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바이오 디지털 뉴딜로 R&D 혁신과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데이터 인력 양성 추진

하이거 2020. 7. 28. 11:21

바이오 디지털 뉴딜로 R&D 혁신과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데이터 인력 양성 추진

 

바이오기반팀 작성일 2020.07.27.

 


바이오 디지털 뉴딜로 R&D 혁신과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 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데이터 인력 양성 추진 -
- 과기정통부 정병선 제1차관, 바이오 디지털 뉴딜 현장소통 개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정병선 제1차관은 7월 27일(월) 오후, 바이오 디지털 뉴딜 관련 현장소통을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를 방문하여 간담회를 가졌다.
ㅇ 과기정통부는 바이오 분야 주요 학회장, 대형 R&D 사업단장, 연구자 등이 참석한 이번 간담회를 통해 ‘바이오 디지털 뉴딜’의 본격 착수를 알리고,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 정부는 7월 14일(화)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바이오 디지털 뉴딜’은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인 디지털 뉴딜의 과기정통부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ㅇ 4차 산업혁명으로 데이터, 인공지능 등 디지털 신기술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바이오 R&D의 국가 통합 데이터 구축・개방을 통해 R&D 혁신을 촉진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바이오 디지털 뉴딜’의 핵심 구상이다.

□ 과기정통부는 바이오 디지털 뉴딜의 본격 추진에 앞서, 관계부처 합동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을 발표(7.2, 중대본)하고, 바이오 연구 데이터 수집・활용을 지원할 전문인력인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예산 264억원을 3차 추경을 통해 확보하는 등 사전 준비를 진행해 왔다.
ㅇ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의 주요내용은 부처・사업・연구자별로 흩어져 있는 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통합 수집・제공하는 ‘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스테이션(이하 ’데이터 스테이션‘)’을 조성하는 것이다.
ㅇ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사업’은 국내 바이오 연구기관들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담 인력 채용(총 2,000명)을 지원하고, 이 인력들이 ‘디지털 전환 → 가치정보 발굴 → 부가가치 창출’ 등 전문성을 강화해 나가도록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 데이터 공동 활용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먼저 인공지능 기계학습이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가 수집되어야 하고, 이는 기본적으로 사람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ㅇ 이에 과기정통부는 올해 9월까지 바이오 분야별 민간 전문가 중심으로 국가 바이오 데이터 표준 등록양식을 마련하고, 추경을 통해 청년인력들을 선발하여 기본적인 교육을 진행한 후, 바이오 분야 연구기관에 배치하여 기존에 축적된 연구 데이터들을 시범적으로 수집할 예정이다.
ㅇ 데이터 수집에 참여할 기관과 청년인력들을 모집하기 위해 8월부터 바이오 분야 주요학회, 권역별 거점대학 등 현장 설명회를 열어 정책 및 사업을 현장에 알리고, 공모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 이번 간담회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데이터 관리 총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데이터 활용 환경 구축), 한국바이오협회(인력양성) 등 수행주체와 데이터 수요자들이 함께 자리하여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추진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ㅇ 정병선 차관은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약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등 디지털 전환은 바이오 R&D에 있어서도 혁신을 위해 피할 수 없는 시류”라며, “정부가 방향성을 제시했지만, 공들여 얻은 데이터를 기꺼이 공유하는 연구계의 인식 전환이 없이는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라고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참고1

바이오 디지털 뉴딜 현장 간담회 추진계획(안)


□ 개요

ㅇ (목적) 바이오 분야 디지털 뉴딜 정책 추진 현황 점검

ㅇ (일시/장소) ’20. 7. 27(월), 16:30~18:00 / 생명연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ㅇ (참석) 1차관, 생명연 원장, KISTI 원장, 주요 학회 대표, 사업단장 등

ㅇ (내용) 바이오 연구 데이터 등록 양식 표준화,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사업(추경) 추진 등 주요 과제 추진에 대한 점검 및 의견 수렴

□ 세부 일정


시간(분)
주요내용
비고
16:30~16:50(20’)
◾ 코로나-19 연구정보포털 소개
◾ 생명연 KOBIC 서버실 방문
KOBIC 1층
16:50∼17:05(15’)
◾ 바이오 디지털 뉴딜 세부 추진 현황 및 계획 보고
-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 요약 보고(5’, 사무관)
- 바이오 연구 데이터 표준화 추진 계획(5’, KOBIC)
-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사업 추진 계획(5’, 바이오 협회))
국제회의장
(KOBIC 2층)
17:05∼17:55(50’)
◾ 질의 응답 및 의견수렴
17:55∼18:00(05’)
◾ 마무리 및 환송

