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16년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정대상자 선정- 김대성(신라시대 중시(中侍)), 염영하(서울대 전 명예교수)

하이거 2016. 11. 16. 19:36

2016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헌정대상자 선정- 김대성(신라시대 중시(中侍)), 염영하(서울대 전 명예교수)

 

작성일 : 2016. 11. 16. 미래인재기반과

 








2016년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정대상자 선정
- 김대성(신라시대 중시(中侍)), 염영하(서울대 전 명예교수)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이명철)은 2016년「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헌정대상자로 통일신라의 김대성 선현과 염영하 서울대학교 전 명예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 김대성 선현(700∼774)은 지금의 장관에 해당되는‘중시(中侍)’를 지낸 통일신라의 인물로 국가적인 건축사업을 기획ㆍ총괄하여  세계적 문화유산인 불국사와 석굴암 창건을 주도하였다.

 o 이들 건축물에는 수학적 비례 원칙이 적용되어 뛰어난 안정미와 균형미를 갖추고 있으며, 지진에 강한 그랭이 기법*, 동틀돌**, 이중 아치구조 등 과학적 건축기술이 적용되어 최근 발생한 지진에도 큰 피해가 없었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자연석에 기둥을 세울 때 기둥 아래쪽을 자연석 윗면의 굴곡과 같은 모양으로 맞추어, 자연석과 기둥이 톱니바퀴 물리듯 맞물리게 하는 기법

    ** 석재가 흔들리지 않도록 못처럼 규칙적으로 설치한 돌
□ 염영하 교수(1919∼1995)는 우리 조상의 과학기술과 독창적 예술성이 담긴 한국 종의 신비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직접 제작을 통해 전통기술을 복원하였으며, ‘한국의 종’, ‘한국 종 연구’ 등 다수의 저서를 저술했다.

 o 염영하 교수는 한국의 종에 잡음을 제거하는 음관(音管)이 있어 맑은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종 하부의 바닥을 둥글게 파둔 명동(鳴洞)이 종의 소리를 크게 멀리 전달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o 또한 보신각종, 석굴암대종, 해인사종 등 8구의 범종과 독립기념관 종을 직접 제작하여 우리 민족의 전통기술을 복원하고 실제로 구현하는데 공헌하였다.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사업은 탁월한 과학기술 업적으로 국가
   발전과 국민복지 향상에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선정하여 그 업적을 항구적으로 기리고 보전하기 위해 2003년부터 시행되었으며,

 o 금년도 헌정대상자는 공개 추천과 후보자 발굴, 후보자심사위원회 심사 및 인물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되었다.

□ 국립과천과학관에 설치되어 있는『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는 세종대왕, 장영실, 허준, 우장춘 등 총 31인의 업적이 헌정되어 있으며 이번 헌정으로 총 33이 헌정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홈페이지 (http://kast.or.kr/HALL/)에서 살펴볼 수 있다.
<붙 임>
1.  2016년도『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헌정대상자 공적요약 1부.
2.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헌정대상자 현황 1부.
3.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사업 현황 1부.


붙임 1

 2016년도『과학기술인명예의전당』헌정대상자 공적요약


헌정
대상자
김 대 성 (金 大 城)
(700 ∼ 774)
염 영 하 (廉 永 夏)
(1919 ∼ 1995)
헌정사유


- 통일신라시대 국보인 불국사, 석가탑과 다보탑, 연화교와 칠보교, 청운교와 백운교, 석굴사원(석굴암)까지 창건을 주도

- 수학적 비례에 토대를 둔 한국 고대 건축의 창의와 혁신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건축기술 과시

- 한국적인 미의 원형 창조, 한국인의 자긍심 고취, 한국 최고의 관광 명소화

 ※ 김대성 선현이 불국사와 석굴사원 창건을 주도한 것은 분명하지만 이론과 실무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 분명치 않다.
 ※ 그러나, 학계에서는 건축물의 설계· 건축·조각·공예 및 가람 등 전반에 걸쳐 관여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천재적인 기술과 솜씨가 발휘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 우리나라 범종의 신비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데 공헌

- 보신각종, 석굴암대종, 해인사종 등 8구의 범종과 독립기념관 종을 직접 제작

- 신라, 고려, 조선시대의 종의 특성을 비교 연구한 ‘한국의 종’을 저술

- 해방 후 공학기술이 황무지나 다름없던 시기에, 재료공학, 피로파괴, 공작기계, 실험 응력해석 분야의 기초를 다지고 발전시키는 뛰어난 연구 업적으로 기술발전을 선도

