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탄소중립 시대 지속가능경영 추진 지원- 2020 지속가능경영 유공 정부포상

하이거 2020. 12. 9. 14:23

탄소중립 시대 지속가능경영 추진 지원- 2020 지속가능경영 유공 정부포상

 

담당부서산업정책과 등록일2020-12-09

 

 


◇ 탄소중립 시대 지속가능경영 추진 지원 ◇
- 2020 지속가능경영 유공 정부포상 -

➊ (표창) 친환경 혁신, 협력사 안전관리 등 ESG 우수기업 수상

* 大表 : SK(RE100 선언 및 업무환경 친환경 전환, 청년 장애인 ICT 교육·취업 지원) 등 2점
* 國表 : 현대모비스(전기차 배터리 개발), ㈜만도(협력사 사업장 안전관리 지원) 등 2점

➋ (정책) ①민간주도 평가지표 정립과 ②인센티브 제공으로 기업지원

①(평가지표) 글로벌 기준 부합 민간주도 한국형 지표(K-ESG) 제정

- 기업의 해외 공급망 진출, 글로벌 ESG 투자 유치 등 지원

- 민간 주도로 필요 최소한의 기준 구성 → 자발적으로 선택·평가 및 활용

②(인센티브) 컨설팅・가이드라인 제공과 함께 포상・R&D 등 인센티브 부여

- 중견·중소기업 중심 교육・평가 지원 + 친환경・안전강화형 사업재편 인정

- 지속가능경영 포상시 국내 ESG 실천·성과 중점 평가

③(확산기반) 업종별 산업 생태계 차원의 지속가능경영 연대・협력 활성화

- 자동차 산업 온실가스 저감, 배터리 재사용 확대 등 협력모델 확산

- 국제규범 제정에 능동 참여 → 한국형 지표의 국제화 추진

1. 개 요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성윤모)는 ‘20.12.9일(水) 드래곤시티 컨벤션센터에서 지속가능경영 유공 정부포상* 행사를 개최

* 경과 : 산업발전법 개정에 따라 ‘07년부터 사회공헌활성화 우수기업 포상 시작

ㅇ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인식 확대 및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우수기업에 대한 포상 진행 및 정부시책을 발표

< 지속가능경영대상 행사 개요[붙임 1] >


ㅇ (일시/장소) ‘20.12.9(수), 14:00~17:00 / 드래곤시티 컨벤션센터 (서울 용산)

ㅇ (참석) (정부)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민간)SK·삼성전자·현대모비스·만도 등 50명 이내

ㅇ (주요내용) 지속가능경영 우수기업 포상 및 사례발표
□ 지속가능경영(sustainable management)은 단기적 수익성보다 기업의 장기적
기업가치 제고에 초점을 둔 경영전략

* (개념) 경제 성과, 사회적 책임성, 환경 건전성을 총체적으로 고려
→ 기업과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영

ㅇ (필요) 지속가능경영은 기업 경쟁력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요소
→ 높아진 안전‧환경기준 등에 적응하지 못한 기업은 도태

* 美화석연료 주력 에너지기업 : 과거 세계 최대 시총 → 다우지수 퇴출(‘20.8)
* 국내 S사 : “글로벌 기업은 이미 ESG 노력‧성과에 따라 시장 가치를 평가받아”

ㅇ (활용) ①UN 등 국제기구*는 회원국에 지속가능경영 규범 준수 권고
②투자운용사**들은 투자기준으로 ESG 등 지속가능경영 활용

* (UN) 환경·노동 등 지속가능발전 분야 개발 17개 목표 제시(’15)

** (노르웨이 국부펀드) 환경파괴·인권침해·부패행위 기업 등에 대한 투자배제 천명
(블랙락) 기후변화를 투자리스크로 규정 → 기업에 적극적 행동 촉구

2. (포상) 2020 지속가능경영 유공 정부포상

□ 기업경영시 친환경 요소 강화(E), 사회공헌 확대(S), 지배구조 개선(G) 등의 실적이 우수한 SK㈜ 등 25개 기업이 포상 수상[붙임2]

* (大表) 2, (國表) 2, (산업부 長表) 7, (중기부 長表) 8, (KOTRA 사장상) 4, (표준협회장상) 2

ㅇ SK㈜는 친환경 오피스 구축(E)과 청년 장애인 일자리 확대 성과(S)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 수상

- 현대모비스와 만도는 전기·수소차 기술개발(E)과 협력사 지원(S)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국무총리 표창 수상

< 지속가능경영대상 종합 ESG 부문 우수사례 >

기업명 주요 성과 포상
SK㈜ <환경부문> <사회·지배구조 부문> 대표

-RE 100 선언 -청년 장애인 ICT 교육 및
-데이터센터 등 친환경 전환(재생에너지·고효율·친환경차) 취업지원(씨앗 프로그램)
-중증 장애인 바리스타 교육
현대 <환경부문> <사회부문> 국표
모비스㈜
-전기차 배터리, 연료전지 -어린이 과학교육 프로그램
시스템 등 부품 기술개발 → 자율차 모형 제작 등

<지배구조 부문> -협력사와 동반성장 추진
→ 긴급자금 지원, 안전컨설팅
-인권 운영지침 적용·실사
㈜만도 <환경부문> <사회부문> 국표

-전기·수소차 전원장치 및 -협력사 사업장에 안전관리
친환경차용 전자바퀴 개발 장착 프로그램 구축

<지배구조 부문> -지역사회 저소득층 지원

-임직원 불공정 업무처리 감시
3. (정책) 지속가능경영 확산 대책

□ 산업부는 중요 산업정책으로서 지속가능경영 확산 대책 발표 [붙임 3]

➊ (평가지표) 산업발전법에 근거*하면서 기업이 자발적으로 선택하고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가이드라인 성격의 평가지표(K-ESG) 정립

* 법 제18조① :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지표” 설정·운영

ㅇ (평가) ①민간 주도하 필요최소한의 평가기준으로 구성된 기본지표
②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는 혁신지표 등 2단계 구성

