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제3회「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개막- “핀테크와 지속가능한 금융혁신”을 주제로 온‧오프라인 동시개최

하이거 2021. 5. 27. 09:33

3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개막- “핀테크와 지속가능한 금융혁신을 주제로 온오프라인 동시개최

담당부서 : 금융혁신과

 

제 목 : 제3회「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개막

- “핀테크와 지속가능한 금융혁신”을 주제로 온‧오프라인 동시개최 -

■ 제3회 코리아 핀테크 위크가 5.26(수) 10시, 온*‧오프라인** 동시 개막

 

*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 홈페이지(www.fintechweek.or.kr/2021)

** ‘5.26(수) 10:00~15:30, 여의도 콘래드 호텔(코로나19로 인해 사전 초청된 인원만 오프라인 참석 가능하나,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누구나 관람 가능) 

 

ㅇ 핀테크 산업의 성장을 통한 디지털 금융혁신이 코로나19를 극복하고 향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운영

 

■ 핀테크 투자 유치, 채용, 홍보 등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과거보다 대폭 확대․개편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

 

ㅇ 핀테크 기업 IR, 투자자(VC) 상담회 등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100여개 이상의 핀테크 기업들에 실질적인 투자유치 기회 제공 

 

ㅇ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기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핀테크 기업‧금융회사의 채용정보 제공 및 직접 채용까지 진행할 예정 

 

■ 특히 국내뿐 아니라 해외 핀테크 기업 및 투자자가 참여해 우리 핀테크 산업의 국제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ㅇ 국내 핀테크 인프라와 핀테크 산업을 홍보하여 핀테크 기업의 투자자 유치, 해외진출 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1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주요내용

▣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Korea Fintech Week 2021)가 5.26.(수)부터 5.28(금)까지 3일 간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 

 

※ ‘19년부터 핀테크에 대한 인식 확산 등을 위해 그간 매년 행사 개최

 

ㅇ 이번 박람회는 전년도 온라인 형식을 벗어나 보다 현장감 있고 수요자 친화적 운영을 위해 온‧오프라인 방식을 병행

 

* 온라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 홈페이지(www.fintechweek.or.kr/2021)

 

ㅇ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오프라인 참석이 어려운 분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게 핀테크기업 IR 등 오프라인 행사를 실시간 온라인 중계

 

▣ 오프라인 행사에서는 각국의 다양한 핀테크 동향을 공유하고, 과거대비 대폭 확대 개편*된 방식으로 핀테크 체험과 투자 기회를 제공

 

※ 온라인 투자설명회 부스 위주 방식에서 벗어나 오프라인 방식의 IR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실질적인 투자 매칭을 위해 온라인 프로그램도 다양화 

 

ㅇ 개막식에서는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환영사에 이어 윤관석 정무위원장, 주한 캐나다 대사 등 국내외 주요 인사의 축사 및 기조연설이 진행

 

ㅇ 이어 금년도 디지털 금융혁신 정책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하고, 국내 핀테크 대표기업들이 기업과 혁신금융서비스를 소개하는 전시부스 시연과 우수 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IR 행사*도 진행

 

* 경진대회 형식으로 개최하여, 우수 기업에게는 실제 투자가 이루어질 예정

 

▣ 한편, 온라인 행사에서는“투자‧체험‧채용의 장(場)”을 마련 

 

ㅇ 핀테크 기업과 투자자(VC) 및 금융회사간 1:1 온라인 미팅, 온라인 전시관을 통한 비즈니스 매칭, 핀테크 투자설명회 등을 개최하여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유치의 계기를 마련 

 

ㅇ 또한, 일반국민, 학생, 예비취업자에 핀테크를 체험하고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전시관, 채용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

 

* ➊온라인 전시관(146개 부스) : 핀테크 기업, 금융사, 글로벌 기관 등이 참여

➋세미나(14개) : 유튜브 인플루언서(슈카월드, 신사임당) 등이 참여하는 다양한 콘텐츠

➌채용관(54개 기업, 140여명 채용 예정)

➍핀테크 취업토크, 교육관, 체험관, 이벤트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 

 

▣ 2021 서울 P4G 정상회의(5.30~31.) 개최를 계기로 P4G 녹색금융 특별전시도 진행되며, 녹색금융·ESG 관련 국내외 동향 등을 소개

2 개막식 등 오프라인 행사 주요내용 ※홈페이지 및 유튜브 생중계 

◈ 5.26일 오프라인 행사에서는 ➊국내외 핀테크 산업 동향과 ➋‘21년 핀테크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 핀테크 기업들의 자사 서비스 시연 및 IR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➌핀테크 체험과 ➍투자 기회를 제공

