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16년(12월, 전체) 수출입 동향 및 2017년 수출입 전망

하이거 2017. 1. 2. 18:25

2016(12, 전체) 수출입 동향 및 2017년 수출입 전망

 

담당부서수출입과 등록일2017-01-02

 

   










































2016년(12월, 전체) 수출입 동향 및
2017년 수출입 전망
- ‘17. 1. 1(일) 배포 -

※ 자세한 내용은 첨부자료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ㅇ 본 동향 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 및 무역통계(KITA)를 기초로 2016년 12월 및 2016년 연간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것임

 ㅇ전체 수출입 실적 및 주요 품목별 수출실적(MTI 기준)은 12월 31일까지의 통관실적 잠정치를 기준으로 작성

 ㅇ 다만, 연간 통계확정시(2017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 가능



2016년 12월 수출입 동향


12월 수출 451억달러(+6.4%), 수입 381억달러(+7.3%)


1. 12월 수출입 동향 개요

□ (금액) 12월 수출 451억달러(전년동기대비 +6.4%), 수입 381억달러(+7.3%), 무역수지 70억달러 흑자 기록(59개월 연속 흑자)

 ㅇ 12월 수출․수입은 1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전년동기대비 증가

   * 2개월 연속 수출증가는 ‘14.10월 이후 26개월만에 최초

< 12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 : 억달러, %)

2015년
2016년
12월
1~12월
11월
12월p
1~12월p
수  출
424 (△14.3)
5,268 (△8.0)
454 (+2.5)
451 (+6.4)
4,955 (△5.9)
수  입
355 (△19.2)
4,365 (△16.9)
372(+9.3)
381(+7.3)
4,057 (△7.1)
무역수지
69
903
82
70
898


< 수출입증가율 추이(%) >

< 무역수지(억달러) >



 ㅇ 4분기 총 수출 및 일평균 수출도 ‘14.4분기 이후 2년만에 증가 전환


< 분기별 수출입증감률 추이(%) >

< 분기별 일평균 수출액 및 증감률 >


□ (일평균 수출) 일평균 수출은 4.2% 증가해 ‘15.2월 이후 22개월 만에 증가 전환, 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도 2개월 연속 증가

   * 일평균 수출증감률(%) : (7)▵4.8→(8)▵5.9→(9)▵3.7→(10)▵1.0→(11)▵1.7→(12)+4.2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증감률(%) : (7)▵2.0→(8)▵9.6→(9)▵3.2→(10)▵3.2→(11)+3.8→(12)+5.5

 ㅇ 일평균 수출금액은 18.4억 달러,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금액은 17.5억 달러

   *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7)17.4→(8)16.7→(9)19.5→(10)18.7→(11)18.9→(12)18.4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7)16.6→(8)15.4→(9)18.4→(10)17.5→(11)17.4→(12)17.5

□ (물량·단가) 수출물량은 감소, 단가는 ’16.10월 이후 2개월 만에 증가 전환

    * (물량) 자동차․선박․가전․차부품 등 감소 영향
    * (단가) 반도체․평판디스플에이(DP)․석유제품․석유화학․철강 등 상승 영향



16.1Q
16.2Q
16.3Q
16.4Q
16.9월
16.10월
16.11월
16.12월p
 *
수출물량증감률(%)
0.7
1.6
▵1.7
▵1.1
▵0.2
▵3.4
+3.5
▵3.3

수출단가증감률(%)
▵14.3
▵8.2
▵3.3
+3.0
▵5.7
+0.2
▵0.9
+10.0


□ (원화표시 수출) 전년동기대비 +7.3%, ‘16.6월 이후 6개월만에 2개월 연속 증가, ’14.12월 이후 2년만에 최대 증가율 기록



‘16.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p
*
원화표시 수출증감률(%)
0.8
2.2
▵10.5
▵3.3
▵12.1
▵5.1
+3.4
+7.3

    * 원/달러 환율(₩/$)  :  ('15.12월) 1,172.24   →  ('16.12월) 1,182.28(+0.9%)
 
2. 품목별․지역별 수출 동향

□ (주력품목) ‘16.8월 이후 4개월만에 증가 전환, ’14.7월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 기록(+3.3%),  13대 품목 중 7개 품목 수출 증가

    * 13대 품목 수출증감률(%) : (7)△12.3→(8)1.7→(9)△8.2→(10)△3.6→(11)△0.7→(12)+3.3

 ㅇ 선박을 제외한 12대 품목 수출은 ‘14.7월 이후 29개월 만에 2개월 연속 증가

    * 12대 품목 수출증감률(%) : (7)△9.0→(8)▵3.5→(9)△7.7→(10)△6.4→(11)+6.0→(12)+4.8
    * 12대 품목 수출액(억불) : (7)297→(8)279→(9)293→(10)304→(11)318→(12)318

