 선
정하고 각 비즈니스별로 디지털 부문 접목
한국과의
비즈니스 현황
.2015년 1월 JTBC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BBC의 다큐멘터리
방영을 시작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5
기업명 ZDF 엔터프라이즈(ZDF Enterprises GmbH)
분야/업종
.유럽 내 주요 방송사 중 하나인 ZDF가 1993년 100% 출자해 설
립한 자회사로 사업 영역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됨
- 방송 프로그램 해외 판매
- 해외 공동제작
- 방송 프로그램 라이선스 구매
- ZDF 관련 콘텐츠 머천다이징
본사주소 Erich-Dombrowski-Straße 1, 55127 Mainz Germany
대표자명 Alexander Coridass, CEO
대표 이메일 info@zdf-enterprises.de
담당자 정보
.Stephan Adrian Executive Vice President/CFO
.Fred Burcksen Executive Vice President/COO
홈페이지 http://zdf-enterprises.de
주요 연혁
.1993 ZDF에 의해 설립됨
.2000 100% ZDFE 출자로 ZDF Digital Medienproduktion
GmbH 설립
.2007
TV 영화, 드라마, 시리즈 등의 제작사이자 해외 포맷의
독일어 더빙 스튜디오인 Bavaria Fernsehproduktion
GmbH의 지분 49% 인수
.2013 팩추얼 엔터테인먼트 채널 Spark GmbH의 지분 50%
인수
주요 특징/
최근이슈
.라이선싱 파트에서는 주로 ZDF의 프로그램 라이선싱을 진행하며
ARTE, 3sat, Phoenix, 어린이 채널, Kinderkanal 등을 대행하
기도 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6
기업명 프로시벤위성.1(ProSiebenSat.1 Media SE)
분야/업종
.민영 방송 네트워크
- 프리미엄 유료 채널, 라디오 방송, 출판 사업 진행
.독일 내 주요 TV 광고사업자
.프로그램 제작 및 판매 : Red Arrow Entertainment를 통해 전
세계 200여 개국에 자사 프로그램 및 TV 포맷을 판매·유통함
본사주소 Medienallee 7 85774 Unterfohring Germany
대표자명 Thomas Ebeling, CEO
대표 이메일 info@ProSiebenSat1.com
담당자 정보
.Werner Brandt Chairman of the supervisory board
.Gunnar Wiedenfels CFO
홈페이지 www.prosiebensat1.de
주요 연혁
.2000 독일 TV 방송사 ProSieben Media AG와 Sat.1
SatellitenFernsehen GmbH의 합병으로 출범
.2007 SBS Broadcasting Group 인수
.2015 디지털 서비스 확대를 위해 유럽 온라인 여행사
etraveli 인수
주요 특징/
최근이슈
.2018년까지 디지털 부문 수익을 15억 달러까지 증대하겠다는 목
표를 수립하고 디지털 부문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 7TV app을 통해 자사 무료 채널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온라인 동영상 광고 비즈니스 확대에 주력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7
기업명 RTL그룹(RTL Group)
분야/업종
ㅇTV 및 방송 미디어 사업
- 독일,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스페인, 헝가리,
크로아티아 및 아시아 지역에서 TV/라디오 방송사 운영
ㅇ콘텐츠 제작 및 유통 : 프리멘틀 미디어
ㅇ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본사주소 45, Bd Pierre Frieden L-1543 Luxembourg, Luxembourg
대표자명 Anke Schaferkordt, Co-CEO of RTL Group
대표 이메일 webmaster@rtlgroup.com
담당자 정보
ㅇGuillaume de Posch Co-CEO
ㅇElmar Heggen
CFO of RTL Group
Head of the Corporate Centre
홈페이지 www.rtlgroup.com
주요 연혁
ㅇ1924 라디오 방송으로 사업 시작
ㅇ1932 CLR이라는 명칭의 라디오 방송사 개국
ㅇ2000 영국 콘텐츠 제작사 피어슨TV와 합병하면서 RTL 그룹
출범
ㅇ2001 베텔스만이 RTL 그룹 경영권 인수
주요 특징/
최근이슈
ㅇ유럽 8개국 외에 인도, 동남아시아 지역에도 채널을 보유하고 있
으며 자회사를 통한 방송 콘텐츠 제작과 유통도 진행
ㅇ2015년 6월, RTL Digital Hub를 구축하여 디지털 서비스 강화
ㅇ온라인 동영상 부문에서는 월간 110억 회의 조회수를 기록하여
유럽 내 최대 동영상 사이트로 꼽힘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8
(2) 일반참가사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3VISION Hayley BULL
Sales & Business
Development
Manager
.hayley.bull@3visi
on.tv
AMAZON VIDEO Julia BOURGETT
Content
Acquisition
Manager
AMC NETWORKS
INTERNATIONAL
UK
Alina FLOREA Director of
Programming
.alina.florea@uk.a
mcnetworks.com
BBC
WORLDWIDE
LTD
Nicki
MCDERMOTT
Head of
Entertainment
and Formats
(Acquisitions)
.nicki.mcdermott
@bbc.com
BFBS Debbie BARRETT
Head of Rights,
Acquisitions and
Distribution
.debbie.barrett@bf
bs.com
BT PLC Kate COLEMAN
Senior Content
Acquisition
Manager - BT TV
CHANNEL 4 Nick LEE Acquisitions
Manager
.nlee@channel4.c
o.uk
FREESAT LTD Angela MEE Head of Content
Partnerships
I-RIGHTS/HULU Justin JUDD Consultant .justin.judd@i-rig
hts.co.uk
MICROSOFT Peter MERCIER Senior Director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19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NBC UNIVERSAL
INTERNATIONAL Jessica HORNE
Acquisitions
Director-Family/
Event/Other
ORANGE
SMARTY Stella BRILEY Head of
Acquisitions
.stella.briley@ora
ngesmarty.com
ROKU Ingo REESE Content
Acquisition Europe
SKY Sophie JUDGE
Acquisitions
Manager,
Entertainment
Channels
SKY LTD Vanessa QUIGLEY Acquisitions
Manager
SKY VISION Moreyba
BIDESSIE
Drama
Acquisitions
Executive
.moreyba.bidessie
@sky.uk
SKY VISION Niki PAGE Head of
Acquisitions .niki.page@sky.uk
SONY PICTURES
ENTERTAINMENT Serena KARP
Executive
Director, Business
Affairs
SPAFAX Emma GUNN
Senior Manager
Content
Acquisition
.emma.gunn@spa
fax.com
THE WALT
DISNEY
COMPANY
LIMITED
Orion ROSS
VP Content -
Animation, Digital
& Acquistions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0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TURNER Cecilia PERSSON
VP, Programming
and Content
Strategy Kids
EMEA &
International Kids
Acquisitions
.cecilia.persson@t
urner.com
TVF
INTERNATIONAL Will STAPLEY Head of
Acquisitions
.will.stapley@tvf.c
o.uk
VIASAT WORLD
LIMITED
Seniha
TUNABOYLU
Head of Content
& Acquisitions
YOUTUBE Johann CHORON Partner Manager
AB GROUPE Sonia LATOUI Directrice des
Acquisitions
AMAZON.FR Isabelle
BERTRAND
Principal Content
Acquisition
CANAL+
GROUPE
Aline MARRACHETESSERAUD
Vice President
Acquisitions
CANAL+
INTERNATIONAL
.aline.marrache-t
esseraud@canalplus.
com
GOOGLE
FRANCE SARL Youri HAZANOV Head of YouTube
Partnerships
GREY JUICE LAB
SAS Ainhoa DEL COSO
Legal &
Acquisitions
Director
.adelcoso@teuve.
