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봇산업진흥원 장비활용지원사업 공고
진행구분
2016년도
접수기간
2016-12-09 09:00 - 2016-12-31 18:00
지원대상
전체
수행기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신청유형
오프라인
신청가능지역
경기도 전체 지역
사업분류
기술개발/사업화 , 기타지원사업
관련사이트
http://www.kiria.org
검색키워드
창업/벤처/로봇기업화
http://egbiz.or.kr/prjCategory/a/m/selectPrjView.do
장비활용지원사업 공고
창업·벤처·로봇기업화 기업 등이 구입하기 어려운 고가의 장비를 활용 지원하여 기업육성을 위한 인프라 제공을 통한 로봇산업 활성화 촉진 및 기업경쟁력을 강화하고자「장비활용지원사업」을 공고하오니 관심 있는 기업의 많은 참여바랍니다.
2016년 12월 9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원장
1. | 사업 목적 |
○ 진흥원의 보유 장비를 활용하여 제품 기술개발, 생산, 시험·분석에 이르는 종합적인 기업 지원을 통한 로봇산업 활성화 촉진 및 품질경쟁력 강화
2. | 사업 개요 |
가. 사업 내용
ㅇ (지원내용) 로봇산업클러스터 기반조성사업을 통해 구축된 장비의 내·외부인력을 통한 장비 활용시 사용료 및 교육 지원
- 시제품 제작시 지원 건당 20백만원 내외 재료비 지원, 디자인과 설계‧해석 지원시 지원 건당 15백만원 내외 지원, 장비활용교육 10백만원
< 장비활용지원 개요 >
세부내용 | 사용료 지원범위 (건별, 백만원) | 정부지원 | 민간부담 | 비고 | |
장비 활용 기술 지원 | 시험 평가 | 10건 내외, 5백만원 내외 | 지원범위 내 100% | 지원범위 이후 금액 부담 | 지원가능 |
로봇디자인 | 5건 내외, 10백만원 내외 | 구축완료 후 기업지원 예정 | |||
설계·검증 | 5건 내외, 5백만원 내외 | ||||
시제품 제작 | 10건 내외, 10백만원 내외 | ||||
장비활용 교육 | 10건 | - | 시험평가장비 우선교육 |
※ 진흥원 내 입주·창업 기업 및 해당 장비활용자에게 장비활용교육을 지원 우대
※ 旣구축된 장비 및 구축예정 장비에 대한 설명은 별첨2 참고
나. 사업기간
○ ‘16. 12. 9. ~ ‘17. 6. 30. (과제기간 : 약 6개월)
3. | 지원대상 및 지원절차 |
가. 지원대상
○ 지원대상 : 로봇관련 기업 및 기관대상 선착순 30여건
* 별도의 지원기업 선정평가는 없으며, 30여개 기업지원 완료시 사업종료
* 기업별 지원범위 내 무료 시험이며, 추가지원범위는 자부담
나. 지원절차
신청서 작성/접수 | ⇨ | 지원여부 검토 (내부) | ⇨ | 장비활용 지원 | ⇨ | 지원 결과물 제공 (시제품, 디자인 결과물, 시험데이터 등) |
4. | 신청방법 |
가. 신청방법
○ 지원신청서 작성 후 직접 또는 이메일 제출
나. 제출서류 및 제출처
○ 제출서류
- 장비 대여 사용의 경우 : 장비사용신청서 1부 작성 후 제출
- 기술지원이 필요한 경우 : 시험·분석 1부 작성 후 제출
* 신청내용에 “장비활용”의 일환으로 신청하는 것임을 명기할 것
* 제출서류는 별첨1 참조
○ 제출처
- 우편/내방접수 : (우편번호 41496) 대구시 북구 노원로 75(노원동 3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로봇혁신센터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이메일 |
시험 평가 | 김상용 선임 | 053-210-9628 | ksy0710@kiria.org |
로봇디자인 | 곽소희 주임 | 053-210-9538 | ssoing@kiria.org |
설계·검증 | 도경환 주임 | 053-210-9537 | dkk6386@kiria.org |
시제품 제작 | 이민호 선임 | 053-210-9622 | mhlee83@kiria.org |
5. | 기타 사항 |
○ 선착순 지원에 따라 사업기간 내 조기 종료될 수 있으니, 꼭 담당자에게 사전 문의 후 신청서 제출 요망
