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한국판 뉴딜 선도를 위한 「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 발표

하이거 2020. 10. 28. 15:15

한국판 뉴딜 선도를 위한 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발표

 

부서 지역과학기술진흥과 : 2020.10.28.

 



한국판 뉴딜 선도를 위한「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발표
- 2025년까지 연구소기업 2배(2,000개) 설립, 양질의 일자리 10,000명 창출 -
K-선도 연구소기업 신규 100개 육성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일자리위원회(대통령직속)와 공동으로 연구소기업 1,000호 설립의 양적 성장을 넘어 씨앗기업에서 → K-선도 연구소기업까지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통한 질적성장 고도화를 위해 「‘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을 마련하여 발표하였다.

* 10.28(수) 07:30~08:30, 일자리위원회(주재 : 김용기 부위원장)에 안건 상정⸱의결
ㅇ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를 사업화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 내에 설립된 기업으로, 공공연구기관이 기술공급계약자를 넘어서 책임있는 주주로서, 기술사업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업화 모델이다.

* 대학, 과학기술출연연구원, 공기업, 연구중심병원 등

□ 연구소기업은 우수한 기술력과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을 통해 ‘19년 기준, 총 매출액은 7,394억원, 고용은 3,910명이며, 최근 5년간(‘15~‘19년) 평균 증가율이 각각 약 26.1% 및 약 34.5%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일자리 창출 및 혁신성장에 기여하고 있는 기업이다.

* 연구소기업 5년차 생존율(75.0%)은 일반기업(28.5%)보다 약 2.6배 높아 초기생존과 성장에 효과가 큼
□ 이번에 발표된 「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에서는, 2025년까지 ▴연구소기업 2배(2,000개) 설립, ▴K-선도 연구소기업 신규 100개 육성, ▴일자리 창출 10,000명을 위한 3대 추진전략과 10개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 첫째, 미래를 선도하는 연구소기업 창업을 활성화한다.

ㅇ 뉴딜 선도를 위한 고기술 ·신산업분야 창업을 확대하고, 기존 전통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과 집중 지원(R&BD과제 등)을 통해 미래혁신 성장 분야로 전환을 가속화한다.

ㅇ 글로벌 시장과 민간 벤처캐피탈(VC)의 수요를 반영한 기획형 연구소기업의 창업을 확대하고, 지역 내 특화자원을 활용하여 기획부터 투자까지 전 과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 주요 사례 예시 】

 (기획형 창업) ’19년 생명연에서 창업한 진코어는 창업기획사를 통한 아이템의 시장성 검증으로 창업과 동시에 투자 유치 성공
 (지역특화창업) 포항강소특구, 지질(연)포항센터와 母기업이 기획단계부터 포항 특화광물소재를 활용하여 사업화하는 연구소기업을 창업, 지역펀드에서 투자까지 연결

□ 둘째,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ㅇ 연구소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초기→도약→고도화」단계로 구분하여 전주기 맞춤형 지원 및 부처별 지원 연계 확대를 통해 기업 역량과 경쟁력을 강화한다.

- 초기 단계에는 설립 3년 이내의 씨앗기업을 적극 발굴하여, 시제품 제작 등을 위한 씨앗자금(과제당 0.5억원)을 지원하고, 설립 2 ~ 5년 이내의 도약단계 기업 대상으로는 핵심기술 고도화 및 제품 양산화를 위한 성장자금(과제당 2.5억원)을 지원한다.

- 설립 5년 이후, 고도화 단계에서는 글로벌시장 진출, 매출신장 등을 위한 대형자금(과제당 5억원 내외)과 범부처 협업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기술특화형 강소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 TIPS 프로그램, K-Global 프로젝트(ICT 분야 혁신기업 해외지출 프로그램) 등 연계


ㅇ 특히,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와 관련된 우수 연구소기업을 집중 육성하여 ‘25년까지 K-선도 연구소기업 100개 달성을 목표로 범부처 협업을 통한 K-선도 연구소기업 프로젝트도 신규로 추진한다.
 (특성) 연매출 20억원 이상, 세계 Top 기술‧제품을 1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
 (지원내용) 연구소기업 전용 IR 및 투자유치 프로그램 우선 적용(중기부 투자유치 프로그램 연계), 해외 진출 전략 컨설팅ㆍIPO 컨설팅 연계(KOTRA, 특허청 등) 지원 등

□ 셋째, 지역혁신거점으로서의 연구소기업 혁신생태계를 조성한다.

