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미래의 열쇠인가?' 청년에게 듣고 4차 산업혁명에서 길을 찾다- 12. 6.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문화융성포럼 개최
게시일 2016.12.01. 담당부서 문화여가정책과
?문화, 미래의 열쇠인가??
청년에게 듣고 4차 산업혁명에서 길을 찾다
- 12. 6.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문화융성포럼 개최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조윤선, 이하 문체부)는 문화융성위원회(위원장 표재순, 이하 융성위)와 함께 12월 6일(화)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문화, 미래의 열쇠’를 주제로 문화융성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문화융성포럼은 미래문화의 주역인 지역 청년 문화기획자 등의 목소리를 통해 미래 문화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사회 변화와 문화의 역할을 조명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2015년 영국 터너상(Turner Prize)*의 수상자인 ‘어셈블(Assemble)’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1부에서는 지난 11월, 5개 권역에서 열린 문화융성 지역포럼의 결과를 공유하고, 2부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과 문화’를 주제로 다양한 강연자들의 발제와 패널토론을 진행한다.
* 터너상(Turner Prize): 영국 현대 미술의 대표 기관인 테이트 브리튼이 1984년에 제정한 상. 한 해 동안 가장 주목할 만한 전시나 미술활동을 보여준 50세 미만의 영국 미술가 (영국에서 활동하는 외국 출신 미술가와 외국에서 활동하는 영국 국적의 미술가를 총괄하는 의미)에게 수여되는 대표적인 현대미술상.
영국 터너상 수상자 ‘어셈블’과 함께 지역공동화 문제 해결 방안 모색
‘어셈블’은 영국 리버풀 지역의 쇠락해가는 공공주택단지의 재생 프로젝트인 ‘그랜비 포 스트리츠(Granby Four Streets)’를 지역주민과 함께 성공적으로 추진해 터너상을 수상했다. 20대의 건축가, 미술가, 디자이너로 구성된 ‘어셈블’은 터너상 최초의 단체 수상자이기도 하다. ‘어셈블’은 이번 포럼에서 ‘도시, 청년 미래를 위한 새로운 협업 시스템(How we build)’을 주제로 지역과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를 통한 마을 재생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예술가가 사회 기반시설(인프라)을 재건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법을 비롯해 지역 공동체와 상생하는 방법 등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 이번 기조강연은 국내에서도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젠트리피케이션*과 지역의 청년 일자리 문제 등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도심에 가까운 낙후 지역에 고급 상업 및 주거지역이 새로 형성되면서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되고 기존의 저소득층 거주자들이 다른 지역으로 쫓겨나는 현상
청년에게 듣는 미래의 문화정책 비전과 어젠다 공유
문체부는 문화를 만드는 ‘사람’에 주목해 융성위와 함께 지난 11월, 권역별로 지역포럼*을 개최했다. 지역포럼에서는 미래 문화의 주역인 청년 문화기획자, 문화활동가 등이 다음 세대의 문화 정책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논의했다. 5개 권역에서 총 500여 명의 청년들이 모여 ‘자립, 인문정신, 융합, 혁신, 지속’을 주제로 열띤 토론을 진행하고 11개 키워드(자립 성장, 사회참여, 관점 전환, 상생 관계, 문화 이음, 공간 문화 등)를 중심으로 미래 문화정책 어젠다를 도출했다. 이번 포럼의 1부에서는 이렇게 지역에서 문화로 살아가는 청년들이 치열하게 고민해 도출한 문화정책 어젠다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제안하는 시간을 보낸다.
* 문화융성 지역포럼(총5회): 호남권(남원, 11. 4.-5.), 영남권(대구, 11. 5.-6.), 수도권(판교, 11. 10.), 충청권(세종, 11. 14.-15.), 강원권(원주, 11. 16.-17.)
