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감염병 대응,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고부담 질환 해결 등에 2021년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 예산 7,878억 원 지원

하이거 2020. 12. 15. 09:34

감염병 대응,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고부담 질환 해결 등에 2021년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 예산 7,878억 원 지원

 

등록일 : 2020-12-15 담당부서 : 보건의료기술개발과

 

 


감염병 대응,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고부담 질환 해결 등에
2021년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 예산 7,878억 원 지원


- 2020년 제2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12.15)를 통해
2021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 통합시행계획 확정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021년 연구개발(R&D) 투자 방향을 담은 ”2021년도 보건복지부 R&D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12월 15일(화) 제2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송시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에서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 수도권 등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 격상(12.8)에 따라 화상토론회(Webinar) 형식으로 진행

○ 내년 보건복지부 주요 R&D 예산*은 올해 예산(총 5,278억 원) 대비 49.3%(2,600억 원) 늘어난 7,878억 원이다.

* 전체 R&D 예산 중 기관운영비, 국립병원 연구비 등 일반 R&D 예산 제외

○ 시행계획 대상 사업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임상지원, 치매극복연구개발, 재생의료기술개발, 국가신약개발 등 총 61개 사업으로, 신규과제 1,425억 원, 계속과제 6,453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는 ‘공익적 R&D 투자 강화로 국민 보건의료 문제 해결 및 첨단유망기술 육성을 통한 국가주력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바이오헬스 첨단 유망기술 육성, ▴공익적 R&D 투자 강화,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을 4대 추진전략으로 정하고 2021년 주요 R&D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①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해 임상·비임상단계의 연구지원 강화*하고
(’20년(추경) 940억 원 → ’21년 1,388억 원),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사업(’21년 신규, 74억),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20년(추경) 450억 원→ ’21년 627억 원),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20년(추경) 490억 원 → ’21년 687억 원)

- (감염병 진단·방역장비) 신·변종 감염병 출현에 대비, 병원 내 방역·의료장비의 국산화 및 고도화로 국가방역체계 역량 강화할 계획이다.

*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20년(추경) 85억 원 → ’21년 139억 원)

- (감염병 조사·진단·치료 및 백신개발) 감염병 조사‧감시‧예방‧진단‧치료 등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공공백신 연구·개발·지원을 위한 시설 건립 및 운영을 지원한다.

* (백신자급화 등)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20년 120억 원 → ’21년 248억 원)
** (병원체 확보·특성분석 등) 감염병 관리기술개발연구(’20년 205억 원 → ’21년 240억 원, 질병청)
*** (백신연구 기반(인프라))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21년 136억 원, 질병청)

② 바이오헬스 첨단유망기술 육성

- (재생의료) 난치 질환 극복 및 미래 바이오경제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 및 임상연구 분야 투자를 강화한다(’20년 304억 원 → ’21년 460억 원).

* ’20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하여 10년간(’21~’30년) 국비 5,955억 원 투자(복지·과기부)

-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개인별 맞춤 의료, 인공지능을 활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개발, 데이터 관리·보호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의료기술을 적극 지원한다(’20년 506억 원 → ’21년 689억 원).

*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21년 신규 72억, ’21~’25년)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20년 43억 원 → ’21년 73억 원),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20년 80억 원 → ’21년 99억 원)

- (신약·의료기기 등)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개발, 임상, 인허가 및 제품화 등 전 주기에 걸쳐 범부처 공동 지원을 추진한다(’20년 939억 원 → ’21년 1,377억 원).

* 국가신약개발사업 : ’20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하여 10년간(’21~’30년) 국비 약 1.5조 원 투자(복지·과기·산업부)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302억 원 → ’21년 602억 원)

③ 공익적 R&D 투자 강화

- (돌봄, 희귀질환 등 사회문제 해결)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 친화적 돌봄 서비스 제공과 실생활에 기반한 제품 개발, 희귀질환, 저출산 등 공익적 수요가 높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화 중심의 기술개발 등을 지원한다(‘20년 654억 원→ ’21년 958억 원).

* 노인천만시대 대비 고령친화 서비스 연구개발사업(’21년 신규, 40억 원, ´21년∼´23년),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48억 원 → ’21년 76억 원)

- (치매·만성질환 극복) 치매, 만성질환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분야에 중점 투자하여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20년 1,228억 원→ ’21년 950억 원).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20년 30억 원 → ’21년 79억 원)

④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 병원 중심의 연구 플랫폼 구축·개방으로 병원을 산·학·연·병이 협력할 수 있는 연구·산업생태계 혁신 거점으로 집중 육성한다
(‘20년 866억 원→ ’21년 989억 원).

* 연구중심병원육성R&D(’20년 371억 원 → ’21년 402억 원)의료기술상용화지원센터(’20년(추경 포함) 95억 원 → ’21년 170억 원)

□ 보건복지부 임을기 첨단의료지원관은 이날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에서 “정부는 코로나19를 비롯한 신종 감염병, 치매와 같은 고부담 질환 등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공익적 R&D를 계속 확대할 것이며,

○ 또한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바이오헬스 R&D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 아울러 “보건의료 R&D의 성과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직결될 수 있도록 정부는 산업계, 학계 등 현장과 활발하게 소통하여 R&D 사업을 보다 체계적이고 투명하게 관리할 것이며, 현장에서 적극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 2021년 보건복지부 R&D 사업은 올해 12월 22일(화) 사업 공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보건의료기술 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https://www.htdream.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일부 사업은 제외되며, 일정 변동 가능

□ 한편, 이날 보건의료기술정책위원회에서는 제3차(`15~`19)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촉진계획이 완료됨에 따라 「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법」에 의거하여 범부처 차원의 제4차(`20~`24) 촉진계획도 보고하였다.