* 수출증감률(%) : (반도체)19.9  (컴퓨터)18.1  (석유제품)13.5  (평판 디스플레이(DP))12.2 (석유화학)8.4  (일반기계)5.3  (철강)0.6  (섬유)▵1.9  (무선통신기기)△2.0  (차부품)▵5.4  (자동차)▵7.9  (선박)△14.1  (가전)▵13.2

 
◇ (증가) 반도체․일반기계․석유화학․석유제품․평판디스플레이(DP) 등 7개 품목

  ㅇ (반도체) 스마트폰 탑재용량 증가에 따른 메모리 단가 상승으로 3개월 연속 증가, ‘13.12월 이후 3년 만에 최대 증가율 기록

    * D램 현물가격(4Gb, $): (’16.9)1.82 →(’16.10)2.34 →(’16.11)2.55 →(’16.12p)2.71
    * 수출증감률(%) : (’16.6)▵0.5→(7)▵2.6→(8)2.5→(9)△2.6→(10)1.7→(11)11.6→(12)19.9

  ㅇ (일반기계) 대중국(건설기계 재고 교체), 아세안(공기조절기 수요 증대) 수출 증가 등으로 2개월 연속 증가, ‘15.7월 이후 최대 수출실적 기록(41.8억불)

    * 12.1-20일 수출금액/증감률(억불) : (중국)6.1(23.9%), (아세안)4.0(19.6%)
    * 수출증감률(%) : (’16.6)▵4.8→(7)▵4.1→(8)1.4→(9)▵0.4→(10)▵4.4→(11)18.8→(12)5.3

  ㅇ (석유화학) 유가상승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3개월 연속 증가, ‘15.7월 이후 최대 수출실적 기록(33.6억 달러)

    * 두바이유가($/B) : ('15.12월)34.92 → ('16.12월)52.08(49.1%↑)
      수출단가($/톤,전년비%) : (’15.12월) 974 (△22.7) → (’16.12월e) 1,119 (14.9↑)
    * 수출증감률(%) : (’16.6)▵10.6→(7)▵12.5→(8)4.2→(9)▵0.3→(10)0.1→(11)20.0→(12)8.4

  ㅇ (석유제품) 유가상승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2개월 연속 증가, ‘14.4월 이후 최대 증가율 기록

     * 수출단가 및 증감률($/B,yoy) : (‘15.12월)49.8 → ('16.12월e)60.0(21.7%↑)
     * 수출증감률(%) : (’16.6)▵26.5→(7)▵12.1→(8)▵24.5→(9)▵12.0→(10)▵1.7→(11)1.7→(12)13.5

  ㅇ (평판디스플레이(DP))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 증가 지속,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상승 등으로 ’15.1월 이후 23개월 만에 2개월 연속 증가, ‘13.4월 이후 최대 증가율 기록

    * 42인치(TV) LCD 가격($/yoy): (’15.12)106 ⇒ (’16.10)127(4%)→(’16.12)129(21.7%)
    * 수출증감률(%) : (’16.6)▵25.3→(7)▵19.2→(8)▵7.1→(9)▵3.7→(10)▵4.7→(11)2.4→(12)12.2

  ㅇ (컴퓨터) 차세대저장장치(SSD)(10월 신제품 출시) 중심 수요 지속 증가 및 단가상승으로 8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차세대저장장치(SSD) 평균 수출단가 및 증감률($): (‘15.12월)127 → ('16.12월e)138(8.7%↑)
    * 수출증감률(%) : (’16.6)19.7→(7)39.1→(8)23.3→(9)13.2→(10)7.1→(11)13.0→(12)18.1
  ㅇ (철강) 원료가격 상승 등에 따른 철강재 수출단가 상승세 지속으로 ‘14.12월 이후 2년만에 처음으로 2개월 연속 증가

    * 철강재 단가/증감률(US$/yoy) : ('16.9)737(1.5%)→(11)753(7.6%)→(12e)751(8.1%)
    * 수출증감률(%) : (’16.6)▵2.3→(7)▵11.2→(8)4.7→(9)▵4.4→(10)▵0.9→(11)10.7→(12)0.6

 ◇ (감소) 가전․선박․자동차․차부품․무선통신기기 등 6개 품목

  ㅇ (가전) 해외공장 부분품 현지조달 확대 및 해외생산확대에 따른 텔레비전(TV) 중심 수출 감소 영향

    * 12.1-21일 수출금액/증감률(백만불) : (TV부분품)86(▵30.9%), (TV완제품)38(▵44.1%)
    * 수출증감률(%) : (‘16.6)▵0.8→(7)▵17.0→(8)▵11.5→(9)▵18.1→(10)▵2.5→(11)1.2→(12)▵13.2

