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스타트업 관련 투자 현황과 컨퍼런스(16년 20호,한국콘텐츠진흥원)
장르 일반 분야등록일2016-11-01
- 1 -
2016. 07. 21.
2016년 20호
- 1 -
.스타트업 관련 투자 현황과 컨퍼런스.
작성취지
. 미국은 최근 스타트업 기업 유치와 육성에 열을 올리고 있음. 이에 따라 최근 급
증하고 있는 스타트업 컨퍼런스의 현황과 특징을 조사함
작성순서
. 미국 내 스타트업 사업 현황
. 미국 내 주요 스타트업 컨퍼런스의 현황
. 미국 내 주요 스타트업 컨퍼런스의 특징
1. 미국 내 스타트업 사업 현황
- 구글(Google)과 페이스북(Facebook)을 비롯한 인터넷 기업들이 스타트업
기업들의 서비스를 인수하는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
- 동시에 미국 내에서는 다양한 스타트업 사업이 창출하는 새로운 부가가치와
경제적 파급효과가 주목받고 있음
· 구글은 자연어 처리 도구 API를 개발하는 ‘API.AI’를 인수함1)
· API.AI는 2014년 설립된 회사로 음성처리 관련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관련 API를 6만 여명의 개발자들이 대화형 서비스에 적용하
1) Kharpa, A. (2016, September). Google bought a chatbot start-up for a future
where we’ll all be talking to robots. CNBC. Retrieved from
http://www.cnbc.com/2016/09/20/google-bought-a-chatbot-start-up-for-a-future-whe
re-well-all-be-talking-to-robots.html
- 2 -
고 있음
· 구글의 지도 서비스는 도시계획, 물류, 출퇴근을 위한 도심 교통현황
분석엔진 ‘space/time engine’을 개발하는 어반엔진(Urban Engines)을
인수한다고 밝힘2)
· 페이스북은 시제품의 빠른 제작을 위해 실리콘밸리(Silicon Valley) 기업
나센트오브젝트(Nascent Objects)를 인수함3). 나센트 오브젝트는 페이
스북의 하드웨어 개발을 위한 비밀 계획 ‘Building 8’에 합류할 예정.
· 2016년 포춘 선정 ‘40 under 40’에 선정된 맷 샐즈버그(Matt Salzberg)가
2014년 미국 뉴욕에서 창업한 ‘블루 에이프런(Blue Apron)’4)은 현재
매 달 800여 만 가구에 밀킷(meal-kit)을 배달하고 있음
· 블루 에이프런은 연간 약 USD 9억 6천만 달러(약 1조 87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4천여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성공한 스타트업 의
예로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음5)
· 맷 샐즈버그는 자사의 스타트업 사업이 성공할 수 있었던 주 요인으로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단순하고 매력적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식자재의 생산과 유통에도 영향력을 확장하여 사업의 유연성을
잃지 않기 때문이라고 꼽음
· 카본(Carbon)은 USD 8,100만 달러(약 918억 원)의 최근 투자를 마지막으로
총 USD 2억 2천여만 달러(약 2,494억 원)에 달하는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힘6)
2) Morris D. Z. (2016, September). Google Adds Route-Planning Startup Urban Engines
to Maps. Fortune. Retrieved from
http://fortune.com/2016/09/17/google-route-planning-startup/
3) Nieva, R. (2016, September). Facebook is buying a startup to build hardware
faster. Cnet. Retrieved from
https://www.cnet.com/news/facebook-buying-startup-nascent-objects-to-build-hardw
are-faster/
4) 가입자에게 매 주 새로운 레시피와 이에 필요한 적당량의 식재료를 배달하는
스타트업 사업
5) Giffith, E. (2016, September). How Blue Apron Got It Right. Fortune. Retrieved from
http://fortune.com/2016/09/24/how-blue-apron-got-it-right/
6) Cruber, B. (2016, September). Silicon Valley 3D printing startup gets $81 million in
- 3 -
· 카본은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스타트업 기업으로 온디멘드(on-demand)형
의료 및 차량용 부품을 3D 프린팅(3D-printing)으로 제공하는 사업을 준비
중임
[그림 1] 2010-2016년 1분기 미국 스타트업 투자 규모
[출처: Crunchbase data]
- 미국 내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투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새로운 지역들도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인프라 확충을 시작함에 따라 실
리콘밸리 외에도 최근 다양한 지역들에서 스타트업 사업과 기업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음
· 전 세계 스타트업 투자 유치가 20% 이상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 중 미국이 전체 49.8%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7)
· 2015년 미국 전체 스타트업 투자 유치 총액은 전 년 대비 21% 증가하
였으며, 4분기 단독으로는 61% 증가함
new funding. Reuters. Retrieved from
http://www.reuters.com/article/us-tech-carbon-idUSKCN11L2IQ
7) Rose, D. S. (2016, February). Silicon Alley Closes 2015 on Top In A Boom Year
For Startups. Forbes. Retrieved from
http://www.forbes.com/sites/groupthink/2016/02/11/silicon-alley-closes-2015-on-top-i
n-a-boom-year-for-startups/#f0af38a16cb6
- 4 -
· 실리콘앨리(Silicon Alley)는 실리콘밸리를 제치고 2015년 전체 4분기 실
적 중 3분기에 걸쳐 미국에서 가장 투자 유치를 많이 한 스타트업 생태
계(Startup ecosystem)로 부상하고 있음
· 실리콘앨리는 또한 월스트리트(Wall street)보다 뉴욕 시(New York City)
내의 고용 창출에 더 많이 기여하고 있음8)
· 2015년 4분기 미국 내 투자 유치 점유율 기준으로 한 스타트업 생태계
상위권 순위는 다음과 같음, 1위: 뉴욕 시(New York City: 20%), 2위: 캘
리포니아(California: 17.8%), 3위: 플로리다(Florida:13.3%)9)
·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지역으로는 조지아(Georgia)가 전년 대비 251%의 눈에
띄는 점유율 증가를 보였으며, 기타 버지니아(Virginia)와 워싱턴
D.C.(Washington D.C.)이 각 3.4%와 2.3%의 투자 유치 점유를 기록하는 중임
- 미국 연방 행정부를 비롯하여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스타트업 기업의 유치와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
· 미국은 백악관 중심으로 스타트업 비자(visa) 정책을 손보는 등 스타트
업 기업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10)
· 뉴욕 시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 있어서 뉴욕 시
장인 빌 더블라지오(Bill de Blasio)가 추진한 온라인 플랫폼 ‘디지
털.NYC(Digital.NYC)’의 역할이 큼11)
8) Novellino, T. (2016, August). Silicon Alley beats Wall Street in NYC job growth.
New York business journal. Retrieved from
http://www.bizjournals.com/newyork/news/2016/08/19/silicon-alley-beats-wall-street-in
-nyc-job-growth.html
9) Rose, D. S. (2016, February). Silicon Alley Closes 2015 on Top In A Boom Year
For Startups. Forbes. Retrieved from
http://www.forbes.com/sites/groupthink/2016/02/11/silicon-alley-closes-2015-on-top-i
n-a-boom-year-for-startups/#f0af38a16cb6
10) Quittner, J. (2016, August). What Obama’s New Proposal Would Mean for
Immigrant Entrepreneurs. Fortune. Retrieved from
http://fortune.com/2016/08/29/obama-immigrant-entrepreneurs/
11) Rose, D. S. (2016, February). Silicon Alley Closes 2015 on Top In A Boom Year
For Startups. Forbes. Retrieved from
http://www.forbes.com/sites/groupthink/2016/02/11/silicon-alley-closes-2015-on-top-i
n-a-boom-year-for-startups/#f0af38a16cb6
- 5 -
· 뉴욕 시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현재까지 30만 여개의 기술직과 12만 여
개의 관련 고용 창출에 기여했음
[그림 2] Digital.NYC에 연결된 스타트업 관련 현황 [출처:digital.nyc]
· ‘디지털.NYC(Digital.NYC)’는 첫 1년 만에 78만 5천여 명의 순방문자
수를 기록했음
· ‘디지털.NYC(Digital.NYC)’는 보스톤의 ‘스타트허브(StartHub)’12)와
런던의 ‘테크닷런던(Tech.London)’13)의 모델이 됨
2. 미국 내 주요 스타트업 컨퍼런스의 현황
-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SXSW(South by Southwest)를 비롯해, 테크크런치
디스럽트(Techcrunch Disrupt NY & SF), 테크윅(techweek), 스타트업 그
라인드(Startup Grind), 런치(Launch), 콜리전(Collision) 컨퍼런스는 최근
12) http://www.starthub.org/
13) http://www.tech.london/
- 6 -
큰 규모의 컨퍼런스로 성장 하고 있음
- TNW모멘텀(TNW Momentum), 인바운드(Inbound), 더 스타트업 컨퍼런스
(The startup conference)들도 최근 주목받고 있음
1) SXSW(South by Southwest)
- SXSW는 1987년부터 텍사스(Texas)주 오스틴(Austin)에서 시작한 컨퍼
런스 겸 페스티벌로 인터랙티브(interactive), 영화, 음악 산업 전반에
걸친 스타트업 기업과 개인들이 주로 참가함
- SXSW의 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SXSW 컨퍼런스의 경제적 파급력은
USD 3억 2천 5백만 달러(약 3,69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규모도 매년 증가하고 있음14)
- 약 14만여 명이 SXSW 컨퍼런스와 페스티벌에 참가함
- 2016년 컨퍼런스에는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대통령이 기조연사로
등장하여 스타트업 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음15)
14) www.sxsw.com
15) Hilton, R. (2016, September). White House Teams With SXSW For Special 1-Day
Festival. NPR. Retrieved from
http://www.npr.org/sections/allsongs/2016/09/02/492391314/white-house-teams-with-s
[그림 1] 2016 SXSW 컨퍼런스에 참여한 오바마 대통령
[출처: SXSW]
- 7 -
- 2016년 SXSW에는 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하드웨어와 관련이
