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기본계획 발표

하이거 2021. 2. 25. 10:53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기본계획 발표

 

등록일 2021-02-24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기본계획 발표


◈ 혁신공유대학 체계 구축을 통한 신기술분야 인재 10만 명 양성(2026년까지)
◈ 지역 간·대학 간 교육격차 해소, 국가 수준의 첨단 분야 인재양성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2월 24일(수)에 열린 제4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하였다.
ㅇ 이번 사업은「한국판 뉴딜 종합계획」발표(2020.7.14.) 이후 반영된 신규 과제로, 공유·개방·협력을 토대로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2026년까지 신기술 분야 인재 10만 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 혁신공유대학 개념도(안) >

□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첫째, 총 21개 중 주요 3개 산업(BIG3: 차세대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탄소중립(에너지 신산업) 등 8개 신기술 분야별로 1∼3개의 연합체(컨소시엄)를 선정하고 2021년 832억 원을 우선 지원한다.
※ 사업기간 : 6년(2021∼2026년, 3+3년)
※ 8개 분야 × 분야별 평균 102억 원 + 16억 원(사업 관리 및 산업교육센터 운영)


< 8개 분야 >

 

❖ ① 인공지능, ② 빅데이터, ③ 차세대(시스템/지능형) 반도체, ④ 미래자동차, ⑤ 바이오헬스(맞춤형 헬스케어 포함), ⑥ 실감미디어(콘텐츠)(증강현실·가상현실 포함), ⑦ 지능형 로봇, ⑧ 에너지 신산업(신재생 에너지)

- 지원 분야는 앞으로 사업 성과와 지원 필요성을 토대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ㅇ 둘째, 신기술 분야 교육 역량을 결집할 공유대학 체계를 구축한다.
- 여러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첨단 기자재 등 자원을 공동 활용하고 첨단 분야 교육‧연구 방법(노하우)을 가진 교원, 관계기관,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운영하는 등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 관계부처 협력을 통해 신기술 분야별 인재양성 사업을 연계하고 양질의 교육 자료(콘텐츠) 및 전문가, 협력기관을 공동으로 찾아 활용한다.
ㅇ 셋째, 신기술 분야별로 공유 가능한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 대학 간 공동운영 및 대학별 기존 전공과 유기적 결합이 용이한 과정(모듈형 과정)을 개발하고 인증(마이크로디그리)·학위 과정으로 운영한다.
- 기존 전공에 관계없이 희망하는 학생이 자유롭게 신기술 분야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준별, 분야별 과정으로 제공한다.
- 신기술 분야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우수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교육과정으로 개발하고 주기적으로 질을 관리한다.
※ (가칭) ‘교육과정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심의 및 환류체계 구축
ㅇ 넷째, 희망하는 학생에게 신기술 분야 교육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 교육 안전망을 구축한다.
- 전공자뿐만 아니라 비전공자도 신기술분야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단기과정 위주에서 벗어나 수준별 학위과정으로 지원하고 취업도 연계 지원한다.
-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선택권을 대폭 확대할 수 있도록 학사제도를 유연화하고 대학 간 상호 개방을 추진한다.
- 온라인 강좌를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케이무크) 누리집에 탑재하는 등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대학에 소속된 학생과 일반 국민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연합체(컨소시엄)는 주관대학 1개교, 전문대학 1개교를 포함한 4∼7개교로 대학이 자율적으로 구성한다.
※ 수도권 및 지방을 각각 40% 이상 포함
ㅇ 참가를 신청한 연합체(컨소시엄) 수 및 규모(대학 수), 전체 예산 규모(48개교 내외) 등을 토대로 분야별로 선정할 연합체(컨소시엄) 수를 정하게 된다.
ㅇ 2월 26일(금) 사업 공고를 시작으로 선정평가를 거쳐 4월 중으로 참여대학(컨소시엄)을 확정할 예정이다.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을 통해 대학 간 경쟁에서 공유와 협력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지역 간, 대학 간 역량 차이를 뛰어넘어 학생의 성장을 함께 지원하는 고등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사업 기본계획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기본계획








2021. 2. 24.









Ⅰ. 추진배경
1 추진 필요성
□ 디지털 전환 가속화, 4차 산업혁명 시대 본격화 등에 따라 첨단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구조 재편 및 일자리 형태 변화
※ 12대 산업 일자리 증가율(’17) : 바이오헬스(+5.7%), 반도체(+4.6%), 조선(△2.6%), 철강(△2.4%)
◦ AI‧빅데이터 등 신기술 분야 인력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분야별‧수준별 등 인력 공급은 전반적으로 부족하여 미스매치 심각
< 9개 분야 인력수급 전망 (산업부: ’19.7, ’20.4) >
구분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IoT 가전 AR·VR 첨단 신소재
부족인원 16,382명 8,065명 16,110명 4,235명 11,475명
(’27년 기준)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 선박 항공드론 지능형 로봇 합계
부족인원 24,998명 13,668명 4,435명 20,229명 119,597명
(’28년 기준)
※ 4대 신산업 분야 부족율(’20. 산업부) : 고졸 1.6%, 전문대졸 3.4%, 대졸 4.9%, 대학원졸 9.1%
◦ 미래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각 국의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선도국가로 도약을 위해 신기술 혁신 인재 양성 시급
※ WEF 국가경쟁력 순위(‘19) : 싱가포르(1위), 미국(2위), 일본(6위), 한국(13위), 중국(28위)
□ 그 간 대학은 경제‧사회 변화에 맞추어 인재양성을 위해 노력해 왔으나, 기존 대학별 인재양성 시스템을 통한 신기술 인재 양성에는 역부족
◦ 교육콘텐츠, 전문교수인력, 교육장비 등 인적‧물적 자원의 절대적부족으로 각 대학의 효과적인 인재양성 체계 구축 한계
◦ 뿐만 아니라 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우수한 교육 자원도 편중되어 있어, 지역대학 학생들의 신기술 교육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도 낮음
※ “대학별로 AI 교수요원을 영입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전문가를 찾기도 어렵고, 지방으로는 오려고 하지도 않아 지방대 어려움 가중” (기획처장협의회 등, ’20.11)
□ 비대면 교육 확대, 고도화되는 디지털 기술을 토대로 대학 간 상호 공유와 협력을 통해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고등교육 체제 구축
◦ 대학, 연구기관, 산업체, 정부 부처 등의 역량을 결집·공유하여 신기술 분야의 다양한 융·복합 교육과정을 개발, 수준별 인재 양성
※ 제도개선을 통한 신기술분야 학과 신·증설(’20.4, 4,761명)과 병행하여 각 학과·대학을 뛰어 넘는 교육과정 혁신 및 인재양성 체계 구축 필요
◦ 신기술분야 교육 사각지대에 있는 학부생, 인문사회 등 비전공생에게도 교육기회(Second Chance)를 제공, 포용사회 교육 안전망 구축 뒷받침
※신기술 분야 범부처 협업예산(’20) : 학부수준 17개 사업 중 1년 이내 단기사업이 12개
※계열별 취업률(’18):인문57.1%<사회·예체능·교육·자연64.1∼64.2%<공학71.7%
☞ 첨단분야 인재를 집중 양성하고 급격한 산업변화 속에서
뒤처지는 사람이 없도록, 희망 학생 누구나 신기술 분야
교육기회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디지털 기반 혁신 공유대학 모델 구축
2 주요 경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발표(’20.7.14, 관계부처 합동)
◦ 대통령, 디지털‧그린혁명 시대 인재양성 및 디지털 격차 해소 등을 위한 투자 확대 강조 (’20.7.16, 21대 국회 개원 연설)
대통령 말씀