 

1 개막식 및 기조연설

 

□ 국내외 연사의 축사 및 기조연설을 통해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핀테크 산업 및 정책 동향을 접할 수 있는 장(場)을 마련 

 

➊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환영사에서 글로벌 핀테크 동향을 조망하고, 그간 정부의 핀테크 정책을 소개하고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발표

 

※ (별첨1) 은성수 금융위원장 환영사

 

- 핀테크 발전이 글로벌 금융산업의 지형을 바꾸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언급

 

- 향후 핀테크육성지원법 제정, D-테스트베드 운영 등을 통해 금융권 핀테크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핀테크 유니콘 등장을 촉진하여 핀테크 성장 및 디지털 금융혁신을 가속화하고,

 

- 금융의 디지털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금융안정에도 힘쓸 것임을 강조

 

- 이번 행사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각국의 혁신경험과 지혜를 공유하고 금융혁신 지속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

 

➋ 윤관석 정무위원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그간 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한 입법노력을 소개하고 향후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약속 

 

- ’19년부터 핀테크 기업의 서비스 홍보, 투자유치, 채용의 장이 되어 온 「코리안 핀테크 위크」를 통해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고 있는 핀테크 기업에 보다 유익한 기회의 장이 되기를 희망 

 

- 국회는 그간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제개정을 통해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140건의 혁신금융서비스 출시를 지원하고, 신용정보법 개정을 통해 마이데이터 산업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 특히 ’20.11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을 직접 대표발의하는 등 다양한 입법노력을 통해 핀테크 산업 육성을 뒷받침

➌ ZHOU Liang 중국 CBIRC* 부주석은 영상 축사를 통해 중국의 핀테크 육성 정책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공유 

 

* China Banking and Insurance Regulatory Commission,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

 

-  중국 금융 부문의 지속적인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업과 개인의 금융수요를 보다 더 잘 충족시켜 왔음 

 

- “Better FinTech, Better life”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①실물경제를 지원(serving the real economy)하고 ②고객중심 등 올바른 방향으로 혁신을 추진하고 ③건전성 규제를 강화하고 ④국제적으로 규제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 

 

➍ 마이클 대나허(Micheal Danagher) 주한 캐나다 대사는 캐나다의 핀테크 정책 및 산업동향, 양국간 협력 필요성에 대해 기조연설

 

- 한국의 오픈뱅킹, 디지털 샌드박스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핀테크가 ’20년 한국정부의 최우선 순위 분야중 하나임을 강조 

 

- 캐나다는 우수한 ICT 인프라, 금융권의 협력, 규제 시스템 등에 기반하여 뱅킹, 인슈어테크, 레그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으며, 토론토 등 여러 핀테크 중심지를 소개 

 

- 아울러, 캐나다 정부와 기업은 한국 핀테크 산업과 적극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강조

 

➎ 제임스김(James Kim)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은 핀테크를 통한 금융혁신 지속의 중요성과 한국의 핀테크 정책에 대해 기조연설 

 

-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그간 비자(Visa), 아마존 등의 핀테크 기업 협력 사례처럼 금융과 IT 업계의 협력이 필수적

 

- 또한, 핀테크 혁신을 위한 중요한 의제는 국제적 표준(Global standard)이며, 국제적 표준에 걸맞는 규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모든 이해관계자의 노력이 필요 

 

- 한국은 핀테크 산업 성장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글로벌 투자자들은 한국의 핀테크 산업 육성 정책에 주목하고 있음

 

- 이번 행사를 통해 양국의 핀테크 전문가들이 한국 핀테크 시장을 잘 이해하고 양국 간 협업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 

2 정책설명회

 

이형주 금융위 금융혁신기획단장은 최근 글로벌 핀테크 산업 동향을 소개하고 그간 핀테크 정책성과 및 향후 발전전략에 대해 발표

 

➊ 글로벌 핀테크 산업 동향을 소개하고 핀테크 기업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 편익과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 

 

➋ 그간 추진한 금융규제 샌드박스, 핀테크 산업 육성, 금융혁신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디지털 금융혁신 정책과 성과를 소개 

 

➌ 향후, 혁신과 안정의 균형을 위한 핀테크 산업 발전전략 발표

 

- D-테스트베드 도입, 성장단계별 체계적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 핀테크 육성을 가속화하고 

 

