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세계과학정상회의 개회, 5일간 일정 돌입-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작성일 : 2015. 10. 16. 세계과학정상회의 준비기획단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 개회, 5일간 일정 돌입
-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59개국 12개 국제기구 3천여 명 참석 -
- 한국, 과학기술혁신 통한 글로벌 미래 창조 주도국가로 나선다 -
http://www.daejeon-oecd2015.org/kr/main.do
행사 개요
세계과학정상회의는 도전적인 글로벌 문제를 극복하고 향 후 10년간의 과학기술혁신 방향을 설정하여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 방향으로 국제 공동체를 이끌어가기 위한 세계최대의 과학기술 행사입니다.
본 행사는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성장을 목적으로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국제적 협력 관계 형성을 위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입니다.
- - 일시 및 장소 : 2015.10.19 ~ 23 [5일간] 대전 컨벤션센터(DCC)
- - 주최 및 주관 : 미래창조과학부, OECD
- - 주제 :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글로벌 미래창조 (Creating Our Common Future through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 - 참석 : OECD 사무총장, 과학분야 장‧차관, 세계적 석학, 노벨상 수상자, 글로벌 CEO, 과학기술혁신 관련 각계 정상급 인사
-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는 글로벌 과학기술 정책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습니다. 본 회의는 인류가 당면한 정책과제 문제와 미래의 이슈에 관한 고위급 회담으로, 미래의 과학기술의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하고 과학기술분야의 정책입안에 있어 국가간 협력을 주도할 것입니다.
- 세계과학기술포럼
- 세계과학기술포럼은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에 앞서, 미래창조과학부의 주최로 진행됩니다. 본 포럼에는 세계 수준의 석학 및 글로벌 CEO, 노벨상 수상자 등이 참여하여, 그들의 통찰적 시각을 공유하고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성장방안을 논의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
- 대한민국 과학발전 토론회
- 포럼과 장관회의에서 논의된 주제와 관련하여 국내 과학기술인이 참여하는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CSTP) 총회
-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회원들 간의 비공개회의로 진행됩니다.
- 연계행사
- 과학기술에 대한 대국민 관심제고를 위해 다양한 부대행사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구분 | 10.19 (월) | 10.20 (화) | 10.21 (수) | 10.22 (목) | 10.23 (금) |
---|---|---|---|---|---|
주요행사 | 세계과학 기술포럼 |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
제107차 OECD 과학기술정책 위원회 총회 |
대학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
연계행사 |
|
세계과학기술포럼 프로그램
날짜 | Track1 | Track2 | Track3 | Track4 | 특별세션 |
---|---|---|---|---|---|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
과학기술과 미래변화 |
과학기술을 기반으로한 혁신과 창조경제 |
지속가능.동반성장 위한 과학기술혁신 | ||
10.19 (월) |
개회식 기조연설 1 : 과학기술혁신이 바꾸는 인류의 미래 기조연설 2 : 미래사회의 글로벌 도전과제와 과학기술혁신 | ||||
세션 1-1 (STI 정책 및 R&D) |
세션 2-1 (바이오) |
세션 3-1 (과학기술기반 혁신클러스터) |
세션 4-1 (기후변화대응 및 환경) |
Talk Concert with Young Innovators | |
오찬 | |||||
세션 1-2 (과학기술혁신 투자영향평가) |
세션 2-2 (에너지) |
세션 3-2 (과학기술과 제조업혁신) |
세션 4-2 (글로벌 공존을 위한 과학기술) |
과학창의로 여는 미래 | |
OECD 사무총장 특별세션 |
휴식 | ||||
세션 1-3 (과학교육 인재양성) |
세션 2-3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
세션 3-3 (문화,예술과 과학기술융합을 통한 혁신) |
세션 4-3 (글로벌 협력 및 공공복리) |
공상과학영화, 현실이 된다. -우주자원탐사 | |
환영만찬 |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프로그램
날짜 | 구분 | 주요내용 | ||
---|---|---|---|---|
10월 20일 (화) |
개회식 | |||
전체회의 1 | 효과적인 과학기술혁신 실현방안 | |||
분과회의 | 국가 혁신전략 | 공공투자의 영향력 제고 | 21세기 과학정책 : 오픈 사이언스와 빅데이터 | |
10월 21일 (수) |
전체회의 2 |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 ||
분과회의 | 의료 분야 과학 혁신 |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개발 |
