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미세화 공정기술, 새로운 변화가 시작된다-핀펫(FinFET) 지고, 게이트올어라운드(GAA) 뜬다
담당부서 반도체심사과작성일 2021-07-20
"반도체 미세화 공정기술, 새로운 변화가 시작된다
핀펫(FinFET) 지고, 게이트올어라운드(GAA) 뜬다"
"# 애플의 아이폰 12와 삼성의 갤럭시 S21 출시로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이 뜨겁다.
❶아이폰12에 탑재되는 M1칩과 ❷갤럭시 S21에 탑재되는 엑시노스칩은 각각 TSMC와 삼성의 핀펫(FinFET) 기반 5나노* 공정 기술로 제작돼 현존하는 최고의 성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 나노(nm·나노미터)는 반도체 회로 선폭의 단위다. 선폭이 작을수록 칩 크기는 작아지고, 소비전력은 감소하며, 처리 속도는 빨라진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7나노보다 5나노 공정 기술로 제조된 반도체 칩의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
# 앞으로 인공지능 등 기술분야에서 처리해야 할 데이터양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현재의 5나노 기술보다 더 미세한 3나노 공정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핀펫보다 진화된 반도체 미세화
공정기술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 반도체 미세화 공정 기술은 어디까지 진화할까? 반도체 미세화 공정기술을 주도했던 핀펫(FinFET) 기술이 지고, 게이트올어라운드 (GAA) 기술이 새롭게 뜨고 있다.
* GAA기술은 반도체 업계에서 '핀펫(FinFET)' 다음 차세대 기술로 통칭된다. 핀펫기술은 전류가 흐르는 통로가 윗면-좌측면-우측면의 3면으로 이뤄지고, GAA기술은 윗면-
좌측면-우측면-아랫면의 4면으로 이뤄진다."
"□ 특허청(청장 김용래)이 주요 5개국 특허1)를 분석한 결과 그동안
반도체 미세화 공정기술의 주력이었던 핀펫(FinFET) 기술 특허가 지난
2017년부터 하락세로 전환됐고,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 특허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1]"
1) 분석대상 : 미국, 유럽, 일본, 한국, 중국 특허청에 2001~2020년까지 출원된 특허(‘21.5.31.까지 공개)
"ㅇ 핀펫 기술은 2017년 1,936건으로 정점을 찍었고 18년 1,636건, 19년 1,560건, 20년 1,508건(예상치)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ㅇ 반면 핀펫보다 진보된 차세대 반도체 공정 기술로 손꼽히는 게이트 올어라운드(GAA) 관련 특허는 매년 30% 가까이 증가세를 보이며
같은 기간 173건, 233건, 313건, 391건(예상치)으로 증가했다."
"□ 핀펫기술 다출원 순위는 TSMC(臺, 30.7%), SMIC(中, 11%), 삼성전자 (8.6%), IBM(美, 8.1%), 글로벌파운드리(美, 5.4%) 등 순으로 나타났다. 핀펫 기술은 대만, 중국, 한국, 미국 기업들이 경쟁하는 모습을 보였다.
[붙임2]"
"□ GA 기술 다출원 순위는 TSMC(臺, 31.4%), 삼성전자(20.6%), IBM(美, 10.2%), 글로벌파운드리(美, 5.5%), 인텔(美, 4.7%) 등 순이다. 대만, 한국 기업이 주도하고 있고 미국 기업이 추격하는 모양새다.
[붙임2]"
【 글로벌 기업 GAA 특허동향 】
"□ GAA를 활용한 초미세 공정기술은 ❶TSMC와 ❷삼성전자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ㅇ 삼성전자는 내년 3나노 공정부터 GAA 기술을 세계 최초로 적용할 계획이다. TSMC는 2023년 2나노 공정부터 이 기술을 도입할 예정 이라고 발표한 상태다.
ㅇ 핀펫 기술분야에서 2위를 기록했던 SMIC(중국의 대표 파운드리 기업)는 순위권에서 밀려났다. 향후 첨단 반도체 분야에서 미국, 한국, 대만의 경쟁속에 중국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 특허청 반도체심사과 방기인 사무관은 “현재 5나노 이하 공정 기술로 반도체 칩을 제조할 수 있는 기업은 세계에서 TSMC와 삼성전자 밖에 없다”며 “하지만 최근 인텔의 파운드리 사업진출,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집중투자 등을 고려하면 최첨단 반도체에 대한 기술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ㅇ 이어서 “결국 누가 얼마나 빨리 기술혁신에 성공하고 강한 지재권 으로 후발주자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느냐가 경쟁에서 우위를 점
하는 지름길이다”라고 덧붙였다."
