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인터넷공시 안내
등록일2016-11-30 담당부서혁신기업디자인팀
첨부파일 [안내문]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인터넷공시 안내.hwp
1.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
신규후보과제_품목지정_글로벌기업육성.hwp
2.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
신규후보과제_BI연계형_글로벌기업육성.hwp
3.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
신규후보과제_품목지정_디자인전문기술.hwp
4.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
신규후보과제_품목지정_차세대디자인핵심.hwp
5.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
신규후보과제_품목지정_서비스디자인기반.hwp
[붙임1_서식]
인터넷공시 의견작성 양식.hwp
신규후보과제 인터넷공시 안내
-
- 【공시 내용】
- □
공시기간 : '16. 11. 30(수) ~ 12. 13(화) 18:00시까지 (14일간)
- □ 대상과제 :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46개
대상과제 내역사업 품목지정 비고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18BI연계형 9개 포함디자인전문기술개발11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5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12계46- □ 공시 및 의견수렴방법 : KEIT 및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를 통한 전자공시 및 공시기간 내 의견수렴
- □ 대상과제 :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46개
-
- 【인터넷공시 의견등록 및 유의사항】
- ① 산업기술지원 사이트(http://itech.keit.re.kr)에 접속하여, 회원 로그인
- ※ 회원이 아닌 경우, 신규 회원가입 후 의견등록 가능
- ② 화면 상단의 주요 메뉴 중 ‘온라인 사업관리’ 선택
- ③ 화면좌측의 '인터넷공시 의견등록' 클릭
- → 접수가능 목록에서 양식의 ‘파일’ 버튼을 클릭하고, 파일(hwp형식)을 다운로드한 후 내용 확인
→ 우측 접수의 ‘신청’ 버튼 클릭- ※ 필요시 “매뉴얼보기”를 눌러 사용자매뉴얼 참조
- ④ 안내문의 내용을 숙지 후 '신규등록' 버튼 클릭
- ⑤ 1. [제출대상공고]의 인적사항 등록(기존 가입정보 확인, 필요시 수정가능)
- ⑥ 2. [의견등록]의 우측 ‘RFP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 후 전체목록을 다운로드 받은 후, 관심 기술분야의 과제 검색
- ⑦ 3. [의견등록]의 과제목록을 확인하고, 특정과제의 의견 작성을 위해 해당 과제명 우측 '의견첨부' 버튼 클릭
- ⑧ 4. [과제의견(50자 이상 1,200자 이내)]을 입력하고, 필요시 부가의견 [파일]을 첨부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
- ⑨ 내용등록이 완료되었다면 ‘접수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최종제출
- ⑩ 공시기간 내 상기의 전산등록을 통해 접수완료·제출된 의견 활용
- (전산등록 이외에 우편, 이메일, 직접방문 등의 제출·접수는 불가하며, '16.12.13(화), 18:00시에 전산등록이
마감됩니다.)- ※ 개인별 의견등록 과제수 제한은 없으며, 다수의 신규후보과제에 대한 의견제출 가능
- ※ 회원이 아닌 경우, 신규 회원가입 후 의견등록 가능
-
- 【향후 일정】
- □
'16. 12월말 : 신규지원과제 공고 예정
-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문의처】
- □
총괄문의(일정 등) : 혁신기업디자인팀 053-718-8223 / neored@keit.re.kr
- □ 전산(itech.keit.re.kr)등록 관련 : R&D 상담 콜센터 1544-6633
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인터넷공시 안내
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품목)에 대한 산학연 전문가 의견 수렴
[ 공시 내용 ]
□ 공시기간 : '16. 11. 30(수) ~ 12. 13(화) 18:00시까지 (14일간)
□ 대상과제 :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46개
내역사업
품목지정
비고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
18
BI연계형 9개 포함
디자인전문기술개발
11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
5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
12
계
46
□ 공시 및 의견수렴방법 : KEIT 및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를 통한 전자공시 및 공시기간 내 의견수렴
[ 인터넷공시 의견등록 및 유의사항 ]
① 산업기술지원 사이트(http://itech.keit.re.kr)에 접속하여, 회원 로그인
※ 회원이 아닌 경우, 신규 회원가입 후 의견등록 가능
② 화면 상단의 주요 메뉴 중 ‘온라인 사업관리’ 선택
③ 화면좌측의 '인터넷공시 의견등록' 클릭 → 접수가능 목록에서 양식의 ‘파일’ 버튼을 클릭하고, 파일(hwp형식)을 다운로드한 후 내용 확인→ 우측 접수의 ‘신청’ 버튼 클릭
※ 필요시 “매뉴얼보기”를 눌러 사용자매뉴얼 참조
④ 안내문의 내용을 숙지 후 '신규등록' 버튼 클릭
⑤ 1. [제출대상공고]의 인적사항 등록(기존 가입정보 확인, 필요시 수정가능)
⑥ 2. [의견등록]의 우측 ‘RFP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 후 전체목록을 다운로드 받은 후, 관심 기술분야의 과제 검색
⑦ 3. [의견등록]의 과제목록을 확인하고, 특정과제의 의견 작성을 위해 해당 과제명 우측 '의견첨부' 버튼 클릭
⑧ 4. [과제의견(50자 이상 1,200자 이내)]을 입력하고, 필요시 부가의견
[파일]을 첨부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
⑨ 내용등록이 완료되었다면 ‘접수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최종제출
⑩ 공시기간 내 상기의 전산등록을 통해 접수완료·제출된 의견 활용
(전산등록 이외에 우편, 이메일, 직접방문 등의 제출·접수는 불가하며, '16.12.13(화), 18:00시에 전산등록이 마감됩니다.)
