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국토부 해외인프라사업 투자전문가 양성에 나선다- 11.7~11.30까지 전문교육기관 공모

하이거 2016. 11. 7. 07:27

국토부 해외인프라사업 투자전문가 양성에 나선다- 11.7~11.30까지 전문교육기관 공모

 

부서:해외건설정책과등록일:2016-11-07 06:00

 

 




국토부 해외인프라사업 투자전문가 양성에 나선다.
- 11.7~11.30까지 전문교육기관 공모 -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해외인프라개발사업의 발굴과 금융투자를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ㅇ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지난 11월1일 「해외건설전문 투자운용인력의 교육 및 관리에 관한 지침」을 제정하였으며, 오늘부터 11월 30일까지 해외인프라 개발사업 발굴과 투자 등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할 전문교육기관을 공모할 예정이다.

  - 대상기관은 대학, 연구원, 관련 협회 등으로 교육과목(내용), 교육시간 및 비용, 인적․물적시설 확보계획, 학사운영계획 등이 포함된 지정신청서를 작성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자세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국토부는 교육기관 공모와 관련, 신청기업들의 이해를 돕고자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으로, 11.15(화) 14시 해외건설협회 1층 교육장에서 해외건설기업, 교육․연구기관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참고 1

 해외인프라개발사업 발굴․지원 사업 설명회


 ㅇ (목적) 교육기관 공모(안) 및 17년 1차 F/S 및 금융투자 추천사업 공모(안) 등 대상사업 모집과 관련한 설명 및 질의․응답, 해외투자개발사업 진출지원 가이드북 소개 등을 통해 지원정책 이해도 제고

 ㅇ 時․所 : ‘16. 11. 15(화), 14:00~ 해외건설협회 1층 교육장

 ㅇ 참석자 : 건설정책국장, 교육기관, 해외건설기업, 엔지니어링업체 등 100여명

 ㅇ 내 용 : ① 해외투자개발사업 진출지원 가이드 북 설명(삼정KPMG)
           ② 17년 F/S 및 금융투자추천사업 공모(안)(국토부)
            ③ 해외건설전문 투자운용인력 교육기관 공모(안)(국토부)

□ 세부일정

시 간
발  표
내  용
13:50-14:00
참가자 등록(사회 : 해외건설협회 정창구 처장)
14:00-14:05
국토부
건설정책국장
인사말씀
14:05-14:35
삼정KPMG
이광열 상무
해외투자개발사업 진출 지원 가이드 북 소개 및 설명
14:35-15:00
국토부
김중한 사무관
17년 F/S 및 금융투자추천사업 공모(안) 설명
15:00-15:25
국토부
김동현 사무관
해외건설전문 투자운용인력 교육기관 공모(안) 설명
15:25-15:55
질의응답
15:55-16:00
맺음말


 ㅇ (목적) 해외건설특화펀드 운용 등을 위하여 해외건설전문 투자운용인력의 등록, 관리 및 사전교육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

 ㅇ (교육기관의 범위) 국공립대학, 사립대학, 관련협회, 연구원 등
 
 ㅇ (교육방법 및 과정)  집합교육의 방법으로 실시하며, 최소 40시간 이상 교육을 수강하고 출석률 80% 이상, 평가시험 60점이상을 득하여야 이수할 수 있음

 ㅇ (교육기관 지정신청) 교육과목(내용), 교육시간 및 비용, 인적․물적시설 확보계획, 학사운용계획 등이 포함된 지정신성서

 ㅇ (교육이수자 관리) 국토부장과는 교육이수증을 발급하고 이수증 발급대장에 기록․관리하여야 한다

 ㅇ (투자운용인력의 등록) 해외건설전문 투자운용인력이 되기 위해서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등록을 신청하여 함


항  목
교육과정
•정책․법률제도
 ㅇ 해외건설관련 정책․법률․제도
 ㅇ 자산운용관련 정책․법률․제도
•해외인프라개발사업의 타당성분석
 ㅇ 해외건설사업 참여 계약 실무(계약의 종류, 계약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 사례연구 등)
 ㅇ 해외건설 투자전략 및 회계처리
 ㅇ 해외건설업 시행 법인의 투자가치분석
 ㅇ 해외건설사업 성공사례 및 실패사례 분석
 ㅇ 세계 건설 및 엔지니어링 시장동향
 ㅇ 해외건설사업 사업성평가 및 사례연구
•금융투자상품
 ㅇ 금융상품 및 세제
 ㅇ 투자운용 전략
 ㅇ 투자분석
 ㅇ 리스크 관리
 ㅇ 직무윤리 및 법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