포용적 성장을 위한 과학혁신 | |
장관 공동성명 (대전 선언문) |
구분 | 시간 | 행사명 | 세부내용 | 장소 |
---|---|---|---|---|
세계과학 기술포럼 |
08:30-09:00 | 포럼등록 | 포럼 참가자 등록 | 1층 등록데스크 |
09:00-09:30 | 개회식 | 개회사, 환영사, 축사 | 2층 개막식장 | |
11:00-12:30 | 분임세션1 자세히보기 연사소개 |
|
1층 포럼장(1-4) | |
특별세션 | Talk Concert with Young Innovators | 3층 소강당 | ||
12:30-14:00 | 오찬 | 네트워킹 오찬 | ||
14:00-15:30 | 분임세션2 자세히보기 연사소개 |
|
1층 포럼장(1-4) | |
특별세션 | 과학창의로 여는 미래 | 3층 소강당 | ||
15:30-16:20 | 특별세션 | - OECD 사무총장 특별세션 | 1층 포럼장(1) | |
16:00-17:30 | 분임세션3 자세히보기 연사소개 |
|
1층 포럼장(1-4) | |
특별세션 | 공상과학영화, 현실이 되다 - 우주자원탐사 | 3층 소강당 | ||
18:30- | 만찬 | 환영만찬 |
문의 사항 : wstforum@msip.go.kr
구분 | 시간 | 세부내용 | 비고 |
---|---|---|---|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
11:00-13:00 | 장관회의 참가자 등록 | |
13:30-14:30 | 개회식 | ||
14:30-15:15 | 전체회의 1: 소개 | ||
15:45-17:45 |
|
||
18:15-19:00 | 전체회의 1: 분과회의 결과 보고 및 결론 | ||
19:30-21:30 | 업무 만찬 |
주의: 개회식 및 전체회의(소개)는 일반에 공개되지만, 그 이후의 일정(분과회의 부터)은 각국에 초청된 장관급 인사의 참석만 허용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 시간 | 세부내용 | 비고 |
---|---|---|---|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
09:30-10:15 | 전체회의 2: 소개 | |
10:35-12:35 |
|
||
12:50-14:20 | 업무 오찬 | ||
14:35-15:20 | 전체회의 2: 분과회의 결과 보고 및 결론 | ||
15:20-15:50 | 마무리 세션 | 장관 공동성명 (대전선언문) 채택 | |
15:50-16:20 | 기자회견 | 의장 및 부의장, OECD 사무총장 참석 | |
16:20-18:30 | 자유 양자 면담 | ||
18:30-20:00 | 환송 만찬(잠정적) |
주의: 총회는 등록된 이해관계자에게는 오픈되어 있지만, 참석은 승인사항입니다. 각 세션은 각국의 공식 대표자만 참석 가능합니다
구분 | 시간 | 행사명 | 세부내용 | 장소 |
---|---|---|---|---|
OECD 과학기술총회 |
- | 과기총회 | 제107차 CSTP 총회 | 1층 총회실 |
주의: 본 회의는 각국의 공식 대표자만 참석 가능합니다.
구분 | 시간 | 행사명 | 세부내용 | 장소 | |
---|---|---|---|---|---|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
09:00-10:40 | 토론회 | 개회선언 및 환영식 | 1층 중회의실 | |
1분과 | 과학기술 R&D를 통한 국제사회 선도 | ||||
2분과 | 사회통합을 위한 과학기술 혁신 | ||||
3분과 |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 ||||
4분과 | 지역 과학기술 혁신과 미래창조 | ||||
11:00-12:10 | Special Dialogue |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미래를 묻다 | 2층 그랜드볼룸 | ||
12:10-12:30 | 성명서 채택 및 폐회 |
|
2층 그랜드볼룸 | ||
12:30-14:00 | 오찬 | 오찬 및 축하공연 | 2층 그랜드볼룸 |
연계행사일정
10/17(토) | 10/18(일) | 10/19(월) | 10/20(화) | 10/21(수) | 10/22(목) | 10/23(금) | 10/24(토) |
---|---|---|---|---|---|---|---|
2015년 세계과학정상회의와 함께하는 과학기술 ICT외교포럼 (국회, 21일~연세대 22일) |
|||||||
YWSCamp & Smart Sister Workshop(대전 UST) |
AASSA이사회 및 AASSA국제심포지엄 (대전 호텔인터시티) |
아시아 S&T 혁신 포럼 (한양대) |
STEPI 국제미래전략연구 심포지엄 & 한국 미래전략 학술대회 (DCC) | ||||
KAIST 문화 행사 <스윗발레> (KAIST) |
|||||||
오페라 <사랑의 묘약> (국립한밭대학교) |
|||||||
연구개발특구 기술박람회 (DCC) |
KAIST 문화기술 대학원 데모데이 (KAIST) |
||||||
사이언스데이 (국립중앙과학관) |
대한민국 과학기술창작대전 (KAIST 스포츠 컴플렉스) |
||||||
사이언스 페스티벌(대전시) (한빛광장/시민공원/충남도청(구)/스카이로드) |
제5회 세계과학관심포지엄 (국립중앙과학관) |
||||||
유성 국화전시회 (유림공원, 유성천 일원) |
- 사이언스 페스티벌
다양한 행사를 제공하는 대전시 과학문화 관광축제
- 일시/장소 : 2015.10.17(토) ~ 2015.10.21(수) 엑스포시민광장, 한빛탑 및 DCC 주변, 원도심 일원
- 주최 : 대전시
- 주관 : 대전마케팅공사
- 설명 :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와 연계 과학기술도시로서의 도시브랜드를 제고하고, 대전의 대표축제로서 차별화된 과학문화 관광축제로 개최, 전시․체험행사, 문화·예술행사, 시민참여행사, 특별 및 연계행사 등이 이루어질 예정
- 연락처 : 042-270-3861
- 사이언스데이
매년 봄·가을에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국립중앙과학관의 대표 브랜드 과학체험 축제
- 일시/장소 : 2015.10.17(토) ~ 2015.10.18(일) / 중앙과학관
- 주최 : 미래창조과학부
- 주관 : 중앙과학관
