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년 의료급여통계연보』공동 발간

하이거 2018. 10. 29. 18:4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년 의료급여통계연보공동 발간

 

등록일 : 2018-10-29 담당부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급여운영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년 의료급여통계연보』공동 발간            
           
 『2017년 의료급여통계연보』주요 내용           
           
           
           
           
           
□ 의료급여 수급권자수 148만 5740명(연도말 기준) (전년 대비 1.6% 감소)           
- 1종 수급권자 106만 5398명, 2종 수급권자 42만 342명(전년 대비 0.1%↓, 5.3%↓)           
- 전체 건강보장인구 5242만 6625명의 2.8%           
※ 연평균 수급권자수 149만 8431명(1종 106만 3148명, 2종 43만 5283명)           
           
□ 심사결정 총진료비 7조1359억 원 (전년 대비 5.7% 증가)           
- (행위/정액) 행위별 6조941억 원(85.4%), 정액수가 1조418억 원(14.6%)           
- (전달체계) 3차 6,832억 원, 2차 3조9888억 원, 1차 1조2857억 원           
           
□ 지급결정 급여비 (전년 대비 5.2% 증가) … 1인당 465만 4832원           
- (급여비) 1종 6조3731억 원(전년 대비 5.6%↑), 2종 6,019억 원(0.6%↑)           
- (1인당 급여비) ’16년 433만 6573원 → ’17년 465만 4832원(7.3%↑)           
※ 1인당 급여비 = 급여비 ÷ 연평균 수급권자수(149만 8431명)            
(지급기준, 본인부담포함시) 총진료비 7조1157억 원(5.6%), 1인당 474만 8794원(7.7%)           
□ 의료급여기관 현황: 9만 1545기관 (전년 대비 1.8% 증가)           
- 2016년 8만 9919개 기관 → 2017년 9만 1545개 기관(1,626개 기관 증가)           
- 3차 기관 43개, 2차 기관 3,839개, 1차 기관 6만 5926개, 약국 2만 1737개 기관           
- (시·도 현황) 서울 2만 2043개, 경기 1만 9319개, 부산 6,572개, 경남 5,225개, 대구 4,906개 기관 순           
※ 2017년 4월 1일부터 제3차 의료급여기관 지정사항 변경으로 의료급여법상 제3차 의료급여기관(43개)이 의료법상 상급종합병원으로 일치           
           
□ 의료급여기관 의료인력: 36만 8763명 (전년 대비 3.7% 증가)           
- 의료기관 근무인력 33만 8138명(91.7%), 약국 근무인력 3만 625명(8.3%)           
- 종별 근무인력 수는 종합병원 8만 3383명(22.6%), 병원 7만 5214명(20.4%), 3차 기관 7만 782명(19.2%), 의원 5만 4952명(14.9%) 순           
- 인력구성은 간호사 18만 5853명(50.4%), 의사 10만 241명(27.2%), 약사 3만 6980명(10.0%), 치과의사 2만 5300명(6.9%), 한의사 2만 389명(5.5%) 순           
           
□ 의료급여기관 종별 심사실적            
- 3차 기관 진료비는 6,8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48억 원(49.0%) 증가            
… 전체 증가액의 57.9% 비중           
- 종합병원 진료비는 1조42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994억 원(6.5%) 감소           
※ 제3차 의료급여기관 지정사항 변경(‘17.4.1.)으로 ’16년에 종합병원으로 분류된 21개 기관이 ‘17년에 3차 기관으로 변경이 주요인           
- 의료급여기관 종별 심사진료비 규모는 요양병원 1조6073억 원 > 종합병원 1조4254억 원 > 약국 1조1782억 원 순           
           
□ 의료급여 정신과 정액수가 심사실적            
- 정신과 정액수가 진료비는 7,59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78억 원(13.4%) 감소           
※ 정신과외래 수가체계 개편(정액→행위별)으로 정신과 정액 외래 진료비는 전년 대비 1,139억 원(70.2%) 큰 폭 감소           
           
□ 중증․희귀난치성 질환 급여현황           
- 중증질환 급여비 5,828억 원, 희귀질환 6,242억 원 … 전년 대비 각 7.0%, 3.7%↑           
           