  ㅇ (선박) 고부가가치선인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특수선 등 4척 포함 총 23척 수출

     * 수출증감률(%) : (‘16.6)30.3→(7)▵42.8→(8)89.4→(9)▵14.0→(10)48.6→(11)▵36.8→(12)▵14.1

  ㅇ (자동차) 중동․중남미 등 신흥시장 수요회복으로 연간 최대실적을 기록하였으나, 전년 기저효과(‘15년중 최대실적)로 감소 전환

    * 12.1-20일 수출금액/증감률(억불) : (중동)3.2(7.8%), (중남미)2.1(18.9%)
    * 수출증감률(%) : (‘16.6)▵12.3→(7)▵14.5→(8)▵15.1→(9)▵23.9→(10)▵12.0→(11)1.3→(12)▵7.9

  ㅇ (차부품) 동유럽·아시아 경기부진에 따른 완성차 반조립제품(CKD) 수출물량 감소, 해외공장 재고 증가 등에 따른 수요 부진 영향

     * 반조립제품(CKD)수출(백만 달러): (‘15.12월) 180 → (‘16.12월e) 135 (△33.3%)
     * 수출증감률(%) : (’16.6)▵0.7→(7)▵10.8→(8)2.5→(9)3.4→(10)▵6.9→(11)4.0→(12)▵5.4

  ㅇ (무선통신기기) 신형 스마트폰 단종 등 영향에도 불구하고, 통신장비․듀얼카메라 부품 등 수요 증가로 감소폭은 축소

    * 12.1-20. 수출금액/증감률(억 달러): (휴대폰)2.4(▵36.0%), (카메라 및 수상기)2.8(121%)
    * 수출증감률(%) : (’16.6)▵1.4→(7)▵4.1→(8)▵9.0→(9)▵28.0→(10)▵28.1→(11)▵17.9→(12)▵2.0

  ㅇ (섬유) 화섬 생산량 증가에 따른 수출물량 증가에도 불구, 바이어 단가 인하 요구에 따른 단가 하락 지속으로 소폭 감소

    * 물량(천톤) : (‘15.12)237→(’16.12e)244(3.2%↑), 단가($/kg) : (‘15.12)5.28→(’16.12e)5.06(▵4.3%)
    * 수출증감률(%) : (’16.6)▵6.1→(7)▵9.1→(8)2.1→(9)0.0→(10)▵8.9→(11)5.3→(12)▵1.9
□ (유망품목) 5대 유망소비재 중 의약품․화장품․생활유아용품․농수산식품 수출 증가, 차세대저장장치(SSD)․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출 증가 지속

    * 증감률(%) : (의약품)75.8,  (화장품)34.7,  (생활유아용품)3.8,  (농수산식품)0.8,  (패션․의류)▵5.5,  (OLED)55.3,  (SSD)57.5

 ㅇ 의약품은 유럽 등으로부터 최근 허가를 받은 바이오시밀러(바이오 의약품 복제약) 수출 본격화로 사상 최대 수출실적 기록(3.8억 달러)

    * 12.1-20. 수출액/증감률(백만 달러): (유럽연합)205(400%), (일본)21(35.6%), (미국)7(149%)
    *  수출증감률(%) : (‘16.6)34.5→(7)38.0→(8)46.2→(9)17.6→(10)▵12.9→(11)19.7→(12)75.8

 ㅇ 화장품은 주력시장인 대(對)중국 수출의 증가세 유지, 신흥시장인 미국․유럽연합(EU) 수출 급증으로 연중 증가세 지속

    * 12.1-20. 수출액/증감률(백만 달러) : (중)97(20.8%), (미)22(70.6%), (유럽연합)6(57.0%)
    *  수출증감률(%) : (‘16.6)55.6→(7)42.5→(8)79.3→(9)74.7→(10)43.2→(11)25.1→(12)34.7

 ㅇ 차세대저장장치(SSD) 수출은 7개월 연속 증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15.8월 이후 최대 증가율을 기록하며 ‘15.5월부터 20개월 연속 증가

□ (지역별) 대(對) 베트남․아세안․중국․일본․독립국가연합(CIS)․인도 수출 증가 지속, 대(對) 유럽연합(EU)․중남미 수출 증가 전환


* 수출증감률(%): 베트남 45.5  유럽연합(EU) 30.8  아세안 13.6  독립국가연합(CIS) 14.3  중국 9.6  일본 7.8  인도 6.0  중남미4.9  미국▵2.3   중동▵5.1