있는 스타트업 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냄16)
- 2015년 워싱턴 D.C.의 시장 뮤리엘 보우서(Muriel Bowser)는 SXSW에
참가하는 워싱턴 D.C. 기반 스타트업 기업 및 단체들을 위해 USD 37
만 달러를 지원하는 등 매년 시 차원의 지원을 해 옴17)
2) SXSW(South by Southwest)의 액셀러레이터 피치(Accelerator® Pitch)
- SXSW 스타트업 빌리지(SXSW Startup Village)에서 열리는 액셀러레이
터 피치(Accelerator® Pitch)는 2016년까지 8회가 열림
- 액셀러레이터 피치에 참가한 스타트업 기업들은 그동안 총 USD 31억
달러(약 4억 1,940만 원)에 달하는 투자를 유치했음
- 2016년 액셀러레이터 피치에 최종 선정된 기업들의 주요 사업 분야로는
엔터프라이즈와 스마트 데이터(Enterprise and Smart Data), 엔터테인
먼트와 콘텐츠 기술(Entertainment and Content Technologies), 헬스와
웨어러블 기술(Health and Wearable Technologies), 혁신적인 국제기술
(Innovative World Technologies), 결재와 핀테크(Payment and Fintech
Technologies), 가상현실기술(Virtual Reality Technologies)로 나뉨
- 1회 23개의 참가 기업들이 2016년에는 353개로 증가했으며 이 중 71%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음, 14%는 구글과 애플(Apple)을 비롯한 대형 회사
들에 매각됨
3) 테크크런치 디스럽트(Techcrunch Disrupt NY & SF)
- 테크크런치 디스럽트는18) 샌프란시스코, 뉴욕, 런던 등지에서 2011년부터
xsw-for-special-one-day-festival
16) Morris, C. (2016, March). 7 Can't Miss Things At SXSW 2016. Fortune. Retrieved
from http://fortune.com/2016/03/08/7-cant-miss-things-at-sxsw-2016/
17) Butler, W. (2015, March). Washington, D.C. Is Spending $375,000 on SXSW This
Year. New republic. Retrieved from
https://newrepublic.com/article/121330/why-washington-dc-spending-nearly-500000-s
xsw-year
- 8 -
매년 열리고 있는 컨퍼런스(Conference)로 테크크런치(Techcrunch)가 주
최하고 있음
- 매 년 5월 미국 뉴욕에서 열리며 하반기인 9월에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
스코에서 개최되는데 연말에는 유럽 국가들에서도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음
- 스타트업 배틀필드(Startup Battlefield)에서 최종 우승한 기업에게는 총
USD 5만 달러가 수여됨
- 2016년 뉴욕에서 열린 테크크런치 디스럽트 NY(Techcrunch Disrupt NY)
에서 인터넷 게임 중계방송 서비스인 빔 인터랙티브(Beam interactive)가
22개의 경쟁사들을 제치고 스타트업 배틀필드 대회의 최종 우승함
- 201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스타트업 배틀필드의 최종 우승은 실내 농
업(Indoor farms)을 위한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하는 애그리리스트(Agrilyst)가
차지했으며, USD 100만여 달러의 투자를 최근 유치함19)
4) 테크윅(techweek)
- 테크윅(techweek)20)은 2011년 시카고에서 시작된 기술관련 스타트업
18) https://techcrunch.com/event-type/disrupt/
19) Lardinois F. (2016, May). Agrilyst raises $1M seed round for its indoor agriculture
analytics service. Tech Crunch. Retrieved from
https://techcrunch.com/2016/05/11/agrilyst-raises-1m-seed-round-for-its-indoor-agri
culture-analytics-service/
[그림 2] 2016년 테크크런치 뉴욕 디스럽트 현장 [출처: techcrunch.com]
- 9 -
지원 프로그램임
- 초기 설립 취지는 시카고와 같이 신생 기술기업들이 주목받지 못하는
지역들에서 스타트업 기업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을 돕기 위함임
- 2011년 시카고에서 시작하였으며 2013년에는 뉴욕과 로스앤젤레스로
확장을 시작해 최근에는 디트로이트, 마이애미, 캔자스시티, 토론토,
댈러스까지 그 프로그램을 확장함
[그림 3] 테크윅(techweek)의 성장세 [출처: techweek.com]
- 2016년에는 5만 여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방문했으며, 1,000여개 이상의
스폰서와 파트너 기업들과 연결되었음
- 테크윅도 자체적인 스타트업 경연인 런치 경연(Launch Competition)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디트로이트(Detroit) 기반 모바일 카풀 기
업인 SPLT가 선정됨
- 런치 컴페티션에서는 매년 750개 이상의 스타트업 기업들이 경쟁하며
상금으로는 USD 5만 달러가 지급됨
- 약 USD 3억 달러의 투자규모를 가진 로켓 벤쳐(Rocket Venture)와 아
20) http://techweek.com/
- 10 -
마존 런치패드(Amazon Launchpad)가 공식으로 후원하는 스타트업 컨
퍼런스임
5) 스타트업 그라인드(Startup Grind)
- 스타트업 그라인드(Startup Grind)는 구글 창업지원프로그램(Google for
Entrepreneurs)의 후원을 받는 40여만 명의 회원21)을 가진 글로벌 스
타트업 커뮤니티임
- 스타트업 그라인드는 실리콘밸리를 기반으로 2010년부터 15개 국가에
걸친 35개 도시들에서 약 2,000여 개의 이벤트를 진행해 옴
- 스타트업 그라인드의 연간 국제 이벤트는 매년 실리콘밸리에서 열리고 있음
- 스타트업 그라인드는 각 도시들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소규모
밋업(meet up: www.meetup.com)이벤트도 매월 개최하고 있음
- 2016년 ‘올해의 스타트업’(Startup of the Year)에 모바일 응급 구조
프로그램 무렌시(MUrgency)가 선정됨22)
- 무렌시는 2015년 총 USD 1억 9천만 달러(약 2,153억 원)에 달하는
투자를 유치함
6) 런치(Launch)
- 런치(Launch)23)는 자동화 카페시스템인 카페X(CafeX)를 2016년 페스
티벌의 최우수 스타트업으로 선정함. 2015년에는 모바일 환전 시스템인
ABRA가 선정 됨
- 런치의 컨퍼런스에는 약 1만 5천여 명이 참가하고 있음
- 컨퍼런스 직전 열리는 런치 해커톤(Launch Hackathon)에서는 1,000여
명의 개발자들과 디자이너들이 경쟁하여 총 USD 100만 달러에 달하는
상금을 두고 경쟁함
21) https://www.startupgrind.com/
22) MacBride, E. (2016, June). India's Top Investors Are Betting on This Dubai Startup
To Reform The Ambulance Business. Forbes. Retrieved from
http://www.forbes.com/sites/elizabethmacbride/2016/06/30/why-dubai-based-murgenc
y-could-one-day-save-the-lives-of-people-in-appalachia/#5b0615864965
23) http://www.Launchfestival.com/
- 11 -
- 4개의 런치 해커톤의 상위 프로젝트들은 각 USD 25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게 됨
[그림 4] 런치(Launch)가 선정한 부분별 우수 스타트업 기업들
[출처: LAUNCH MEDIA]
- 런치의 컨퍼런스 마지막 단계인 엔젤서밋(Angel Summit)에서는 22개의
엔젤투자(Angels investments) 단체들의 대표들이 각 투자사들의 포트
폴리오 및 투자 방향에 대해 설명함
- 대표적인 엔젤투자 단체로는 파운더스클럽(Founders club), 에리엘스
신디케이트(Ariel's syndicate), 블록체인 캐피탈(Blockchain capital), 소
프트테크VC(Softtech VC), TGM 등이 있음
7) 인바운드(Inbound)
- 인바운드(Inbound)24)는 2012년부터 시작된 스타트업 기업들을 위한 마케팅
- 12 -
컨퍼런스(Marketing Conference)로 매년 보스턴에서 개최함
- 디지털 마케팅과 관련한 5개의 기조연설(key-note)과 170개 이상의 분과
들로 구성됨
- 2015년에는 1만 4천여 명 이상이 방문함
- 컨퍼런스 기간 중에는 네트워킹 이벤트를 상시 진행함
- 인바운드 마케팅(Inbound marketing)관련 소프트웨어 기업인 허브스팟
(HubSpot)이 행사의 많은 부분을 담당함
[그림 5] 2015년 인바운드(Inbound) 컨퍼런스 [출처: inbound.com]
8) 콜리전(Collision)
- 콜리전(Collision)25)은 웹 서밋(Web summit)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미시
시피(Mississippi)주의 뉴올리언스(New Orleans)에서 열린 스타트업 컨
퍼런스로 빠르게 그 규모를 확대하고 있음
- 2016년에는 98개에서 약 1만 1천여 명이 방문하였으며 630여 개의
스타트업 기업들과 407개의 투자사들이 참여하였음
- 2014, 2015년 컨퍼런스는 라스베가스에서 열렸으며 약 7,500여 명이
참가함26)
- 2016년에는 VR과 관련된 주제로 10여 개의 패널세션이 열렸으며
다양한 관련 기업들이 제품을 전시하는 등 VR이 큰 비중을 차지했음27)
24) http://www.inbound.com/
25) https://collisionconf.com/
26) Larino, J. (2015, June). New Orleans to host thousands of tech types for Collision
2016. NOLA.com. Retrieved from
http://www.nola.com/business/index.ssf/2015/06/new_orleans_wins_collision_tec.html
- 13 -
- 컨퍼런스 일정 중에는 콜리전 피치(Collision pitch)라는 경연이 열리고,
RE:3D의 3D 프린팅 솔루션인 기가봇(Gigabot)이 2015년에 선정되었으며,
2016년에는 이동식 정수 장치를 개발한 로루스사(Rorus Inc)가 선정됨
9) TNW모멘텀(TNW Momentum)
- TNW(The Next Web)가 주관하는 TNW모멘텀(TNW Momentum)28)은
2013년부터 뉴욕에서 열리는 스타트업 컨퍼런스로 2015년 기준으로
약 5,000여 명이 방문함
- 2016년의 참가자 수 목표는 2만여 명이며 500여개의 스타트업 기업들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함
10) VRLA(Virtual Reality Los Angeles)
- VRLA(Virtual Reality Los Angeles)의 섬머 엑스포(Summer Expo)는 VR
기업들과 스타트업을 위한 컨퍼런스로 2016년 행사에는 VR 스타트업
기업들을 비롯하여 HP, AMD, HTC 등의 업체들이 참여함
- 오큘러스 리프트(Oculus Rift)의 성공을 계기로 USC(University of
South California)의 애넌버그 커뮤니케이션 앤 저널리즘 스쿨
(Annenberg School for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학생인 코스
모 스카프(Cosmo Scharf)가 창설함29)
- 2014년 300여명이 참가하던 소규모 밋업(Meetup) 프로젝트에서 시작
했으며, 2015년에는 자체 추산 약 3,000여 명의 관람객과 72개 기업들이
참여했고 2016년에는 6,000여명의 관람객이 참가하는 등 매년 그 규
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30)
27) Lopez, A. (2016, May). Lessons From Collision 2016: From Virtual Reality To
Ecosystem Collabs. Forbes. Retrieved from
http://www.forbes.com/sites/adrianalopez/2016/05/10/lessons-from-collision-2016-from
-virtual-reality-to-ecosystem-collabs/#128fa93573bf
28) http://thenextweb.com/momentum/
29) Ohanesian, L. (2014, September). The Oscars of Virtual Reality. LA weekly.