※ 개인별 의견등록 과제수 제한은 없으며, 다수의 신규후보과제에 대한 의견제출 가능
[ 향후 일정 ]
□ '16. 12월말 : 신규지원과제 공고 예정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문의처 ]
□ 총괄문의(일정 등) : 혁신기업디자인팀 053-718-8223
□ 전산(itech.keit.re.kr)등록 관련 : R&D 상담 콜센터 1544-6633
[ 첨부 ] 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품목) 목록
1.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 신규후보과제_품목지정
2.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 신규후보과제_품목지정[BI연계형]
3. 디자인전문기술개발 신규후보과제_품목지정
4.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 신규후보과제_품목지정
5.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 신규후보과제_품목지정
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인터넷 공시]
내역 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
세부 분야
품목지정
신규 예산
1,500백만원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 신규후보과제 품목지정 리스트]
사업
품목명
지원기간
지원금액
글로벌 1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스마트홈 기반 보안ㆍ방범제품 감성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2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어린이를 위한 스마트 안전제품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3
헬스케어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생체 및 건강정보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4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1~2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정수기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5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 홈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6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사용자경험 중심 고효율 냉난방기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7
생활산업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새로운 구조의 워킹화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8
생활산업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한국 고유의 색채, 소재, 마감처리 등의 기법 활용 제품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9
운송기기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인체맞춤형 경량 휠체어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
품목명
(1)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스마트홈 기반 보안ㆍ방범제품 감성디자인 개발
개념
o 사용자 감성을 반영한 생활맞춤형 가정용 보안카메라가 융합된 제품과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개발
o 스마트홈의 감성 UX를 제공하기 위해 보안카메라를 기반으로 사용자 환경의 네트워크와 센싱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환경을 조성함
o 향후 만물인터넷 시대에 맞춤형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시스템이 필요하며 상시 전원과 네트워킹이 가능한 IP카메라 기반 제품
지원범위
o 스마트홈 보안·방범 기반 근 미래 라이프스타일 시나리오 개발
o 가정 내 제품-사용자간 인터랙션 콘텐츠 개발
o 신개념 스마트홈 기반의 보안·방범 관련 사용성 고도화를 위한 구성제품
통합디자인 개발
o UX중심 제품디자인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시제품 개발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및 사용성 검증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자체UX 디자인 연구 프로세스 확립을 통해 새로운 용처개발에 대한 방법론 제시
o 감성 UX 개발을 위해서는 근 미래 스마트홈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개발과 디자인기술을 중심으로 다학제적 접근 역량(스마트홈 중심으로 기재 필요) 확보
o ICT융합 및 스마트홈 산업(기술)과 관련된 역량강화 방안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CCTV시장은 정체되는 반면, IoT융합 지능형 보안제품시장은 2018년까지 연평균 20.6%씩 성장, 2018년에는 전체 CCTV의 65%를 차지할 전망(IHS(舊 IMS 리서치)
o 글로벌 기업들의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카메라 융합형 감성 제품 출시 잇따름. 따라서 사용자 감성 기반의 생활 밀착형 스마트 방범·보안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통한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입이 필요
o 국내는 스마트홈 인프라가 풍부하고, 사용자들의 지능형 서비스 인식과 경험이 타 국가에 비해 높은 편으로 국내시장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한다면 조기에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
품목명
(2)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어린이를 위한
스마트 안전제품 디자인 개발
개념
o 우천/통학/놀이터 등에서 활동 시 착용하는 우산/의류/가방/신발 등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에 IoT, 센싱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안전제품
o 어린이를 위한 스마트 안전제품 개발의 필요성
- 어린이들의 야외 활동이나 통학 시 사고율이 타 OECD국가에 비해 높음
- 어린이들은 어른에 비해서 주위 차량이나 환경 등에 대해서 조심성 및 자기 방어능력이 부족하므로 IoT, 센싱 기술을 활용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장치가 필요
지원범위
o 사용 환경에 따른 제품별 사용성 및 관련기술 트렌드 분석
o 사용자(어린이) 특성을 고려한 ICT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과 시제품* 개발
o 어린이 기반,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및 사용성 검증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어린이 안전제품 개발을 위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어린이 및 안전제품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어린이 안전 용품 분야에서 전문 디자인 기업으로서 역량 확보
- 사용자(어린이) 행동특성 및 국내외 트렌드를 고려한 디자인 역량 구축
- ICT기술과 디자인 융합 기반의 어린이 특화 전문 디자인 역량 구축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어린이 용품은 창의적 디자인 관여도가 높은 분야로서 디자인 역량이 우수한 국내디자인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높음
o ICT기술(IoT 등)은 국내 기업의 경쟁력이 높아 융합·연계할 경우 해외시장 경쟁력이 있음
o 어린이용품 시장은 중국 등 해외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어, 신시장 창출 가능성 높음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
품목명
(3) 헬스케어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생체 및 건강정보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개념
o IT기술과 Medical기술을 활용한 신체 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o 몸의 생체정보, 특정 건강정보들을 수집, 센싱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알려줌으로서 예방 의학, 진단 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지원범위
o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형 기술개발
