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방역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과 백신 개발에 적극 협력하여 주기적 감염병 유행에 대비한다”

하이거 2021. 3. 17. 16:24

방역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과 백신 개발에 적극 협력하여 주기적 감염병 유행에 대비한다

 

등록일 : 2021-03-17[최종수정일 : 2021-03-17] 담당부서 : 보건의료기술개발과

 

 



“방역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과 백신 개발에 적극 협력하여 주기적 감염병 유행에 대비한다”

- (재)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연구개발 성과의 현장 적용 강화를 위한 연구협력 협약(MOU) 체결(3.17) -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은 (재)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단장 이주실)과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단장 성백린)이 감염병 대비·대응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MOU)을 3월 17일(수) 질병관리청 국립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일시‧장소) 2021.03.17.(수) 11:00∼12:00,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회의실(충북 오송)

○ 이번 협약식에는 질병관리청 국립감염병연구소장,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장,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장 등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하였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사업단은 ▲감염병 방역 및 백신 실용화 촉진을 위한 연구과제 공동 발굴 및 수행, ▲연구성과물의 연계·홍보 등 교류 활동 등에 관련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 (재)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은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가방역체계 고도화를 목표로 현장 중심의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 추진을 위해 2018년에 출범하였다.
* 총 5년(’18∼’22)간 국비 400억 원 지원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환경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7개 부처)

○ 감염병의 유입차단, 현장대응, 확산방지라는 3대 목표 하에 중점 기술개발 과제를 추진하였으며, 그간 도출된 연구성과는 감염병 대응 및 코로나19 대응 방역 현장에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 실시간 임상의사 감시 네트워크 (KoEID)운영, 백신 이상반응 능동감시 모바일앱(예방접종도우미 앱과 통합 활용), 코로나19 신속진단 도구, 의료용 호흡기 마스크 등 (사업단의 상세한 소개 및 성과는 참고자료1 및 누리집(https://www.gfid.or.kr/)에서 확인 가능)

□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은 백신 주권 확보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및 국내 백신 수급 안정화를 위해 지난해 4월 출범하였으며,

○ ▴필수예방접종 자급화, ▴미래대응‧미해결, ▴백신 기반기술 등 3개 중점분야를 중심으로 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총 10년(’20∼’29)간 국비 2,151억 원 지원(보건복지부)

※ (주요사업내용) ①백신 자급화가 필요한 28종의 백신 중 필수예방접종에 해당하는 DTaP, 일본뇌염, A형 간염 백신 국산화 목표 ② SFTS, 노로장염, 차세대 결핵, 수족구, 범용인플루엔자, 신변종감염병 등 미래감염병 대응 백신개발 지원 ③ 백신 효능 및 생산효율 극대화를 위해 신개념 백신 면역보조제 및 백신전달체계 개발 및 임상시험수탁기관, 생산시설 등과 연계

□ 보건복지부는 양 사업단이 보유한 다양한 연구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감염병 대응 및 방역기술의 현장 적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연구개발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보건복지부 현수엽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은 “방역연계범부처사업단은 코로나 유행 전인 18년도부터 감염병 대응기술개발을 시작하였고, 그간 도출된 성과를 코로나19 대응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며, “작년부터 시작된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과 협업을 통해 앞으로 주기적 감염병 유행 시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기술들을 많이 개발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방역연계범부처사업단 이주실 단장은 “국가방역체계 고도화를 위한 성공적인 연구사업 수행을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며, “방역현장에서 필요한 각종 기술과 백신 개발 연구에 양 기관이 협력하여 향후 신변종 감염병 적극 대비하고 국민건강의 예방 및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성백린 단장은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현장 중심의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며, “이번 협약으로 감염병 연구개발 성과가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업무협약식(MOU) 세부 일정
<참고> 1. 방역연계범부처 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개요 및 성과
2.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개요

붙임1 업무협약식(MOU) 세부 일정

□ 행사 개요

○ 일시: 2021년 3월 17일(수) 11:00
○ 장소: 오송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1층 회의실
○ 참석: 10명 내외
- 방역연계범부처 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사업단장 외
-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사업단장 외
-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소장 외

□ 협약 주요내용

○ (연구 활동 교류) 감염병방역 및 백신실용화 관련 연구과제 공동 발굴과 수행을 위한 제반업무 협력
○ (성과 교류) 감염병방역 및 백신실용화 관련 연구 성과물의 연계 및 홍보 등 연구성과 교류활동