* 활용 : (기본지표) 우리 기업이 국내외 납품처‧투자자 등에게 증빙용으로 활용
(혁신지표) 기업 스스로의 경쟁력 홍보를 위해 자발적 선택‧평가

ㅇ (인증) 희망기업 대상 K-ESG 평가 실시 및 기준충족시 인증 발급
→ 글로벌 기업·투자사의 지속가능경영 이행 요구시 활용

* 운영(안) : KPC(지속가능경영센터) 인증기준 수립 → 별도 평가기관(산업부 지정) 인증 부여
* 성격 : 의무가 아닌 기업 자발적 선택 기반 → 필요한 기업 신청·활용

➋ (인센티브) ①중견·중소기업 지속가능경영 대응역량 강화 지원
②포상 확대 및 R&D·정책금융 등 적극 지원

ㅇ (역량) 역량강화 교육·컨설팅* + 친환경·안전강화형 사업재편 인정

* (교육) 지속가능경영 사내전문가 육성 등, (컨설팅) 기업별 역량진단·대응 지원

ㅇ (포상) 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성과를 중심으로 정부포상 추진

➌ (확산기반) 업종별 산업 생태계 차원의 지속가능경영 기반 구축

ㅇ (파트너십) 자동차·배터리 등 산업에서 환경·안전 연대·협력 확산

* 협력활용(안) : (자동차) 협력업체 사업장별 용수 재활용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 방안 지원
(배터리) 제품 제조시 재생에너지 활용 지원

ㅇ (국제협력) 국제규범 제정에 능동참여 → 한국형 지표의 국제화

□ 산업부 강경성 산업정책실장은 “코로나 시대의 도래에 따라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하며

ㅇ “산업정책의 중요한 영역으로서 지속가능경영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확산시켜 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밝힘
붙임 1 2020 지속가능경영 유공 대상 행사 개요

1. 개요

□ (일시) ‘20.12.9(수), 14:00~17:00

□ (장소) 드래곤시티 컨벤션센터 (서울 용산)

□ (참석) (정부)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민간)SK㈜, 삼성전자 인도법인, 현대모비스, 만도 등 수상자 50명 이내

□ (주요내용) 지속가능경영 우수기업 포상* 및 시책 발표**(보도자료 첨부)

* 포상 : (大表) 2, (國表) 2, (산업부 長表) 7, (중기부 長表) 8, (KOTRA 사장상) 4, (표준협회장상) 2

** 시책 : ①(평가) 산업발전법에 근거, 기업선택에 기반하여 운영되는 평가지표 정립
②(지원) 교육・컨설팅으로 역량 강화 + 표창 확대 및 R&D우대 등 인센티브 구축
③(기반) 업종별 협의체 구성 + 국제협력 강화로 한국형 지표의 국제화 도모

2. 세부 프로그램

시 간 주요 프로그램 비 고
14:00~14:05 -개회선언 및 내빈 소개 사회자
14:05~14:10 -개회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14:10~14:15 -축사 한국생산성본부
융합서비스 부문장
14:15~14:35 -시상식 : 총 25점 산업부 등
・대통령 표창 2점 : SK㈜, 삼성전자 인도법인
・국무총리 표창 2점 : 현대모비스㈜, ㈜만도
14:35~14:45 -기념촬영 -
14:45~15:00 휴식시간
15:00~15:15 -우수사례 발표 1 SK㈜
・SK㈜ 지속가능경영 사례 발표
15:15~15:30 -우수사례 발표 2 삼성전자
・삼성전자 인도법인 글로벌 CSR 사례 발표(영상)
붙임 2 지속가능경영유공 포상 기업(총 25개사)
훈격 포상 기업명 주요공적
부문
대통령표창 종합ESG SK㈜ - RE100 등 친환경 오피스 구축, 청년 장애인 일자리 확대
(2점) - 청년 장애인 ICT 교육 및 취업지원(씨앗 프로그램) 등
글로벌 삼성전자 인도법인 - 기술학교에서 가전수리기술 교육 및 취업지원
CSR 디지털 의료기기 기부로 스마트 병원 확산
국무총리 종합 현대모비스㈜ - 수소차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협력사 R&D 확대
표창 ESG
(2점) (주)만도 - 전기·수소차 전원장치 개발, 지역사회 저소득층 지원
산업부 환경(E) HMM(주) - 친환경 선박을 위한 설비투자, 영국 해운전문지 2019년
장관 친환경 최우수선사 선정
표창 한국남동발전㈜ - 19년 대기오염물질 발전사 중 최고 감축량 달성
(7점) 사회(S) 국가철도공단 -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 우수기관 선정, 철도자산을 활용하여 어린이집, 창업공간 제공
포스코에너지㈜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기배출물질 Zero 신기술 개발,
저소득층을 위한 에너지효율개선사업 진행
지배구조(G) 한국공항공사 - 저소득층을 위한 조종사 양성 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과 협력하여 성과공유제 및 R&D사업 운영
글로벌 포스코 인도네시아 대표법인 - 소외계층 대상 공공시설 건립(스틸빌리지), 사회적기업(KPSE) 설립 및 운영 등 사회공헌
사회책임 씨젠 멕시코 - 분자 진단 시스템 구축으로 의료시스템 개선 및 전문의료인 양성을 통한 현지 의료수준 향상
중기부 환경(E) (주)더블유원 자동차부품분야인 LPG연료탱크를 10여년간 생산하여 대기환경 개선에 공헌
장관 (주)아우딘퓨처스 유니세프 등 사회활동 단체에 기부활동 진행
표창 다문화가정 나눔행사와 취약계층에 대한 봉사활동
(8점) 농업회사법인 2010년 이래 이랜드 납품액 1%를 이랜드 복지재단에 기부
청맥 행복한 나눔의 릴레이 활동 및 관내 어르신초청 나눔 활동
에이플러스 공정개선을 통해 탄소배출량 50%이상 감소
아로마 찾아가는 CSR 코칭사업을 통해 소외계층 지원
사회(S) 전북인삼농협 굿네이버스 및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 활동
수해피해 인삼농가를 위한 일손 돕기
대림기계 소외된 이웃에게 사랑의 나눔 기부 활동 전개
위기의 조선협력업체 생존전략 및 극복방안 과제 수행으로 대통령상 수상
이든푸드 매년 각 단체에 기부 진행 및 주민화합잔치 진행
영농조합법인 주변 보육시설에 냉동제품 기부 진행
청우코아 가정환경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평택시 애향 장학재단에 기부
KOTRA 글로벌 동관코웰광학전자유한공사 한국인 엔지니어 채용으로 청년실업해소에 기여
사장상 사회책임 광저우 한국학교 건립 및 교육환경 개선
(4점) 세라젬 인도법인 인도 드림스쿨을 수행하여 낙후된 시설 보수 및 물품기부
코로나19 극복 기부 및 봉사활동, 홍수, 태풍 피해지역 지원
(주)KT&G 재료품의 현지화를 지속추진하여 경제활성화에 기여
인도네시아 현지대학생 문화프로그램 제공, 어학프로그램 등 교육 실시
SK네트웍스(샤먼)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마스크 원료 긴급 공급
철강
표준협회 종합 한국토지주택공사 녹색경영 체계 수립, 친환경 제로에너지 도시 2곳 조성
회장상 ESG 일자리 및 공공구매 유공기관 2년연속 선정
(2점) 예금보험공사 직·간접 일자리 3만여개 창출, 사회적기업 경영개선 지원
정부 온실가스 감축목표 대비 8.9% 초과 달성
붙임 3 지속가능경영 확산대책