 

□ 향후 계획

ㅇ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사업 참여기관 및 청년인력 모집(8월)

ㅇ 바이오 분야별 데이터 등록 표준양식 마련(~9월)

ㅇ 청년인력 기본교육(9월~) 및 데이터 수집 작업 수행(10월~)

참고2

바이오 디지털 뉴딜 추진계획(안)


□ 개요

ㅇ 바이오 R&D 혁신 촉진을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 및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바이오 디지털 뉴딜을 추진

□ 주요 내용

① 바이오 연구데이터의『수집→활용』을 위한 국가 생태계 조성

ㅇ (수집) 국가 R&D를 통해 생산되는 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범부처적으로 통합 수집‧제공하는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조성

* 생화학분석, 이미지(영상), 임상 및 전임상, 유전체, 분자구조, 표현형 정보, 화학반응 등

- ‘국가생명연구자원 수집‧관리 표준지침*’을 제정해 R&D 사업을 관리하고, ‘바이오 연구 데이터 표준화 위원회’를 구성해 데이터 등록 국가 표준 마련

* 부처별 사업 공고‧협약‧평가 시, 준수해야 할 연구데이터 관리 기준 제시

ㅇ (활용) 임상연구 데이터도 데이터 스테이션 등에서 수집‧제공하고, 데이터 등록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양질의 데이터 공유 활성화

* 데이터 공유자에게 마일리지 지급 → 선정평가 시 가점 부여, 슈퍼컴 우선 활용 등

- 개인 저장공간(마이 랩 데이터), 데이터 분석 플랫폼 등 개발・지원 및 고품질‧고유 국내 데이터 기반 글로벌 데이터 협의체* 참여 등

*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과 해외 주요 저널과 연계 등

② 기존 데이터 디지털 전환 및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ㅇ (수집) 학회, 대형 사업단, 소재은행 등 기관과 개인연구자가 보유한 데이터의 정제 및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인력채용을 지원 (총 2,000명, 5개월)

▸(학회, 사업단 등) 개별적 접촉 및 협의를 통해 인력 수요 파악 및 지원

▸(개인) 권역별 사업 설명회 개최, 대형과제 연구책임자 의견수렴 등 수요 발굴

① (학회) 해당 학회에서 발간한 저널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데이터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한국 생물공학회, 대한 약학회 등

② (사업단) 정부 R&D 사업단 및 협동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데이터
※ 범 부처신약개발, 전통 천연물 기반 유전자 동의보감 사업단 등

③ (소재은행) 14개 바이오 연구소재 클러스터별 보유 소재와 관련된 데이터

④ (개인연구자) 연구자 수요조사 등을 통해 발굴


ㅇ (인력 양성) 참여 인력들이 데이터 정제에서 혁신연구 지원 단계까지 경력경로를 개척해 갈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 신설 및 무상제공

- 10개 내외의 지역별 컨소시엄(대학, 출연연)을 선정, 데이터 수집 및 전체 채용인력(2,000명)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 컨소시엄별 4억원 내외 : 채용인력 교육, 관리 등 수행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경력경로(안)>


데이터 관리자(1년)

데이터 큐레이터(2~3년)

데이터 엔지니어(4년~)
▪연구데이터의 디지털화 및 표준화 역량 보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가치정보 발굴 능력 보유

▪빅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역량 보유

 

□ 향후 계획

ㅇ ’20. 7월, 데이터 등록 양식 표준화 본격 착수 (관계 부처 협의)

ㅇ ’20. 8월, 정책 및 사업설명회 등을 통한 데이터 수집 참여기관 및 인력 모집

ㅇ ’20. 9월, 데이터 등록 표준양식 확정 및 데이터 수집 작업 개시

※ 데이터 등록 표준양식(안) 및 등록 매뉴얼 등을 마련, 데이터 관리 인력에 대한 교육 착수

ㅇ ’20. 12월, 바이오 연구데이터 체계적 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 (안)「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표준지침」둥 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