4차 산업혁명,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문화의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
이어서 2부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과 문화’를 주제로, 기술변화가 가져오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문화예술계가 가져야 할 철학과 전략에 대해 고민하는 장이 펼쳐진다. 한동숭 한국문화콘텐츠기술학회 회장이 4차 산업혁명의 기술 변화가 가져오는 새로운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큰 방향을 제시한다. 이어 한국작가 손미미와 영국작가 엘리엇 우즈로 구성된 미디어예술가 그룹인 김치앤칩스가 ‘공유&협업, 경계 없는 노마드’를 주제로 기술적 변화가 가지고 오는 예술가들의 새로운 창작 방식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지선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는 스스로 필요한 것을 만드는 사람들인 메이커 운동과 메이커 문화에 대해 발표하고, 한종호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초연결성과 지역성’을 주제로 4차 산업혁명 시기에 지역에서 답을 찾고자 하는 청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4차 산업 혁명의 물결이 사회 변화를 이끄는 흐름 속에서 이번 포럼을 계기로 미래 문화의 역할에 대해 토의하고, 지역 문화현장 청년들의 실천적 고민을 담아내어 문화의 가치와 역할을 재정립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붙임 1. 행사 개최 개요
2. 행사 세부 계획
3. 문화융성포럼 기조강연자, 발제자 소개
4. 지역 문화융성포럼 개최 결과
5. 문화융성포럼 포스터
붙임 1
행사 개최개요
□ 행사개요
◦ (목적) 미래문화의 주역인 청년들을 통해 문화융성으로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을 제안하고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문화의 역할을 조명
◦ (행사명/주제) 문화융성포럼, “문화, 미래의 열쇠”
◦ (주최/주관) 문화융성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공동주관 : 쥬스컴퍼니(지역포럼 주관), 국립현대미술관(장소협조)
/ 협력 : 영국문화원(기조강연자 초청)
ㅇ (일시/장소) 2016.12.6(화) 13:30~18:00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ㅇ (행사규모) 유관기관, 지역포럼* 참가자, 일반참가자 등 200여명
※ 문화융성 지역포럼(총5회) : 남원(11.4~5), 대구(11.5~6), 판교(11.10), 세종(11.14~15), 원주(11.16~17)
□ 세부 진행계획
시 간
내 용
13:30~13:40(‘10)
[환영사 및 축사]
· 환영사 : 문화융성위원장
· 축사 :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 주한영국문화원장
13:40~14:10(‘30)
[기조강연] 도시, 청년 미래를 위한 새로운 협업 시스템 <How We Build>
[Assemble* / 2015 터너상 수상자]
*18명의 미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로 구성된 단체로 리버풀 지역주민과 쇠락해 가는 공공주택단지 재생 프로젝트로 영국 최고 권위의 현대미술상 수상
14:10~15:30(‘80)
[1부 – 제자백가, 문화정책 아젠다]
· 5개 권역 지역포럼 과정 및 결과 공유(권역별 디렉터)
· 청년에게 듣는 미래의 문화 아젠다(문화관광연구원)
16:00~18:30(‘120‘)
[2부 – 제4차 산업혁명과 문화]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사회․문화 패러다임 : 한동숭(한국문화콘텐츠기술학회 회장)
· 기술적 변화가 가져오는 새로운 창작 방식 : 김치 앤 칩스(미디어아티스트)
· 모두가 크리에이터, 메이커운동과 메이커문화 : 이지선(숙대 시각영상디자인과 교수)
· 4차 산업혁명기의 지역 그리고 청년 : 한종호(강원 창조경제혁신센터장)
· 패널토론 : 미래, 기술, 청년 & 문화(좌장 : 임학순 가톨릭대 교수)
붙임 2
행사 세부계획(안)
시 간
내 용
비 고
13:00 ~ 13:30 (30‘)
· 등록 및 착석
케이터링
13:30 ~ 13:32 (02‘)
· 안내 및 개회사
사회: 정종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13:32 ~ 13:35 (03‘)
· 환영사
문화융성위원장
13:35 ~ 13:40 (05‘)
· 축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
주한영국문화원장
13:40 ~ 14:10 (30‘)
기조강연 : 도시, 청년 미래를 위한 새로운 협업 시스템 <How We Build>
Assemble*(2015 터너상 수상자)
*18명의 미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로 구성된 단체로 리버풀 지역주민과 쇠락해 가는 공공주택단지 재생 프로젝트로 영국 현대미술상 수상
<세션 1 – 제자백가, 문화정책 아젠다>
14:10 ~ 15:15 (65‘)
· 5개 권역 지역포럼 과정 및 결과 공유
종 합: 이한호 쥬스컴퍼니 대표
호남권: 최정한 공간문화센터 대표
영남권: 권상구 시간과공간연구소 이사
수도권: 안영노 디디비코리아 대표
충청권: 노재정 에이스벤츄라 대표
강원권: 권순석 문화컨설팅바라 대표
15:15 ~ 15:30 (15‘)
· 청년에게 듣는 미래의 문화 아젠다
조광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15:30 ~ 16:00 (30‘)
· 휴 식
<세션 2 – 제4차 산업혁명과 문화>
16:00 ~ 16:20 (20‘)
· 1st Talk : 기술변화와 삶의 변화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사회·문화 패러다임
한동숭
(한국문화콘텐츠기술학회 회장)
