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과기정통부, 2월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 선정-디지털 기술을 타 산업분야에 접목・융합하여 디지털 전환 및 새로운 시장 창출에 기여한 우수사례 3건 선정

하이거 2021. 3. 29. 13:38

과기정통부, 2월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 선정-디지털 기술을 타 산업분야에 접목융합하여 디지털 전환 및 새로운 시장 창출에 기여한 우수사례 3건 선정

 

작성일 2021-03-29 부서 정보통신정책총괄과 2021-03-29

 



과기정통부, 2월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 선정

- 디지털 기술을 타 산업분야에 접목・융합하여 디지털 전환 및 새로운 시장 창출에 기여한 우수사례 3건 선정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2월의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로 더존비즈온,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인포뱅크 등 3건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 ‘이달의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 선정 및 발표는 범 부처로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뉴딜 정책의 성과 확산 도모를 위해 ’20년부터 시행해오고 있으며,

ㅇ 올해에는 디지털 뉴딜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 및 기관 중 성과가 우수하고 국민 체감도 및 파급효과가 높다고 생각되는 사례를 선정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 이달의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 개요 >
ㅇ (목적) 디지털 뉴딜 기업·기관들의 국내외 저변확대 및 성과창출을 위한 사례 발굴·홍보
ㅇ (경과) ’20년 4~11월까지 매월 2~3건씩 총 22건의 우수사례(DNA 우수사례 및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홍보, 12월에 종합 우수사례에 대해 장관표창 수여
ㅇ (대상) 국내 디지털 뉴딜 관련 기업·기관*
* 5G·AI 융합, 지능형 정부, 데이터 댐, 디지털 인프라, 스마트 스쿨, 사이버 방역, 스마트 의료, 비대면 서비스 등 혁신 성장의 초석이 될 디지털 뉴딜 분야 관련 기업·기관
ㅇ (사례발굴) 디지털 뉴딜 관련 부처 및 유관기관 대상 우수사례 추천
ㅇ (선정) 디지털 뉴딜 분야 산·학·연 등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의위원회 운영

□ 이번 2월에는 디지털 기술을 타 산업분야에 접목・융합하여 디지털 전환 및 새로운 시장 창출 촉진에 기여한 기업·기관을 중심으로 아래와 같이 선정하였다.

ㅇ더존비즈온은 ‘중소·중견기업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구축 사업(과기정통부)’에 참여하여 약 185억건의 회계, 인사, 물류데이터 구축을 통해 AI기반 경영상태 진단, 매출·재고 예측 등 업무 스마트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통해 ‘20년 ERP 관련 매출이 9.5% 증가(’19년 3분기 대비)하였다.

ㅇ포항산업과학연구원은 ‘XR플래그십프로젝트(과기정통부)’에 참여하여 이차전지 제조공정에 디지털 트윈화* 기술을 적용하여 실증한 결과, 제품 개발기간·비용이 각각 25% 절감되었고 설비가동률이 8%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향후 제조업의 스마트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 가상공간에 신기술(AI, 5G, IoT, 가상시뮬레이션, 3D모델링 등)을 활용하여 실물과 동일한 환경을 구현하고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재해예방과 생산성 향상 등에 도움을 주는 기술

- 이를 기반으로 현장 교육, 안전사고 예방 등 작업자의 직무능력 향상 및 산업안전 분야로 적용 대상을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ㅇ 인포뱅크는 ‘AI 기반 자율주행 컴퓨팅모듈 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산업부)’에 참여하여 탑승자 자동 인식, 자율주행 차량 데이터 수집 등 자율주행 분야에서 국내외 기술표준 도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며,

-동 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을 적용한 차량 통합 관제·운영 시스템을 향후 렌터카에 적용할 경우 ‘25년에는 약 3,000대 이상의 렌터카 관제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 분야에서 우수한 사례를 보유한 기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홍보할 예정이며, 디지털 뉴딜 정책 추진이 우수한 성과의 마중물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2월의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
사례 ① 더존비즈온
기업·기관명 더존비즈온 대상분야 디지털융합
대 표 자 김 용 우
설립연도 2003 기업구분 중견기업
매출액(‘20) 3,065억원 종업원수 1,548명
소개 □ 기업 개요

ㅇ기업 정보화 소프트웨어를 통한 업무자동화 및 기업 관련 빅데이터를 제공하는 전문 SW기업



□ 제품ㆍ서비스

ㅇ 더존 ERP :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자동회계처리, 서식 자동 업데이트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자동화된 업무 시스템 제공