□ 65세 이상 수급권자 급여비 3조3354억 원 (전년 대비 7.9% 증가)           
- (65세 이상 1인당급여비) 652만 원 … 전년 대비 6.2%↑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의료급여 관련 주요통계를 수록한 『2017년 의료급여통계연보』를 작년에 이어 두 번째 공동 발간한다고 밝혔다.           
□ 「2017년 의료급여통계연보」는 의료보장 일반현황, 의료급여 수급권자 및 의료급여기관현황, 진료(심사․급여)실적 등 총 5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급여 전반사항에 대한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 특히, 올해는 국·영문 혼용 발간을 통해 국내외 이용자의 접근성을 확대하였고, 사회적 통계수요를 고려한 ‘의료급여기관 종별 진료실적(65세 이상)’을 신규통계로 수록하여 이용자의 편의성과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또한, 의료급여 3개년 기본계획에 따른 보장성 강화 정책 시행으로 의료보장의 변화상을 반영하여 의료급여제도의 급여 현황, 의료이용 현황 등 정책추진에 도움을 주는 통계로 구성하였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통계연보 결과를 국가승인통계로서의 신뢰성 높은 자료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사회보장 제도 발전에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2017년 의료급여통계연보」는 11월 1일(목)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에서 열람 가능하며,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시스템 KOSIS(www.kosis.kr)에도 DB 자료를 구축하여 제공할 예정이다.           
           
           
[붙임] 『2017년 의료급여통계연보』 주요 내용           
붙임  「2017년 의료급여통계연보」 주요 내용         
           
           
의료급여 수급권자 및 연도별 급여현황           
의료급여 수급권자 현황           
❍ ’17년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148만 5740명 … 전년 대비 1.6% 감소           
(1종) 수급권자 106만 5398명으로 전년 대비 0.1%↓ … 전체 수급권자의 71.7%           
(2종) 수급권자 42만 342명으로 전년 대비 5.3%↓           
(단위: 천명, %)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6. 대비 ’17.)     
       증감률    
계 1,459 1,441 1,544 1,509 1,486  △1.6    
1종 1,040 1,037 1,078 1,066 1,065  △0.1    
(점유율) -71.3 -72 -69.8 -70.6 -71.7      
2종 419 404 466 444 420  △5.3    
주1) 수급권자 현황은 연도말 기준           
2) 점유율은 전체 수급권자 중 1종 수급권자가 차지하는 비율           
           
의료급여 급여(지급)현황           
❍ ’17년 지급결정된 급여비는 6조9749억 원(진료비의 98.0%), 전년 대비 5.2% 증가           
(입내원일수) 1억 1929만 9191일로 전년 대비 0.1%↓            
(총 진료비) 7조1157억 원으로 전년 대비 5.6%↑           
(단위: 천일, 백만원, %)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6. 대비 ’17.)     
       증감률    
입내원일수 109,437 110,735 111,731 119,323 119,299  △0.1    
총 진료비 5,303,689 5,640,357 5,982,270 6,737,496 7,115,740  5.6    
급여비 5,221,296 5,556,117 5,893,563 6,631,867 6,974,944  5.2    
(점유율) -98.4 -98.5 -98.5 -98.4 -98      
주1) 입내원일수는 약국 처방조제일수 포함           
2) 점유율은 총진료비 중 급여비가 차지하는 비율           
의료급여기관 현황           
2017년 의료급여기관수는 9만 1545개 … 전년 대비 1.8% 증가           
❍ 의료기관 6만 9808개(76.3%), 약국 2만 1737개(23.7%)로 구성           
❍ 3차의료급여기관 지정사항 변경에 따라 3차의료급여기관이 전년 대비 72.0%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임           
❍ 요양병원이 전년 대비 7.1% 증가, 병원은 전년 대비 3.2% 감소            
(단위: 개소, %)           
구 분 계 3차 종합 병원 요양 의원 치과 한방 보건 약국 
  기관 병원  병원    기관  
2016년 89,919 25 316 1,514 1,428 30,292 17,246 14,150 3,505 21,443 
2017년 91,545 43 301 1,466 1,529 30,938 17,607 14,423 3,501 21,737 
전년대비  1.81 72 △4.75  △3.17  7.07 2.13 2.09 1.93 △0.11  1.37 
증감률           
주1) 의료급여기관 현황은 연도말 기준           
2) 치과: 치과병원, 치과의원, 한방: 한방병원, 한의원, 보건기관: 조산원, 보건의료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3) 제3차의료급여기관 지정사항 변경(’17.4.1.)으로 의료급여법상 제3차의료급여기관(43개)이 의료법상 상급종합병원으로 일치됨           
           