※ FinFET과 GAAFET 특허출원 동향
붙임:
붙임1
핀펫(FinFET)과 GAAFET 특허출원 동향
"FinFET과 GAAFET의 IP5 출원동향2)
"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측)*"
"FinFET
(증감율)" 316 643 1019 990 1419 1746 1936 1639 1560 1508
6% 103% 58% -3% 43% 23% 11% -15% -5% -3%
"GAAFET
(증감율)" 27 24 43 38 70 92 173 233 313 391
170% -11% 79% -12% 84% 31% 88% 35% 34% 25%
* 2020년 출원은 특허공개기간(출원후 1년6개월)을 고려하여 선형회귀법으로 예측
"기술별 출원 국가 동향
"
미국 중국 한국 일본 유럽 총합계
"Finfet
(비중)" 6832 4830 1271 518 345 13796
49.5% 35.0% 9.2% 3.8% 2.5% 100.0%
"GAAFET
(비중)" 869 142 221 25 33 1290
67.4% 11.0% 17.1% 1.9% 2.6% 100.0%
"합계
(비중)" 7701 4972 1492 543 378 15086
51.0% 33.0% 9.9% 3.6% 2.5% 100.0%
"2) 조사 개요
▪ 대상국가 : 미국, 유럽, 일본, 한국, 중국 등 전세계 주요 5개 특허청
▪ 기간 : 2001년~2020년에 출원 (2021.5.31.까지 공개 기준)
▪ Datebase : 더웬트이노베이션(https://www.derwentinnovation.com/)"
붙임2
기술별 다출원 기업 순위
(IP5 전체) 상위 10개 주요 출원인
FinFET GAAFET
순위 출원인 국가 건수 비중 순위 출원인 국가 건수 비중
1 TSMC 대만 4235 30.7% 1 TSMC 대만 405 31.4%
2 SMIC 중국 1521 11.0% 2 삼성전자 한국 266 20.6%
3 삼성전자 한국 1185 8.6% 3 IBM 미국 131 10.2%
4 IBM 미국 1112 8.1% 4 글로벌파운드리 미국 71 5.5%
5 글로벌파운드리 미국 741 5.4% 5 인텔 미국 60 4.7%
6 UMC 대만 669 4.8% 6 도쿄일렉트론 일본 33 2.6%
7 인텔 미국 474 3.4% 7 중국과학원 중국 26 2.0%
8 중국과학원 중국 263 1.9% 8 퀄컴 미국 24 1.9%
9 퀄컴 미국 228 1.7% 9 IMEC "벨기
에" 22 1.7%
10 르네사스 일본 159 `1.2% 10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미국 20 1.6%
* GAAFET의 경우, SMIC는 14위(0.6%) 차지
붙임3
국가별 다출원 기업 순위
(국가별 : 미국) 상위 5개 주요 출원인
FinFET GAAFET
순위 출원인 국가 건수 비중 순위 출원인 국가 건수 비중
1 TSMC 대만 2029 29.7% 1 TSMC 대만 282 32.5%
2 IBM 미국 923 13.5% 2 삼성전자 한국 133 15.3%
3 글로벌파운드리 미국 597 8.7% 3 IBM 미국 127 14.6%
4 UMC 대만 526 7.7% 4 글로벌파운드리 미국 69 7.9%
5 삼성전자 한국 525 7.7% 5 인텔 미국 34 3.9%
(국가별 : 중국) 상위 5개 주요 출원인
FinFET GAAFET
순위 출원인 국가 건수 비중 순위 출원인 국가 건수 비중
1 TSMC 대만 1643 34.0% 1 TSMC 대만 43 30.3%
2 SMIC 중국 1119 23.2% 2 삼성전자 한국 36 25.4%
3 삼성전자 한국 285 5.9% 3 중국과학원 중국 15 10.6%
4 중국과학원 중국 208 4.3% 4 창신메모리 중국 7 4.9%
5 인텔 미국 173 3.6% 5 인텔 미국 6 4.2%
(국가별 : 한국) 상위 5개 주요 출원인
FinFET GAAFET
순위 출원인 국가 건수 비중 순위 출원인 국가 건수 비중
1 TSMC 대만 535 42.1% 1 삼성전자 한국 95 43.0%
2 삼성전자 한국 319 25.1% 2 TSMC 대만 80 36.2%
3 인텔 미국 50 3.9% 3 인텔 미국 10 4.5%
4 도쿄일렉트론 일본 33 2.6% 4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미국 5 2.3%
5 SK하이닉스 한국 32 2.5% 5 KAIST 한국 5 2.3%
기술 설명
붙임 4
기술설명
"◆ FinFET : Fin(상어지느러미) + FET(Field Effect Transistor :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두 용어를 합친 것으로 기존 평판(Planar) FET에서 반도체 선폭의 미세화 공정에 따른 누설전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3차원 FET이며, 2011년 인텔이 22나노 공정 기술로 최초 적용하여 현재까지 22나노 이하의 대부분의 첨단 반도체 공정기술에 활용
◆ GAAFET : FinFET의 기존 3차원 구조에 더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인 채널의 아랫면까 지 모두 게이트가 감싸(Gate-All-Around) 전류 흐름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현재 FinFET이 가지는 3nm 이하의 공정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파운 드리 게임 체인저로 인지된 기술"
반도체 트랜지스터 구조의 차이
[도면 출처 : 삼성전자]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젊은 건축가상’ 수상자 3개 팀 선정- ㈜아파랏체건축사사무소, 구보건축사사무소, 아키후드건축사사무소 (0) | 2021.07.20 |
---|---|
특허청, 주요국 지재권 제도 화상토론회(webinar) 개최-현지 지재권 제도 및 분쟁대응 방법 소개, 질의응답시간 제공 (0) | 2021.07.20 |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종교시설 방역수칙 개선 (0) | 2021.07.20 |
해산,합병 등 인가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개별차주 신용공여한도 증액 등 일부 규제를 합리화하였습니다-상호저축은행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0) | 2021.07.20 |
아시아개발은행(ADB), 2021 아시아 경제전망 보충 발표- ’21년 한국 경제 성장률 4%로 상향 전망(4월 전망 대비 +0.5%p)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