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약물중독 발굴·치료 지원을 위한 ‘마그미약국’ 66곳 운영 시작
○ 경기도,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 경기도약사회 협력. 10개 시 66곳 운영 시작(점진적 확대 추진)
- 내원 환자 중 약물의존 의심자 발굴, 고위험군 환자 치료재활서비스 연계 등
문의(담당부서) : 보건의료과 | 2020.10.22 05:40:00
도, 약물중독 발굴·치료 지원을 위한 ‘마그미약국’ 66곳 운영 시작
○ 경기도,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 경기도약사회 협력. 10개 시 66곳 운영 시작
(점진적 확대 추진)
- 내원 환자 중 약물의존 의심자 발굴, 고위험군 환자 치료재활서비스 연계 등
경기도와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 경기도약사회가 약물 의존자 조기 발굴·치료와 마약중독 예방을 위해 ‘마그미(마약과 약물을 막음이란 뜻)약국’ 운영을 시작했다.
‘마그미약국 운영 사업’은 지난해 3월 도에서 주최한 ‘마약류 정책개선 전문가 토론회’와 이애형 경기도의원이 대표 발의한 ‘경기도 마약류 및 약물 오남용 방지를 위한 예방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 전부 개정조례’에 근거한 후속 조치로, 지역사회 건강지킴이로써 약국의 역할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신청한 약국을 ‘마그미약국’으로 지정하는 형태로 운영되며 현재 도내 10개 시 66곳이 지정돼 지난 12일부터 활동에 들어갔다. 수원 14곳, 성남 12곳, 시흥 5곳, 안산 4곳, 용인 4곳, 의왕 5곳, 평택 6곳, 화성 5곳, 고양 6곳, 광명 5곳이 있으며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약물의존이 의심되는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1차 전문적인 복약지도와 기본적인 약물중독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불법마약류사용의심자 또는 향정신성 의약품, 오·남용 우려 의약품 처방을 자주 받는 고위험군 환자는 본인이 요청할 경우 경기도 마약퇴치운동본부 상담전문센터와 연계해 재활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영성 경기도 보건의료과장은 “도내 초기 약물의존자에 대한 정확한 복약지도와 전문상담으로 마약류 중독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강화하고자 한다”며 “더 많은 약국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도민 홍보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36%가 의료용 마약류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지속적인 약물 사용·환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성별로는 여성이(여성 57.1%, 남성 42.9%), 연령대로는 50~60대의 비율이 45.4%로 가장 높았다.
참고
경기도 마그미약국 운영사업
□ 추진배경
❍ 2019년 국민 36% 의료용 마약류 사용(국민 2.8명 중 1명), 성별로는 여성이 높고(여성 57.1%, 남성 42.9%), 연령대로는 50~60대(45.4%)가 가장 환자 중 여성이 57.1%로 남성(42.9%)보다 높고, 50~60대(45.4%)가 많음
※ 2020.5.28. 식약처 발표, 의료용마약류 빅데이터
❍ 마약류 오남용 방지를 위한 지역사회 건강지킴이로서 약국의 역할 강화 필요
-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와 경기도약사회 협력으로 마그미약국 운영
※ 현재 사업참여 약국 도내 66개소
□ 사업개요
❍ 기 간 : 2020년 10월 중순 ~
❍ 참여약국 : 66개소
- 수원14, 성남12, 시흥5, 안산4, 용인4, 의왕5, 평택6, 화성5, 고양6, 광명5
❍ 사업대상 : 마그미약국 내방 환자, 약물의존의심자 및 고위험환자 집중관리
❍ 지원내용
- 약물예방 정보제공) 복약상담 및 약물오남용 교육
- 약물치료 재활연계) 고위험군환자 초기개입 및 상담센터 연계
※ 상담센터 : 경기도 마약퇴치운동본부 상담센터
□ 향후계획
❍ 시․군 마그미약국 홍보 요청 및 지역사회 홍보활동 강화
□ 기대효과
❍ 약국에서의 보건서비스 제공으로 주민밀착형 전문 건강상담을 통한 국민건강증진 기여
❍ 약물의심자의 선제적 예방대응으로 중독 예방 및 중독자의 사회복귀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