○ 천연물신약이란 천연물(동·식물 등 생물)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해서 만든 의약품으로, 부작용 및 독성이 비교적 적어 약을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만성질환의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 이에 해당 계획은 ▴수요자 맞춤 천연물자원 활용 촉진, ▴천연물신약 개발단계의 약한 고리 집중지원, ▴천연물신약 사업화 역량 강화를 3대 추진전략으로 정하고,

- ’24년까지 임상진입 5건, 해외 임상진입 3건, 해외 기술이전 3건, 글로벌 천연물 신약 1건 등의 성과를 목표로 추진될 예정이다.


< 붙임 > 1. 2021년 보건복지부 R&D 통합시행계획 주요내용
2. 2021년 신규과제 통합공고 계획
3. 제4차 천연물신약촉진계획(’20~’24년) 주요내용

붙임1 2021년 보건복지부 R&D 통합시행계획 주요내용

□ 2020년 주요R&D 예산 현황

○ ’21년 복지부 주요R&D 예산 7,878억 원, 전년대비 2,600억 원(49.3%) 증가
○ (기관별) 진흥원 6,362억 원으로 전체 주요 R&D 예산의 80.8%를 관리(전년 比 55.2% 증가), 질병청은 1,062억 원으로 13.5% 관리(전년 比 34.4% 증가)

(단위: 억 원, %)
구분 2020년 2020년 2021년 증가율
(본예산) (추경 포함)
복지부 주요 R&D 5,278 6,607 7,878 49.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4,100 5,163 6,362 55.2
-77.70% -78.10% -80.80%
질병관리청 790 1,056 1,062 34.4
-15% -16.00% -13.50%
국립암센터 334 334 360 7.8
-6.30% -5.10% -4.60%
국립재활원 54 54 94 74.1
-1% -0.80% -1.20%

○ (분야별) 코로나19 및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신규 예산 확보로 질환극복·관리 분야 예산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재생의료를 비롯한 첨단의료기술 분야와 신약·의료기기 분야 예산도 증가

주요 R&D 분야별 예산 현황(’20~’21)

(단위: 억 원, %) (단위: 억 원)
분야별 2020 2021 증감률
주요 R&D 5,278 7,878 49.3
질환극복·관리 1,924 3,653 89.9
-36.5 -46.4
신약·의료기기 1,334 1,744 30.7
-25.3 -22.1
첨단의료기술 770 1,151 49.5
-14.6 -14.6
연구기반조성 584 596 2.1
-11.1 -7.6
기타 666 736 10.5
-12.6 -9.3
□ 보건복지부 R&D 정책방향

◇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R&D 투자를 ’25년까지 4조원 이상으로 확대 추진
- 기초연구·응용연구를 균형 있게 확대(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19.5월)
2021년도 전략목표


공익적 R&D 투자 강화로 국민의 보건의료문제 해결,
첨단유망기술 육성을 통한 국가 주력산업으로의 도약


4대 전략별
중점 추진방향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① 감염병 상시화에 대비한 예방·진단·치료기술 등 투자 강화

바이오헬스 첨단 유망기술 육성 ② 재생의료 제도 완비 및 중점 지원
③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D.N.A 기술 연계·활용 투자
④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 중점 지원

공익적 R&D 투자 강화 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취약계층 맞춤형 R&D 확대
⑥ 치매·만성질환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 중점 투자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⑦ 병원 인프라를 연구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집중 육성

보건의료 R&D 정책여건


감염병 위기 대응 미래 유망 기술 투자 공익적 의료생태계 조성 연구 인프라 조성
⇧ ⇧ ⇧ ⇧
·감염병이 일상화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도래 ·첨단 재생의료기술 주목 ·의료비 부담 상승 ·병원 중심의 연구협력 생태계 조성 필요
·미래 감염병 위기대응역량 강화 · 바이오헬스 + D.N.A 접목 ·취약계층 돌봄 서비스 시급 ·신산업 분야 인력 부족
·신약·의료기기 개발 지원 ·정신건강 사회적 문제 심각

□ 중점 추진방향

① 감염병 상시화에 대비한 예방·진단·치료기술 등 투자 강화
(‘20년 781억 원→ ’21년 2,455억 원)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해 임상·비임상단계의 연구지원 강화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사업(’21년 신규, 74억, ’21년~’23년),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20년(추경) 450억 → ’21년 627억),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20년(추경) 490억 → ’21년 687억)

○ (감염병 진단·방역장비) 신·변종 감염병 출현에 대비, 병원 내 방역·의료장비의 국산화 및 고도화로 국가방역체계 역량 강화

*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20년(추경) 85억 → ’21년 139억)

○ (감염병의 심리·정신건강 영향) 코로나19가 의료종사자 및 국민의 심리·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및 비코로나 환자 진료 영향에 대한 후향적 연구