- 설명 : 전 국민이 함께 즐기는 창의체험 문화축제로서 과학에 대해 체험하면서 배우는 과학 체험부스(학교ㆍ연구기관ㆍ교육기관 과학체험부스), 과학에 대한 저변 확산을 위한 과학 대중화 강연, 과학과 예술의 만남, 보고 느끼고 즐기는 과학이벤트 등으로 구성
- 연락처 : 042-601-7735
- 2015년 세계과학정상회의와 함께하는 과학기술 ICT외교포럼
- 일시/장소 : 2015.10.21(수) ~ 2015.10.22(목) / 국회헌정기념관(2층) ~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 주최/주관 : 한국 GRDC 협의회
- 설명 : GRDC 심포지움 2015는 한국 GRDC 협의회가 주최하는 행사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국제협력 노력과 미래의 글로벌 협력 전망, 국제공동 연구 사례들을 소개하고 공유하기 위한 포럼이다. 본 포럼의 목적은 처음 심포지움 구성 당시 목표했던 세계 전반의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한 국제 협력 활성화를 공고히 하는데 있다. 각 센터에서는 국제 공동 연구와 과학 및 공학에 관한 글로벌 연계 방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과학과 기술 모든 측면에서 국제 공동연구가 가지는 여러 가지 이슈들을 다룬다.
- 연락처 : 033-760-2858
- 2015 YWS Camp & Smart Sister Program 총괄 워크숍
글로벌 인적네트워크 활성화 및 학술교류, 한국 생활 경험 공유를 위한 프로그램
- 일시/장소 : 2015.10.17(토) ~ 2015.10.18(일) / 대전UST
- 주관 :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 설명 : 글로벌 우수 인력 활용의 관점에서 국내 거주 주한 외국 여성과학기술인들이 보다 많은 성과를 내고 한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기반 마련을 위하여 글로벌 인적네트워크 활성화 및 학술교류, 한국 생활 경험 공유를 위한 프로그램
- 연락처 : 042-863-8310~2
- STEPI 국제미래심포지엄& 한국 미래전략 학술대회
미래연구의 필요성, 유용성, 효용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 일시/장소 : 2015.10.23(금) ~ 2015.10.24(토) / DCC
- 주최/주관 : 과학기술정책연구원/KAIST 미래전략대학원/미래부(후원)
- 설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증폭되고 있는 글로벌 차원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에 대처하기 위한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개최하는 행사로 KAIST 미래전략대학원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2014년 이어 2회째 개최하였으며 미래연구의 필요성, 유용성, 효용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통해 미래학, 미래예측 등 미래연구의 저변이 확대되는 계기 제공함
- 연락처 : 044-287-2131
- AASSA 이사회 및 AASSA 국제심포지엄
전시․체험행사, 문화․예술행사 등 다양한 행사를 제공하는 대전시 과학문화 관광축제
- 일시/장소 : 2015.10.19(월) ~ 2015.10.21(수) / 대전 호텔인터시티
- 주최 :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 (AASSA)
- 주관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KAST)
- 설명 : 2015년도 AASSA 이사회 및 AASSA 국제심포지엄은 “Global Health Issues in Asia”를 주제로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함께 개최함)
- 연락처 : 031-710-4622
- 아시아 S&T 혁신 포럼
한국의 과학기술혁신 포럼제
- 일시/장소 : 2015.10.22.(목) / 서울한양대학교 HIT 6층 대회의실
- 주최/주관 : 아시아연구네트워크 코리아
- 설명 : “2015 아시아 과학기술 혁신포럼”은 ‘글로벌 도전을 위한 아시아 혁신플랫폼 리더십(Asian Innovation Platform Leadership for Global Challenges)’의 주제로 10월 22일, 대전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며 본 포럼에서는 아시아 주요 국가들과 지속 가능한 아시아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지식공유, 기술시장 및 미래전략을 포함한 아시아 과학기술 혁신플랫폼 구축을 위한 토론이 진행됨
또한, 포럼에는 한·중·일 및 아시아 지역의 과학기술계 유력인사 다수가 참여해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될 예정으로 세부 주제별로 2개의 세션으로 나눠 연사 발표형식으로 진행되며 ‘Asian Leadership for Global Challenges’와 ‘Partnership and Platform Strategy’대해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토론이 진행될 예정 - 연락처 : 02-2220-4806
-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데모데이
- 일시/장소 : 2015.10.22(목), KAIST 문화기술대학원 N25동
- 주최/주관 :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 설명 :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는 공학과 인문, 사회, 예술, 디자인 그리고 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이 문화화 기술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기술을 창출하고 확산, 공유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내고 있음