- 언택트 시대에 적합한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금융회사 등의 보안수준별·업무특성별 망분리 규제의 단계적 합리화 추진 

 

- 자기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체계와 금융권 데이터 인프라 등 디지털 혁신을 뒷받침할 금융인프라를 구축할 계획 

 

이어, 금융위·금감원·성장금융·핀테크지원센터는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접수한 핀테크기업 관심사항 및 질의에 대해 답변

 

ㅇ 질의를 제기한 기업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소관 담당자가 직접 핀테크 정책·감독·투자·지원에 관한 질의에 답변하였으며, 참가 기업은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 

 

3 전시부스 서비스 시연

 

□ 참여 희망 기업 중 서비스의 혁신성, 서비스 성격, 기업 규모 등을 균형 있게 감안하여 선정된 우리나라 대표 7개 핀테크 기업*이 자사 핀테크 서비스를 직접 시연

 

* 핀테크지원센터는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를 거쳐 비바리퍼블리카·카카오페이(핀테크 종합 금융서비스), 아톤(핀테크 보안 솔루션), 파운트(로보어드바이저), 그레이드헬스체인(건강‧금융 융합 플랫폼), 스몰티켓(인슈어테크), 학생독립만세(후불제 교육비용 금융플랫폼) 선정 

ㅇ 특히, 혁신‧포용‧융합 등 다양한 주제를 감안하여 폭넓은 분야의 핀테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골고루 선정 

 

‧ (비바리퍼블리카) 간편이체를 바탕으로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보험, 증권, 은행 영역에 진출

 

‧ (카카오페이) ‘14년 출시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바탕으로 증권·보험 등 다양한 영역으로 서비스를 확장

 

‧ (아톤) 안전하고 간편한 금융보안 솔루션을 핀테크 기업에게 제공

 

‧ (파운트) 금융상품 투자에 인공지능(AI) 분석을 도입하여, 일반 투자자에게 쉽고 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그레이드헬스체인) 건강정보에 따라 금융상품 할인을 연계하여 다양한 혜택 제공

 

‧ (스몰티켓) 국내 최초 시간제 이륜차 보험서비스를 제공하여 보험 사각지대 해소

 

‧ (학생독립만세) 금융소외계층인 학생이 원하는 교육을 받고, 비용을 후불로 납부하는 플랫폼

 

ㅇ 전시장 방문자는 지급결제·인슈어테크·자산관리·금융보안 등 금융소비자 편익을 제고하는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를 체험 가능

 

4 핀테크 기업 IR 경진대회 

 

□ 핀테크 기업의 IR을 생중계하여 투자자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우수 기업에는 실제 투자를 진행

 

ㅇ IR 경진대회 심사 결과 선정된 우수 기업에는 핀테크혁신펀드 운용사와의 협의를 거쳐 실제 투자로 이어질 예정

 

※ 선정 결과 등에 대해서는 추후 별도 보도자료 배포 예정

 

ㅇ 특히 금번 행사에서는, 여러 분야에 걸친 다양한 기업에 폭넓은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사전에 개최하여 100여개 핀테크 기업에게 투자 유치 기회를 제공

 

※ 「Fin-Investment : 100번의 만남」 개요 

 

행사명 내 용

핀테크혁신펀드  ‧ 박람회 이전 개최되는 각 금융회사 핀테크랩 

Deal Day 자문단 데모데이에 핀테크혁신펀드가 참여, 투자 검토

핀테크랩X핀테크혁신펀드 연계 데모데이 ‧ 각 금융회사 핀테크랩이 추천하는 핀테크 기업과 한국성장금융간 1:1 투자 미팅 

3 전시관 등 온라인 행사 주요내용

◈ 금번 온라인 행사에서는 기존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신설을 통해 “투자-체험-채용의 장(場)”을 마련 

 

ㅇ 핀테크 기업과 투자자, 금융회사와의 네트워킹, 전시관 내 비즈니스 매칭 기능, 투자설명회 개최 등 투자유치의 계기를 마련

 

ㅇ 핀테크 서비스‧기술을 쉽고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전시관, 세미나, 체험관 등의 행사가 진행

 

ㅇ 핀테크 특화교육부터 취업정보 제공, 채용까지 취업지원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1 투자의 장(場)

 

□ 이번 박람회를 통해 핀테크 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 유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투자자 및 금융회사와의 네트워킹 등 지원 

 

➊ 투자유치를 원하는 우수 핀테크 기업(42개사)과 핀테크 전문투자자(38개사)간 1:1 온라인 미팅을 처음으로 진행(5.27(목), ‘핀테크 기업-투자자 상담회’) 