지속가능경영 확산 대책







2020. 12.






산업정책과

Ⅰ. 추진배경

◇ 기업에 대한 지속가능경영 요구‧인식이 확대되는 추세

□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경영 환경에서 지속가능성 요구 확산

ㅇ 투자자‧소비자는 기업 선택의 기준으로 환경적‧사회적 요소 고려

* (투자자) ESG 투자 확대(’16년 22.8조불 → ’18년 30.7조불), (소비자) 가치소비 확대

ㅇ 기업이 준수해야 할 환경‧안전‧노동 규범도 전세계적으로 강화

* (미국) 탄소국경세 도입 검토, (EU) 기업 ESG 정보 의무공시 검토
* (IFRS) 재무제표에도 지속가능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실무지침 개정추진

□ 코로나 시대 도래와 함께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더욱 확대

* 코로나 이후 사회 안전망 위협 → “ESG를 기업경영에 적극 고려해야”(국내 S社 회장)

◇ E(환경)‧S(사회)‧G(지배구조)가 기업 경영의 새로운 규칙으로 자리매김

□ 지속가능경영은 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필수적인 요소

ㅇ 높아진 안전‧환경기준, 소비자 인식에 적응하지 못한 기업은 도태

* 美E사 : 화석연료 주력기업으로 과거 세계 최대 시총 → 다우지수 퇴출(‘20.8)
* 英C사 : 노동자 사망 사고로 거액의 벌금 부과(매출의 250%) → 기업 해체

ㅇ 반면, 지속가능경영을 적극 추구하는 기업은 새로운 시장 선점

* 伊V사 : 포도씨‧껍질 등 친환경 소재 활용 가죽 제작 → 벤틀리‧H&M 등 사용
* 美D사 : 몬트리올 의정서 발효 당시 親환경 대체물질 개발 → 新시장 선점
* 美P사 : “새 옷이 아닌 헌 옷을 사자” 광고 → 같은 해 매출 40% 급성장

◇ 우리나라의 지속가능경영은 여전히 정체 → 정책의 대전환 필요

□ 우리나라도 지속가능경영의 산업정책적 중요성은 일찍부터 인식

ㅇ 산업정책의 근간인 「산업발전법」을 개정해 지원근거도 확보(’07년)

* 제19조(지속가능경영 종합시책) → 정부는 기업의 자율적 지속가능경영 지원가능

□ 다만, 부족한 인식 등 다양한 요인*으로 국내 지속가능경영 확산 정체

* (인식미흡)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 인식기업은 전체 국내기업 중 50% 미만(산업硏, ‘16년)
* (정책부족) 조달‧투자시 지속가능경영 요소 고려 등 기업 참여 유도 정책이 부족

⇒ 국내 지속가능경영의 현황 및 저해요인 검토를 바탕으로
산업강국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산업정책 추진 필요
【참고 ➊】지속가능경영 개념


◇ (개념) 지속가능성 개념에 기업의 경영방식 접목 → "지속가능경영"

□ (정의) 기업이 경제적 성과뿐 아니라 사회적 책임성, 환경적 건전성을 함께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영

ㅇ 단기적 수익성보다 장기적인 기업 가치를 제고하는 경영전략

< 주요기관의 지속가능경영 정의 >
구분 정의
해외 UNCED ?미래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면서 현재세대의 필요도
UN 환경개발회의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경제성장·환경보호를 동시에 달성
Dow Jones ?경제·환경·사회적 발전을 통해 파생되는 기회를 포착하고 리스크를 관리하여 장기적인 주주가치를 창출하는 비즈니스
다우존스
국제표준화기구 ?기업 활동으로 야기되는 사회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통해 사회의 지속가능 발전에 기여
ISO 26000
국내 산업발전법(제19조) ?기업이 경제적 수익성, 환경적 건전성, 사회적 책임성을 함께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경영 활동
KBCSD ?환경·경제·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노력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며 주주가치를 포함한 기업가치를 제고하는 경영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 (연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불가분의 관계

CSR 지속가능경영
기업이 속한 사회에 대한 기여 ↔ 기업의 경영전략으로서
→ 기업의 지속가능성도 담보 자발적 실천의 의미를 강조

◇ (구성요소) 경제, 환경, 사회적 측면에서 균형적인 접근 요구

? (환경) 기업경영활동으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최소화
→ 환경문제 해결에 동참하여 궁극적으로 환경가치 상승에 기여

? (사회)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와 건전한 파트너십을 형성
→ 기업의 명성(reputation)을 높이고 사회가치 창출

? (경제) 혁신, 경영리스크 회피 등을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 지속가능경영의 범위 및 핵심이슈 >