o IT기술과 Medical기술을 활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및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역량 확보
o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ICT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및 사용성 검증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어린이 안전제품 개발을 위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어린이 및 안전제품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의료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 관련 기술 기반의 특화 디자인 지향
o 의료기기 및 ICT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전문가형 진단기기나 거치 또는 이동형 진단기기와 달리 새로운 개념의 신체부착형 진단기기로 신시장 창출 및 글로벌 경쟁력 확대 기대
o IT기술-Medical기술 융합에 디자인 특화를 통한 신개념 디바이스는 글로벌 시장 경쟁력 높음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
품목명
(4)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1~2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정수기 디자인 개발
개념
o 1인 ~ 2인 가구 증가에 의한 콤팩트 제품이 빠르게 확산됨
o 공간 절약형 정수기의 성장기 시장 진입에 의한 제품 고도화 필요
o 정수기의 스마트화 대두에 따른 신 콘셉트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지원범위
o 1-2인 가구 정수기의 사용 시나리오 개발에 의한 UX디자인
o 제품의 효율적 Maintenance를 위한 구조 개발
o 신개념의 정수기 비즈니스 모델 개발
o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ICT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국내 중소·중견의 정수기 포화시장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필요
o 국내와 중국 등 1-2인 가구의 증가로 소형 정수기 시장의 증가 예상
o 청정산업 및 ICT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1-2인 가구를 위한 국내 정수기 시장은 확산되고 있음
o 반면 중국 등 주요 수출대상국은 아직 소형화, 스마트화에 대한 이해도가 낮으며 정수기 제품에 대한 니즈는 미비하나,
o 글로벌 트렌드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추세
o 따라서 단일 품목으로 디자인과 스마트를 결합한 고도화 제품으로 차별화할 경우 향후, 글로벌 시장 선점의 가능성 높음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
품목명
(5)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 홈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개념
o 에너지 소비 분석으로 에너지 절약 시나리오 모델 분석
o 다양한 기기의 제어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지원범위
o 에너지 소비 측정 및 관리형 통합 제어기기 개발
- 가전, 전열, 에어컨 등 에너지 소비 측정과 제어 모듈 및 디바이스 개발
o 에너지 사용 분석/절약 시나리오 모델 개발
- 가정용 에너지 사용 분석 모델 개발
- 에너지 사용 분석 모델별 에너지 절약 시나리오 모델 개발
- 에너지 절약 기반 신비즈니스 모델 개발
o 사용자 특성 및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ICT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및 빅테이터 관련 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에너지산업 및 ICT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o 빅테이터 기반의 기업과 연계 신비즈니스 모델 특화 개발 전문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선진국의 경우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
o 홈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서비스 및 기술 강화를 통해 Global Smart Grid 사업과 연계
o IT와 에너지 산업 분야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홈 에너지 관리시스템 개발을 통해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제공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
품목명
(6)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사용자경험 중심
고효율 냉난방기 디자인 개발
개념
o 기후환경 변화 및 친환경 수요 증가를 고려한 사용자경험 중심의 고효율 냉·난방기 개발
o 사용성과 안전성이 높으며 실내 거주환경 및 기기의 사용환경과 어울리는 디자인 개발
지원범위
o 사용자경험(UX)을 중심으로 한 고효율 냉/난방기 디자인 및 제품 개발
- 냉방기 또는 난방기 개발
- 고효율 난방·냉방 소재 적용 고려 (예시: 탄소 튜브 등)
o 사용자 특성 및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고효율 소재 등 기술과 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라이프스타일 반영 및 소재기술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냉난방기기 분야의 기술동향 이해와 디자인을 융합한 특화 역량 전문화
o 고효율 소재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중소기업의 제품이 주를 이루는 소비자용 난방기 및 냉방기는 우수한 기능 확보와 트렌디 한 외관 디자인 개발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충분히 국내 및 국외 시장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
품목명
(7) 생활산업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새로운 구조의
워킹화 디자인 개발
개념
o 아웃솔(outsole)/인솔(insole)/미드솔(midsole) 등에 신기술/구조/소재 등을 적용한 새로운 개념의 워킹화
- 경쟁제품들과 차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구조/소재가 적용된 워킹화
- 일상생활에서 편안함과 활동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워킹화
- 사용자 경험 혁신을 통해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워킹화
지원범위
o 워킹화 사용자 분석에 따른 UX 시나리오 개발
o UX 시나리오에 최적화된 신기술/구조/소재 적용 디자인 개발
o 시장동향 및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신소재, 신구조 등 기술과 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라이프스타일 반영 및 소재기술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신발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진흥센터는 2015년 국내 워킹화 시장을 1조 5000억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음. 2005년 시장규모 500억원에서 10년만에 30배 성장 함
o 시장의 대부분은 글로벌 스포츠브랜드 또는 아웃도어 브랜드들이 장악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시장점유율은 미미한 수준 임
o 신발 분야의 기술동향 이해와 디자인을 융합한 특화 역량 전문화
o 신소재/신구조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일상생활에서의 편안함과 활동성을 중시하는 고소득계층이 늘어감에 따라 워킹화 시장은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 됨
o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나 아웃도어 브랜드업체들은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국내 신발 제조들에게 OEM/ODM을 통해 제품을 공급받고 있음
o 따라서 국내 신발제조업체들 중 자체 브랜드를 개발/판매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고 우수한 기술력과 신개념 디자인 개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
품목명
(8) 생활산업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한국 고유의 색채, 소재, 마감처리 등의 기법 활용 제품 디자인 개발
개념
o 한국의 색채/소재/마감처리 등 전통 기법과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고급감 등)를 특화시킨 제품 디자인 개발
(예시 : 옻칠 등 전통과 현대 조합의 디바이스 개발)
지원범위
o 한국 고유의 색채, 소재, 마감처리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글로벌경쟁력을