Retrieved from http://www.laweekly.com/arts/the-oscars-of-virtual-reality-5095271
30) Sag, A. (2016, August). VRLA: Where Hollywood Goes To VR. Forbes. Retrieved
- 14 -
- 또한 VR(Virtual Reality) 기술 전문가, 개발사의 강의와 세미나를 제공
하여 스타트업 기업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음
- AMD 및 유니티(Unity)와 같은 주요 그래픽 프로세싱 선도 기업들이
VR(Virtual Reality) 화상 처리와 콘텐츠 최적화에 대한 노하우를 전수
하는 강좌를 개최함
- 2016년 컨퍼런스에서는 VR(Virtual Reality) 콘텐츠를 통한 수익 모델이
주요 주제로 부각됨31)
- 2016년부터 VR(Virtual Reality)뿐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의 홀로렌즈
(HoloLens)기반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도 많은 관심을 받았음32)
3. 미국 내 주요 스타트업 컨퍼런스의 특징
- 미국 주 정부를 비롯해 각 지방단체들은 지역 별로 스타트업 기업
유치와 육성에 힘씀과 동시에 서로 경쟁하고 있음
- 스타트업에 대한 기대감으로 실리콘밸리 이외의 다양한 도시들에서
스타트업관련 행사와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음
- 스타트업 기업들의 사회 경제적인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스타
트업 플랫폼 및 공유 시스템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중
- 스타트업 컨퍼런스는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믿을 만한 글로벌
커뮤니티와의 연계를 도와줌
- 스타트업 컨퍼런스를 방문하는 연사들은 다양한 분야의 CEO, 투자자
from
http://www.forbes.com/sites/moorinsights/2016/08/12/vrla-where-hollywood-goes-to-v
r/#105a542b6f71
31) Giardina, C. (2016, August). VRLA: How Can Virtual Reality Content Creators Make
Money? The Hollywood Reporter. Retrieved from
http://www.hollywoodreporter.com/behind-screen/vrla-virtual-reality-startups-debut-9
17824
32) Silver, C. (2016, August). The 2016 VRLA Summer Expo: New Levels Of Immersed
Innovation In VR And AR. Forbes. Retrieved from
http://www.forbes.com/sites/curtissilver/2016/08/16/the-2016-vrla-summer-expo/#328
97f434576
- 15 -
들로 이들의 사업 비전을 공유함과 동시에 어떻게 성공적인 사업으로
이끌지에 대해 같이 토론해 볼 수 있음
- 스타트업 컨퍼런스는 창업 기업들이 서로의 사업을 구체화하는 현황을
공유하고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임
- 대부분의 컨퍼런스는 스타트업 기업들과 엔젤투자단체와의 네트워킹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 일부 스타트업 컨퍼런스가 운영하고 있는 경연대회는 창업 기업의
사업을 홍보하고 투자 자본을 유치하는 데 큰 효과가 있음
- 경연 수상 기록이 있는 스타트업 사업들은 주로 친환경, 로봇, 인공지
능, 가상현실, 3D 프린팅, 핀테크, 빅데이터와 관련된 분야임
- 컨퍼런스별로 주요 목표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행사에 참가
해 자신의 사업을 소개하고 투자유치 기회를 노려 볼 수 도 있으나
가장 필요한 컨퍼런스에 적절하게 참여하는 것도 중요함
- 미국 스타트업 컨퍼런스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국내 스타트업 사업이
미국 현지 상황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필요
한 상황임
- 16 -
컨퍼런스 규모 특징 개최 도시
SXSW
(South by
Southwest)
14만
여명
미디어 콘텐츠 스타트업이 주축임,
1987년부터 시작됨, 검증된 경제적 파급
효과, 액셀러레이터 피치(Accelerator®
Pitch)
오스틴 (Austin)
디스럽트
(Disrupt) 미상 2011년부터 시작해 빠르게 규모가 확대됨,
스타트업 배틀필드(Startup Battlefield)
샌프란시스코
(SF), 뉴욕 시
(NYC), 런던
(London)
테크윅
(techweek)
5만
여명
2011년부터 신생 기술기업들이 주목받지
못하는 지역들로부터 시작되어 유사한 많은
지역으로 확산됨, 아마존 런치패드(Amazon
Launchpad)가 공가 후원사 임
시카고
(Chicago), 뉴욕
시 (NYC),
로스엔젤레스
(LA) 등
스타트업
그라인드
(Startup Grind)
미상
2010년부터 15개 국가에 걸친 35개
도시들에서 약 2,000여개의 이벤트를 진행함
구글 창업지원프로그램(Google for
Entrepreneurs)의 지원을 받는 40여만 명의
회원 데이터
실리콘밸리
(Silicon
Valley)를
비롯한 35개
도시들
런치 (Launch) 1.5만
여명
런치 헤카톤(Launch Hackathon), 22개의
엔젤투자단체(Angels investments)와의
연계
샌프란시스코
(SF),
인바운드
(Inbound)
1.4만
여명
2012년부터 허브스팟(HubSpot) 중심으로
시작한 디지털 마케팅컨퍼런스 보스톤 (Boston)
콜리전
(Collision)
1.1만
여명
2014년부터 유럽 웹 섬밋(Web summit)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시작함, 콜리전
피치(Collision pitch)
뉴올리언스
(New Orleans)
TNW모멘텀
(TNW
Momentum)
5,000
여명
2013년부터 시작했으나 매우 빠르게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뉴욕 시 (NYC)
VRLA
(Virtual Reality
Los Angeles)
6,000
여명
2014년부터 시작했으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주요 VR 컨퍼런스 중 하나임
로스엔젤레스
(LA)
[표 1] 미국 내 스타트업 관련 컨퍼런스
- 1 -
2016. 19호
- 2 -
단신이슈
※ 중국 현지의 문화산업 단신이슈를 매일 날짜별로(10.10~10.14) 정리 하였습니
다.