           
           
           
           
2017년 의료급여기관 의료인력은 36만 8763명 … 전년 대비 3.7% 증가           
❍ 종별 근무인력 수는 종합병원 8만 3383명(22.6%), 병원 7만 5214명(20.4%), 3차기관 7만 782명(19.2%), 의원 5만 4952명(14.9%) 순           
(단위: 명, %)           
구 분 계 3차 종합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보건 약국
  기관 병원       기관 등 
2016년 355,535 45,923 104,311 71,265 2,441 3,376 53,164 20,655 16,478 8,925 28,997
2017년 368,763 70,782 83,383 75,214 2,555 3,777 54,952 21,640 16,750 9,085 30,625
전년대비  3.72 54.13 △20.06  5.54 4.67 11.88 3.36 4.77 1.65 1.79 5.61
증감률           
❍ 인력 구성은 간호사 18만 5853명(50.4%), 의사 10만 241명(27.2%), 약사 3만 6980명(10.0%), 치과의사 2만 5300명(6.9%), 한의사 2만 389명(5.5%) 순           
(단위: 명, %)           
구 분  계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간호사    
2010년  267,452 82,137 20,936 16,156 32,152 116,071    
2011년  275,194 84,544 21,410 16,826 33,643 118,771    
2012년  279,053 86,761 21,888 17,353 32,560 120,491    
2013년  298,676 90,710 22,482 18,199 32,537 134,748    
2014년  314,501 92,927 22,952 18,767 32,645 147,210    
2015년  329,315 95,076 23,540 19,246 33,206 158,247    
2016년  355,535 97,713 24,150 19,737 33,946 179,989    
2017년  368,763 100,241 25,300 20,389 36,980 185,853    
증감률 전년대비 3.72 2.59 4.76 3.3 8.94 3.26    
 연평균 4.7 2.89 2.74 3.38 2.02 6.96    
           
의료급여 심사실적 현황 (심결기준)           
2017년 심사 진료비 7조1359억 원(전년 대비 5.7%↑)           
(단위: 억원, %)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6. 대비 ’17.)    
        증감률   
총진료비 계 53,041 56,402 59,867 67,479 71,359  5.7   
 입원 28,576 30,397 32,333 36,145 38,356  6.1   
 외래 24,465 26,005 27,534 31,334 33,003  5.3   
           
의료급여 수가별 심사실적           
❍ 행위별수가는 6조941억 원으로 전년 대비 8.9%(4,975억 원) 증가           
❍ 정액수가는 1조418억 원으로 전년 대비 9.5%(1,096억 원) 감소           
(단위: 천건, 억원, %)           
구 분 청구건수 진료비         
    점유율       
계 80,471 71,359  -100       
행위별 76,561 60,941  -85.4       
정액 3,910 10,418  -14.6       
의료급여 정신과정액 심사실적           
❍ 정신과정액 진료비는 7,59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4%(1,178억 원) 감소           
정신과정액 외래 진료비는 48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39억 원(70.2%) 감소           
(단위: 억원, %)           
구 분  2016년 2017년  (’16. 대비 ’17.)      
     증감액 증감률     
정신과정액 계 8,774 7,596  ∆1,178 ∆13.4     
 입원 7,152 7,113  ∆39 ∆0.5     
 외래 1,622 483  ∆1,139 ∆70.2     
주) 의료급여 정신과 외래 수가체계 개편(’17.3.13.)으로 정신과외래의 청구형태가 정액에서 행위별로 변경됨           