“디지털시대, 그린 혁명 시대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사람투자를 확대하겠습니다. 인재양성과 직업훈련체계를 강화하고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투자에 특히 역점을 두겠습니다”.
◦한국판 뉴딜 실현, 포용국가 인재양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교육분야 ’21년 신규 사업((가칭)디지털융합가상캠퍼스) 추진 예산 확보(’20.12, 832억원)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20.9)」, 「제1차 산학연협력 기본계획 수정(’20.12)」,「2021년 교육부 업무계획(’21.1)」등의 주요 과제로 포함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사업 기본계획 시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20.10~’21.2), 대학 관계자‧전문가 의견수렴 실시(수시)
※ 사업계획 시안 공개 및 온라인 공청회 개최(’21.2.16)
<현장의 주요 의견>



◇ 기획처장협의회(‘20.11.30), 산학협력단장협의회 및 공과대학장 협의회(11.26),
교무처장협의회(11.25), 전문가 간담회(수시) 등

◈ 대학의 역할 수행을 위한 지원
◦ 대학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예산 및 교원 및 기자재 지원 필요
◦ 교육품질 확보를 위한 운영체계 지원 필요(예 : 공학교육인증제 등)
◦ 교육과정 운영 자율화, 학제간 연계 등 필요(유연한 학사제도 등)
◈ 참여 범위 등 설정
◦ 특정 대학이 주관대학을 많이 하는 것은 곤란하고, 참여대학에는 많은 대학이 참여하는 것이 적합
◦ 대학별 장점, 여건 등을 고려하여 학사체계까지 고민해서 모델을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컨소시엄 참여가 적합할 것
◦ 신기술 분야는 실험・실습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온·오프라인 병행 필요
◈ 사업의 범위
◦ 최근 신기술분야 관련 정부지원 사업 확대를 고려, 기존 사업에서 지원되지 못하는 공유대학 체계 구축 등 지원 필요
◦ 관계부처 재정지원 사업, 지역 특화산업 등과의 연계 모색 필요
◈ 공유 플랫폼 운영
◦ 공유를 위해서는 대학 간 학사제도에 대한 협의와 유익한 컨텐츠 개발 중요
◦ 기업・산업체 전문성 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통한 대학 간 공유・협력 필요
◈ 참여 교수 및 학생 지원
◦ 참여교수 강의시수 감면, 교수업적평가 등 다양한 지원
◦ 학생에게 인증 및 장학금 지급 등 지원 필요
◈ 기타 운영 관련
◦ 사업예산이 다양한 활동(인건비, 운영비 등)에 집행할 수 있도록 유연화 필요
◦ 참여 대학의 교육부담 경감 가능한 지원 필요
Ⅱ. 비전 및 주요내용
1 비전 및 목표


2 추진 전략
□ 신기술분야 공유대학 체계 구축
◦ 지역 간·대학 간 교육 역량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상호 공유하여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 양성 체계 구축
□ 신기술 분야별 표준 교육과정 개발
◦ 컨소시엄 대학의 자원을 공동활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수준별 모듈형 표준 교육과정 개발
□ 희망학생 누구나 참여기회 제공
◦ 전공에 관계없이 희망학생 누구나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학생 선택권 대폭 확대
□ 단계적 확대를 통한 신기술분야 인재양성 사각지대 보완
◦ 사업 성과를 토대로 지원 분야* 확대 및 학사 중심에서 석사 이상 특화 분야로 단계적 확대 모색 * 8개(’21년) → 단계적 확대(’22년∼)
3 주요 추진내용
? 신기술분야 공유대학 체계 구축
◦ 신기술분야 교육이 대학별, 학과별 분절적으로 이루어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 신기술분야의 교원, 교육 컨텐츠, 시설, 기자재 등 여러 대학에 흩어져 있는 자원을 공동 활용하는 수도권-지방 협업 모델 마련
※ 신기술 분야별 컨소시엄(4교∼7교, 주관대학 1교 포함) 구성·운영
- 산업체·연구기관·학회·민간기관 등 유관기관,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상호협력
※ 교육과정 설계 및 조정, 교육 컨텐츠 최신화, 문제해결형 교과목 구성을 위한 사례 개발, 강의제작 참여를 위한 교수요원 발굴 등 협력
< 혁신공유대학 개념도(안) >

? 공유 가능한 표준 교육과정 개발
◦ 신기술분야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우수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주기적 질 관리
- 분야별 전문가로 (가칭) ‘교육과정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컨소시엄에서 개발한 교육과정에 대한 심의 및 환류 체계 구축
※ 체계(안) : 심의기준 마련 → 교육과정 구성(안) 사전심의 → 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구성·운영 * 신기술분야 변화에 따른 심의기준 최신화 병행

◦ 대학 간 교육과정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각 대학의 기존 전공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모듈형 과정으로 구성
- 대학 간 공유 가능한 컨텐츠로 온라인 강좌, 실험·실습 운영 매뉴얼 등을 개발·운영하되 교육과정은 문제해결형으로 구성
- 신기술분야 과정, 융·복합 과정(신기술분야 + 기존 전공), 기존 전공과정 간 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인증, 학위과정으로 구성
※ 수준별 전공트랙을 구성·운영하여 다양한 인재 양성
< 예시 : 인공지능(AI) 교육과정 >
구분 학습 온라인 비중 교육과정 진로
초급 프로그래밍(파이선) 70∼100% 마이크로디그리(인증서) 상담전문가
머신러닝 (1∼2학년 수준) 모듈 ↗ (사회복지학 + AI 기초)
중급 신경망 네트워크 30∼70% 과정 융합전공 / 부전공 디바이스 전문가
고급 머신러닝 (3∼4학년 수준) + → (컴퓨터공학 + AI 전공 기초)
모듈 과정
고급 최적화 이론 20∼50% ↘ 복수전공 / 학·석사 연계 융·복합 소재 개발자
컴퓨터 비전 (4학년 이상) (지능형 반도체 + AI 전공 심화)
? 희망하는 학생에게 신기술분야 교육기회 제공
◦ 전공에 관계없이 희망하는 학생이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대폭 확대
-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을 학생들이 수준별, 분야별로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도록 편의성 제고
※ 계열 간 수강신청 제한 완화, 과목별 수강인원 확대, 계절학기 이수학점 상한 확대, 유연(집중)학기제 운영 등
- 대학 간 학사제도 상호 개방을 통해 타 대학 교과목도 자유롭게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
※ 수강신청 인원 및 학점 수 제한 완화, 학사일정 교류 확대 등
◦ 학생들이 전공 선택제한 및 취업준비 부담에 대한 걱정을 덜고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 신기술분야 수준별 과목 개설, 융합전공 운영 등 지원
? 공유·협력 및 성과 확산
◦ 각 컨소시엄에서 개발한 신기술 분야별 교육 컨텐츠를 사업 수행대학 전체가 공유·활용
- 학생이 선택 가능한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을 단계적으로 확대
※ 학생의 소속 대학이 참여하는 분야(’21) → 학생의 소속 대학이 참여하지 않는 분야로 확대(’22∼)
- 지역 간 연계·협력을 통해 어디서나 신기술분야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안전망 구축
< 공유‧협력 확대 >