 ◇ (증가 지속) 대(對) 베트남(11개월 연속), 아세안(3개월 연속), 중국․일본․독립국가연합(CIS)․인도(2개월 연속)

  ㅇ (베트남) 현지생산기지로 향무선통신기기․일반기계․반도체 등 수출 호조,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에 따른 석유제품 수출 증가로 11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6)9.7→ (7)7.0→ (8)22.5→ (9)17.0→ (10)20.0→ (11)38.3→ (12)45.5
    * 12.1~20일 실적(억 달러): (무선통신기기)2.6(64.5%), (일반기계)2.5(28.2%), (반도체)2.0(38.9%), (평판 디스플에이(DP))1.5(221%), (석유제품)1.1(482%)

  ㅇ (아세안) 석유제품․일반기계․무선통신기기․석유화학 등 수출 호조로 3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6)▵10.3→(7)▵4.4→(8)2.8→(9)▵1.2→(10)2.7→(11)21.9→(12)13.6
    * 12.1~20일 실적(억달러): (석유제품)4.3(22.4%), (일반기계)4.0(19.6%), (무선통신기기)2.8(57.3%), (석유화학)2.5(37.9%), (자동차)1.2(35.5%)

  ㅇ (중국) 산업생산 호전국면 진입(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51.7로 28개월만에 최고치), 평판 디스플레이(DP)․석유화학․일반기계․무선통신기기 등 수출 증가로 ‘15.1월 이후 23개월만에 2개월 연속 증가

    - 수출금액 기준으로도 ‘15.10월 이후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120억 달러)

    * 수출증감률(%) : (’16.6)▵10.3→(7)▵9.4→(8)▵5.3→(9)▵9.1→(10)▵11.3→(11)0.4→(12)9.6
    * 12.1~20일 실적(억 달러,%) : (평판DP)11.2(10.6), (석유화학)10.1(23.0), (일반기계)6.1(23.9), (무선통신기기)4.8(36.5), (차부품)3.1(▵18.0)

  ㅇ (일본) 석유제품․철강․반도체 등 증가 영향으로 2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6)▵3.6→(7)▵2.6→(8)7.5→(9)6.5→(10)▵1.6→(11)12.6→(12)7.8
    * 12.1~20일 수출실적(억 달러): (석유제품)2.5(24.7%), (철강)1.7(18.4%), (반도체)1.0(19.4%), (정밀화학)0.8(17.5%), (석유화학)0.7(32.4%)

 ◇ (증가 전환) 대(對) 유럽연합(EU)․중남미 수출

  ㅇ (유럽연합) 선박․자동차․철강 등 증가 영향으로 2개월만에 증가 전환

    * 증감률(%) :  (’16.6)▵16.2→ (7)▵4.8→ (8)▵4.7→ (9)▵14.4→ (10)3.8→ (11)▵22.1→ (12)30.8
      12.1~20일 실적(억달러,%) :  (선박)8.6(146), (자동차)2.9(63.5), (철강)1.5(29.1), (석유제품)0.9(619), (컴퓨터)0.7(45.5)
  ㅇ (중남미) 일반기계․가전 감소 불구, 자동차․차부품․평판 디스플레이(DP) 등 수출 증가로 4개월만에 증가 전환

    * 증감률(%) : (’16.6)▵0.6→(7)▵16.6→(8)▵16.3→(9)▵0.1→(10)▵10.5→(11)▵16.0→(12)4.9
    * 12.1~20일 실적(억 달러,%): (자동차)2.1(18.9), (차부품)1.2(82.7), (평판DP)0.6(21.0), (일반기계)1.4(▵14.0), (가전)0.4(▵17.6)

 ◇ (감소) 대(對)미국․중동 수출

  ㅇ (미국) 반도체․컴퓨터 증가 불구, 차부품․무선통신기기․석유화학 등 수출 감소로 감소 전환

    * 수출증감률(%) : (’16.6)▵6.9→(7)▵14.5→(8)▵4.8→(9)▵6.0→(10)▵10.1→(11)3.8→(12)▵2.3
    * 12.1~20일 실적(억달러,%) : (반도체)1.2(8.9), (컴퓨터)1.0(45.1), (차부품)2.8(▵21.7), (무선통신기기)2.4(▵22.6), (석유화학)0.8(▵29.6)

    - 다만, 반도체 장비 등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14.6%)하여 12월 및 ‘16년 연간 대미 무역수지 흑자폭은 전년비 감소

    * 對美 무역수지(억불) : (‘15.12)22.9→(’16.12)16.3, (‘15년)258.1→(’16년)233.5
    * 12.1-20일 對美 수입증가율(%) : (반도체제조용장비)147, (항공기및부품)157, (농수산물)42.5