○ 시험에 필요한 제품은 신청자가 제공하여야 하며, 시험 및 제품제작 전후 제품의 이송/운반 등과 관련한 비용의 일체는 신청자가 부담
별첨 2
“장비활용지원사업”대상장비 현황
□ 장비구축 개요
ㅇ 로봇설계·해석·디지털검증 등 시제품·시작품 가공제작 장비, 성능·시험 평가 및 품질인증 관련 장비 등 구축(320억원 규모)
구분
로봇혁신센터
로봇협동화팩토리
표준시험인증센터
장비
구축
분야
ㆍ로봇 설계/해석 지원 분야
ㆍ로봇 개발검증 지원 분야
ㆍ로봇 시제품/시제품 제작 지원 분야
ㆍ첨단정밀기기 활용 지원 분야
ㆍ표준화시험인증지원 분야
ㆍ전자기적합성 시험 분야
ㆍ성능평가 분야
ㆍ신뢰성평가 분야
23종(49대)
30종(30대)
30종(42대)
□ 지원 대상 장비 현황
ㅇ 활용 가능 장비 개요
분야
구분
장비명
활용분야
시험평가
신
뢰
성
시
험
열충격시험기
-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주어 로봇제품 및 부품의 신뢰성을 시험하는 장비
항온항습기
- 인위적으로 온/습도 변화를 주어 로봇제품 및 부품의 내환경 신뢰성을 시험하는 장비
분진시험챔버
- 분진 및 먼지등에 노출된 로봇부품의 안전문제 및 잠재적인 결함을 확인하기위해 사용
방수챔버
- IP등급에 따라 규격화된 시험조건을 설정하여 로봇제품, 부품에대한 방수시험을 진행하는 장비
염수분무시험기
- 염분에 노출된 로봇부품의 안전문제 및 잠재적인결함(부식성)을 확인하기위해 활용
액추에이터
가속노화시스템
- 로봇제품 R&D단계에서 액추에이터 내구성 및 성능평가 등구동부 신뢰성평가를 위해활용
성
능 평
가
HRI성능평가시스템
- HRI(Human-RobotInteraction) 성능평가를 통해 로봇제품의 사용자친화도를 일반사용환경에서 검증하는 장비
- 음성인식 및 영상인식평가시스템으로 구성
로봇주행성능평가시스템
- 로봇의 주행성능검증/평가를 통하여 주행로봇의성능, 안전성 등을 검증하는 장비
의료제조정밀모션측정시스템
- 로봇제품(제조용 로봇, 다완 수술로봇 등)의 외형 정밀도 및 동적 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EMC
로봇 전자기적합성 시험‧인증 시스템
- 시험/인증 지원 시 전기적, 자기적 신호에 의해 제품의 오 동작 또는 손상을 확인하기 위한 장비
□ 구축 예정 장비 현황
ㅇ ‘17년 상반기 내 구축 완료 및 지원 가능 장비
분야
구분
장비명
현재 추진단계
시험
평가
안
정
성
로봇충돌안전
성능평가시스템
- 레일 위에 위치한 로봇과 사람/사물 간 충돌상황 구현하여 인간-로봇 충돌관련 안전성능의 시험/인증 지원
성능
평가
조작성능
시스템
- 로봇제품의 손가락, End-effect의 제어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에 활용
시
제
품
제
작
제조/가공
수평형
복합가공기
- 로봇용 부품 및 정밀감속기 등을 가공하여 시제품 제작에 활용
수직형
복합가공기
- 설계제품을 가공하여 시제품제작 용도로 활용하며, 밀링과선반이 동시에 가능한 장비로 다양한 부품 가공가능
CNC
선반
- 단면이 둥근모양의 공작물의 내/외경가공, 단면가공, 홈가공 등에 활용(크랭크샤프트, 테이퍼샤프트, 나사 등)
CNC
방전기
- 금형제작시 표면의 형상가공이나 깊은 바닥면의 코너R가공 등, 기존의 절삭기계로 가공이 불가능한 가공에 활용
와이어
커팅기
- 가공 전 금속재료의 절단 및 제품 외곽형상 가공에 활용
5축가공기
- 5개의 축을 활용하여 3축 가공으로는 불가능한 형상 가공
고강도RP장비
(SLS)
- 로봇제품의 설계 및 기능성검증을 위한 시제품제작에 활용
고정밀RP장비(SLA)
- 로봇제품의 내/외부디자인 및 기구검토용 시제품제작에 활용
나일론
진공주형기
- 나이론 소재를 활용한 진공주형공법을 통해 로봇기기를
사출품과 비슷한 양질의 시제품 제작에 활용
3차원
레이저가공기
- 3차원 가공이 가능한 곡면, 선형, 꺾임 등 다양한 형상가공지원에 활용
절곡기
- 로봇 제품에 들어갈 금속판을 상하형틀에 끼워 압력을 가해 굽힐 때 활용
3차원
레이저용접기
- 로봇 시제품 제작 시 이종소재를 용융합 하여 결합에 활용