?수익성 ?오염예방
?고용창출 ?자원순환
?공정경쟁, 지배구조 ?기후변화 대응
?반부패 및 인권 ?지속가능 공급망 관리
?공정한 근로조건 ?제품 및 서비스 책임
?안전 및 보건 ?사회공헌

【참고 ➋】지속가능경영 국내외 규범동향

◇ (해외) 국제기구·선진국 중심 기업 사회적 책임(CSR) 요구 확산

□ (국제기구) UN·OECD 등 관련 규범 제정 → 회원국 준수 권고

구분 주요 사례
OECD ·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제정(‘76), 기업책임경영 실천 지침 채택(’18.5)
UN · 환경·노동 등 지속가능발전 목표 제시(‘15년) → 회원국 준수 권고

□ (미국) ①글로벌 기업 협력사 선정, ②투자은행 투자결정, ③신평사 등 민간 중심으로 지속가능경영 요구 강화 추세

구분 주요 사례
글로벌 기업 · (애플) ‘30년 탄소배출 제로 선언(’20.7) → 협력사에 탄소배출 감축 요구
투자은행 · (모건스탠리) 1조달러 ESG펀드 조성(20.8) → ESG 우수기업 우선 투자
신평사 · (무디스·피치) 자체적 ESG 지표를 통해 신용등급평가에 반영

□ (EU) 500인 이상 기업의 사회·노동·인권·반부패 정보공시 의무화(‘18~)

ㅇ 국가별 연기금 중심으로 ESG를 고려한 책임투자 확산 추세

* ①노르웨이 국부펀드(GPFG) : 인권침해·환경파괴·부패 등 행위 발생시 투자배제
②네덜란드 공무원연금(ABP) : 화석연료 투자 철회, 인권리스크 高분야 개선 요구

◇ (국내) 국민연금‧거래소 등 금융 중심 지속가능경영 정책 강화

□ ’16년부터 공공조달·기관투자시 지속가능경영 요소를 고려 시작

ㅇ 국민연금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등 금융부문 중심 정책추진
→ 지속가능경영 준수를 유도하는 인센티브는 상대적으로 아쉬운 측면

* 스튜어드십 코드 : 연기금의 투자대상기업 점검·개선요구 등 행동요건을 규정

연도 최근 법-제도-정책 동향

‘16 ?기관투자자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스튜어드십 코드) 제정 (한국기업지배연구원)
?조달시 ESG 고려, 사회책임공공조달 장려(조달청)

‘17 ?국민연금에 사회책임투자위원회 설립 공식화 (복지부)
?자율적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 시행 (금융위)

‘18 ?한국거래소 ESG 사회책임경영지수 발표

‘19 ?국민연금 스튜어드십 코드 개정 → 의결권 행사 등 사회책임 투자 강화

‘20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공공부문의 추진전략 발표 (부처합동)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 마련 추진 (부처합동, 잠정)
【참고 ➌】지속가능경영 평가지표 현황

◇ (전세계) 약 200여개의 ESG 평가제도 → 서로 다른 방법론·기준

□ DJSI*, FTSE** 등 전세계 약 200여개의 ESG 평가지표 존재(‘17년 211개)

* Dow Jones Sustainablity Index, ** 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Group ESG ratings

ㅇ 평가기관별 정보수집‧분석 등에서 서로 다른 방법론‧기준 적용
→ 동일한 대상이라고 할지라도 ESG 평가가 기관별로 상이*

* 테슬라 환경부문 평가 : (FTSE) 제조공장 온실가스 배출 감안하여 0점 평가
(MSCI)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전기차 생산을 감안, 최고등급 평가

- GRI·SASB 등은 협업을 통해 ESG 정보공개 표준을 통합추진중

* (GRI) 국제기구 UNEP 산하 단체로 ESG 정보공개 가이드라인 제시
* (SASB) 美 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로 산업별 정보공개 표준 제시

ㅇ 글로벌 평가지표 비교시 한국기업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저조

* DJSI 비교(경제/환경/사회 지수) : (세계평균) 69/89/68 ↔ (한국평균) 66/79/63

< 해외 대표 지속가능경영 평가지표 현황 >
평가명 평가기관 주요 내용
DJSI -(기업)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3,400여개 기업
(다우존스) -(방식) 기업선택에 따른 자발적 참여 및 평가대응
-(분야) 경제(공급망‧윤리), 환경(기후변화), 사회(안전보건)
FTSE ESG -(기업) 旣개발‧新시장 상장기업 4,100여개 기업
(파이낸셜타임스) -(방식) FT 차원 자체평가 진행 → 업계의견 수렴
-(분야) 환경(기후변화), 사회(안전보건), 지배구조(부패)

◇ (국내) 20여개 평가제도 → 표준화된 등급시스템 부재

□ 기업지배구조원(KCGS), 서스틴베스트 등 20여개의 평가제도 존재(’20)

* (KCGS) 900여개 상장사 지속가능경영 점검 → 18개 분야 281개 평가항목으로 구성
↳ 한국거래소·예탁결제원·금융투자협회 공동 출자로 ‘02년 설립된 의결권 자문사

ㅇ 기관별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표준화된 등급시스템 부재
→ 동일한 기업에 대해 상이한 ESG 평가결과 발생

* 바이오기업 A社 ESG 평가 : (KCGS) B+ ↔ (서스틴베스트) 투자배제 권고

ㅇ 200여개 이상의 평가항목으로 평가대상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

- 실제 기업의 ESG 경영현황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

* 물류기업 B社 : 택배기사 사망사고 및 노조갈등에도 불구 ESG 평가 A 획득(‘20)
Ⅱ. 국내 지속가능경영 현황

1 현황 및 실태

◇ 국내 기업에 대한 지속가능경영 요구는 증가하는 추세

□ 해외기업·투자운용사發 국내기업에 대한 지속가능경영 요구 증가

ㅇ (협력사) 해외기업은 ‘협력사 행동규범*’을 마련, 국내 기업에도 준수 요구

* 주요내용 : (환경) 온실가스·유해물질 배출여부, (사회) 근로환경 및 아동노동 여부
(지배구조) 불공정 행위 여부, (기타) 분쟁광물 사용 여부

