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발효 9년차('20년) 교역 동향
담당부서국내대책과 등록일2021-03-15
한·미 FTA 발효 9년차('20년) 교역 동향
- 코로나19 등으로 對美 교역 전년대비 소폭(△2.7%) 감소 (對세계 증감률(△6.3%) 상회)
- 무역수지 166억불 흑자 (수출 증가(1.1%), 수입 감소(△7.1%) → 전년대비 52억불 증가)
1. 상품 교역 동향
□ (교역)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기둔화․글로벌 교역 감소* 및 저유가**로 ‘20년 양국간 교역은 1,316억불로 전년대비 △2.7% 감소
* '20.12월 기준 세계경제 성장률(%): △4.2 / 세계교역 증감률(%): △10.3
** 국제유가 추이(두바이유, $/배럴): ('19) 63.5 ('20) 42.2(△33.6%)
ㅇ FTA 발효 후 對美 교역 증감률은 ‘17년을 제외하고는 對세계 교역 증감률을 지속 상회하였으며, ‘20년에도 對세계(△6.3%) 대비 높음
< FTA 발효 후 對美 교역 동향 (단위: 억불, % / 한국무역협회) >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
對美 교역 1,018 1,036 1,156 1,138 1,097 1,193 1,316 1,352 1,316
-1 -1.8 -11.6 (△1.6) (△3.6) -8.8 -10.3 -2.7 (△2.7)
對세계 교역 10,675 10,752 10,982 9,633 9,016 10,522 11,401 10,455 9,801
(△1.1) -0.7 -2.1 (△12.3) (△6.4) -16.7 -8.4 (△8.3) (△6.3)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 (수출) ‘20년 對세계 수출은 감소(△5.5%)한 반면, 對美 수출은 741억불로 1.1% 상승하여 對세계 수출 증감률 상회
< FTA 발효 후 對美 수출 동향 (단위: 억불, % / 한국무역협회) >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
對美 수출 585 621 703 698 665 686 727 733 741
-4.1 -6 -13.3 (△0.6) (△4.8) -3.2 -6 -0.9 -1.1
對세계 수출 5,479 5,596 5,727 5,268 4,954 5,737 6,049 5,422 5,125
(△1.3) -2.1 -2.3 (△8.0) (△5.9) -15.8 -5.4 (△10.4) (△5.5)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ㅇ 對美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부품)․반도체․컴퓨터․무선통신기기 등으로 컴퓨터(104.2%)*, 반도체(25.3%)** 등의 수출 호조로 對美 수출 증가
* 비대면 경제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등 서버 투자 확대 및 SSD 전환 가속화에 따른 SSD 수출 증가, 재택근무 등을 위한 노트북 수요에 기인
** 비대면 경제 확산으로 서버·PC용 수요 호조, 상반기 부진했던 모바일 수요도 하반기에는 회복세 시현 등 전반적으로 수요 확대
- 다만, 석유제품(△46.5%)*, 무선통신기기(△26.4%)**, 자동차부품(△11.5%)*** 등은 감소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국제유가 급락(△33.6%)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및 이동제한 조치로 항공유 및 수송유 중심의 글로벌 수요 감소로 對美 수출 급감
** 길어지는 스마트폰 교체 주기로 인한 수요 감소 및 중저가 제품군 확대로 인한 국내생산 비중이 높은 ‘플래그십(최상위) 라인업’ 출하량 감소로 수출 감소
*** 자동차 수요 부진의 연쇄 작용 및 코로나19 이후 공장 가동중단에 따른 재고 누적에 기인
ㅇ ‘20년 한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3.3%로 전년대비 0.2%p 상승
* 주요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19년) ①중국(18.1) ②멕시코(14.3) ③캐나다(12.8)
('20년) ①중국(18.6) ②멕시코(13.9) ③캐나다(11.6)
< 對美 품목별 교역 동향 (단위: 백만불, % / 한국무역협회) >