2005년에 개원한 문화기술대학원은 지난 10년간 약 31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이들은 현재 학계, 산업계, 문화 관련 공공기관 등 다양한 문화산업 현장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연락처 : 042-350-2904
- 국립발레단 초청공연 <스윗발레>
- 일시/장소 : 2015.10.22 (목) / KAIST 대강당
- 주최/주관 : KAIST
- 설명 : 1986년 4월에 첫 행사를 개최한 "KAIST 문화행사"는 재학생들의 교양을 함양하고 건전한 대학문화를 선도하며, 명랑하고 풍요로운 캠퍼스 분위기조성을 위해 시작됨
또한, 문화예술 전반에 걸친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으로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 행사를 통해 학생, 교직원들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에 큰 도움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시민들에게도 문호를 개방지역사회에 봉사하는 KAIST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함 - 연락처 : 042-350-2904
- 세계과학정상회의 축하기념 오페라 <사랑의 묘약>
- 일시/장소 :2015.10.20(화) ~ 2015.10.22(목) 07:30 ~ / 국립한밭대학교 문화예술관
- 주최/주관 : 대전광역시, 리소르젠떼오페라단
- 연락처 : 1661-0461
- 제5회 세계과학관심포지엄 (ISSM 2015)
- 일시/장소 : 2015.10.22(목) ~ 23(금) / 국립중앙과학관
- 주최/주관 : 미래창조과학부 / 국립중앙과학관
- 설명 : ‘상상력과 창의력 기반의 과학문화 확산’의 주제로 기조강연, 주제강연, 워크숍, 과학토크쇼, 학술대회 등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창조적 아이디어를 나눌 수 있는
행사를 마련하였습니다. - 연락처 : 042-601-7984
연계행사일정
10/17(토) | 10/18(일) | 10/19(월) | 10/20(화) | 10/21(수) | 10/22(목) | 10/23(금) | 10/24(토) |
---|---|---|---|---|---|---|---|
2015년 세계과학정상회의와 함께하는 과학기술 ICT외교포럼 (국회, 21일~연세대 22일) |
|||||||
YWSCamp & Smart Sister Workshop(대전 UST) |
AASSA이사회 및 AASSA국제심포지엄 (대전 호텔인터시티) |
아시안 S&T 혁신 포럼 (한양대) |
STEPI 국제미래전략연구 심포지엄 & 한국 미래전략 학술대회 (DCC) | ||||
KAIST 문화 행사 <스윗발레> (KAIST) |
|||||||
오페라 <사랑의 묘약> (국립한밭대학교) |
|||||||
연구개발특구 기술박람회 (DCC) |
KAIST 문화기술 대학원 데모데이 (KAIST) |
||||||
사이언스데이 (국립중앙과학관) |
대한민국 과학기술창작대전 (KAIST 스포츠 컴플렉스) |
||||||
사이언스 페스티벌(대전시) (한빛광장/시민공원/충남도청(구)/스카이로드) |
제5회 세계과학관심포지엄 (국립중앙과학관) |
||||||
유성 국화전시회 (유림공원, 유성천 일원) |
- 연구개발특구 기술박람회
- 일시 : 2015.10.19(월)~10.20(화)
- 장소 : DCC 1층 전시장
- 주최∙주관 :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설명 : 대한민국의 최첨단 연구성과 집적지인 연구개발특구내 공공연구기관의 사업화 유망 기술과 다양한 제품들이 전시되고, 창조경제 신 성장동력인 연구소기업의 주요 성과물과 공공기술을 이전받아 제품화에 성공한 기업을 소개
- 연락처 : 042-865-8971
- 대한민국 과학기술창작대전
- 일시 : 2015.10.20(화)~10.22(목)
- 장소 : KAIST 스포츠 콤플렉스
- 주최∙주관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과학창의재단
- 참가대상 : 창작에 관심 있는 청소년, 대학생, 일반인 등 누구나
- 주요내용 :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멘토링을 통해 과학기술로 구현하고(8월-10월) 본선(10.20-22일) 현장에서 주어지는 미션을 정해진 시간(42시간)안에 해결하는 대국민 참여 창작 경연대회
- 경연분야 : 국민 4대 생활 분야 ① 건강 ②안전 ③편리 ④문화(SF단편소설/SF시나리오/SF희곡/SF웹툰/SF게임)
- 연락처 : 02-559-3896
- 유성 국회전시회
- 일시 : 2015. 10. 10.(토) ~ 10. 25.(일) / 16일간
- 장소 : 유림공원 및 유성천 일원
- 전시내용 : 국화 10만본, 꽃탑 2조, 국화 조형물 900여점, 국화 분재 200여점, 물고기 LED등, 목공예 작품, 각종 포토존 등
- 주요행사 : 작은 음악회 등 전시기간 중 소규모 문화행사
- 연락처 : 042-611-2678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가 10월 19일 오전 9시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을 시작으로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5일간의 행사 일정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ㅇ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는 세계 59개국 12개 국제기구의 과학기술 장·차관, 세계적인 석학, 글로벌 CEO 등 3천여 명이 참여, 전 세계의 지속적 경제성장과 기후변화·빈부격차·감염병 등 글로벌 도전과제의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을 논의하는 대규모 국제회의다.
