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선정-롯데케미칼㈜ 권오성 팀장 / ㈜포스콤 나창식 책임연구원

하이거 2021. 6. 7. 13:26

2021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선정-롯데케미칼 권오성 팀장 / 포스콤 나창식 책임연구원

부서 과학기술안전기반팀

 

 

 

2021년 6월‘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수상자 선정  

- 롯데케미칼㈜ 권오성 팀장 / ㈜포스콤 나창식 책임연구원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1년 6월 수상자로 롯데케미칼㈜ 권오성 팀장과 나창식 ㈜포스콤 책임연구원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ㅇ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을 장려하고 기술자를 우대하는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매월 대기업과 중소기업 기술자를 각 1명씩 선정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을 수여한다.

 

□ 먼저, 대기업 수상자인 권오성 롯데케미칼㈜ 팀장은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전체 단위 공정 촉매의 독자 개발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ㅇ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공정은 에너지 효율성이 낮아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활성이 우수한 촉매의 발굴이 필요했다. 권오성 팀장은 원료에서부터 제품에 이르는 3단계 단위 공정의 모든 촉매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고 양산화하는 성과를 냈다.

 

   - 이러한 성과는 일본에 의존했던 핵심 기술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혁신적인 에너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내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ㅇ 권오성 팀장은 “치열해지는 세계 경쟁 가운데, 우리나라 화학 소재 산업의 발전과 핵심 기술의 자주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중소기업 수상자인 나창식 ㈜포스콤 책임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한 개의 배터리셀로 작동하는 초경량 휴대용 엑스(X)선 장치 개발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ㅇ 기존 엑스선 장치는 상용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전원 선(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나창식 책임연구원은 1셀 배터리 적용을 통한 엑스선 장치의 초경량화와 스마트폰과의 호환성 확보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이는 성과를 냈다.

 

   - 이 신제품은 해외 제품 대비 휴대성이 높고 세계 유일의 스마트폰 기반(인프라) 적용으로 보조 배터리 사용, 무선 충전, 블루투스 사용이 가능하여 의료, 소방 현장 등에서도 활용 가치가 높다.

 

 ㅇ 나창식 책임연구원은 “휴대용 엑스선 장치의 신기술⸱신제품 개발에 매진하여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붙임  1.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이력

      2.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연구개발 이야기

 

 

붙임1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이력

 

? 권 오 성

 

 □ 인적사항

 

  ㅇ 성명 : 권오성(權五成)

  ㅇ 소속 : 롯데케미칼㈜

  ㅇ 직위 : 팀장

 

 

 □ 주요 경력

   ㅇ 2004.09 ~ 2016.01    삼성SDI㈜ 책임⸱수석연구원

   ㅇ 2016.02 ~ 2019.12    ㈜롯데첨단소재 PC중합팀 팀장

   ㅇ 2020.01 ~ 현재       롯데케미칼㈜ PC중합팀 팀장

 

 

? 나 창 식

 

 □ 인적사항

 

  ㅇ 성명 : 나창식(羅昌植)

  ㅇ 소속 : ㈜포스콤

  ㅇ 직위 : 책임연구원

 

 

 □ 주요 경력

   ㅇ 2001.07 ~ 현재       ㈜포스콤 책임연구원 

 

 

 

붙임2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연구개발 이야기

 

 

? 권 오 성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권오성의 연구개발 이야기

 

ㅇ 권오성 팀장은 2004년 폴리카보네이트 제품 개발 과제 및 공정 개선 과제를 다수 수행하였으며, 2010년부터는 촉매 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 과제를 담당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3단계 단위 공정(에틸렌옥사이드-에틸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디페닐카보네이트)의 반응 구조를 연구하고 활성을 높이기 위한 촉매 구조를 고안하였다. 하지만 반응성 개선, 제품의 품질, 촉매 재생, 설비 안정성 등의 요건들을 동시에 만족하는 촉매를 발굴하기란 쉽지 않았다.

  

ㅇ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2012년 디페닐카보네이트 제조 촉매를 가장 먼저 개발하여 수율을 40%나 높였으며, 2017년에는 디메틸카보네이트 제조 촉매 개발로 생산성과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발에 착수한 에틸렌카보네이트 촉매는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이후 현재까지 10년 넘게 일본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어서, 최근 일본과의 무역 분쟁으로 인해 소재 부품의 국산화가 더욱 절실한 상황이었다. 

 

ㅇ 권오성 팀장은 촉매 디자인에서부터 촉매 제조처 발굴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독자적으로 진행하여 3회에 걸친 현장 적용 평가 실패에도 굴하지 않고 2020년 양산화를 성공시킴으로써 촉매 자주화를 이루었다. 이로써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전 단위 공정의 촉매 개발이 완성되어 기술적 독립과 함께 핵심 기술을 선점할 수 있었다.

 

ㅇ 현재 권오성 팀장은 폴리카보네이트 제품 개발과 공정 개선을 총괄 담당하고 있으며 더 우수한 촉매 발굴을 위한 연구개발에 지속 매진함으로써 국내 소재 산업의 기반 기술 마련에 기여하고 있다.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연구성과 그림 (권오성)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공정]

[단위 공정 촉매 개발]

 

 

? 나 창 식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나창식의 연구개발 이야기

 

ㅇ 나창식 책임연구원은 약 18년간 의료기기 분야 연구개발에 매진함으로써 엑스(X)선 장비 초경량화와 정보기술(IT) 기술과의 결합 등을 통해 회사의 발전 및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였다. 2001년에는 의료용 전환 전원 공급기와 엑스선 장치 개발을 다수 수행하였으며, 특히 2012년부터 치과용 엑스레이(X-ray) 제품과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엑스선 장치의 연구개발을 수행하였다. 

 

ㅇ 개발 초기에는 배터리의 부피, 무게, 용량에 대한 제약이 많아 상용화에 수차례 실패를 하였고, 소형이지만 대용량의 슈퍼커패시터를 사용하는 기술개발을 시작하였다. 이후 배터리와 슈퍼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슈퍼커패시터의 충전 균형화 기술을 적용하는 등 안정화 작업 성공을 통해 휴대용 엑스선 장치 소형화를 가능하게 했다.

  

ㅇ 이러한 연구개발 성과를 기반으로, 2018년에는 1.6kW급 휴대용 엑스선 장치와 5.3kg 고성능 휴대용 엑스선 장치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 장치는 단 한 개의 배터리셀(3.7V 5AH)로 동작하는 휴대용 엑스선 장치(90kV 1.6kW)로 세계 최초 개발되었다. 또한 휴대폰 인프라 적용을 통해 유⸱무선 충전과 휴대폰 보조배터리 사용이 가능하고, 휴대폰 충전기의 고속충전을 지원하여 급속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한번 충전하면 약 110회 영상 촬영이 가능하여 인체용, 동물용 촬영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ㅇ 나창식 책임연구원은 배터리 유형의 휴대용 엑스선 장치 경량화, 에너지 축적 장치의 최소화 및 안정화 성과를 더욱 발전시켜 엑스선 장치의 신기술 개발에 더욱 매진할 예정이다.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연구성과 그림 (나창식)

 

 

 

[1.6kW급 X-ray Generator (AirRay-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