- 특히 해외 납품하는 수출 중소·중견기업 어려움 확대

< 해외 주요 산업별 지속가능경영 이니셔티브 >
구 분 세부내용
Responsible -애플·인텔·테슬라 등 IT기업 중심 147개 社 참여
Business Alliance -RBA 참여기업에 납품시 RBA에서 규정한 지속가능경영 요건 준수 필요
Drive -BMW·다임러·도요타 등 자동차 기업 10개社 참여
Sustainability -지속가능 원칙을 제정하여 기업활동시 준수 요청(구속력 無)


ㅇ (투자) 투자운용사들은 투자조건으로 국내기업에 ESG 원칙 준수 요구

* 노르웨이 연기금 : 환경파괴·인권침해·부패행위 기업 등에 대한 투자배제 천명
→ 포스코(환경파괴), 한전(석탄에너지) 등에 대한 투자 철회 선언

◇ 지속가능경영 요구 확대에도 불구 선진국 대비 국내 대응은 미흡

※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 환경‧안전‧사회공헌‧지배구조 등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이해관계자 및 대외공유 목적으로 자발적으로 작성하는 보고서

□ (발간건수) 보고서 발간건수는 ‘16년 이후 정체된 상황

* 국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기업 : (‘16) 118 → (’17) 120 → (‘18) 121 → (‘19) 123

□ (정보공개) 보고서 정보공개 수준*도 ‘17년 이후 해외 대비 부족

* 정보공개 수준 : 보고서 구성요소별 평균적인 정보공개 정도(full–partial–none)

< 국내기업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 <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내 정보공개 정도(KPC, %) >

◇ 기업 규모별 이행격차가 크며 생태계 차원의 노력 부족

□ 지속가능경영은 개별기업이 아닌 생태계 차원의 이행 필요

ㅇ 글로벌 기업들은 거래기업 선정시 거래기업의 공급망 관리도 평가*

* 공급망 ESG 평가 : 평가대상 기업에 납품‧거래하는 기업의 ESG 이행‧관리수준 평가

* (사례) 글로벌 자동차기업 A社는 거래·납품기업 ESG 평가를 바탕으로 거래여부 결정

→ ESG 평가지표 중 ‘협력사 ESG 평가’ 항목이 있어 A社와 거래하는 기업은
해당기업에 납품하는 협력사들 ESG까지 관리할 필요

- 이에 따라, 국내기업도 각 협력사에 지속가능경영 요구

□ 그러나, 대기업과 달리 중소·중견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실천 부족

ㅇ (대기업) 주요 대기업은 ‘ESG 경영’을 구체적인 경영원칙으로 제시

< 한국 주요 대기업 ESG 추진 현황·계획 >

기 업 주요 내용
SK그룹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새로운 규칙” (최태원 회장, ‘20.10)
-그룹 8개사 ‘50년까지 RE100 달성 선언(’20.11)
삼성그룹 -석탄 관련 신규투자 및 사업 중단(삼성물산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참여 중단)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 자원순환률 제고(‘20년 기준 98.1%)
현대·기아차 -전기·수소차 확대 → ‘25년까지 전기차 56만대, 수소차 11만대 목표
-UNDP와 ’지속가능 발전 현실화‘와 관련된 MOU 체결

ㅇ (중소·중견) 대기업 대비 지속가능경영 실천·조직운영 등 이행 부족

* 지속가능경영 평가점수(IPS, '17) : (대기업) 90.73 ↔ (중견‧중소기업) 63.97
* 지속가능경영 이행 현황(KPC, ’18) : (대기업) 98.7% ↔ (중소‧중견기업) 34.3%
* 지속가능경영 관련 조직 운영여부(KPC, ’18) : (대기업) 71.4% ↔ (중소·중견) 16.7%

2 제약요인 분석

< 주요 실태조사 결과 >

◇ 대한상의, KPC, 성균관대학교 등에서 지속가능경영 장애요인 조사

➊ (商議, ’18) 과도한 정보요구(47.5%), 비용부담(41%), 대응체계 부재(36.1%) 등

➋ (한국생산성본부, ’18) (1위) 예산부담, (2위) 인력부족, (3위) 지침 부족

➌ (성균관大, ’18) (1위) 이행성과 불확실성(71.3%), (2위) 내부자원 부족(62.5%),
(3위) 가이드라인 부재(50.3%), (4위) 인센티브 부족(50.3%)
? 다양하고 복잡한 평가기준으로 기업 혼란 및 부담 가중

□ 서로 다른 다수 지표*가 존재하며, 지표간 평가항목이 상이

* 현황 : 국내 약 20개의 ESG 평가지표 → 상이한 평가기준으로 동일 기업 다른결과 발생

ㅇ 해외 기업마다 다른* 지표를 요구하고, 과도한 정보유출 발생

* 非재무적 평가에 대한 기업 불만 : 중복자료 요구(65.9%), 과도한 정보요구(47.5%)

ㅇ 한편, 국내 일부 지표는 E·S·G 중 특정 분야 편중*되어 수용성 제한

* 사례 : (국내 A평가사) 지배구조(G) 중심의 지표 구성(49%)

? 규제‧규범 관점으로만 접근 → 기업 지원‧인센티브 정책은 부족

□ 중소‧중견기업은 예산·인력 부족으로 지속가능경영 도입에 주저

* 중소기업 장애요인(KPC, '18) : (1위) 예산부담, (2위) 인력부족, (3위) 지침 부족

ㅇ 대기업이 공급망 ESG 관리 차원에서 일부 지원* 중이나 역부족

* (삼성SDI) 협력업체 CEO 대상 준법·환경교육, 임금격차 해소 지원
* (SK하이닉스) 협력업체 CEO 대상 탄소경영 교육, 온실가스 배출 모니터링 지원

ㅇ 규범 발전 속도에 비해 정부 지원이 확대되지 못한 것은 아쉬운 측면

* 산업발전법 제19조 제5항에 근거하여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 설립(‘19.3월)
→ 지속가능경영 전문가 양성‧교육 및 컨설팅 외 추가 사업확대 미흡