고정밀
3차원측정기
- 복합형상제품에 대한 고정밀 스캔프로브를 이용한 측정 및 프로그램에의한 분석DB화 등 역설계활용
에어컴프레셔
시스템
- 가공장비 및 낙하시험기등에 공급되는 에어로 장비포함 기타 에어건 사용에 활용
공구길이
측정기
- 절삭가공장비에 툴 장착전 공구길이 보정값을 미리 측정하는 장비로 작업자에 의한 에러를 사전방지에 활용
형상
최적화툴
- CAM데이터 변환시 형상깨짐현상 보정을 위한 S/W로 CAM사용 전 사전보정 프로그램
게이지류
- 로봇제품 설계시 정해진 치수, 형상, 각도 등 측정에 활용
석정반
- 시제품 정밀 측정
디
자
인
/
설
계
·
해
석
디
자
인
/
설
계
표면
설계 도구
- 로봇제품 3D표면디자인 설계 제작 및 시제품 제작 활용
콘텐츠
제작엔진
- 로봇제품의 2D디자인(브로슈어, 패키지등) 및 UI/UX콘텐츠 제작활용
데이터표면
현실화제작S/W
- 로봇제품의 시제품 제작전 재질 및 컬러적용을 통한 시제품 제작지원
회로 설계
소프트웨어
- 로봇구동에 필요한 전자회로 및 PCB회로설계
테크니컬
컴퓨팅언어
- 전자시스템개발, 수치해석 및 변수최적화 등 테크니컬 컴퓨팅 환경 제공(MAtlab/Simulink)
통합 GUI
개발 도구
- 제어 알고리즘구현 및 상용 소프트웨어 개발 가능 S/W
3차원캐드
소프트웨어
- 견고한 스케치기능으로 더 쉽고 빠르게 개념화하여 설계가 가능
- 초보자에게 로봇의 기구학적 요소를 고려한 설계기술 등을 습득해 로봇의 단품설계를 통해 최종제품을 가상환경에서 구현
3차원역설계
소프트웨어
- High-end 제품의 기계적형상설계 및 설계변경에 유연하게 활용
- 다중곡면이 포함된 초정밀제품설계가 가능하며 데이터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기술개발프로세스지원
재구성가능한
모듈형서비스
로봇시스템
- 재구성가능한 모바일로봇플랫폼, 로봇핸드, 머니퓰레이터와 통합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제조작성능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제어 알고리즘 개발기능 제공(ROS)
해석·검증
3차원역설계
해석도구
- CAD설계에 필요한 해석기능을 제공하여 효율성을 향상하고, 전문해석도구와 호환성을 제공하여 제품설계 정확도향상
3차원형상
스캐너
- 자동화로봇의 부품개발에 있어 디자인 및 설계검증부터 부품검사 및 역설계를 위한 설계분석환경제공
다분야 유한요소
사전처리도구
- CAE모델링 작업, 대규모 어셈블리에 대한 유한요소 매쉬자동생성 지원
동역학 및
해석S/W
- 다물체 동역학 등의 해석환경을 제공하여 제품품질향상 및 신뢰성 확보가능
로봇
시뮬레이션S/W
- 가상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여 기구학적 동적거동을 분석하고 제어전략을 수립
가상화
엔지니어링
시스템
- 로봇산업에서 제품개발과정의 디자인, 해석, 검증 및 평가의 전프로세스를 통합하여 엔지니어들의 데이터호환 및 협업 시스템 활용
- 활용지원 S/W를 진흥원 방문 없이 사용자 PC에서 원격 사용하도록 지원
- 다양한 시운전환경을 가상으로 구축 가능하여 시험환경 구축비용을 줄이는 용도로 활용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혈관 일반 혈관처럼 정상화해 암 성장·전이 억제- TIE2 활성 항체 적용해 저산소증 감소… 항암제 효과·면역세포 활동 (0) | 2016.12.13 |
---|---|
2017년 경기도 따복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 공고 (0) | 2016.12.13 |
반도체분야 고경력자 릴레이 세미나 개최 안내 (0) | 2016.12.13 |
더 스토리 콘서트와 스토리 컨퍼런스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0) | 2016.12.13 |
2016 산업창의융합포럼 컨퍼런스 개최 (0) | 2016.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