com
LAGARDERE
STUDIOS
DISTRIBUTION
Frederik RANGE Director of
Acquisitions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1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MICROSOFT Tony CUADRAS
Senior Business
Development
Manager,
Windows &
Devices
.tony.cuadras@mi
crosoft.com
MOBIBASE Vanessa
OURAHMOUNE
Content
Acquisitions
Manager
.vourahmoune@
mobibase.com
NOVOVISION Valerie SEBAN Development and
Acquisition
.valerie.s@novovi
sion.tv
RMC
DECOUVERTE Camille SERRA Acquisitions
Executive
TF1 POLE
DECOUVERTE Annabel GAIN
Head of
Acquisitions and
Coproductions
TF1 STUDIO Delphine BAZOT
Head of non
Theatrical
Acquisitions
.dbazot@tf1.fr
TF1 STUDIO Alice KAMINSKI Acquisitions
Manager .akaminski@tf1.fr
THE WALT
DISNEY
COMPANY
(FRANCE)
Caterina
GONNELLI
Director,
Acquisitions and
Co-Productions
Disney Channels
EMEA
TURNER
BROADCASTING
FRANCE
Falko JAHN
Acquisitions &
Programming
Manager
.falko.jahn@turne
r.com
VIZ MEDIA
EUROPE
Rihye
KIM-LERICOLAIS
Animation
Acquisitoin &
Approval Manager
.rihye.kim@vizeur
ope.com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2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VOD FACTORY Mathieu
HOUDAIN
Responsable
Acquisitions et
Business Affairs
AMAZON INSTANT
VIDEO GERMANY
GMBH
Philip PRATT
Senior Content
Acquisition
Manager
.ppratt@amazon.
de
AMAZON INSTANT
VIDEO GERMANY
GMBH
Gerrit ROTH
Senior Content
Acquisition
Manager
ARD / ZDF
KINDERKANAL
(KIKA)
Sebastian
DEBERTIN
Head of Fiction,
Acquisition &
Co-production
BAVARIA MEDIA
INTERNATIONAL Eva PFAUDLER
Head of
Acquisitions+
Sales (German
Speaking)
.eva.pfaudler@ba
varia-media.de
DISCOVERY
COMMUNICATIONS
DEUTSCHLAND
GMBH & CO. KG
Christian
SCHMIED
Programme
Manager &
Channel
Development
EDEL GERMANY
GMBH Torben HALFTER
Director Content
& Business
Development
.silke.machmer@
edel.com
GRUPPE 5
FILMPRODUKTION
GMBH
Alexander HESSE Managing
Director
HIGH VIEW Antonia
KAHLERT
Content
Acquisition
INFONETWORK
GMBH Marlena PEZO
Senior Sales &
Acquisition
Manager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3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MEDIENGRUPPE
RTL
DEUTSCHLAND
Silke REGIER
Senior Vice
President
International
Acquisitions
NINTENDO OF
EUROPE GMBH Niels MANKEL
Manager of
Business
Development
Europe
.niels.mankel@nin
tendo.de
NORDDEUTSCHER
RUNDFUNK Ole KAMPOVSKI
Head of
Department
Children & Youth
POLYBAND
MEDIEN GMBH Caroline WENDT Acquisitions
RTL2 Achim BERHEIDE
Senior Project
Manager program
Acquisitions &
New Channel
Development
RUNDFUNK
BERLINBRANDENBURG
Anja HAGEMEIER
Head of
department
family & kids
SKY
DEUTSCHLAND
GMBH
Rainer INGBER
SVP Content
Strategy &
Acquisitions
SPIEGEL TV
GMBH Elvira LIND
Head of
Acquisition &
Sales
.elvira.lind@spieg
el-tv.de
SQUAREONE
ENTERTAINMENT
GMBH
Ingrid PITTANA Head of
Acquisitions
.ingrid.pittana@sq
uareone-ent.com
SUPER RTL Frank DIETZ
Head of
Acquisitions &
Coproductions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4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TELE 5 TM-TV
GMBH Renate MUELLER Head of
Acquisitions
.renate.mueller@te
le5.de
TELEPOOL GMBH Julia
MUENTERFERING
Head of
Acquisition &
Sales
.muenterfering@te
lepool.de
THE WALT
DISNEY
COMPANY
GERMANY GMBH
Thomas
MUELLERKULMANN
Program
Acquistion
Manager
TURNER
BROADCASTING
SYSTEM
DEUTSCHLAND
GMBH
Marion
RATHMANN
Director
Programming
Entertainment
.marion.rathmann
@turner.com
UNIVERSUM FILM Anja PALLASCH
Head of
Acquisition (Kids,
TV, Anime)
VODAFONE
KABEL
DEUTSCHLAND
GMBH
Patrick
SKURCZYNSKI
Head of
Programming &
Cooperation
WDR
MEDIAGROUP Julia JAENSCH
Manager
Acquisition &
Co-Productions
.julia.jaensch@wdr
-mediagroup.com
WELTN24 GMBH Astrid
STEINMEYER
Head of Factual
Acquisitions and
Co-productions
WESTDEUTSCHER
RUNDFUNK
Gaby
GAERTNERSCHLUESS
Acquisition
ZDF - ZWEITES
DEUTSCHES
FERNSEHEN
Nicole KEEB
Head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s
and Acquisitions,
Children and
Youth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5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AMAZON ITALIA
SERVICES SRL
Viktoria
WASILEWSKI
Senior Content
Acquisition
Manager
DE AGOSTINI
EDITORE
Brenda
MAFFUCHI
Acquisition
Manager
EAGLE
PICTURES SPA Clare MCARDLE TV Acquisitions
and Sales Director
.clare.mcardle@e
aglepictures.com
MEDIASET
DISTRIBUTION -
RTI SPA
Giovanni ALTIERI
Director of
Business Affairs
Contents Drama
Acquisitions INTL.
Co-productions
.giovanni.altieri@
mediaset.it
MEDIASET
DISTRIBUTION -
RTI SPA
Fabrizio
BATTOCCHIO
Head of Format &
Factual
Acquisitions
.fabrizio.battocch
io@mediaset.it
MEDIASET
DISTRIBUTION -
RTI SPA
Lucia CARTA
Head of Business
Affairs, Rights
Acquisitions
.lucia.carta@medi
aset.it
SKY ITALIA SRL Luisa BORELLA
Senior Director
Business Affairs&
Acquisition
TELECOM
ITALIA SPA Luca OTERI Content Buyer
TURNER
BROADCASTING
ITALY
Alice FEDELE
Programme &
Acquisitions
Manager
.alice.fedele@turn
er.com
AMC NETWORKS
INTERNATIONAL
IBERIA
Eugenia NUNEZ Programming
Director
.eugenia.nunez@i
beria.amcnetwor
ks.com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6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BOOMERANG TV Beatriz
JERONIMO
Nuevos Formatos
de Entretenimiento
Boomerang TV
COSMOPOLITAN
TV Mikel USOZ
PROGRAMMING &
PRODUCTION
DIRECTOR
.musoz@cosmopoli
tan.es
EUSKAL
TELEBISTA -
ETB
Aritz GALARZA
Head of
Programming &
Acquisitions
.galarza_aritz@eitb
.eus
MEDIASET
ESPANA
COMUNICACION
S.A.
Miguel VILA Head of Formats
MEDIASET
ESPANA
COMUNICACION,
S.A.
Monica
ITURRIAGA
Acquisitions
Manager
MONDO TV
IBEROAMERICA
S.A.