순위 수 출 수 입
품목명 '12 '19 '20 품목명 '12 '19 '20
1 자동차 10,574 15,743 15,758 원유 0 8,980 5,390
2 반도체 2,611 5,951 7,457 반도체제조용장비 2,711 3,202 4,629
3 자동차부품 5,961 6,211 5,494 반도체 4,478 3,711 3,450
4 컴퓨터 1,523 2,129 4,347 LPG 98 3,162 2,930
5 무선통신기기 5,710 4,151 3,054 항공기및부품 3,144 3,528 2,609
품목 총계 26,379 34,185 36,110 품목 총계 10,431 22,583 19,008
(비중 %) -45.1 -46.6 -48.7 (비중 %) -24.1 -36.5 -33.1
전체 총계 58,525 73,344 74,116 전체 총계 43,341 61,879 57,492
* '20년 MTI 3단위 기준 수출입 상위 5개 품목의 교역액 및 비중
□ (수입) ‘20년 對美 수입은 575억불로 전년대비 △7.1% 감소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
對美 수입 433 415 453 440 432 507 589 619 575
(△2.8) (△4.2) -9.1 (△2.8) (△1.8) -17.4 -16 -5.1 (△7.1)
對세계 수입 5,196 5,156 5,255 4,365 4,062 4,785 5,352 5,033 4,676
(△0.9) (△0.8) -1.9 (△16.9) (△6.9) -17.8 -11.9 (△6.0) (△7.1)
< FTA 발효 후 對美 수입 동향 (단위: 억불, % / 한국무역협회) >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ㅇ 對美 주요 수입 품목은 원유․반도체(제조용장비)․항공기및부품 등으로 반도체제조용장비(44.6%)*․자동차(36.0%)** 등의 수입이 크게 증가
* 반도체 시황 개선 기대로 '19년 대비 '20년 반도체 설비투자 58.6% 증가(99→157억불)
** 테슬라 모델3 등 전반적인 미국브랜드 판매호조와 GM 일부차량 수입 본격화
- 다만, 원유(△40.0%)*, 반도체(△7.0%) 등은 감소
* 국제유가의 하락((두바이유, $/B, %): ('19) 63.5 → ('20) 42.2(△33.6%))에 기인
ㅇ ‘20년 미국의 한국시장 점유율은 12.3%로 전년과 동일
* 주요국의 한국 수입시장 점유율(%): ('19년) ①중국(21.3) ②미국(12.3) ③일본(9.5)
('20년) ①중국(23.3) ②미국(12.3) ③일본(9.8)
< 한국과 미국의 상대국 시장점유율 추이 (단위: %) >
* 출처: US BEA(Bureau of Economic Analysis), 한국무역협회
ㅇ (무역수지) ‘20년 對美 무역수지는 166억불 흑자로 수출은 증가(1.1%)한 반면 수입이 감소(△7.1%)하여 전년대비 흑자폭 증가
구분 '14 '15 '16 '17 '18 '19 '20
對美 수지 250 258 233 179 138 114 166
< 對美 무역수지 동향 (단위: 억불 / 한국무역협회) >
2. 서비스 교역 동향 (‘19년)
※ '20년도 서비스 교역 통계는 한국은행에서 '21.6월 중순 발표 예정
□ (교역) ‘19년 양국간 서비스 교역은 493억불로 전년대비 5.1% 증가
* 미국은 한국의 최대 서비스 교역국으로 ‘19년 對세계 서비스 교역(2,345억불)의 21.0% 차지
ㅇ FTA 발효 후 8년간('12~'19년) 평균은 상품 및 인적교류 확대 등으로 ’11년 대비 3.4% 증가*
* 한・미 FTA 발효전('11년)과 비교시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교역 급증(245.9%)
□ (수출) ‘19년 對美 서비스 수출(수입 收入)은 180억불(전년대비 10.4% 증가)로 미국은 우리의 제2의 서비스 수출국임*
* '19년 서비스 수출 상위 국가: ①중국(203억불) ②미국(180억불) ③일본(94억불)
ㅇ 지식재산권사용료(61.0%), 여행(24.1%), 기타서비스(14.3%)의 수출은 전년대비 증가한 반면, 운송은 △5.8% 감소
□ (수입) ‘19년 對美 서비스 수입(지급 支給)은 313억불로 2.3% 증가
ㅇ 對美 서비스 수입 비중이 높은 R&D․법률 등 기타사업서비스(10.1%) 및 운송(1.6%)은 증가한 반면, 여행(△7.5%)․지재권사용료(△8.5%)는 감소
□ (서비스 수지) ‘19년 서비스 수지는 133억불 적자로 전년대비 적자 감소
