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산업부-공과대학장 정례협의회」발족

하이거 2021. 3. 25. 09:52

산업부-공과대학장 정례협의회발족

 

담당부서산업기술정책과 등록일2021-03-24

 


「산업부-공과대학장 정례협의회」발족

- 전국 130여개 공과대학과의 정례적 소통채널 신설 -
- 연간 5,700억원 규모의 산업부-대학 간 협력사업 확대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이하 산업부)는 3월 24일(수) 14시 서울 롯데호텔에서「산업부-공과대학장 정례협의회」발족식을 개최하고, 산업부와 공과대학 간 긴밀한 소통을 통한 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하였다.

ㅇ 同 협의회는 전국 공과대학을 대표하는 공과대학장 133명의 모임인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와 산업부 간의 정례적인 소통채널으로, 현장의 목소리에 기반해 신산업을 선도할 혁신 동력을 발굴하고 중장기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개요

◇ (구성원) 전국 4년제 공과대학 학장 133명

ㅇ (회장) 부산대 공과대학 조영래 교수(임기 : ‘21.3~’22.2월)

◇ (설립일시) ‘91.5월

◇ (설립목적) 공학 및 기술교육을 기반으로 국가경쟁력 제고에 필요한 의견 수렴,
공학기술문화의 확산, 공학기술의 중요성 대국민 홍보 등

ㅇ 특히 올해는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가 설립된 지 30주년이 되는 해로, 그간 산업와 공과대학 간의 간헐적인 만남을 넘어 연속성 있는 논의를 위한 초석을 다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금일 발족식에는 성윤모 산업부 장관, 조영래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장을 비롯해 전국 13개 공과대학장 등이 참석하였다.
「산업부-한국공과대학장 정례협의회」 발족식 개요

◇ (일시/장소) 3.24일(수) 14시 / 롯데호텔 밸뷰스위트

◇ (참석자) 산업부 장관,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소속 공과대학장 13명, 지원기관 등 20여명

ㅇ (공과대학장) 경북대, 고려대, 공주대, 부산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연세대, 전남대, 충남대, 한국과학기술원, 한양대, 한양대(ERICA) 공과대학장 등 13명(가나다 순)

ㅇ (지원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장

□ 이날 협의회에서 산업부는 공과대학의 지속적인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수요기반 공학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을 발표하고 현재 약 5,700억원 규모인 대학 협력사업을 확대해 나가기로 하였다.

① (R&D) 대학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촉진하기 위해 우수 역량을 갖춘 공과대학 연구소에 ‘과제’ 단위가 아닌 ‘연구소’ 단위 지원을 확대한다. 현재 성균관대, 연세대, 한양대 등 3개 공과대학 연구소를 대상으로 운영 중인 블록펀딩 시범사업* ‘산업기술거점센터’를 향후 산학협력 성과 등을 평가하여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산업기술거점센터 육성 시범사업 : (‘20) 26억원 → (’21) 54.5억원

② (인프라) 축적된 기술의 사업화 촉진과 안정적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대학 대상 연구장비․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인 ‘대학혁신센터(UIC, University Innovation Center)’ 사업 신설*을 추진한다. (1)기업에는 대학이 보유한 우수 원천기술 활용과 상용화 성능검증 기회를, (2)연구실 석․박사급 인력에는 기업 수요가 높은 장비 운영 기회를 제공하여 사업화 편의 증진과 실무형 공학인력 양성을 촉진한다.

* (‘22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내역사업(100억원 규모) → (’23년~) 예타 추진

③ (네트워크) 이공계 교수가 연구년을 활용하여 중소․중견기업 기술 컨설팅과 공동 R&D를 수행하는 우수인재 네트워크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기존 인력양성 사업의 대학-기업 간 컨소시엄도 강화*된다.


* 융합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양성사업 : 참여 대학(11개) 당 5개 이상의 기업과 MOU를 체결, 해당 기업이 직면한 현장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학사일정에 반영(‘21년 57억원)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공과대학 실험실에서 시작되는 기술혁신은 우리 경제와 산업을 견인하는 변화의 씨앗이 되어 왔다”면서,

ㅇ “학령인구 감소와 신산업 가속화로 공학교육에도 변화가 필요한 때인 만큼, 신산업 분야 인재양성 촉진과 수요자인 기업 관점을 반영한 사업 확대․개편 등 공과대학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탄소중립․디지털 전환과 같이 당면한 난제도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산업부는 오늘 협의체에서 나온 의견을 적극 검토하여 신사업 기획과 정책수립에 적극 반영하고, 향후 정례적인 활동을 통해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참 고 참석자 명단

구분 성명 기관 직급
정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 관
한국 김규용 충남대학교 공과대학장
공과대학 김용찬 고려대학교 공과대학장
협의회 김재웅 공주대학교 공과대학장
-13 김진혁 전남대학교 공과대학장
명재민 연세대학교 공과대학장
이광훈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장
이내응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장
이동만 한국과학기술원 공과대학장
이 주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장
조영래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
좌용호 한양대학교(ERICA) 공과대학장
차국헌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장
허영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장
지원 석영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 장
기관 정양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원 장
-3 나경환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 단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