Maria Bonaria
FOIS General Manager .mb.fois@mondotvi
beroamerica.com
PLANETA
JUNIOR, S.L. Veronica BUIDE
International
Brands &
Co-Productions
Director
.vbuide@deaplanet
a.com
TELEFONICA
AUDIOVISUAL
DIGITAL SLU
Maria Pilar
CANALES
CISNEROS
TV Non-Fiction
Acquisitions
TELEFONICA
AUDIOVISUAL
DIGITAL SLU
Ruben
FERNANDEZ
LOA
Series Adquisition
Manager
THE WALT
DISNEY
COMPANY
IBERIA
Ana IZQUIERDO
LOWRY
Senior Manager
Acquisitions EMEA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7
기업명 이름 부서/직책 연락처
TURNER
BROADCASTING
SYSTEM ESPANA SL
Luis FLORES Senior Business
Director
TV3 TELEVISIO DE
CATALUNYA
Carles
BLANCH
Head of
Programme
Acquisitions
.cblanch.x@ccma
.cat
MEO - SERVICOS
DE COMUNICACOES
E MULTIMEDIA, S.A.
Ines ALMEIDA TV Content
Manager
.ines-m-almeida
@telecom.pt
NOS LUSOMUNDO
TV, SA
Antonio
TEIXEIRA
Head of TV
Rights Aquisitions
SIC Vanessa
TIERNO
Head of
Acquisitions
.vanessatierno@si
c.impresa.pt
SIC Theo WOLF Acquisitions
Manager
.theowolf@sic.imp
resa.pt
TVI Margarida
PEREIRA
Head of
Acquisitions and
sales
.mvpereira@tvi.pt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8
Ⅱ. 글로벌 방송/애니메이션 산업 현황 및 트렌드
1. 글로벌 방송/애니메이션 산업 현황
(1) 글로벌 방송시장 규모 및 전망
. PwC(2016)에 따르면, 2016년 글로벌 방송시장은 홈비디오 대여/판매를 제외하고
는 전 분야가 고른 성장을 보이면서 전년대비 3.6% 성장하여 5,031억 달러를 기록
했으며, 향후 4년간도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보여 2020년에는 5,706억 달러 규
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향후 4년간은 온라인 TV광고 시장이 연평균 15.1%로 방송 분야 중 가장 빠른 성
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홈비디오 분야의 OTT/스트리밍 서비스 시장 역시
연평균 13.2%의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됨. 2016년은 홈비디오 시장 내
디지털배급 매출이 물리적 형태의 매출 규모를 넘어서면서 향후 홈비디오 시장의
성장세를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표 Ⅱ-1] 2013-2020년 글로벌 방송시장 규모 및 성장률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29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TV수신료 220,871 231,297 240,140 247,051 253,874 260,333 266,360 272,349
공영방송 29,330 29,884 29,926 30,173 30,427 30,677 30,907 31,125
유료방송 191,540 201,413 210,214 216,879 223,447 229,656 235,452 241,224
TV광고 155,646 164,293 167,119 175,353 182,714 190,921 199,391 210,291
다중채널 37,221 41,064 42,767 45,626 47,893 50,362 52,930 56,248
지상파 115,141 119,086 119,316 123,770 127,952 132,663 137,445 143,856
온라인TV 3,285 4,144 5,035 5,957 6,869 7,897 9,016 10,187
홈비디오 43,548 44,427 46,027 47,526 48,718 49,936 51,200 52,313
디지털배급 13,817 17,213 21,253 24,859 28,015 31,054 34,000 36,662
OTT/스트리밍 9,846 12,787 16,304 19,551 22,386 25,142 27,834 30,261
TV가입형서비스 3,972 4,425 4,949 5,308 5,629 5,913 6,166 6,401
유형(Physical) 29,731 27,214 24,774 22,668 20,703 18,882 17,200 15,651
대여 7,809 6,876 6,350 5,826 5,358 4,937 4,557 4,212
판매 21,921 20,338 18,424 16,842 15,346 13,945 12,643 11,439
라디오 41,182 42,866 43,792 44,967 46,028 46,937 47,833 48,705
라디오광고 31,327 32,642 33,296 34,109 34,873 35,612 36,323 37,002
공영라디오 수신료 6,341 6,428 6,414 6,455 6,501 6,551 6,603 6,655
위성라디오 구독비용 3,515 3,796 4,082 4,403 4,653 4,773 4,907 5,049
합계2) 450,935 472,029 485,715 503,135 519,204 535,663 552,015 570,602
※ 출처 : PwC(2016), 2016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한국콘텐츠진흥원)
. 분야별로는 유료방송 수신료 분야가 전체 방송시장의 42.1%를 기록해 가장 큰 점
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지상파 TV광고가 24.0%를 기록함. 향후 4
년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OTT/스트리밍 서비스 분야는 그 점
유율이 2016년 3.8%에서 2020년 5.2%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 국가별로는 미국이 2,158억 달러 규모로 글로벌 방송시장의 42.9%를 차지하는 가
장 큰 시장이며, 그 뒤로 중국, 일본, 영국, 독일이 차례로 순위를 기록함. 그러나
시장규모 면에서는 중국이 355억 달러, 7.4%의 점유율로 1위 시장인 미국과는 큰
차이를 보임
2) TV광고와 라디오광고는 광고시장에 포함, 공영라디오 라이선스비용은 공영방송 TV수신료에 포함, 위성라디
오광고는 라디오광고에 포함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0
. 한편, 2017년 4월 발표된 일본 총무성의 집계에 따르면, 2015년을 기준으로 한 방
송콘텐츠 수출액(캐릭터 상품 판매권 포함)은 전 세계에서 미국이 213억 800만 달
러로 1위를 차지함. 그 뒤를 이어 영국이 33억 3,100만 달러를 기록했고, 한국은
3억 2,000만 달러로 3위를 기록함. 일본은 2억 3,800만 달러로 한국에 이어 4위를
기록함
[표 Ⅱ-2] 2015년 주요국가 방송콘텐츠 수출액
(단위 : 만 달러)
순위 국가 수출액
1 미국 2,130,800
2 영국 333,100
3 한국 32,000
4 일본 23,800
※ 출처 : 일본 총무성, 연합뉴스, 2017.4.11.3)
3)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11/0200000000AKR20170411152600073.HTML?input
=1195m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1
(2) 글로벌 애니메이션시장 규모 및 전망
. PwC(2016)에 따르면, 글로벌 애니메이션시장은 지난 4년간 5.8%의 연평균 성장률
을 보였으나 2016년에는 전년대비 단 0.5% 성장하여 51억 1,9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함. 글로벌 애니메이션시장은 향후 4년간도 연평균 5.8%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2020년에는 시장규모가 64억 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
측됨
[표 Ⅱ-3] 2013-2020년 글로벌 애니메이션시장 규모 및 성장률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박스오피스 5,170 4,545 4,799 4,812 5,130 5,446 5,758 6,067
극장광고 345 285 297 307 315 322 331 339
합계 5,514 4,830 5,096 5,119 5,444 5,768 6,089 6,406
※ 출처 : PwC(2016), BoxOffice Mojo(2016), The-Numbers(2016), CNC(2014, 2015),
