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식품성분 데이터를 국가표준으로 개발·관리한다-고품질 데이터 생산하는 국가 공인 데이터센터‘22년까지 100개로 확대

하이거 2021. 3. 18. 14:09

식품성분 데이터를 국가표준으로 개발·관리한다-고품질 데이터 생산하는 국가 공인 데이터센터‘22년까지 100개로 확대

 

담당부서표준정책과 등록일2021-03-18

 

 


식품성분 데이터를 국가표준으로 개발·관리한다

- 국표원, 국립농업과학원을 『국가 식품성분 데이터센터』로 지정 -
- 고품질 데이터 생산하는 국가 공인 데이터센터‘22년까지 100개로 확대 -

ㅇ A씨는 매일같이 살과의 전쟁을 고민하던 중 친구의 소개로 매일 아침마다 먹은 바나나 1개로 인해 그 동안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었는데, 그 바나나의 성분을 분석해 보면, 100 g 당 84 kcal의 다소 높은 열량을 갖고 있으나 탄수화물이 파인애플의 4배인 21.94 g를 차지하고 있어 포만감이 오래 유지되어 식사량 조절이 가능했고, 식이섬유가 1.9 g 포함되어 다이어트로 인한 변비도 예방할 수 있었다.

ㅇ B 초등학교의 영양사는 학생들에게 균형 잡힌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서 음식명, 식재료, 영양성분, 조리방법 등을 고려해 주별 식단을 작성하고, 인원수에 따른 구매량을 결정하며, 재고관리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ㅇ C회사는 국가표준 식품성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곡류군, 채소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과일군, 당류군, 나트륨 등 9개 식품군별 섭취량과 암환자가 먹어야 할 양을 비교하는 암환자 맞춤형 식단관리 정보를 제공하여 암환자의 건강을 되찾는데 도와주었다.
□ 디지털 뉴딜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이 현재 36개인 국가 공인 데이터센터*를 ’22년까지 100개로 발굴·육성하기로 한 가운데, 국립농업과학원이 37번째 데이터센터로 지정됐다.

* 분야별 핵심데이터(참조표준)를 측정수집하는 전문기관으로, 국가 공인 고품질 데이터를 개발제공하는 역할을 수행

ㅇ 국가기술표준원은 국립농업과학원을 국민 건강·영양 정책과 표준화 정책에 필요한 국가공인 핵심데이터(참조표준*)를 제공하는 ’국가 식품성분 데이터센터‘로 지정하고, 3월 18일 현판식을 개최했다.

* 참조표준 : 측정 데이터 및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평가하여 국가가 공인한 고품질의 데이터를 지칭(국가표준기본법 제2조)

【 국가 식품성분 데이터센터 현판식 개요 】
ㅇ 일시/장소 : ’21.3.18(목), 15:00~16:30 / 국립농업과학원 1층 푸디토리움

ㅇ 참석자 : 국립농업과학원장,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국장,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국가식품분석시스템(NFAS) 참여과제 책임자 등 30여명

ㅇ 행사내용 : 데이터센터 현판 제막식, 데이터생산시스템 논의 등

□ 국립농업과학원은 1970년부터 식품원료와 음식의 영양 성분을 분석해 기록한 ‘국가표준식품성분표’를 발간해 오고 있다.

ㅇ ‘19년부터는 농식품올바로(http://koreanfood.rda.go.kr) 포털을 통해 한국인이 소비하는 식품 3,088점의 영양 성분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다.

□ 국립농업과학원이 운영하는 국가 식품성분 데이터센터는 민․관․지자체와 협업하여 각종 식품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데이터를 개발·축적하고, 동 데이터는 국민 건강관리, 초․중․고 등 단체급식 영양사의 식단관리, 식품성분 데이터 기반 맞춤형 다이어트 서비스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국민 건강관리 > < 영양사의 식단관리 > < 맞춤형 다이어트 서비스 >



ㅇ 또한, 식품성분 데이터는 한국인의 영양 섭취 실태 파악, 만성질환에 적합한 식단관리, 식량 수급 조절, 국내외 식품유통 등에 활용되는 디지털 기반 농식품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국가기술표준원은 식품성분 분야 외에도 첨단소재, 바이오, 환경 등 분야별 핵심데이터를 측정·수집하는 데이터센터를 지속 발굴하고, 이들 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이번에 식품성분 분야의 데이터 센터를 신규 지정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농식품 산업 육성과 참조표준 확산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ㅇ “앞으로 국가 참조표준 데이터센터를 확대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품질과 호환성을 갖춘 양질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디지털 뉴딜의 토대를 다지겠다”고 밝혔다.