◦ 사업 수행대학 이외의 대학*에 소속된 학생과 일반 국민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K-MOOC 탑재 등 공유
* 공동활용대학 : 사업 수행대학과 교육 컨텐츠 공유 협약을 체결한 대학
< 단계별 성과확산 >

< 기대 효과 >

◦ 지역 간, 대학 간 역량 차이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정원과 소속 대학의 벽을 뛰어넘어 신기술분야 우수인재 육성
◦ 대학 뿐만 아니라 산업체·연구기관·학회·민간기관 등이 참여하는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고 산학연계 인재양성을 위한 협력의 장 마련
◦ 대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도 누구나 손쉽게 양질의 신기술분야 교육을 이수할 수 있는 교육 생태계 조성
Ⅲ. 사업 세부내용

1 사업 개요
◦ (사업명)「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 (목표) ‘26년까지 신기술분야 인재 10만명 양성
◦ (대상) 전국 일반대, 산업대, 전문대 재정지원 가능대학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 컨소시엄을 4∼7개 대학(주관대학 1교, 전문대학 1교 포함)으로 구성하되, 수도권, 지방이 각각 40% 이상이 되도록 구성
※ 분교는 본교와 구분되는 대학으로 인정
※ 대학별 1∼3개 분야 신청 가능(주관대학은 1개 분야에 한하되, 인공지능 또는 빅데이터 분야 중 1개 분야에 한하여 추가로 신청 가능)
◦ (예산) ‘21년 832억원 ※ 국고, 민간보조
- (대학) 816억원(8개 분야, 48교 내외)
- (관리기관) 약 12억원(한국연구재단)
※ 나머지 약 4억은 산업교육센터 운영을 위해 별도 지원
◦ (기간) ‘21∼‘26년(6년 : 3+3년)
- 1차년도(‘21년)에 학사제도 유연화 및 교육과정 공동개발·운영을 우선 추진하고 2차년도(‘22년)부터 성과공유 및 확산 등 병행
※ 다만, 사업 기간 중 연차평가 및 단계평가를 통해 참여대학의 성과를 점검하고 지속 지원여부 및 지원규모 결정
◦ (분야) ‘21년 8개 분야 우선 지원
※ ⅰ)정부 정책 부합도, ⅱ)국내·외 인력수요 전망, ⅲ)대학 입학정원 및 사업수행 현황, ⅳ)코로나19 대응 등 유망분야를 토대로 지정
< 8개 분야 >

❖ ① 인공지능, ② 빅데이터, ③ 차세대(시스템/지능형) 반도체, ④ 미래자동차, ⑤ 바이오헬스(맞춤형 헬스케어 포함), ⑥ 실감미디어(콘텐츠)(AR/VR 포함), ⑦ 지능형 로봇, ⑧ 에너지 신산업(신재생 에너지)
※ 지원 분야 : 8개(’21년) → 단계적 확대(’22년∼)
2 컨소시엄 구성 및 대학별 역할
? 분야별 컨소시엄 구성
◦ 신기술분야 교육 역량을 갖춘 대학이 분야별 컨소시엄 구성
- 주관대학(1교) 및 참여대학(3∼6교)이 양질의 교육과정 공동개발·운영을 위해 역할을 분담하고 인적·물적 자원 공동 활용
? 대학별 역할
① 신기술분야 교육과정 및 교과목 공동 개발·운영
◦ 모듈형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대학별 기존 전공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
※ 교원, 교육 컨텐츠, 시설, 기자재 등 공동 활용
※ 기존 전공과 신기술분야 간 융·복합 교과목 개발에 기존 전공과정 교수진 참여 기회 제공
◦ 양질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국‧내외 전문가 등 교원을 확보하고 관련분야 협력기관·전문가 발굴 및 연계·협력 체계 구축
◦ 학생들의 교육과정 참여 편의성 제고를 위해 학사제도를 개선하고, 대학 간 학사제도 상호 개방
◦ 참여 학생의 진로, 취업, 창업, 진학을 위한 프로그램 연계 지원
※ 정부 재정지원 사업 연계, 대학별 자체 프로그램 운영, 유관기관 협력(산업체, 연구기관, 지자체, 지역사회 등)
◦ 취업준비생, 재직자·성인학습자 등을 위한 단기 교육 프로그램 구성·운영(온·오프라인)
< 주관대학 추가 역할 >

◦ 분야별 컨소시엄 내 참여대학 간 역할 및 예산 배분 총괄·조정
※ 참여대학 역할별로 예산을 자율 배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추후 사업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수정·보완
◦ 신기술분야 교육과정 및 교과목 공동 개발·운영 총괄·조정
- 교육과정 질 제고 등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지원조직 구성·운영
※ 예시 : 외부 전문가, 산업체 관계자 등으로 자문단을 구성하여 상시 자문
◦ 컨소시엄 간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여 신기술 분야 간 협업 모색
② 참여 교원 및 학생에 대한 지원
< 교원 >
◦ (책임시수 감면) 교육과정 개발‧운영 등 교원의 적극적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책임시수 감면
※ 사업 예산을 활용한 추가 강사확보 등 병행
◦ (교원업적평가 반영) 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성과물을 교원업적평가 실적물로 인정하도록 대학별 규정 개정
◦ (성과 우대) 참여 교원에 대한 연구비 및 성과급 지급, 연구년 선정, 유관분야 교육·연수 기회 제공 등 대학별 우대 방안 마련
◦ (인력 지원)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참여하는 교원을 보조하기 위해 조교 등 대학 내 자체인력 지원

< 학생 >
◦ (이수 인증)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에 대해 각 대학 또는 대학 공동명의의 이수증 발급, 졸업장 기재, 학위 수여 등
◦ (취업 등 준비지원) 대학-기업 간 연계를 통해 현장실습 연계 및 산업체 강사 멘토링 등 맞춤형 취업 프로그램 제공
- 사업 참여 학생의 대학 내 교육 프로그램 선발 우대, 관련분야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지원
◦ (학습 지원) 학기 중 노트북 및 태블릿 등 학습 기자재 대여 지원으로 온라인 강의 수강, 과제수행 등 교육 효과 제고
3 공유대학 체계 구축

? 컨소시엄 간 공유 플랫폼 구축·운영
※ 지원 분야 : 8개(’21년) → 단계적 확대(’22년∼)
◦ 분야별 교육과정 및 사업성과·정보·자원 등 공유, 신기술 분야 간 융·복합 과정 개발, 참여 학생 취·창업 지원 등 다각적 협업 모색
※ 신기술분야 인재양성 총괄 협의체 운영
< 플랫폼 구축·운영(안)(‘21) >