  ㅇ (중동) 철강․가전 등 수출 감소로 감소 전환

    * 수출증감률(%) : (’16.6)▵19.1 → (7)▵19.3 → (8)▵8.0 → (9)▵19.1 → (10)10.2 → (11)10.9→ (12)▵5.1
    * 12.1~20일 실적(억달러) : (자동차)3.2(7.8%), (일반기계)2.5(35.2%), (선박)0.8(5287%), (철강)1.0(▵32.2%), (가전)0.6(▵17.6%)

3. 성질별 수입 동향

□ 12월 수입은 ‘14.9월 이후 27개월만에 2개월 연속 증가, 원자재․자본재 수입은 2개월 연속 증가, 소비재 수입은 감소 전환

    * 수입증감률 : (’16.6)▵7.5→(7)▵13.7→(8)0.8→(9)▵1.7→(10)▵4.8→(11)9.3→(12)7.3

  ㅇ 주력산업의 선제적 투자 확대로 반도체․평판디스플레이(DP) 제조용 장비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 지속

< 품목별 수입증감률(12.1∼20일 기준, %) >

원자재

+6.3
(원유)13.1   (가스)▵5.0   (철강제품)13.1  
(석유제품)▵15.5   (석탄)73.7       

자본재

+11.5
(프로세스와콘트롤러)7.0   (반도체제조용장비)196
(메모리반도체)28.8  (평판DP제조용장비)307  (차부품)11.5

소비재

▵1.8
(1,500cc초과가솔린차)▵13.4   (돼지고기)57.9
(코트 및 자켓)20.4  (쇠고기)8.4  (과일류-멜론 등)12.7

※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 석탄, 철강, 석유제품, 원유, 가스 수입증가율은 12.1∼31일까지 실적

4. 특징 및 평가

□ 12월 수출은 ‘14.10월 이후 26개월 만에 2개월 연속 증가

 ㅇ 수출증감률이 9월 이후 지속 개선되고, 일평균 수출이 ‘15.2월 이후 22개월만에 증가로 전환되는 등 수출이 완연한 회복세를 시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수출증감률(%) : (7)△10.5→(8)2.6→(9)△5.9→(10)△3.2→(11)2.5→(12)6.4
   * 일평균 수출증감률(%) : (7)▵4.8→(8)▵5.9→(9)▵3.7→(10)▵1.0→(11)▵1.7→(12)+4.2

 ㅇ 우리기업의 수익성과 직결되는 원화 기준 수출도 ‘16.6월 이후 처음으로 2개월 연속 증가, ’14.12월 이후 2년만에 최대 증가율 기록

    * 원화 수출증감률(%) : (7)△10.5→(8)▵3.3→(9)△12.1→(10)△5.1→(11)3.4→(12)7.3

□ 최근 수출 회복세는 주력품목의 물량․단가 개선과 함께 품목․시장․주체 등 수출구조 혁신 노력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 된 되 기인

 ㅇ (품목) 화장품․의약품 등 유망소비재 수출 약진(12월 15.5%↑)으로 13대 주력품목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줄어들면서 수출품목 다변화

    * 13대 품목 수출 비중(%) : (‘15.12월)77.6 → (’16.12월)75.4

 ㅇ (시장) 제재 해제국가인 대(對)이란 수출 급증(12월 32.3%↑, 6월 이후 7개월 연속), 신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인 대(對)베트남 수출 증가 지속(12월 45.5%↑, 11개월 연속)

 ㅇ (주체) 중소․중견 수출비중은 전년동기비 2.1%p 증가

    * 중소․중견기업 수출비중(%) : (‘15.11월)34.7 → (’16.11월)36.8

□ 품목별로는 13대 주력품목 중 7개 품목 수출이 전년대비 증가하고, 일반기계․석유화학․자동차가 금년 중 최대 수출실적 기록

 ㅇ 유망품목 중에서는 의약품(3.8억 달러)이 사상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한 것이 주요 특징

□ 지역별로는 미국․중동을 제외한 주요 수출시장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

 ㅇ 특히, 대(對) 중국 수출이 ‘15.1월 이후 23개월만에 2개월 연속 증가하고,  ‘15.10월 이후 최대 수출실적(120억 달러)을 기록한 것이 주요 특징




2016년 수출입 실적 및 평가


수출 4,955억 달러(△5.9%), 수입 4,057억 달러(△7.1%)


1. 수출입 동향 개요

□ (금액) 2016년 수출은 전년대비 5.9% 감소한 4,955억달러, 수입은 7.1% 감소한 4,057억달러, 무역수지 898억달러

< 2016년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 : 억달러, %) 

