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4차 산업혁명시대 글로벌 의료서비스 표준, 우리 기술로!』- 제31차 의료정보(ISO/TC 215) 국제표준화회의(4.13.~4.17.)에 우리나라 표준 전문가 파

하이거 2019. 4. 15. 12:33

4차 산업혁명시대 글로벌 의료서비스 표준, 우리 기술로!- 31차 의료정보(ISO/TC 215) 국제표준화회의(4.13.~4.17.)에 우리나라 표준 전문가 파견

 

담당부서전기전자정보표준과 등록일2019-04-15

 

 



 



『4차 산업혁명시대 글로벌 의료서비스 표준, 우리 기술로!』

- 의료서비스 시장 창출의 촉매제, 글로벌 표준 우리나라가 이끈다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스웨덴에서 개최되는 제31차 의료정보(ISO/TC 215) 국제표준화회의(4.13.~4.17.)에 우리나라 표준 전문가를 파견해
      
ㅇ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구현을 위해 국제표준으로 작업중인 ‘유전체 정보의 품질 및 상호교환’ 표준(안) 3종*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구분
국   제   표   준   명
?
차세대 시퀀싱 기반 임상유전체 자료 교환을 위한 스펙
?
차세대 유전체 분석의 품질관리를 위한 항목
?
전자의무기록을 위한 구조화된 Gene Fusion 리포트


   - 특히, 의료-인공지능과 같은 신 응용산업을 우리나라가 주도할 수 있도록  ‘의료 인공지능의 응용 사례’ 등 2종의 신규 기술보고서(TR)를 선 제안하여 향후 이를 기반해 국제표준(NP)을 제안할 계획이다.

 ㅇ 또한 최근 신규 설립된 ‘유전체 정보(Genomics Informatics)’ 분과위원회(TC215/SC1)의 간사국을 수임할 수 있도록 참여국 전문가의 지지를 이끌어낼 예정이다.
   

< 의료정보 회의 및 대표단 개요 >


○ 회 의 명 : 제31차 의료정보(ISO/TC215) 국제표준화 회의
○ 기간/장소 : ‘19. 4. 13.(토)~4. 17.(수)/스웨덴 예테보리
○ 참가규모 : 미국, 일본 등 30개국 국내·외 전문가 200여명
○ 대 표 단 : 삼성서울병원, 경북대학교, (주)헬스올, 한국한의학연구원 등
             산·학·연·병 전문가 29명


□ 우리나라는 의료정보 국제표준화기구에서 현재 작업중인 국제표준의 약 20%를 주도*하고 있을 정도로 표준화 선도국가로 도약하고 있으며,

   * 현재 국제표준 55종 중 우리나라 주도로 13종 추진중
 
 ㅇ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의료정보에 접목시킨 ‘헬스케어-AI', '헬스-클라우드' 처럼 ICT 기반의 스마트헬스 표준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적극 제안하고 있다.

□ 국가기술표준원은 “현재 이러한 글로벌 표준화 노력들이 향후 우리나라 의료서비스 시장 창출의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ㅇ “올 11월 의료정보 국제표준화 회의 국내 개최 등을 통해 표준 강국으로서의 기반을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참고

 의료정보기술위원회(ISO/TC215) 일반 현황


□ 의료정보 기술위원회 개요

 ㅇ (명    칭) Health informatics
 ㅇ (설립연도) 1998년

 ㅇ (표준범위) : 의료정보분야 표준을 통하여, 의료시스템의 모든 측면들이 제공되고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보건의료관련 데이터, 정보 및 지식들을 지속적이며 일관되게 상호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촉진
 ㅇ 의  장(Chairperson) : Mr. Michael Glickman(미국)
 ㅇ 간  사(Secretary) : Ms. Rachel Hawthorne(미국)
 ㅇ 간사국(Secretariat) : 미국(ANSI)

□ 조직 구성 및 활동

 ㅇ 회 원 국: P멤버(Participating countries) 30개국, O멤버 31개국
 ㅇ 조직구성
   
작업반
작업반장(Convener)
작 업 반 명
WG1
Mr. Bjorn-Eric Erlandsson(스웨덴)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및 모델
(Architecture, Frameworks and Models)
WG2
Bron Kisler(미국),
vice: 이병기 교수(한국)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운용성
(Systems and Device Interoperability)
WG3
Heather Grain(호주)
시맨틱 컨텐츠
(Semantic content)
WG4
Lori Reed-Fourquet(미국)
보안, 안전 및 프라이버시
(Security, Safety and Privacy)
WG6
Christian Hay(스위스)
의약품 비즈니스
Pharmacy and medicines business
 JWG1
Ken Toyota(일본)
한의학과 의료정보 JWG
(Joint ISO/TC 215 - ISO/TC 249 W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Informatics))
JWG7
Dr-Ing Georg Heidenreich(독일)
의료기기와 의료정보 JWG
(Joint ISO/TC 215 - IEC/SC 62A WG:
Safe, Effective and secure health software and health IT systems, including those incorporating medical devices)

 ㅇ 국내전문위원회: 경북대학교 김일곤 교수 등 19명
 ㅇ 간사기관 및 표준개발협력기관: 사회보장정보원
 ㅇ 국내‧외 표준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