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공화당 세금 개혁안과 무역분쟁 전망[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기타 해외동향
2016-12-15 | 미국| 워싱톤무역관
- 공화당의 판매지 기준 과세안 및 국경세 평준화 법안 관련, 경제학자들 무역분쟁 우려 -
- 무역구제와 세금 관련 정책 맞물려 추이 관찰 필요 -
□ 개요
ㅇ 최근 하원 세입세출 위원회 의장 케빈 브레이디(공화당-텍사스) 의원은 WTO 분쟁을 피할 수 있는 ‘성장을 위한 개혁 세금 개혁안(Build for Growth tax plan)’을 총체적으로 설계하는 과정에 있다고 밝힘. 이 개혁안은 미국의 과세 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혁해 기업이 위치한 장소가 아닌, 기업이 상품을 판매하는 장소 기준으로 과세하는 안을 포함
ㅇ 또한,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부가가치세도 암묵적인 관세라고 주장. WTO 규정에 따라 국내에서 상품을 제조해 미국(또는 다른 국가)으로 수출하는 국가들은 이미 지급한 부가세를 리베이트로 돌려받으므로, 이는 암묵적 보조금이나 마찬가지라는 논리. 반면, 미국이 해당 국가에 수출을 하면 해당 국가에서 부가세가 붙어 판매되기 때문에 암묵적 관세나 마찬가지라고 주장
ㅇ 이에 미국 기업들이 세금 혜택을 위해 외국에 공장을 세우고 미국으로 제품을 수출할 인센티브가 생긴다는 주장. 따라서 트럼프는 기업세를 감면하면서 WTO 부가세 리베이트 허용 규정 수정을 요구하겠다고 공약. 특히, WTO 규정 수정을 위해 미국의 WTO 탈퇴 가능성을 시사하며 압박하겠다고 공약. 이와 관련, 지난 9월 공화당 상원의원 빌 파스크렐과 월터 존스는 ‘국경세 평준화법’을 발의, 현재 하원에 법안 계류 중
□ 판매지 기준 과세안
ㅇ 미국의 과세 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혁해 기업이 위치한 장소가 아닌, 기업이 상품을 판매하는 장소 기준으로 과세하는 안. 이를 위해 공화당 세금 개혁안 기안자들은 ‘국경세 조정(border adjustment: 수입품에 새로운 세금 부과 및 수출에 리베이트 제공)’을 개혁안에 포함하고자 함.
ㅇ 이 안에 따르면, 수입품은 미국 내 기업에 부과되는 20%의 세금이 똑같이 부과. 수출품은 과세 없음. 해당 안에 따를 경우, 미국산에 수입품과 같이 20%의 세금이 과세되더라도, 세금 계산을 할 때 미국산의 경우 인건비를 공제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미국산을 우대하는 효과
□ 국경세 평준화 법안 내용
ㅇ 국경세 평준화 법(Border Tax Equity Act)
- 발의인: 공화당 상원의원 빌 파스크렐, 월터 존스
- 발의일: 2016년 9월 27일
- 법안 개요: WTO가 국경에서 부과되는 많은 직접세는 철폐했으나, 대부분 국가가 수입품에 대한 부가세는 그대로 두면서 자국 수출업자가 다른 국가로 상품을 수출할 때 부가세에 대해 리베이트 형식으로 돌려받는 것이 문제라고 주장, 그 차별적 효과를 바로잡으려는 법안
- 법안 주요 내용
·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WTO에 부가세로 인한 불공정을 바로잡는 방향으로 재협상하도록 함.
· 2018년까지 위 불공정 시정을 위한 재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세금 부과 후 수출 시에 리베이트 형식으로 돌려주는 국가들에서 수입되는 수입품에 과세하도록 함.
· 미국 수출업자들에게 부가세로 인한 손해를 회복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함.