ㅇ 연구소기업은 연구개발특구 내 지자체 중심의 연구소기업 전용 창업 및 교류 공간을 확충하고, 연구소기업의 특화 산업단지(생산거점) 개발․조성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서 지역 경제 활력의 중심역할을 도모하고자 한다.

* 대전시에서 구축 중인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21년 8월 준공)에 개방형 창업‧보육 공간을 조성하여, 연구소기업의 창업‧성장을 지원 허브 기능을 수행

ㅇ 또한, 중‧대형 연구소기업의 설립과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출자기관(공공연구기관)의 최소설립지분율을 완화*하고, 코스닥 상장 등 우수성과를 기반으로 등록 해제되는 연구소 기업의 졸업기업 제도를 도입하여, 명예 연구소기업으로 인증하는 등의 제도를 정비할 예정이다.

* (현행) 자본금 10억원 미만 20%, 10억원이상 50억원 미만 15%, 50억원 이상 10% → (개선) 지분율 일괄 10%(특구법 시행령 개정)

ㅇ 그리고, 과기정통부는 연구소기업이 지역혁신성장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본사 운영에 따른 맞춤형 기업서비스 지원 등을 통한 관리제도를 지자체와 공동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 과학기술부 관계자는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성과의 직접사업화라는 새로운 답을 제시하며, 기술출자 형식을 통해 일회성에 그치던 기술이전의 한계를 극복하고, 연구개발(R&D) 성과를 사업화로 연결해서 신제품·신서비스로 창출하는 유용한 제도로써”,

ㅇ “지난 15년간 1,000개의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 고도화를 위해 「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을 마련하였으며, 동 전략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과 범부처 협업을 통한 종합지원을 차질없이 추진하여 연구소기업이 국가혁신과 지역경제 성장의 핵심자산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별첨 : 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


참고1 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 인포그래픽

참고2 연구소기업 혁신 성장 전략(안)(요약)
1. 추진배경 및 특색
◇ (연구소기업 개념) 정부출연기관 등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이전받아 자본금 규모에 따라 10∼20%이상을 출자하여 특구(5개 및 강소특구) 안에 설립하는 기업

◇ (질적성장∙고도화) 연구소기업 1,000호 설립의 양적 성장을 넘어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씨앗기업에서→K-스타 연구소기업까지)을 통한 질적성장 고도화 추진
◇ (국가혁신전략과 연계)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소부장, 비대면, 한국판뉴딜, 지역뉴딜, 양질의 신산업창출형 일자리창출 등 최근 주요정책과 연계

◇ (부처 협업) 범 부처 협업을 통한 단계별 종합지원 모델 제시

* TIPS 프로그램 연계, 해외진출ㆍIPO 컨설팅 지원 등(중기부KOTRA, 특허청 등과 협업)

2. 비전 및 추진전략
비 전

과학이 신산업 창출로 이어지는 연구소기업 육성으로 한국판 뉴딜을 선도
목 표

2025년까지 연구소기업 2배(2,000개) 설립
- K-선도 연구소기업 신규 100개 육성, 일자리 창출 10,000명((‘19) 3,910명→(‘25) 10,000명) -

추진전략 추진과제

1. 미래를 선도하는 연구소기업 창업 활성화 ? 뉴딜 선도를 위한 高기술 · 新산업분야 창업 확대
? 창업투자사·지역주도의 기획형 연구소기업 창업 확대

2.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 [초 기] 초기 연구소기업 성장 토대 마련
? [도 약] 연구소기업의 규모 확대를 위한 성장 지원
? [고도화] 기술고도화를 통한 강소기업으로 육성
? K-선도(세계시장 선도 기술특화형) 연구소기업 선정·지원