[2016년 10월 10일]
□ 정책동향 : 온라인게임 셧다운 제도 도입을 추진을 위한 의견수렴 中
ㅇ 2016년 9월 30일,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家互..信息.公室)은 <미성년
자 온라인 보호 조례(未成年人..保..例)> 초안에 대한 의견을 공개 모집하
는 통지를 발표함
ㅇ 해당 조례 제23조 제2항에서는 온라인게임 서비스 제공자는 국가의 관련 규정
과 기준에 따라 기술 조치를 취하여, 미성년자가 접근해서 안되는 게임 또는 게
임 기능을 금지하고, 미성년자가 게임에 연속으로 접속하는 시간과 하루 누적
게임 접속 시간을 제한하여, 미성년자는 매일 0:00부터 8:00 사이 온라인게임
서비스 이용을 금지한다고 규정함
ㅇ 미성년자 온라인게임 셧다운 제도 내용을 포함한 해당 조례 초안에 대한 의견
은 2016년 10월 31일 전까지 관련 기관과 각계인사들로부터 모집할 예정임
□ 산업동향 : 10월 7일, 중국판 <아빠 어디가> 시즌 4 방영, 황치열 출연
ㅇ 2016년 10월 7일, 중국판 <아빠 어디가> 시즌 4가 망고TV를 통해 방영을 재개
함. 7일 밤 24시까지를 기준으로 뷰어수는 4,000만 뷰를 돌파하였으며, 선공개
영상은 4시간 사이 1,400만 뷰를 달성함
ㅇ <아빠 어디가> 시즌 4의 미리 공개한 영상 업로드 이후, 1시간 사이 웨이보 주
요 이슈는 <아빠 어디가>로, 웨이보 이슈 순위와 예능 분야 이슈 순위 모두 2위
를 차지함. 10월 8일까지 <아빠 어디가>를 화제로 한 웨이보 글의 뷰어수는 약
332억 뷰를 달성하는 등 많은 주목과 이슈를 불러옴
ㅇ 2013년 10월 11일, 후난위성을 통해 중국판 <아빠 어디가> 시즌 1을 시작으로
2015년 7월 시즌3까지 제작/방영되었으나, 중국 광전총국의 ‘스타2세 방송출연
금지령’으로 시즌4가 제작 중단되면서, 후난위성이 많은 손실을 보게 되었음
ㅇ 약 1년 3개월 만에 방영을 시작한 시즌4는‘스타2세 방송출연 금지령’의 영향
을 받지 않는 후난위성 산하의 동영상 플랫폼 망고TV를 통한 방영을 결정하였
고, 실제가족인 스타父子 3쌍과 ‘실습아빠’로 ‘미혼남 스타+일반 어린이’ 3
쌍이 짝을 이뤄 출연하며, 실습아빠로 황치열이 출연
- 3 -
[2016년 10월 11일]
□ 정책동향 :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주요인사 현황
ㅇ 2016년 10월 11일,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홈페이지에 녜천시(.辰席)
가 중국 공산당 중앙 선전부 부부장.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국장.당조직
서기.국가판권국 국장으로 등장. (CCTV 국장과 CCTV 분당조직 서기를 겸임)
ㅇ 녜천시는 1957년 7월에 허베이 링쇼우(河北..)현 출생으로 한족이며,
1993년 2월에 공산당에 입당함. 최종 학력은 중국과기대학 관리과학연구
생을 거쳐 톈진대학 관리학 박사학위를 수여받음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인사 현황
이름 시기 직책
녜천시 2016∼ 광전총국 국장.당조직 서기.중선부 부부장.중앙방송국 국장
톈진(田.) 2013∼ 광전총국 부국장
옌샤오홍(..宏) 2013∼ 광전총국 부국장.국가판권국부국장
쑨타오산(..山) 2013∼ 광전총국 부국장 겸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직속기관위원회 서기
통강(童.) 2013∼ 광전총국 부국장
우상즈(..之) 2014∼ 광전총국 부국장
왕겅녠(王庚年) 2013∼ 중국국제광파전대 분당조직 서기 및 국장
옌샤오밍(..明) 2015∼ 중앙인민광파전대 분당조직 서기 및 국장
□ 산업동향 : 2016년 상반기 중국 VR 업체 2곳만 흑자
ㅇ 2016년 상반기, 중국 중소벤처기업 중심의 장외 주식 거래소 신삼판(新三
板)에 상장한 VR기업 11곳 중 오직 2곳만이 수익을 거둠. 이는 멍윈이루
안(盟云移.)과 베이징 테크테마 테크놀러지 주식회사(北京..信科技股.
有限公司)로, 두 기업의 이윤 총합은 약 3,200만 위안(약 53억 3,280만 원)
임. 졔웨미디어(皆..媒)는 손익 평형을, 이 밖의 8곳의 손실 총합은 약
2,700만 위안(약 44억 9,955만 원)임
ㅇ 2016년 1분기 해외 AR/VR시장에 대한 투자금액은 17억 달러(약 1조 9,040
억 원)에 달하였으며, 그 중 10억 달러(약 1조 1,200억 원)는 중국에서 비
롯된 것임. 이는 현재 중국 VR 기술 수준이 해외와 비교해 크게 차이가
나며, 하드웨어.영상기술.데이터 등의 기술적 결함이 제품 생산에 영향
을 끼치면서 중국내 VR 상업화에 어려움을 가져다준 것으로 판단
- 4 -
[2016년 10월 12일]
□ 정책동향 : 상하이시, 45만 인터넷 방송인을 대상으로 실명 인증 진행
ㅇ 최근 상하이시는 모든 온라인 생방송 플랫폼의 약 45만명 인터넷 방송인을
대상으로 실명 인증 절차를 진행하여, 실명 인증을 하지 않은 1,000여 명의
방송인은 자격을 박탈함
ㅇ CNNIC(중국인터넷정보센터)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6년 6월까지 중국 온
라인 생방송 이용자 규모는 3.25억 명에 달하며, 이는 전체 인터넷 이용자
중 45.8%를 차지하고, 그 중 지우링허우(90后, 19~23세) 이용자가 57%를 차
지함. 현재 중국에서 등록된 각종 생방송APP은 200개를 넘어섰으며, 2016년
시장 규모는 100억 위안(약 1조 6,712억 원)일 것이라 예상함. 이는 온라인
생방송 플랫폼이 영향력이 막강한 콘텐츠 생산자임을 입증함
ㅇ 그러나 최근 2년간 온라인 생방송을 통해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내용이 빈번
하게 방송됨에 따라, 상하이 공안 사이버안전부서(上海公安.安部.)는 상하
이시에 등록된 온라인 생방송 플랫폼을 대상으로 실명 인증과 이용자 가입
정보 심사 제도를 전면적으로 추진함. 인터넷 방송인 가입의 경우 반드시
본인의 신분증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해당 플랫폼의 심사를 거쳐야만 비로
소 완료되며, 일반 회원 가입의 경우 반드시 휴대전화 인증을 거쳐야함
□ 산업동향 : 환락미디어와 동방위성 협력 중단, 제작업체와 방송국의 이윤분배 문제점
ㅇ 중국 대표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인 <환락희극인(..喜.人)>과 <소호강호
(笑傲江湖)>를 제작한 환락미디어(...媒)는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환락
희극인>시즌3은 더 이상 동방위성에 방영하지 않을 것이라는 공식성명을
냄. 또한 동방위성은 즉시 <환락희극인>의 명의로 투자를 유치하거나 프로
그램 자체 제작을 중단할 것을 요구함
ㅇ 환락미디어와 동방위성TV는 다년간의 협력을 통해 <환락희극인>시즌1,2와
<소호강호>시즌1,2,3을 제작 및 방영하였고, 두 프로그램 모두 매 시즌 2%이
상의 시청률을 보임. 그러나 최근 수익 분배에 관해 잡음이 생기면서, 제작
사 측인 환락미디어가 더 이상 동방위성과 협력을 하지 않을 것이라 발표함
ㅇ 제작과 방영업체 간의 수익 분배 시스템이 체계화되지 않아, 이러한 문제가
최근 들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적정한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음
- 5 -
[2016년 10월 13일]
□ 정책동향 : 베이징시, 문화자산 금융리스에 대해 지속적으로 지원
ㅇ 2015년 9월, 베이징시 인민정부는 <베이징시 서비스업 시범 프로그램 확대
개방에 대한 실시 방안(北京市服...大.放.合.点.施方案)>에서 저작권
등을 비롯한 무형 문화자산 금융리스 업무 시범 시행하도록 결정함
ㅇ 베이징문화투자그룹(北京文投集.)은 중앙문화기업 국유자산 감독관리 영도
소조판공실(中央文化企..有...督管理..小..公室)의 지원을 받아 헝
톈그룹(恒天集.).중국문화산업발전그룹(中.文化...展集.) 등 기관과
연합하여 중국에서 처음으로 문화자산 융자리스를 중심으로 한 베이징시 문
화기술 금융리스 주식유한회사(北京市文化科技融.租.股.有限公司)를 설립
하였으며, 등록자본금은 21억9천만 위안(약 3,690억 원)임
ㅇ 중국판 <런닝맨> 제작사 다예미디어(大..媒)의 경우 최근 2년간 무형자산
금융리스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카툰 살롱의 신작 <바다의 노
래: 벤과 셀키요정의 비밀>를 수입하여 중국 내 배급, 2016년 8월 12일 상영됨
□ 산업동향 : 요우쿠 콘텐츠, 연맹 맺지 않은 TV제조업체에게 공유 안해
ㅇ 최근 알리 디지털 엔터테인먼트(阿里..)는 하이얼(海.).창홍(.虹).
KONKA.필립스.SKYWORTH 등 TV 제조상과 연합하여 ‘TV 환경 Inside
연맹’을 결성하여, 홈 엔터 비즈니스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발표함
ㅇ 알리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의 총경리 리졔(李捷)는 앞으로의 알리바바 산하의
요우쿠 콘텐츠는 알리 스마트TV 협력 연맹 파트너에게만 제공될 것이라 설
명함. 이어 요우쿠에서 막대한 판권비용을 지불하여 프로그램을 구매한 것에
비해, 단말기 제조업체는 쉽게 이득을 취하고 있다며, 광전총국 또한 앞으로
여러 플랫폼의 콘텐츠를 취합하여 한 단말기에 방영하는 것을 불허하고 있는
입장이라 설명함
ㅇ 알리바바는 자체 스마트 운영시스템인 YunOS을 통해, 스마트폰과 스마트
웨어러블기기, 스마트 가전제품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알리 스마
트기기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약 2,000만 명으로 3년 후 6,000만 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 6 -
[2016년 10월 14일]
□ 정책동향 : 시진핑 주석, 국가 개혁을 위한 지도자 회의 개최
ㅇ 2016년 10월 1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가한 가운데 국가 개혁을 위한 중앙
정부 지도자들이 모여 진행하는 ‘중앙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中央全面深化改革..