* 감염병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사업(’20년(추경) 8억 → ’21년 15억)

○ (감염병 조사·진단·치료 및 백신개발) 감염병 조사‧감시‧예방‧진단‧치료 등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공공백신 연구·개발·지원을 위한 시설 건립 및 운영

* (백신자급화 등)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20년 120억 → ’21년 248억)
** (병원체 확보·특성분석 등) 감염병 관리기술개발연구(’20년 205억 → ’21년 240억, 질병청)
*** (백신연구 인프라)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17~’21년, 질병청)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신규, 74억, ’21년~’23년)
·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20년(추경) 450억 → ’21년 627억)
·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20년(추경) 490억 → ’21년 687억)
·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20년(추경) 85억 → ’21년 139억)
· 감염병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사업(’20년(추경) 8억 → ’21년 15억)

② 재생의료 제도 완비 및 중점 지원(‘20년 304억 원→ ’21년 460억 원)

○ (재생의료기술개발)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 및 임상연구 분야 투자 강화로 난치질환 극복 및 바이오경제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21년 신규, 64억)
** ’20.6월 예타 통과, 10년간(’21년~’30년) 국비 5,955억원 규모 투자(복지·과기부)

○ (바이오 위해평가) 경쟁력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LMO)가 위해성 평가·심사 장벽을 넘을 수 있도록 유관부처(질병청·과기부·산업부) 협업 지원

* 바이오위해평가 원팀 리노베이션사업(’21년 신규, 7억, ’21년~’23년)

○ (재생의료 실용화) 재생의료 분야 기초원천 연구성과의 임상 적용을 위한 중개연구, 실용화 임상시험, 산업화 기반기술 등 지원 추진

*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內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20년 253억 → ’21년 348억)
** 「첨단재생바이오법」제정(’19.8월) 및 시행(’20.8월)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신규, 64억, ’21년~’30년)
· 바이오위해평가 원팀 리노베이션사업(신규, 7억, ’21년~’23년)
·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內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20년 253억 → ’21년 348억)

③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D.N.A 기술 연계·활용 투자
(‘20년 506억 원→ ’21년 689억 원)

○ (주요 질환 AI기반 기술) 데이터·인공지능(AI) 연계·활용 촉진을 통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및 분석 플랫폼 개발 연구 지원

*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 (’21년 신규, 72억, ’21년~’25년)
** 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반 CDSS 개발 (’21년 신규, 71억, ’21년~’25년)

○ (생명자원 확보) 국가생명연구자원(실물소재자원+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확보, 산‧학‧연‧병에 제공하여 바이오 연구‧산업 혁신을 촉진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21년 신규, 25억, ´21∼계속 )

○ (임상 데이터 구축·활용) 개인별 맞춤의료 실현을 위한 유전체 데이터 구축 및 임상 현장 활용을 위한 플랫폼 기술 개발

*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정밀의료)(’20년 113억 → ’21년 107억),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20년 92억 → ’21년 85억)

○ (데이터 관리·보호 기술) 정밀의료 기반인 바이오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정보관리·보호 기술 개발 지원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20년 43억 → ’21년 73억),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20년 80억 → ’21년 99억)

○ (AI 활용 신약 개발)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등 신약개발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플랫폼 구축으로 신약개발 기간 단축 지원

*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20년 28억 → ’21년 30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 (신규, 72억원, ’21년~’25년)
· 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반 CDSS 개발 (신규, 71억원, ’21년~’25년)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신규, 25억,´21∼계속)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20년 43억 → ’21년 73억)
·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20년 80억 → ’21년 99억)

④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 중점 지원
(‘20년 939억 원→ ’21년 1,377억 원)

○ (신약) 유효·선도물질 도출, 임상 개발, 생태계 구축 등 신약개발 전주기 범부처 공동 지원으로 국가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국가신약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산업부)(‘21년 신규, 151억)
** ’20.6월 예타 통과, 10년간(’21년~’30년) 국비 약 1.5조원 규모 투자

○ (의료기기) 의료기기 개발·임상·인허가·제품화 전주기 범부처 공동 지원으로 미래 의료환경을 선도하고 의료 공공복지를 구현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302억 → ’21년 602억)

○ (투자 연계) 성공 잠재력을 가진 바이오헬스 기술의 빠른 상용화를 위해 정부-민간이 공동으로 자금 및 인프라 투자

*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사업(’20년 22억 → ’21년 56억)

○ (화장품) K-뷰티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화장품 소재 국산화 및 지속가능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20년 77억 → ’21년 103억)

○ (의료로봇) 고부가가치 의료로봇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공통 기반기술개발 및 신속한 임상진입 지원

* 마이크로 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20년 87억 → ’21년 101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국가신약개발사업(신규, 151억, 복지부·과기부·산업부, ’21년~’30년)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302억 → ’21년 602억)
·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사업(’20년 22억 → ’21년 56억)
·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20년 77억 → ’21년 103억)
· 마이크로 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20년 87억 → ’21년 101억)
· 첨단의료복합단지 미래의료산업 원스톱지원사업(’20년 45억 → ’21년 59억)

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취약계층 맞춤형 R&D 확대
(‘20년 654억 원→ ’21년 958억 원)