? 교육부 및 관계부처 재정지원 사업 연계
◦ (교육 컨텐츠 발굴)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도록 기존 인력양성 사업*을 통해 개발된 컨텐츠 적극 활용
* 관계부처 기존 인력양성 사업(7개 정부부처 25개 사업(’20)) 및 글로벌 MOOC (cousera, edX 등), K-MOOC, Match-業 등 포함
※ 개발된 교육 컨텐츠는 다시 관계부처 사업에 공유하는 등 상호 협력
- 주관대학 및 산업교육센터에서 컨텐츠 발굴 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최신의 컨텐츠가 지속적으로 발굴·활용될 수 있도록 협력
- 데이터 등 실제 문제를 활용한 양질의 문제해결형 교육 컨텐츠 개발 병행
◦ (인재양성) 참여 학생의 원활한 사회 진출을 위해 기존 사업의 직업훈련, 분야별 학위 과정과 연계
- 사업 간 교육내용의 중복은 방지하되, 교육과정이 연계될 수 있도록 역할 분담 모색
- 그 밖에 인적·물적 자원 공동 활용, 지원범위 조정 등 연계
※ 연계·협업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혁신공유대학 예산 활용
◦ (연계·협력 확대) 연계·협력에 참여할 관계부처 및 기존 사업 참여기관, 전문가, 협력기관을 지속 발굴하고 상호 공유
-「신기술분야 인재양성 총괄협의체」 및 「신기술 분야별 인재양성 협의체」구성·운영을 통해 연계·협력 사항을 상시 협의
? 전문 지원기관 지정·운영(산업교육센터)
◦「산학협력법」제13조의2에 따른 산업교육센터를 지정하고 산학협력 인력양성 전문 지원기관으로 운영
- 신기술분야 인재양성 협의체 구성·운영, 협력 기관 및 전문가 발굴 및 공유, 신기술분야 등 산학협력 인재양성 현황 종합관리 등 지원

Ⅳ. 평가 및 선정계획
1 신청 요건
◦ 아래의 요건을 갖춘 일반대, 산업대, 전문대로 구성된 컨소시엄별 신청
< 필수 요건(학칙 개정) >

❖ (학사제도 개편) 학생의 신기술분야 교과목 선택권 확대
- (예시) 계열 간 수강신청 제한 완화, 과목별 수강인원 확대, 계절학기 학점 제한 완화, 유연(집중)학기제 도입
❖ (교육과정 공동 운영) 대학 간 학사제도 상호개방
- (예시) 학점교류 시 수강신청 인원 수 및 학점 제한 완화, 정규학기 및 계절학기 운영 제한 완화, 인증서 및 학위 공동수여 방안 마련
❖ (교수 참여) 교수요원 확보 및 신기술분야 교육과정 개발 참여
- (예시) 교원업적평가 및 학과평가 우대, 책임시수 부담 완화, 산업체 등 외부인사의 교원 참여 및 대학 간 교원 겸직 활성화
❖ (자원 공유) 신기술분야 교육 관련 인적·물적 자원을 공동 활용
- (예시) 각 대학이 보유한 교원, 교육 컨텐츠, 시설, 기자재 등을 발굴·공유하고 양질의 교육과정 개발·운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역량 집중
※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규제완화 등 제도개선 필요사항 지속 발굴
2 선정 방식
◦ (선정 규모) 신청 컨소시엄 수 및 규모(대학 수), 전체 예산 규모(48교 내외)등을 토대로 분야별 선정 컨소시엄 수(1∼3개)를 결정
※ 사업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
◦ (분야별 선정) 각 컨소시엄에서 제출한 사업 계획서(‘21∼‘26년)를 토대로 분야별 상대평가를 실시하고 점수가 높은 컨소시엄을 선정
< 선정 절차 >

※ 향후 지원 분야 및 예산 확대, 사업 추진현황 등을 토대로 세부 선정방식 조정
3 선정 평가
◦ 정성평가 방식으로 진행하며, 분야별 평가위원단의 사업계획서에 대한 서면평가 및 대면평가 진행
-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 관계기관 추천, 교육부 전문가 풀 등을 통해 평가위원단을 구성·운영하되 상피제 적용
-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은 컨소시엄을 선정하되, 평가점수가 배점의 70% 미만일 경우, 선정대상에서 제외
※ 세부사항은「대학재정지원사업 공동 운영관리 매뉴얼」(’21.1) 준용

◦ 평가지표(안)
영 역 항 목 배점
1. 사업추진 비전 1-1. 사업 목표설정의 적정성 40
-80 1-2. 인재양성 목표의 적정성 40
2. 사업추진 체계 2-1. 조직 구성계획의 적정성 50
-140 2-2. 조직 운영계획의 적정성 50
2-3. 주관 및 참여대학의 역량 및 의지 40
3 (1) 교육과정 구성·운영 3-1. 교육과정·교과목 구성 계획의 적정성 80
사업 -160 3-2. 교육과정·교과목 운영 계획의 적정성 80
추진 (2) 교육과정 질 제고 3-3. 교원 확보 계획의 적정성 60
내용 -160 3-4. 교육 컨텐츠 확보 계획의 적정성 60
-620 3-5. 교육 인프라 확보 계획의 적정성 40
(3) 학사제도 운영 3-6. 학사제도 개선 및 학사관리 계획의 적정성 100
-100
(4) 교원·학생 참여 지원 3-7. 교원 및 학생의 참여 지원 50
-100 3-8. 학생의 진로·취업·창업·진학 지원 50
(5) 사업성과 공유 3-9. 공동활용대학, 일반국민 대상 공유 계획의 적정성 50
-100 3-10. 연계·협력 계획의 적정성 50
4. 예산 배분 및 집행계획 (80) 4-1. 예산배분 계획의 적정성 40
4-2. 예산집행 계획의 적정성 40
5. 성과관리계획 (80) 5-1. 성과지표 설정의 적정성 40
5-2. 성과도출 및 환류 방안의 적정성 40
계 1,000
※ 부정·비리에 따른 평가 시 감점 및 지원예산 감액은 컨소시엄 내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의 제한수준을 평균하여 결정
Ⅴ. 사업관리 및 향후 일정(안)
1 사업 추진체계 및 역할
□ 주체별 역할
◦ (소관부처) 교육부에서 사업 기본계획 수립·추진, 보조금 집행 총괄 관리 등 사업 총괄
◦ (관리기관) 한국연구재단에서 사업 관리‧운영
- 세부 시행계획 수립·추진, 선정평가 시행, 성과평가 실시‧분석
※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신청접수 공고 등 우선 추진
- 전문가풀‧평가단‧컨설팅단‧사업관리위원회 등 구성‧운영
- 보조금 교부 등 보조사업자 역할 수행(사업비 집행‧관리)
◦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 신기술 분야별 교육과정 개발‧운영 등 추진
- 보조금 집행 등 간접보조사업자 역할 수행
※ 관리기관 및 주관대학, 참여대학은 사업 계획의 주요 내용, 달성해야 할 주요 성과, 주요 의무사항 및 불이행 시 조치사항, 사업비 교부·관리 등을 포함한 사업협약 체결
※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의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본부 내 사업단 설치·운영
< 사업수행 체계도(안) >

