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개정지침 발효된 EU 조달시장, 中企에 기회다- KOTRA, 브뤼셀서 9개국 33개 조달관계자 초청 ‘한-EU 공공조달 파트너쉽’ 개최

하이거 2016. 11. 17. 14:31

개정지침 발효된 EU 조달시장, 中企에 기회다- KOTRA, 브뤼셀서 9개국 33개 조달관계자 초청 -EU 공공조달 파트너쉽개최

 

작성일2016-11-17 12:46:49

 

 





 


개정지침 발효된 EU 조달시장, 中企에 기회다
- KOTRA, 브뤼셀서 9개국 33개 조달관계자 초청 ‘한-EU 공공조달 파트너쉽’ 개최 -
- 무료번역․서류제출간소화로 문호 활짝… 의료기기, LED조명 앞세워 공략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와 KOTRA(사장 김재홍)는 현지시간 17일부터 이틀간 유럽연합(EU) 본부가 소재한 벨기에 브뤼셀에서 ‘한-EU 공공조달 파트너십(KOREA-EU Public Procurement Partnership)’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 기업 21개사, EU 발주처 및 조달 벤더 33개사 등 총 54개사가 참가한다. 고령화․소득수준 향상, 할로겐 전구 교체수요로 EU 측의 관심이 높으면서 국내기업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의료기기, LED조명 분야 유망 중소기업이 참여한다. EU조달시장 설명회, 국내기업 제품발표회, 1:1 비즈니스 상담으로 구성되어, 9개국에서 온 현지 관계자를 통해 한자리에서 EU조달시장 진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게 했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알피니언 메디칼(초음파 영상진단 장치), 인바디(체성분 분석기), 네오펙트(재활훈련용 스마트 기기) 등 세계적인 강소기업이 참여한다. 이와 더불어 혈당측정기, 자동심장충격기(AED), 디지털 엑스레이 등 첨단제품 생산기업도 유럽 조달시장 문을 두드린다. LED 조명의 경우 스포츠시설, 항만, 공항 등 다양한 산업시설용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참여한다. 기존 가정용, 도로용(가로등, 터널 등) 외에도 새로운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함이다.

EU에서는 프랑스의 대표 공립병원 구매 네트워크인 지씨에스 유니하(Gcs UniHA), 벨기에 유명 대학병원인 겐트大 병원, 루마니아 대형 의료장비 및 의약 수입/유통기업인 폴리사노(Polisano) 등이 의료 분야 발주처 및 바이어로 참가한다. LED조명에서는 프랑스 및 벨기에 최대 전력회사 엔지(Engie)의 자회사인 코플리 파브리콤(Cofely Fabricom), 유럽 2위 물동항이자 벨기에 최대 항구인 안트워프 및 제브뤼헤 항만청 등이 참여해 국내 LED 기업들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EU에서는 지난 4월 18일부터 입찰접근성이 대폭 향상된 EU 공공조달 신규 지침이 적용되고 있다. EU집행위 조달담당관이 직접 주요내용을 설명하며, 서유럽의 대표적인 테스트마켓인 벨기에의 온라인 공공조달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벨기에 연방정부 담당자도 참가한다. 이 중 국내 기업의 관심을 끄는 내용은 ‘무료번역시스템’ 및 ‘유럽 단일조달문서’ 도입이다. ‘무료번역시스템’은 EU관보(TED)에 공지되는 모든 입찰 공고를 EU 공용어 24개로 자동 번역하는 시스템으로, 그동안 한국 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 중 하나인 현지어 공고 조회에 대한 어려움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1월 5일부터 먼저 적용된 ‘유럽 단일조달문서’는 입찰시 신고문서만 제출하고, 낙찰이 된 후에 실제 증빙을 제출케 해 부담을 크게 줄였다.

또한, 유럽 의료기기산업연합회인 메드텍(Medtech)에서는 유럽 의료기기시장 진출을 위해서 “EU 제품에 비해 차별화된 기술로 승부할 것”을 설명할 예정이다. 영국의 LED 전문 유통기업인 아그론(Agron)은 성공적인 영국 및 유럽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현지 규격 및 소비자 기호에 맞춘 제품으로 진출하라”고 조언한다

EU 조달시장은 2014년 기준 2,424조 원(1조 9,315억 유로)으로 EU GDP의 13.6%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공공조달시장이다. EU는 2018년 10월까지 EU내 모든 조달기관에 전자서류제출을 의무화하는 등 조달시장의 문을 계속 열고 있어, EU 조달시장은 EU 기업과 비슷한 조건에서 경쟁하는 ‘도전해 볼 만한 무대’가 됐다. 지금까지는 24개라는 국가별 언어의 상이성, 복잡한 조달 절차 및 제출 서류, 이에 따른 비용 과다 등으로 접근이 쉽지 않았다.

최현필 KOTRA 브뤼셀무역관장은 “새로 도입된 EU 공공조달 지침이 국내 기업들의 현지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것은 분명하다”고 전망하며, “보수적인 EU시장 특성에 맞춰 우리 기업은 이번 행사를 통해서 만난 바이어 및 발주처와 장기적 관점에서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첨부 : 2016 한-EU 공공조달 파트너쉽 개요(EU회원국별 조달시장 규모 포함).  끝.