小.)’의 28차 회의를 진행함
ㅇ 그간 28번의 회의를 통해 문화산업 및 관련 내용을 총 14번 언급하였으며, 심의 관
련 서류는 총 7건이 있음. 대표적 문건으로는 <문화체제 개혁 심화에 대한 실시 방
안(深化文化.制改革.施方案)>, <지식재산권법원 설립에 대한 방안(.于.立知..
.法院的方案)>, <현대 공공문화서비스 체계 구축에 대한 의견(.于加快.建.代公
共文化服..系的意.)> 등이 심의를 통과함
ㅇ 문화산업 이외에도, 축구산업의 개혁 및 진흥, 전통미디어와 뉴미디어의 융합발전,
새롭고 고급화 된 싱크탱크 건설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눔
□ 산업동향 : 2017년 중국 주요 방송국 광고 공개입찰 설명회 일정
ㅇ 중국의 여러 방송국들이 프로그램 광고 공개입찰 설명회 일정을 발표함
2017년 중국 주요 방송국 광고 공개입찰 설명회 일정
매체 일자 시간 지역 장소 주제
CCTV
2016.09.20 14:00 베이징 베이징 샹그릴라호텔
2017년 자원설명회
2016.09.23 14:00 상하이 상하이 포트만 리츠칼튼호텔
2016.09.27 14:00 광저우 만다린 오리엔탈 광저우호텔 미정
2016.11.18 미정 베이징 미정 2017년 공개입찰대회
저쟝위성TV
2016.09.26 13:00 항저우 더 드래곤 호텔 항저우 4분기 고객회
2016.11 미정 항저우 미정 17년도 1분기 자원공유 및 연간 공개입찰회
베이징위성TV
2016.09.22 13:00 베이징 베이징호텔 '재북경, 영천하(在北京,.天下)'
2016.10.28 미정 상하이 징안샹그릴라 웨스트상하이호텔 설명회
후난위성TV
2016.10.15 미정 미정 미정 주요고객좌담회
2016.10.27 미정 베이징 미정 설명회
2016.11.06 미정 창사 미정 설명회
2016.11.07 미정 창사 미정 설명회
라오닝위성TV
2016.10.11 14:00 베이징 케리호텔 베이징 2017 라오닝 방송국 우수자원 설명회
2016.10.12 미정 베이징 미정 2017 자원추천회
2016.10.14 14:30 상하이 하얏트 온 더 번드 호텔 2017 라오닝 방송국 우수자원 설명회
2016.10.27 미정 상하이 미정 2017 자원추천회
2016.11.07 14:30 광저우 크라운 플라자 광저우시티 센터 2017 라오닝 방송국 우수자원 설명회
2016.11.09 미정 광저우 미정 2017 자원추천회
구이저우위성TV 2016.10 미정 구이저우 미정 미정
동방위성TV
2016.10.13 미정 베이징 베이징 샹그릴라호텔
'일심향전(一心向前)’
2017년도 공개입찰회
2016.10.18 미정 광저우 그랜드 하얏트 광저우호텔
2016.10.21 미정 하이커우 海口.彩.邑酒店
2016.10.28 미정 상하이 징안샹그릴라 웨스트상하이호텔
쟝시위성TV
2016.10.19 14:00 상하이 상하이 뉴 진쟝호텔
'현재를 바꿔라(改.,就.在)’
2017년도 프로그램 공개입찰 설명회
2016..08 20:00 하이커우 海口假日一品老街文化茶.
2016.09.08 14:00 베이징 더 웨스틴 베이징 차오양호텔
2016.09.08 14:00 광저우 힐튼 광저우 톈허호텔
쟝쑤위성TV
2016.10.22 14:00 하이커우 하이커우 힐튼호텔 하이커우 광고페스티벌 VIP설명회
2016.11.03 전일 난징 미정 난징 공개입찰연회
- 7 -
중국사무소 담당자 연락처
김기헌 소장 : +86-10-6501-9971 / gihun@kocca.kr
이향옥 대리 : +86-10-6585-9361 / hiangok@kocca.kr
이단단 주임 : +86-10-6501-9951 / lidandan@kocca.kr
정효정 주임 : +86-10-6501-9355 / hyojung@kocca.kr
김상미 주임 : +86-10-6501-9973 / kimsang@kocca.kr
- 8 -
각 장르별 차트
- 각 차트의 내용은 해당 자료출처에 기반 한 내용이므로 참고자료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10월 둘째 주 드라마 뷰어수 TOP10
순위 프로그램 방송국 시청률(%)
1 마작(麻雀) 후난위성 2.307
2 연지(.脂) 동방위성 0.987
3 요원적거리(..的距.) 산동위성 0.848
4 연지(.脂) 저장위성 0.816
5 쌍자(.刺) 장수위성 0.719
6 호가화(好家.) 베이징위성 0.689
7 요원적거리(..的距.) 안휘위성 0.684
8 노구문(老九.) 동방위성 0.620
9 와호(.虎) 베이징위성 0.589
10 환성(幻城) 베이징위성 0.561
자료출처: CSM35
10월 둘째 주 예능 뷰어수 TOP10
순위 프로그램 방송국 시청률(%)
1 희극총동원(喜....) 저장위성 2.244
2 진잉TV예술제(金.....) 후난위성 1.647
3 몽면창장채채채(蒙面唱.猜猜猜) 장수위성 1.602
4 창장불간단(唱.不..) 장수위성 1.477
5 진잉TV예술제 개막식 후난위성 1.441
6 쾌락대본영(快.大本.) 후난위성 1.360
7 천뢰지전(天.之.) 동방위성 1.267
8 진잉TV예술제 인터넷 페스티벌 후난위성 1.255
9 12도봉미(12道.味)3 저장위성 1.206
10 전승자중국의상(.承者中.意象) 베이징위성 1.196
자료출처: CSM35
- 9 -
10월 둘째 주 박스오피스 TOP10
순위 영화 상영날짜
누적 티켓수입
(위안)
1 Operation Mekong(湄公河行.) 9월 30일 10.24억
2 Belonged To You(..的全世界路.) 9월 29일 7.86억
3 The BFG 10월 14일 1.22억
4 Heartfall Arises (.天破) 10월 20일 2834.6만
5 용사 (勇士) 10월 14일 2486.6만
6 Mechanic: Resurrection 10월 21일 1891.6만
7 Jack Reacher: Never Go Back 10월 21일 442.7만
8 모풍미 (毛.美) 6월 29일 440.6만
9 ドラゴンボ.ルZ 復活のF 10월 21일 126.3만
10 마취되지 않은 수술 (凶手.未睡) 10월 21일 29.6만
자료출처: Mtime
10월 둘째 주 온라인게임TOP10
자료출처:바이두(百度.云榜)
순위 게임명 검색지수
1 나루토 (火影忍者ol) 87,504
2 탄탄당 (..堂) 49,529
3 공성략지 (攻城掠地) 48,114
4 현무시대 (炫舞.代) 46,221
5 신선도 (神仙道) 33,506
6 아케이드 게임 삼국 (街机三.) 27,721
7 전기패업 (.奇..) 27,628
8 대천사의 검 (大天使之.) 25,175
9 신기보배 (神奇..) 19,041
10 열혈해적왕 (.血海.王) 18,999
- 10 -
10월 둘째 주 음원(1) TOP10
순위 곡명 아티스트
1 독각희(.角.) 쉬루윈(.茹芸)
2 왕사수풍(往事..) 치친(.秦)
3 Song From A Secret Garden Secret Garden
4 천천궐가(千千.歌) 천휘쉔(.慧.)
5 만약 구름이 안다면(如果云知道) 쉬루윈(.茹芸)
6 다시 본 밥 짓는 연기(又.炊烟) 떵즈치(.紫棋)
7 래생연(.生.) 유덕화(.德.)
8 Pastorale Secret Garden
9 아무 탈 없길(但愿人.久) 왕페이(王菲)
10 천천궐가(千千.歌) 천휘쉔(.慧.)
자료출처:바이두음악(百度音.)
10월 둘째 주 음원(2) TOP10
자료출처: 왕이클라우드음악(.易云音.)
순위 곡명 아티스트
1 고백풍선(告白.球) 주걸륜(周杰.)
2 연예인(演.) 쉐즐첸(薛之.)
3 이 세상에서 누가 너의 이야기를 들어줄까?
(全世界....) 쉐즐첸(薛之.)
4 내가 어떻게 했으면 좋겠어(..要我..) 쉐즐첸(薛之.)
5 Don't Wanna Know 마룬5
6 딱 좋은(..好) 쉐즐첸(薛之.)
7 못난이(丑八怪) 쉐즐첸(薛之.)
8 이끝에서 나를 기다려(.在.点等我) 왕페이(王菲)
9 칠월상(七月上) 쉐즐첸(薛之.)
10 신사(.士) 쉐즐첸(薛之.)
- 11 -
K-Content Biz Center 안내
운영 목적
ㅇ 한국 콘텐츠기업의 중국진출에 필요한 맞춤형 현지종합서비스* 제공
공간 구성
ㅇ 1층 (기획전시공간) : 제작발표회, 언론발표회, 공동제작 체결식 등 가능, 수용인원 약
40~50명 내외
ㅇ 3층 (스마트오피스) : 북경 현지에서 필요한 사무 및 회의 공간 지원
※ 회의실 3개(10인/8인/4인), 사무 공간(16석), 라운지 등으로 구성.
