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경영, 산업의 만남은 어디까지 왔나? - 11. 15.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 11. 28.~29. ‘예술경영 콘퍼런스’ 개최
게시일 2016.11.24. 담당부서 예술정책과
예술과 경영, 산업의 만남은 어디까지 왔나?
- 11. 15.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 11. 28.~29. ‘예술경영 콘퍼런스’ 개최 -
2015년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단의 공연 영상이 세계 70개국의 2000여 개가 넘는 극장에서 상영되며 거둬들인 수입은 315억 원(미화 2660만 달러)을 훌쩍 넘는다. 캐나다의 공연단체 ‘태양의 서커스’는 중국계 사모펀드가 매입하며 약 1조 7천억 원(미화 15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고, 중국 등 신흥시장 공략을 준비하고 있다. 얼마 전 영국 예술위원회는 보조금을 지원받는 600개의 예술단체가 최근 3년간의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평균 수입이 20% 증가했다고 발표하며 식음료, 기념품 등 부가수입이 대폭 성장(75%)한 것이 이를 견인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처럼 예술 현장에도 기능 분업화, 부가수익 창출, 신규시장 공략 등 민간 경영기법의 도입이 한창이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조윤선, 이하 문체부)는 11월 25일(금)부터 29일(화)까지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에서 (재)예술경영지원센터(대표 김선영)와 함께 국내외 예술산업 전문가를 초청하는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과, 예술경영의 최신 사례를 소개하고 예술과 기업의 제휴를 주선하는 ‘예술경영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예술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모색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개최되는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에서는 ‘예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부제 아래 국내외 학계와 기업·예술 현장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인다. 세계 최대의 클래식 음악 에이전시인 ‘아이엠지 아티스트(IMG Artists)’의 수석 부사장인 해럴드 클라크슨(Harold Clarkson)이 방한해 기획자, 매니저, 프로듀서, 프로모터 등의 역할로 분화되는 예술 기획사의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2015년 영국 가디언지가 뽑은 세계 10대 아트숍에 빛나는 싱가포르 국립미술관 내 아트숍을 운영하는 ‘갤러리앤코(Gallery&Co)’의 오리알 리(Aurial Lee)가 시각예술 분야 상품화(머천다이징) 사업 전략을 발표한다. 또한 서비스 차별화를 위해 예술 전문 방송채널을 신설해 공연과 전시 관람의 경험을 안방까지 제공하고 있는 국내의 엘지(LG)유플러스 사례도 소개한다.
국내의 내로라하는 예술경영 전문가들이 직업세계를 소개
올해 5회째를 맞이한 ‘예술경영 콘퍼런스’는 11월 28일(월)과 29일(화) 양일간 블루스퀘어 카오스홀과 북파크에서 개최된다. 먼저 28일에는 사업 기획, 조직 운영, 재원 조성 분야 등 10개 예술단체의 우수사례 발표와 함께 예술경영 취업 특강이 열린다. 특히 예술경영 취업 특강에는 극장경영 분야의 안호상 국립극장장, 공연 기획 분야의 김지원 이엠케이(EMK) 인터내셔널 대표 등 국내의 내로라하는 예술경영 전문가들이 직업세계를 소개하는 시간이 마련된다. 29일에는 예술단체가 기업과 사회공헌·문화마케팅 등 제휴사업을 직접 공개적으로 제안하고 삼성카드, 네이버, 현대제철, 기아자동차, 종근당 등 유수의 기업들과 이를 논의할 수 있는 1:1 상담 기회가 제공된다. 이밖에도 국공립 예술기관과 지역문화재단, 예술기획사 등 25곳에서 취업 상담을 지원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예술단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금과 후원금, 자체수입의 균형이 필수적이기에 이를 위한 예술계의 다양한 실험과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3일간 펼쳐질 포럼과 콘퍼런스를 통해 예술계 안팎의 현장과 학계의 전문가들이 모여 새로운 예술경영 모델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 상생하는 방안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쳐 나가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3일간의 행사에는 국내외 예술‧경영·산업계 관련 종사자와 정책 관계자, 연구자 등 1,0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누리집(www.gokams.or.kr)에서 사전 신청을 받는다.