 

➋ 아울러, 금융회사(19개사)와 핀테크 기업(42개사)간 1:1 네트워킹을 실시하여 상호 협업의 계기를 제공(5.27(목), ‘네트워킹 밋업')

 

※ 핀테크 기업-투자자간, 핀테크 기업-금융회사간 1:1 온라인 미팅내용은 비공개

 

❸ 또한, 기업별 온라인 전시관 부스 내 ‘명함교환’ 및 ‘비즈니스 매칭’ 기능을 신설하여 투자자와 투자대상기업 간 소개를 통해 실제 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

 

➍ 핀테크혁신펀드 운용사의 투자전략, 투자대상 선정기준 등 핀테크 기업에 보다 유용한 정보제공을 위해 '핀테크 투자설명회'도 마련(5.26(수) 10시부터 공개) 

 

2 체험의 장(場)

 

□ 핀테크에 관심있는 일반국민, 학생들이 핀테크 서비스‧기술을 체험하고 최신 핀테크 관련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5.26(수) 10시부터 동시공개)

➊ 오프라인 전시장과 유사하게 3D로 구현된 ‘온라인 전시관(146개 부스)*’에서 핀테크 기업‧금융회사 등의 혁신적 서비스를 소개 

 

* 핀테크 스타트업관, 핀테크 스케일업관, 금융핀테크관, 핀테크 정책관(유관기관관), 글로벌관 등 5개관을 운영하며, 과거 2D방식이 아닌 3D방식 운영으로 운영 

 

➋ 마이데이터, 디지털 지급결제, 보안‧인증, 보험산업의 AI 적용 등 최신 핀테크 산업 및 기술을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

 

* 기존의 일방적 1인 강의 형식을 벗어나 금융결제원, 신용정보원 등 13개 기관의 발표와 함께 토론‧체험리뷰 등 다양한 형식으로 확대개편하여 총 14개 세미나 진행

 

❸ ‘알기쉬운 핀테크‘, ’보이스피싱 예방 체험관‘ 등 ‘체험관’을 운영하여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핀테크 컨텐츠를 쉽게 소개하고, 보이스피싱 간접체험, 방지앱‧기술 등도 소개하여 경각심을 유도

 

* 보이스피싱 예방체험과 관련하여 간접체험 등 콘텐츠를 확대‧개편하고 웹툰, UCC, 카드뉴스 등으로 다양화. 아울러 핀테크 저변 확대를 위해 알기쉬운 핀테크 체험관 신설 

 

3 채용의 장(場)

 

□ 예비취업자들이 이번 박람회에서 핀테크 관련 지식을 쌓고, 유용한 채용정보를 듣고, 취업의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채용의 장(場)’ 마련

 

➊ ‘교육관’에서 2가지 코스의 핀테크 특화 교육*을 제공하고, 향후 구직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수료증 발급(5.26(수) 10시부터 공개)

 

* 종전의 단순한 취업지원 교육서비스가 아닌 핀테크 특화(인터넷전문은행, 간편결제‧지급, AI, 금융클라우드 등), 금융데이터(오픈뱅킹, 금융빅데이터, 마이데이터등) 코스로 운영 

 

➋ 핀테크 기업, 금융회사, 취업전문기관 인사담당자가 채용정보, 인재상 등을 설명하고 취업 관련 질의응답, 취업 꿀팁 등을 소개하는 ‘핀테크 취업토크’를 진행(5.28(금), 14:00~16:00)

 

❸ ‘채용관’에서는 핀테크 기업, 금융사, 유관기관 등 54개 기업의 채용정보 등을 설명하고, 36개 핀테크 기업은 실제 채용까지 진행예정(전년 80여명 대비 대폭 확대된 최대 140여명, 잠정)*(5.26(수) 10시부터 공개)

 

* 채용관 내 ‘지원하기’ 기능을 통해 서류전형 접수 후 해당 기업에서 개별면접 진행 예정 

4 P4G 녹색금융 특별전시 

 

□ 2021 서울 P4G 정상회의(5.30~31.) 개최를 계기로 국민들의 녹색금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관련 온‧오프라인 전시를 병행 

 

P4G (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 민‧관 협력사업 지원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가속화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2017.9월 덴마크 주도로 출범) 

 

o 회원국(총 12개국) : 우리나라, 덴마크, 네덜란드, 베트남, 멕시코, 칠레, 남아공 등

- 6개 국제기구(WEF, UN Global Compact 등), 240여개 기업‧시민단체 등 참여

 