2016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2
. 2016년에는 극장광고 분야가 전년대비 3.4% 성장했으나 시장점유율이 큰 박스오
피스 분야가 전년대비 0.3% 성장에 그쳐 전체 시장의 성장폭이 미미했음. 그러나
향후에는 온라인 동영상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한 디지털배급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전체 애니메이션 시장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됨
. 박스오피스 분야의 시장점유율은 전체 애니메이션 시장의 94.0%에 이르며, 향후 4
년간은 이 분야가 극장광고 분야보다 빠르게 성장해 2020년에는 점유율이 94.7%
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Ⅱ-1] 2016 vs. 2020년 세계 3대 애니메이션시장 점유율 변화
. 국가별로는 미국이 16억 1,500만 달러 규모로 글로벌 애니메이션시장의 31.5%를
차지하는 가장 큰 시장이며, 그 뒤로 중국, 일본, 영국, 인도가 차례로 순위를 기록
함. 향후에는 중국 애니메이션시장이 급격히 성장해 2016년 16.3%로 미국 시장의
절반 수준이었던 것이 2020년에는 23.3%로 1위 시장과의 격차를 현저히 줄일 것
으로 기대되며, 3위 시장인 일본과는 그 격차를 더욱 벌릴 것으로 예측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3
(3) 국내 방송/애니메이션 콘텐츠 수출 현황
. 2015년 국내 방송 콘텐츠 수출규모는 약 3억 2,043만 달러로 국내 전체 콘텐츠 수
출액의 5.7%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1.8%의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일본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 대한 수출이 전체 수출의 91.4%를 차지할 정
도로 편중이 심화돼 있으며, 대 유럽 수출규모는 1.3%에 불과함. 장르별 수출규모
로는 드라마가 79.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오락 프로그램이 14.4%로 그
뒤를 잇고 있음. 방송용 애니메이션의 경우에는 전체 방송 수출의 0.9%를 차지함
[표 Ⅱ-4] 2013-2015년 국내 방송 산업 수출입 현황4)
(단위 : 천 달러)
구분 2013 2014 2015 전년대비
증감률(%)
연평균
증감률(%)
수출액 309,399 336,019 320,434 -4.6 1.8
수입액 122,697 64,508 146,297 126.8 9.2
수출입차액 186,702 271,511 174,137 -35.9 -3.4
<2015년 국내 방송 콘텐츠 지역별 수출액> <2015년 국내 방송 콘텐츠 장르별 수출액>
(단위 : 천 달러) (단위 : 천 달러)
※ 출처 : 2016 콘텐츠산업 통계조사(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4) 해외교포 방송지원과 비디오/DVD 판매, 타임블럭과 포맷 판매, 방송영상독립제작사 수출액은 제외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4
. 애니메이션의 경우에는 2015년 국내 콘텐츠 수출규모가 약 1억 2,657만 달러로 국
내 전체 콘텐츠 수출액의 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7.3%의 비교적 큰 폭
의 성장세를 이어옴
. 수출 지역 역시 주로 아시아권에 편중된 다른 콘텐츠들과는 달리 북미 지역에 대
한 수출 비중이 52.6%로 가장 높았고, 유럽이 22.0%로 그 뒤를 잇고 있음. 아시아
권의 경우에는 일본이 2015년 전체 애니메이션 수출액의 18.6%를 차지해 높은 시
장점유율을 보인 반면, 중국은 1.7%, 동남아시아는 0.3%에 불과한 시장점유율을
나타냄
[표 Ⅱ-5] 2013-2015년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 수출입 현황
(단위 : 천 달러)
구분 2013 2014 2015 전년대비
증감률(%)
연평균
증감률(%)
수출액 109,845 115,652 126,570 9.4 7.3
수입액 6,571 6,825 7,011 2.7 3.3
수출입차액 103,274 108,827 119,559 9.9 7.6
<2015년 국내 애니메이션 콘텐츠 지역별 수출액>
(단위 : 천 달러)
※ 출처 : 2016 콘텐츠산업 통계조사(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5
. 수출 방법 면에서는 방송이 국내 에이전트를 활용하는 비율이 45.9%로 가장 높은
반면, 애니메이션의 경우에는 해외 에이전트를 활용하는 방법과 해외 전시회 및 행
사 참여를 통한 방법이 각각 35.8%와 31.7%의 비율로 높게 나타남. 해외 유통사
접촉을 통한 수출은 방송과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높이 활용되는 수출
방법으로 나타났는데, 방송의 경우 21.6%, 애니메이션의 경우 17.3%의 비중을 차
지함
[그림 Ⅱ-2] 2015년 국내 방송/애니메이션 콘텐츠 해외 수출방법
<방송> <애니메이션>
(단위 : %) (단위 : %)
※ 출처 : 2016 콘텐츠산업 통계조사(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6
2. 글로벌 방송/애니메이션 산업 트렌드 및 이슈
(1) 유료 TV와 OTT 산업 현황
. 2017년 디지털 TV 리서치가 전 세계 138개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6년 유료 TV 가입 가구는 총 9억 6,900만으로 아날로그 케이블 시청 가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성장세를 보임. 2010-2016년 사이 유료 TV 가입자로 신규 등록
한 가구는 약 2억 5,400만 가구로 6년 사이 35%의 성장을 기록함
[그림 Ⅱ-3] 2010 vs. 2016년 플랫폼별 TV 가구 수 및 유료 TV 가입자 추이
(단위 : 백만 가구)
※ 출처 : Digital TV Research Ltd.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7
. 플랫폼별로는 디지털 케이블 TV가 2억 5,570만 가구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으나 아날로그 케이블의 감소로 인해 전체 케이블 가입자 수는 크게 증가하
지 못함. 반면, IPTV는 6년 사이 총 1억 3,450만 가구가 증가해 5배에 가까운 성
장을 보였으며, 위성 및 DTT 가입자 수도 각각 7,660만, 510만 가구씩 증가함
. 한편,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Ericsson Mobility Report)는 2021년까지 비디오가
모바일 트래픽의 7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고, 포레스터(Forrester)는 2025년에
는 32세 미만의 성인 50%가 TV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함. OTT
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디바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청자가 증가하고 있
으며, OTT는 점점 더 최신 방송 트렌드의 중심에 자리함
. 디지털 TV 리서치가 전 세계 100개 국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2016년
전 세계 OTT TV 및 비디오 시장규모가 약 367억 7,6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향
후 5년간도 빠르게 성장해 2021년에는 시장규모가 647억 8,000만 달러에 이를 것
을 전망됨. 이는 2016년 규모의 거의 두 배, 2010년 규모의 14배가 넘는 성장임
[그림 Ⅱ-4] 권역별 OTT TV/비디오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출처 : Digital TV Research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8
. 권역별로는 북미 시장이 49.2%의 점유율로 가장 큰 시장이며, 그 뒤로 서유럽과
아시아 지역이 각각 22.3%와 21.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라틴아메리카의 경
우 향후 5년간 시장규모가 2배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동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지역은 이보다 더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에는 중국 시
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아시아 지역의 점유율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데,
