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국제 공동연구센터(GRDC) 심포지엄 개최-미(美) 스탠포드, 독(獨) 프라운호퍼 연구소 등 해외 유수 연구기관과 국내 중소기업의 협력 모델 발굴
작성일 : 2016. 11. 1. 국제협력총괄담당관
미(美) 스탠포드, 독(獨) 프라운호퍼 연구소 등
해외 유수 연구기관과 국내 중소기업의 협력 모델 발굴
- 제7회 국제 공동연구센터(GRDC) 심포지엄 개최
- 기술이전‧사업화 협력 프로그램 및 개별 협력미팅
□ 국제 공동연구센터(Glob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이하 ‘GRDC’) 협의회가 주관하고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가 후원하는『2016 GRDC 심포지엄』이 10월 31일(월), 11월 1일(화) 양일간 서울 삼정호텔에서 개최된다.
ㅇ GRDC 심포지엄은 세계 각국의 저명한 연구소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해외 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에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모여 국제 공동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미래와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장이다.
ㅇ 올해 심포지엄의 특징은 공동연구의 성과 공유 뿐만 아니라, 최초로 해외연구기관의 우수기술을 국내 중소기업에 이전‧사업화하는 협력모델을 발굴하고 확산하는 플랫폼 기능을 마련한 것이다.
□ 이를 위해 마련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세션’에서는 미국 스탠포드대-가톨릭대 차세대 의학물리 연구센터, 독일 프라운호퍼-연세대 의료기기 공동연구센터, 핀란드 VTT-건국대 공동연구센터 등의 연구소들이 국내 중소기업들과 기술 이전, 후속 연구개발(R&BD), 사업화 방안 및 해외시장 공동 진출의 길을 모색한다.
ㅇ 동 세션에서는 현대중공업, 피닉스비전, Vitzro-tech 등 60여개 중소․중견기업이 참여하는 가운데 실시간 암추적 시스템, 조기 암 진단 영상장비 및 기술, 대기압 플라즈마 피부처리 장비 기술, 저가형 세라믹 고온 배터리, VTT 종이를 이용한 얇은 모바일 진단 기술 등이 소개된다.
ㅇ 아울러, 이튿날인 11월 1일(화) 열리는 ‘기술이전 및 사업화 상담회’에서 국제 공동연구센터와의 기술이전 및 공동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비즈니스 협력 미팅을 추진한다.
ㅇ GRDC 협의회는 지난 7월 미국 댈러스 텍사스 주립대에서 현지 협력 연구기관과 과학적․산업적 가치 창조를 위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제1회 글로벌 혁신 워크숍을 개최하여,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2건* 이상의 연구협약을 성사시킨 바 있다.
* ① (‘16.7.5) 美 스탠포드대 – 가톨릭대, 인공지능을 활용한 암치료 연구협력 등
② (‘16.7.7) 美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 나노종합기술원, 나노소재 구조제어 분야 연구협력 등
□ 또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매튜 마이어슨 교수(하버드대)가 기조강연을 하며, 19개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에 참여하는 국내외 과학자들도 각자의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ㅇ 매튜 마이어슨 교수는 아산-다나파버 암 유전체 연구센터의 공동 연구 책임자로, 암세포들의 유전자 분석에 대해 기조강연을 진행하고, 그 외 공동연구센터 연구자들도 의약학 분과 및 공학 분과로 나뉘어 스템셀을 이용한 조직세포 재생기술, 자동 전력 네트워크를 이용한 에너지 수확기술 등을 설명한다.