ㅇ 이번 회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과학기술장관회의’와 ‘세계과학기술포럼’, 그리고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등으로 구성되며,
- 특히 OECD 과기장관회의는 지난 1963년부터 2004년까지 프랑스 파리 OECD 본부에서만 진행돼 오다가 한국의 개최 제안으로 파리 외 지역에서는 사상 최초로 한국에서 열리게 됐다.
□ 이번 회의에는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을 비롯해 에스코 아호 전 핀란드 총리, 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 박사, 노벨상 수상자 아론 시카노바 교수 등 해외 저명인사들이 대거 방한해 OECD 과기장관회의 대표단 및 세계과학기술포럼 연사로 참가한다.
ㅇ OECD 34개 회원국·13개 협력국, 동남아국가연합(ASEAN) 10개국 등 OECD 과기장관회의 참석대상 57개국 12개 국제기구에서 과학기술 주무부처 장차관 및 국제기구 수장들을 포함한 총 270여명의 대표단이 참석할 예정이다.(10. 14. 기준)
ㅇ 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적인 석학들, 글로벌 CEO들을 포함한 18개국 80여 명의 각계 전문가들도 세계과학기술포럼에 좌장·연사·토론자로 참여하게 된다.
ㅇ 또한 국내 과학기술계 주요 인사들과 일반 시민들도 세계과학기술포럼과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에 대거 참여할 전망이다.
□ 미래부는 우리나라가 이번 회의의 개최국이자 의장국으로서 향후 10년간의 세계 과학기술정책 방향을 담은 ‘대전선언문’을 이끌어내는 등 과학기술분야의 정책 현안 조정과 미래 비전 설정에 기여, 과학외교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ㅇ 특히 OECD 과기장관회의 최초로 ASEAN 10개국을 초청하고 ASEAN+3(한중일) 장관급 포럼도 개최, 삶의 질 향상·빈부격차 해소 등 다양한 가치를 아우르는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선진국과 개도국 간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을 주도할 계획이다.
□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 5일간의 주요 행사 일정은 다음과 같다.
ㅇ 19일 첫 날에는 세계과학기술포럼이 개최돼 노벨상 수상자·세계 석학·글로벌 CEO 등 전문가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과학기술혁신의 미래 비전을 논의하게 되며, 특히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이 직접 주재하는 OECD 특별세션도 진행될 예정이다.
- 오전 9시부터 시작되는 개회식에서는 제레미 리프킨의 기조강연과 아론 시카노바·노요리 료지 두 노벨상 수상자들의 강연이 진행된다.
- 이어지는 분과세션에서는 △과학기술혁신시스템 △과학기술과 미래변화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과 창조경제 △지속가능한 동반성장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등 주제의 4개 트랙 12개 세션(트랙당 3개 세션)과, 창업·과학창의문화·공상과학영화 등 일반인들에게 친숙한 소재로 진행되는 3개 특별세션, 그리고 OECD 특별세션까지 총 16개 세션이 진행된다.
- 오후로 예정된 OECD 특별세션에서는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이 주재하는 가운데 △과학·기술·산업 관련 국가별 주요 지표를 비교·분석하는 격년제 보고서 ‘OECD 과학기술산업(STI) 스코어보드’ 2015년판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 전략 제안서 ‘OECD 혁신전략보고서’ 2015년 개정본 △국제적인 연구개발기준 ‘OECD 프레스카티(Frascati) 매뉴얼’의 개정내용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ㅇ 20일에는 사상 최초로 파리 OECD 본부를 떠나서 열리는 OECD 과기장관회의가 시작돼, ‘효과적인 과학기술혁신 실현방안’을 주제로 첫 날 본회의를 진행한다.
- 오후 개회식에 이어 진행되는 전체 회의에서 에스코 아호 전 핀란드 총리와 이희국 ㈜엘지(LG) 사장, 필 다이아몬드 SKA(Square Kilometre Array) 거대전파망원경 프로젝트 단장의 기조연설이 진행되며, 이후 분과회의·전체회의·업무만찬으로 밤 시간까지 본회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ㅇ 21일에는 OECD 과기장관회의 2일차 회의가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을 주제로 진행, 오후 의장인 최양희 미래부 장관이 향후 10년간의 세계 과학기술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대전선언문’을 발표하는 것으로 마무리될 예정이다.
- 2일차 과기장관회의에는 미국 퍼시픽노스웨스트국립연구소(PNNL,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의 미생물생태학자 자넷 잰슨 박사와 프랑스의 기후변화 권위자 에르베 르 트뢰트 에꼴 폴리테크닉 교수, 과학기술정책 전문가 캐롤라인 와그너 미 오하이오주립대 교수가 기조연사로 나선다.
ㅇ 22일은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CSTP, Committe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총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ㅇ 회의 마지막 날인 23일에는 ‘과학기술로 열어갈 초일류 대한민국’을 주제로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가 열려, OECD 과기장관회의와 세계과학기술포럼에서 논의된 성과들의 국내 정책 시사점과 향후 추진방향을 토론하고 세계과학정상회의 전반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것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릴 예정이다.
□ 한편, 대회기간 대전광역시 및 대덕연구개발특구 전역에서는 △세계과학정상회의 기념 오페라 ‘사랑의 묘약’(10.20.~22.) △과학문화축전 사이언스페스티벌(10. 17.~21.) △KAIST 문화행사 ‘스윗발레’(10.22.) 등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10여 건의 과학문화행사들이 세계과학정상회의와 연계해 진행될 예정이다.