붙임 행사 세부계획
붙임
행사 세부계획
1. 2016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
ㅇ (배경) 예술계의 자생력 강화를 위하여 민간의 경영기법을 도입, 시장개발 전략을 통하여 기존 보조금과 후원금 외에 수익 다변화, 산업화 접근 추진
- 전문 기획사를 통한 분업화, 관객 개발 및 마케팅, 아트상품영상화 등 부가시장 개발 및 투자환경 조성 등을 위한 국내외 산업현장, 학계간 논의
ㅇ (포럼 개요)
- (행사명) 2016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 <예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 (일 시) 2016년 11월 25일(금)
- (장 소)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 내 카오스홀(3층)
- (주 관) 문화체육관광부/(재)예술경영지원센터
- (대 상) 공연, 시각 등 문화예술 및 관련 산업, 정책 종사자 200여명
- (프로그램)
시 간
내 용
13:00~13:10
개회
13:10~14:30
(80분)
【세션 1. 우리는 왜 예술산업을 얘기하는가?】
발제 1. 예술산업 논의의 배경과 정책의 지향점 *20분
정종은(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토론 및 Q&A] *60분 ∙모더레이터 : 고정민(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 교수)
김형걸(굿윌어드바이저리 대표), 최봉현(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4:30~14:45
휴식 *15분
14:45~16:30
(105분)
【세션 2. 예술산업의 현재, 비즈니스 모델】
발제 2. 공연의 영상화 *15분
권성준(LG유플러스 콘텐츠소싱팀장)
발제 3. 시각예술 머천다이징 *15분
Aurial Lee(싱가포르 국립미술관 아트숍 디렉터) *세계 10대 아트숍 선정
발제 4. 에이전시 : 전문화 및 분업화 *15분
Harold Clarkson(IMG Artists 수석 부사장)
[발제자와의 대담 및 토론] *60분 ∙모더레이터 : 윤보미(봄아트 프로젝트 대표)
윤영빈(예술고래상회 Oaah 에이전시 대표), 이지은(누룩미디어 총괄PD)
한승원(HJ 컬쳐 대표)
16:30~16:45
휴식 *15분
16:45~18:15
(90분)
【세션 3. 예술산업의 미래】
발제 5. 예술, 미래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과제 *15분
이 홍(광운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발제 6. 예술과 기술, 산업의 결합 *15분
류한석(기술문화연구소 소장)
라운드테이블. 예술 스타트업 *60분 ∙모더레이터 : 이선철(감자꽃스튜디오 대표)
이재우(닷밀 공동 대표), 장동현(노페땅 대표), 최진한(AMHERST 대표)
18:15~
폐회 및 정리
ㅇ 해외 발제자 소개
성명 및 소속
소개
Harold Clarkson(IMG Artists 수석 부사장)
IMG Artists는 세계적인 클래식 에이전시로 30여년간 세계 스타들의 매니지먼트, 투어, 컨설팅, 축제 및 행사 기획 등을 맡아왔다. 바이올리니스트 사라 장(장영주), 최예은 등 이 소속 아티스트이다.
해롤드 클락슨(Harold Clarkson)은 45년간 문화예술 분야에서 행정가, 매니저로 일해왔으며, 프로 음악가이자 교육자이기도 하다. 2005년부터 IMG Artists에서 수석 부사장으로 독일지사를 총괄하고 있으며, 연간 약 300회 공연으로 약 25백만유로(한화 약 314억원) 매출을 올리고 있다.
독일 Konzertdirektion Schmid(1990-2005), 캐나다 국립예술센터(1984-1989) 등에서 근무했으며, 국제 아티스트 매니저 연합(International Artist Managers Association, IAMA)에서 회장을 역임(1997-2000)했다.
Aurial Lee
(Foreign Policy Design Group
아트 디렉터, 싱가포르국립미술관 내 갤러리앤코 MD 담당)
2015년 개관한 싱가포르 국립 미술관(National Gallery Singapore) 내 ‘갤러리앤코(Galley&Co)’는 그 해에 영국 가디언지에서 발표한 ‘세계 10대 미술관 아트숍’에 선정 되었다.