□ 정부는 기업의 현실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자발적 노력에만 의존

* 친환경·안전강화 투자를 재무적 관점에서 비용으로 인식 → 주주반대로 투자 어려움
* “ESG 가치창출 기업에 보상 필요”(국내 S사 회장, 베이징 포럼 2020 개막 연설)

?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인식 공유 및 기업간 연대협력 부재

□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의 성과를 가시적‧단기적으로 확인 불가

ㅇ 금융기관‧거래기업 등은 공급망 차원의 ESG 강화를 요구
→ 개별 기업 노력에도 협력사 참여 부족시 지속가능경영 성과 제약

□ 인식공유와 연대‧협력을 통한 생태계 차원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필요
Ⅲ. 추진방향

< 기본방향 >
◇ 산업정책 차원에서 지속가능경영 인식 확산, 정책지원을 추진

ㅇ 탄소중립 시대에서 더욱 더 중요해질 지속가능경영 대비

ㅇ 평가지표‧정부지원 등 제도 개선과 인식제고‧기반확대 지원

◇ 기업간 비전‧성과 공유, 연대‧협력을 유도하는 기반 확보

ㅇ 개별 기업이 아닌 산업생태계 전반으로 지속가능경영 확산

< 현장애로 > < 해소방안 >

복잡한 기준‧지표 한국형 평가지표 정립
√ 공신력 있는 지표 부재 ➡ ·대표 평가지표 마련으로 기업혼란 방지
√ 복잡한 기준, 과도한 정보요구 ·기업의 자발적 참여 기반 인증체계 마련

기업역량 부족 대응역량 제고
√ 중소기업은 인력‧예산 등 부족 ➡ ·중소·중견 대상 지속가능경영 지원
√ 구체적 가이드라인도 부재 ·지속가능 목적의 사업재편 지원
·업계 대상 지속가능경영 대응교육

인센티브 미흡 인센티브 구축
√ 기업차원의 추진동기 부족 ➡ ·우수기업 대상 포상 확대
√ 정부차원 지원패키지 부재 ·R&D, 정책금융 등 지원


확산기반 구축
·기업간 연대·협력 확대 ·국제협력 추진 ·정부정책과 지속가능경영 연계
→ 지속가능 생태계 구축 →국제표준 제정 참여 → 탄소중립, 한국판 뉴딜 등
Ⅳ. 정책과제

1 민간주도 한국형 지표(K-ESG) 정립

◇ 시장혼란을 최소화하는 가이드라인 성격의 지속가능경영 지표 마련
◇ 마련된 평가지표·인증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운영

□ (개요) 「산업발전법」에 근거해 국가 대표 지속가능경영 지표 정립

* 법 제18조① :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지표” 설정·운영

ㅇ 기업 필요*에 따라 자발적 선택으로 지속가능경영 평가‧인증

* 외부 의견 : ➊다양한 민간 기준 → 대표기준 확보로 기업 혼란 해소
➋민간기준 충족시에도 납품기업이 不인정 → 공신력 있는 지표 필요

□ (지표) 활용목적 반영 ➊기본지표(최소)‧➋혁신지표(추가) 2단계 구성

* 지표 활용 : 기업이 활용 목적에 따라 기본지표‧혁신지표 중 선택 가능
* 지표 성격 : 기존 다양·복잡한 평가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가이드라인
* 지표 개발계획(목표) : (기본지표) ’21년 수립, (혁신지표) ’22년 수립 (산업부‧KPC)
↳ 민간·전문가·업계·금융권 및 관계부처 등과 충분한 소통을 통해 마련

➊ (기본지표) 글로벌 요구에 부합하는 필요 최소한의 평가기준(‘21년)

ㅇ (구성) 국내외 평가기관 지표 중 공통·필수요소*를 선별‧구성

< 주요 ESG 평가기관 공통 요구기준 >
구 분 지표 내용
환경(E) 온실가스 배출량·집약도, 유해폐기물 운송·보관 현황
사회(S) 협력회사 사회 이슈 개선조치, 안전·보건규정 위반여부
지배구조(G) 임금수준(최저임금 대비), 반부패 정책·절차 확보

- 글로벌 수용성 확보를 위해 3대 평가요소(E‧S‧G)를 균형있게 포함
< 주요 지표별 ESG 구성 >
단일영역 or 일부영역에 집중된 지표 ESG가 균형을 이루는 지표

지배구조 중심 환경 중심 균형잡힌 지표(DJSI 등)

ㅇ (활용) 우리 기업이 국내외 납품처‧투자자 등에게 증빙용으로 활용

* 필요 최소한의 기준 충족시 인정 → 과도한 정보요구 차단 및 기업부담 최소화

➋ (혁신지표) 차별화된 지속가능경쟁력을 보여주는 추가 기준(‘22년)

ㅇ (구성) 디지털 전환, 그린 공급망 등 산업이슈별 특화 구성

< 혁신지표 유형별 기준 구성 >
지표 기준(문항) 예시
디지털 전환 -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매출액 및 매출비중
- 디지털 전환 인재 육성 성과(연간 교육 횟수, 수료자 비율 등)
그린 공급망 - 책임있는 원자재 조달 체계 구축(인증광물 사용여부 등)
- 친환경 리스크 모니터링 협력사 비율 (%)
* 기본지표 先구성 후 업계‧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개발 추진

ㅇ (활용) 기업이 스스로의 경쟁력 세일즈를 위해 자발적 선택‧평가

* 분야별 이니셔티브와도 연계 → (예) RE100, EV100, EP100 등
* 향후 정부 지원정책(R&D‧정책금융 등)에 대한 우대기준으로도 활용

□ (인증) 기본‧추가지표 충족 기업에 대해 K-ESG 인증* 발급(‘22년~)

* 법적근거 : 「산업발전법」 개정 검토 → K-ESG 인증근거 마련
* 추진계획 : 세부 인증기준‧절차 등은 기본‧추가지표 개발 후 추가 검토 추진
* 인증성격 : 강제가 아닌 자발적 선택 → 필요기업 활용(해외기업 제출 등)