[붙임 1] 세계과학정상회의 개요, [붙임 2]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개요
[붙임 3] 세계과학기술포럼 개요, [붙임 4]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개요
[붙임 5] 연계행사 개요
붙임 1
세계과학정상회의 개요
□ 추진 배경
ㅇ 과기혁신 분야 장관, 국제기구, 저명인사가 모여 세계경제의 저성장 기조 및 글로벌 사회문제를 대응하기 위한 과기혁신 논의 추진
□ 행사 개요
ㅇ (일시 및 장소) '15. 10. 19. ~ 23. (5일), 대전 컨벤션센터(DCC)
ㅇ (주 최) 미래창조과학부, OECD
ㅇ (주 제)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글로벌 미래창조*
* Creating Our Common Future through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ㅇ (초 청) 59개국 장관급·12개 국제기구 대표, 세계적 석학 등 저명인사 초청
- 현재(‘15.10.14.) 장‧차관급 38명, 제레미 리프킨(美 경제동향재단 이사장), 아론 시카노바(‘04 노벨상) 등 80여명의 민간연사 참석 확정
< 세계과학정상회의 주요 프로그램 >
10. 19 (월)
10. 20 (화)
10. 21 (수)
10. 22 (목)
10. 23 (금)
세계과학
기술포럼
ASEAN+3 과기장관포럼
OECD
과기장관회의
OECD
과기정책위원회
총 회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OECD 과기장관회의
□ 기대 효과
ㅇ 과기혁신(STI)은 세계경제 저성장 및 글로벌 사회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며 미래성장동력이라는 창조경제 패러다임을 세계에 제시
ㅇ OECD 과기정책위원회 창설 이래 처음 해외, 특히 아시아에서 개최되는 장관회의로, 한국의 과학기술 외교력을 격상하는 계기 마련
ㅇ 행사기간 대중들이 참여하는 연계행사를 동시에 개최함으로써 과학문화를 부흥시키고, 대전을 세계 속의 과학도시로 발전시킬 계기 마련
붙임 2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개요
□ 행사 개요
ㅇ 일시 및 장소 : '15. 10. 20.(화) - 21.(수), 대전컨벤션센터(DCC)
ㅇ 주최 및 주관 : 미래창조과학부, OECD
ㅇ 주 제 :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글로벌 미래 창조 (Creating Our Common Future through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 회의 진행
ㅇ (본 회의) 장‧차관 등 각국 수석대표만 참여하는 비공개 회의로, 2개의 본 회의 및 마무리 회의로 진행할 예정
-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글로벌 미래창조(장관회의 주제)를 위해 본회의Ⅰ은 개별국가 차원의 전략, 본회의Ⅱ는 글로벌 차원의 협력방안 논의
- 각 본회의는 △ 분임회의별 논의주제를 소개(민간 기조연설자)하는 전체회의Ⅰ, △ 3개의 분임회의(분임별 평균 17명의 수석대표 참석), △ 분임별 토의 결과 발표 및 전체 토의하는 전체회의Ⅱ로 구성
□ 대전선언문(안)
ㅇ ‘글로벌․디지털 시대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이라는 제목으로, 향후 10년 간 글로벌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대전선언문을 채택할 예정
<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프로그램(안) >
구 분
비고
개회식
본 회의Ⅰ
(효과적인 과학기술혁신 실현방안)
전체회의 Ⅰ
※ 회의 주제의 논의배경 소개 및 기조연설
분임 회의
국가
혁신전략
공공투자의
영향력 제고
21세기 과학정책: 오픈사이언스, 빅데이터
전체회의 Ⅱ
본 회의 Ⅱ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전체회의 Ⅰ
분임 회의
의료 분야
과학혁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 개발
포용적 성장을 위한 과학혁신
전체회의 Ⅱ
마무리 회의
o 대전선언문 채택
붙임 3
세계과학기술포럼 개요
□ 행사 개요
ㅇ 일시 및 장소 : '15. 10. 19.(월), 대전컨벤션센터(DCC)
ㅇ 주최 : 미래창조과학부, 광복 7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ㅇ 후원 : 대전시 외 18개 기관
KISTEP, STEPI, KAIST, DGIST, UNIST, GIST, KRIBB, KBRI, NCC, GTC, KIER, NIPA, NIA, KIST, NRF, KISA, KOFAC, KICT
< 세계과학기술포럼 전체프로그램(안) >
시 간
분임 세션 (DCC 1층)
특별세션
(DCC 3층)
Track 1
Track 2
Track 3
Track 4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과학기술과 미래변화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과 창조경제
지속가능 동반성장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09:00-11:00
개회식 - 개회사(미래부 장관), 환영사(대전시장), 축사(국무총리)
*기조연설: 디지털한국, 3차 산업혁명과 한계비용제로사회(제레미 리프킨)
*전체세션(노벨상 수상자 특별강연) : 미래사회의 글로벌 도전과제와 과학기술혁신
(아론 시카노바, ‘04노벨화학상 수상자, 노요리 료지, ‘01노벨화학상 수상자)
11:00-12:30
세션 1-1
(과학기술혁신
정책, R&D혁신)
세션 2-1
(바이오와 맞춤의료의 미래)
세션 3-1
(과학기술기반
혁신클러스터)
세션 4-1
(기후변화대응
및 환경)
Talk Concert
with Young Innovators
12:30-14:00
Lunch time
14:00-15:30
세션 1-2
(과학기술혁신
투자 영향평가)
세션 2-2
(차세대 에너지
R&D 전략)
세션 3-2
(과학기술과
제조업혁신)
세션 4-2
(글로벌 공존을 위한 과학기술)
과학창의로 여는 미래
15:30-16:00
OECD 특별세션
Coffee Break
16:00-17:30
세션 1-3
(과학교육·
인재양성)
세션 2-3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세션 3-3
(문화예술과 과학기술
융합을 통한 혁신)
세션 4-3
(글로벌협력 및
공공복리)
공상과학영화, 현실이 된다.