2021년에는 아시아가 유럽을 넘어서 28.4%의 점유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북미 시장은 37.6%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됨
. 디지털 TV 리서치는 2018년까지 SVOD가 OTT 매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것
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2020년에는 AVOD(Advertising Video on Demand)에 그
자리를 넘겨줄 것으로 예측함. 2015-2021년 사이 SVOD는 145억 8,000만 달러의
매출 증가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AVOD의 경우에는 153억 7,000만 달러의 매
출 증가를 보일 것으로 기대됨. 온라인 TV 및 비디오 광고는 최근 모바일 광고를
통해 급격한 성장을 이뤄왔으며, 이러한 성장은 당분간 지속돼 2021년 시장규모가
269억 6,00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Ⅱ-5] 플랫폼별 SVOD 가입자 수 현황 및 전망
(단위 : 천 명)
※ 출처 : Digital TV Research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39
. 2016년 SVOD 가입가구 수는 약 2억 4771만 가구로 전년대비 7,000만 가구가 증
가함. SVOD 가입가구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2021년에는 2배에
가까운 4억 2844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디지털 TV 리서치는 2016년 현재 북미 지역이 전체 SVOD 가입가구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2019년에는 아시아 지역이 이를 대신할 것으로 분석함. 그러나
2021년까지는 미국이 1억 2,700만 가입가구를 보유해 여전히 SVOD 시장규모 1위
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며, 중국은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7,400만 가구를 보유
하게 될 것으로 분석됨
. SVOD의 대표 사업자 중 하나인 넷플릭스의 경우 2021년까지 약 1억 1,800만 가
입가구를 보유해 전체 시장의 27.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며, 아마존은 6,921만
가구를 보유할 것으로 전망됨. 넷플릭스 가입자 중 미국의 시장점유율은 2018년부
터 절반 이하로 떨어져 2021년에는 44%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되나 매출 면에서는
북미 지역 매출이 여전히 과반이 넘는 5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2021년 넷플
릭스 매출은 131억 4,000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0
(2) SVOD 사업자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경쟁
. 최근 넷플릭스나 아마존, 훌루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 라이브러리는 물론 더 많은 신규 오리지널 콘텐츠를 확보함으로써 최종 소비
자와의 관계를 더욱 견고히 다지고 있음. 점점 더 많은 엔터테인먼트/미디어 기업
들이 자사의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에 판매하고 있으며, 이와 별개로 스트
리밍 서비스 기업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음. 최근 극장과
넷플릭스에서 동시 개봉함으로써 논란을 일으켰던 봉준호 감독의 신작 영화 <옥
자>의 배급방식 역시 이러한 경쟁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음
. 2016년 넷플릭스는 콘텐츠 구매 및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50억 달러에 가까운
금액을 투자했으며, 향후 2년간 추가로 1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아마존 역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Ampere Analysis에 따르면 2020년까지 넷플릭스와 아마존이 콘텐츠 구매 및 제
작에 사용하는 비용이 9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분석됨
. 그러나 SVOD 서비스 분야의 양대 사업자인 넷플릭스와 아마존은 콘텐츠 수급에
있어 다른 접근을 하고 있음. 넷플릭스의 경우 최신 프로그램을 선호하며, 디즈니,
폭스, NBC, BBC 등과 같은 빅 브랜드 프로듀서의 프로그램을 선호함. Ampere
Analysis에 따르면, 2015년 8월 기준 넷플릭스에서 서비스하는 영화의 약 11%가
2013년, 9.5%는 2014년 개봉작이었으며, TV 프로그램 역시 2015년 방영 타이틀
이 아마존 프라임의 두 배에 달함. 이는 2014년 넷플릭스의 콘텐츠 구매 비용이
31억 달러인데 비해 아마존 프라임은 13억 달러인 것에서도 드러남
. 한편, 오래된 타이틀의 라이브러리의 규모에 초점을 두고 있는 아마존 프라임은
18,000편의 영화와 4,500편의 TV 프로그램을 보유한데 비해, 넷플릭스는 11,300
편의 영화와 5,500편의 TV 프로그램을 보유함. 장르적 측면에서도 아마존 프라임
이 다큐멘터리, 가족/어린이 영화, 음악에 초점을 두는 반면, 넷플릭스는 드라마,
액션, 범죄, 코미디 장르에 초점을 둠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1
[그림 Ⅱ-6] 넷플릭스와 아마존의 오리지널 프로그램 편당 제작비
(단위 : 백만 달러)
※ 출처 : Ampere Analysis
. <하우스 오브 카드(House of Cards)>와 <마블 디펜더스 프로젝트(Marvel
Defenders Project)> 등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해 성공한 바 있는 넷플릭스는
각각의 콘텐츠 제작을 위해 편당 약 35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BBC의 <탑 기어
(Top Gear)> 출연진을 내세운 아마존 프라임의 <탑 기어>의 경우 편당 690만 달
러를 투자함. 2016년 이 두 기업이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투자한 금액은 약 20
억 달러인 것으로 추정됨
[그림 Ⅱ-7] 미국 내 톱10 디지털 오리지털 TV 프로그램
※ 출처 : Parrot Analytics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2
. 한편, 넷플릭스와 아마존 외에 훌루, 애플, 페이스북 등도 자사 플랫폼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리지널 콘텐츠(또는 독점 콘텐츠)의 확보에 투자하고 있음. 그러
나 아직까지는 넷플릭스가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2017년 8월 27일부터 9월 2일까지의 미국 내 오리지널 콘텐츠 스트리밍 주간 인
기 차트에서도 볼 수 있음. 차트에 따르면 상위 10위권 내 콘텐츠 중 6위를 차지
한 훌루의 <시녀 이야기(The Handmaid’s Tale)>를 제외하고는 모두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콘텐츠였으며, 이중 <오자크(Ozark)>가 시청자 수요 14,754,472표를 얻
어 1위를 차지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3
(3) 방송 시청 습관의 변화와 인기 콘텐츠 현황
. 이동통신사들이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엔터테인먼트 콘텐
츠의 소비가 TV에서 VOD로 이동하고 있으며, 웹 시리즈가 전통적인 콘텐츠보다
더 인기를 얻고 있음. 이에 따라 아마존 프라임이나 넷플릭스 같은 스트리밍 서비
스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어린 세대 시청자들의 미디어 소비는 TV에서 디지
털 플랫폼으로 옮겨가고 있음
. Ampere Analysis가 2017년 1분기 미국과 유럽의 10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스포츠 팬들의 대다수는 다른 기기들보다 TV를 통해 스포츠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됨. 반면, 드라마 팬들은 스마트박스와 TV 순
으로 드라마 시청을 선호하고, 리얼리티/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이들은
전통적 TV보다는 모바일과 태블릿, 스마트박스를 통한 시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남