· 미 무역대표부(USTR)에 현재 미국이 맺은 자유무역협정으로 인해 부가세로 인한 차별을 미국 내 기업이 받게 됐는지 현황을 조사하도록 의무 부과
- 법안 원문: https://www.congress.gov/bill/114th-congress/house-bill/6183/text
□ 쟁점 사항
ㅇ 판매지 기준 과세안: 가장 큰 문제는 기업들이 어디에 있는가가 아닌, 어디에 상품을 파는가에 기반을 두어 과세를 하자는 아이디어임. 최근 미 정치 전문 보도 매체 폴리티코 프로는 이 법안과 관련해, WTO 분쟁 소지가 있고 종국적으로 타국의 보복관세 위험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
ㅇ 또한, 기업들은 해당 법안이 미국 내 기업들의 세금 부담을 높인다며 우려. 특히 수입품 의존율이 높은 Home Depot, Walmart 등의 염려가 큰 상황. 경제학자들은 또한 이 자체로 수입품보다 미국산 제품에 특혜가 자유무역협정에 위배가 될 것을 경고. 미국산 제품에 대한 세금 특혜로 자유무역협정 위반 소지가 있어 WTO 제소 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걱정
ㅇ 국경세 평준화 법안: 부가세는 소비에 대한 과세로, 멕시코를 예로 들면, 멕시코 국민은 과세 가능한 상품과 서비스에 그 상품·서비스가 어디서 생산됐는지 상관없이 같은 멕시코 부가세를 내게 됨. 동시에, 멕시코 밖에서 소비되는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그 상품·서비스가 어디서 생산됐든 멕시코 부가세가 부과되지 않음.
ㅇ 미국 또한 담배, 주류, 자동차 연료 등에 특별소비세(excise tax)를 부과하고 있음. 담배 특소세는 미국에 수입된 담배에도 똑같이 적용됨. 수출되는 미국 담배에는 적용되지 않음. 주 소비세도 마찬가지. 주 안에서 소비되는 모든 상품에 적용되나 수출되는 상품에는 적용되지 않음.
ㅇ WTO는 이들 세를 무역장벽으로 보지 않는데, 이러한 세금은 주민들에게 부과되는 것일 뿐, 생산지에 따라 상품을 차별하지 않기 때문. WTO는 수입된 상품/서비스에만 부과되고,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은 면세해주는 관세에 대해서만 무역장벽이라 규정한 것임.
ㅇ 부가세는 한 국가 생산자를 다른 국가 생산자보다 특혜를 주는 행위가 아니기에, 이에 대해 암묵적 관세라고 주장 하는 것은 다르다는 주장이 있음[Eric Toder, A value added tax(VAT) is not a trade barrier, Tax Policy Center, 9.28. 2016. 요약].
□ 정책 전망
ㅇ 세금 개혁안이 무역 관련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과 맞물려 논의되고 있음. 무역조치의 경우, 다른 입법 분야와 달리 대통령의 권한이 큰 분야로, 정치·경제 상황에 많이 좌우되므로 앞으로도 계속 정치적인 상황 관찰 필요
자료원: 폴리티코 프로, WTO 및 KOTRA 워싱톤 무역관 자료 종합
번호 | 제목 | 국가 | 무역관 | 게시일 | 조회수 |
---|---|---|---|---|---|
61729 | 중국 식물보호용 무인기 시장동향 및 전망 | 중국 | 정저우 | 2016-12-15 | 17 |
61728 | 쿠바, 애플리케이션 개발 스타트업 부상 | 쿠바 | 아바나 | 2016-12-15 | 12 |
61727 | 기지개 펴기 시작한 터키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 | 터키 | 이스탄불 | 2016-12-15 | 18 |
61726 | 美, 공화당 세금 개혁안과 무역분쟁 전망 | 미국 | 워싱톤 | 2016-12-15 | 187 |
61725 | 페루 리마의 주택 현황 | 페루 | 리마 | 2016-12-15 | 16 |
61724 | 중국 프랜차이즈 산업의 테스트 마켓 '선전' | 중국 | 선전 | 2016-12-15 | 36 |
61723 | 파키스탄, 중국과의 경제회랑 구축 본격화 | 파키스탄 | 카라치 | 2016-12-15 | 34 |
61722 | 인도 화장품 시장 동향(1) | 인도 | 뭄바이 | 2016-12-15 | 41 |
61721 | 쿠바, 생태관광 명소로 도약하나 | 쿠바 | 아바나 | 2016-12-15 | 39 |
61720 | 혁신의 상징 독일 스핀오프 기업 | 독일 | 함부르크 | 2016-12-15 | 36 |
61719 | 국내 식품기업, 벨라루스 식품시장으로 눈 돌려야 | 벨라루스 | 민스크 | 2016-12-15 | 51 |
61718 | 바이어들이 알려주는 '뜨는 스리랑카 의류산업' | 스리랑카 | 콜롬보 | 2016-12-15 | 47 |