■ 녹색금융 특별세션 

 

ㅇ (주제) : 「포스트 코로나19 녹색회복을 위한 금융의 역할」

 

ㅇ (일시) : ‘21.5.29.(토) 20:00~22:00

 

 

구 분 주요연사

개회사 금융위원장

기조연설(3名)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 

다보스포럼(WEF) 회장 / 국제금융공사(IFC) CEO 

패널토론(7名)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사무총장·녹색기후기금(GCF) 사무총장·유럽투자은행(EIB) 총재·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CFD) 사무국장·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 사장·산은회장·국민연금공단 이사장 

마침말/폐회사 국제결제은행(BIS) 부대표 / 환경부장관

 

➊ (P4G) P4G 이니셔티브 및 오는 5.29일 개최되는 녹색금융 특별세션 프로그램의 연사 및 아젠다 등 소개

 

➋ (녹색금융) 녹색금융의 개념 및 발전과정, 필요성, 주요 국제 이니셔티브, 정책방향 등 소개

 

* 녹색금융 소개 영상(금융위‧UNEP FI 공동제작)

 

❸ (ESG) 핀테크를 통한 ESG 기여방안(세미나), ESG 개념 및 국내외 동향 등 다양한 ESG 관련 교육컨텐츠* 게재

 

* 한국핀테크지원센터, 한국거래소 및 사회적가치연구원 협조

 

※ IBK 기업은행(전시 후원)이 추진하고 있는 ESG 경영활동 소개도 포함 

 

☞ 본 자료를 인용 보도할 경우 출처를 표기해 주십시오. 금융위원회 대 변 인

http://www.fsc.go.kr prfsc@korea.kr

 

“혁신금융, 더 많은 기회 함께하는 성장”

참고1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행사개요

일자 5.26(수) 5.27(목) 5.28(금)

장소 주 행사장 오프라인 전시공간 [홈페이지] [홈페이지] [홈페이지]

[여의도 콘래드호텔]

[홈페이지·유튜브 생중계]

09:20-09:30(‘10) 주요내빈 환담

09:35-09:55(‘20) 주요내빈 전시부스 격려

09:55-10:00(‘05) 개막식장으로 이동

10:00-10:03(‘03) 내빈 입장 및 소개 [온라인 동시공개

10:03-10:10(‘07) 개막식 퍼포먼스 (Open-run*)]

10:10-10:15(‘05) 금융위원장 환영사 * 약1년간 홈페이지 상시 공개 예정

10:15-10:20(‘05) 정무위원장 영상 축사  ➊ 전시관

10:20-10:25(‘05) CBIRC 부주석 영상 축사 ➋ 채용관

10:25-10:35(‘10) 주한 캐나다 대사 ➌ 교육관

기조연설 ➍ 체험관

10:35-10:45(‘10)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기조연설 ➎ 세미나 및 

11:05-12:00(‘55) ‘21년 핀테크 정책을 듣다(정책설명회) 특별세션 [온라인 실시간 진행] 11:00~12:00(‘60)

(투자설명회 포함) 싱가포르 비자(VISA) 이노베이션 센터 투어

12:00-13:00(‘60) Break Break ➏ 이벤트

13:00-14:00(‘60) 전시부스 쇼케이스

14:00-15:00(‘60) [온라인 실시간 진행] 핀테크 기업-투자자(VC) 상담회 [온라인 실시간 진행] 

핀테크 기업 IR(‘90) 핀테크 취업토크

15:00-16:00(‘60) [온라인 실시간 진행] 네트워킹 밋업

 

 

【별첨 2】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 리플렛

【별첨 3】 전시 부스 리스트

참고2 오프라인 행사 세부내용 

 

1 개막식 및 기조연설

 

□ 일시/장소 : 5.26(수), 10:00∼10:45 / 온라인* 생중계

 

*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 홈페이지(www.fintechweek.or.kr/2021) 및 금융위 유튜브

 

□ 참석자 : 연사, 유관기관 및 핀테크 기업, 대학생 등 

 

□ 목적 : 다양한 국내외 연사의 축사 및 기조연설을 통해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핀테크 산업·정책 동향을 접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시간 주요내용 연사 및 연설 주제

10:03-10:10 개막 퍼포먼스 · 은성수 금융위원장

· 마이클 대나허 주한 캐나다 대사

·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 김근익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 김학수 금융결제원장