ㅇ (절차) 인증업무를 수행하는 K-ESG 인증평가기관 지정(산업부)*

*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 역할 : ①인증기준 수립‧운영, ②인증기관 관리‧감독(위탁)

< 인증 체계 및 주체별 역할 >

지속가능경영 기준 제시 인증평가 인증 인증
지원센터 ⇄ 기관 ⇄ 기업
(KPC) 결과 제출 (컨설팅 기관, 표준협회 등) 자료제출

ㅇ (공시) 기업 신청 기반 K-ESG 평가결과와 관련 활동 공개‧홍보(KPC)

* 공개 희망여부 및 공개범위 사전확인 → 인증기업 희망 전제 홈페이지 공개

- 기관투자자 등이 투자결정에 참고할 수 있도록 정보 플랫폼* 구축

* 구축방안 : KPC 홈페이지 내 K-ESG 평가결과 및 주요활동 DB 구축

ㅇ (확산) 해외기관과 상호인정을 통한 K-ESG의 국제적 공신력 확보

* 국가별 협력대상(안) : (中) 사회과학원, (美) 다우존스·S&P, (印) 생산성위원회

- 해외기업이 한국지표‧인증을 인정할 수 있도록 기반 마련

【참고 ➍】민간주도 K-ESG 평가지표 예시*

대 분 류 세부 내용
정보공시 정보공시 지속가능경영 정보공개 방식, 사업장 범위, 목표
(5개 문항)
환경 환경경영 정책 환경정책 및 조직, 기후변화 대응 등
(14개 문항) 환경경영 성과 친환경 비즈니스, 환경경영 성과, 이해관계자 소통 등
환경경영 검증 협력업체 환경경영 지원 등
사회 사회책임경영 정책 사회책임경영 전략 및 목표 등
(22개 문항) 임직원 임직원 다양성, 채용 등
인적자원관리 임직원 교육, 역량 개발 등
근로환경 사업장 안전관련 사항 등
인권 인권정책, 교육 등
협력사 공급망, 동반성장 관련 성과 등
지역사회 지역사회 사회공헌 참여 및 활동 등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 현황 등
지배구조 이사회 이사회 다양성, 활동 등
(20개 문항) 주주 주주권리, 배당 등
소유구조 소유구조 등
윤리경영 및 반부패 윤리경영 및 반부패, 준법 현황 등
감사 감사기구 관련 등
* 지속가능경영 기반조성 사업(KPC 수행, ‘19~’20)에 따른 민간·전문가 의견
→ 추후 업계·금융권 및 관계부처 의견수렴을 통해 수정·보완
2 대응역량 제고

◇ 역량이 부족한 중견‧중소기업을 위해 전문교육‧평가지원 추진
◇ 사업재편 지원제도 활용으로 기업의 친환경‧안전 투자 지원

□ (전문교육) 직급별 맞춤형 교육으로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 지원

* 지속가능경영 인력양성 사업 : 사내 전문가 육성 및 중소·중견기업 경영진 교육

ㅇ (CEO) CEO 대상 포럼‧강연* 등으로 기업의 자발적 수용 확산

* KPC(콘텐츠‧강연자 섭외 등 준비) - 商議‧업종별 협회(기업참석 유도) 등 협업

ㅇ (임직원) ESG 기획‧실행방향, 평가보고서 작성 등 실무역량 배양

* 기업 지속가능경영 담당자 대상 ESG 평가 대응 및 보고서 작성법 등 정기교육(KPC)

□ (평가지원) 역량이 부족한 중견‧중소기업 대상 원활한 평가 지원

ㅇ (가이드라인) 평가대상 기업에게 가이드라인 제공·지원(KPC)

*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부문별 작성 가이드라인」 마련‧배포(KPC, ’21)

ㅇ (컨설팅) 희망기업 대상 지속가능경영 현황 진단 및 컨설팅 제공*

* 지속가능경영 실태조사, 인력양성 사업 등 연계 → 필요시 별도 사업화(신규예산 반영)

ㅇ (사례집) 기업들이 참조할 모범사례* 발굴 → 사례집 발간(매년)

* 전문가‧소비자 평가 등 기반 → 지속가능경영 포상 사례 등 포함

< 지속가능경영 모범사례 >
기업명 지표 내용
LG전자 -탄소저감, 공급망 리스크 관리 노력으로 7년 연속 DJSI 가전부문 최우수
아모레퍼시픽 -중소협력기업 대상 공급망 ESG 관리로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SK하이닉스 -국내 최초 RE100 이니셔티브 가입 선언

□ (사업재편) 기업의 親환경 혁신, 안전 강화 투자에 사업재편 활용

ㅇ (대상) 親환경 공정혁신과 사업장 안전강화 활동도 적용대상 인정

* 적용대상(기활법§2) : 사업분야·방식 변경 등을 통한 기업의 생산성 향상 활동
↳ 생산성 향상활동을 폭넓게 인정(유권해석 또는 필요시 법령개정 등)

ㅇ (지원) 사업재편 일반 혜택* 제공 및 인증기업 추가혜택 부여**

* 일반혜택 : (구조변경) 합병‧분할‧주식이전 등, (신사업) 사업방식 변경, 新기술 도입 등
** 추가혜택 : 사업재편 전용 R&D‧자금‧컨설팅 등 각종 사업 우선지원 또는 추가지원 등
3 인센티브 부여

◇ 정부포상 등을 통해 지속가능경영 실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 R&D‧금융‧마케팅 등 정부지원 우대로 지속가능경영 유인 강화

□ (포상) 수여기준 정비 및 표창 확대를 통해 기업유인 제고(‘21년)

ㅇ (재편) 국내 일자리 창출‧친환경 혁신 기여 기업 중심 표창*

* (現) 국내기여 무관 해외활동 기업 표창 → (改) 분야별 우수 등 지속가능경영 연계성 강화

< 現 지속가능경영대상 > < 개선방안 >


종합 + 글로벌 ➡ 종합 + 분야별 우수기업
ESG CSR 우수
기업 환경 사회 지배구조 (G)
(E) (S)