의료급여기관 종별 심사실적         
❍ 종별 심사 진료비는 의료기관 5조9577억 원, 약국 1조1782억 원으로 각각 전체 심사 진료비의 83.5%, 16.5%를 점유함         
3차기관은 전년 대비 2,248억 원(49.0%) 증가         
※ 제3차의료급여기관 지정사항 변경(’17.4.1.)에 따라 ’16년에 종합병원으로 분류된 21개 기관이 ’17년에 3차기관으로 변경되어 의료법상 상급종합병원(43개)과 일치         
❍ (심결 진료비 규모) 요양병원이 1조6073억 원으로 가장 높고, 종합병원 1조4254억 원, 약국 1조1782억 원 순         
(단위: 억원, %)         
구 분  종별 진료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전년 대비  
       증감액 증감률 
계  53,041 56,402 59,867 67,479 71,359 3,880 5.7 
3차기관  3,229 3,605 3,812 4,584 6,832 2,248 49 
종합병원  11,277 12,093 13,106 15,248 14,254 ∆994 ∆6.5  
병원 소계 20,263 21,410 22,415 24,009 25,340 1,331 5.5 
 병원 10,808 10,726 10,906 11,108 9,267 ∆1,841 ∆16.6  
 요양병원 9,454 10,684 11,509 12,901 16,073 3,172 24.6 
의원  7,380 7,803 8,285 9,321 9,740 419 4.5 
치과병원  26 35 40 63 76 13 20.6 
치과의원  640 842 1,041 1,476 1,592 116 7.9 
보건기관 등  96 91 87 87 79 ∆8 ∆9.2  
한방병원  113 111 134 172 218 46 26.7 
한의원  1,101 1,169 1,215 1,380 1,447 67 4.9 
약국  8,915 9,242 9,732 11,139 11,782 643 5.8 
         
         
의료급여기관 이용절차별 심사실적         
❍ 3차기관 6,8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48억 원(49.0%↑) 증가         
❍ 2차기관 3조9888억 원으로 전년 대비 395억 원(1.0%↑) 증가         
❍ 1차기관 1조2857억 원으로 전년 대비 594억 원(4.8%↑) 증가         
(단위: 천건, 천일, 억원, %)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6. 대비 ’17.) 
         증감률
총계  청구건수 74,070 74,302 74,464 80,371 80,471  0.1
  내원일수 109,441 110,732 111,750 119,337 119,277  ∆0.1
  총진료비 53,041 56,402 59,867 67,479 71,359  5.7
의 소계 청구건수 49,566 50,011 50,040 54,119 54,474  0.7
료  내원일수 84,937 86,441 87,326 93,085 93,280  0.2
기  총진료비 44,126 47,159 50,134 56,340 59,577  5.7
관 3차기관 청구건수 1,225 1,331 1,172 1,425 2,181  53.1
  내원일수 1,633 1,750 1,591 1,912 2,847  48.9
  총진료비 3,229 3,605 3,652 4,584 6,832  49
 2차기관 청구건수 12,536 13,002 12,980 13,975 13,640  ∆2.4
  내원일수 46,517 48,114 49,007 51,646 51,100  ∆1.1
  총진료비 31,678 33,649 35,695 39,493 39,888  1
 1차기관 청구건수 35,805 35,678 35,888 38,719 38,653  ∆0.2
  내원일수 36,786 36,578 36,728 39,527 39,334  ∆0.5
  총진료비 9,219 9,905 10,787 12,263 12,857  4.8
약국  청구건수 24,504 24,291 24,424 26,252 25,997  ∆1.0
  내원일수 24,504 24,291 24,424 26,252 25,997  ∆1.0
  총진료비 8,915 9,242 9,732 11,139 11,782  5.8
주) 3차기관: 서울대학교병원 등 43개소(’17년 말 기준)         
2차기관: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1차기관: 의원, 치과의원, 조산원, 한의원, 보건기관 등         
? 의료급여 급여실적         
의료급여 수급권자 1인당 급여(지급) 현황         
❍ ’17년 1인당 입내원일수는 79.6일로 전년 대비 2.0% 증가         
(65세 이상 1인당 입내원일수) 104.1일로, 65세 미만 66.9일의 1.6배         
         
❍ ’17년 1인당 의료급여비는 465만 4832원으로 전년 대비 7.3% 증가         
(65세 이상 1인당 의료급여비) 651만 6266원(전년대비 6.2%↑)으로, 65세 미만의 1.8배         
(단위: 일, 천원, %)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6. 대비 ’17.)
         증감률
1인당 입내원 전 체 73.5 76.3 76 78 79.6  2
 일수 65세미만(A) 61.4 63.9 63.8 65.3 66.9  2.4
연평균  65세이상(B) 100.4 102.5 101.2 103.8 104.1  0.2
  (B/A) -1.63 -1.6 -1.59 -1.59 -1.55  
 급여비 전 체 3,509 3,827 4,008 4,337 4,655  7.3
  65세미만(A) 2,826 3,091 3,233 3,453 3,689  6.8
  65세이상(B) 5,019 5,384 5,618 6,135 6,516  6.2
  (B/A) -1.78 -1.74 -1.74 -1.78 -1.77  
주) 1인당 입내원일수 및 급여비 = (입내원일수 및 급여비) ÷ 연평균 수급권자수         
         