2016 한-EU 공공조달 파트너쉽 개요


I. 추진 방향

 ⚪ EU 전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조달 대표사업 개최
   - EU를 포함한 유럽 전 지역의 조달 벤더 및 발주처 초청
   - 의료기기 및 LED 조명 등 현지진출 유망분야 중심의 국내기업 모집
   - EU 집행위, 유럽 의료기기 산업 연합회(Medtech)등 전문가 초청을 통한 현지시장 진출 노하우 소개

 ⚪ 관련 행사와 연계사업 추진을 통한 성과 극대화
   - 유럽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인 MEDICA(11.14-17, 독일 뒤셀도르프)와 연계사업 추진을 통한 국내기업 지원 강화 및 실질적 성과창출 도모

II. 사업 개요

 ⚪ 사업명 : 2016 한-EU 공공조달 파트너쉽
 ⚪ 일시 : 2016.11.17.(목) - 18(금)
 ⚪ 장소 : Radisson Blu Royal Hotel(벨기에 브뤼셀)
 ⚪ 주요 분야 : 의료기기, LED Lighting
 ⚪ 참가기업 : 총 54개사
  - 국내기업 : 알피니언, 인바디 등 21개사
  - EU 기업 : Gcs UniHA, Cofely Fabricom 등 33개사
 ◦ 사업 내용 : 설명회, 제품 발표회, 1:1 상담회, 네트워킹 행사 등

2. 전체 일정

일 자
시 간
 주요 일정
11.17
(목)
09:00-12:00
EU 공공조달시장 설명회
12:00-14:00
오찬
14:00-16:00
네트워킹 프로그램
16:00-18:00
제품발표회(분야별)
18:30-21:00
환영만찬
11.18
(금)
09:30-12:30
1:1 비즈니스 미팅
12:30-14:00
오찬
14:00-18:00
1:1 비즈니스 미팅

III. 국내 참가기업 (21개사)

분야
번호
회사
주요 품목(분야)
의료기기
(17)
1
인바디
Body composition analyzer
2
에스지헬스케어
Jumong Series (X-ray) Q30, Q40
3
힐세리온
SONON 300C
4
마루치
Endoseal MTA , Endocem MTA, Endocem Zr
5
리메드
전자기장치료기, 경두개자기자극기, 체외충격파치료기
6
메인텍
EZ-Regular, Anyfusion(실린더펌프)
7
라디안
자동심장충격기(AED, Model# HR-501)
8
제노레이
ZEN, Papaya, Papaya Plus, Papaya 3D, Papaya 3D Plus, Port XII/XIII, PortView, DMX300/600
9
씰테크
EVOSS(욕창예방방석)
10
아이메디컴
MEDINAUT Balloon Kyphoplasty
11
바이오넷
Cardio 7, BM 7, FC-1400, Pion TCI, MU1, Aristo V3, Aristo L3, ML-GX
12
영림기업
주사바늘처리기
13
인성정보
하이케어 레이디 (HiCare-LADY), 딥스킨 (DeepSkin)
14
신화의료기
스파인 엠티(Spine MT)
15
네오펙트
RAPAEL Smart Glove
16
알피니언 메디칼
ECUBE series, ALPIUS 900
17
메덱셀
주사기
LED
Lighting
(4)
1
APACK
LED 조명 제품
(투광등, 공장등 가로등을 포함한 산업용 LED 조명)
2
KMW
LED 조명(가로/보안등, 스포츠조명, 산업(공장)등)
3
HUMANLITECH
LED 가로등기구, LED 터널등기구 외 LED 조명기구 및 조명제어장치
4
MaxLux
LED 조명

< (참고) EU 회원국별 정부조달시장 규모 >
                                    (단위: 십억 유로)

국가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벨기에
54.5
57.1
57.4
59.1
불가리아
4.4
4.5
4.9
5.5
체코
23.6
22.0
21.2
21.3
덴마크
35.1
37.6
37.3
38.2
독일
395.4
408.7
425.5
442.0
에스토니아
2.2
2.6
2.6
2.7
아일랜드
17.6
17.1
16.5
17.7
그리스
22.3
20.0
19.1
18.9
스페인
131.5
113.0
105.9
104.9
프랑스
304.3
313.5
319.4
316.8
크로아티아
5.7
5.7
6.0
6.0
이탈리아
177.1
171.7
171.7
169.8
사이프러스
1.6
1.3
1.1
1.0
라트비아
2.6
2.7
2.7
2.7
리투아니아
3.7
3.6
3.6
3.7
룩셈부르크
5.4
5.6
5.7
5.9
헝가리
13.3
13.1
14.3
16.1
몰타
0.7
0.7
0.7
0.9
네덜란드
134.7
134.8
133.9
133.8
오스트리아
40.3
41.1
42.5
43.5
폴란드
51.2
48.4
47.4
51.3
포르투갈
20.2
17.2
16.6
17.0
루마니아
16.6
15.5
16.0
16.2
슬로베니아
4.9
4.7
4.8
5.1
슬로바키아
9.8
9.5
9.8
10.6
핀란드
33.9
35.7
37.3
37.9
스웨덴
65.2
69.3
71.8
70.8
영국
270.2
290.1
284.5
312.1
EU 28개국 총계
1,848.4
1,866.8
1,880.0
1,931.5

* 자료원 : Public Procurement Indicators 2014(EU 집행위, 2016.2월 발간)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