□ 미래창조과학부 이진규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공동연구성과를 활용하여 과학기술과 창업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데 효과적인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우리 기업들이 국내 시장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세계적 수준의 연구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시작부터 글로벌 생태계 속에서 성장해 나아가는 기회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붙임 1. 제7회 국제공동연구센터 심포지엄 개최계획(안)
2.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 개요
3. 기술이전 및 사업화 세션 참가기관 및 발표기술
붙임 1
제7회 국제공동연구센터 심포지엄 개최계획(안)
□ 개 요
ㅇ (목적)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 사업 성과 공유뿐만 아니라 연구성과의 국내 중소기업 이전․기술사업화 촉진 방안 논의 및 홍보 추진
ㅇ (일시/장소) ’16.10.31(월)-11.1(화)/서울 삼정 호텔(강남 봉은사로)
ㅇ (참석) 독일 대사, 미국 부대사, GRDC 국내․외 연구 책임자 등 200여명
ㅇ (주관/후원) GRDC 연구책임자 협의회/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
□ 세부일정(안)
【1일차(10.31)】
ㅇ 개회식 및 오찬
시 간
세 부 내 용
비고
9:20~11:00
개 회 식
9:20~10:30
· 개회사 : 한전건 교수(GRDC 연구책임자 협의회장)
· 환영사 : 이진규 연구개발정책실장(미래창조과학부)
· 축 사 : 슈테판 아우어 대사(주한 독일 대사)
마크 네퍼 부대사(주한 미국 부대사)
· 시 상 : 우수 센터 장관표창(연구개발정책실장)
· 사진 촬영
순차통역 제공
10:30~11:00
· GRDC 주요 성과 및 포스터 전시 관람 및 커피 브레이크
ㅇ 연구성과 발표
시 간
세 부 내 용
비고
11:00~11:50
특 별 초 청 강 연 세 션
11:00~11:50
암세포들의 유전자 분석
Prof. Matthew Meyrson(아산-다나파버 암 유전체 연구 센터)
11:50~13:20
오 찬
13:20~18:20
센터별 연구성과 발표
[세션A]의약학 분과
[세션B]공학 분과
13:20~13:50
암치료 면역 치료법 최근의 발전현황
Seishi Ogawa
(이화 – 잭슨랩 암면역치료법 연구센터)
레이저 초음파-차세대 비파괴 기술의 국제기술 개발동향
Eric Flynn
(로스알라모스연구소-전북대학교 한국공학연구소)
13:50~14:20
활성 박테리아 이용 첨단 치료법
J.J.Min
(전남대학교-프라운호퍼 IZI 협력센터)
(미확정)
Hee Tae Jung
(나노종합기술원-드렉셀 FIRST Co-OP 센터)
14:20~14:50
스템셀과 암제거를 위한 미세유체역학 및 나노입자들
Bong Geun Chung
(서강-하버드 질병 바이오물리 연구센터)
극초자외선 및 연 X-선 영역에서 파면 및 간섭제어 계측 기술
Patrick P. Naulleau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DGIST 공동연구센터)
14:50~15:20
스템셀을 이용한 폐 및 폐기도 치료 바이오공학
Angela Panoskaltsis-Mortari
(아산-미네소타 이식 이노베이션 센터)
전이금속을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Woong Choi
(국민대-텍사스대 국제미래재료혁신 연구소)
15:20~15:50
휴 식
15:50~16:20
광역학 치료를 위한 나노의학 기술
Heebeom Koo
(가톨릭-하버드Wellman 광의학센터)
자동 전력 센서네트웍을 이용한 에너지 수확기술
Scott Ouellette (로스알라모스연구소-전북대학교 한국공학연구소)
16:20~16:50
단세포 세포 게놈 기술
SungHoon Kwon
(SNU-Sci Life Lab 차세대유전기술 센터)
박막 실리콘 증착을 위한 플라즈마 진단기술
Ishikawa Kenji
(플라즈마-나노 신소재 연구소)
16:50~17:20
광학수차 단층촬영을 이용한 상부기도의 영상화 기술
Joseph Cong Jing
(단국대-미국 베크만 광학 연구소)
한양대-HPSTAR-카네기 고압연구센터 소개
J.Y. KIM
(한양대-HPSTAR-카네기 고압연구센터)
17:20~17:50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상처 치료기술
Wesley Moy
(단국대-미국 베크만 광학 연구소)
17:50~18:20