-우주자원탐사-
* 세션 1-3은 16:20부터 시작 예정
□ 트랙별 상세 내용
구 분
세션 주제 및 주요 내용
Track 1
과학기술 혁신시스템
o (S 1-1) 과학기술혁신정책 및 R&D 혁신
- 민간·공공 과기혁신시스템의 변화추이와 성공을 위한 협력 방안 등 논의
o (S 1-2) 과학기술혁신 투자영향평가
- 과학기술혁신 투자의 경제사회적 효용 제고를 위한 영향평가 및 정책방안 논의
o (S 1-3) 과학교육 - 인재양성
- 비판적 사고, 창조경제, 기업가정신 등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기술교육 논의
*주요 연사: 투르키 빈 사우드 빈 무함마드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왕자 (과학기술처장, 1-1)
Track 2
과학기술 혁신과 미래변화
o (S 2-1) 바이오와 맞춤의료의 미래
- 치료에서 예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개인 맞춤의료 등 미래의 의료 논의
o (S 2-2) 차세대 에너지 R&D 전략
-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기술 동향과 이 분야 주요 산업 미래 고찰
o (S 2-3) 빅데이터 & 사물인터넷
- 빅데이터·사물인터넷 관련 국내외 글로벌 기업의 산업 발전 전망과 전략
*주요 연사: 브라이언 헤네건 미 재생에너지연구소(NREL) 부원장(2-2)
Track 3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과 창조경제
o (S 3-1) 과학기술기반 혁신 클러스터
- 혁신 클러스터 모델, 혁신 생태계 조성, 스타트업 육성 등 혁신경제 확산 논의
o (S 3-2) 과학기술과 제조업혁신
- 과학기술을 통한 제조업 혁신전략과 이를 통한 경제성장방안 모색
o (S 3-3) 문화예술과 과학기술융합을 통한 혁신
- 문화예술콘텐츠와 과학기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경제발전 패러다임 논의
*주요 연사: 에스코 아호 전 핀란드 총리(3-3), 라이문트 노이게바우어 프라운호퍼 총재(3-2), 짐 뉴튼 테크숍 회장(3-1)
Track 4
지속가능·동반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혁신
o (S 4-1) 기후변화 대응 및 환경
- 기후변화 등 글로벌 환경문제에 대한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논의
o (S 4-2) 글로벌 공존을 위한 과학기술
-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적정기술을 개발협력의 관점에서 조명
o (S 4-3) 글로벌 협력 및 공공복리
- 환경·에너지·빈부격차·성차별 등 문제해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논의
*주요 연사: 폴 폴락 윈드호스인터내셔널 대표(4-2)
특별세션
o (SS-1) Talk Concert with Young Innovators
- 젊은 혁신창업가들과의 소통으로 혁신적 사고와 창조적 사업모델 공유
o (SS-2) 과학창의로 여는 미래
- 미래사회를 위한 과학문화·창의교육·과학기술의 역할 토론
o (SS-3) 공상과학영화, 현실이 된다 - 우주자원탐사
- NASA CTO 등의 강연으로 한국 우주탐사에 대한 관심 제고
*주요 연사: 데이비드 밀러 NASA CTO(SS-3), 그레고리 보빈저 미 국립고자기장연구소(NHMFL) 소장, 앨런 비숍 미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 부소장(이상 SS-2)
OECD 특별세션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 주재로 △2015 OECD 과학기술산업(STI) 스코어보드 2015년판 △OECD 혁신전략보고서 2015년 개정본 △OECD 프레스카티(Frascati) 매뉴얼 개정내용 등을 발표
붙임 4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개요
□ 개요
ㅇ (목적)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장관회의와 과학기술포럼 결과의 국내 정책에의 시사점 및 향후 방향 토론
ㅇ (주제) 과학기술로 열어갈 초일류 대한민국
ㅇ (일시/장소) ‘15.10.23.(금) / 대전컨벤션센터(DCC)
ㅇ (주최) 미래창조과학부, 광복70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ㅇ (주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
ㅇ (참석자) 과학기술분야 산․학․연 관계자, 과학기술 미래 인력, 정부, 국회, 언론 등 약 400명
□ 프로그램 구성(안)
구분
시간
주요 내용
토론회
09:00~10:40
(100‘)
‣ 개회 선언
‣ 4개 세션별 토론회
휴식 및 이동
10:40~11:00
(20‘)
‣ 다과 및 커피 제공
Special Dialogue