갖춘 고품질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 초경량 신소재, 초정밀 기술(장인 활용 등) 등이 적용된 독창적이며
프리미엄화가 가능한 제품
o 한국 고유의 색채, 소재, 마감처리 기법·기술과 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라이프스타일 반영 및 수고재기술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고유의 색채, 소재, 마감처리 등의 기법 보유 기업 및 제조기업 참여 필수 (참여기관)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새로운 소재의 개발
- 산업체와 공예 분야의 새로운 활용성과 디자인 영역의 확장
o 고유의 색채, 소재, 마감처리 기법·기술 이해와 디자인을 융합한 특화 역량
전문화
o 고유의 색채, 소재, 마감처리 기법·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특화 기법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고유의 색채, 소재, 마감처리 기법은 글로벌 경쟁력이 있어, 제조기업과 연계한 고급소비재에 창의적 디자인 통해 신시장 창출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
품목명
(9) 운송기기 특화 디자인역량 강화 및 인체맞춤형 경량 휠체어 디자인 개발
개념
o 휠체어의 부품소재 고강도·경량화 및 인체맞춤형 혁신적 디자인 개발
o 장애인 탑승자의 안전성 확보와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휠체어 디자인 개발
지원범위
o 프레임, 휠, 등받이 등 차체를 구성하는 부품소재에 고강도/경량화 극대화
o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시트 및 등받이 높이 및 시트 폭 등의 조절이 가능한 인체공학적설계를 적용한 디자인 개발
o UX 시나리오에 최적화된 신기술/구조/소재 적용 디자인 개발
o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신소재/구조 융합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장애인 이해 기반, 소재/구조기술-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장애인 및 이동기구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의료기기 휠체어 디자인기술 전문화 역량강화
o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축소하여, 선진국이 장악하고 있는 재활의료기기의 고부가가치시장 개척이 가능하도록 디자인기술의 강화가 요구됨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초경량 고강도 휠체어의 국산화를 통해 국내외 휠체어 시장의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입 제품 대비 동등 성능 및 낮은 판매가격의 이점 등으로 인해 국내외 신 시장 창출 가능
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인터넷 공시]
내역 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
세부 분야
품목지정[BI연계형]
신규 예산
600백만원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 신규후보과제 품목지정[BI연계형] 리스트]
사업
품목명
지원기간
지원금액
글로벌
BI_1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어린이 발달을 위한 AR콘텐츠 기반 제품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0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BI_ 2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스마트 소형가전 제품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0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BI_3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1~2인 가구용 공기청정기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0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BI_4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스마트홈 기반 IoT융합 주방제품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0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BI_5
운송기기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실버세대 퍼스널 모빌리티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0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BI_6
ICT기술/운송기기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스마트 유모차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0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BI_7
생활산업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레저ㆍ스포츠용 안전보호용구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0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BI_8
헬스케어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실버세대를 위한 헬스케어 용품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00백만원 이내/년
글로벌
BI_9
헬스케어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자세 교정용 운동 및 재활 기기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00백만원 이내/년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BI연계형]
품목명
(BI_1)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어린이 발달을 위한 AR콘텐츠 기반 제품디자인 개발
개념
o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적용한 조립식 모듈 놀이제품과 이를 활용한 놀이·학습 프로그램 개발
- 기존의 아날로그 모듈식 구성놀이에 어린이 친화 캐릭터 등을 입체영상, 음향, 촉감 등 다감각 인터랙션을 활용한 놀이 프로그램 및 제품
지원범위
o 교육적 놀이형 증강현실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 놀이교구·완구와 연계될 수 있는 스토리텔링 개발
o 실내외 구성놀이가 가능한 플레이형 모듈 디자인
- 모듈 놀이완구·교구와 연계되는 AR 콘텐츠 적용 방법 개발
- 어린이 신체 발달을 도와줄 수 있고 협동놀이를 고려한 모듈 디자인 개발
- 연령별 신체적, 인지적, 감성적 특성을 고려한 놀이 프로그램 개발
o 어린이 및 놀이행동 특성고려한 ICT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어린이 특성을 반영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 어린이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역량강화 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어린이 완구 및 교육컨텐츠 개발 능력 보유
o 어린이 완구 디자인 전문 기업으로서의 역량 필요
o AR기술 보유 또는 협력기업과의 기술 개발 방안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아날로그 완구·교구시장을 IT 놀이 제품 및 서비스 시장으로 확대
- 캐릭터 콘텐츠, 모듈 완구·교구시장, 서비스 프로그램 시장, 증강현실 디바이스 시장 등 각 분야의 시너지 창출 가능
o 캐릭터 콘텐츠 융합과 확장으로 완구시장과 교구 시장 함께 진출 가능
o 엔젤시장 중 어린이 완구·교구 서비스 시장은 양보다 품질·다양성에 기반을 둔 롱테일(Long tail) 시장이 적합함. 특히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틈새시장 전략의 성공 가능성 높음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BI연계형]
품목명
(BI_2)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스마트 소형가전 제품
디자인 개발
개념
o 1인~2인 가구 등 소가족 가구의 증가 등 사회 환경의 변화에 필요한 새로운 개념의 소형 가전제품 또는 제품군 디자인 개발
o 사용자 중심으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에 창의적 편리성을 가질 수 있는
소형가전 제품을 개발, 가치를 제고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부여하는 디자인
개발
지원범위
o 사용성 및 기능성을 차별화하기 위한 사용 환경 또는 라이프스타일 분석
o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부여하는 사용성 또는 새로운 기능성을 가진 디자인 개발
o 신개념의 소형가전제품 비즈니스 모델 개발