ㅇ 對美 서비스 수지 적자폭은 지재권사용료․여행 수입 증가 등으로 FTA 발효 후 8년간('12~'19년) 평균 수지는 ‘11년 대비 13.2% 증가
구분 '11 '12 '13 '14 '15 '16 '17 '18 '19
교역 450 496 472 465 436 431 462 469 493
수출 166 185 181 178 148 146 149 163 180
수입 284 310 291 287 288 285 313 306 313
수지 △118 △125 △110 △109 △140 △140 △163 △143 △133
< FTA 발효 후 對美 서비스 교역 동향 (단위: 억불, % / 한국은행) >
3. 투자 동향
□ (對美 투자) ‘20년(3분기 누적) 한국의 對美 투자는 송금기준 95.6억불로 전년동기대비(103.5억불) △7.6% 감소(신고기준으로는 전년동기대비 12.5% 감소)
ㅇ FTA 발효 후 9년간(‘12~’20.3Q 누적) 對美 투자는 892.6억불로, 발효 전(’03~’11년 누적, 289.9억불) 대비 약 3.1배(307.9%) 증가
< 한국의 對美 투자 추이 (단위: 억불, %) >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3Q '03~'11 '12~'20.3Q 발효 전 대비
누적 누적
송금 59.4 58.7 59.6 70.5 136.7 152.3 112 147.8 95.6 289.9 892.6 307.9
신고 70.2 59.4 94.6 105.5 179.3 137.7 127.4 184 121.9 424.4 1,079.90 254.5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통계
□ (투자유치) ‘20년 미국의 對韓투자는 신고금액 기준 53.0억불로 전년대비(68.5억불) △22.6% 감소 (도착금액은 10.3억불로 전년대비 26.4% 감소)
ㅇ 코로나19發 글로벌 경기침체*로 `16년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로 반전
* 한국의 對세계 투자유치 추이(억불, 신고기준): ('19) 233 ('20) 206(△11.5%)
ㅇ FTA 발효 후 9년간(’12~’20년 누적) 투자유치액은 429억불로, 발효 전(’03~’11년 누적, 198.3억불) 대비 2.2배(116.3%) 증가
< 미국의 對韓 투자 추이 (단위: 억불, %) >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 '03~'11 '12~'20 발효 전 대비
누적 누적
신고 36.7 35.3 36.1 54.8 38.7 47.1 58.8 68.5 53 198.3 429 116.3
송금 12.3 16 18.1 23.6 15.1 12.5 38.3 14 10.3 101.9 160.2 57.2
* 산업통상자원부 외국인직접투자통계(INSC)
ㅇ 최근 미국의 對韓투자는 운송용기계 등 전통산업에서 반도체·클라우드·전자상거래 등 4차 산업과 관련된 신산업 분야로 확대되는 추세
◇ (반도체 소재) 일본 수출규제품목인 EUV용 포토레지스트 국내생산
◇ (클라우드) 아태지역 서비스 확대를 위한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센터 증설
◇ (이커머스) 전자상거래 수요증가에 따른 스마트 첨단물류시스템 시설 조성
< ’20년 미국의 주요 對韓 투자 사례 >
【붙 임】1. 한․미 양국간 교역 현황 및 FTA 활용률
2. FTA 발효 후 對美 상위 10대 품목의 수출입 동향
3. 한․미 FTA 발효 후 농축산물 교역 동향
4. 한․미 FTA 발효 후 수산물 교역 동향
참고 1 한․미 양국간 교역 현황 및 FTA 활용률
□ 한․미 연도별 교역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
교역 對미국 103,564 115,568 113,856 109,678 119,359 131,588 135,223 131,608
-1.7 -11.6 (△1.5) (△3.7) -8.8 -10.2 -2.8 (△2.7)
對세계 1,075,218 1,098,180 963,256 901,619 1,052,172 1,140,062 1,045,576 980,131
-0.7 -2.1 (△12.3) (△6.4) -16.7 -8.4 (△8.3) (△6.3)
수출 對미국 62,052 70,285 69,832 66,462 68,610 72,720 73,344 74,116
-6 -13.3 (△0.6) (△4.8) -3.2 -6 -0.9 -1.1
對세계 559,632 572,665 526,757 495,426 573,694 604,860 542,233 512,498