1층 기획전시 공간 3층 스마트오피스
이용 안내
ㅇ 대상: 중국 진출을 원하는 모든 한국콘텐츠기업
ㅇ 일정: 2016년 11월 초부터 (※ 세부 일정 추후 별도 통지)
ㅇ 예약: 비즈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약 (※ 홈페이지 추후 별도 안내)
문의 사항 (※ 세부 문의사항은 언제든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ㅇ 이향옥 대리 (전화: 010 6585 9361, 이메일: hiangok@kocca.kr)
ㅇ 김상미 주임 (전화: 010 6501 9973, 이메일: kimsang@kocca.kr)
- 12 -
재중국한국콘텐츠사업자협의회 회원가입 안내
안녕하십니까,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장 김기헌입니다.
2015년 2월 12일 한국 콘텐츠사업자의 중국진출 활성화를 위한 『재중국한국콘텐츠사업자
협의회』를 설립하였습니다. 앞으로 협의회는 한국과 중국의 콘텐츠 관련 민간사업자간의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새로운 중국의 한류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펼쳐나갈 계획입니다.
중국진출에 관심이 있는 한국 콘텐츠사업자분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 다 음 -
1. 명 칭 : 재중국한국콘텐츠사업자협의회
2. 회원자격 : 중국에 이미 진출하였거나 혹은 진출하려는 한국 콘텐츠산업 종사자
3. 회원혜택 : 중국진출 핵심정보 교류 / 한중 협력사업 참여 / 중국진출 컨설팅 등
4. 모집기간 : 연간 상시 모집
5.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 입회원서 작성하여 이향옥 대리 [hiangok@kocca.kr]에게 제출
6. 협의회 현황
ㅇ 임원구성
- 회 장(1명) : 북경751라이브탱크 문화창의 전시공연장 박철홍 대표
- 부회장(2명) : 아이코닉스 차이나 이병규 대표; GH E&M 차영회 대표
ㅇ 회원 현황 : 총 166명 (2016년 7월 기준)
- 13 -
입 회 원 서
사무국장 회장
성 명
한글 생년월일
漢字
영문 성 별 □ 남 □ 여
현거주지 □ 중국 □ 한국 E-Mail
연 락 처 □ Tel: □ Mob:
회 사 명 업 종
설 립 일 사업자구분 □ 개인 □ 법인
회사주소
주요실적
본인은 귀 협의회의 설립목적에 동의하고 협회 회칙에 명시된 내용에 따라 회원의 의무와
준수사항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서약하면서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입회원서를 제출합니다.
20 년 월 일
신청인: (인)
재중국한국콘텐츠사업자협의회 회장 귀하
- 14 -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현지자문단 운영안내
□ 자문단 개요
ㅇ 명칭 :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현지자문단
ㅇ 위촉 임기 : ‘16. 5월~’17. 4월(위촉일로부터 1년)
ㅇ 분야 : 마케팅/법률/회계/방송/게임 5개 분야
지역 분야 성 명 소속 / 직위 비고
중국
법률 김성훈 북경국연컨설팅/박사 중국투자업무전반
(법률, 지재권, 법인설립 등)
법률 권대식 법무법인 태평양/변호사 중국M&A
법률 이수철 안걸변호사사무소/변호사 중국 프로젝트 법률 고문
법률 임훈기 인베스트베이징컨설팅/박사 중국 프로젝트 법률 고문
법률 허욱 율촌법무법인/변호사 중국 프로젝트 법률 고문
회계 한정훈 ChinaTaxlow/회계사 중국회계/조세
마케팅 이병규 아이코닉스 차이나/대표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만애캐)
마케팅 차영회 GH Entertainment & Media/대표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방송)
마케팅 .一.
(루이펑) Grand Vision Media/CEO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홍보/마케팅)
마케팅 박철홍 751 Live Tank/대표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전시)
게임 이승원 다음카카오/중국대표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게임)
방송 렁송
(冷.) 사회과학원/박사 중국시장 진출 컨설팅(방송)
□ 자문단 운영방식 (상시 컨설팅)
ㅇ (상담 접수) 한국의 기업, 개인, 프로젝트 => 중국사무소
ㅇ (컨설팅 의뢰) 중국사무소 => 분야별 현지 자문위원
ㅇ (컨설팅) 이메일, 통화, 직접 면담(필요시) 등의 방법으로 상담
ㅇ (상담보고서 제출) 자문위원, 상담결과 보고서(2~3p.) 중국사무소에 제출
ㅇ (상담료 지급) 중국사무소 상담내역 확인 및 관련 서류 제출 => 중국사무소 => 자문
위원 ※ 예산한도 범위 내에서 운영
□ 세부내용 문의
ㅇ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현지자문단 운영담당
이단단 주임 (전화: 86-10-6501-9951, 이메일: lidandan@kocca.kr)
- 15 -
한국콘텐츠진흥원 위챗 공식계정 K-Content
□ 목적
ㅇ 2014 코리아 콘텐츠 디렉토리북을 활용하여 위챗 KoreaContent 계정의 한국콘텐
츠 홍보를 통한 한국콘텐츠기업 중국 시장 진출 마케팅 플랫폼 구축
□ 주요내용
ㅇ 메인 콘텐츠 : 2014 코리아 콘텐츠 디렉토리북 중국어 버전의 음악, 게임, 드라마
세 개 분야 총 80편 작품 및 회사 소개
- <게임> : 작품 소개, 회사 소개, 연락처 등
- <음악> : 회사 소개, 주요 가수 및 앨범 소개, 연락처 등
- <드라마> : 시나리오 소개, 제작사, 배급사, 감독, 주연배우 등 소개, 연락처 등
ㅇ 서브 콘텐츠1 : 2014 코리아 콘텐츠 디렉토리북 중국어 버전의 애니메이션메이션 분
야 총 50편 작품 및 회사 소개
- <애니메이션메이션> : 작품 소개, 회사 소개, 주요 가수 및 앨범 소개, 연락처 등
ㅇ 서브 콘텐츠2 :
- 재중국 한국 콘텐츠사업자 협의회 회원사 기업소개 및 소식
- 한중 마켓 활동, 공연, 스타 소식 및 팔로우 수 증가에 필요한 이벤트 등
※ 사진 및 로고 사용
※ K-Content 공식계정에 프로젝트 및 회사소개를 원하시면,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사무소
이단단 주임(전화: 86-10-6501-9951, 이메일: lidandan@kocca.kr)에게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 16 -
2015 중국 콘텐츠기업 디렉토리북
- 17 -
□ 목적
ㅇ 한국콘텐츠기업의 실질적 중국 진출을 위한 중국 콘텐츠기업 핵심정보 제공
※ 다운로드: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http://www.kocca.kr, 콘텐츠지식→해외시장동
향→번호(13121)B.A.T/(13122)게임/(13123)방송/(13124)애니메이션/(13125)영
화)
□ 주요내용
ㅇ 게임, 방송, 영화, 애니메이션메이션 네 개 주요 분야 및 최근 가장 큰 이슈로 되고
있는 B.A.T 기업 관련 중국콘텐츠 주요기업 132개 심층정보 제공
- <각 장르별 산업 현황 분석> : 경쟁 구도 현황, 경쟁 특징 분석, 경쟁 구조, 기업 발
전 문제점, 기업 발전 대책, 정책 발전 분석, 업계 관리 체제, 업계 정책 법규, 업계
발전 계획 등
- <132개 중점기업 경영현황 분석> : 기본정보, 기업경영현황, 기업경쟁력, 성공사례 분석
※ 부록 <1,215개 중국 콘텐츠 기업 리스트&기본정보> : 회사명칭, 연락처, 주소, URL 등
분야 장르별 주요기업
게임(30개)
종합 27개
온라인배급 3개
방송(28개)
종합 7개
유통 12개
드라마 제작 & 배급 6개
예능 제작 & 배급 3개
애니메이션메이션(41
개)
종합 11개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 배급 2개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 유통 10개
TV애니메이션메이션 유통 4개
만화제작 3개
만화유통 2개
모바일만화 제작 & 배급 6개
모바일만화 유통 3개
영화(3개)
제작&배급 10개
유통 10개
배급 10개
B.A.T(3개)
텅쉰 1개
알리바바 1개
바이두 1개
- 18 -
[별첨 1] 2015 중국콘텐츠기업 디렉토리 북 장르별 목차
<게임>
1. 게임산업 구조 분석(P5-P10)
1.1 게임산업분석
1.2 산업발전문제
1.3 산업발전대책
1.4 산업정책분석
2. 게임산업 주요업체 경영상황분석(P16-136)
2.1 종합성 업체 분석(p16-123)
2.1.1 텐센트홀딩스유한회사(p16-19)
2.1.2 알리바바인터넷기술유한회사(p20-23)
2.1.3 바이두온라인인터넷기술유한회사(p24-27)
2.1.4 네트이즈회사(p28-31)
2.1.5 퍼펙트월드(베이징)인터넷기술유한회사(p32-35)