○ (희귀질환 등) 희귀질환, 저출산 등 공익적 수요가 높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실용화 중심의 기술개발 지원

* 공익적의료기술연구사업(’21년 신규, 42억, ´21년∼´24년)

○ (취약계층 돌봄) 고령자 및 장애인 친화적 돌봄 서비스 제공과 실생활에 기반한 제품 개발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노인천만시대 대비 고령친화 서비스 연구개발사업(’21년, 40억, ´21년∼´23년),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48억 → ’21년 76억)

○ (장애인 재활) 장애인의 지역사회 성공적 복귀를 위한 재활운동 및 체육 활동에 제공되는 스마트 운동기기 및 프로그램 개발 지원

* 지능형 재활운동 체육중개연구사업(’21년 신규, 40억, ´21년∼´23년)

○ (의료기술 최적화) 국민의료비 등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임상 현장의 다양한 의료기술을 대상으로 효과성 비교 연구 및 근거 산출 연구 지원

*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20년 191억 → ’21년 224억)

○ (국가 연구기반) 감염병, 희귀·난치질환, 고령화, 임상연구 등을 위한 국가 보건의료 인프라 구축 및 재난 대응 기반 강화

* 국가 보건의료 연구인프라 구축(’20년(추경 포함) 223억 → ’21년 352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공익적의료기술연구사업(신규, 42억, ´21년∼´24년)
· 노인천만시대 대비 고령친화 서비스 연구개발사업(신규, 40억, ´21년∼´23년)
· 지능형 재활운동 체육중개연구사업(신규, 40억, ´21년∼´23년)
·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20년 191억 → ’21년 224억)
· 국가 보건의료 연구인프라 구축(’20년(추경 포함) 223억 → ’21년 352억)

⑥ 치매·만성질환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 중점 투자
(‘20년 1,228억 원→ ’21년 950억 원)

○ (치매극복) 치매로 인한 국민들의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원인 규명·예방·조기진단·치료기술까지 아우르는 전주기적 투자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20년 30억 → ’21년 79억)

○ (정신건강) 알코올 중독, 자살, 정신질환 등 국민 생활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여 전 국민 정신건강 증진 도모

*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20년 62억 → ’21년 62억)

○ (한의약) 한의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 등 한의약 분야 표준화·과학화 및 첨단 과학기술 융합으로 의료서비스 품질 제고 및 한의약산업 육성

*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20년 78억 → ’21년 102억),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20년 54억 → ’21년 66억)

○ (만성질환) 심뇌혈관질환, 치매, 당뇨병, 만성폐쇄성 폐질환, 호흡기·알레르기 질환 등 주요 만성질환 대응 기술 및 연구기반 구축 지원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사업(’20년 135억 → ’21년 158억)

○ (암)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질병부담 감소를 위해 원인 및 기전 규명·예방·진단·치료법 개발 및 적용에 적극 투자

* 암연구소 및 국가 암관리 사업본부 주요사업비(’20년 334억 → ’21년 360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20년 30억 → ’21년 79억)
·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20년 62억 → ’21년 62억)
·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20년 78억 → ’21년 102억)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사업(’20년 135억 → ’21년 158억)
· 암연구소 및 국가 암관리 사업본부 주요사업비(’20년 334억 → ’21년 360억)

⑦ 병원 인프라를 연구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집중 육성
(‘20년 866억 원→ ’21년 989억 원)

○ (의료현장 수요 연계) 의료현장의 미충족 의료수요를 반영하고, 기초연구 성과의 임상 적용 가능성 제고를 통한 바이오헬스 기술의 실용화 촉진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21년 신규, 37억, ´21년∼´23년)

○ (연구중심병원) 산·학·연·병이 협력할 수 있는 병원 중심 연구 플랫폼 구축·개방으로 병원을 연구·산업생태계 혁신 거점화

* 연구중심병원육성R&D(’20년 372억 → ’21년 440억)

○ (인력양성) 보건의료분야 혁신을 이끌 신진 연구인력 성장 기반 마련 및 글로벌 선도기관과의 연구 협력 네트워크 구축 지원

*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일반회계+기금)(’20년 192억 → ’21년 176억)

○ (상용화 촉진) 질환별 특화된 비임상단계 유효성평가 및 혁신 의료기기 실증 지원으로 보건의료 기초연구 성과 상용화 촉진

* 의료기술상용화지원센터(’20년(추경 포함) 95억 → ’21년 170억)

○ (인체자원 수집·활용) 국가적으로 확보·활용이 필요한 질환군별·특성별 인체자원을 수집 및 제공하여 연구 성과 창출 지원

* 보건의료생물자원종합관리(’20년 52억 → ’21년 77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신규, 37억, ´21년∼´23년)
· 연구중심병원육성R&D(’20년 372억 → ’21년 440억)
· 의료기술상용화지원센터(’20년(추경 포함) 95억 → ’21년 170억)
· 보건의료생물자원종합관리(’20년 52억 → ’21년 77억)