구분
2015년도
2016년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수출
2,685
(▵5.2)
2,583
(▵10.8)
5,268
(▵8.0)
2,412
(▵10.2)
2,543
(▵1.5)
4,955
(▵5.9)
수입
2,223
(▵15.6)
2,142
(▵18.3)
4,365
(▵16.9)
1,931
(▵13.1)
2,127
(▵0.7)
4,057
(▵7.1)
무역수지
462
440
903
482
417
898


 ㅇ 분기별 수출이 뚜렷한 회복세를 시현하고, 4분기 총 수출액 및 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은 ‘14.4분기 이후 2년만에 증가 전환(+1.9%)


< 분기별 수출입증감률 추이(%) >

< 분기별 일평균 수출액 및 증감률 >



2. 품목별․지역별 수출 동향

□ (주력품목) 컴퓨터를 제외한 대부분 주력품목 연간 수출 감소하였으나, 반도체․석유화학․일반기계 등 7개 품목* 4분기 수출이 증가

  * 7개 품목 4분기 수출증감률(%) : (컴퓨터)12.5, (반도체)10.7, (석유화학)9.2, (일반기계)6.0, (석유제품)4.3, (철강)3.4, (평판DP)2.7

* 연간 수출증감율(%) : (컴퓨터)8.3, (반도체)▵1.3, (일반기계)▵3.0, (석유화학)▵4.3, (차부품)▵4.4, (섬유)▵4.6, (철강)▵5.5, (무선통신기기)▵9.1, (가전)▵11.7, (자동차)▵12.5, (선박)▵14.4, (평판DP)▵15.6, (석유제품)▵17.5


□ (유망품목) 화장품․의약품 등 5대 유망소비재, OLED․SSD 등 신규 유망품목 수출은 큰 폭으로 성장(5대 유망소비재 : 13.6%↑)


* 연간 수출증감율(%) : (화장품)43.3, (의약품)19.7, (농수산식품)7.0, (생활용품)6.1, (패션의류)5.2, (OLED)19.4, (SSD)7.7


□ (지역별) 베트남을 제외한 주요 지역으로의 연간 수출은 감소하였으나, 對일본․베트남․아세안․EU․중동․CIS 4분기 수출은 증가*

  * 4분기 수출증감률(%) : (베트남)34.2, (CIS)13.8, (아세안)12.6, (중동)4.9, (일본)6.1, (EU)1.3


* 연간 수출증감율(%) : 베트남17.6  아세안△0.4  EU△2.9  CIS▵2.6  인도△3.6일본△4.8  미국△4.8  중국△9.2  중동△13.8   중남미△17.1


3. 수입 동향

□ 소비재 수입 증가에도 불구, 총 수입의 약 50%를 차지하는 원자재 수입이 유가하락 등으로 큰 폭으로 감소해 연간 총 수입 감소(▵7.1%)

  * 연간 수입증감률(%) : (원자재)▵13.0, (자본재)▵2.3, (소비재)1.5

 ㅇ 다만, 4분기 수입은 원자재․자본재․소비재 모두 증가로 회복세

  * 4분기 수입증감률(%) : (원자재)3.7, (자본재)3.7, (소비재)3.1

4. 특징 및 평가

□ ‘16년 연간 수출은 세계경제․교역 둔화, 주력품목 단가하락, 자동차 파업 및 신형 스마트폰 단종 등으로 감소하였으나, 분기별 증감률은 지속 개선

   * (세계경제성장률)‘15년:3.2→’16년:3.1% (세계 주요 70개국 교역) ‘16.1-10월 ▵4.1%
   * 분기별 증감률(%) : (‘16.1Q)▵13.6→(2Q)▵6.7→(3Q)▵5.0→(4Q)+1.9

 ㅇ 무선통신기기를 제외한 12개 주력품목의 하반기 수출이 상반기 대비 개선

    * 수출실적(’16.상→’16.하, %) : 컴퓨터(△1.0→17.9), 반도체(△7.4→4.7), 일반기계(△7.8→2.4), 석유화학(△11.0→2.7), 무선통신기기(0.5→△16.8)

□ 수출 주체․품목․방식 혁신으로 대기업·일부 주력품목에 편중된 수출구조가 중소·중견기업, 소비재 등 유망품목, 온라인 수출 등으로 다변화

    * 1-12월 유망소비재 수출 14.3%↑, 3Q 누계 온라인 수출 92%↑(1.6조원), 중소중견기업 비중 전년대비 1.6%p 증가(‘15년:35.9→’16.1-11월:37.5)