-2.1 -2.3 (△8.0) (△5.9) -15.8 -5.4 (△10.4) (△5.5)
수입 對미국 41,512 45,283 44,024 43,216 50,749 58,868 61,879 57,492
(△4.2) -9.1 (△2.8) (△1.8) -17.4 -16 -5.1 (△7.1)
對세계 515,586 525,515 436,499 406,193 478,478 535,202 503,343 467,633
(△0.8) -1.9 (△16.9) (△6.9) -17.8 -11.9 (△6.0) (△7.1)
수지 對미국 20,540 25,002 25,808 23,246 17,861 13,852 11,465 16,624
< 한・미 연도별 교역 현황 (단위: 백만불, %) >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 출처: 한국무역협회
□ 한·미 FTA 활용률
< 한・미 FTA 수출ㆍ수입활용률 현황 (단위: %) >
구분 '15 '16 '17 '18 '19 '20
한ㆍ미 FTA 수출 79.1 75.6 86.1 86 85.2 84.4
수입 67.5 70.7 70.6 70.2 68.1 76.7
전 체 FTA 수출 71.9 63.8 70 73.5 74.9 74.8
수입 70.2 69.6 74 75.3 76.6 81.5
* 출처: 한국무역협회, 관세청
참고 2 FTA 발효 후 對美 상위 10대 품목의 수출입 동향
□ 對美 상위 10대 수출품목 동향
(단위: 백만불, %)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
자동차 10,574 12,284 14,720 17,560 15,649 14,651 13,635 15,743 15,758
-20.8 -16.2 -19.8 -19.3 (△10.9) (△6.4) (△6.9) -15.5 -0.1
반도체 2,611 2,912 2,886 3,312 3,352 3,377 6,436 5,951 7,457
(△4.2) -11.5 (△0.9) -14.8 -1.2 -0.7 -90.6 (△7.5) -25.3
자동차부품 5,961 6,587 7,057 6,948 6,751 5,665 5,967 6,211 5,494
-14.5 -10.5 -7.1 (△1.5) (△2.8) (△16.1) -5.3 -4.1 (△11.5)
컴퓨터 1,523 1,441 1,299 1,373 1,638 2,381 2,366 2,129 4,347
-2.8 (△5.4) (△9.9) -5.7 -19.4 -45.3 (△0.6) (△10.0) -104.2
무선통신기기 5,710 7,555 8,300 7,328 7,496 6,192 5,811 4,151 3,054
(△38.2) -32.3 -9.9 (△11.7) -2.3 (△17.4) (△6.2) (△28.6) (△26.4)
석유제품 2,896 3,507 3,064 2,829 2,401 3,114 3,603 4,348 2,325
-11.9 -21.1 (△12.6) (△7.7) (△15.1) -29.7 -15.7 -20.7 (△46.5)
플라스틱제품 774 868 975 979 1,082 1,234 1,410 1,622 1,638
-3.6 -12.1 -12.3 -0.4 -10.6 -14.1 -14.3 -15 -1
원동기및펌프 1,056 1,045 1,365 1,306 1,287 1,343 1,680 1,853 1,624
-9.9 (△1.0) -30.6 (△4.4) (△1.4) -4.4 -25 -10.3 (△12.3)
냉장고 1,046 1,104 1,063 1,097 1,103 1,071 973 1,220 1,607
-4.1 -5.5 (△3.7) -3.2 -0.5 (△2.8) (△9.2) -25.4 -31.7
고무제품 1,798 1,516 1,523 1,637 1,668 1,555 1,521 1,506 1,324
-8.6 (△15.7) -0.4 -7.5 -1.9 (△6.7) (△2.2) (△1.0) (△12.1)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 한국무역협회(MTI 3단위 기준)
□ 對美 상위 10대 수입품목 동향
(단위: 백만불, %)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
원유 0 0 153 152 126 725 4,496 8,980 5,390
(△68.6) (△94.6) -13,989,474.60 (△1.0) (△16.7) -474.2 -520.2 -99.7 (△40.0)
반도체 2,711 1,957 2,531 2,584 2,730 5,987 4,825 3,202 4,629