□ 대상사업

< 2021년 보건복지부 주요 R&D 사업 투자계획 >
(단위 : 백만 원)
4대 중점 중점 세부사업 내역사업 ’20년 ’21년 예산 관리
추진 전략 추진 방향 예산 신규 기관
 총계 527,821 787,829 154,364
감염병 감염병 상시화 대비 코로나19치료제백신비임상지원사업 신규 - 7,400 7,400 진흥원
위기 대응 코로나19치료제임상지원사업 추경 - 62,700 - 
역량 강화 코로나19백신임상지원사업 추경 - 68,700  -
감염병방역기술개발 추경 - 13,933 600
감염병의료기술근거생성연구 추경 - 1,500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25,532 46,768 6,750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16,192 6,973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20,492 23,993 3,953 질병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건립및운영 15,842 13,577 11,493
소계 78,058 245,544 30,196
바이오헬스 재생의료 제도 완비 및 중점 지원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 예타 - 6,411 6,411 진흥원
첨단 첨단의료기술개발 줄기세포재생의료실용화,융복합보건의료기술 등 30,355 38,933 9,950
유망기술 바이오위해평가원팀리노베이션사업 신규 - 650 650 질병청
육성 소계 30,355 45,994 17,011
D.N.A 기술 연계·활용 디지털병리기반의암전문AI분석솔루션개발사업 신규 - 7,170 7,170 진흥원
인공지능바이오로봇의료융합기술개발 2,800 2,200 -
첨단의료기술개발 인공지능정보의학 3,900 3,000 - 
중환자특화빅데이터구축및AI기반CDSS개발 신규 - 7,064 7,064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복지부) 11,261 10,702 -
의료데이터보호ㆍ활용기술개발 7,970 9,914 2,100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 9,232 8,518 -
바이오빅데이터구축시범사업 4,267 7,250 -
CDM기반정밀의료데이터통합플랫폼기술개발 5,366 5,366 -
인공지능신약개발플랫폼구축 2,778 3,000 -
심혈관계질환첨단의료기술가상훈련시스템기술개발(종료) 855 - -
형질분석연구 2,206 2,168 - 질병청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 신규 - 2,510 2,510
소계 50,635 68,862 18,844
차세대 유망기술 중점 지원 국가신약개발사업 신규, 예타 - 15,051 15,051 진흥원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 30,189 60,200 1,893
바이오헬스투자인프라연계형R&D사업 2,236 5,635 1,291
마이크로의료로봇실용화기술개발사업 8,704 10,143 -
첨단의료복합단지미래의료산업원스톱지원 4,453 5,887 -
피부과학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 7,740 10,320 -
의료기기기술개발 23,768 15,087 -
첨단의료기술개발 신약개발지원, 제약산업특화지원 16,333 15,375 -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종료) 500 - -
소계 93,923 137,698 18,235
공익적 사회문제 해결 공익적의료기술연구사업 신규 - 4,173 4,173 진흥원
R&D 노인천만시대대비고령친화서비스연구개발 신규 - 3,995 3,995
투자 강화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사업 19,105 22,404 7,050
노인장애인보조기기연구개발사업 4,800 7,600 1,200
국민건강스마트관리연구개발사업 2,966 4,815 1,796
돌봄로봇중개연구및서비스모델개발 2,201 2,858 354
라이프케어융합서비스개발사업 9,072 630 -
사회서비스 150 150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17,619 35,209 6,593 질병청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 4,062 4,602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5,395 5,401 1,830 재활원
지능형재활운동체육중개연구사업 신규 - 4,002 4,002
소계 65,370 95,839 30,993
고부담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2,950 7,877 3,060 진흥원
·난치성 질환 극복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 6,244 6,244 -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 12,156 3,306 -
한의약혁신기술개발 7,779 10,177 2,880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 5,439 6,630 1,750
치의학의료기술연구개발 2,008 3,157 450
한의약선도기술개발 7,235 5,035 -
질환극복기술개발 2,785 685 -
100세사회대응고령친화제품연구개발(종료) 1,692 - -
연구자주도질병극복연구(종료) 7,584 - -
공익적질병극복연구지원사업(종료) 6,960 - -
국가치매극복기술개발(종료) 13,090 -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 13,485 15,847 1,544 질병청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주요사업비) 33,433 36,015 12,975 암센터
소계 122,840 94,973 22,659
의료현장 병원 인프라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신규 - 3,663 3,663 진흥원
연계 연구중심병원육성 37,170 43,996 3,750
R&D 지원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일반회계) 16,300 13,505 1,360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국민건강증진기금) 2,903 4,070 -
의료기술상용화지원센터 6,450 16,995 -
임상연구인프라조성 12,668 4,550 -
스마트임상시험플랫폼기반구축사업 2,780 3,707 -
선도형특성화연구사업 3,120 780 -
보건의료생물자원종합관리 5,249 7,653 7,653 질병청
소계 86,640 98,919 16,426
붙임2 2021년 신규과제 통합공고 계획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단위 : 백만 원 , 개)
공모 일정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공고단위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01,161백만원)
1차 노인천만시대대비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연계형 고령자 자립생활 지원 기술개발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연계형 고령자 자립생활 지원 기술개발 2,100 2 1
공고 고령친화서비스 고령친화제품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실생활기반 리빙랩 구축 및 운영 고령친화제품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실생활기반 리빙랩 구축 및 운영 890 5 1
(’20.12) 연구개발 정보통신기술 활용 비대면 사회서비스 개발 정보통신기술 활용 비대면 사회서비스 개발 870 3 1
연구중심병원육성  연구중심병원육성R&D 3,750 3 1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일반회계) 글로벌인재육성 바이오메디컬 글로벌인재양성 1,060 23 1
-연구자협력형
한-스위스 국제협력 200 10 1
한-스위스 라이프사이언스 교류협력지원 100 1 1
감염병예방·치료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기술개발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 기술개발 1,125 4 1
기술개발사업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4,125 7 1
치의학 의료기술 연구개발 치과의료 교차감염 예방관리 의료기술개발 치과의료 교차감염 예방관리 의료기술개발 450 2 1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3,600 16 1
1차 공고 부분 합계 18,270 76 11
2차 의료데이터보호활용 의료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존 컴퓨팅 기술개발 합성 의료데이터 생성 및 임상활용 실증연구(상반기) 1,200 4 1
공고 기술개발
(’21.1)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R&D) 병리 데이터 디지털 큐레이션 기반 구축 병리 데이터 디지털 큐레이션 기반 구축 2,625 7 1
AI 개발용 디지털 병리 데이터 플랫폼 개발 AI 개발용 디지털 병리 데이터 플랫폼 개발 1,688 2 1
암 전문 지능형 병리 AI 진단 SW 개발 및 임상 검증 활용 평가 암 전문 지능형 병리 AI 진단 SW 개발 및 임상 검증 활용 평가 2,625 7 1
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반 CDSS 개발 한국형 중환자 특화 데이터셋(K-MIMIC) 구축 한국형 중환자 특화 데이터셋(K-MIMIC) 구축 1,575 3 1
AI 기반 중환자 CDSS 개발 및 실증연구 AI 기반 중환자 CDSS 개발 및 실증연구 5,250 7 1
2차 공고 부분 합계 14,963 30 6
3차 바이오헬스투자·인프라연계형R&D사업 R&D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투자·인프라 연계형 1,101 6 1
공고
(’21.2)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 D.N.A 활용 한의약 신기술 개발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 1,750 7 1
3차 공고 부분 합계 2,851 13 2
4차 공익적의료기술 희귀질환 극복연구 희귀질환 극복연구 1,200 8 1
공고 연구사업 저출산 극복연구 저출산 극복연구 2,100 14 1
(’21.3) 현장수요 대응형 환자안전 연구개발 현장수요 대응형 환자안전 연구개발 800 4 1
4차 공고 부분 합계 4,100 26 3
5차 의료데이터보호활용 의료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존 컴퓨팅 기술개발 의료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존 컴퓨팅 기술개발(하반기) 200 2 1
공고 기술개발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기반 연구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기반 연구 200 2 1
(’21.4) 디지털헬스케어 효과검증 디지털헬스케어 효과검증 500 2 1
5차 공고 부분 합계 900 6 3