보통 미술관 관람 후 마지막으로 스치듯 지나가는 다른 아트숍들과는 달리, 멀티-컨셉 숍을 모토로 하고 있는 갤러리앤코는 호텔리어, 외식경영자, 디자이너, 뷰티 디렉터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설립하였다. 그 중 아트숍의 주요 큐레이팅 및 머천다이징을 Foreign Policy Design Group 이 담당하고 있다.
오리알 리(Aurial Lee)는 Foreign Policy Design Group에서 아트 디렉터를 담당하고 있으며, 브랜드전략과 싱가포르국립미술관의 전시와 머천다이징 관련 디자인팀을 관리하고 있다.
2. 2016 예술경영 콘퍼런스
ㅇ (배경) 예술계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전문예술법인ㆍ단체의 경영 우수사례를 소개 확산하는 한편 예비인력 취업상담 및 특강, 예술단체와 기업간의 협력사업 제안 기회를 마련
ㅇ (포럼 개요)
- (행사명) 2016 예술경영 콘퍼런스
- (일 시) 2016. 11. 28(월) ~ 29(화)
- (장 소)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 내 카오스홀, 북파크(3층) 등
- (주 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 (대 상) 문화예술 분야 현장 종사자(단체), 일반 기업 700명 예상
- (프로그램)
구분
구분
시간
주요내용
장소
1일차
(11. 28)
예술경영 취업 컨설팅
10:00~13:00
예술경영 직업세계 특강
카오스홀
기업협력제안 1:1 상담
10:00~12:00
(예술과 기업) 협력제안 1:1 상담
북파크
예술경영 우수사례 발표
14:00~18:00
예술경영 우수사례 발표 및 시상
카오스홀
2일차
(11. 29)
예술경영 취업 컨설팅
10:00~13:00
예술경영 취업 상담 운영
카오스홀
기업협력제안 1:1 상담
10:00~12:00
(예술과 기업) 협력제안 1:1 상담
북파크
기업협력사업 공모전
14:30~18:00
기업 협력사업 제안 경연 발표
카오스홀
□ 세부 프로그램(안)
1. 예술경영 취업 컨설팅
ㅇ 예술경영 직업세계 특강
- 대상: 예술경영 관련학과 전공 졸업(예정)자 등
- 특강 운영(안): 예술경영 직업세계 및 직무 등 현장 전문가 특강
분야
시간
강사(안)
공연 기획‧제작
10:00 ~ 10:50
- 김지원 (EMK인터내셔널 대표/연출)
극장경영
11:00 ~ 11:50
- 안호상 (국립중앙극장장)
전시 기획‧제작
12:00 ~ 12:50
- 김노암 (큐레이터, 전 세종문화회관 시각예술전문위원)
ㅇ 예술경영 취업 상담 운영: 25개 내외 국‧공립 기관 및 단체(기업)
- 문화예술 기관 및 단체 등 취업 상담(컨설팅) 부스 운영(25개)
- 참여기관 및 단체 리스트(안)
구분
기관 수
참여기관(단체)
국·공립 기관
8
국립극단, 국립중앙극장, 국악방송, 서울예술단,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인복지재단
광역·기초 문화재단
4
고양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성남문화재단, 중구문화재단(충무아트센터)
민간재단
3
수림문화재단, 태진문화재단, 사비나미술관
축제조직
2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기업(기획사 등)
7
마스트미디어, 빈체로, 신시컴퍼니, 에이컴퍼니, 인터파크씨어터(블루스퀘어), 크레디아, 크리스티 한국지사
기타(협회 등)
1
한국메세나협회
합 계
25
2. 예술경영 우수사례 발표
ㅇ 예술경영 우수사례 발표 및 심사