2 예산 관리

□ 사업비 교부
◦ (교부 대상)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
◦ (교부 방식) 관리기관을 통해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에 각각 교부
※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별 역할, 규모, 특성에 따라 사업비를 차등 지원
□ 사업비 관리
◦ 분야별 총 사업비는 ‘주관대학’이 총괄 관리하며,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은 별도 계정을 설치하여 사업비 관리
- 체계적인 사업비 관리를 위해 본부 내 별도 전담조직이나 관리부서 지정
□ 사업비 교부 및 집행
◦ 사업비는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국고보조금 통합관리지침」, 「교육부 국고보조사업 관리규정」 등에 따라 집행
◦ 배분된 사업비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기본계획’ 등 관련 계획에 부합되도록 집행
□ 국고 보조금 책무성 확보
◦ 사업 추진 중 1)사업목적 외 예산 사용, 2)횡령 등 부정‧비리가 확인된 경우 사업비 삭감, 지원 중단 및 사업비 환수 등 가능
◦ 1)법령 위반*, 2)입시비리 등 사업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부정‧비리 사안도 정부 보조금의 투명하고 엄정한 집행 및 청렴에 대한 대학사회의 경각심 고취를 위해 일정 수준 제재
*「고등교육법」, 「사립학교법」, 「국립대학의 회계 설치 및 재정 운영에 관한 법률」 등
◦ 부정·비리 제재 결과 등에 따라 발생한 재원은 사업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활용방안 결정
◦ 사업기간 중 귀책사유에 따른 보조금 삭감 등이 있는 경우, 당초 협약한 사업계획 이행에 소요되는 사업비는 자체 부담
□ 대학별 예산배분 기준
◦ 컨소시엄별 배분 : 컨소시엄별 참여대학 수를 기준으로 안배
※ 항목별 총액 × 해당 컨소시엄에 속하는 대학 수 ÷ 전체 참여대학 수
◦ 컨소시엄 내 배분 :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 역할별 배분
□ 사업비 정산 및 결과 보고
◦ 사업종료 후 총 사업비 관리주체(주관대학)가 사업비 정산* 및 결과보고
* 별도계정을 관리하는 참여대학은 총 사업비 관리주체에 사업비 정산 및 결과 보고
- (사업비 정산) 사업위탁기관에 사업비 집행잔액과 발생이자 반납
- (결과보고) 성과목표의 달성 여부 등을 포함한 자체평가 결과를 첨부한 결과보고서(사업비 집행내역 포함) 제출
◦ 1차년도 사업비는 사업종료일인 ’22.2월 말까지 집행 완료

3 성과 관리
□ 성과평가(연차평가 및 단계평가)
◦ (평가활용) 성과평가를 시행하여 협약사항 이행여부, 사업 추진상황 및 성과 달성 여부, 사업비 집행실적 등 점검
- 평가결과 사업 추진이 미흡한 경우 개선 권고, 지원 중지(자체 예산 활용), 사업 참여 배제 등 적용
◦ (성과지표) 사업추진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핵심지표 + 자율지표)를 마련하여 평가에 적용
- (핵심지표) 사업의 주요 목표를 고려한 공통 성과지표
- (자율지표) 컨소시엄별 사업계획에 따라 자율 설정하여 중점 관리
< 성과지표(안) >
구분 지표(양적·질적 실적)
핵심지표 ‧신기술 교육과정 개발 성과(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건수 등)
‧신기술 교육과정 운영 성과(이수자 수 등)
‧사업 추진을 통한 취업, 창업, 진학 실적
‧신기술 교육 확산(공동활용대학 및 참여자 수, 컨소시엄 간 공유 등)
‧신기술 분야 교원 확보 수
‧신기술분야 교육 컨텐츠에 대한 만족도
자율지표 ‧사업목표 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컨소시엄에서 자율적으로 설정
※ 예시 : 취업준비생, 재직자·성인학습자 등 지원 방안, 문제해결형 교육과정 개설 및 운영
※ 세부사항은 연차평가, 단계평가별 시행계획 수립을 통해 결정
□ 성과 공유 및 확산
◦ 성과평가 결과 및 우수사례 등을 적극 발굴하고 워크숍·포럼 등 개최를 통한 공유·확산
- 양질의 교육 컨텐츠 개발에 기여한 교원, 직원에 대한 포상 등 지원

4 향후 일정(안)
◦ 사업 기본계획 수립 및 공고 : ‘21.2월말
◦ 사업계획서 신청 접수 : ‘21.4월
※ 신청접수 이전에 ‘가신청’을 접수한 후, 분야별 컨소시엄 및 신청대학 수를 전체 대학에 공개하여 본 신청에 참고할 수 있도록 지원
◦ 선정평가 실시 : ‘21.4월
◦ 사업 협약체결 및 사업비 교부 : ‘21.4월
◦ 교육과정 개설 준비 : ‘21.5∼7월
◦ 교육과정 운영 : ‘21.2학기(필요 시 계절학기 활용)
◦ 사업 결과보고서 제출 및 연차평가 실시 : ‘22.3월





붙임 1 8개 신기술분야 선정기준 및 주요현황
□ 선정 절차 및 방법
◦ (선정 체계) 신기술 분야 국내‧외 데이터를 메타 분석 및 우선순위 평가 등을 통해 디지털 신기술 분야 선정
< 분야 선정 체계도 >

◦ (선정 체제) 1)유망 산업 분야, 2)해외 시장 및 국내 인력 수요 전망, 3)대학 입학 정원, 4)시급성‧파급성 등 4개 영역을 종합적으로 고려

□ 8개 분야 도출
◦ (선정 결과) 4개 영역 분석 결과, BIG 4* 및 탄소중립 추진** 등을 포함한 주요 신기술 8개 분야 선정
* 차세대 반도체,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 인공지능
** 에너지 신산업, 미래자동차 등
< 4개 영역 분석 결과 >
구 분  정책 부합 측면 시장수요와 대응측면 대학 현황 시급성 합계
/파급성
미래 자동차(전기‧자율차, 자율주행차 등) 5 5 4 5 19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2 5 4 3 14
AI 인공지능 1 3 4 4 12
맞춤형 헬스케어(스마트 헬스케어) 1 4 4 3 12
빅데이터 2 1 4 4 11
에너지 신산업(신재생 에너지) 4 0 4 2 10
지능형 로봇 2 3 3 2 10
차세대(지능형) 반도체 4 2 3 0 9
스마트 공장 1 2 4 2 9
핀테크 1 1 3 4 9
항공‧드론 3 2 3 1 9
IoT(사물인터넷) 가전 2 2 2 2 8
바이오헬스(바이오) 3 0 3 2 8
스마트 시티 2 1 4 1 8
스마트 팜 1 1 4 2 8
차세대통신(5G) 1 1 3 2 7
첨단신소재 2 1 3 1 7
차세대 디스플레이 2 2 1 0 5
혁신신약 1 0 2 0 3
스마트‧친환경선박 1 1 1 0 3
프리미엄 소비재 1 0 1 0 2
< 4개 영역 통합 포지셔닝 및 클라우드 분석 결과 >