□ 세부일정

시 간 주 요 내 용 비 고
11:00 개회 주요 참석인사
11:10 인사말씀 성백린 단장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이주실 단장
(방역연계범부처 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축사 장희창 소장
(국립감염병연구소)
11:20 사업단 소개(사업단 당 15분)
11:50 업무협약서 서명
12:00 기념촬영 및 폐회

※ 세부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
참고1 방역연계범부처 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개요 및 성과

□ 사업단 개요
사업기간 : ‘18~’22(5년)
총사업비 : 400억
투자부처 : 복지부, 과기정통부, 농식품부, 환경부, 산업부, 식약처(7개부처)
사업단장 : 이주실
사업수행주체 : (재)방역연계범부처 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비전 국가방역체계 강화를 통한 감염병 걱정 없는 건강하고 안전한 국가실현

추진 (대비-유입차단) 한국형통합감시체계구축 등으로 감염병사전대비 고도화 연구
목표 (대응-현장대응) 현장대응 신속성 및 방역현장 업무 효율 및 안전성 강화 연구
(소통-확산방지) 위기 소통체계의 신뢰성 향상 및 자가격리환자의 자동관리체계 구축 연구

단계별 목표 1단계(‘18~’20) ➡ 2단계(‘21~’22)
감염병 대응·방역 분야 우수 연구성과 창출 및 방역체계 기반 기술확보 감염병 대응·방역기술의 현장 적용 및 활용 확대

중점 유입 [중점분야1] 한국형 Bio-surveillance 감시망 구축
추진 차단 [중점분야2] 매개체 전파 감염병 감시·예측 및 방제 연구
과제 [중점분야3] 백신 이상반응 연구

현장 [중점분야4] 다중 감염성질환 스크리닝을 위한 멀티채널 진단키트 개발
대응 [중점분야5] 방역현장 활동강화를 위한 개인보호구 개발

확산 [중점분야6] 감염병 전주기적 정보 환류 및 소통체계 고도화 연구
방지 [중점분야7] 감염병 자가격리자 최적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연구성과 활용 현황
성과 주요 내용
실시간 임상의사 전문가집단의 국내 코로나19 유행과 관련된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자문‧소통
감시 네트워크 (KoEID) 운영 ∙ 진단결과 공유/선별진료소 문제점 논의/생활치료보호센터 운영/ 현장에서의 치료방법 및 경험 공유 등(260명의 전문가 참여)
코로나19 신속진단 키트개발 기술이전 2건 및 상품화 1건
∙ 코로나19 검출용 루프매개등온증폭 프라이머 세트(기술이전 2건, 기술료 176백만원)
∙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및 검체 수송배지 개발(수출허가 10건, 미국FDA 1건)
∙ 유전자 검사용 검체수송배지 상용화(매출액 32억원)
한국형 의료용 호흡기 보호구 국내 1호 허가 획득 감염성 저항성 개인보호구(마스크 등) 성능평가, 인프라 구축
∙ 코로나19 등 감염 및 질병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의료용 호흡기 보호구개발
∙ 한국형 의료용 호흡기 보호구 (제품명: 도우3D써지컬N95마스크) 국내 1호 허가 획득 및 생산(식약처: 의료용호흡기 품목 신설)
∙ 감염성 보호복 평가시험실 구축 및 서비스제공(국가연구시설장비 등록 완료)
http://katri.re.kr/kr/notice/communityid/46/view.do?idx=14543)
감염병 조기경보를 위한 통합감시 시스템 코로나19 확산예측
∙ COVID-19의 역학적 특징, 대응방안, 확산 양산 및 관련 자료 등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유행확산 예측 및 정보 공유
∙ 1~22차 전문가 워크숍 개최(`20.1.21~9.16)/ 연구결과 논문게재 14건
참고2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개요

□ 사업단 개요 및 소개
사업기간 : ‘20~’29(10년, 3+4+3)
총사업비 : 2,151억 원
투자부처 : 복지부
사업단장 : 성백린
최종목표 : 2029년까지 필수예방접종 3종 포함 임상2상 7종 완료

미션 백신의 주권화
국민건강보호를 위한 국가의 공공백신 확보 및 안정적이 백신 수급체계 구축

비전 백신 5대 강국 실현
백신 세계시장 진출 및 감염성질환 글로벌 리더십 확보

추진 백신실용화기술 개발
목표 - 공공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한 백신 타겟발굴
- 국가 접종이 필요한 백신 자급화 향후 국내외 확산이 우려되는 감염성질환의 미래대응형 백신개발