· 김광수 전국은행연합회 회장

· 정유신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

· 류영준 한국핀테크산업협회 회장

10:10-10:15 환영사 · 은성수 금융위원장

10:15-10:20 축사(영상) · 윤관석 정무위원장

10:20-10:25 축사(영상) · ZHOU Liang 중국 CBIRC 부주석 

10:25-10:45 기조연설 · 마이클 대나허 주한 캐나다 대사

(각 10분) - Introduction of Canadian Fintech Industry and Fostering Future Cooperation between Canadian and Korean Fintech Industry

· 김 제임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 지속 가능한 금융혁신을 통한 한국 핀테크 산업 육성과 한미 국제 협력

 

※ (참고) 온라인 축사 : 홈페이지 업로드

 

구분 연사

국제기구 · Hassan Zaman World Bank Regional Director 

· Robert Guild, Chief Sector Officer of ADB

해외 정부 · Philippe Lefort 주한 프랑스 대사

· Catherine Raper 주한 호주 대사

· ZHOU Liang 중국 CBIRC 부주석

· Pushpinder Dhillon 주한미국대사관 경제공사참사관

· Yaniv Goldberg 주한 이스라엘 대사관 경제무역대표부 대표

· Leong Sing Chiong 싱가포르통화청(MAS) Deputy Managing Director 

해외 금융회사 · Li Xiaofeng, UnionPay International CEO

· Scott Mullins, Amazon Web Services Head of Worldwide Financial Services Business and Market Development

· Cameron Mclean, PayPal Vice President

 

2 2021년 핀테크 정책을 듣다

 

□ 일시/장소 : 5.26(수), 11:05∼12:00 / 온라인 생중계

 

□ 참석자 

 

ㅇ (발표자) 이형주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기획단장

 

ㅇ (질의응답) 박주영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과장, 

김병칠 금융감독원 디지털금융감독국장,

황인덕 한국핀테크지원센터 경영기획실장,

노해성 한국성장금융 혁신금융실장 

 

□ 목적 : ‘21년 핀테크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

 

□ 주요내용

 

ㅇ 디지털 금융혁신 정책 발표

 

ㅇ 대국민 사전접수(4.30~5.7) 받은 질문들을 행사 당일 금융당국 및 유관기관 관계자가 응답

 

 

시 간 주요내용 비 고

11:05∼11:07(02’) 프로그램 소개 · 사회자

11:07~11:27(20’) 발표 · 금융위 금융혁신기획단장

- 디지털 금융혁신 정책

11:27∼11:57(30’) 질의응답 · 질의응답 

- 핀테크 정책, 감독, 지원, 투자 각 분야

- 질의를 사전 접수하여 진행 

11:57∼12:00(03’) 마무리

 

3 전시부스 서비스 시연

 

□ 일시/장소 : 5.26(수), 13:00~14:00 / 온라인 생중계

 

□ 참가기업 : 그레이드헬스체인, 비바리퍼블리카, 스몰티켓, 아톤, 

카카오페이, 파운트 , 학생독립만세, P4G 녹색금융(기업은행)

 

기업명 서비스 분야 서비스 개요 세부 내용

비바 종합금융 종합 금융서비스 간편이체를 바탕으로 다양한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험, 증권, 은행 영역에 진출

리퍼블리카

아톤 보안 핀테크 보안 솔루션 안전하고 간편한 금융보안 솔루션을 핀테크 기업에게 제공함으로써 금융서비스 안전성 제고에 기여

카카오페이 종합금융 종합 금융서비스 국내최초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시작으로 보험·증권 등 다양한 영역에 진출 중

학생 대출 후불제 금융플랫폼 금융소외계층인 학생들이 원하는 교육을 받고, 이에 대한 비용을 후불로 낼 수 있는 플랫폼 제공

독립만세

스몰티켓 인슈어테크 이륜차 보험 등 국내 최초 시간제 이륜차 보험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의 보험 사각지대를 해소

그레이드 인슈어테크 건강·금융 융합 플랫폼 건강정보에 따라 금융상품 할인을 연계하여 금융생활에서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건강·금융 융합 플랫폼

헬스체인

파운트 투자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금융상품 투자에 인공지능 분석을 도입하여, 일반 투자자에게 쉽고 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기업은행 녹색금융 녹색금융,  P4G 정상회의, 녹색금융 특별세션 아젠다 및 기업은행이 추진하고 있는 녹색금융 등을 소개

ESG 금융

 

□ 목적 및 주요내용

 

ㅇ 온라인 전시관 참가기업 중 8개 핀테크 기업의 서비스를 오프라인 전시공간에 소개하고 홍보

 