61717 | 슬로바키아, Automotive Suppliers CEE 컨퍼런스 개최 |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 | 2016-12-15 | 30 |
61716 | 유럽 투자계획 포럼 참관기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 | 2016-12-15 | 33 |
61715 | [무역관 르포] 오스트리아, 대통령 선거 결과 및 EU 탈퇴 논란 | 오스트리아 | 빈 | 2016-12-15 | 43 |
61714 | 멕시코 전자상거래 시장, 소비재 통해 진출하자 | 멕시코 | 멕시코시티 | 2016-12-15 | 92 |
61713 | 우크라이나 자동차 부품 시장을 주목하자! | 우크라이나 | 키예프 | 2016-12-15 | 91 |
61712 | 스페인, 스포츠의류는 불황에도 잘 팔린다 | 스페인 | 마드리드 | 2016-12-15 | 105 |
61711 | 방글라데시 시외운송 서비스 진출 가능성은? | 방글라데시 | 다카 | 2016-12-15 | 68 |
61710 | 싱가포르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시장동향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2016-12-14 | 80 |
61709 | 中, 시장경제지위 인정 관련 미·EU·일과 마찰 | 중국 | 베이징 | 2016-12-14 | 224 |
61708 | 루마니아 최신 화장품 시장 주요 동향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 | 2016-12-14 | 209 |
61707 | 방산보안협회가 진단하는 브라질 방산시장 | 브라질 | 상파울루 | 2016-12-14 | 78 |
61706 | 칠레, 가계부채비율 꾸준히 증가 | 칠레 | 산티아고 | 2016-12-14 | 78 |
61705 | 유럽 진출을 희망하는 스타트업들이여, 슬러시로 오라 | 핀란드 | 헬싱키 | 2016-12-14 | 146 |
61704 | 중국 술의 자존심 '바이지우', 젊은 감각으로 화려한 변신 | 중국 | 항저우 | 2016-12-14 | 309 |
61703 | 亞 기업, 덴마크 강소기업과 손 잡고 세계시장 진출에 박차 | 덴마크 | 코펜하겐 | 2016-12-14 | 83 |
61702 | 30회 맞이한 Metalex 2016을 통해 본 태국 기계시장 | 태국 | 방콕 | 2016-12-14 | 102 |
61701 | 카자흐스탄 서비스 시장 동향 및 진출 유망분야 | 카자흐스탄 | 알마티 | 2016-12-14 | 117 |
61700 | 남아공, 경제불황에도 주얼리 시장은 성장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하네스버그 | 2016-12-14 | 117 |
61699 | 청두·대만 산업디자인 그랑프리 작품 박람회 참관기 | 중국 | 청두 | 2016-12-14 | 57 |
61698 | 말레이시아, 군수시장의 성장과 잠재력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 2016-12-14 | 83 |
61697 | 말레이시아, 연말 경제 현주소 및 2017년 전망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 2016-12-14 | 129 |
61696 | 리비아, 2016년 11월 주요 정치·경제 동향 | 리비아 | 트리폴리 | 2016-12-14 | 62 |
61695 | 현업에서 듣는 내년 중국 경제 전망 | 중국 | 베이징 | 2016-12-14 | 241 |
61694 | 두바이 운하 완공으로 UAE 관광산업 활성화 기대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 | 2016-12-14 | 117 |
61693 | UAE 주얼리 시장 진출 위한 최적의 기회, 두바이주얼리위크 개막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 | 2016-12-13 | 123 |
61692 | 푸틴 대통령의 국정연설(12.1일), 2017년 러시아의 항로는? | 러시아 | 모스크바 | 2016-12-13 | 111 |
61691 | 우즈베키스탄 대선에서 現 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 샤프캇 미르지요예프 당선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 | 2016-12-13 | 64 |
61690 | 브라질, 지금은 “그루밍(Grooming)” 시장에 관심을 집중할 때! | 브라질 | 상파울루 | 2016-12-13 | 480 |