□ 8개 분야 주요 현황
분야 주요 현황
① 인공지능 ‧ (시장규모) ′25년 2,828억 달러 성장 예측
- 국내 시장 : ′17년 6조 4천억원 → ′22년 16조원 성장 예측
‧ (인력수요) ′17년 기준 2,600명 → ′22년 5,900명 예측
‧ (인력양성) 과기부 인공지능대학원 지원 사업으로 8개교 선정
② 빅데이터 ‧ (시장규모) ′18년 420억 달러 → ′23년 770억 달러 성장 예측
- 국내 시장 : ′18년 5,488억원 → ′22년 1조 4,077억원 성장 예측
‧ (인력수요) ′19년 기준 1,547명 → ′24년 9,472명 예측
‧ (인력양성) 한국정보화진흥원, 14개 대학과 교육콘텐츠 및 인프라 제공
‧ (교육과정) ′19년 기준 빅데이터 관련 학사과정 27개 운영
③ 차세대 ‧ (시장규모) ′18년 2,786억 달러 → ′22년까지 연평균 5.4% 성장 전망
(시스템/지능형) 반도체 ‧ (인력수요) ′17년 기준 27,297명 → ′27년 43,679명 예측
‧ (인력양성) 반도체 분야 등 기업과 연계한 계약학과 활성화
‧ (교육과정) ′19년 기준 반도체 관련 학사과정 58개 운영
※ 인공지능 반도체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 발전 전략」 수립(′20.10월)
④ 미래자동차 ‧ (시장규모) ′20년 250만대 → ′25년 1,120만대 → ′30년 3,110만대
‧ (인력수요) ′18년 기준 50,533명 → ′28년 89,069명 예측
‧ (인력양성) ′17~′22년까지 미래형 자동차 R&D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현장 맞춤형 전문 인력 양성 진행
‧ (교육과정) ′19년 기준 자동차 관련 학사과정 116개 운영
※ 2050 탄소중립 선언*에 따라 혁신적인 온실가스 감축 조치 요구
* 대통령 국회 연설(’20.10.28), 탄소중립 비전 선포식(12.1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 제출(12.30)
⑤ 바이오헬스 ‧ (시장규모) ′19년 124조원 → ′26년 751조원 성장 예측
- 국내 시장 : ′17년 4조 7,541억원 → ′22년 10조 716억원 성장 예측
※ 첨단(신기술)분야 고시 : 맞춤형 헬스케어 및 바이오헬스 ‧ (인력수요) ′18년 기준 38,050명 → ′28년 63,048명 예측
‧ (인력양성) ′24년부터 연간 약 1만명, ′25년 누적 총 47,531명 양성 계획
‧ (교육과정) 대학과 연계한 디지털 헬스케어 전공과정 신설, 산학연계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및 재직자 대상 연수 과정 확충
⑥ 실감미디어 ‧ (시장규모) ′17년 200억 달러 → ′22년 1,500억 달러 성장 예측
(콘텐츠) - 국내 시장 : ′15년 9,636원 → ′20년 5조 7,271억원으로 성장
‧ (인력수요) ′17년 기준 4,782명 → ′27년 9,017명 예측
※ 첨단(신기술)분야 고시 : AR/VR ‧ (교육과정) SW중심사회로 변화 등에 따라 정부 및 민간에서 교육과정 운영
⑦ 지능형 로봇 ‧ (시장규모) ′18년 114.8억 달러 → ′24년 509억 달러 성장 예측
- 국내 시장 : ′18년 6조 3천억원 → ′23년 11조 7천억원 성장 예측
‧ (인력수요) ′18년 기준 26,338명 → ′28년 46,567명 예측
‧ (인력양성) 프라임사업 참여 21개 대학 전체 입학정원(48,805명)의 약 11% 학생 전공 신설‧개편
‧ (교육과정) ′19년 기준 로봇 관련 학사과정 38개 운영
⑧ 에너지 신산업 ‧ (시장규모) ′16년 2,740억 달러 → ′17년 2,798억 달러 성장
(신재생 에너지) ‧ (인력수요) ′16년 기준 12,258명 → ′26년 4,891명 추가 필요 전망
‧ (인력양성) 공공기관 - 대학 등 협업 모델 발굴 및 맞춤형 인재양성 교육 추진 확대
‧ (교육과정) ′19년 기준 에너지 관련 학사과정 157개 운영
붙임 2 평가 주안점(안)
1. 사업추진 비전
1-1. 사업목표 설정의 적정성
? 양질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공유, 대학 간 역할 분담 및 공유대학 체계 구축, 학사제도 유연화 등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의 적정성
1-2. 인재양성 목표의 적정성
? 해당 신기술분야의 산업체 요구, 대학별 여건·특성 등을 토대로 도출한 대학별, 수준별 인재양성 목표의 적정성
2. 사업추진체계
2-1. 조직 구성계획의 적정성
? 대학별 역할 분담 방안, 대학 내 기획·교무 등 관련 업무를 포괄할 수 있는 추진체계의 적정성
2-2. 조직 운영계획의 적정성
? 대학 간 협력 체계 구축·운영, 대학별 사업 전담인력(조직) 구성·운영
2-3. 주관 및 참여대학의 역량 및 의지
? 대학 간 역할 및 예산 배분 조정,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운영 등 주관 및 참여대학으로서 역할 수행을 위한 역량 및 의지
3. 사업추진내용
3-1. 교육과정·교과목 구성 계획의 적정성
? 수준별 교육과정 및 교과목 구성 계획의 구체성, 교육과정 – 교과목 간 연계성, 대학별 기존 전공과의 연계성, 교과목 난이도의 적정성
3-2. 교육과정·교과목 운영 계획의 적정성
? 교육과정 및 교과목 운영을 위한 담당교원 설정, 학사일정 마련, 운영 방식(온·오프라인) 등 적정성
3-3. 교원 확보 계획의 적정성
? 역량 있는 교내·외 전문가 확보 및 교육과정, 교과목의 개발·운영 참여 방안
3-4. 교육 컨텐츠 확보 계획의 적정성
? 기존 컨텐츠 발굴 및 재구조화를 통한 교육 컨텐츠 질 제고 방안, 산업별 실제 데이터 등을 활용한 문제해결형 교과목 개발 방안
3-5. 교육 인프라 확보 계획의 적정성
? LMS, 실험·실습 시설 및 기자재, 강의실 등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확보 방안
3-6. 학사제도 개선 및 학사관리 계획의 적정성
? 대학별 학사제도 유연화 및 학사관리(출결 및 성적관리, 학위 및 이수증 수여 등) 계획의 적정성
3-7. 교원 및 학생의 참여 지원
? 교원 및 학생의 참여 지원을 위한 방안의 적정성
3-8. 학생의 진로·취업·창업·진학 지원
? 학생의 진로·취업·창업·진학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연계 등 방안의 적정성
3-9. 공동활용대학, 일반국민 대상 공유 계획의 적정성
? 공동활용대학 선정 및 교육 컨텐츠 공유·확산 계획의 적정성
? K-MOOC 탑재, 취업준비생 및 성인학습자를 위한 단기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교육 컨텐츠 공유·확산 계획의 적정성
3-10. 연계·협력 계획의 적정성
? 협력기관 및 전문가 발굴 및 “신기술 분야별 인재양성 협의체” 구성·운영을 통한 교수요원 확보, 교육 컨텐츠 질 관리, 교육과정 구성 등 연계·협력 계획의 적정성
4. 예산배분 및 집행계획
4-1. 에산배분 계획의 적정성
?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별 역할에 따른 예산 배분의 적정성
4-2. 예산집행 계획의 적정성
? 예산 집행을 위한 세부기준 설정, 집행 관리 방안 등 계획의 적정성
5. 성과관리계획
5-1. 성과지표 설정의 적정성
? 사업목표 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의 적정성
5-2. 성과도출 및 환류 방안의 적정성
? 지속적인 성과도출 및 환류를 위한 관리계획의 적정성
□ 부정·비리 대학 수혜제한 방법
◦ (기준 적용) 부정·비리(감사처분 및 행정처분, 형사판결) 대학의 수혜 제한과 관련하여 아래의 기준을 적용하되
- 부정·비리 정도에 대한 판단기준, 가중·감경 시 고려 등 세부사항은 「재정지원사업 공정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공동 운영·관리 매뉴얼」(‘21.1) 에 따름