         
의료급여 수급권자 종별 급여(지급)현황         
         
❍ ’17년 1종 수급권자 입내원일수는 1억 259만 3173일 … 전체 입내원일수의 86.0%         
(전년 대비) 종별 입내원일수 1종 0.7%↑, 2종 4.3%↓         
         
❍ ’17년 1종 수급권자 급여비는 6조3731억 원 … 전체 급여비의 91.4%         
(전년 대비) 종별 급여비 1종 5.6%↑, 2종 0.6%↑         
(단위: 천일, 백만원, %)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6. 대비 ’17.)  
        증감률 
입내원 전체 109,437 110,735 111,731 119,323 119,299  - 
일수 1종 93,267 95,297 96,330 101,869 102,593  0.7 
 (점유율) -85.2 -86.1 -86.2 -85.4 -86   
 2종 16,170 15,438 15,401 17,454 16,706  △4.3 
급여비 전체 5,221,296 5,556,117 5,893,563 6,631,869 6,974,944  5.2 
 1종 4,736,523 5,077,425 5,390,628 6,033,424 6,373,084  5.6 
 (점유율) -90.7 -91.4 -91.5 -91 -91.4   
 2종 484,773 478,692 502,935 598,445 601,860  0.6 
         
         
65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권자 급여(지급)현황         
*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노인 수급권자 비율은 34.0% 수준, 건강보험의 경우 13.4%         
         
❍ ’17년 65세 이상 입내원일수는 5326만 8234일(건강보험은 3억4086만 일)로 전년 대비 1.8%↑         
(점유율) ’16년 전체 입내원일수의 43.8% → ’17년 44.7%(0.9%p↑)         
         
❍ ’17년 65세 이상 의료급여비는 3조33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7.9%↑         
(점유율) ’16년 전체 급여비의 46.6% → ’17년 47.8%(1.2%p↑)         
(단위: 천일, 백만원, %)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6. 대비 ’17.)  
        증감률 
입내원 전체 109,437 110,735 111,731 119,323 119,299  - 
일수 65세미만 62,898 63,001 63,354 67,001 66,031  △1.4 
 65세이상 46,539 47,734 48,377 52,322 53,268  1.8 
 (점유율) -42.5 -43.1 -43.3 -43.8 -44.7   
급여비 전체 5,221,296 5,556,117 5,893,563 6,631,869 6,974,944  5.2 
 65세미만 2,894,521 3,048,718 3,208,867 3,541,017 3,639,511  2.8 
 65세이상 2,326,775 2,507,399 2,684,696 3,090,852 3,335,434  7.9 
 (점유율) -44.6 -45.1 -45.6 -46.6 -47.8   
주) ‘약국’ 포함하여 작성         
         
         
? 의료급여비 급증요인 및 건강보험과의 비교         
의료급여 기금부담금 주요 증가요인 현황(지급기준)         
         
❍ ’17년 중증질환 급여비 5,828억 원, 희귀질환 급여비 6,242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 7.0%, 3.7% 증가         
(만성질환) 2조82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4.6% 증가         
(치과상병) 1,3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9.4% 증가         
         
(단위: 억원, %)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6. 대비 ’17.)   
       증감률  
중증질환 3,492 4,036 4,543 5,449 5,828  7  
희귀질환 4,213 4,907 5,422 6,019 6,242  3.7  
만성질환 22,229 23,696 24,751 26,978 28,206  4.6  
치아지지 548 719 883 1,252 1,370  9.4  
구조장애         
주1) 지급기준, 중증질환 및 희귀질환은 특정기호, 만성질환 및 치아지지구조장애는 주상병 기준         
2) 만성질환 상병은 「의료급여수가의 기준 및 일반기준」제22조에 따른 만성고시질환.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는 치아우식증(K02) 제외 주요 치과상병(K00-K01, K03-K08)         
         
건강보험 진료현황 비교(지급기준)         
         