61689 | 최근 우리나라 대알제리 자동차 수출 급증 | 알제리 | 알제 | 2016-12-13 | 413 |
61688 | 헝가리, 알면 피할 수 있는 무역사기 대처법 | 헝가리 | 부다페스트 | 2016-12-13 | 189 |
61687 | 호주 열연코일 특정 품목 반덤핑 관세 면제조사 | 호주 | 시드니 | 2016-12-13 | 248 |
61686 | 본격화되는 중국의 내수진작책 | 중국 | 베이징 | 2016-12-13 | 3268 |
61685 | 트럼프 당선 이후 한 달, 멕시코 내 다양한 움직임 | 멕시코 | 멕시코시티 | 2016-12-13 | 299 |
61684 | 도미니카공화국, 영화산업 급성장 전망 | 도미니카공화국 | 산토도밍고 | 2016-12-12 | 124 |
61683 | 농업중심국 파라과이의 농기계 시장 현황 | 파라과이 | 아순시온 | 2016-12-12 | 154 |
61682 | 중국, 외상투자 산업지도목록 개정 착수 | 중국 | 베이징 | 2016-12-12 | 141 |
61681 | 2016 장춘 오야상장 한국 우수 상품 전시상담회 참관기 | 중국 | 선양 | 2016-12-12 | 146 |
61680 | 1월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미국 자동차 산업 영향 전망 | 미국 | 디트로이트 | 2016-12-12 | 414 |
61679 | 이스라엘, 최근 한국 화장품 관심 확대 | 이스라엘 | 텔아비브 | 2016-12-12 | 175 |
61678 | 이란, 서비스산업 전망 | 이란 | 테헤란 | 2016-12-12 | 166 |
61677 | < 부산행>의 개봉으로 보는 칠레 한류 | 칠레 | 산티아고 | 2016-12-12 | 315 |
61676 | 중국 요거트 시장 최신 동향 | 중국 | 칭다오 | 2016-12-12 | 371 |
61675 | 블랙프라이데이 세일 활용법, 美 벤더에게 물었더니 | 미국 | 뉴욕 | 2016-12-12 | 475 |
61674 | 충북 농식품 대양주 무역사절단 상담회 참관기 | 호주 | 멜버른 | 2016-12-12 | 84 |
61673 | 日, 연구개발비 감세정책 개정으로 서비스산업 적극 지원 | 일본 | 도쿄 | 2016-12-12 | 120 |
61672 | 일본, 로봇을 활용해 물류 인력 부족 해결 | 일본 | 도쿄 | 2016-12-12 | 229 |
61671 | 일본 전문가에게 듣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적재산권 전략 | 일본 | 도쿄 | 2016-12-12 | 292 |
61670 | 일본, 의류취급표시 개정 | 일본 | 후쿠오카 | 2016-12-12 | 88 |
61669 | 日, 바이어가 말하는 소비재 트렌드는? | 일본 | 오사카 | 2016-12-09 | 710 |
61668 | 나이지리아, 불황 속 IT 부문 시장 확대 | 나이지리아 | 라고스 | 2016-12-09 | 250 |
61667 | 나이지리아, 암시장 거래환율 단속 강화 | 나이지리아 | 라고스 | 2016-12-09 | 187 |
61666 | 케냐의 산업단지 조성 현황 및 우리 기업에 대한 시사점 | 케냐 | 나이로비 | 2016-12-09 | 296 |
61665 | 베트남 유아용품 시장, 한국 기업들의 프리미엄 시장 진출 필요 | 베트남 | 호치민 | 2016-12-09 | 351 |
61664 | 베트남, 바빠진 일상만큼 ‘즉석식품’도 인기 급상승 | 베트남 | 호치민 | 2016-12-09 | 827 |
61663 | 베트남, 제조업의 필수 보완산업 ‘포장’을 잡아라 | 베트남 | 호치민 | 2016-12-09 | 271 |
61662 | 한국 이유식, 인도네시아 진출 위해 극복해야 할 점은?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 2016-12-09 | 220 |
61661 | 미국 대선 결과가 베트남에 미치는 영향은? | 베트남 | 하노이 | 2016-12-09 | 303 |
61660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베트남 | 하노이 | 2016-12-09 | 580 |
61659 | 2016년 하노이 주택시장은 '맑음' | 베트남 | 하노이 | 2016-12-09 | 234 |
61658 | 베트남 주류시장, 한국 기업에도 기회 있을까? | 베트남 | 호치민 | 2016-12-09 | 555 |
61657 | 독일, Industry 4.0 클러스터 행사 참가 후기 | 독일 | 프랑크푸르트 | 2016-12-09 | 223 |
61656 | 몽골에서 인기 있는 한국 식품 Best 4 | 몽골 | 울란바토르 | 2016-12-09 | 569 |
61655 | 홍콩 필기구 시장 키워드는 디자인·친환경·기능 | 홍콩 | 홍콩 | 2016-12-09 | 242 |