[그림 Ⅱ-8] 기기별/연령별 TV 시청 습관
※ 출처 : Ampere Analysis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4
. 매일의 시청 습관의 경우에는 TV 채널을 통한 시청이 평균 가구에서 51%로 나타
났고, 18-24세 청년이 있는 가구에서 30%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냄. 25-34세
성인이 있는 가구 역시 TV 채널을 통한 시청 비중이 37%로 낮은 반면, SVOD와
온-디맨드 유료TV를 통한 시청이 각각 18%와 17%로 높게 나타남. 한편, 어린 아
동이 있는 가구의 경우 SVOD와 온-디맨드 유료TV, 무료 온라인 비디오, 캐치-업
TV를 통한 시청이 모두 비슷한 수준을 보인 것으로 조사됨
. 18-24세 청년이 있는 가구들은 SVOD를 통한 시청시간이 전체 TV 시청시간의
24%, 무료 온라인 비디오를 통한 시청이 1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함. 이들 연령층
은 표준 TV 채널 외의 플랫폼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TV 시청을 위해 사용하는 기
기 역시 전통적 TV보다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 데이터 리서치 기업 닐슨이 2017년 1분기 미국 성인층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18-24세 사이 청년층의 경우 생방송과 타임시프팅을 모두 포함한 TV 시
청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이 주간 평균 3시간 38분 정도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TV가 더 이상 미디어 소비의 최상위에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음
[그림 Ⅱ-9] 2017년 미국 성인층의 스마트폰 및 TV 이용 현황
※ 출처 : Total Audience Report(닐슨, 2017), 스태티스타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5
. 아직까지는 18-24세를 제외한 모든 성인 연령층에서 TV가 가장 중요한 스크린으
로 자리 잡고 있지만, 스마트폰, 태블릿, 온라인 서비스 등을 이용한 미디어 소비
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방송 프로그램의 소비 습관에도 큰 변혁이 있을
것으로 분석됨
. 한편, Parrot Analytics에 따르면, 2016년 북미 지역 총 수요에 따른 상위 10개
장르 중 드라마가 40.7%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로 코미디와 리얼리티 프로그램
이 각각 16.7%와 13.9%로 2, 3위를 차지함. 방송 애니메이션 장르는 4.3%를 차지
해 6위를 기록함. 한편, 하위 장르로는 시트콤이 가장 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고, 취학아동용 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 시트콤도 각각 4위와 10위를 차지함
[그림 Ⅱ-10] 2016년 북미 지역 장르별 콘텐츠 수요 점유율
※ 출처 : Parrot Analytics
. Parrot Analytics에 따르면, 2016년 CBS, Fox, ABC의 오리지널 프로그램이
HBO, AMC,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프로그램보다 유럽에서 더 높은 인기를 얻고 있
는 것으로 조사됨. 브로드캐스팅 방송사가 10위권 내 채널 중 6개로 1~3위를 모두
차지했고, 프리미엄 케이블 채널인 HBO가 4위를 기록했으며, SVOD 채널인 넷플
릭스는 약 700억 수요로 9위를 기록하는데 그침. 한편, 아마존은 25위권 내에 들
지 못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6
[그림 Ⅱ-11] 2016년 유럽 내 콘텐츠 수요 상위 25개 채널
※ 출처 : Parrot Analytics
. 제작사의 측면에서는 세계 8대 메이저 스튜디오 중 워너브라더스 텔레비전이 4.8%
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고, 20세기 폭스 텔레비전과 ABC 스튜디오가 각각 2.6%
와 2.3%로 2, 3위를 차지함. 이들 8대 메이저 스튜디오가 제작한 프로그램의 수요
가 전체 제작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5%로 조사됨
[그림 Ⅱ-12] 2016년 메이저 스튜디오의 콘텐츠 수요 점유율
※ 출처 : Parrot Analytics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7
(4) 방송 기술의 발전과 콘텐츠의 변화
▣ 방송 산업과 VR/AR의 결합
. 오큘러스 리프트, HTC의 바이브, 마이크로소프트의 홀로렌즈, 소니의 플레이스테
이션 VR, 구글의 데이드림 VR 등과 같이 2016년 방송 산업에 등장한 실감미디어
(Immersive Media) 기술은 위대한 콘텐츠의 출현에 대한 기대감을 낳음. 향후에
도 VR 기술의 발전은 사람들이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조성하고 만
들어냄으로써 더욱 가속화될 전망임. 매냇 디지털 미디어(Manatt Digital Media)에
따르면, 2020년 VR/AR 매출은 1,5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친구들이 모여 유튜브 비디오를 함께 시청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노미니 컨버
지(Proto-nominee Convrge)5) 같은 프로그램이 이미 개발되었고, 이러한 기술은
가까운 미래에 TV와 통합되어 방송 산업의 형태를 바꾸고 스트리밍 사이트에까지
적용될 전망임. 실제로 NASCAR, the US Open Golf, NBA, the US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등은 이미 Fox TV를 통해 VR로 스트리밍 서비스되고 있
으며, 넷플릭스 역시 최근 자사의 프로그램을 VR로 서비스하겠다고 발표함
. TV를 통해 방영되는 VR/AR 콘텐츠는 복잡한 게임 규칙이나 스포츠 액션에 대해
애니메이션을 보여주거나 스포츠 전문가의 해설을 들려줌으로써 소비자의 시청 경
험을 더욱 쉽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됨. 아직까지는 공상과학이나 판타지 장르의
스토리가 시트콤이나 드라마보다는 VR에 더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VR 산업
은 더 다양한 장르에의 적용을 시험하고 있음
5) 다수의 이용자가 서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온라인 VR 플랫폼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8
▣ 4K UHD 프로덕션 현황
. IHS Markit에 따르면, 2016년 HDR TV 판매량은 약 430만 대에 달했으며, 2020
년까지는 3,00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됨. HDR Compatible TV는 기본 HDR
포맷과 호환이 되지만 SDR(Standard Dynamic Range)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TV를 말함. 202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1,200만 대의 4K TV가 판매될 것
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트루 HDR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성능의 TV는 이중 약
3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Ⅱ-13] 2015-2020년 전 세계 4K TV 판매량 추이
(단위 : 백만 대)
※ 출처 : IHS Markit
. 청소년층의 TV 시청 습관이 TV에서 디지털 플랫폼으로 옮겨가고, 아마존 프라임
이나 넷플릭스 같은 OTT 스트리밍 서비스의 인기가 더 높아짐에 따라, 향후 스트
리밍 데이터 방송사업자들도 4K 포맷으로 신규 콘텐츠를 제작하고 업로드할 것으
로 전망됨. 콘텐츠 큐레이터들은 더 많은 4K 콘텐츠가 제작되고, TV 시청자들이
더 높은 화질을 표준으로 삼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동적인 생태
계가 향후에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많은 투자를 이끌어낼 것으로 전망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49
. 사실 UHD는 2016년부터 견고한 진전을 보여 왔고, 2017년 TV의 가격과 품질이
향상됨에 따라 이를 활용하는 소비자가 더 많은 콘텐츠에 대한 수요를 촉진시킬