* 국가신약개발사업단(장)(신규 15,051백만원), 범부처재생의기술개발사업단(장)(신규 6,411백만원)은 범부처사업으로 별도 공고 예정
** 첨단의료기술개발(줄기세포재생의료실용화)(신규 9,950백만원)는 공모방식, 지원방식 등 미정
*** 기획평가관리비·사업단 운영비(932백만원)는 개별 공고단위 예산액에 미포함
**** 예상 과제 수는 과제 내용과 사업 환경 변화에 따라 변동 가능성 있음

공모 일정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지정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첨단동물 활용 감염병 의료제품 평가지원 1,000 1 1
미정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6,400 8 1
지정/미정 공고 부분 합계 7,400 9 2

□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단위 : 백만 원, 개)
공모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일정
국립보건연구원 (15,640 백만원)
1차 공고 감염병관리 신·변종 및 국가관리감염병연구 3,357 10 10
(‘20.12) 기술개발연구 One Health 개념의 항생제 내성균 조사 연구 700 1 1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 필수백신 자체 개발 및 기술확보 2,720 9 9
감염병 위기대응 백신 개발 3,250 8 8
국가보건의료 고령화 대응 연구기반 구축 750 1 1
연구인프라구축 (6,593)*
만성병관리 만성질환예방관리 인프라구축 225 1 1
기술개발연구 뇌질환 연구기반 조성 연구 1,938 6 6
미세먼지기인 질병대응연구 미세먼지 예방중재연구 및 연구 기반 구축 540 1 1
다부처 국가생명연구 바이오연구 데이터 활용기반조성(데이터센터) 1,510 4 4
자원선진화사업 (2,510)**
바이오위해평가 원팀 리노베이션사업 보건의료용 LMO 심사제도 고도화 650 4 4
1차 공고 부분 합계 15,640 45 45
* 항바이러스제 약물평가를 위한 재료비 및 실험실 운영 경비(5,843백만원) 포함
** 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스테이션 연계를 위한 시스템 고도화 및 하드웨어 확장 경비(1,000백만원) 포함

□ 국립재활원
(단위 : 백만 원, 개)
공모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일정
국립재활원 (5,832 백만원)
1차 공고 국립재활원 재활연구개발지원용역 950 14 14
(‘20.12) 재활연구
개발용역사업 재활로봇중개연구용역 780 10 10
지능형 지능형재활운동체육중개연구용역 4,002 25 25
재활운동체육 (3,406)*
중개연구사업
1차 공고 부분 합계 5,732 49 49