- 구상흑연주철, 강 등의 재료에 대한 충격인장, 충격 굽힘, 반복충격 등과 하중 시 기계의 기계적 성질 및 파괴 거동에 관한 연구, 비틀림 피로, 반복 회전 굽힘을 받는 스프링강의 피로 및 크랙 진전에 관한 뛰어난 연구결과를 발표


붙임 2

 과학기술인명예의전당』 헌정대상자 현황


순 번
성 명 
주 요 경 력
주 요 공 적
생존연대
2003년 헌정 (14인)
1
이 순 지
판중추원사
․조선의 천문학을 세계 수준으로 올려놓은 천문학자
․중국, 아라비아 천문학을 연구하여 과학적 관측과 계산을 통해 역사상 처음으로 한양을 표준으로 하는 독자적인 역법체계를 갖추는데 기여함
1406 - 1465
2
최 무 선
고려말 지문하부사
판군기시사
사후 의정부 우정승,
영성부원군에 추증됨
․우리나라 최초로 화약을 만들고 화약무기를 개발한 고려말의 장군이자 과학자
․당시 첨단기술이었던 화약제조법을 자체 개발하였으며,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약무기 연구개발에 앞장섬
1325 - 1395
3
이    천
호조판서
지중추원사
평안도 도절제사
판중추원사
․세종시대 여러 과학기술의 업적을 주도한 무신이자 과학기술자
․세계 수준의 천문기구 제작, 금속활자 갑인자 주조, 화약무기 개발, 악기 개량, 도량형 표준화 등 탁월한 업적을 남김
1376 - 1451
4
장 영 실
노비 출신,
상의원 별좌
상호군 (上護軍, 종 3품)
․세종시대 우리 역사상 가장 찬란했던 과학기술문화를 꽃피우는데 기여함
․세계 최초의 측우기, 물시계인 자격루와 옥루, 해시계인 앙부일구, 천문관측기구인 혼천의 등의 제작에 참여함
조선전기
5
허    준
선조의 내의 및 어의
호종공신 3등에 책록
양평군 정일품 보국숭록
대부로 책봉
․동의보감으로 조선과 중국의 전통 의학을 종합함
․산과, 응급의학, 전염병학의 핵심을 한글로 펴내 의학 대중화에 기여함
1539 - 1615
6
홍 대 용
실학자
사헌부감찰
영천군수
․서양과학을 받아들이고자 노력한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과학사상가
․전통적인 우주관을 비판하고 지동설과 무한우주의 관념을 제시했으며, 여러 천문기구와 기계장치를 제작함
1731 - 1783
7
김 정 호
실학자, 지도학자
사료가 거의 없음
․전통지도학을 완결시킨 지리학자
․대표적인 업적인 대동여지도는 조선시대 지도학 발달사의 절정을 이룬 성과물이며, 오늘날 지도와 비교해도 거의 일치하는 정밀성을 보여줌
약1804 - 1866
8
우 장 춘
원예시험장 초대 장장
한국농업과학연구소 소장
․‘종의 합성’ 이론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세계적인 유전육종학자
․채소, 감자, 귤 등의 우량종자를 개량하여, 종자 자급을 실현하는데 기여했고, 연구인력을 배출하여 우리나라 농학의 뿌리를 다짐
1898 - 1959
9
이 원 철
국립중앙관상대 초대 대장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인하공대 초대 학장
․우리나라 최초의 이학박사로 천문학과 기상학 분야를 개척하는데 앞장선 과학자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천문학 교육에 힘썼으며, 중앙관상대 초대 대장으로 우리나라의 기상업무체계를 구축함
1896 - 1963
10
이 태 규
일본 교토대학 교수
미국 유타대학교 교수
KAIST 교수
․‘리-아이링’ 이론 등 우수한 논문을 내놓으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이론화학자
․미국 유타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에서 후학 양성에 많은 공헌을 하여 우리 화학계의 성장에 기여함
1902 - 1992
11
안 동 혁
경성공업전문학교 교장
중앙공업연구소 소장 
상공부 장관
대한민국학술원 부회장
․산업기술의 기반을 앞장서서 닦은 화학공학자
․1950년대 상공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자금, 에너지, 비료를 중심으로 한 3F 산업정책을 추진해 경제 발전의 토대를 마련함
1907 - 2004
12
현 신 규
농촌진흥청 청장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서울대학교 교수
․우리 국토를 푸르게 가꾸는데 일생을 바친 임목육종학자
․리기테다 소나무와 현사시 나무의 개발 등 세계적 수준의 성과를 얻었으며, 한국 임목육종학의 기틀을 다짐
1911 - 1986
13
최 형 섭
과학기술처 장관
한국과학재단 이사장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한국과학기술연구소 (KIST) 설립과 운영에 기여했으며, 과학기술처 장관으로 대덕연구단지 건설 등 현대적 과학기술체제를 마련함
․개발도상국들의 과학기술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줌
1920 - 2004
14
이 호 왕
서울대학교 / 고려대학교 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장
미국과학한림원 외국회원
․유행성출혈열의 병원체인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예방백신과 진단법을 개발한 미생물학자
․그의 연구성과에 힘입어 바이러스학의 영역이 확대되었으며, 유행성출혈열의 공포로부터 벗어남
1928 - 현재
2004년 헌정 (2인)
15
김 동 일
서울대학교 공대 학장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섬유, 요업, 에너지분야에서 이용후생의 실학정신을 계승, 실천한 과학기술자
․해방 직후와 6.25전쟁의 혼란기에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했으며, 우리나라 과학기술 진흥체제 구축에 힘씀
1908 - 1998
16
김 순 경
서울대학교 교수
미국 템플대학교 교수
재미과학기술자협회 회장
․우리나라 화학교육과 연구의 기초를 다졌으며, 세계가 인정한 학술업적을 남긴 우리 화학계의 선구자
․재미과학기술자협회를 창립하는 등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함
1920 - 2003


