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국산 정밀접근레이더로 항공기 착륙 안전성 높아진다-정밀접근레이더(PAR) 지난 3월 말 공군 1 전투비행단에 첫 실전 배치

하이거 2019. 4. 15. 17:13

국산 정밀접근레이더로 항공기 착륙 안전성 높아진다-정밀접근레이더(PAR) 지난 3월 말 공군 1 전투비행단에 첫 실전 배치

 

작성일2019.04.15

 

 


 



국산 정밀접근레이더로 항공기 착륙 안전성 높아진다.
- 항공기 착륙까지 가상의 경로선 실시간으로 제공해 안전착륙 유도
- 국내개발로 안정적 정비지원하고, 전 세계 공항에 수출 가능성도 기대


❍ 방위사업청(청장 왕정홍)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정밀접근레이더(PAR)를 지난 3월 말 공군 1 전투비행단에 첫 실전 배치하였다.
   * PAR : Precision Approach Radar

❍ 정밀접근레이더는 2012년 11월부터 정부와 LIG넥스원이 약 200억 원을 공동 투자해 ’15년 말 연구개발에 성공하였다.


정밀접근레이더(PAR)


❍ 정밀접근레이더는 공항 관제*구역 내 운항항공기에 대한 착륙관제 임무를 수행하는 레이더이다. 활주로 방향 20 노티칼마일(NM, 약 36Km)**까지 유도된 항공기를 활주로까지 관제사가 조종사에게 유도․조언 해주고, 조종사는 관제사의 조언을 받아 항공기를 활주로에 착륙시킨다. 특히 악천후 및 항공기 계기착륙장치 이상시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게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한 착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 관제: 비행장에서 안전과 능률을 위해 이착륙 등 항공기 운항을 관리·통제하는 것
   ** 1NM(Nautical Mile): 약 1.8Km


❍ 기존 장비는 한 개의 레이더 빔 송신기로 구성되어 있어, 고장 시 사용이 불가능했으나, 이번에 개발한 정밀접근레이더는 수십 개의 반도체 송신기로 구성되어 있어 일부가 고장 나더라도 장비운용이 가능하다.

❍ 국내 개발로 정비지원도 용이해졌다. 기존 장비는 해외 구매품으로 정비를 위한 수리부속 조달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국내 개발을 통해 안정적이고 신속한 수리부속 조달 및 정비지원이 가능해 장비의 운용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정밀접근레이더는 2023년까지 주요 군 공항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예정이다. 전 세계 공항에 사용되는 장비로 향후 중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및 동유럽 국가 등에 수출도 기대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