o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ICT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 소단위 가구 라이프스타일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역량강화 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사용성 및 라이프스타일 탐구로 독창적인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제품 개발과 제품군 확대 등 디자인기업 전문화
o 소형가전제품의 시장동향 및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ICT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고 사용성 및 기능성이 차별화되는 독창적인 제품디자인인 경우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매김 가능함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BI연계형]
품목명
(BI_3)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1~2인 가구용 공기청정기 디자인 개발
개념
o 1∼2인 가구의 공간적 특성, 사용자 특성에 맞는 제품 디자인 개발
o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 증가로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o 1∼2인 가구의 사용환경 및 사용자 특성에 맞도록 사용자경험(UX)을 중심으로 한 공기청정기 개발
지원범위
o 사용자경험을 중심으로 한 1∼2인 가구용 공기청정기 디자인 개발
- 1∼2인 가구의 협소한 공간특성을 최대한 고려한 방식 개발 (예시: 스탠드 및 벽걸이 또는 창문부착 겸용 / 기존 가구와 융합 등)
o 신개념의 공기청정기 비즈니스 모델 개발
o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ICT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 청정 기능 디바이스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역량강화 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청정기능 가전제품의 시장동향 및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ICT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 빠르게 변화하는 사용자 환경에 맞는 창의적 제품개발이 필요한 영역으로 중소기업에게 적합한 시장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국내 및 중국에서 중금속 및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문제가 계속 심해지고 있으므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o 공기청정기에 필요한 관련한 필터 및 전자제어 기술 및 가전제품 영역에서 디자인 기술력이 뛰어나므로 중국 등 신흥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됨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BI연계형]
품목명
(BI_4) ICT기술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스마트홈 기반 IoT융합 주방제품 디자인 개발
개념
o IoT융합 스마트 주방 제품은 가구와 디바이스(기기)로 구분되며 그 중 디바이스의 경우 요리 행위와 관련된 스마트 기능, 건강 지원과 관련된 스마트 기능 등 다양한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음. 가구의 경우 가구와 IT기기와의 융합을 통해 확장된 개념의 주방 가구가 스마트화 되고 있음
지원범위
o 스마트 주방 제품 (가구 or 디바이스) 영역의 신상품군 기획(시나리오 개발)
o 신개념의 스마트홈 기반 주방제품 비즈니스 모델 개발
o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ICT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 스마트 주방제품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역량강화 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스마트 홈 기반의 주방제품 신시장 창출을 고려한 기술융합 디자인전문기업 특화역량 강화 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필요
o 주방제품의 시장동향 및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ICT 기술 융합의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미국 가정의 스마트홈 시스템 점유율은 2014년 17%에서 2019년 38%까지, 영국 가정의 경우에는 2014년 11%에서 2019년 27%까지 높아질 전망
o 스마트 주방기기의 경우 시장 환경이 불투명하여 선행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며 따라서 향후 2-3년, 집중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디자인 및 기술이 확보 된다면 스마트홈과 맞물려 선진 시장 진입으로의 가능성 제고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BI연계형]
품목명
(BI_5) 운송기기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실버세대 퍼스널 모빌리티 디자인 개발
개념
o 실버세대 맞춤형 안전운송 퍼스널 모빌리티 디자인개발
-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 충족형 제품의 개발
※ 퍼스널 모빌리티 : 전기 충전 및 동력 기술이 융합된 개인 이동수단으로 세그웨이, 전동 휠, 전동 퀵보드, 전기자전거 등이 대표적인 퍼스널 모빌리티임
지원범위
o 노인의 안전한 운송수단제공 및 편의장치구성 제품디자인기술을 개발함(예시: 운송보호장치, 안전 시트, 비상상황 타이어쏠림예방기능 등)
- 대부분의 제품들이 건강한 성인이 이용하기 편한 제품이고,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세대를 위한 용도목적형 제품의 개발은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실버세대의 사용자경험 충족형 제품 디자인 개발
o 신개념의 실버세대 대상 퍼스널 모빌리티 비즈니스 모델 개발
o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기술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예시: 실버용 전동카트 등)
o UX/UI 기반, 기술-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사용자 및 운송기기 특성을 반영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 퍼스널 모빌리티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역량강화 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실버세대 특성 이해와 운송기기 기술융합을 기반으로하는 디자인전문기업 특화역량 강화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필요
o 실버세대 특성 및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ICT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국산화를 통해 국내외 퍼스널모빌리티시장의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입 제품 대비 기능 및 사용성 향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제고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BI연계형]
품목명
(BI_6) ICT기술/운송기기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스마트 유모차 디자인 개발
개념
o 첨단 IC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유모차
- 유모차, 유아용 보행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신개념 시스템
- 첨단 ICT, IoT 기술 등을 접목시킨 스마트 제품
- 유아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품
- 보호자의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제품
-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고려한 비즈니스 모델
지원범위
o 사용행태 분석을 통한 UX 시나리오 개발
o 시나리오별 최적화 구조 및 응용 기술 연구
o 글로벌 목표시장 분석 및 특화 기술/디자인 개발
o App 알고리즘 및 UI 디자인 개발
o 사용자(보호자-유아) 특성을 고려한 ICT 융합 운송기기 디자인 개발과 시제품* 개발
- 보호자들의 다양한 사용행태 분석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구조 개발