순 번
성 명 
주요경력
주요공적
생존연대
2005년 헌정 (3인)
17
서 호 수
관상감 제조
도승지. 진하겸사은부사
․조선 후기 천문역산 사업의 대부분을 책임지고 수행한 대표적인 과학자
․천문역산의 개혁을 주도하고 서양의 수학과 천문학 이론을 해설하여 국내에 전파하였으며, 농업기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함
1736 - 1799
18
장 기 려
서울대학교 / 부산대학교 교수
가톨릭의과대학 교수
․우리나라 간장외과 발전에 기여한 의학자
․의료 인재 양성에 공헌했으며, 청십자 병원을 설립하는 등 박애와 봉사의 삶을 삶
1911 - 1995
19
이 휘 소
펜실베니아대 / 뉴욕주립대 교수
페르미 국립가속기연구소
이론물리학부장
․소립자 물리학 분야에서 세계 정상급의 이론물리학자
․게이지 이론의 재규격화와 참입자의 예견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소립자 물리학 분야의 발전에 공헌함
1935 - 1977
2006년 헌정 (4인)
20
김 점 동
보구여관 의사
평양 기홀병원 의사
․우리나라 여성으로서 최초로 서양 의학을 공부한 선구자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전문 병원인 보구여관과 평양의 기홀병원에서 헌신적인 의료활동을 펼침
1876 - 1910
21
이 임 학
서울대학교 교수
브리티시컬럼비아대 교수
․우리나라 수학교육을 정립하고, 리군 이론으로 세계수학사에 업적을 남긴 수학자
․8권의 한글판 수학교과서를 출판함
1922 - 2005
22
김 재 근
서울대학교 교수
대한조선학회 회장
대한민국학술원 부회장
․우리나라의 조선공학을 개척하고, 교육과정을 만든 조선공학자이자 선박역사학자
․거북선을 비롯한 조선군선 연구의 개척자로 우리나라 선박 역사를 집대성함
1920 - 1999
23
조 백 현
서울대학교 농대 학장
한국농학회 회장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명예회장
․우리 농업의 과학화와 현대화에 앞장선 농학자
․서울대학교 교수로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해외 선진 농법을 도입하여 농업의 과학화와 현대화에 앞장섬
1900 - 1994
2007년 헌정 (1인)
24
조 순 탁
한양대학교 / 서울대학교 교수
한국물리학회 회장
한국과학원 원장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조-울렌백 이론’으로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은 우리나라 최초의 이론물리학자
․40여년간 교수로 재직하며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한국물리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우리니라 과학기술발전에 기여함
1925 - 1996
2008년 헌정 (1인)
25
석 주 명
송도고등보통학교 박물교사
수원농사시험장 병리곤충부장
과학박물관 동물학부장
․근대적 나비분류학을 정립한 선구자
․일제강점기와 해방직후 나비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근대 생물학 정립에 크게 기여함
1908 - 1950
2009년 헌정 (1인)
26
세    종
조선 4대왕
․천문학, 수학, 의약학, 지리학, 농업기술, 인쇄술, 군사기술 등 조선시대 전통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함
․과학적인 문자체계인 ‘훈민정음’을 창제함
1397 - 1450
2010년 헌정 (1인)
27
허 문 회
한국작물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1970년대 당시 벼 육종기술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던 ‘원연종간 삼원교잡’을 통해 ‘통일벼’를 개발함으로써 우리 역사상 최초로 주곡 (쌀)을 자급화할 수 있게 함
1927 - 2010
2011년 헌정 (1인)
28
윤 일 선
서울대학교 총장
대한민국학술원 초대 회장
대한병리학회 초대 회장
․우리나라에 근대의학을 도입하고, 과학을 태동시킨 한국 최초의 병리학자
․일제강점기에 병리학을 비롯한 기초의학 전반을 정립하는 등 우리나라 의과학의 기틀을 다짐
1896 - 1987
2012년 헌정 (1인)
29
정 약 전
승문원부정자
병조좌랑
․우리나라 수산학 및 해양생물학을 창도한 학자
․조선 후기 탁월한 과학사적 성과로 인정받고 있는 ‘자산어보’를 저술, 우리나라 해양 생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함
1758 - 1816