참고 1 국가식품성분데이터센터 현황

□ 국가식품성분데이터센터 조직도


□ 국가식품성분 DB 현황

구분 발간연도 식품 수(점) 영양성분 수 데이터양
초판 1970 476 17 8,092
1개정 1977 541 17 9,197
2개정 1981 815 17 13,855
3개정 1986 1,080 17 18,360
4개정 1991 1,426 19 27,778
5개정 1996 2,163 19 41,097
6개정 2001 2,337 19 44,403
7개정 2006 2,505 19 47,595
8개정 2011 2,757 22 60,654
9개정 2016 3,000 43 86,517
DB 9.1 2019 3,035 130 190,355
DB 9.2 2020 3,088 130 207,041
참고 2 참조표준 데이터센터 지정 현황

구분 데이터센터 소속기관 지정 분야
1 플라즈마물성 한국핵융합연구소 ‘06.12. 물리
2 금속소재 역학특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06.12. 재료
3 심‧뇌혈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06.12. 보건‧의료
4 유기화합물 열역학물성 고려대학교 ‘07.12. 화학공정
5 핵연료재료 한국원자력연구원 ‘08.12. 에너지∙자원
6 철강소재 미세조직 포항산업과학연구원 ‘08.12. 재료
7 인체치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08.12. 보건‧의료
8 천문역법 한국천문연구원 ‘09.01. 우주항공천문해양
9 중력가속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09.12. 기계
10 원자력 구조재료 역학물성 한국원자력연구원 ‘09.12. 에너지∙자원
11 표준게놈 게놈연구재단 ‘10.12. 생명과학
12 신재생에너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0.12. 에너지∙자원
13 고속물성 KAIST ‘10.12. 재료
14 한국인 뇌MR 영상 동국대학교병원 ‘10.12. 보건‧의료
15 한국인 뇌파 서울대학교 ‘11.12. 보건‧의료
16 한국인관절가동범위 충남대학교병원 ‘12.12. 보건‧의료
17 한국인삼 사포닌 한국인삼공사 ‘14.01. 농림·수산
18 수질 한국수자원공사 ‘14.01. 환경
19 한국인체성분 중앙대학교병원 ‘14.01. 보건‧의료
20 한국인 건강지수 국민건강보험공단 ‘15.01. 보건‧의료
21 혈류 경희의료원 ‘15.01. 보건‧의료
22 한국인 표준신경전도 서울대학교병원 ‘16.01. 보건‧의료
23 한국인 체열 일산병원 ‘16.01. 보건‧의료
24 영상기반 한국인 심장구조 연세대학교 의료원 ‘16.11. 보건‧의료
25 전자에너지손실 구미전자정보기술원 ‘16.11. 재료
26 환경방사능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6.11. 환경
27 한국인 호흡기능 연세의료원 ‘18.01. 보건‧의료
28 건축구성재 단열성능 한국건설생환환경시험연구원 ‘18.01. 에너지∙자원
29 융복합 세라믹소재 한국세라믹기술원 ‘18.01. 재료
30 전자파 물질상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8.01. 전기·전자
31 한국인 인체동작분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19.01. 보건‧의료
32 한국인 청각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19.01. 보건‧의료
33 화학증착소재물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9.01. 재료
34 한국인 내분비 호르몬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20.01. 보건‧의료
35 수문 한국수자원공사 ‘20.01. 환경
36 채소 생육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01. 농림
37 식품 성분 국립농업과학원 ‘21.01 농림
※ 2021년 1월 기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