공모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일정
2차 공고 국립재활원 재활연구개발지원용역 100 2 1
(‘21.3) 재활연구
개발용역사업
2차 공고 부분 합계 100 2 2
* 일반연구비(260-01)

□ 국립암센터
(단위 : 백만 원, 개)
공모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일정
국립암센터 (12,975 백만원)
1차 공고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공익적암연구사업(기본사업) 8,565 69 7
(‘20.9)
1차 공고 부분 합계 8,565 69 7

공모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과제수 RFP수
일정 (이내)
2차 공고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ICT활용 예방중심의 암 공중보건 연구 2,410 10 1
(‘21.1)
2차 공고 부분 합계 2,410 10 1

공모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과제수 RFP수
일정 (이내)
3차 공고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항암신약개발 성과확산사업 항암신약개발 2,000 2 1
(‘21.5)
3차 공고 부분 합계 2,000 2 1
□ 사업단 자체 공고
(단위 : 백만 원 , 개)
공모 일정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공고단위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20.12 한의약혁신기술개발 혁신형한의중개연구 한의중개개인연구 780 13 1
국가한의임상연구 가이드라인개발 675 7 1
한의의료기술최적화임상연구 1,425 13 1
돌봄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 돌봄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 돌봄부담분석 및 돌봄로봇 사회적 가치 분석 354 1 1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1,200 4 4
’21.1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1,026 7 2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756 3 3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1,278 5 2
범부처 전주기 시장 친화형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제품 개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 464 2 2
의료기기연구개발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의료환경 선도 연구개발사업 764 5 3
의료공공복지 구현 및 사회문제 해결 신규지원 대상과제 313 3 3
의료기기 사업화 역량강화 352 4 1
감염병방역기술개발 방역장비 기술개발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600 3 1
감염병예방·치료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1,500 2 1
기술개발사업
’21.2 국민건강스마트관리 인구집단별 건강관리서비스 개발 인구집단별 건강관리서비스 개발 신규지원 대상과제 359 1 1
연구개발사업 359 1 1
359 1 1
359 1 1
일차의료 기반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개발 일차의료 기반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개발 359 1 1
’21.4 환자중심의료기술 의료기술 비교평가 연구 의료기술 비교평가 연구 신규지원 대상과제 4,800 20 20
최적화연구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 신규지원 대상과제 2,250 10 10
사업단 공고 부분 합계 20,332 107 61
* 국가신약개발사업, 범부처재생의료개발사업은 사업단 선정 후 사업단 자체 공고 예정
붙임3 제4차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촉진계획(’20~’24) 주요 내용

□ 추진개요

ㅇ「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법」에 의거, 제3차(`15~`19)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촉진계획이 완료됨에 따라 범부처 차원의 제4차(`20~`24) 촉진계획 수립
* 천연물신약이란, 동식물 등 생물과 생물의 세포 또는 조직배양 산물 등 생물을 기원으로 하는 물질로 개발되어 조성성분, 효능 등이 새로운 의약품 (법 제2조)
□ 천연물의약품 국내외 동향

ㅇ (국외) 시장점유율은 전체 의약품 시장의 2.3% 수준이나, 향후 성장률은 평균 7.9%로 일반의약품 성장률(4~7%)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ㅇ (국내) 천연물신약 연구개발이 위축된 상태*이지만, 고령화 및 만성질환 증가로 부작용이 비교적 적은 천연물신약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천연물신약 파이프라인 수 `12년 55개(23.1%) → `18년 35개(10.4%)

□ 제3차 천연물신약 촉진계획 성과 (`15-`19 5년간)
구 분 주요 지표 목표 성과 비고
과학적 논문 성과 세계 4위 세계 4위 - 기초٠원료관리 및 생산공정 연구 위주
성과 (300건) (612건)
특허 성과 세계 4위 세계 4위 - 기초٠원료관리 및 생산공정 연구 활발,
(4,000건) (3,793건) - 중개٠비임상٠임상 연구 미흡
글로벌진출 해외 임상 진입 건수 신규 5건 신규 3건 - 파킨슨병 미국 임상2상 완료 (동아에스티)
성과 그 외 유럽, 미국 각 1건씩 임상 2상 진행 중
해외 기술이전 건수 신규 4건 신규 2건 - 총 1억 8500만 달러 규모 (동아에스티)
글로벌 1건 - -
천연물신약
국내사업화 천연물신약 개발 건수 신규 7 신규 0건 레일라정, 유토마외용액 허가(`12) 이후
성과 신규 신약 부재
생산액 신규 2 신규 1 타 분야 대비 높은 생산성
100억원이상 (누적 6품목) (누적 5품목) (천연물신약 8개 중 6개, 그 외 국산 신약은 30개 중 6개)
인프라 생산인프라 3개 준공, - LED 활용 식물원료 대량생산시스템 (익산, `15)
성과 1개 준공 예정 - 글로벌 천연물 원료제조거점시설 (제천, `17)
- 약용작물 종자보급센터 (제천, `18)
- 국제규격 천연물의약품 원료 대량생산시설 (화순, `21 예정)
□ 제3차 천연물신약 촉진계획 한계 및 시사점

ㅇ (후보물질 확보) 각 부처별 생물자원 발굴·확보는 많이 되었으나, 생명자원 DB가 흩어져 관리되어 연구자가 관련 정보를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

