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세계 최고 수준의 ICT 환경을 토대로 지능정보사회 조기구현 -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 2년 연속 1위

하이거 2016. 11. 23. 19:51

세계 최고 수준의 ICT 환경을 토대로 지능정보사회 조기구현 -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 2년 연속 1

 

작성일 : 2016. 11. 23. 다자협력담당관

 






세계 최고 수준의 ICT 환경을 토대로 지능정보사회 조기구현
 -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 2년 연속 1위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22일 09시(한국시간 16시) 보츠와나 가보로네에서 발표한 2016년도 정보통신기술발전지수(이하 ‘ICT 발전지수’)에서 조사대상 175개국 중 한국이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o ICT 발전지수는 전년도* 각종 정보통신기술 관련 지표를 바탕으로 각 국가의 ICT 발전정도를 평가한 것으로, 국가 간 ICT 역량을 비교・분석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 ’16년 ICT발전지수는 ’15년 12월 기준 각국에서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

  o 2016년도 ICT 발전지수 순위에서 우리나라에 이어 아이슬란드와 덴마크가 각각 2, 3위를 차지하였다.

  o 아시아 지역 국가들 중에서는 한국을 포함하여 홍콩 6위, 일본 10위, 싱가포르 20위로, 20위 내에 총 4개국이 포함되었다.
□ ICT 발전지수는 크게 ICT에 대한 접근성, 이용도, 활용력 부문으로 구성되며, 우리나라는 활용력과 이용도에서 각각 3위를, 접근성 부문은 8위를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상위권을 차지하였다.

< ’15~16년 ITU ICT 발전지수(IDI) 부문별 순위 및 점수 >

부문명
’15
’16
비고
순위
평가점수
순위
평가점수
ICT 접근성
8
9.00
8
8.99
(-)
ICT 이용도
2
8.42
3
8.57
(?1)
ICT 활용력
3
9.08
3
9.08
(-)
 종 합 순 위
1
8.78
1
8.84
(-)


□ 1위 수상을 위해 보츠와나에서 열린 제14차 ITU 세계 통계/ICT 지표 심포지엄에 참가한 미래부 최원호 국제협력관은,

  o ICT 발전상황을 평가하는 데 있어 가장 신뢰받고 공정한 ‘ICT 발전지수’에서 1위를 수상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o 한국은 앞으로도 ICT 발전경험과 성과를 다른 국가들과 공유하며 그 혜택을 모두가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7년간 한국의 ITU ICT 발전지수 종합순위 추이>

연도
’10
’11
’12
`13
`14
`15
`16
순위(총대상국)
1(159)
1(152)
1(155)
1(157)
2(166)
1(167)
1(175)
점수
7.80
8.45
8.51
8.81
8.85
8.78
8.84

□ 미래부는 2010년 이후 여섯 차례 1위를 달성한 것에 만족하지 않고 ICT 인프라와 활용능력을 지속적으로 제고하여 미래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앞당기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1.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CT 발전지수 개요 1부.
     2. 2016년도 ICT 발전지수 주요국 순위 1부.  끝.



붙임 1

 국제전기통신연합 ICT 발전지수 개요


□ ICT 발전지수(Development Index)

 o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175개국의 ICT에 대한 접근성, 이용도, 활용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한 나라의 ICT발전 정도와 국가간 정보격차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수

  - ITU는 ’07년까지 디지털기회지수(DOI; Digital Opportunity Index)와  정보통신기회지수(ICT-OI; ICT Opportunity Index)를 발표하였으나,
  - ITU 전권회의(터키, ’06.11월)의 결의에 따라 ’09년부터 이들 지수를  통합한 ICT 발전지수(IDI, ICT Development Index)를 발표

 o 매년 발간되는 정보사회측정(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보고서에 수록되며 전년도 말 통계 기준을 바탕으로 산출되는 평가

    ※ 디지털접근지수(DOI, Digital Opportunity Index) : 우리나라가 주도하여 ’05년 개발하였으며, 3년간(’05~’07년) 우리나라가 1위를 차지하였음
    ※ 정보통신기회지수(ICT-OI, ICT Opportunity Index) : 뚜레(당시 ITU 사무총장) 주도로 ’05년 개발되었으며, 우리나라는 ’05년 22위, ’07년 22위를 차지하였음


평가항목
가 중 치
세 부 지 표 명
기준치
%
ICT
접근성
40%
  ① 인구100명당 유선전화 가입 건 수 
 60
 20
  ② 인구100명당 이동전화 가입 건 수
120
 20
  ③ 인터넷이용자 대비 국제인터넷대역폭
976,696
 20
  ④ 컴퓨터 보유 가구 비율
100
 20
  ⑤ 인터넷 접속 가구 비율
100
 20
ICT
이용도
40%
  ⑥ 인터넷 이용자 비율
100
 33
  ⑦ 인구100명당 유선 초고속인터넷 가입건수
60
 33
  ⑧ 인구100명당 무선 초고속인터넷 가입건수
 100
 33
ICT
활용력
20%
  ⑨ 중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100
 33
  ⑩ 고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100
 33
  ⑪ 평균수학연수(mean years of schooling)  
15
 33


붙임 2

 2016년도 ICT 발전지수 주요국 순위


(2015년 국가간 통계자료 집계결과)

종합순위
국가명
비고
지수값
부문별 순위
’16년
’15년
ICT접근성
ICT이용도
ICT활용력
1
한국
(-)
8.84
8.78
8
3
3
2
아이슬란드
(?1)
8.83
8.66
2
5
20
3
덴마크
(?1)
8.74
8.77
14
1
6
4
스위스
(?1)
8.68
8.50
9
2
31
5
영국
(?1)
8.57
8.40
3
9
29
6
홍콩
(?1)
8.46
8.47
4
12
33
7
스웨덴
(?1)
8.45
8.36
13
6
30
8
네덜란드
( - )
8.43
8.35
7
15
12
9
노르웨이
( - )
8.42
8.28
22
4
9
10
일본
(?1)
8.37
8.26
10
8
35
11
룩셈부르크
(?1)
8.36
8.34
1
10
70
12
독일
(?1)
8.31
8.13
5
21
23
13
뉴질랜드
(?1)
8.29
8.05
17
11
8
14
호주
(?2)
8.19
8.18
21
16
2
15
미국
( - )
8.17
8.06
19
18
1
16
프랑스
(?1)
8.11
7.95
12
17
36
17
핀란드
(?3)
8.08
8.11
39
7
10
18
에스토니아
( - )
8.07
7.95
27
14
15
19
모나코
(?1)
7.96
7.86
25
13
40
20
싱가포르
(?1)
7.95
7.88
11
19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