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테크노밸리 성공요인, '지자체가 전과정 주도'-경기연
(수원=뉴스1) 윤상연 기자
(수원=뉴스1) 윤상연 기자 = 경기 성남 판교테크노밸리가 성공한 것은 지자체가 전과정을 주도하고, 수요자 맞춤형 단지를 설계한데다 서울 강남과의 접근성이 뛰어났기 때문이란 의견이 제시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상훈 선임연구위원은 26일 '판교테크노밸리의 성공과 시사점' 제하의 연구자료를 발표, '현재 판교테크노밸리는 기반구축 단계를 지나 클러스터 형성기로 진입 중이며, IT 대⋅중견기업의 집결지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남 테헤란밸리의 IT 중소기업들이 저렴한 임대료를 찾아 서울디지털단지로 이전한 것과 달리, 판교테크노밸리는 대기업 19.3%, 중견기업 51.8%, 중소기업 28.9% 등,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 한국 상위 10대 게임업체 중 7개 업체가 입주하는 등 고도 성장기에 있는 게임, 응용SW,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업종이 대다수이다.
업종별로는 IT(정보기술)가 333개사(52.5%)로 절반 이상이며, BT(생명공학기술) 72개사(11.4%), CT(문화산업기술) 61개사(9.6%) 등의 순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2014년 현재 700여개 기업이 입주, 종사자수 3만8000명인 판교테크노밸리 성공요인으로 우선 지자체가 계획부터 사업의 전 과정을 주도했다는 점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도는 조성원가 수준(강남 테헤란밸리의 절반 이하)으로 용지를 공급해 조기 분양과 입주를 실현했다. 또 IT 및 IT 관련 R&D융합분야로 업종을 일부 제한, 타 지식기반산업단지와는 차별화된 클러스터로 발전하는데 기여했다는 평이다.
민간주도 개발에서는 보기 어려운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단지설계도 성공요인으로 꼽힌다. 전체 용지를 초청연구, 일반연구, 연구지원 등으로 배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특히 일반연구용지(연구집적⋅개발시설, 산학공동연구센터 등)와 연구지원용지(창업지원, 금융, 직업훈련소 등)의 구분은 판교 개발시 도입된 신개념으로,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는 중견기업 유치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주거단지⋅상업업무지구와 효율적으로 결합시켜 주거⋅생산⋅소비⋅휴식이 상호 밀접하게 연계된 설계도 장점이다.
끝으로 서울 강남과의 접근성, 양질의 배후 도시기능 등 뛰어난 입지요건도 성공 요인으로 빼놓을 수 없다. 판교역을 이용한 서울 강남과의 접근성은 IT 중심지로 성장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판교테크노밸리는 단순 집적을 넘어 명실상부한 혁신 클러스터로 전환해야 한다"며 "가칭 판교 ICT 대학원 대학을 설립해서 취약한 인력을 보완하고, 판교-광교-동탄밸리로 공간을 확장해 '광역판교'를 추진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판교만의 비즈니스 생태계인 'Like Pangyo' ICT(정보통신기술) 창조지구 육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교 성공위해선 인력·광역판교 조성 시급"경기硏 (0) | 2014.03.26 |
---|---|
판교테크노밸리 성공 3요소 (0) | 2014.03.26 |
한독, 전환사채로 바이오벤처 제넥신 100만주 취득 (0) | 2014.03.25 |
경기도, 엔젤투자자와 콘텐츠 초기기업에 100억 투자 (0) | 2014.03.25 |
경기콘텐츠진흥원, 50억 규모 문화콘텐츠 펀드 운용 (0) | 201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