* 표창 현황(매년 11~12월) : (대통령) 2, (국무총리) 2, (장관표창) 8 → 大‧中小기업 안배

ㅇ (확산) 우수기업은 「상공의 날*」 계기를 활용해 상급 표창 수여 추진

* 표창 현황(’20년) : (금탑)3, (은탑)2, (동탑)2, (철탑)1, (석탑)2, (포장)6, (대통령)15, (총리)15 등

□ (R&D) 국가인증 등 ESG 우수기업 대상 R&D 선정‧조건 우대

* 단계별 도입 : 산업부 R&D 우선적용 검토(’22년) → 타부처 R&D까지 확산(중장기)

ㅇ (우선선정) 인증‧표창기업이 R&D 신청시 선정가점 부여 추진

* 산업부 R&D 공통운영요령 등 개정 추진(’22년)

ㅇ (부담완화) 표창기업의 경우 R&D 자부담 비율 완화검토(現 33%)

□ (금융) 지속가능경영 기업에 자금이 우선 유입되는 시장구조 형성

ㅇ (정책금융)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추천 → 금리 우대 등 혜택

* 혁신적 1,000개 중견ㆍ중소기업 선정 → 한도 상향, 금리 우대 등 지원(3년 40조원)

- 정책펀드(뉴딜펀드 등)‧금융 프로그램 등 특례 적용대상 지속 확대

ㅇ (민간금융) K-ESG 평가결과 및 기업 주요활동 공개→투자기준 활용

- 기관투자자의 초기 마중물 투자로 ESG 금융시장 성장 유도

□ (판로) 지속가능경영 기업에 국내‧외 마케팅 참여기회 우선 부여

* (국내) 코세페 등 쇼핑행사 활용 특별관 운영, 혁신조달 연계 등
* (해외) EU 등 ESG 관심국가 대상 해외마케팅‧공공조달‧해외사절단 우선 참여
4 확산기반 구축

◇ 연대‧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속가능경영 인식 공유‧확산
◇ 글로벌 리더십 발휘로 ESG 규범 제정자(rule setter)로 도약

□ (ESG파트너십) 기업간 상호협력‧비전공유의 場 마련*(‘21년)

* KPC(지속가능경영센터) 주관으로 업종별 협의체 구성 → 기존 표창기업 등 참여 유도

ㅇ (연대‧협력) 기업간 협력으로 생태계*‧공급망 차원 지속가능성 확보

- 자동차·배터리 등 생태계 차원의 준비를 위한 연대·협력 강화

< 주요 업종별 대기업·협력업체간 연대·협력방안 >
업 종 협력방안
자동차 (E) 협력업체 사업장별 용수 재활용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 방안 지도
(S) 협력업체 대상 작업장 안전·보건환경 수준 제고
(G) 부패방지 교육 및 이사회 독립성 등 기업구조 개선 지원
배터리 (E) 제품 제조시 재생에너지 활용 지원
(S) 근로자 괴롭힘 방지 및 근로자 근로시간 준수 지도
전자기기 (E) 불필요한 수자원 소비 및 폐수배출 최소화 맞춤형 지도
(S) 근로자 산업재해 발생시 대응체계·방안 구축 지원
(G)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취약점 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지원

ㅇ (정보공유) 업계간 글로벌 규범정보* 및 업종별 비전 공유**

* 유럽 녹색분류체계(Green Taxonomy), 해외 주요금융‧펀드 지원조건 등
** 우리 산업여건을 반영한 ESG 기준 마련 강구 : (예) 철강‧시멘트 규제 단계적 접근 등

- 산업별 상황을 고려하면서 추진할 수 있도록 논의의 장 마련

□ (국제협력) 해외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제규범 제정에 능동참여

ㅇ (기관간) ESG 지표·활용을 논의하는 국제협의체* 구축

* 구성(안) : KPC+中·日·印 등 아시아 주요국 관계기관 → 추후 美·EU 등 확대

ㅇ (정부간) 국가별 협력채널*을 활용하여 K-ESG의 국제화 지원

* 정부간 협력채널 : (美) 한미 산업협력대화, (EU) 한-EU 산업정책대화 등

⇒ 우리 경제여건·산업구조를 반영한 한국형 평가지표의 국제화 촉진

□ (정책연계)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부합하는 정부정책 개발 지속

* 「산업발전법」 제19조④ : 정부는 기업의 자율적 지속가능경영 추진 지원가능

< 연계 및 활용가능 정책 >
(E) 환 경 ➡ 클린팩토리 확산, 친환경차 및 EMS 보급 등

(S) 사 회 ➡ 재택근무 확산, 상생형일자리(지역경제) 지원, 안전로봇 보급 등

(G) 지배구조 ➡ 경영투명성 제고 디지털전환, 노사갈등 중재, 연대협력 등
Ⅴ. 향후 추진계획*

구분 주요 후속조치 일정

1. 한국형 평가지표 정립
· 한국형 지속가능경영 평가지표 – 기본지표 정립 ‘21년
· 한국형 지속가능경영 평가지표 – 혁신지표 정립 ‘22년
· K-ESG 인증기준 마련 ‘22년
· K-ESG 인증평가기관 지정 ‘22년
2. 대응역량 제고
· 기업 CEO 대상 포럼·강연 계속
· 기업 지속가능경영 임직원 대상 ESG 기획 교육 〃
·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작성 가이드라인 제공 ‘21년
· 지속가능경영 현황 진단 및 컨설팅 계속
· 지속가능경영 모범 사례집 발간 ‘21년
· 친환경 혁신, 사업장 안전강화 활동 사업재편 수시
3. 인센티브 부여
· 지속가능경영 포상 정비·확대 ‘21년
· 지속가능경영 우수기업 대상 R&D 우대 ‘22년
· 지속가능경영 우수기업 대상 혁신기업 국가대표 추천 ‘22년
· K-ESG 평가결과 및 기업 주요활동 공개 ‘22년
4. 확산기반 구축
· 업종별 지속가능경영 연대·협력 추진 ‘21년
· 글로벌 연대·협력 및 국제논의 참여 중장기
* 위 계획은 잠정안으로 향후 상황·정책여건에 따라 변경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