스템셀을 이용한 조직세포 재생기술
Man Ryul Lee
(와이즈만-순천향 조직재생 연구센터)
18:20~21:00
만 찬
ㅇ 기술이전 및 사업화 협력 프로그램《1》
시 간
세 부 내 용
비고
11:00~18:20
기 술 이 전 및 사 업 화 세 션 (1)
11:00~12:30
【독일 프라운호퍼 IKTS(세라믹재료) 연구소】
바이오 및 의료진단 기술
12:30~13:30
오 찬
13:30~14:40
【독일 프라운호퍼 IKTS(세라믹재료) 연구소】
에너지 저장 기술 / 스마트 재료 및 시스템 개발 기술
14:40~14:50
휴 식
14:50~16:40
【핀란드 VTT 기술연구소】
인쇄전자 기술 / 헬스진단 IoT 기술 / 무선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
17:00~18:20
【독일 라이프니츠 저온 플라즈마 연구소】
대기압 플라즈마 피부처리 장비 기술 / 대기압 플라즈마 의료기술
18:20~21:00
만 찬
ㅇ 기술이전 및 사업화 협력 프로그램《2》
시 간
세 부 내 용
비고
13:00~15:00
기 술 이 전 및 사 업 화 세 션 (2)
13:00~15:00
【미국 스탠포드대 분자영상 연구소 및 가톨릭 대학교】
이중 방사선 암 치료 시스템 / 실시간 암추적 시스템 등
15:00~15:20
휴 식
【2일차(11.1)】
ㅇ 기술이전 및 사업화 협력을 위한 개별 협력미팅
시 간
세 부 내 용
비고
09:00~12:00
해외 협력연구소와 국내 사업체 간
상호 기술이전 및 사업화 협력 미팅
붙임 2
해외우수연구기관 (Global R&D Center, GRDC) 유치사업 개요
□ 목적
ㅇ 글로벌 수준의 해외우수 연구기관과 국내 연구기관 간의 국제공동연구센터 국내 설치 및 운영 지원
ㅇ 국내‧외 기관 간의 우수인력 및 첨단장비, 선진 연구기법 등의 상호 융합을 통한 우수 R&D 성과 도출 및 세계 기술시장 선도
□ 주요내용
ㅇ (사업예산) 10,350백만원(‘16년도)
ㅇ (지원규모) 과제당 평균 6억원 내외, 최장 6년(2+4 지원체제) 지원
ㅇ (지원대상) 대학, 출연(연) 등「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제14조에 해당하는 연구기관
ㅇ (지원조건) ① 해외연구기관 인력의 국내체류
② 해외연구기관 매칭펀드(현물+현금)
③ 기관 대 기관 차원의 공동연구센터 국내 설립
ㅇ (협력현황) 서강대-하버드대 공동연구센터 등 19개 과제 지원 중
- 협력국가 현황 : 미국 12, 독일 3, 일본 1, 스웨덴 1, 이스라엘 1, 중국 1
□ GRDC 심포지엄 개최현황
ㅇ 2010. 11. 15~16 제1회 GRDC 심포지엄 2010 개최
ㅇ 2011. 11. 15~16 제2회 GRDC 심포지엄 2011 개최
ㅇ 2012. 11. 12~13 제3회 GRDC 심포지엄 2012 개최
ㅇ 2013. 10. 28~29 제4회 GRDC 심포지엄 2013 개최
ㅇ 2014. 11. 10~11 제5회 GRDC 심포지엄 2014 개최
ㅇ 2015. 10. 21~22 제6회 GRDC 심포지엄 2015 개최
붙임 3
기술이전 및 사업화 세션 참가기관 및 발표기술
구 분
발 표 기 술
독일 프라운호퍼 IKTS
(세라믹재료) 연구소
• 다층 디자인에서 음향 마이크로시스템
• 세라믹 센서 동작 모듈
• 압전 소자와 트랜스듀서
• 차세대 전기력에 대한 필름접착
• 상업 응용을 위한 SOFC 시스템
• Li-ion 배터리용 양성 제조 환경
• 저가형 세라믹 고온 배터리 등
핀란드
VTT 기술연구소
• VTT 종이를 이용한 얇은 모바일 진단 기술
• 실내 공기 질의 조절하기 위한 설계도구
• 피부 트리트먼트용 코스메틱 패치
• VTT 옴니렌즈 기술 – 360도 파노라믹 뷰
• 플렉스노드 IoT 플랫폼
독일 라이프니츠 저온 플라즈마 연구소
• 대기압 플라즈마 피부처리 장비 기술
• 대기압 플라즈마 의료 기술
미국 스탠포드대 분자영상 연구소
• 방사선 암 치료계획 시스템
• 이중 방사선 암 치료 시스템
• 실시간 암추적 시스템
• PET-MRI와 헬멧형 PET 장비 및 기술
• 조기 암 진단 영상 장비 및 기술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뭄바이 한국우수상품전 "프리미엄소비재관" 전시 (0) | 2016.11.02 |
---|---|
무한상상실 활성화 방안 발표 - 생활 밀착형 창작공간으로 정착하여 창작문화 조성에 기여 (0) | 2016.11.01 |
16년 상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등 현황 (0) | 2016.11.01 |
미래부, 5G 등 차세대안테나 설계, 시제품 제작, 교육 종합지원 서비스 가동- 중소기업 차세대안테나 시제품 제작지원 (0) | 2016.11.01 |
부처별로 상이한 연구비 규정 통일 추진-정부 R&D 연구비 규정 통일방안 (0) | 2016.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