11:00~12:10
(70‘)
‣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미래를 묻다(각계 각층의 과학기술인, 일반국민 참여)
선언문 채택 및 폐회 선언
12:10~12:30
(20‘)
‣ 미래부 장관 인사말씀
‣ 선언문 채택(과학기술 혁신과 미래창조를 위한 다짐)
‣ 기념 촬영
‣ 폐회 선언(세계과학정상회의 폐회)
오찬
12:30~14:00
(90‘)
‣ 오찬 (대덕특구합창단* 축하공연)
* ‘15년은 과학자로 구성된 대덕연구단지합창단 창단 30주년 해
붙임 5
연계행사 개요
□ 개요
ㅇ일반인을 위한 전시회 및 학술포럼 등 총 14개의 과학문화행사를 연계 개최하여 국민의 참여도를 높이고 과학문화 확산 제고
□ 행사 일정
구 분
10. 17. (토)
10. 18. (일)
10. 19. (월)
10. 20. (화)
10. 21. (수)
10. 22. (목)
10. 23. (금)
10. 24. (토)
주 요
행 사
세계과학
기술포럼
OECD
과기장관회의
OECD
과기장관회의
OECD
과기정책위원회
총 회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연 계
행 사
사이언스데이
KAIST 문화 기술대학원 데모데이
STEPI 국제미래심포지엄& 한국 미래전략 학술대회
2015년 세계과학정상회의와 함께하는 ICT외교포럼
국회의사당(21)~연세대(22)
YWS Camp & Smart Sister 총괄 워크숍
2015년도 AASSA 이사회 및 AASSA 국제심포지엄
KAIST 문화행사 ‘스윗발레’
세계과학정상회의 축하기념 오페라
‘사랑의 묘약’
2015 연구개발특구 기술박람회
아시안 S&T 혁신포럼
사이언스페스티벌
제5회 세계과학관심포지업 (ISSM 2015)
2015년 대한민국 과학기술창작대전
유성 국화전시회(10.10~10.25)
행사명
일자
장소
주최
연락처
1
사이언스 페스티벌
2015.10.17~21
엑스포시민광장 등
대전시
042-270-3861
2
사이언스데이
2015.10.17~18
중앙과학관
중앙과학관
042-601-7735
3
2015년 세계과학정상회의와 함께하는 과학기술 ICT 외교포럼
2015.10.21.~22
국회(21), 연세대 신촌캠퍼스(22)
한국 GRDC 협의회
033-760-2858
4
YWS Camp & Smart Sister 총괄 워크숍
2015.10.17~18
대전 UST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042-863-8310~2
5
STEPI 국제미래심포지엄 &
한국 미래전략 학술대회
2015.10.23~24
대전컨벤션센터
STEPI
KAIST 미래전략대학원
044-287-2131
6
아시안 S&T 혁신포럼
2015.10.22
한양대학교 HIT 6층 대회의실
아시아연구네트워크 코리아
02-2220-4806
7
2015년도 AASSA 이사회 및
AASSA 국제심포지엄
2015.10.19~20
대전 호텔인터시티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
031-710-4622
8
제5회 세계과학관심포지엄 (ISSM 2015)
2015.10.22.~23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
042-601-7984
9
KAIST문화기술대학원 데모데이
2015.10.22
카이스트: N25동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042-350-2904
10
KAIST 문화행사 ‘스윗발레’
2015.10.22
카이스트 강당
카이스트, 국립발레단
042-350-2904
11
세계과학정상회의 기념 오페라 ‘사랑의 묘약’
2015.10.20.~22
국립한밭대학교 문화예술관
대전시, 리소르젠떼오페라단
1661-0461
12
2015년 연구개발특구 기술박람회
2015.10.19.~20
대전컨벤션센터 전시장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042-865-8971
13
2015년 대한민국 과학기술창작대전
2015.10.20.~22
KAIST 스포츠 컴플렉스
한국과학창의재단
02-559-3896
14
유성 국화전시회
2015.10.10.~25
유림공원, 유성천일대
유성구
042-611-2678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교테크노밸리]국립과천과학관 자연의 속임수 특별기획전개최 (0) | 2015.10.19 |
---|---|
[판교테크노밸리]“공공연구기관”사업화 유망 기술이 한자리에- 2015 연구개발특구 기술박람회 개막 (0) | 2015.10.19 |
[판교테크노밸리]한국나노기술원-동부하이텍, 중소기업 지원 위한 기술협력협약 체결 (0) | 2015.10.19 |
[판교테크노밸리]2015 동남아(인도네시아, 베트남) 투자조사단 파견 (0) | 2015.10.19 |
[판교테크노밸리]항공안전 위한 차세대시스템 어떻게 발전시킬까?- 제24회 항행안전시설 세미나, 국내외 차세대 항행시스템 발전계획 발표 (0) | 201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