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21∼'25) 공청회 개최-2025년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 상용화 시대 개막
8일 온라인 생중계…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 발전전략 제시
담당부서첨단자동차과등록일2021-06-07 11:00
2025년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 상용화 시대 개막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21∼'25) 공청회 개최
- 8일 온라인 생중계…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 발전전략 제시 -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해 온라인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時/所/參) ’21.6.8(화) 10:30∼12:00 / 온라인 / 각 계 전문가 및 일반 국민(주최) 국토교통부, (주관) 한국교통연구원
ㅇ 이번 공청회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온라인으로 개최되며, 관심 있는 국민들은 온라인(유튜브)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되는 공청회 내용을 확인하고, 자유롭게 의견도 개진할 수 있다.
※ 온라인 참여방법 : ①한국교통연구원 누리집(https://www.koti.re.kr/index.do)에 접속 후 안내 배너 클릭, ②유튜브에서 “한국교통연구원” 검색 후 실시간 중계 시청(댓글을 활용하여 의견 개진 가능)
□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은 최초로 자율주행 분야에 특화되어 수립되는 법정계획으로,
ㅇ 작년 5월부터 시행중인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 체계의 발전 및 자율주행차의 확산을 목적으로 수립되는 5년 단위 계획이다.
□ 최근 자율주행 기술의 발달과 함께, 세계 각 국은 자율주행 셔틀, 택시, 배송 등 자율주행 기반의 교통물류체계의 도입을 위해 경쟁 하고 있으며, 정부는 자율주행차의 조속한 상용화 지원을 위해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을 수립하였다.
ㅇ 제1차 기본계획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용역(’20.8~ ’21.3)을 바탕으로 전문가 토론회 등을 거쳐 마련하였으며,
ㅇ 2025년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 상용화 시대 개막이라는 비전과 함께,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와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 (목표) ① 전국 고속도로 및 시도별 주요거점에서 자율주행 서비스 제공② 자율주행 서비스(10종 이상) 기술개발③ 자율차 상용화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제도·인프라 기반 완비
** (추진과제) ①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기술 고도화, ②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실증여건 확대, ③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사업환경 조성, ④ 자율주행 안전성 강화 및 기술 수용성 제고, ⑤ 자율주행 교통물류 생태계 조성
□ 이 날 공청회에서는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의 비전, 목표 및 추진과제를 발표하고,
ㅇ 관련 전문가들이 공청회 현장에 참석하여 내실있는 계획수립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 국토교통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하여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 최종안을 마련하고,
ㅇ 국가교통위원회(위원장 : 국토교통부장관)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을 확정ㆍ고시할 계획이다.
ㅇ 관심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www.molit. go.kr)을 통해 계획(안) 내용을 확인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참고1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 공청회 개요
□ 회의 개요
ㅇ (時/所) ’21.6.8(화), 10:30~12:00 / 한국교통연구원 대회의실(유튜브 생중계)
ㅇ (주최) 국토교통부, (주관) 한국교통연구원
ㅇ (목적) 「자율차법」에 따라 수립 중인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에 대한 의견 수렴 및 보완방향 논의
*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기본계획의 수립)
□ 상세 일정(안)
ㅇ (발표) 한국교통연구원 김규옥 센터장(연구책임자)
ㅇ (토론) 유정훈 교수(좌장), 현대차, 전자통신硏, 자동차硏 등 6명
시 간
일 정
발 표 내 용
10:30∼10:40
(10분)
개회식
개회사 : 오재학 원장 (한국교통연구원)
축 사 :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
10:40∼11:00
(20분)
주제발표
김규옥 미래차교통연구센터장 (한국교통연구원)
11:00∼11:35
(35분)
패널토의
<좌장>
유정훈 교수(아주대학교)
<토론자>
박재용 팀장(현대자동차)
장성욱 상무(카카오모빌리티)
최정단 본부장(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재관 본부장(한국자동차연구원)
조성우 실장(교통안전공단)
11:35∼11:55
(20분)
질의응답
11:55∼12:00
(5분)
정리 및 폐회
참고2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의 목표 및 추진전략
비 전
2025년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 상용화 시대 개막
목 표
(2025)
◈ ‘25년 전국 고속도로 및 시·도별 주요 거점*에서 자율주행 상용서비스 제공
*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규제자유특구 등
◈ ‘25년 자율주행 서비스(10종 이상) 기술개발
* 교통(BRT, 수요응답형, 공유차, 교통약자 전용), 물류(화물차 군집주행, 생활물류 배송), 도시관리(청소, 수거, 순찰, 긴급차량 통행지원) 등
◈ 자율차 상용화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제도·인프라 기반 완비
추진전략
◈ 조속한 상용화를 위해 “기술개발-실증-사업화” 全단계 지원강화
◈ 자율차 안전도 향상을 통한 서비스 국민 수용성 제고
◈ 지속가능한 산업을 위한 新산업 생태계 조성
추진과제
전략
추진과제
?(기술개발)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기술 고도화
①자율주행 여객 서비스 구현
②자율주행 화물배송 서비스 구현
③자율주행 사회기반 서비스 구현
?(실증)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실증여건 확대
①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관리체계 구축
②규제자유특구를 통한 실증·상용화 추진
③자율주행 테스트베드 확대 구축
?(사업화)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사업환경 조성
①디지털 도로인프라 구축
②자율협력주행 통신인프라 구축
③자율주행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④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평가체계 구축
?(안전) 자율주행 안전성 강화 및 기술 수용성 제고
①자율주행 안전기술 고도화
②사이버보안 및 안전사고 대응체계 마련
③통신성능 안전성 평가기준 마련
④안전기준 국제조화 기반 마련
⑤자율주행 사회적 수용성 향상
(생태계) 자율주행 교통물류 생태계 구축
①자율주행 국제협력체계 구축
②자율주행 상용화 촉진 기반 조성
기대효과
◈ (편의성) 대중교통 접근시간 20% 감축, 환승률 50% 감축
◈ (안전성) 운전자 부주의 관련 버스사고 50% 감축
◈ (일자리) 자율주행 서비스, 데이터 분야 1만개 창출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선정-롯데케미칼㈜ 권오성 팀장 / ㈜포스콤 나창식 책임연구원 (0) | 2021.06.07 |
---|---|
국민이 체감하는 디지털뉴딜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8개 선정 (0) | 2021.06.07 |
8일부터 「자동차관리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자동차등록증 없이도 자동차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0) | 2021.06.07 |
한국판 뉴딜 핵심 자원, 공간정보로 디지털 트윈 생태계 실현을 앞당기겠습니다-국토교통부, 4개 기관과 공간정보 활용 협약식… 공간정보 댐 구축 추진 (0) | 2021.06.07 |
국민신뢰 회복을 위한 한국토지주택공사 혁신방안 발표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