❍ ’17년 1인당 진료비는 474만 8794원 … 건보(136만 3342원) 대비 3.5배         
※ ’17년 건보 소득하위 5% 지역가입자 1인당 진료비(258만 3642원) 대비 1.8배         
         
         
❍ ’17년 1인당 급여비는 465만 4832원 … 건보(101만 8989원) 대비 4.6배         
※ ’17년 건보 소득하위 5% 지역가입자 1인당 급여비(204만 7399원) 대비 2.3배         
구분  적용인구(천명) 1인당 입내원일수(일) 1인당  1인당     
    진료비(천원) 급여비(천원)    
의료급여  1,498 79.6 4,749 4,655    
건강보험  50,857 20.3 1,363 1,019    
 소득하위 5%(지역) 559 46.2 2,584 2,047    
주1) 적용인구는 연평균, 내원일수․진료비는 지급기준(출처: 2017 건강보험 주요통계)         
2) 입내원일수는 약국 포함(건강보험(주요)통계 산출방식과 상이)         
         
? 의료급여 질병 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현황         
전체 수급권자 질병 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진료현황         
❍ ‘급성기관지염’ (48만 9409명, 377억 원) > ‘치은염(잇몸염) 및 치주질환’ (39만 6482명, 313억 원) > ‘본태성(원발성)고혈압’ (32만 2214명, 1,326억 원) 순         
(단위: 명, 백만원)         
순위 상병명 진료인원 급여비      
1 급성기관지염 489,409 37,673      
2 치은염(잇몸염) 및 치주질환 396,482 31,269      
3 본태성(원발성)고혈압 322,214 132,592      
4 배통 275,410 68,607      
5 위염 및 십이지장염 244,536 19,900      
6 무릎관절증 211,766 111,671      
7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비염 201,893 10,841      
8 인슐린-비의존당뇨병 194,088 139,923      
9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182,029 8,858      
10 위-식도역류질환 181,664 23,848      
주) 지급기준, 순위는 진료인원 순         
         
65세 이상 수급권자 질병 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진료현황         
❍ ‘본태성(원발성)고혈압’ (21만 7737명, 931억 원) > ‘급성기관지염’ (14만 4449명, 110억 원) > ‘무릎관절증’ (13만 6992명, 804억 원) 순         
(단위: 명, 백만원)         
순위 상병명 진료인원 급여비      
1 본태성(원발성)고혈압 217,737 93,054      
2 급성기관지염 144,449 11,043      
3 무릎관절증 136,992 80,398      
4 치은염(잇몸염) 및 치주질환 135,501 9,647      
5 배통 132,491 33,407      
6 위염 및 십이지장염 104,728 9,516      
7 인슐린-비의존당뇨병 100,173 64,773      
8 기타척추병증 98,887 54,331      
9 위-식도역류질환 80,296 11,511      
10 알레르기성접촉피부염 70,446 3,765      
주) 지급기준, 순위는 진료인원 순         
※ 유의사항         
         
❍ (수급권자수) 연도말 국민건강보험공단 자격관리전산에 등록된 수급권자의 수 … 연도 중 자격상실자 제외         
❍ (의료급여기관) 급여비용을 청구하는 의료기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한 인력 및 시설자료 기준 산출 … 의료법 등에 따른 기관 수 및 근무현황과 상이할 수 있음         
❍ (심사 및 지급결정 진료현황) 의료급여비용은 의료급여기관이 청구한 진료비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심사‧결정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수급자격을 확인하여 진료비를 지급         
✴ 심사결정과 급여지급 간 진료인원 및 입내원일수, 의료급여비용총액(총진료비), 기금부담금 수치가 상이할 수 있음         
         
❍ (입내원일수) 본 자료의 입내원일수는 의료기관 입․내원일수 및 약국 처방․직접조제 내원일수를 포함하여 산출됨(건강보험통계연보 등의 타 공표자료와 상이)         
         
※ 의료급여통계연보 수록 내용별 담당기관         
목 차 작성기관        
제Ⅰ편 의료보장 일반현황 건강보험공단        
제Ⅱ편 의료급여수급권자 및 의료급여기관 현황 -        
제1장 의료급여수급권자 현황 건강보험공단        
제2장 의료급여기관 현황 심사평가원        
제Ⅲ편 의료급여 심사실적 심사평가원        
제Ⅳ편 의료급여 급여실적 건강보험공단        
제Ⅴ편 상병통계 현황 건강보험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