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IoT 서비스 모델 발굴 집중…2020년 30조원 산업 육성
[미디어잇 유진상 기자] 정부가 신성장산업동력으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고 이와 관련한 서비스 모델을 집중 발굴해 시장 규모를 오는 2020년 30조원까지 육성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초연결사회 디지털 플래닛의 선도국가를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일 한국정보화진흥원(NIA) 대강당에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2013년 2조 3000억원 규모의 사물인터넷 시장을 2020년까지 30조원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다. 또 톱50 전문기업들의 평균매출액을 현재 41억원 수준에서 1000억원까지 향상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창의적 서비스 시장을 창출하고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생태계 기반 조성, 규제없는 산업환경 조성 등을 추진과제로 내놨다.
이 중 핵심은 창의적 서비스 시장 창출이다. 이를 위해 유망 사물인터넷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또 해외 진출 가능성이 크고 파급효과가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발굴하고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의 개발과 실증 단계를 거쳐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전국에 확산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정삼 미래부 인터넷신산업팀장은 “범부처와 민간 협력체계를 마련해 공통 플랫폼 개발, 실증과 개방형 테스트 베드 및 전문 기술 등을 지원할 것”이라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을 결합한 융합 신서비스 개발과 전문기업 육성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전문 기업 육성은 글로벌 기업 및 국내 산학연관이 협력해 전문 교육과 훈련 등을 통해 서비스를 공동개발하고, 글로벌 전문 기업으로 동반 육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글로벌 진출 교두보 확보를 위한 협력사업을 강화하고 중소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마케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김 팀장은 “IoT는 다양한 적용분야, 다품종 소량생산 시장이기에 중소벤처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중소, 벤처기업이 모든 분야를 다 잘하기 어렵기에 센서, SW, 디바이스, 수요기업 등 이종기업간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협소한 내수 시장을 벗어나 해외 진출을 위해선 국내외 글로벌 기업과 함께하는 동반진출 전략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물인터넷 생태계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표준화,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 규제없는 산업환경 조성을 위해 법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정보보안, 프라이버시 등 역기능 대응 교육 등을 통한 인식제고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안 발표에 이어 공개토론회가 진행됐다. 토론회는 오는 4월 22일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 이번 계획안을 상정하기에 앞서, 산학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기 위한 것이다.
토론회에 앞서 최재유 미래부 정보통신방송정책 실장은 “사물인터넷의 경쟁력은 아직은 부족하지만, 인적자원 및 제조 부문의 역량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할 잠재력을 충분히 갖췄다”며, “사물인터넷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아이디어를 도출함으로써 산업발전에 큰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나침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첫 패널토론자로 나선 이동만 KAIST 교수는 “전통적 산업체와 IoT 개발자가 서로 연결해 생활 밀착형 서비스가 돼야 제대로된 IoT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상산 핸디소프트 대표는 “IoT는 연결을 전재로 하고 있다”며, “각각의 이해관계가 다른 산업군들이 모여 IoT 시대에 협력해 나가야 하는데, 이런 사업을 한 적이 없어 큰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실질적인 IoT 수요자 중심으로 재구성해야만이 초연결사회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며 “IoT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1.5% 밖에 안되는데, 과연 글로벌 기업이 한국에 어떤 매력을 느낄지를 생각해야 하고 수요자 입장에서 접근해 기술을 재해석할 수 있는 것들을 생각해야만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이 원활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밖에 토론에 참가한 패널들은 사물인터넷을 위한 다양한 법제도 마련과 인프라 마련을 위한 고민 등을 주문했다.
유진상 기자 jinsang@it.co.kr
상품지식 전문뉴스 미디어잇
미래창조과학부는 2일 한국정보화진흥원(NIA) 대강당에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2013년 2조 3000억원 규모의 사물인터넷 시장을 2020년까지 30조원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다. 또 톱50 전문기업들의 평균매출액을 현재 41억원 수준에서 1000억원까지 향상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창의적 서비스 시장을 창출하고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생태계 기반 조성, 규제없는 산업환경 조성 등을 추진과제로 내놨다.
이 중 핵심은 창의적 서비스 시장 창출이다. 이를 위해 유망 사물인터넷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또 해외 진출 가능성이 크고 파급효과가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발굴하고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의 개발과 실증 단계를 거쳐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전국에 확산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정삼 미래부 인터넷신산업팀장은 “범부처와 민간 협력체계를 마련해 공통 플랫폼 개발, 실증과 개방형 테스트 베드 및 전문 기술 등을 지원할 것”이라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을 결합한 융합 신서비스 개발과 전문기업 육성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전문 기업 육성은 글로벌 기업 및 국내 산학연관이 협력해 전문 교육과 훈련 등을 통해 서비스를 공동개발하고, 글로벌 전문 기업으로 동반 육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글로벌 진출 교두보 확보를 위한 협력사업을 강화하고 중소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마케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김 팀장은 “IoT는 다양한 적용분야, 다품종 소량생산 시장이기에 중소벤처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중소, 벤처기업이 모든 분야를 다 잘하기 어렵기에 센서, SW, 디바이스, 수요기업 등 이종기업간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협소한 내수 시장을 벗어나 해외 진출을 위해선 국내외 글로벌 기업과 함께하는 동반진출 전략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물인터넷 생태계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표준화,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 규제없는 산업환경 조성을 위해 법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정보보안, 프라이버시 등 역기능 대응 교육 등을 통한 인식제고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안 발표에 이어 공개토론회가 진행됐다. 토론회는 오는 4월 22일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 이번 계획안을 상정하기에 앞서, 산학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기 위한 것이다.
토론회에 앞서 최재유 미래부 정보통신방송정책 실장은 “사물인터넷의 경쟁력은 아직은 부족하지만, 인적자원 및 제조 부문의 역량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할 잠재력을 충분히 갖췄다”며, “사물인터넷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아이디어를 도출함으로써 산업발전에 큰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나침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첫 패널토론자로 나선 이동만 KAIST 교수는 “전통적 산업체와 IoT 개발자가 서로 연결해 생활 밀착형 서비스가 돼야 제대로된 IoT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상산 핸디소프트 대표는 “IoT는 연결을 전재로 하고 있다”며, “각각의 이해관계가 다른 산업군들이 모여 IoT 시대에 협력해 나가야 하는데, 이런 사업을 한 적이 없어 큰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실질적인 IoT 수요자 중심으로 재구성해야만이 초연결사회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며 “IoT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1.5% 밖에 안되는데, 과연 글로벌 기업이 한국에 어떤 매력을 느낄지를 생각해야 하고 수요자 입장에서 접근해 기술을 재해석할 수 있는 것들을 생각해야만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이 원활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밖에 토론에 참가한 패널들은 사물인터넷을 위한 다양한 법제도 마련과 인프라 마련을 위한 고민 등을 주문했다.
유진상 기자 jinsang@it.co.kr
상품지식 전문뉴스 미디어잇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 위협했던 '던전스트라이커' 액토즈에서 서비스 (0) | 2014.04.03 |
---|---|
카카오톡, 캐릭터 사업 뛰어든다 (0) | 2014.04.03 |
클라우드 업계, 모바일 게임업체들에 뜨거운 구애 (0) | 2014.04.03 |
기업 IT보안, 근본 전략부터 바꿔야 하는 이유 (0) | 2014.04.03 |
NHN엔터, '세계 자폐인의 날' 맞이 "푸른 전구 반짝" (0) | 201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