2.1.6 상하이샨다인터넷발전유한회사(p36-39)
2.1.7 상하이자이언트인터넷과기유한회사(p40-43)
2.1.8 산치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상하이)과기유한회사(p44-47)
2.1.9 베이징쿤룬완웨이과기주식유한회사(p48-51)
2.1.10 베이징치후과기유한회사(p52-55)
2.1.11 차이나모바일게임앤엔터테인먼트그룹유한회사(p56-59)
2.1.12 심천시촹멍톈디과기유한회사(p60-63)
2.1.13 네트드래곤웹유한회사(p64-67)
2.1.14 심천시둥팡보야과기유한회사(p68-71)
2.1.15 심천머린과기주식유한회사(p72-75)
2.1.16 베이징페이류쥬텐과기유한회사(p76-79)
2.1.17 유주 인터랙티브 주식유한회사(p80-83)
2.1.18 심천 7ROAD 과기유한회사(p84-87)
2.1.19 베이징장취과기주식유한회사(p88-91)
2.1.20 베이징창유스다이디지털기술유한회사(p92-95)
2.1.21 라인콩인터랙티브그룹유한회사(p96-99)
2.1.22 토크웹정보시스템주식유한회사(p100-103)
2.1.23 포게임홀딩스유한회사(p104-107)
2.1.24 심천중칭바오인터랙티브인터넷주식유한회사(p108-111)
2.1.25 베이징롄종인터랙티브인터넷주식유한회사(p112-115)
2.1.26 페이위과기국제유한회사(p116-119)
2.1.27 베이징광위온라인과기유한책임회사(p120-123)
- 19 -
2.2 온라인 게임 배급업체(p125-136)
2.2.1 화웨이과기주식유한회사(p125-128)
2.2.2 상하이 TaoMee인터넷과기유한회사(p129-132)
2.2.3 UYOUNG문화미디어주식유한회사(p133-136)
3. 게임 업체 리스트(p139-190)
3.1 온라인게임 제작업체 리스트(p139-148)
3.2 온라인 게임 배급업체 리스트 (p149-155)
3.3 온라인게임 유통업체 리스트(p156-160)
3.4 모바일게임 제작업체 리스트 (p161-166)
3.5 모바일게임 배급업체 리스트 (p167-172)
3.6 모바일게임 유통업체 리스트 (p173-176)
3.7 PC 게임 제작업체 리스트(p177-181)
3.8 PC 게임 배급업체 리스트(p182-186)
3.9 PC 게임 유통업체 리스트(p187-190)
<방송>
1. 방송산업분석(P6-P24)
1.1 방송산업 현황분석
1.2 산업발전에 존재하는 문제점
1.3 산업발전의 대응책
1.4 산업정책분석
1.5 뉴미디어산업 발전현황
2. 방송산업 주요기업 경영상황 분석 (P28-163)
2.1 종합성기업 (p28-56)
2.1.1 CCTV(p28-32)
2.1.2 화이 브라더스미디어주식유한회사(p33-36)
2.1.3 베이징 ENLIGHT미디어주식유한회사(p37-40)
2.1.4 베이징 Hualu Baina필름주식유한회사(p41-44)
2.1.5 차이나텔레비전미디어주식유한회사(p45-48)
2.1.6 베이징에너지영상전파주식유한회사(p49-52)
2.1.7 TVZone미디어유한회사(p53-56)
2.2 드라마 제작업체&배급업체(p58-81)
2.2.1 저장 Huace영상주식유한회사(p58-61)
2.2.2 베이징하이룬영화유한회사 (p62-65)
2.2.3 베이징샤오마번텅영화유한회사 (p66-69)
2.2.4 상하이신원화미디어그룹유한회사(p70-73)
2.2.5 창청영상주식유한회사(p74-77)
2.2.6 저장 Talent영상물주식유한회사(p78-81)
- 20 -
2.3 예능 프로그램 제작업체&배급업체(p83-94)
2.3.1 장쑤위성TV(p83-86)
2.3.2 베이징란써훠옌문화미디어유한회사(p87-90)
2.3.3 톈위미디어주식유한회사(p91-94)
2.4 다큐멘터리제작업체&배급업체(p96-111)
2.4.1 중앙뉴스다큐멘터리제작업체(p96-99)
2.4.2 베이징 레이허미디어(p100-103)
2.4.3 베이징 산둬탕미디어주식유한회사(p104-107)
2.4.4 베이징 징상문화전파유한회사(p108-111)
2.5 방송유통업체(방송국과 뉴미디어) (p111-163)
2.5.1 후난위성TV(p113-118)
2.5.2 저장위성TV(p119-123)
2.5.3 텐센트홀딩스유한회사(p124-127)
2.5.4 바이두온라인인터넷기술유한회사(p128-131)
2.5.5 LeTV(p132-135)
2.5.6 Youku Tudou주식유한회사 (p136-139)
2.5.7 상하이 동방명주뉴미디어주식유한회사(p140-143)
2.5.8 봉황뉴미디어(p144-147)
2.5.9 iQIYI(p148-151)
2.5.10 심천시 Xunlei인터넷기술유한회사(p152-155)
2.5.11 베이징 Baofeng과기주식유한회사(p156-159)
2.5.12 Ku6미디어유한회사(p160-163)
3. 방송관련 기업 리스트(p166-194)
3.1 드라마 제작업체(p166-173)
3.2 드라마 배급업체(p174-180)
3.3 예능 프로그램 기업(p181-184)
3.4 다큐멘터리 기업(p185-188)
3.5 방송사(p189-192)
3.6 뉴미디어 기업(p193-194)
<영화>
1. 영화 업계 분석(P6-P16)
1. 영화 업계 분석(P6-P16)
1.1 영화 산업 현황 분석
1.2 산업 발전에 존재하는 문제점
1.3 산업 발전 대책
1.4 산업 정책 분석
- 21 -
2. 영화 업계 중점 기업 경영현황 분석(P19-136)
2.1 영화제작업체&배급업체(p19-58)
2.1.1 차이나필름주식유한회사(p19-22)
2.1.2 HUAXIA필름배급유한책임회사(p23-26)
2.1.3 화이 브라더스미디어주식유한회사(p27-30)
2.1.4 저장 Huace영상주식유한회사(p31-34)
2.1.5 BONA필름그룹유한회사(p35-38)
2.1.6 SMI 홀딩스그룹유한회사(p39-42)
2.1.7 베이징 ENLIGHIT미디어주식유한회사(p43-46)
2.1.8 오렌지스카이 골든하베스트엔터테인먼트(그룹)유한회사(p47-50)
2.1.9 베이징 Hualu Baina필름주식유한회사(p51-54)
2.1.10 저장 Talent영상물주식유한회사(p55-58)
2.2 영화유통업체(영화관체인) (p60-99)
2.2.1 완다시네마주식유한회사(p60-63)
2.2.2 차이나필름 Stellar시네마유한회사(p64-67)
2.2.3 Dadi시네마유한회사(p68-71)
2.2.4 상하이 랜허시네마유한책임회사(p72-75)
2.2.5 차이나필름남방영화신간선유한회사(p76-79)
2.2.6 광저우 진이주장시네마유한회사(p80-83)
2.2.7 저장 타임시네마주식유한회사 (p84-87)
2.2.8 베이징 뉴필름연합상영유한책임회사(p88-91)
2.2.9 HG엔터테인먼트시네마유한회사(p92-95)
2.2.10 차이나필름디지털시네마(베이징)유한회사(p96-99)
2.3 영화유통업체(뉴미디어) (p101-140)
2.3.1 텐센트 홀딩스유한회사(p101-104)
2.3.2 바이두(p105-108)
2.3.3 LeTV(p109-112)
2.3.4 Youku Tudou주식유한회사(p113-116)
2.3.5 상하이 동방명주뉴미디어(p117-120)
2.3.6 봉황뉴미디어(p122-124)
2.3.7 iQIYI (p125-128)
2.3.8 Xunlei인터넷(p129-132)
2.3.9 Baofeng테크놀로지(p133-136)
2.3.10 Ku6미디어(p137-140)
3. 영화 기업 리스트 (p143-164)
3. 영화 세분화 시장 기업 리스트 (p143-164)
3. 1 영화제작업체 리스트(p143-150)
3. 2 영화배급업체 리스트(p151-157)
3. 3 영화유통업체 리스트(p158-162)
3 .4 뉴미디어 기업 리스트(p163-164)
- 22 -
<애니메이션메이션>
1. 애니메이션메이션 업계 분석(P6-P18)
1.1 애니메이션메이션 업계 현황 분석
1.2 애니메이션메이션 업계 발전문제
1.3 업계 정책 분석
2. 애니메이션메이션 중점 기업 경영상황 분석(P22-198)
2.1 종합성 기업 분석(p22-66)
2.1.1 광둥 Alpha애니메이션메이션 문화주식유한회사(p22-26)
2.1.2 심천 화챵문화과학기술그룹 주식유한회사(p27-30)
2.1.3 저장 중난그룹 카툰영상유한회사(p31-34)
2.1.4 Jiang Toon애니메이션메이션주식유한회사(p35-38)
2.1.5 수저우 Ori애니메이션메이션 유한회사(p39-42)
2.1.6 베이징 칭칭수애니메이션메이션과학기술유한회사(p43-46)
2.1.7 화워이과학기술유한회사(p47-50)
2.1.8 상하이 TaoMee인터넷과학기술유한회사(p51-54)
2.1.9 광저우 Creative Power Entertaining(p55-58)
2.1.10 상하이 하마애니메이션메이션 디자인유한회사(p59-62)
2.1.11 베이징 드림캐슬 문화유한회사(p63-66)
2.2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 배급업체(p67-74)
2.2.1 화이 브라더스미디어주식유한회사(p67-70)
2.2.2 베이징ENLIGHT미디어주식유한회사(p71-74)
2.3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 유통업체(p76-115)
2.3.1 완다시네마주식유한회사(p76-79)
2.3.2 차이나필름 Stellar시네마유한회사(p80-84)
2.3.3 Dadi시네마유한회사(p85-87)
2.3.4 상하이 랜허시네마유한책임회사(p88-91)
2.3.5 차이나필름남방영화신간선유한회사(p92-95)
2.3.6 LeTV(p96-99)