- 일시: 2016. 11. 28(월). 14시 ~ 18시
연번
단체명
공모신청명
대표자명
1
사회적협동조합
드림위드앙상블
발달장애인 전문연주자 창직
이옥주
2
(사)춘천마임축제
물의 도시 춘천을 불의도시로
권영중
3
구보댄스 컴퍼니
인천아트마켓-지역의 문화예술 유통창구를 열다
장구보
4
(사)극단 맥
품앗이 형태의 국제교류 플랫폼
이정남
5
(재)인천광역시
부평구문화재단
지역 가치 재창조, 부평구문화재단 창작음악극 <당신의 아름다운 시절>
박옥진
6
(재)부산문화재단
소주, 지역문화와 손잡다
김병기
7
(재)성남문화재단
(재)성남문화재단 학교문화예술교육주간 운영 사업
정은숙
8
장애인인식개선 오늘
대한민국장애인창작활동 콘텐츠 확산 프로젝트
박재홍
9
부산문화연구회
도시철도에서 책과 사랑에 빠지다
김성배
10
진조크루
“국내 유일한 세계 비보이 대회 BBIC” 개최
김헌준
- 최종 우수사례 표창 및 시상 (상금 총 20백만원)
3. 기업협력사업 제안 공모전 발표
ㅇ 기업협력사업 제안 경연발표
- 일시: 2016. 11. 29(화) 14시 30분 ~ 18시
연번
단체명
대표자
제안사업명
1
(주)더브릿지컴퍼니
윤동진
명품 모닝 콘서트
2
코어스토리
김선민
스토리 창작 교육 지원 사업
3
와이즈발레단
김길용
Bravo 당쉐르!
4
배우협동조합 사이
이민우
액터스 웨이브
5
창작그룹가족
윤돈선
찾아가는 바른먹거리 교육
6
스페셜아트
김민정
발달 장애 예술가의 콜라보레이션,
7
(주)눈썰미아트앤디자인
김진오
골목부활 아카이빙 플랫폼 구축
8
브릿지뮤직
김수진
장애인 예술가 창작음반 제작사업
- 최종 우수사례 시상: 10백만원 (1개 사례)
4. 기업협력제안 1:1 상담
ㅇ (목적) 기업 사회공헌 및 문화마케팅과 연계한 기업협력 제안 활성화
ㅇ (대상) 예술단체, 문화예술후원매개단체, 기업 사회공헌 및 마케팅 담당자 등
ㅇ (일시) 2016. 11월 28(월)~29(화) 10시 ~ 12시
ㅇ (운영) 참여 기업별로 30분간 문화예술단체 상담 운영
구분
단체명
참여 예술단체
(사) 춘천마임축제, 7Pictures, 프로젝트GR, (사)극단 맥, (사)부암뮤직소사이어티, Arts Incubator, 시스플래닛, 셀라컴퍼니, 재능나눔 사회적협동조합, 돔예술 사랑채, ㈜월메이드, 환기미술관, 세종문화회관, 사단법인 살렘, 맨처음(MANfirst), 문밖세상, 원영예술심리교육연구소, 공연예술집단노는이 등
문화예술후원 매개단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메세나협회, 문화예술사회공헌네트워크, CSR WIDE 등 *28일(월)
기업 사회공헌 및 마케팅 담당자
기아자동차, 네이버, 롯데그룹, 한국타이어, 엘지유플러스, KT, 태광그룹, 현대제철, 삼성카드, 종근당, 하나투어, 현대아산 등 *29일(화)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약산업 성과 창출, 혁신형 제약기업이 견인 - 2016년 혁신형 제약기업 성과보고회 개최 (0) | 2016.11.24 |
---|---|
한국전기연구원(KERI), 고출력 EMP 보호용 핵심소자 기술 국산화 개발-고출력/광대역 전자기펄스 공격 및 낙뢰 보호대책기술 확보 (0) | 2016.11.24 |
페로브스카이트 단점 없앤 대면적, 유연한(Flexible) 태양전지 만든다 (0) | 2016.11.24 |
성남시-경기KOTRA 뷰티 수출상담회 참가기업 모집 (0) | 2016.11.24 |
[Industrial Outlook]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트렌드와 시장전망 (0) | 2016.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