61654 | 베네수엘라,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결국 고액권 발행 | 베네수엘라 | 카라카스 | 2016-12-09 | 338 |
61653 | 카스트로 사망, 미-쿠바 관계 달라지나 | 미국 | 워싱톤 | 2016-12-08 | 146 |
61652 | 인도네시아의 통상환경 변화와 시사점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 2016-12-08 | 263 |
61651 | 영국, 국민투표 이후 첫 추계보고서 발표 | 영국 | 런던 | 2016-12-08 | 196 |
61650 | 그리스에 브레이크 패드 수출 유망 | 그리스 | 아테네 | 2016-12-08 | 169 |
61649 | 영국, 커넥티드카 허브를 꿈꾸다 | 영국 | 런던 | 2016-12-08 | 333 |
61648 | 영국 FDI 엑스포에서 경상남도를 만나다 | 영국 | 런던 | 2016-12-08 | 114 |
61647 | 2016년 1~10월 대프랑스 수출 동향 | 프랑스 | 파리 | 2016-12-08 | 164 |
61646 | 북미 최대 방사선 의료기기 전시회 RSNA 2016 참관기 | 미국 | 시카고 | 2016-12-08 | 186 |
61645 | 홍콩 바이어가 들려주는 화장품·패션·생활용품 생생정보 | 홍콩 | 홍콩 | 2016-12-08 | 565 |
61644 | 우크라이나 내 블랙프라이데이, 주요 쇼핑시즌 되나 | 우크라이나 | 키예프 | 2016-12-08 | 225 |
61643 | GMO 표기법 개정을 통해 본 미국 식품시장의 미래 | 미국 | 워싱톤 | 2016-12-08 | 327 |
61642 | 네덜란드 스마트팜 전문가에게 듣는 일문일답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 | 2016-12-08 | 144 |
61641 | 전 세계 농식품 수출 2위 강국 네덜란드, 그 비결은 스마트팜에 있다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 | 2016-12-08 | 503 |
61640 | 2017년 러시아 경제 전망 | 러시아 | 모스크바 | 2016-12-08 | 413 |
61639 | 체코 시장진출을 위한 의료기기 인증절차 알아보기 | 체코 | 프라하 | 2016-12-08 | 192 |
61638 | 현지 전문가에게 듣는 中 섬서성 환경보호산업 현황 및 협력방안 | 중국 | 시안 | 2016-12-08 | 157 |
61637 | [네덜란드 국가아이콘_3] 핵폐기물 없는 의료방사성 원소 생산 'Lighthouse'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 | 2016-12-08 | 149 |
61636 | 中 창사 샹장신구, 외국인 창업 우대정책 실시 | 중국 | 창사 | 2016-12-07 | 260 |
61635 | UAE 건설업체 설립은 에미리트별로 별도로 해야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 | 2016-12-07 | 137 |
61634 | 트럼프 당선 이후 이란 핵 협상 관련 동향 | 본사 | 본사 | 2016-12-07 | 252 |
61633 | 터키 뷰티·케어 패키징의 새 트렌드 | 터키 | 이스탄불 | 2016-12-07 | 228 |
61632 | 요르단 건설장비시장 전망 | 요르단 | 암만 | 2016-12-07 | 194 |
61631 | 美 치과장비시장, 신기술 제품이 트렌드 | 미국 | 뉴욕 | 2016-12-07 | 171 |
61630 | CIS 및 동유럽 최대규모 LED 전시장을 가다 | 러시아 | 모스크바 | 2016-12-07 | 119 |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팁스(TIPS) 컨벤션 개최, 팁스 2020 비전 발표 (0) | 2016.12.16 |
---|---|
캄보디아서 韓 프리미엄 소비재 인기 후끈- KOTRA, 캄보디아 최대 전시회에 한국관 구성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 (0) | 2016.12.16 |
민간부문 침해사고 대응 보안 안내서 배포- 기업 침해사고 발생 시 법위반 및 피해 확산 방지 기대 (0) | 2016.12.15 |
2016년 국민과 연구자가 함께하는 X-프로젝트 추진- 2016년 70개 X-연구팀(16개 심화 문제해결 연구팀, 54개 신규 연구팀) 71억원 지원 (0) | 2016.12.15 |
출연(연) 중소기업 기술지원협의회 출범-“출연(연)-중소기업 기술지원협의회 출범 (0) | 2016.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