16:20 ~ 16:40 (20‘)
· 2nd Talk : 공유&협업, 경계 없는 노마드
- 기술적 변화가 가지고 오는 새로운 창작 방식
김치앤칩스
(손미미 & 엘리엇 우즈 미디어아티스트그룹)
16:40 ~ 17:00 (20‘)
· 3rd Talk : 청년들이 일구는 새로운 미래
- 모두가 크리에이터, 메이커운동과 메이커문화
이지선
(숙명여자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과 교수)
17:00 ~ 17:20 (20‘)
· 4th Talk : 초연결성과 지역성
- 4차 산업혁명기의 지역 그리고 청년
: 헤리티지 기반 창업을 중심으로
한종호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17:20 ~ 18:00 (40‘)
· 패널 토론 : 미래, 기술, 청년 & 문화
좌장: 임학순
(가톨릭대학교 문화비즈니스연구소 소장)
18:00 ~
· 폐 회
붙임 3
문화융성포럼 기조강연자․발제자 소개
이 름
소 개
Assemble
(2015 터너상 수상자)
- 20대 청년 화가, 건축가, 기획자 등 18명으로 이루어진 그룹
- 영국 항구도시 리버풀의 슬럼화된 공공주택단지를 문화지대로 되살려낸 청년 예술가들
- 31년 터너상 역사상 최초 단체 수상
- 도시, 청년, 미래를 위한 새로운 협업 시스템에 관해 기조강연
이한호
- 쥬스컴퍼니 대표이사
- 문화체육관광부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컨설팅단 컨설턴트
- 광주광역시 미래비전위원회 문화관광분야 위원
- 세션 1의 발제자로 5개 권역 지역포럼의 과정과 결과를 종합하여 공유
최정한
- 공간문화센터 대표
- 천안시 문화도시추진단장
- 전)홍대앞 클럽문화협회 대표
- 세션 1의 발제자로 호남권 지역포럼의 과정과 결과 공유
권상구
- 시간과공간연구소 이사
- 대구근대골목 기획, 디자인 컨설팅
- 동성로공공디자인개선사업 문화전략
- 세션 1의 발제자로 영남권 지역포럼의 과정 결과
안영노
- 광고대행사 ㈜디디비코리아 부사장
- 서울시립대학교 문화예술관광학과 겸임교수
-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초빙교수
- 세션 1의 발제자로 수도권 지역포럼의 과정과 결과 공유
노재정
- 문화예술교육연구소 에이스벤츄라 대표
- 부여마을문화학교협동조합 이사
- 사)문화기획학교 이사
- 세션 1의 발제자로 충청권 지역포럼의 과정과 결과 공유
권순석
- 문화컨설팅바라 대표
- 한국문화의집협회 상임이사
- 정선아리랑제 이사
- 세션 1의 발제자로 강원권 지역포럼의 과정과 결과 공유
조광호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 지역발전위원회 지역발전사업 생활권사업 평가위원
- 문화체육관광부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컨설팅단 정책분야 컨설턴트
- 세션 1의 발제자로 청년에게 듣는 미래의 문화 아젠다 발표
한동숭
- 한국문화콘텐츠기술학회 회장
- 전주대학교 게임콘텐츠학과 교수
- 문화산업연구소장
- 세션 2의 발제자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사회 문화 패러다임에 관해 발표
김치앤칩스
- 손미미 & 엘리엇 우즈 (미디어 아티스트 그룹)
- 2014 다빈치크리에이티브 페스티벌, 금천예술공장 예술감독
- 2014 Destortion Field Conference 공동감독
- 세션 2의 발제자로 기술적 변화가 가지고 오는 새로운 창작 방식에 관해 발표
이지선
- 숙명여자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과 교수
- 숙명여자대학교 창의뉴미디어디자인 연구센터 센터장
- 한국디자인학회 이사
- 세션 2의 발제자로 모두가 크리에이터가 되는 메이커운동과 메이커문화에 관해 발표
한종호
-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 전)네이버 파트너센터 센터장
- 전)NHN 정책 담당 이사
- 세션 2의 발제자로 헤리티지 기반 창업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기의 지역 그리고 청년에 관해 발표
임학순
- 가톨릭대학교 문화비즈니스연구소 소장
-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
- 한국예술경영학회 회장
- 세션 2의 좌장으로 미래, 기술, 청년 & 문화를 주제로 패널 토론을 이끌 예정
붙임 4
지역 문화융성포럼 개최 결과
□ 지역포럼 개요
권역
호남권
영남권
수도권
충남
강원권
장소/일정
남원, 11.4~5
대구, 11.5~6
판교. 11.10
세종, 11.11~12
원주, 11.16~17
키워드
-의제
“자립”
-청년자립을 통한 문화도시, 문화마을 가치 재창조
“인문정신”
-청년은 지역을 위해, 지역은 청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융합”
-청년들의 활로와 혁신
“혁신”
-청년의 상상력을 통한 지역의 재생
“지속”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활동을 위한 문화의 역할이란 무엇인가
호남권 ‘청년자립, 열정포럼’
영남권 ‘지역의 발랄한 청년들의 만남’
충청권 ‘충청 미래공감포럼’
수도권 ‘융합 : 청년曰’
강원권 ‘융성웅성, 청년포럼’
붙임 5
문화융성포럼 포스터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RI, 무인자율차 전용 프로세서 첫 개발 1GHz급 고성능·자율주행 프로세서(CPU)'알데바란'개발 (0) | 2016.12.01 |
---|---|
기품원,『2016 세계 방산시장 전망 세미나』개최- 산·학·연 관계자 참석, 수출증대를 위한 정보 공유의 장으로 (0) | 2016.12.01 |
"2017년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세부과제 공모 안내 (0) | 2016.12.01 |
2016 성남 시니어 기술창업센터 워크숍 개최 안내 (0) | 2016.12.01 |
KISA, 국내 보안전문가 7인 ‘제2기 사이버 가디언스’ 위촉 - 가디언스와 공동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홈페이지 점검 등 추진 (0) | 2016.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