◦ (제한 방법) 컨소시엄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하며, 부정·비리 정도는 컨소시엄에 속하는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의 평균값을 적용
- 다만 필요한 경우, 사업관리위원회 결정에 따라 가중감경 가능

< 부정‧비리 정도에 따른 수혜제한 수준 >
부정‧비리 정도 신규선정 계속지원
중대 총점 8%초과∼10%이하 총 사업비 30%초과∼40%이하
상 총점 4%초과∼8%이하 총 사업비 10%초과∼30%이하
중 총점 1%초과∼4%이하 총 사업비 5%초과∼10%이하
하 총점 1% 이내 총 사업비 5% 이내





붙임 3 향후 세부일정(안)

구분 ‘21년 ‘22년 이후
1학기 2학기
교육부
/ ‧사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교육과정 개발‧운영 등 컨설팅 ‧사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관리 기관 ‧산업교육센터 지정‧운영 ‧산업교육센터 운영 ‧산업교육센터 운영
※ 산학협력 인력양성 현황 분석, 산업교육 컨텐츠 개발, 산업교원 교육 및 연수 지원 등 ※ 전문가 및 협력기관 풀 구성‧관리 등 ※ 산학협력 인력양성 현황 분석, 산업교육 컨텐츠 개발, 산업교원 교육 및 연수 지원 등
‧참여대학 선정평가 진행 ‧부처 간 연계‧협력 ‧워크숍 진행 등 성과공유·확산
※ 분야별 컨소시엄 구성·운영 지원 ‧성과 발굴 및 공유 확산 ※ (분야 확대 시) 참여 대학 선정평가 진행
‧분야 간 / 분야별 협의체 구성·운영 ‧참여대학 연차평가 진행
※ 주관대학, 관계부처 등 연계·협력
‧협력기관 네트워크 체계 구축
※ 산업체, 연구기관, 공공기관, 대학, 유관기관
대학 ‧분야별 컨소시엄 내 역할 분담·조정 ‧분야별 컨소시엄 내 교육과정(1년차) 공동 운영 ‧교육 컨텐츠(1년차 이후) 공유·확산
- 교육과정 구성 및 교과목 개발 - 온·오프라인 학사관리 ※ 타 분야 컨소시엄, 사업 미참여대학
※ 교원, 교육 컨텐츠, 기자재, 협력기관 등 발굴·공유 - 성적 및 학점부여 ‧K-MOOC 탑재
- 학사일정 조정 및 학칙 개정 ‧분야 간 교육과정 공유 계획 수립 ※ 일반 국민
- 학위수여 방식 설정 ※ 1차년도에 공유 가능한 교육과정은 우선 공유하고, 2차년도에는 모든 교육과정 공유 ‧사업 간 인재양성 연계
※ 혁신공유대학(학부 과정) → 관계부처 사업
‧교육과정(2, 3년차) 공동 개발·운영
- 온·오프라인 학사관리
- 성적 및 학점부여
붙임 4 관계부처‘8개 분야’인력양성 사업(예시)
연번 부처 사업명 사업목적 집행기관 신기술
분야
1 과기부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4차산업혁명 분야 실무인재 양성으로 청년 실업해소 총 23개: 대학(5개), 대학 외 기관(18개) ①AI ②빅데이터
④미래자동차 ⑥AR·VR
2 과기부 빅데이터 청년인재 양성 및 일자리 연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청년 취업지원 프로그램 실시 총 13개: 대학(12개), 대학 외 기관(1개) ②빅데이터
[데이터 청년 캠퍼스]
3 과기부 실감 콘텐츠 융복합기술 활용하여 실감형 콘텐츠 개발하는 현장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첨단콘텐츠 선도개발·결과물을 상품화하는 5G 개발인력 양성 총 2개: 대학(2개) ①AI ⑥AR·VR
랩 지원사업
4 과기부 4차 인재양성 미취업 이공계 졸업생을 출연(연)이 보유한 첨단 연구시설·고급인력 등을 활용해 교육시킴으로써, 기업이 필요한 전문인재를 육성하여 패밀리 기업으로 취업 연계 지원 총 11개: 대학 외 기관(11개) ①AI ②빅데이터
④미래자동차 ⑥AR·VR
5 과기부 인공지능 인공지능 분야 체계적인 연구와 AI 특화교육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역량을 갖춘 AI 핵심인재 양성 총 12개: 대학(4개), 대학원(8개) ①AI
대학원 지원사업
6 과기부 지역전략 산업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 ICT융합 확산에 따른 산업별 특화된 융합보안대학원 운영을 통한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 총 8개: 대학(8개) ④미래자동차
⑧에너지 신산업
7 과기부 SW중심대학 빅데이터 컴퓨팅 응용 프로그램 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 딥러닝 패키지 소프트웨어 개발활용 및 인력양성 총 40개: 대학(40개) ①AI ②빅데이터
8 과기부 글로벌핵심인재양성 지원 해외 유수 대학, 연구기관을 활용한 연구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선도기술 분야의 리더급 인재를 양성 총 23개: 대학(22개), 대학 외 기관(1개) ①AI ②빅데이터
⑥AR·VR
9 과기부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AI, 블록체인, 3D 프린팅 등 SW분야의 전문교육 및 SW개발·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하는 인프라 조성 및 인력양성 총 17개: 대학 외 기관(17개) ①AI ②빅데이터
⑤ 맞춤형 헬스케어 및 바이오 헬스 ⑥AR·VR
10 과기부 SW여성인재 SW여성인재(경력단절여성 포함)의 사회진출 지원 활동으로 SW분야 진출 촉진 총 1개: 대학 외 기관(1개) ②빅데이터
수급활성화
11 과기부 시스템반도체 융합 전문 인력육성 차세대 반도체 유망분야(AI·바이오·에너지·반도체 등) 개척에 필수적인 최고급 융합전문인력(소자+설계+장비+응용분야) 육성 총 3개: 대학원(3개) ③지능형 반도체
12 과기부 차세대공학 공과대학 주도로 핵심 유망 산업군을 특화분야로 선정하고 미래 신산업을 이끌어 갈 차세대 공학연구자 육성 총 5개: 대학(5개) ④미래자동차
연구자육성 ⑧에너지 신산업
13 행안부 빅데이터 공공청년 인턴십 운영 공공·민간의 데이터 전문가 수요급증에 따른 청년대상 데이터 전문가 육성프로그램 운영 및 중앙부처 및 지자체, 공공기관 청년 체험형 일자리지원 총 1개: 대학 외 기관(1개) ②빅데이터
14 문체부 실감형 콘텐츠 창작자 양성 실감형 콘텐츠 분야 실무형 인재 양성 총 5개: 대학 외 기관(5개) ⑥AR·VR