ㅇ 더존 WEHAGO : ERP, 협업서비스, 회계·급여·물류 관리 기능을 탑재한 빅데이터 기반의 플랫폼으로 효율적인 업무와 안전한 데이터 관리가 가능

ㅇ 중소·중견기업 데이터유통포털 :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기업정보, 회계, 인사 등의 기업 관련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추천사유 ㅇ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의 디지털뉴딜 사업과제인 ‘중소·중견 기업 빅데이터 플랫폼’에 참여하여 총 2차에 걸쳐 플랫폼 구축

- AI기반 경영상태 진단, 매출·재고 예측 등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 업무 환경구축에 기여

ㅇ2020년 한국가스기술공사의 차세대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의 공급 업체로 선정되는 등 ERP 공급 및 업무 스마트화 구축확대(누적 2만여건)

- 중소 기업들의 시스템 운영비용 절감, 구축 품질 및 제조 효율성 증대에 기여

ㅇ약 185억 건의 실시간 기업 빅데이터 기반으로 금융·기업 경영·인력 추천·매칭 등의 다양한 혁신서비스 창출 및 관련 매출 증가
사례 ②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기업·기관명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대상분야 디지털융합
대 표 자 권 오 준
설립연도 1987 기업구분 비영리기관
매출액(‘20) 1,071억원 종업원수 387명
소개 □ 기관 개요

ㅇ스마트팩토리 관련 이차전지 원천소재, 에너지 절감기술 분야 등 연구・개발

* 2차전지 제조원가 절감을 위한 공정기술 개발 차원에서 디지털트윈 적용중
□ 제품ㆍ서비스

ㅇ디지털트윈 기반 XR* 원격·현장 솔루션 개발: 디지털트윈 XR 원격솔루션을 개발하고, 제조공장 실증을 통해 솔루션 검증 및 관련 기술의 보급·확산

*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확장된 현실 구현

ㅇ 스마트솔루션 연구개발: 철강원료 하역·이송 공정자동화, 지하공동구 화제감시 모바일 드론 로봇, 딥러닝 기반 제조자동화 기술 등 다양한 스마트솔루션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
추천사유 ㅇ 이차전지 제조공정의 디지털트윈화를 통해 제품개발기간 및 비용을 각각 25% 절감

ㅇ 실제 제조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XR 교육훈련 솔루션을 통해 신규 현장 작업자의 교육기간을 50% 단축

ㅇ 조업데이터 기반 각종 센서류의 상태예측을 통해 설비가동률 8% 향상시키며 제조 효율성을 개선

ㅇ 향후 신공정 개발 및 최적화, 선도제품 개발을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 확대 기대
사례 ③ 인포뱅크
기업·기관명 인포뱅크 대상분야 디지털융합
대 표 자 박 태 형
설립연도 1995 기업구분 중견기업
매출액(‘20) 791억원 종업원수 156명
소개 □ 기업 개요

ㅇ 자율주행환경 스마트카 솔루션 개발 및 스타트업 투자/인큐베이션 전문기업
□ 제품ㆍ서비스 개요

ㅇ 플리츠(Fleets) : 자율주행차량의 데이터수집, 고정밀지도(HDMap) 기반 차량위치/이벤트관제, 배차·정차·회차 지시 등의 차량제어, 탑승객 승하차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합관제 플랫폼 서비스 제공

ㅇ 위패스(Wepass) : 글로벌 AI솔루션 전문기업 SenseTime과 협력·개발한 얼굴인식 VISION AI 통합 솔루션으로 AI안면 인식, 출입 알림, 방문자 관리, 마스크 착용여부 감지 및 관리 등의 기능 제공

ㅇ 아이엑셀(iAccel):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사업부인 아이엑셀을 통해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의 관련 유망 기업들에 대한 투자 진행
추천사유 ㅇ 자율주행차량 플랫폼의 관제 표준 인터페이스 개발

- 소규모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자의 플랫폼 연동 원활화, 후발 사업자들의 시장판로 개척과 홍보비용 절감 혜택에 기여

ㅇ 향후 AI 자율주행 컴퓨팅 모듈 기반 자율주행 차량 관제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율주행차량 및 일반차량에 대한 관제 가능 기대

ㅇ 또한 자율주행 및 차량·스마트카 기술 관련 누적 출원특허 총 156건(국내 145건/해외 11건)과 등록특허 총 43건(국내 39건/해외 4건)의 지식 재산권을 기반으로 국내 자율주행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