o 보호자-어린이 기반,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및 사용성 검증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보호자-어린이 특성을 고려한 운송기기 개발을 위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ICT 및 운송기기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 스마트 유모차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역량강화 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보호자-유아 특성 이해와 유모차(운송기기) 기술융합을 기반으로하는 디자인전문기업 특화역량 강화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필요
o 라이프스타일 및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ICT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국내 유모차, 유아용 보행기 시장은 대부분 일부 글로벌 브랜드들이 장악하고 있음
o 중국은 지난 2015년 1가구 1자녀 정책을 폐지하여 유아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고, 세계적으로 고급 유모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o 세계 수준인 국내 ICT기술과 특화 디자인을 융합하여 사용성 향상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BI연계형]
품목명
(BI_7) 생활산업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레저ㆍ스포츠용 안전보호용구 디자인 개발
개념
o 레저·스포츠(자전거, 등산, 암벽, 패러글라이딩, 스카이다이빙) 산업 발전에 따른 다양한 위험상황과 부상위험이 증대되는 추세로 부상에 따른 사회적ᐧ경제적 손실 연간 수 조원 발생(예시: 국내 자전거 이용자 연간 사상자 15,789명)
o 부상 방지를 위한 레저/스포츠용으로 차별화된 스마트 안전용구 디자인
지원범위
o 레저·스포츠(자전거, 등산, 암벽, 패러글라이딩, 스카이다이빙) 등의 안전사고 조사에 따른 UX시나리오 개발
o 스마트 안전사고 예방 기능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o 스마트 안전기능 및 안전보호용구 제품디자인 기술 개발
o 사용자 상황을 고려한 기술 융합 제품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UX/UI 기반, 기술-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사용자환경 및 레저/스포츠 특성을 반영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 스마트 안전보호용구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역량강화 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레저/스포츠 특성 이해와 ICT 기술융합을 기반으로하는 디자인전문기업 특화역량 강화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필요
o 라이프스타일 및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ICT 기술 융합의 특화 디자인 역량을 확보하며, UX/UI 기반의 디자인개발 프로세스 및 전략 수립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세계적으로 능동형 안전보호용구 산업은 개발초기 단계이며, 신 시장 창출이 예상되는 산업으로 선도적 제품개발을 통해 신속한 진입이 필요한 분야
o 투자 개발비용이 높지 않아 중소기업의 특화 제품으로 발전 가능성 높음
o 고위험군 레저·스포츠 분야(모터스포츠, 암벽, 패러글라이딩, 스카이다이빙)를 포함한 일반 레저·스포츠(자전거, 등산, 스키, 수상스포츠) 분야 및 안전 용구(추락 낙상 보호용구) 등 능동형 안전보호용구 신규 시장 창출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
o 현재, 레저·스포츠 대표적 산업인 자전거 시장규모의 경우 연간 국내 174억 원 (시장 점유율 0.1%), 해외 3천3백만 달러 추정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BI연계형]
품목명
(BI_8) 헬스케어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실버세대를 위한 헬스케어 용품 디자인 개발
개념
o 실버세대의 웰니스(Wellness) 라이프를 위한 헬스케어용품으로 IT/BT/NT 등 첨단 기술이 융합된 건강관리 및 진단을 위한 시스템 및 용품
- 실버세대의 라이프스타일 분석과, 노인성 질환 유형 분석을 통한 사용자중심의 헬스케어 시스템
-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 저장, 전송해주는 모니터링 시스템
- 실내외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한 용품
- 일상적인 건강관리기능과 고령자들에게 흔히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해주는 U-care 시스템
지원범위
o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에 따른 시나리오 개발
o 개발된 시나리오에 최적화된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헬스케어, ICT-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및 사용성 검증
o 원격 진단 솔루션을 위한 알고리즘/프로그램 및 UI 디자인 개발
o 유관 신기술 동향, 관련 신제품, 디자인 트렌트에 대한 DB 구축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헬스케어 디자인 개발을 위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헬스케어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 실버세대용 헬스케어 용품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역량강화 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실버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에 대한 전문성 확보
o 헬스케어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 제품군 디자인 전문성 확보
o 실버세대, 헬스케어 관련 신 시장 창출 또는 유관 산업과의 융합 강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고령화는 세계적 현상으로 실버세대를 위한 헬스케어시장의 규모 확대
o 관련 제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
o 국내외에 “실버세대/헬스케어” 관련 제품 전문 디자인 기업 부재
o 실버세대 라이프스타일 분석 기반의 헬스케어제품 디자인 개발 특화 프로세스를 보유한 디자인 전문기업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_품목지정[BI연계형]
품목명
(BI_9) 헬스케어 특화 디자인역량강화 및
자세 교정용 운동 및 재활 기기 디자인 개발
개념
o 자세 체형 관련 의공학적 경험 및 데이터 등을 활용한 디지털 자세교정 헬스케어기기
지원범위
o 운동성 고관절 및 체형 교정 장치와 다용도적 복합교정기기 디자인 개발
o 자세교정 재활기기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헬스케어, 교정 데이터 활용 디자인 융합 특화 전략** 수립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및 사용성 검증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헬스케어 디자인 개발을 위한 특화 프로세스 및 디자인기업 역량강화 전략
***헬스케어 관련 제조기업 참여 필수(참여기관)
※ 실버세대용 헬스케어 용품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역량강화 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디자인기업
특화방향
o 자세 교정치료 기술 및 체형 자세 분야 빅데이터 활용 디자인 전문성 확보
o 헬스케어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 제품군 디자인 전문성 확보
o 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관련 신 시장 창출 또는 유관 산업과의 융합 강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 변환 관련하여 자세교정 제품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신시장 창출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예상
o 국내외에 “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관련 제품 전문 디자인 기업 부재
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인터넷 공시]
내역 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
세부 분야
품목지정
신규 예산
1,750백만원
[디자인전문기술개발 신규후보과제 품목지정 리스트]
사업
품목명
지원기간
지원금액
전문기술1
인체맞춤형 허리보조기구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2
웰니스(Wellness) 라이프를 위한 산소발생 시스템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3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한 신체 보조 및 재활기기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4
