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코로나19 해외개발 백신, 새로운 공급망 확보-보건복지부–노바백스(社)–SK바이오사이언스(社) 3자간 협력의향서(LOI) 체결(8.13)

하이거 2020. 8. 14. 10:40

코로나19 해외개발 백신, 새로운 공급망 확보-보건복지부노바백스()SK바이오사이언스() 3자간 협력의향서(LOI) 체결(8.13)

 

등록일 : 2020-08-13 담당부서 : 보건의료기술개발과

 

 

코로나19 해외개발 백신, 새로운 공급망 확보


- 보건복지부–노바백스(社)–SK바이오사이언스(社) 3자간 협력의향서(LOI) 체결(8.13) -

◼ 英 아스트라제네카(社) 백신 공급 협력의향서에 이어, 美 노바백스사(社)에서 개발 중인 백신의 글로벌 생산 공급망에도 국내 기업이 합류

◼ 백신개발의 성공 불확실성에 대비, 백신 수급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 확보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8월 13일(목) 오후 9시 SK바이오사이언스 연구소(성남 판교)에서 노바백스사(社)(대표 스탠리 억), SK바이오사이언스사(社)(대표 안재용)와 함께,

○미국 노바백스사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글로벌 생산 및 국내 공급 협력을 위한 3자 간 협력의향서(LOI : Letter Of Intent)를 체결하였다.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60여 개의 코로나19 백신이 개발 중이며, 이들 백신 후보물질들은 기술 종류에 따라 크게 4가지 유형(플랫폼)으로 구분된다.

* △바이러스전달체 △합성항원 △핵산(DNA, mRNA) △불활화

○ 노바백스사에서 개발 중인 백신은 합성항원 방식으로

- 지난 7월 처음으로 국내 백신 공급 확보 협력의향서를 맺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사에서 개발하고 있는 바이러스전달체 백신과는 다른 방식이며,

- 올해 10월 임상 3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어 합성합원 방식의 백신 중에서는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평가되고 있다.

□ 이번 협약체결서는 국내기업이 다른 플랫폼의 백신 공급 생산역량 및 기술 수준을 인정받아 글로벌 생산·공급망에 참여하게 되었다는 점과 함께,

○ 지난 7월 아스트라제네카社에 이어 다른 백신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노바백스사의 백신도 확보할 수 있는 협력 통로(채널)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체결식에서 “7월에 이어 이번 협력의향서 체결은 백신 개발 성공 불확실성에 대비, 공급 가능 백신을 다양화함으로써 우리나라에 백신 공급 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 것으로 매우 큰 성과”임을 강조하고, 적극적으로 합의를 이끈 두 기업 관계자에 특별히 감사의 마음을 표시하였다.

○ 아울러, 한국 정부는 양면 전략(투 트랙 전략)에 입각하여 국내 기업의 자체 백신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는 한편, 개발속도가 빠른 우수한 해외 백신의 신속한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 또한 “앞으로도 정부는 충분한 백신 물량 확보를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붙임> 백신 플랫폼 종류 및 특성

붙임

백신 플랫폼 종류 및 특성


① (핵산 백신) 개발 난이도가 낮아 신속 개발 가능하며 단기간 내 대량 생산·활용 가능
* DNA(DeoxyriboNucleic Acid), mRNA(Messenger RiboNucleic Acid)

- 전통적인 생(live)백신, 불활화백신 대비 효능(면역반응) 다소 낮음
* 부스팅 접종(2회 투여)에 의한 면역증강 효능, 임상 시험 중

② (합성항원 백신) 신속 개발이 가능하나 면역증강제와 복합 제형화 필요에 따라 비용대비 효율성 다소 낮음
* 항원 단백질 일부를 면역증강제와 섞어 투여, 바이러스 중화항체 반응 유도

③ (전달체 백신) 효능 우수하나 대량화 공정 수립 난이도가 높음
* 항원 유전자 일부를 인체 무해한 바이러스(침팬지 아데노바이러스, 약독화된 백시니아바이러스, 및 수포성구내염바이러스(VSV) 등)에 삽입하여 접종

④ (불활화 백신) 중화항체 유도 등 효능은 뛰어나나 고위험 바이러스를 직접 가공해야 하므로 생물안전시설(BL3) 내 생산 필요, 대량생산 등 한계

< 코로나19 백신 플랫폼 별 장단점 >

제형

장점
단점
적용사례

 

 

핵산 백신
DNA
백신

● 신속 제작, 단기간 내 대량생산 가능
● 체액성, 세포매개성 면역 모두유도
● 별도의 접종장치 필요(고가)
● 생백신 대비 낮은 면역반응 유도
MERS, HPV, B형간염 등
mRNA백신

● 신속 제작, 단기간 내 대량생산 가능
● 체액성, 세포매개성 면역 모두유도
● 지질나노입자 등 제형화로 생체내 전달 및 면역효능 개선
● 낮은 안정성으로 생체 내 전달 비효율성
● 생백신 대비 낮은 면역반응 유도
Zika, CMV 등 다수
전달체 백신

● 강한 면역 유도 가능
● 염증 등 부작용 사례 보고
● 세포 기반 제조로 대량 공정 개발 필요
MERS, TB, Zika(임상단계)
Ebola(승인)
합성항원

● 높은 안전성, 안정적 생산공정 유지
● 다양한 면역증강제와 제형화 가능
● 적절한 면역증강제 필요
● 면역증강제로 인해 비용 효율성 낮아 질수 있음(고가)
전통적인 플랫폼으로 개발된 백신 다수
불활화 백신

● 바이러스 확보시, 신속개발 가능
● 중화 항체 유도 우수
● 다양한 면역증강제와 제형화 가능
● 염증 등 부작용 사례 보고
● BL3 급 생산시설 필요
● 대량생산에 부적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