➡ 구축된 천연물 생명자원을 기업 및 연구자가 원스탑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DB를 모으고, 쉽게 분양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개서비스 필요

ㅇ (기초٠임상) 허가٠약가제도 변경*에 따른 국내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위축

* 「의약품의 품목허가 신고٠심사규정」(식약처 고시)에서 천연물신약 용어 삭제, 독성자료제출 일부면제제도 폐지 등 허가 절차 강화(`16) 및 건강보험 약가 우대제도 폐지(`15)

- 천연물자원 인프라, 정보구축에 대한 투자에 비해 이를 실용화 성과로 연계할 수 있는 중개٠비임상٠임상연구에 대한 연구 부족

* 천연물신약 파이프라인 중 중개연구 비중 : (‘12) 32.7% → (’15) 32.7%→ (’18) 28.6%

- 화학물 신약과 달리 복합성분을 가진 천연물의약품의 특성 상 연구개발 단계에서 약한고리인 다중성분 다중표적 규명연구 고도화 필요

➡ 글로벌 수준의 안전성٠유효성 검증이 요구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산٠학٠연과의 지속적 소통 필요
➡ 중개·임상연구 및 다중성분 규명기술 R&D 지원 확대 필요

ㅇ (글로벌 진출) 미국, 유럽 둥 선진국 규제 당국은 원료생약관리, 품질관리, 제조 관리 등 엄격한 CMC*항목 충족 요구

* 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 원료약물 특성, 완제의약품 공정방법, 품질관리 방법 등 검증된 규격으로 의약품 생산 능력을 입증하는 절차

-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의약품 공정방법 및 국가별 인허가 제도 차이 고려한 컨설팅 등 전략적 지원 부족

➡ 해외 규제당국 심사 통과를 위한 전략적 컨설팅 및 원료물질 특성에 따른 위험성 평가 기술개발, 예시모델 등 지원 필요

□ 제4차 천연물신약 촉진계획 중장기 전략 및 중점과제
비전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기반 조성 및 산업화 촉진으로 국민건강의 증진과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

목표 글로벌 수준의 안전성٠유효성이 검증된 천연물신약 개발 촉진
◾ 글로벌 천연물신약 1건 ◾ 국내 임상진입 5건
◾ 해외 기술이전 3건 ◾ 국내 파이프라인 점유율 12% 이상
◾ 해외 임상진입 3건

추진전략 전략 1 전략 2 전략 3
수요자 맞춤 천연물자원 활용 촉진 천연물신약 개발단계의 약한 고리 집중지원 천연물신약
사업화 역량 강화

중점과제 01월 01일 02월 01일 03월 01일
천연물 클러스터를 통한 연구자-산업체 협력 생태계 조성 다중성분-다중표적 집중지원 천연물신약 글로벌 사업화 지원

01월 02일 02월 02일 03월 02일
천연물신약 소재 및 자원 지속 개발 천연물신약 임상연구 활성화 전략적 네트워킹 지원
□ 제4차 천연물신약 촉진계획 추진전략 및 중점 과제

ㅇ (후보물질 발굴) 수요자 맞춤 천연물자원 활용 촉진

- 범부처 천연물 통합 DB를 구축하여 천연물 클러스터로 육성, 각 부처(해수부, 산림청 등) 소재자원은행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과기부, 신규)

- 소재 중개 서비스를 통해 연구 자원의 상업적 활용 지원 (과기부, 신규)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 사업(천연물 클러스터) : ‘20~’24, 241억원

- 해양바이오뱅크(해수부), 천연물지도(산림청), 야생동물천연물은행(환경부), 약용작물보급센터(농진청) 등 부처별 자원 지속개발·고도화 (각부처, 계속)

ㅇ (기초٠임상연구) 천연물신약 개발단계의 약한 고리 집중지원

- 천연물 소재의 다중성분-다중표적 작용원리를 가상 인체 모델, 바이오 이미징 등을 기반으로 규명하여 천연물신약의 안전성 검증 지원(과기부, 계속)
*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 동의보감사업(3단계) : `20~`22년, 256억원

- 천연물의약품 특화 중개연구 및 임상연구 추진 (복지부 등, 신규)
* 국가신약개발사업(`21~`30, 2조8043억) 및 범부처 중개연구사업에 천연물의약품 과제 반영

ㅇ (사업화 및 글로벌 진출) 적극적 소통을 통한 사업화 역량 강화

- 식약처 등 관련 정부 부처 및 산·학·연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협의체’ 주기적 운영 (복지부 등, 21년~ 신규)

-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CMC 자료준비, 의약품 설계기반품질고도화(QbD)* 지원 (복지부 등, 신규)

* 오송·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협의하여 국가신약개발사업 중 R&D 사업화 지원(`22년~`24년 34억)에 반영

- 해외정보 종합 제공 및 맞춤 컨설팅 지원 (복지부 등, 강화)
* 제약산업정보포털, 글로벌 컨설팅 지원, 해외 제약전문가 초빙 및 활용(`20~)
글로벌 수준의 안전성٠유효성이 검증된 천연물신약 개발 촉진하여 ‘24년까지 국내 임상진입 5건, 해외 임상진입 3건,
해외 기술이전 3건, 글로벌 천연물 신약 1건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