순 번
성 명 
주 요 경 력
주 요 공 적
생존연대
2013년 헌정 (2인)
30
최 석 정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조선후기 현종, 숙종대의 문신이며 학자
․저서 ‘구수략’ (九數略)에서 세계 최초로 9차 직교라틴방진을 발견했으며, 이를 활용해 마방진을 만들었음
․이러한 업적은 세계적인 수학자인 오일러 (Euler)의 발견보다도 앞선 것임
1646 - 1715
31
한 만 춘
대한민국학술원 정회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
대한전기학회 회장
연세대학교 교수
․우리나라 전기전자공학 분야의 개척자
․연세대학교에서 초대 공학부장, 이공대학장, 산업대학원장을 역임하며, 국내 전기전자공학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함
․‘연세 101 아날로그 전자계산기’를 직접 제작하여 전력계통의 해석과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 연구 등에 활용
1921 - 1984
2016년 헌정 (2인)
32
김 대 성
중시(中侍)
․통일신라시대 불국사와 석굴사원 창건을 주도
․수학적 비례에 기반한 한국적인 미의 원형을 창출하여 신라시대 백성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킴
700 ∼ 774
33
염 영 하
아시아-대평양 재료강도학술회 회장
서울대 명예교수
한국범종연구회 회장
대한기계학회 회장
․우리나라 범종의 신비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데 공헌
․보신각종, 석굴암대종, 해인사종 등 8구의 범종과 독립기념관 종을 직접 제작
․신라, 고려, 조선시대의 종의 특성을 비교 연구한 ‘한국의 종’을 저술
1919 ∼ 1995


붙임 3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사업현황


 사업목적

   ○ 탁월한 과학기술 업적으로 국가발전과 국민복지 향상에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선정하여 그 업적을 항구적으로 기리고 보전
       ※ 추진근거 : 과학기술기본법 제 31조 (과학기술인의 우대 등)


 주최 / 주관: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헌정대상자 기본자격

   ○ 역사적 정통성을 지닌 우리나라 과학기술선현 또는 원칙적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과학기술인
   ○ 탁월한 과학기술업적으로 국가발전 및 국민복지 향상에 기여한 분
   ○ 모든 과학기술인들의 귀감이 되고 국민들의 존경을 받을만한 훌륭한 인품을 겸비한 분

 헌정대상자 추천자격
   ○ 과학기술 관련 기관 및 단체의 장
   ○ 3개 이상의 과학기술 관련 기관 및 단체에서 근무하는 5인 이상으로 구성된 추천인단

 헌정대상자 선정절차


후보자 추천
∙일간지 공고 및 유관기관 추천 요청(2016.3.3.~5.27.)



인물선정위원회
∙후보자심사위원회 구성(2016.6.30.)



후보자심사위원회
∙5개 분과(선현, 이학, 공학, 농수산학, 의약학) 구성(2016.7.26.)
∙헌정대상 후보자를 인물선정위원회에 추천(2016.8.31.)



인물선정위원회
∙헌정대상자 심의 선정(2016.9.22.)


 

 공고 및 최종 헌정
∙선정결과 공고 및 이의 접수(2016.9.28.~10.28.)


 기대효과

   ○ 과학기술자들의 명예와 자긍심 고취
   ○ 청소년들에게 우리 과학기술의 우수성 홍보 및 과학정신 함양 도모
   ○ 사회적으로 과학기술인 우대 풍토 조성에 기여
   ○ 아동 및 청소년의 과학기술 분야 진출 동기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