의료이력 표시 기능 스마트 약품 보관함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5
실버세대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용품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6
치과시술의 스마트化를 위한 치과 의료기기 디자인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7
모바일 디바이스용 스마트 패션제품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8
신개념 여가활동용 액티브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9
IoT 기반의 신선 물류 시스템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10
화장품 스마트 패키징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전문기술11
친환경 해양레저를 위한 전기보트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262.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350백만원 이내/년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1) 인체맞춤형 허리보조기구 디자인 개발
개념
o 허리보조기구의 부품소재 고강도·경량화 및 사용자별 인체맞춤형 디자인
- 고강도·경량화를 극대화하고, 개개인의 신체의 특성을 고려한 허리보조기구의 인체공학적 디자인 서비스 개발 필요
지원범위
o 경추기립각 및 척추기립각 등 신체자세를 고려한 허리보조기구 디자인 개발
- 허리받이, 보조프레임 등 허리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고강도·경량화 지향
-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신체착용형 허리보조기구개발, 혹은 근골격계의 이완, 수축을 통해 척추자세교정을 위한 전신스트레칭형 허리운동기구 개발
o 착용자세관리 앱(App) 등 디자인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허리보조기구 또는 관련 제품 제조업체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허리기구는 소비자의 체격, 허리장애 정도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 규격과 여러 종류의 기능성 허리기구시스템 등으로 분류되어 있어 다품종 소량 수요의 특성을 가지므로 생산공정의 유연성이 높은 중소기업에서 제품화에 적합한 분야임
o 국내에 해외 전문 허리보조기구 제조기업과 경쟁할 중소기업은 현재 등장하지 않았으며 대기업이 뛰어들기에는 국내시장이 아직 충분히 크지 않아 중소기업에 특화된 산업적 특성이 있음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우리나라의 허리보조기구 시장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는 저가, 저품질의 중국산 시장에 고품질의 개인 맞춤형 제품을 출시함으로 고급 제품의 차별성 제고
o 허리보조기구의 국산화 기술력 확보를 통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좁히고 선진국이 장악하고 있는 의료헬스 고부가가치시장 진입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2) 웰니스(Wellness) 라이프를 위한 산소발생 시스템 디자인 개발
개념
o 사용자의 웰니스(Wellness) 라이프 니즈에 최적화된 가정용 산소발생시스템 및 디자인 개발
지원범위
o 글로벌 시장별 사용자 분석에 따른 UX 시나리오 개발
o UX 시나리오 별 최적화 신기술/응용기술 적용 디자인 개발
- 가정 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제품 개발
- 글로벌 시장의 사용자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시스템 개발
- 의료기술 또는 첨단 ICT 기술이 적용된 제품 개발
- 사용자 경험 혁신을 통해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산소발생기 또는 관련제품 제조업체 참여 필수(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 단, 공기청정기/가습기 등 가정 내 공기질 개선 제품 제조사도 참여 가능
※ 공기청정 기술 및 산소 발생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갖고 있으나 신제품 개발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들을 지원하여 신시장을 선점해야 함
o 현재 출시되고 있는 산소발생기 제품들은 대부분 기본적인 기능만 구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니즈에 최적화되어있지 않음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대기오염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기타 호흡기 질환 환자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o 특히 중국의 경우 날로 심해지는 대기오염으로 인해 산소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o 산소발생기 시장의 증가추세에 따라 사용자들의 웰니스(Wellness)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신제품 개발을 통한 글로벌 시장 확대 필요
o 신시장 창출 의지를 갖고 있는 제조기업들에게 글로벌 시장 확대 가능
o 현재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선도기업이 없으므로 글로벌 시장 선점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3)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한 재활기기 및 신체 보조기기 디자인개발
개념
o 환자의 노력과 반복적 근력 사용에 의한 재활기기가 아닌 근골격계 관절의 파워가 부족한 재활대상 환자가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하여 반복적 재활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재활기기 또는 신체 기능이 손상된 환자의 신체기능을 보완해 주는 로보틱스 기능이 부여된 보조기기
지원범위
o 다중 회전 및 운동 동력 기술 융합 디자인 개발
o 부족한 근골격계 힘을 보완할 수 있는 파워제너레이팅 응용 시스템 개발
o 사용자의 근력 부족에 따른 중력보상 기능 개발
o 근육 및 관절의 재활운동의 보조기기 디자인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로보틱스 기술 보유 기업 및 관련제품 제조업체 참여 필수(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
※ 로보틱스 기술-디자인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기존의 중소 중견기업이 생산하는 재활기기 및 신체보조기기는 자유도가 높은 다양한 동작 구현이 어렵고, 장애인등의 행동 보조를 하기에 어려운 면이 있음
o 다양한 장애증상에 대한 서로 다른 재활운동 치료방법과 다양한 동작을 하나의 고기능성 재활운동 로봇 또는 로봇형 보조기기로 구현하여 편리성과 실효성을 높이게끔 지원 필요 있음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실제 환자를 재활 치료하는 환경에서 필요한 시스템으로서 일반 재활 환자 치료환경에부터 첨단 재활치료까지 유용함
o 로보틱스 기능의 효율성에 따라선 글로벌 시장 진입까지도 가능하다고 판단됨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4) 의료이력 표시 기능 스마트 약품 보관함 디자인 개발
개념
o 사물인터넷과 인쇄전자기술을 결합한 개인용 스마트 약품 보관함 핵심 기술 및 제품
o 인쇄전자기술과 모바일 연동기술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패키징 설계 및 제품
지원범위
o 사물인터넷과 인쇄전자기술을 결합한 개인용 스마트 약품 보관함 디자인 개발
- 개인별 복용 이력 확인이 가능하며 약품의 효율적 보관을 위한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개인용 스마트 약품 보관함 디자인 개발
- 위치정보 기반 및 사물인터넷(IoT)을 통한 추적(Tracking) 기능 및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온습도 제어 기능 구현
- 약품 보관 및 복용 이력 확인이 가능한 실시간 인터페이스 기능이 탑재된 센서 및 통신 모듈 개발
- 스마트 약품 보관함, 패키징 및 모바일 간 운용 인터페이스, 앱 개발 및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시범 사업을 통한 효과 평가결과 제시
- 관련기술(ICT, 패키징, UX/UI, 제품디자인 등) 분야와의 협업체계 필수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스마트 의료기기 산업분야의 디자인-기술융합 고도화를 통한 중소중견기업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전략품목으로 육성
o 인구 고령화로 의한 진료비 부담 증가에 대한 대안으로 ICT기술과 의료기술이 융합한 디지털 헬스케어로 의료비 절감