제조용장비 (△1.8) (△27.8) -29.3 -2.1 -5.7 -119.3 (△19.4) (△33.6) -44.6
반도체 4,478 4,017 3,991 3,915 3,668 3,955 3,731 3,711 3,450
-10.7 (△10.3) (△0.7) (△1.9) (△6.3) -7.8 (△5.6) (△0.6) (△7.0)
LPG 98 85 334 739 1,220 1,903 2,860 3,162 2,930
-10,590.60 (△13.3) -293.9 -121.5 -65.2 -55.9 -50.3 -10.6 (△7.3)
항공기및부품 3,144 2,703 1,962 3,259 3,805 2,750 3,115 3,528 2,609
-10.9 (△14.0) (△27.4) -66.1 -16.7 (△27.7) -13.3 -13.3 (△26.0)
자동차 712 832 973 1,264 1,736 1,685 1,834 1,916 2,605
-89.3 -16.8 -16.9 -30 -37.3 (△2.9) -8.9 -4.4 -36
육류 1,043 997 1,299 1,302 1,466 1,764 2,318 2,468 2,367
(△21.1) (△4.4) -30.3 -0.3 -12.5 -20.4 -31.4 -6.5 (△4.1)
천연가스 52 0 0 0 11 806 2,250 2,180 2,095
(△17.8) (△99.9) (△54.0) -97.2 -17,894.60 -7,372.80 -179.2 (△3.1) (△3.9)
농약및의약품 840 975 1,134 1,116 1,238 1,177 1,339 1,522 1,635
-21.8 -16.1 -16.3 (△1.6) -11 (△5.0) -13.8 -13.6 -7.4
식물성물질 1,821 815 1,926 1,309 1,380 1,581 2,194 1,454 1,627
(△15.4) (△55.3) -136.3 (△32.0) -5.4 -14.6 -38.8 (△33.7) -12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 한국무역협회(MTI 3단위 기준)
참고 3 한·미 FTA 발효 후 농축산물 교역 동향
1 발효 후 9년간 교역 동향
□ 한·미 FTA 발효 후(’12∼’20년 평균) 농축산물 수출액은 FTA 발효 전(’07∼’11년 평균) 대비 81.9% 증가, 수입액은 29.7% 증가
< 한・미 FTA 발효 전·후 對美 농축산물 수출입 동향 >
구 분 발효 전 평균* '12 '14 '16 '18 '20
('07~'11)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① 농산물 363 4,196 441 4,340 529 5,065 632 4,349 674 5,849 1,037 5,401
- 곡물 8 2,812 9 2,375 9 2,760 10 1,878 9 2,672 15 1,965
- 과일·채소 58 336 67 593 74 610 81 628 100 751 141 640
- 가공식품 297 1,048 365 1,371 446 1,695 542 1,842 565 2,426 880 2,797
② 축산물 22 956 27 1,411 36 1,878 35 1,824 42 2,736 66 2,853
③ 임산물 17 784 16 793 28 918 48 717 86 788 103 605
전 체 402 5,936 485 6,543 593 7,861 716 6,891 802 9,373 1,206 8,860
발효 후 평균* 증감률
('12~'20) (발효 후/발효 전)
수출 수입 수출 수입
636 4,804 75 14.5
10 2,114 31.3 △24.8
91 646 55.9 92.1
535 2,044 79.9 95
41 2,118 89.5 121.6
54 779 222.7 △0.7
731 7,701 81.9 29.7
(단위: 백만불, %)
* 발효 전 평균은 '07∼'11년의 5개년 산술평균값, 발효 후 평균은 '12∼'20년의 9개년 산술평균값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식품 관련 2,925개 HSK 코드 기준)
2 '20년 對美 농축산물 수출입 동향
□ (수출) ’20년 對美 농축산물 수출액은 12.1억불로 전년대비 38.0% 증가
ㅇ 과일・채소 수출은 김치(55.8%), 기타채소(66.0%), 마늘(169.6%), 채소종자(6.7%) 등의 수출 증가로 전년대비 18.9% 증가
ㅇ 가공식품 수출은 궐련(142.6%), 혼합조제식료품(19.5%), 라면(53.7%), 기타 음료(5.1%) 등의 수출 증가로 전년대비 44.5% 증가