2017년 수출입 전망


세계 경기 개선, 주력품목 수요 회복 등으로 수출 2.9% 증가 전망


□ ('17년 무역여건) 세계경제․교역 성장률 개선, 유가 상승, 반도체․디스플레이․석유화학 등 주력품목 수요 개선 전망

   * ‘16→’17년 성장률 전망(%) : (세계경제:IMF)3.1→3.4, (세계교역:IMF)2.3→3.8
   * 두바이유 유가 전망($/B) :(‘16년)41.41 →(’17년)50~55

 ㅇ 다만,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 제고 및 해외생산확대 등 구조적 수출 감소요인 지속으로 하방리스크 상존

   * 중국의 중간재 현지조달률(%) : (‘05년)34.2 → ('15년)44.0 → ('16.1-10월)44.6
   * 해외생산비율(%, ‘15년) : (가전)77.6, (디스플레이)57.3, (자동차)40.2

□ 2017년 전망 (수출 2.9%↑, 수입 7.2%↑, 무역수지 750억 달러 흑자)


 '17년 수출 전년대비 2.9% 증가(5,100억달러), 수입 7.2% 증가(4,350억달러), 무역수지 750억달러 흑자 달성 전망

   * 전제조건 : 세계경제성장률 3.4%, 세계교역성장률 3.8%, 두바이유가 $52.5/B


 (수출) 미국 및 신흥국 중심 경기회복에 따른 세계경제․교역 소폭 성장, 주력품목 단가상승 및 수요회복 등으로 2.9% 성장

   * ‘16→’17년 경제성장률 전망(%,IMF) : (美)1.6→2.2, (브라질)▵3.3→0.5, (러시아)▵0.8→1.1

 ① (주력품목) 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무선통신기기 등 IT 제품군과 석유화학․석유제품․철강 등 소재산업군이 수출 증가를 견인

  ㅇ (호조품목 : 5% 이상) 디스플레이(OLED 수요 확대), 컴퓨터(SSD 수요 확대), 석유제품․석유화학(단가상승, 신증설 설비 가동)
  ㅇ (양호품목 : 2~5%) 반도체(탑재 용량 증가, NAND 생산 증가), 철강(단가상승, 신흥국 수요증가), 무선통신기기(전략 스마트폰 수요 회복)

  ㅇ (보합품목 : 0~2%) 일반기계(자동차․조선 등 수요업종 성장 정체), 자동차․차부품(美 금리인상에 따른 신차수요 감소, 해외생산 확대), 가전(글로벌 수요 정체), 섬유(글로벌 경쟁심화)

  ㅇ (감소품목 : 0% 미만) 선박(수주잔량 감소)

 ② (유망품목) 5대 유망소비재, OLED․SSD 수출 호조 지속

  ㅇ (5대 유망소비재) 화장품․의약품 중심 수출 호조 지속

   - (화장품) 최대시장인 중화권 수출 증가세 지속, 브랜드 인지도가 강화 되면서 미국․유럽으로의 수출도 증가 전망(20% 이상)

   - (의약품) ‘16년 미국․유럽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바이오시밀러(바이오 의약품의 복제약) 수출 본격화, 신흥국向 개량신약 수출 확대(10% 이상)

  ㅇ (OLED․SSD) OLED․SSD는 기업의 선제적 투자,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에 따른 기술경쟁력 우위로 수출 호조 지속 전망

   - 스마트폰․TV용 수요확대*(OLED), 글로벌 수요 증가 및 신제품 양산**(SSD) 등으로 수출 지속 확대(OLED:20% 이상, SSD:10% 이상)

      * OLED가 채용된 애플의 아이폰8이 하반기 출시 예정
     ** SSD 글로벌 수요전망(억달러) : (`16)138→(`17)188

 (수입) 유가상승 영향으로 원자재 수입 증가 전환, 수출 회복에 따른 수출용 원․부자재 수요도 확대 등으로 7.2% 증가 전망

   * 두바이유가 전망($/B) : ('16년)41.41 →(‘17년)50~55
   * 수입유발계수(‘14년 가격기준) : (민간소비)0.24, (민간투자)0.35, (수출)0.42

별첨

주요 품목별·지역별 수출 전망


< 품목별 수출 전망>

품목명
기상도
수출여건
석유제품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제품단가 상승, 中 등 정제능력 향상에 따른 역내경쟁심화로 스프레드는 축소
* ‘16→’17년 예상단가($/B) : (수출단가)50→57.5, (스프레드)9→5
석유화학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제품단가 상승, 주요업체의 신증설 설비 가동에 따른 물량 증가
* 수출단가($/톤, 전년비 %) : (’16e)1,062 (△1.1) → (’17e) 1,134 (8.7)
컴퓨터