 

 

 

4 핀테크 기업 IR

 

□ 일시/장소 : 5.26(수), 14:00~15:30 / 온라인 생중계

 

□ 주관 : 한국성장금융

 

□ 참가기업 : 디렉셔널, 메사쿠어컴퍼니, 부엔까미노, 올라핀테크, 윅스메이트, 유핀테크허브, 탱커, 퍼즐데이터

 

회사명 서비스 분야

디렉셔널 * 이윤정 대표 자본시장, 블록체인

메사쿠어컴퍼니 * 이지훈 대표 송금/결제, 보안/인증, 인공지능, 빅데이터

부엔까미노 * 이수영 대표 자산관리, 빅데이터, 핀테크플랫폼

올라핀테크 * 김상수 대표 쇼핑몰채권유동화, 빅데이터

윅스메이트 * 김세원 대표 신용평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유핀테크허브 * 이재표 대표 송금/결제

탱커 * 임현서 대표 인공지능, 부동산대출자동화시스템

퍼즐데이터 * 김영일 대표 인공지능, 빅데이터, 프로세스가시화

* 온라인 투자자 상담회 참여를 신청한 60여개 기업 중 시장 전문가들의 심사를 통해 최종 42개 기업 선정, 그 중 상위 8개 기업이 IR 경진대회 참가 대상으로 선정

 

□ 심사기관 : 한국성장금융, 한국투자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 케이엑셀러레이터, 키움인베스트먼트, 서울대기술지주

 

□ 목적 : 핀테크 기업들의 IR을 생중계하여 투자 유치를 지원

 

□ 주요내용

 

ㅇ 각 기업이 10분 간 발표 후 심사하여 1위 기업 시상을 진행

 

- 1위 기업에게는 실제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며, 한국핀테크지원센터의 각종 지원사업 가산점 부여

참고3 온라인 행사 세부내용 

 

1 온라인 실시간 프로그램

 

? 핀테크 기업-투자자(VC) 상담회

 

ㅇ 일시 : 5.27(목) 14:00~15:00 

 

ㅇ 참석자 :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핀테크 기업(42개사), 핀테크 전문투자자(38개사)

 

ㅇ 목적 : 핀테크 기업과 투자자를 연계하여 투자유치 기회 마련

 

ㅇ 주요내용 : 사전에 참여 신청한 핀테크 기업과 투자자간 온라인 1:1 미팅 채널을 지원하여 투자상담 진행(총 75건)

 

※ 미팅 관련 내용은 홈페이지 내 비공개 예정 

 

? 네트워킹 밋업 

 

ㅇ 일시 : 5.27(목) 15:00~16:00 

 

ㅇ 참석자 : 상호 만남과 협업을 희망하는 금융회사(19개사), 핀테크 기업(42개사)

 

ㅇ 목적 : 핀테크 기업과 금융회사간 네트워킹을 지원하여 상호 협업의 계기를 마련

 

ㅇ 주요내용 : 금융회사별로 가상의 스탠딩 테이블 회의실을 개설하여 사전에 매칭된 핀테크 기업이 입장 후, 온라인 1:1 미팅 진행(총 68건)

 

※ 미팅 관련 내용은 홈페이지 내 비공개 예정 

 

 

 

 

? 핀테크 취업토크

 

ㅇ 일시 : 5.28(금) 14:00~16:00 

 

ㅇ 참석자 : 핀테크 기업‧금융회사 인사담당자, 취업자문 전문기관 대표 등 

▪ (핀테크기업) 카카오페이 채용담당자, 페이플 대표

 

▪ (금융회사) 신한은행 인사담당자

 

▪ (취업자문 전문기관) 트러스트원 대표

 

ㅇ 목적 : 핀테크 기업, 금융회사 핀테크 부서에 입사를 희망하는 예비취업자를 대상으로 채용정보, 취업 꿀팁, 질의응답 등 제공 

 

ㅇ 주요내용 : 

 

- 핀테크 기업‧금융회사‧취업자문 전문기관 담당자들이 토크쇼 방식으로 채용절차, 인재상, 취업꿀팁 등 설명

 

- 사전에 접수받은 취업관련 질의에 대한 응답 실시

 

? 싱가포르 비자(VISA) 이노베이션 센터 투어

 

ㅇ 일시 : 5.27(목)~5.28(금) 11:00~12:00 

 