것으로 예측됨. 넷플릭스와 아마존 비디오 같은 OTT 사업자들은 주력 콘텐츠를
UHD 포맷으로 출시함으로써 이러한 트렌드에 빠르게 대처하고 있음
. 2016년에는 <고스트버스터즈(Ghostbusters)> 등의 영화와 <브레이킹 배드
(Breaking Bad)>, <블랙리스트(Blacklist)> 등의 프로그램을 스트리밍 함으로써 넷
플릭스가 4K 스트리밍을 주도함. 아마존 역시 <매드 독(Mad Dogs)>, <트랜스패런
트)Transparent>, <맨 인 더 하이 캐슬(Man in the High Castle)> 등의 인기 프
로그램으로 4K 스트리밍에 참여함. 그러나 아직까지는 콘텐츠의 양이 많지 않아
선택의 폭이 제한돼 있음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0
(5) 국내 방송/애니메이션 콘텐츠 유럽 진출 사례
가. 방송
. 국내 방송 포맷 수출은 2010년부터 본격 성장해 2015년 수출액 약 3,915만 달러
를 기록함. MBC의 <아빠 어디 가>, SBS의 <런닝맨>처럼 중국에 공동제작 형식으
로 예능 포맷을 수출하면서 전체 방송영상 콘텐츠 수출액의 12%를 차지할 만큼
급격히 증가함. 포맷은 대개 현지 총제작비의 5~10% 선에서 거래되며 공동제작의
경우에는 수익이 더 높아짐. 중국의 경우 한국의 제작진이 현지에 가서 노하우를
전수하거나 공동제작을 하지만, 미국과 유럽의 경우에는 주로 프로그램을 매뉴얼화
한 ‘포맷 바이블’의 형태로 거래함
. 최근에는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신흥 강국이었던 이스라엘, 터키 등을 제치고 한국
이 새로운 방송 포맷 강국으로 급부상하고 있음. 즉, 동남아시아에 집중됐던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이 유럽에 잇따라 수출되며 현지 지상파 방송사 프라임 시간대
에 편성되는 등 유럽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확대됨
▣ <판타스틱 듀오>, 스페인 지상파 채널서 리메이크
. SBS는 2016년 프랑스 칸에서 열린 ‘K-포맷 쇼케이스’에서 처음으로 음악 예능 프
로그램 <판타스틱 듀오> 포맷을 해외에 선보였고, 이에 관심을 보인 세계적인 포
맷 기업 Banijay International 측과 유럽 시장 배급 대행 계약을 맺으며, 국내 지
상파 최초로 예능 포맷을 유럽에 수출함. <판타스틱 듀오>의 이번 수출은 사실상
한국 방송 수출 불모지였던 유럽이 주목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SBS는 수익
으로 포맷료와 자문료를 합쳐 현지 제작사 전체 제작비의 5~10%에 해당하는 금액
을 받게 됨
. 먼저, <판타스틱 듀오>의 정식 스페인 버전이 2017년 5월 10일 프라임 시간대인
밤 10시 40분부터 2시간 동안 지상파 채널 TVE를 통해 스페인 전역에 첫 방송되
었고, 이외에도 이탈리아 버전이 제작·방송되었으며, 영국, 프랑스, 포르투갈 등에
서도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1
<판타스틱 듀오>(스페인 TVE 채널)
. 스페인 지상파 채널 프라임 타임 시간대에 편성된 <판타스틱 듀오> 스페인 버전
첫 회에는 17년 만에 스페인 지상파 TV에 컴백하는 누리아 로까(NURIA ROCA)가
MC로 등장해 시청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고, 오프닝에서는 출연자들이 한국의
<판타스틱 듀오> 오프닝 음악이기도 한 빅뱅의 <판타스틱 베이비>에 맞춰 흥겨운
군무를 펼쳐 눈길을 끌기도 함
. 이날 방송 직후 스페인 언론들은 “모든 연령을 아우를 수 있도록 다양한 음악 스
타일로 프로그램의 균형을 맞추었다”, “음악 쇼가 갖추어야 할 구성을 노련하게 보
여주었다”는 등의 호평을 쏟아냈고, 프로그램 시청률 역시 9.7%로 성공적인 첫 출
발을 기록함. 특히, 여성 시청자와 13세~24세 사이의 젊은 시청자로부터 큰 관심
을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꽃보다 할배>, 이탈리아와 터키 등에서도 인기
. 국내 예능 프로그램 최초로 미국 지상파 방송사 NBC에서 리메이크된 tvN의 <꽃보
다 할배> 포맷이 유럽의 이탈리아와 터키에도 수출됨. 독창적 아이디어와 보편적
감성, 특정 연예인 의존도를 낮춘 뚜렷한 캐릭터가 글로벌 포맷 성공의 조건으로
꼽히는 <꽃보다 할배>는 현재까지 영국, 핀란드, 프랑스 등 10여 개국에 포맷이 판
매됐고 4개국에서 방영 또는 방영 확정되었으며, 미국의 NBC 역시 <더 늦기 전에
(Better Late than Never)>의 시즌2 제작을 위해 전 출연진과 계약을 완료한 상
태임. 이밖에도 신규시장인 폴란드와 이스라엘에도 글로벌 배급사와 계약이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2
. 세계적인 포맷 배급 기업인 스몰월드 아이에프티(Small World IFT)의 팀 크레센티
(Tim Crecenti) 대표는 “<꽃보다 할배>의 미국 NBC 수출 이후 한국 포맷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매우 뜨겁다.”라고 언급해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이 포맷 수출에 중
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함
. 이탈리아 버전의 <꽃보다 할배>는 <더 늦기 전에(Meglio Tardi che Mai)>라는 제
목으로 2017년 5월 22일 밤 현지 최대 국영방송사인 라이(Rai)2에서 첫 방송됨.
이탈리아의 원로 배우, 가수, 테니스 선수 등 평균 연령 60세 이상인 출연진 4명의
일본 여행기를 다룬 첫 에피소드는 시청자 수 163만 명을 기록하며 화제를 모음.
유럽 3대 일간지 중 하나인 라 스템파(La Stampa)를 비롯한 현지 언론들은 “미국
에서도 인기인 한국 방송포맷이 드디어 이탈리아에 왔다”, “참신하다” 등의 평가를
내림
<더 늦기 전에>(이탈리아) <나의 아름다운 세상>(터키)
. <꽃보다 할배>의 터키 버전은 <나의 아름다운 세상(Dunya Guzellerim)>이라는 제
목으로 올 여름 방송될 예정임. 터키의 첫 트랜스젠더이자 국민가수, 80년대 팝 스
타, 미스 터키 출신 지상파 메인 앵커 등 유력 인사가 캐스팅돼 뜨거운 반응을 얻
고 있으며, 현지 유력 지상파 방송사인 쇼티브이(Show TV)에서 주말 프라임타임
(밤 8~11시 사이)에 방영을 앞두고 있음
. <꽃보다 할배>는 ‘유명한 노인들과 젊은 짐꾼이 해외여행을 한다’는 콘셉트를 유지
하면서도 나라마다 특성에 맞게 현지화됨. 미국과 이탈리아 버전은 문화적 충격과
코믹 요소를 강조했고, 터키 버전에는 할머니들이 등장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3
▣ 한국 방송 콘텐츠의 해외 마켓 성과
. 드라마, 애니메이션, 포맷 등 우리나라 콘텐츠가 올해 들어 지금까지 개최된 국제
시장(마켓)에서 지난해를 훌쩍 뛰어넘는 수출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남. 문화
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17년 4월 프랑스 칸에서 열린 밉티브이
(MIPTV) 2017에서 국내 콘텐츠 기업들이 전년 대비 15.5%가 늘어난 3,769만 달
러, 특히 방송콘텐츠는 30.5%가 증가한 1,529만 달러의 수출 계약을 체결한 것으
로 집계됐다고 밝힘
. 100여 개국 3,141개 업체와 10,500여 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가한 이번 밉티브이에
서 국내 업체들은 KBS의 <김과장>, MBC의 <화려한 유혹>, SBS의 <피고인> 등
드라마와 MBC의 <무한도전>, CJ E&M의 <더 지니어스>와 <너의 목소리가 보여>
등의 예능 프로그램을 판매함. 또한 EBS도 <녹색동물>, <넘버스> 등 신작 4케이
(K) 다큐멘터리를 선보여 미국 스미소니언 채널 등과 긍정적으로 수출을 논의하고
있음
. 특히 JTBC는 <냉장고를 부탁해>, <아는 형님> 등 다수의 예능 프로그램을 넷플릭
스(Netflix)를 통해 전 세계에 전송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CJ E&M은 현장에서 영
국의 ITV와 예능 포맷 공동 개발에 합의했을뿐 아니라, 독일 트레저티브이와도 우
선 판매 옵션 계약을 체결해 한류 콘텐츠를 유럽 전역에 알릴 수 있는 계기를 마
련함
▣ <소사이어티 게임>, MIPCOM 2016에서 호평
. tvN의 <소사이어티 게임>이 MIPCOM 2016에 참가해 전 세계의 제작사, 배급사,
기자 등 해외 방송 관계자들로부터 호평을 얻음. 관계자들은 <소사이어티 게임>
영상 시청 후 “신선한 리얼리티 게임 쇼였다”, “두 개의 완전히 다른 사회 구조를
대조해서 보여주는 것이 새롭게 느껴졌다”, “생각했던 것보다 반란이 빠르게 일어
나서 놀라웠다”, “1화 시청률과 한국 온라인 반응 등 한국에서의 반응에 대해 매우
고무적으로 생각한다” 등의 반응을 보임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4
. <소사이어티 게임>은 tvN이 <빅브라더>, <마스터셰프>, <1대100> 등으로 유명한
글로벌 제작사 엔데몰샤인 그룹(Endemol Shine Group)과 공동으로 개발, 구성,