2.3.7 Youku Tudou주식유한회사(p100-103)
2.3.8 상하이 동방명주뉴미디어(p104-107)
2.3.9 베이징iQIYI 과학기술유한회사(p108-111)
2.3.10 UYOUNG문화미디어유한회사(p112-115)
2.4 TV애니메이션메이션 유통업체(p117-140)
2.4.1 CCTV(p117-125)
2.4.2 후난 위성TV(p126-131)
2.4.3 저장 위성TV(p132-136)
2.4.4 장쑤 위성TV(p137-140)
- 23 -
2.5 만화도서 발행업체(p142-147)
2.5.1 중국화보출판사(p142-143)
2.5.2 현대출판사(p144-145)
2.5.3 남해출판회사(p146-147)
2.6 만화도서 유통업체(p149-160)
2.6.1 베이징징둥세기무역유한회사(p149-154)
2.6.2 베이징당당망정보기술유한회사(p155-160)
2.7 모바일애니메이션메이션 제작업체&배급업체(p162-185)
2.7.1 Talkweb정보시스템주식유한회사(p162-165)
2.7.2 푸졘중커야촹통신과학기술유한회사(p166-169)
2.7.3 샤먼Xtone애니메이션메이션유한회사(p170-173)
2.7.4 톈진선제애니메이션메이션유한회사(p174-177)
2.7.5 샤먼BLUEBIRD애니메이션메이션유한회사(p178-181)
2.7.6 푸졘Topani애니메이션메이션유한회사(p182-185)
2.8 모바일애니메이션메이션 유통업체(p187-198)
2.8. 1차이나모바일(p187-190)
2.8. 2차이나텔레콤(p191-194)
2.8. 3차이나유니콤(p195-198)
3. 애니메이션메이션 세분화 시장 기업리스트(p199-251)
3.1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제작업체(p201-205)
3.2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발행업체(p206-209)
3.3 애니메이션메이션영화배급업체(p210-216)
3.4 TV애니메이션메이션제작업체(p217-220)
3.5 TV애니메이션메이션발행업체(p221-225)
3.6 TV애니메이션메이션배급업체(p226-227)
3.7 만화도서제작업체(p228-231)
3.8 만화도서발행업체(p232-234)
3.9 만화도서배급업체(p235)
3.10 인터넷애니메이션메이션제작업체(p236-240)
3.11 인터넷애니메이션메이션발행업체(p241-245)
3.12 인터넷애니메이션메이션배급업체(p246)
3.13 모바일애니메이션메이션제작업체(p247-250)
3.14 모바일애니메이션메이션배급업체(p251)
- 24 -
<BAT>
1. 인터넷산업 분석(P4-7)
1.1 인터넷산업 발전 현황
1.2 인터넷산업 TOP10 기업
1.3 인터넷산업 정책 분석
2. BAT기업 분석(P9-26)
2.1 업무 분포
2.2 경영실적 분석
2.3 투융자 분석
2.4 금융사업 분석
2.5 빅 데이터 사업 분석
2.6 O2O 사업 분포
2.7 영화/드라마 사업 분석
2.8 애니메이션메이션 사업 분석
2.9 총괄
- 25 -
2016년 KOCCA 중국관련 행사 리스트
행사성격 장르 행사(세부사업명) 시기
(2016년기준) 장소
포럼 게임 K-Game컨퍼런스2016/
비즈니스 상담회 개최 2.23~2.24 서울 코엑스
국내전시/
홍보 패션 Fashion KODE 2016 F/W 3.23~24 남산
제이그랜하우스
국외전시/
홍보 방송 FILMART 3.14~17 홍콩
국외피칭 스토리 k-스토리
해외진출프로그램(미국, 중국)
3월(중국),
11월(미국)
미국 LA, 중국
베이징
국외전시/
홍보
애니메이
션메이션
항주애니메이션메이션페스티벌
2016 4.27~5.2 중국 항주
컨퍼런스 방송 글로벌 포맷 워크숍 5.9~5.12,
8.29~31 서울 CKL
포럼 콘텐츠
전반 한중일문화산업포럼 5월초 서울(미정)
포럼 콘텐츠
전반 2016 K-컬처 정책포럼 6월, 11월, 1월 서울 코엑스
국내전시/
홍보 게임 ITS GAME 수출상담회 개최 6.16~6.17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콘텐츠
전반 Knock2016 6월, 8월, 10월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방송 STVF 6.7~9 중국 상해
국외전시/
홍보 방송 STVF 포맷 쇼케이스 6.5 ~ 6.6 중국 상해
워크숍 방송 방송작가소재발굴워크숍(1차,
2차) 6월, 9월(예정) 미정
홍보 콘텐츠
전반 중국 충칭사무소 개소 6월 중국 충칭
포럼 콘텐츠
전반 한중문화산업포럼 6월초(예정) 중국
국제포럼 방송 북경 한국 포맷 포럼 7월,11월 예정 중국 북경
국내전시/
홍보 캐릭터 서울캐릭터라이선싱페어 7월(예정)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게임 차이나조이 7.28~31 중국 상해
기타 게임 한중 게임문화축제 개최 7.28~7.31 중국 상해
게임 2016 보드게임콘 개최 8.13~8.14 서울 코엑스
국내전시/
홍보 방송 BCWW2016
(국제방송영상견본시개최) 8.31~9.2 서울 코엑스
국제포럼 방송 방송작가국제포럼 8.31(예정) 미정
- 26 -
행사성격 장르 행사(세부사업명) 시기
(2016년기준) 장소
국외전시/
홍보 만화 베이징 도서전 8.24~28 중국 베이징
기타 게임 2016 대구 글로벌
게임문화축제 9.11~9.13 대구 동성로 일대
컨퍼런스 방송 글로벌 포맷 컨퍼런스 9.1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방송 아세안 방송콘텐츠 비즈매칭 9~10월(미정) 아세안 국가 중
2~3개국
기타 게임 제12회 전국 장애학생
이스포츠대회 9.6~9.7 경주
더케이서울호텔
포럼 음악 2016 K-뮤직포럼 10월, 12월 서울
국내전시/
시상 한글 2016 한글 산업화 국제공모전
시상식 10월(미정) 서울 광화문
콘퍼런스 CT CT포럼 2016 10월중(미정) JW메리어트(동대문
)
국내전시/
홍보 패션 Fashion KODE 2017 S/S 10월(예정) 서울 DDP(예정)
국내전시/
홍보 음악 Mu:con 2016 10월(예정) 서울 DDP
컨퍼런스 콘텐츠
전반 국제콘텐츠콘퍼런스개최 10월중(미정) 서울DDP 인근
시상 대중문화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시상식 10월중(미정) 서울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워크숍 방송 방송작가소재발굴워크숍(국외) 10월(예정) 미정
포럼 콘텐츠
전반 스타트업콘 10.14~10.15 서울(미정)
국내피칭 스토리 신화창조 프로젝트 부산 피칭 10월중(미정) 부산 벡스코
국외전시/
홍보 방송 중국 충칭 쇼케이스 및
수출상담회 10~12월(예정) 중국 충칭
국내전시/
홍보 융복합 cel 페스티벌 10월중(미정) 서울
국외전시/
홍보 캐릭터 China Licensing EXPO 10월(미정) 중국 상해
기타 게임 2016 국제 이스포츠 페스티벌 11월 평창
국내전시/
홍보
CT
게임 G-STAR 2016 11.10~11.13(예
정) 부산 벡스코
국외전시/
홍보 융복합 심천 하이테크페어 11월 중국 심천
국외전시/
홍보 CT 중국하이테크페어(심천) 11월중(미정) 중국 심천
기타 애니메이
션메이션
아시아애니메이션메이션서밋(A
AS)
11월 또는
12월 해외(미정)
시상/컨퍼
런스 스토리 2016 Story Awards & Festival 12.21~12.22 서울 코엑스(예정)
시상 콘텐츠
전반 2016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12.6 서울 코엑스
국외전시/
홍보
콘텐츠
전반 MAMA(CJ E&M 연계협업) 12월(예정) 홍콩
시상 방송 방송영상산업발전유공포상 12월 서울
- 27 -
행사성격 장르 행사(세부사업명) 시기
(2016년기준) 장소
국외전시/
홍보 음악 충칭 쇼케이스 12월(일자미정) 중국 충칭
시상/기타 음악 K-Rookies 파이널 공연 `17.1월(예정) 서울
국내전시/
홍보
지역콘텐
츠
전반
2016 글로컬콘텐츠페어 미정 미정
시상 게임 이달의 우수게임 시상식 연중 cel벤처단지
국외전시/
홍보
콘텐츠
전반
코리아브랜드&한류상품박람회(
KBEE) 미정(협의중) 미정
기타 콘텐츠
전반
콘텐츠기업국내.해외투자유치
설명회
6월,10월(국내)
8월,
11월(해외)
서울/ 중국 충칭,
상해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를 이용한 대량의 나노물질 정렬 기술 세계 최초 개발- 나노전자소자 개발 및 세포 배열 통한 질병 진단 기술에 응용 (0) | 2016.11.04 |
---|---|
[중국] 2016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16년 19호,한국콘텐츠진흥원) (0) | 2016.11.04 |
국내 최대 대·중소기업 구매상담회 성황리 개최- 11월 3일(목), 수원 호텔캐슬, 수도권 대·중소기업 구매상담회 개최 (0) | 2016.11.04 |
알츠하이머, 기억력 회복․치료할 수 있는 물질 발견 (0) | 2016.11.03 |
작게 만들어 큰 매출 올린다[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기타 해외동향 (0) | 2016.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