3. 지역혁신거점으로서의 연구소기업 혁신생태계 조성 ? 연구소기업 전용 창업 공간 및 협력 플랫폼 구축
? 연구소 기업 전용 펀드 조성 및 판로개척 지원
? 선순환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소기업 제도 정비
신산업 창출形 유망일자리 확대 기반조성


경제적 파급효과(‘21~’25년, 총 3,500억원 지원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27,502억원 11,877억원 113,696명

3. 추진과제

? 미래를 선도하는 연구소기업 창업 활성화 (과기부 주관, 산업부⸱중기부 협조)

ㅇ (창업 확대) 공공연구성과 기반 기술창업의 대표모델인 연구소기업 창업을 확대하여 ‘25년까지 2배(2,000개) 기업(누적) 설립 달성 추진

* (’19년) 891개 → (‘21년) 1,200개 → (‘22년) 1,400개 → (‘23년) 1,600개 → (‘25년) 2,000개

ㅇ ( 新산업분야 창업) 뉴딜 선도를 위한 高기술 · 新산업분야 창업 확대

* ‘25년까지 신산업분야 연구소기업 500개 창업(신규창업 1,000개의 50%)으로 한국판 뉴딜 선도

?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과기부 주관, 산업부⸱중기부⸱교육부, 특허청 협조)

ㅇ 성장 단계에 따라「초기→도약→고도화」단계로 구분→전주기 맞춤형 지원 및 부처별 지원 연계 확대를 통한 기업 역량 및 경쟁력 강화

ㅇ (초기단계) 성장 가능성을 고려한 씨앗기업 적극 발굴, 시제품제작 및 기술 검증을 위한 씨앗자금(과제당 0.5억원) 지원, 대학실험실 창업과 연계 강화
사업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초기창업패키지 기술창업 연구소기업 지원
부처 교육부 과기정통부 중기부 (대학기술 활용) 과기정통부
지원 창업 학사‧교육, 후속 R&D 자금, 사업화 자금, 공간, 멘토링 등 맞춤형 지원,
내용 학생 수당 등 지급 사업화모델 개발 등 연구소기업 등록 지원 역량강화, 투자 지원 등

ㅇ (도약단계) 설립 2 ~ 5년 이내의 기업 대상으로 핵심 ‧ 응용기술 고도화 및 제품 양산화 등을 위한 성장자금(과제당 2.5억원) 지원, 유망기업 패키지 지원


* 출연(연)의 공정개선 등 지원 강화 및 후속 기술개발을 위한 출자기관의 역할 강화

ㅇ (고도화단계) 설립 5년 이후의 우수 연구소기업 대상으로 글로벌 진출, 매출신장 등을 위한 대형자금(과제당 5억원 내외) 지원→기술특화형 강소기업으로 육성

* (TIPS 프로그램 연계) 우수 연구소기업이 TIPS 프로그램 지원시 인센티브 부여(가점 1점 내외)

ㅇ (K-선도 연구소기업)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와 관련된 우수 연구소기업을 집중 육성하여 ‘25년까지 K-선도 연구소기업* 100개 육성

* 연매출 20억원 이상, 세계 Top 기술‧제품을 1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
** 공동IR - 데모데이, 연구소기업 전용 IR 등 투자유치 프로그램 우선 적용(중기부 투자유치 프로그램 연계), 해외 진출 전략 컨설팅ㆍIPO 컨설팅 타 기관(KOTRA, 특허청 등)과 연계ㆍ지원


? 지역혁신거점으로서의 연구소기업 혁신생태계 조성 (과기부 주관, 중기부⸱지자체 협조)

ㅇ (창업ㆍ생산 공간) 특구내 지자체 중심의 연구소기업 전용 창업 및 교류 공간 확충, 연구소기업 특화 산업단지(생산거점) 개발․조성으로 지역 경제 활력 도모