추진 연계·조정 강화 과제 기획단계부터 연계가능 과제 발굴 및 중복성에 대한 범부처 (감염병 연구기획 전문위원회) 의견수렴 과정을 절차로 수행
전략
사업지원 강화 연구시설 및 자원의 연계 지원과 제도 및 연구정보를 제공하여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

성과활용 강화 개발된 성과가 기업으로의 이전 또는 상용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마련


□ 과제 및 개발 현황

○ 3단계에 걸친 중장기 개발계획(1단계 ’20~’22; 2단계 ’23~’26; 3단계 ’27~’29)에 따라 1단계 1차년도 사업을 착수하여 개발 진행 중

○ 총 3개의 중점분야 중심으로 세부과제 구성·추진
① 필수예방접종자급화 분야
- 백신 주권 확보에 요구되는 필수예방접종 자급화 최우선 순위 4종 백신(DTaP, A형 간염, 일본 뇌염 및 HPV) 관련 11개 과제 선정
② 미래대응·미해결 분야
- 글로벌 시장진출과 확보에 필요한 미래대응․미해결 7종 백신(SFTS, 노로바이러스, 결핵, 수족구, 범용 인플루엔자, 뎅기열, RSV) 관련 24개 과제 선정
③ 백신기반기술 분야
- 다양한 백신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기반기술 영역(면역보조제, 전달체계) 4개 과제 선정
세부 필수예방접종 미래대응·미해결 백신기반기술
과제 자급화
중점 분야
▶ DTaP1) ▶ SFTS3) ▶ 백신 면역보조제
▶ 일본뇌염 ▶ 노로바이러스 ▶ 백신 전달체계
▶ A형간염 ▶ 차세대 결핵
▶ HPV2) ▶ 수족구
▶ 범용 인플루엔자
▶ 뎅기열
▶ RSV4)
▶ 신변종 감염병 백신
플랫폼
1) DTaP: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Diphtheria, Tetanus, Pertussis)
2) HPV: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3) SFTS: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4) RSV: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 신변종 감염병 확산 대비 신속플랫폼 구축

- 코로나19로 예표되는 팬더믹 미래대응 신속개발기술(mRNA, 벡터형, 식물 기반) 등 4개 과제 선정

○ 국내 국가기관 및 국제협력을 통한 국내 백신 시너지 제고 및 국제적 인지도 확립
- 국제백신연구소(IVI) 협력을 통한 글로벌 진출 강화(MOU 체결)
- 산업부 실증지원센터의 백신 GMP 생산시설 연계한 임상시료 생산과 백신개발 전주기적 협력 강화(예정)
- 국내 최초 글로벌펀드(RIGHT Fund) 협력을 통한 백신개발 시너지 제고(예정)
구분 중점기술 해결이슈 목표
필수 예방접종 자급화 DTaP 기반 백신개발 aP 개발 및 혼합백신 기반 필요, 수급 문제 임상 2상 완료
일본뇌염 백신개발 마우스 뇌 유래 사백신에 대한 대체 문제
A형 간염 백신개발 환자발생 큰 폭 증가, 가격 경쟁력 문제, 수급 문제
HPV 예방 백신개발 감염병 예방 치료 백신으로의 연구 필요성이 대두, 필수예방접종 진행 중이며, 접종 대상 확대 추세 후보물질 비임상시험 및 유효성평가
미래대응‧ 미해결 SFTS예방 백신개발 환자발생 지속증가 및 높은 치사율, 치료제 및 백신 부재 임상2상 완료
노로바이러스 장염 백신개발 대규모 집단유행사례 빈번, 백신 부재
차세대 결핵 백신개발 OECD 국가 중 치사율 1위, 성인용 백신 개발 필요
수족구병 예방 백신개발 영유아 및 소아에게 집단 발생, 유행 바이러스의 다양성
범용 인플루엔자 백신개발 항원 변이 바이러스의 빈번한 출현, 대유행 가능성 임상1상 완료
뎅기열 백신개발 국내유입 및 발생 가능성 증가, 안정성제고 신규플랫폼 필요 후보물질 비임상시험 및 유효성평가
RSV 백신개발 영유아의 높은 치사율, 백신 부재
신변종 감염병 백신 개발 플랫폼 신변종 병원체의 세계적 대유행 발생 가능성, 선제적 대비책 필요 백신선도물질 발굴 및 유효성평가
백신 기반기술 신개념 백신 면역보조제 개발 백신 효능 및 생산 효율 극대화, 투여량 감소 효과 후보물질 비임상시험 및 안전성평가
백신 전달체계 개발 백신 효능 극대화, 신기능 백신의 개발·신속 생산 플랫폼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