□ (수입) ’20년 對美 농축산물 수입액은 88.6억불로 전년대비 1.0% 감소
ㅇ 곡물 수입은 옥수수(10.2%)의 수입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두(△32.8%)와 쌀(△3.3%) 수입 감소로 전년대비 2.6% 감소
ㅇ 축산물 수입은 치즈(2.5%)의 수입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쇠고기(△0.6%)와 돼지고기(△13.8%) 수입 감소로 전년대비 3.2% 감소
ㅇ 가공식품 수입은 기타코코아조제품(△16.3%)의 수입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혼합조제식료품(10.0%), 대두유(21.9%) 수입 증가로 전년대비 6.0% 증가
참고 4 한·미 FTA 발효 후 수산물 교역 동향
1 발효 후 9년간 교역 동향
□對美 수산물 수출은 FTA 발효 후 평균 252백만불로 발효 전 대비 88.9% 증가, 對美 수입은 FTA 발효 후 평균 239백만불로 74.0% 증가
< 한・미 FTA 발효 전·후 對美 수산물 수출입 동향 >
(단위: 백만불, %)
구분 발효 전 평균* '12 '15 '19 '20 발효 후 평균* 증감률
('07~'11) ('12~'20) (발효 후/발효 전)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 어류 58 103 83 138 91 170 106 182 101 173 100 168 71.2 62.1
- 해조류 32 0 61 0 81 0 123 0 151 0 94 0 199.2 70.9
- 갑각류 7 4 11 3 12 43 19 22 10 15 12 27 70.8 536
- 기타 3 24 3 29 5 27 7 55 7 27 5 35 86.9 43.9
- 패류 19 2 8 3 21 2 29 5 29 9 22 4 16.4 70.9
- 연체동물 12 0 22 1 19 0 9 0 11 1 15 0 21.2 5.1
- 기타수생동물 1 2 1 2 1 3 1 4 1 3 1 3 17 55.2
- 소금 2 1 2 1 2 1 4 3 4 3 3 2 61.2 178.8
전체 133 137 191 177 232 247 297 271 314 229 252 239 88.9 74
* 발효 전 평균은 '07∼'11년의 5개년 평균값, 발효 후 평균은 '12∼'20년의 9개년 평균값
** 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2 '20년 對美 수산물 수출입 동향
□(수출) ’20년 對美 수산물 수출은 314백만불로 전년 대비 5.7% 증가
ㅇ주요 수출 품목인 김·기타어류의 수출은 증가한 반면, 이빨고기·굴은 감소*
* 김: ('19) 113백만불 → ('20) 138(22.4%) / 이빨고기: ('19) 31백만불 → ('20) 25(△19.8%)
□(수입) ’20년 對美 수산물 수입은 229백만불로 전년 대비 15.3% 감소
ㅇ어류 수입은 전년 대비 5.0% 감소, 주요 수입 품목인 가자미의 경우 국내 생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년 수입이 전년 대비 28.3% 감소
* 가자미 생산량: ('19) 2.0만 톤 → ('20.11.) 2.3만 톤(15.8%)
ㅇ기타 수입은 냉동 명란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 대비 50.4% 감소하였으며, 갑각류 수입도 바닷가재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 대비 34.6% 감소
* 냉동 명란: ('19) 11백만불 → ('20) 9(△17.8%) / 활 바닷가재: ('19) 14백만불 → ('20) 9(△32.0%)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3.15.(월) 10:00] 제221차 대외경제장관회의 개최 (0) | 2021.03.15 |
---|---|
기업 성장의 모범, 명문장수기업을 찾습니다 (0) | 2021.03.15 |
2020년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0) | 2021.03.15 |
'21년도 대학 정보통신기술(ICT) 연구센터(ITRC) 신규과제 공모 (0) | 2021.03.15 |
20․30 경력단절여성, 기존 역량 되살리는 사회복귀 지원...경기도, ‘고학력·고숙련 직업훈련 심화과정’ 운영 (0) | 2021.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