ㅇ 참석자 : 싱가포르 비자 이노베이션 센터를 가상으로 체험하고, 센터의 업무 및 결제시장 동향 등을 파악하고자 하는 국내 금융회사‧핀테크 기업 종사자

 

※ 사전접수를 통해 총 2회, 60명이 가상 투어에 참여 예정

 

ㅇ 주요내용 : 

 

- VISA 이노베이션 센터를 그대로 재현한 가상공간을 투어하며 세계 결제시장 동향, 핀테크 기업과의 파트너십 사례 등 소개

▪ 비자 이노베이션 센터(VISA Innovation Center) 개요

 

- (개소) ‘16년 5개 지역에 개소

 

* 미국(샌프란시스코, 마이애미), 영국(런던), 중동아프리카(두바이), 싱가포르

 

- (주요업무) 결제시장 동향 파악 및 새로운 솔루션/상품 연구개발

* Discovery Session : 비자의 파트너사를 초대하여 결제시장 동향 파악

Co-Creation : 비자의 파트너사와 공동으로 새로운 상품 기획 등 시제품 개발

 

2 온라인 동시공개 프로그램 

※ 5.26(수) 10시부터 공개

 

? 온라인 전시관 

 

ㅇ 목적 : 핀테크 기업, 금융회사의 혁신적인 핀테크 서비스를 소개‧홍보하여 국내외 투자자와의 연계기회 제공 

 

ㅇ 주요내용

 

- 오프라인 전시관과 유사하게 3D로 구현된 5개관, 146개 부스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전시

 

- 명함교환, 비즈니스 매칭 기능을 통해 참여 기업과 온라인 미팅 진행 등 실제 비즈니스의 장(場)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구성

 

전시관명 참여 부스(146개)

① 핀테크 스타트업관 ・지급·결제·해외송금, 보안·인증, 금융투자·자산관리 등 분야별 업력 5년 이내 스타트업 39개

② 핀테크 스케일업관 ・지급·결제·해외송금, 보안·인증, 금융투자·자산관리 등 분야별 업력 5년 이상 핀테크 기업 39개

③ 금융핀테크관 ・ 주요 시중은행, 카드사, 증권사, 보험사 등 금융회사 21개

④ 핀테크 정책관 ・금융결제원·금융보안원·D-CAMP등유관기관 8개

⑤ 글로벌관 ・ 대사관, 투자청 등 해외정부기관 10개

・ 해외 핀테크기업 및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29개

 

? 온라인 세미나

 

ㅇ 목적 : 최신 핀테크 산업‧기술동향을 공유하고, 향후 핀테크 발전방향에 대한 관심 확산 

 

ㅇ 주요내용

 

- 마이데이터, 디지털 지급결제, 보안‧인증, AI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을 진행(13개 기관, 14개 세미나)

 

연번 주관 주제 및 주요 연사

1 금융결제원 디지털 지급결제

· 김학수(금융결제원장), 이승건(비바리퍼블리카 대표), 권영탁(핀크 대표), 박상만(다날 대표), 정대성(금융결제원 부장), 주언규 유튜버(신사임당), 김유진(신한은행 선임), 손중희(비바리퍼블리카 실장), 이현 기자(듣똑라), Tran Thi Thanh Mai(베트남 NAPAS 부국장)

연번 주관 주제 및 주요 연사

2 금융결제원 디지털 인증, 신원확인

· 전석재 유튜버(슈카월드), 고재연(금융결제원 금융인증센터장), 이기혁(중앙대 교수), Ramesh Keasanupalli(Digital Trust Network CEO)

3 금융보안원 핀테크 시대의 금융보안

· Ken Katayama(일본 금융정보시스템센터 Associate Director General), 서호진(금융보안원 팀장), 양종원(금융보안원 차장), 이강석(금융보안원 차장), 안재영(금융보안원 팀장)

4 신용정보원 데이터 산업과 마이데이터

· 이기민(한국핀테크지원센터 팀장), Marcus von Engel(PwC Principal), 최경진(가천대 교수), 이상래(NH농협금융지주 부행장), 장재영(신한카드 상무), 신중희(비바리퍼블리카 실장)

5 보험연구원 보험산업의 AI 적용 현황과 과제

· 이준섭(한화생명 상무), 홍성호(보험개발원 팀장), 김규동(보험연구원 실장), 성주호(경희대 교수), 강용성(와이즈넛 대표), 김민기(카이스트 교수), 안수현(한국외대 교수), 이동엽(금융위 과장), 정규완(현대해상화재보험 상무)

6 서민금융진흥원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과 포용금융

<p data-ke-size="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