15 산업부 에너지인력 에너지분야 석박사생 중심 산-학-연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R&D 전문인력 양성 총 8개: 대학원(8개) ⑧에너지 신산업
양성사업
16 산업부 에너지 신산업 글로벌 인재양성 에너지분야 석박사생을 해외 유력 연구기관으로 파견, 협력 프로젝트 수행 총 3개: 대학원(3개) ⑧에너지 신산업
17 산업부 나노융합 기술인력 양성사업 나노 인프라장비를 활용하여 기업맞춤형, 취업 연계형 기술프로그램 교육 총 1개: 대학 외 기관(1개) ①AI ③지능형 반도체
⑥AR·VR
18 산업부 한국형 NIBRT 프로그램 운영-바이오공정 바이오분야 산업계 현장수요에 부합하는 바이오 기술인력 양성 총 2개: 대학(1개), 대학 외 기관(1개) ⑤ 맞춤형 헬스케어 및 바이오 헬스
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
19 산업부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 신산업분야 석박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산학프로젝트 지원 등 R&D 전문인력 양성 총 21개: 대학원(16개), 대학 외 기관(5개) ①AI ③지능형 반도체④미래자동차 ⑤ 맞춤형 헬스케어 및 바이오 헬스 ⑥AR·VR
20 복지부 제약바이오산업 특성화 대학원 특성화대학원 지원을 통해 제약산업에 특화된 지식 및 역량을 향상시켜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고급 전문인력 양성 총 3개: 대학원(3개) ⑤ 맞춤형 헬스케어 및 바이오 헬스
21 복지부 의료기기 산업 특성화 대학원 의료기기산업 특성화대학원 설립을 통한 산업 특화형 전문인력 양성 및 수급체계 구축 총 1개: 대학원(1개) ⑤ 맞춤형 헬스케어 및 바이오 헬스
22 복지부 바이오 메디컬 글로벌 인재양성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 글로벌 감각을 갖춘 고급인재로 육성 총 4개: 대학원(4개) ⑤ 맞춤형 헬스케어 및 바이오 헬스
23 복지부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 젊은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고, 임상의사와 연구자 간 협업 연구를 통한 현장 아이디어 기반 맞춤형 서비스 개발·사업화 총 8개: 대학 외 기관(8개) ⑤ 맞춤형 헬스케어 및 바이오 헬스
24 복지부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임상 지식을 갖춘 의사(M.D.)를 대상으로 과학적 연구 방법을 교육 의과학 연구수행 역량 강화 총 3개: 대학(3개) ⑤ 맞춤형 헬스케어 및 바이오 헬스
25 고용부 4차산업 혁명선도 인력양성 훈련 4차 산업혁명 대비 신기술·고숙련 인력 양성 및 공급을 위해 고급훈련과정 선정·참여 시 훈련비 등 지원 총 25개: 대학(4개), 대학 외 기관(21개) ①AI
②빅데이터
26 중기부 직업교육 체계혁신 국립마이스터고(3개교) 학생을 우수한 현장 전문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마이스터 교육과정 운영 및 기자재 등 지원 총 6개: 대학(2개), 대학 외 기관(1개), 국립공고(3개) ⑦지능형 로봇
붙임 5 마이크로디그리 운영 사례
대학 과정 교과목 학점
건국대 3D 프린팅 산업과 연계한 조형미술제품 제작자 양성 과정 3D조형설계및3D프린팅, 3D조형콘텐츠기획및개발, 아트마케팅 9학점
글로컬 SMART치안전략 설계와 CPO(Crime Prevention Officer) 전문가 과정 형사사법비즈니스모델, 범죄예방종합설계, Smart Policing Initiative Project, 빅데이터범죄분석, 범죄예방론 15학점
캠퍼스 식품개발 6차 산업 융합형 인재 양성 과정 식품브랜드화및농산물창의디자인, 미래식품의세계, 푸드세일즈마켓팅, HACCP이론과실제, 푸드엔플라워코디네이션 12학점
뷰티화장품 글로벌 리더 과정 뷰티이미지컨설팅, 스토리텔링문화기획, 서번트리더십, 화장품비즈니스관리 12학점
덕성여자 유니버셜디자인 유니버셜디자인 세미나, 디자인 씽킹, 유니버셜디자인 프로젝트, 디자인과 가치, 지속가능 디자인
대학교 미디어콘텐츠제작 1인미디어연출기술, 미디어스토리텔링, 미디어커머스, 영상스토리텔링제작
문화콘텐츠기획 문화콘텐츠 기획 입문, 미디어와 시각문화 콘텐츠, 통일문화 콘텐츠, 지역문화 네트워크
국제정치경제협상 전문가 정치경제협상전략, 정치경제협상실무, 국제정치경제협상 사례연구
레저스포츠융합정보 레포츠산업정보의 이해, 레저스포츠 융합정보처리, 레저스포츠 미디어 콘텐츠
목원 문화예술 콘텐츠기획 C트랙 현대문화예술콘텐츠, 문화예술크리에이티브마인드, 한글문화유산과 스토리텔링, 창의적발상과 표현워크숍 13학점
대학교 문화예술 창작제작 P트랙 몸으로 표현하는 감성&스토리, 문화예술창작·제작 워크숍, 영상제작실험, 음원제작실험 13학점
문화에술 유통배급 N트랙 문화예술인을 위한 저작권, 콘텐츠 비즈니스, 문화콘텐츠기획 실습, 문화예술유통 워크숍 13학점
문화예술 디지털공학 D트랙 미디어아트융합체험, 빅인텔리전스와 세계의 문학들, ACA Photoshop 특강 9학점
한남 서비스러닝 디자인씽킹실습, 사회혁신모델개발, 서비스러닝캡스톤디자인 6학점
대학교 창업 디자인씽킹실습, 창업실무이해, 사회혁신과창업 6학점
자기설계 디자인씽킹실습, 시대변화와 사회이슈탐구, 미래산업과창직, 자기선택과목 Ⅰ∼Ⅲ 6학점
체인지메이커 체인지메이커 Ⅰ∼Ⅲ 9학점
XR_IoT네트워크 멀티미디어통신개론, 유비쿼터스통신프로젝트, 멀티미디어자바프로젝트Ⅰ,Ⅱ, 어드벤처디자인 15학점
XR_디바이스설계 CAD(건축학부), 첨단제조공정및설계, 제어계측및실습, 로봇과 인공지능, 어드벤처디자인 15학점
XR_디지털디자인 디지털디자인Ⅰ,Ⅱ, 어드벤처디자인, 디지털리터러시 12학점
XR_인터랙션디자인 3D애니메이션Ⅰ, 인터랙션디자인, 어드벤처디자인, UX/UI디자인 12학점
XR_인터랙션프로그래밍 비주얼프로그래밍, 스크립트언어, 2D앱인터랙션콘텐츠제작, 3D앱인터랙션콘텐츠제작, 어드벤처디자인 15학점
XR_영상처리프로그래밍 컴퓨터비전, 영상처리, XR실무프로그래밍, 어드벤처디자인 12학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