PC용·서버용 SSD 수요 확대 지속, 세계 최초 64단 SSD 양산(2분기) 등 기술우위 유지
* 글로벌 SSD 시장 전망(억달러) : (`15)128 → (`16e)138 → (`17e)188
평판DP

OLED 채용 스마트폰·TV 수요 확대, LCD 가격 상승
* 글로벌 OLED 출하량 전망(백만개) : [모바일](’16)384→(’17)477
* LCD 평균 가격 전망($): [TV]('16)120 → ('17)128
반도체

스마트폰․PC 탑재 용량 증가, NAND 투자 확대에 따른 생산량 증가, 가격 안정세 전망
* D램 가격 전망(16Gb, $): (’17.1Q)2.30→(2Q)2.20→(3Q)2.15→(4Q)2.00
철강

원료가격 상승에 따른 철강재 단가 상승, 보호무역 등으로 물량은 ‘16년 수준 보합
* 철강재 수출단가(US$/톤) : ('16e) 722 → ('17f) 750(3.9%↑)
무선통신기기

글로벌시장 소폭 성장, 신규 전략 스마트폰 출시(갤럭시S8, G6), 듀얼 카메라 등 고사양 부품 수요 확대
* 스마트폰 시장 성장률 전망 : (`16e)3.2% → (`17e)6.3%e
일반기계

EU․일본 시장 회복세 유지, 자동차․조선 등 공작기계 수요업종 경기 부진, 中 로컬업체와 경쟁심화 등은 부정적
자동차

미 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주요시장인 미․유럽 자동차 시장 성장 정체, 멕시코․중국 등 해외생산 확대
* ‘17년 자동차 시장 전망(만대) : (미국)1,742(▵0.2%), (유럽)1,530(+1.0%)
차부품

자동차 시장 성장 정체에 따른 수요 부진은 부정적, 멕시코․중국 등 우리기업 현지생산확대는 수요 증가 요인
가전

신흥시장의 중저가 제품 수요는 감소, 대형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선진국 수요는 증가, 해외생산확대는 제약요인
* 글로벌 TV 성장률(‘16→’17년,%) : (50“ 미만)△7.1→△0.9, (50“ 이상)21.0 →10.4
섬유

바이어 가격 인하 압력으로 수출단가 하락, ‘16년 증설시설의 생산본격화로 화섬제품 중심 수출물량은 소폭 증가
선박

최근 2년간 신주 수주 감소에 따른 수주잔량 감소, 해양플랜드 인도지연 및 계약취소 가능성 존재
* 한국 수주잔량(백만CGT) : ('14년)34.3 → ('15년)31.2 → (‘16.11월)21.5

 ※  5% 이상 증가,  2∼5% 증가,  0∼2% 증가,  감소
< 지역별 수출 전망>

지역
기상도
증감요인
중국

본격적 중속 성장시대 진입, 산업 구조조정을 통한 자국산 제품 경쟁력 향상 및 자급률 제고 지속, 한-중 FTA를 활용한 시장 진출 기회 확대 전망
북미

미국 경제의 온건한 회복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新정부의 인프라 투자, 규제 완화 등 제조업 활성화 노력과 달러 강세 유지 등으로 수출 기회 확대 전망
일본

경기부양책(28.1조엔), 소비세 인상 연기(‘17.4→’19.10월) 등으로 경기가 소폭 개선될 전망이나, 0%대 낮은 성장률 지속
아세안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다국적 기업 투자․생산 위축이 우려되나,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본격화, 소비재 시장 성장에 따라 수출 기회 확대 전망
EU

ECB의 양적완화에 힘입은 EU 회원국의 경기회복세 지속, 현지 기업의 원가절감 위한 아시아 등으로 수입선 다변화 등은 긍정적, 유로화 약세 및 브렉시트 등은 하방요인
중동

유가 회복에 따른 경기개선 기대, 소비재 시장 확대 및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가격 경쟁력 상승 전망
중남미

중남미 국내 정치 혼란 감소, 원자재 가격 회복 등으로 경제회복에 우호적 여건이 조성, 중남미 국가들과의 FTA 체결 확대로 우리나라의 수출여건 개선
CIS

CIS 지역 전반의 경기회복이 전망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 확대 기대
인도

’17년에도 7%대의 고속 성장 예상, 조세개혁으로 기업환경 개선 등 우호적 수출 여건 조성
아프리카

남아공‧나이지리아 등 일부 국가의 금융안정성 저하에도 불구, 주요국의 제조업 기반 확충, 인프라 개발 등 기회요인 존재


 *  5% 이상 증가,  3∼5% 증가,  0∼3% 증가,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