* 대전시에서 구축중인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21년 8월 준공)에 개방형 창업‧보육 공간 조성 등

ㅇ (온라인 비지니스 플랫폼) 온라인에서 상시 소통‧협력 및 비즈니스를 활성화 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온라인 마케팅, 기업 간 B2B* 활성화)

ㅇ (전용펀드 및 기술금융) 초기 연구소기업 대상 전용펀드* 조성, 기술/신용보증기금의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전용 우대보증 ⸱ 투자 상품 신규 추진

* 선배기업 및 출자 지분을 회수한 기관(ETRI홀딩스, 한국과학기술지주(KST)., 원자력(연) 등)이 전용펀드에 참여

ㅇ (제도정비) 연구소기업 선순환체계 마련을 위한 제도정비

- (설립지분율 기준 완화) 중‧대형 연구소기업의 설립 및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출자기관(공공연구기관)의 최소설립지분율을 완화

* (현행) 자본금 10억원 미만 20%, 10억원이상 50억원 미만 15%, 50억원 이상 10% → (개선) 일괄 10%(시행령 개정)

- (명예 연구소기업) 코스닥 상장 등 우수 성과를 기반으로 등록 해제되는 졸업기업 제도를 마련하여 명예 연구소기업으로 인증

- (지역거점) 지역혁신성장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본사 운영에 따른 애로사항 청취, 맞춤형 기업서비스 지원 등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지자체와 공동 추진)

ㅇ (일자리 창출) 연구소기업 육성으로 ‘25년까지 양질의 일자리 10,000명 창출

* (’19년) 3,910명 → (‘21년) 5,000명 → (‘23년) 7,000명 → (‘25년) 10,000개

- (전문인력 일자리)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 인건비 지원, 범부처 (중기부, 고용부 등) 인력 지원 사업(채용, 파견 등) 연계를 통한 일자리 확대

- (新중년 일자리) 전문성과 경험을 보유한 고경력 은퇴 과학기술인을 기업의 애로기술 진단ㆍ해결에 활용→일자리 창출과 기업지원 효과 제고


참고 1 연구소기업 혁신성장 전략 추진 방향
[ 연구소기업 혁신성장 전략 추진 방향 ]

◇ 연구소기업 제도는 대학•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의 우수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한 연구개발특구의 핵심 기술창업 모델로서,

◇ ’06년 제도도입이후 양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8월 현재 1,000개 기술창업기업이 설립•운영 중

◇ 그간 과기정통부 주도의 창업초기 비즈니스모델 개발에 중점을 두어 육성되었던 연구소기업을 국가혁신과 지역경제성장의 핵심자산으로 성장될 수 있도록,

◇ “연구소기업 고유 지원제도”를 개선•발전시킴과 동시에, “범부처•지자체 연계 지원체제”도 강화되는 방향으로 추진전략을 마련

구 분 현 행 개 선 비 고
(As-is) (To-be)
공공기술 o 공공기관의 기술이전에 초점을 맞추어 창업 o 한국판 뉴딜선도, 소재부품장비 등 특화 신기술창업 연구소기업 고유
창 업 o 글로벌 타겟, 지역특화산업분야의 민간주도 기획창업
창업기업 o 과기부 주도의 창업초기 비즈니스모델 개발에 중점을 두어 재정지원 o 범부처․ 지자체 연계하여 초기-성장-고도화 등 성장단계별 맞춤형 재정․투자 지원 부처․
성 장 지자체
연계
o K-선도 연구소기업 프로젝트 추진 연구소기업 고유
혁 신 o 입주공간, 투자유치, 판로개척 등 개별 연구소기업 자체적으로 추진 o 연구개발특구내 지자체 중심의 전용 입주․교류․생산부지 공급 추진 연구소기업 고유
생태계 o 연구소기업 전용 펀드 조성 연구소기업 고유
o 판로개척, 글로벌 시장진출 지원 부처․
지자체
연계
o 연구소기업의 성장에 제약이 되고 있는 제도개선 추진하고 신산업 창출형 유망 일자리 확대 연구소기업 고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