제작한 프로그램으로 통제된 원형 마을에서 22명의 출연자가 펼치는 14일 간의 모
의사회 게임쇼를 다룬 새로운 형태의 예능 프로그램임
. <소사이어티 게임>은 2016년 10월 16일(일) tvN에서 첫 방송을 시작해 차별화된
소재와 눈을 뗄 수 없는 흥미진진한 전개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았고, 방송 이후 온
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 참가자들에 대한 응원, 참가자들의 플레이에 대한 감탄,
살아남기 위한 필승 전략에 대한 열띤 호응을 얻은 바 있음
<소사이어티 게임>의 MIPCOM 2016 스크리닝 현장
. CJ E&M 미디어 콘텐츠 부문 이덕재 대표는 2015년 MIPCOM에서 처음으로 함께
프로젝트를 해보자는 논의를 했으며, 양사의 힘으로 1년이 채 안 돼 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만들고 방송하기에 이르렀다고 설명함. 또한 모든 과정에서 tvN과 엔데
몰이 밀접하게 협업했고, 엔데몰 측은 국내에서 진행된 촬영장까지 직접 방문해 프
로그램을 함께 제작했다고 밝힘. 그는 또한 글로벌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기
획된 프로그램인 만큼 향후 <소사이어티 게임>이 세계를 무대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5
▣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에 진출하는 한국 방송 콘텐츠
. 한국 방송 콘텐츠 제작사들은 상승일로의 제작비를 보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해
외 시장을 개척해 왔으나, 최근의 중국 한한령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격음. 이들 제
작사들은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한 신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OTT)와 주문형 비
디오(VOD) 판매에 새롭게 관심을 돌리고 있음
. 특히 넷플릭스는 회당 제작비가 50억~100억 사이인 미국 드라마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비용으로 제작하는 한국 드라마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며,
한국 드라마가 넷플릭스에 전 세계 독점방영권을 판매할 경우 제작비용을 바로 보
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됨
<마이 온리 러브송>의 넷플릭스 서비스 화면
. FNC애드컬쳐의 경우 중국 시장을 겨냥해 제작했다가 한한령에 발목이 잡혔던 웹
드라마 <마이 온리 러브송>을 2017년 상반기 넷플릭스에 판매함. 안석준 FNC애드
컬쳐 대표는 “넷플릭스와의 계약은 우리 드라마가 글로벌 시장으로 진입하는 새로
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향후 넷플릭스와 사전에 계약을 맺게 되면 기획단계에서
부터 서구 시청자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콘텐츠가 제작될 것”이라고 전망함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6
나. 애니메이션
▣ 토종 애니메이션 <넛잡 2>, 글로벌 개봉
. <넛잡 2>가 2017년 9월 11일 개봉을 앞두고
북미 박스오피스 1억 달러를 목표로 시장 선점
에 나서 한국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새롭게 쓸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음
. 도심 속 공원의 말썽꾸러기 다람쥐 ‘설리’와 그
의 친구인 생쥐 ‘버디’의 땅콩 가게 습격 사건
을 다룬 좌충우돌 가족 코미디 애니메이션 <넛
잡 2>는 세계인의 귀에 익숙한 목소리인 윌 아
넷, 케서린 헤이글, 마야 루돌프는 물론, 우리
나라 관객들에게도 친숙한 홍콩배우 성룡의 목
소리로 더빙 작업을 마침
. 현재 <넛잡 2>의 제작사는 북미 배급사인 오픈로드와 함께 TV광고 및 캐릭터 소
개 영상에 대한 제작을 마쳤으며, 옥외광고, 쇼핑몰 상품 이벤트, 넛잡 이모티콘,
온라인 미니게임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연령층을 공략하고 있음
. <넛잡 2>는 현재까지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등 총 170개국에 수출됐으
며, 선판매 금액만 약 850만 달러를 기록해, 앞으로 추가로 수출 계약이 늘어나면
천만 달러 이상의 실적을 올릴 것으로 전망됨. 한편, 오리지널 <넛잡>은 2014년 1
월 개봉 당시 첫 주 북미 박스 오피스 3위에 오르는 성공사례를 기록한 바 있음
<넛잡 2>(미국판 포스터)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7
▣ 탁툰엔터프라이즈, 유럽 기업들과 애니메이션 공동제작 계약 체결
. 탁툰엔터프라이즈는 2017년 2월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북미 최대 애니메이션 콘
텐츠 마켓 키즈스크린 서밋(Kidscreen Summit) 한국공동관에 참가, 프랑스 3대
애니메이션 제작배급사 중 하나인 밀리마쥐(Millimages)와 40억 규모의 신작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빅 파이브(Big Five)>의 시나리오 공동개발 및 전 세계 배급 관
련 MOU를 체결함
탁툰-밀리마쥐 MOU 체결식 탁툰-원더링아이픽처스 계약 체결식
. 탁툰엔터프라이즈는 또한 영국의 원더링 아이 픽처스(Wandering Eye Pictures)와
신작 애니메이션 시리즈 <스트롱 걸, 린다(Strong girl, Linda)>의 공동제작 협약
을 체결함
. 탁툰엔터프라이즈는 중앙대학교 지주 애니메이션 회사로서 2D디지털 애니메이션과
세계적 수준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스타일의 애니메이션을 기획, 제작
하고 있음. 대표작으로는 KBS와 공동제작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갤럭시 키즈>와
카카오톡 이모티콘 및 요즘 주목받는 웹툰을 원작으로 한 <뾰족뾰족 포크가족>이
있음. <뾰족뾰족 포크가족>은 밀리마쥐와의 MOU를 통해 프랑스어로 더빙돼 키덜
트를 타깃으로 유튜브에 진출했으며, 프랑스의 모르간 프로덕션(Morgane
Production)과 공중파 및 케이블 등 기타 배급에 관한 협의를 진행한 바 있음
2017 글로벌마켓 심층분석리포트 . MIPCOM
58
▣ <레인보우 루비>, 폴란드 방송 시청률 2위 기록
. 2017년 1분기에는 CG 애니메이션 <레
인보우 루비>가 폴란드 애니메이션 방
송 채널 미니미니+(MiniMini+)에서 자
체 방송 시청률 2위를 기록하는 등 다
양한 한류콘텐츠가 확산되면서 한국에
대한 우호적 분위기를 띠고 있음
. <레인보우 루비>는 한국의 38°C 애니
메이션 스튜디오, CJ E&M, 중국의 차
이나엔터테인먼트공사(中.文化股.有
限公司)가 공동으로 캐나다의 DHX Media에서 제작하고 CJ E&M이 글로벌 라이선
스를 확보하고 있으며, 아일랜드, 캐나다 등을 포함한 10여 개 국가에도 라이선스
프로그램이 판매됨
▣ 한국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해외 마켓 성과
. 2017년 4월 프랑스 칸에서 열린 밉티브이(MIPTV) 2017에서 국내 애니메이션 기업
들이 유럽, 북미, 중동 등 전 세계 30여 개국 업체들과 <또봇>, <유후와 친구들>,
<출동 슈퍼윙스>, <롤러코스터 보이, 노리> 등 인기 작품들의 방송권, 라이선스 관
련 상담을 진행해 2,240만 달러에 이르는 수출 성과를 달성함
. 또한 2017년 7월 프랑스에서 열린 안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에서도 <그라미의
서커스 쇼> 시리즈를 제작한 스튜디오 게일이 유럽, 아시아 애니메이션 업체와 투
자 및 공동제작 협의를 진행함. 스타트업으로 처음 전시회에 참가한 스튜디오 창
역시 <고고밴드> 캐릭터를 선보이며 유럽 바이어들에게 호평을 받아 공동제작 및
투자와 관련된 계약추진 성과를 거둠
<레인보우 루비>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NNFC-KOITA 협력 나노장비 교육 과정 안내 (0) | 2017.10.21 |
---|---|
[KAIST 창업원 판교센터] ROBOT Tech Meetup "로봇기업 CEO들로부터 듣는 성공과 실패" (11/2) (0) | 2017.10.21 |
아프리카 소비시장서 블랙다이아몬드 캔다- KOTRA, 남아공서 아프리카 유통바이어 80개 초청 전시홍보, 판촉행사 개최 (0) | 2017.10.21 |
금융위-금감원-금융연구원, 금융회사 및 핀테크 회사 등을 대상으로 「레그테크(RegTech) 도입 및 활성화 과제」 세미나 개최 (0) | 2017.10.21 |
2017년도 연구실 안전 유공자 선정 결과 공고 (0) | 2017.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