o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IoT 헬스케어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용성 증대와 개인 맞춤형 IoT 기반 헬스케어 기기의 필요성 증대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글로벌 시장 성장단계에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분야에서 환자와 소비자에 따라 개인 맞춤형 설계와 기능을 구현하여 독창적인 기술과 디자인으로 초기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장악 가능
o 스마트 약품 보관함, 스마트 패키징 및 운용시스템 기업 또는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개인용 스마트 약품 보관함 시장 창출
o 글로벌 IT기업들이 자사의 기술력과 개방형 플랫폼 등을 활용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시장 경쟁력 강화하고 있어 주변시장 및 기술협력 가능성 높음
o 스마트 약품 보관함 기능을 주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헬스케어와 바이오의약품, 스마트홈과 동반성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5) 실버세대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용품 디자인 개발
개념
o 인지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게임 및 놀이를 통하여 의료서비스에 재미와 편안함을 함께 제공하는 디바이스 등 용품 개발
- 직접 손이나 행동을 통한 물리적인 능력 향상 방식과 두뇌를 활용한 인지적인 능력 향상 방식이 혼합된 형태
- 게임 및 놀이의 방식은 디지털 콘텐츠 형태뿐만 아니라 직접 만지고 사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 형태 포함
지원범위
o 인지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 용품은 행동하는 것과 두뇌를 사용하는 2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개발
- 기존의 인지능력 향상 프로그램 참여에 제약이 발생하는 몸이 불편한 고령자를 위해 실내에서도 혼자 활용할 수 있는 용품으로 구성
- 두뇌 활용 게임 혹은 놀이를 통해서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
o 유관기술(노인성 질환예방 전문기관, 인지/인간공학 전문)분야와의 협업 체계 필수
o 디지털 콘텐츠와 제품 디자인개발 및 검증
- 개발된 용품에 대해 실버 층의 사용성 검증
- 용품 사용에 대한 UX/UI 사용성 평가 검증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국내의 경우 실버 세대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프로그램 및 전문 용품이 부족하여 기억력 감퇴 및 인지력 저하로 발생하는 노인성 질환을 예방을 위한 방안에 어려움 발생
- 이를 타개하기 위해 인지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전용 제품 개발이 필요
o 현재 5∼6개의 치매 예방 디지털 콘텐츠(어플리케이션)가 서비스 되고 있지만, 제공되는 콘텐츠의 구성이 미약하고 사용자간 정보 공유의 사용성이 떨어져 국외 기업의 국내 시장 장악에 취약
- 국내 시장 보호 및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업 육성이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현재 고령화 사회인 일본에서 간단한 사칙 연산과 단어 암기 등과 같은 두뇌 자극 및 단련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엔터테인먼트를 융합한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서비스하여 실버 세대에게 선호
- 인지 능력과 관련된 시장은 아직 시장 형성이 미미하며, 발전 초기 단계이기에 국내 시장 보호를 위해서 개발이 필요하며,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제공되고 있는 인지 능력 향상 프로그램 및 용품은 구성이 기초 단계에 있기에 충분히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성 높음
o 국내 시장은 실버 세대가 스스로 사용할 수 있는 인지능력 향상 용품 관련 시장 및 디지털 콘텐츠 시장이 미미하여 신시장 창출 가능성 높고, 글로벌 시장 진출시 경쟁력 제고 기대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6) 치과시술의 스마트化를 위한 치과 의료기기 디자인기술 개발
개념
o 치과용 복합 의료기기는 치아 미백, 구강 내 살균, 레진 및 임플란트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 제품으로써 디자인기술 융합을 통해 기존 제품대비 안전성과 유효성 고도화 및 스마트化 필요
지원범위
o 시술 태스크별 활용 제품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o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신체적·인지적 특성 고려 통합 인터페이스 개발
- 제품 접촉 및 간섭 포인트 고려 물리적 인터페이스(PUI) 개발
- 시술 제어 및 결과 확인을 위한 UI·GUI 개발
o 치과 의료기기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개발
o 수요기관(제조기업 등) 연계** 등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치과의료기기 관련 기업 및 의료기관 참여 필요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치과 의료서비스 소구점이 기술·기능 중심에서 사용자경험 중심으로 옮겨감에 따라 다양한 니즈를 반영하기 위한 제품디자인·서비스에 대한 중요성 증대
o 중소·중견기업 의료기기들은 뛰어난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서비스 미비로 인해 시장 경쟁력 미흡
o 중소기업은 디자인기술 인프라 부족으로 사용자 경험 및 서비스 중심의 연구개발 경험이 부족하여 보완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치과 의료기기의 수출 연평균 성장률은 약 25%로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o 대부분 치과 의료기기가 고가의 해외제품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 중소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으로 가격경쟁력 높은 의료기기를 개발할 수 있음
o 디자인기술을 중심으로 기존 기술 대비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 측면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을 리딩할 수 있음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7) 모바일 디바이스용 스마트 패션제품 디자인 개발
개념
o 휴대용 IT디바이스는 패션과의 융합을 통해 ‘웨어러블’ 형태로 진화하고 있음
o 세계적 패션 기업인 파슬(Fossil)은 글로벌 반도체 기업인 인텔과 손을 잡고 패션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스마트기술 개발에 따른 패션업계 역시 IT 기술을 적극 활용
o 모바일 디바이스용 패션제품 디자인은 기존의 독립적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기기를 포용하는 웨어러블 시스템 구성의 새로운 시장 창출이 가능
지원범위
o 기기 간 연동·호환을 고려한 UX디자인 및 인터페이스 개발
o IT소재, 패브릭소재 혼합 CMF 디자인
o 신체적, 인지적, 감성을 고려한 패션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관련제품 제조업체 참여 필수(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
※ 모바일 디바이스 연계 패션 제품 디자인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세계적 의류업체는 IT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혁신적 스마트 패션 제품을 내놓고 있으나 국내 기업은 성과 미흡
o 기술에만 집중하는 기존 IT 개발 방식으로는 감성적인 패션 제품개발에는 무리가 있어, 중소중견기업의 협업 필요
o 스마트 패션제품은 다양한 ICT기술의 융합이 필요하며 중소중견기업의 협업으로 신시장 창출 가능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섬유관련 사업의 풍부한 경험과 인프라를 갖고 있는 국내 패션업체들이 ICT를 융합한 새로운 제품을 다품종 소량 생산방식으로 접근하면 글로벌 시장 경쟁력 향상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8) 신개념 여가활동용 액티브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개념
o 새로운 Outdoor 여가활동 경험을 창출할 수 있는 액티브 디바이스
- 새로운 경험, 행동, 문화 등을 창출할 수 있는 기능/구조를 가진 시스템
- 첨단 ICT, IoT 기술 등을 접목시킨 스마트 시스템
- 전력(배터리 등)을 이용해서 이동(자율 운행 또는 원격 조정)이 가능한 시스템
- 다양한 Outdoor 환경(육상, 해상, 항공 등)에서 사용 가능한 시스템
지원범위
o Outdoor 여가활동 사용자 분석을 통한 UX 시나리오 개발
o 시나리오별 적용 가능 IoT 기술 및 응용 기술 융합 디자인 개발
o 최종 채택된 시스템에 대한 외관디자인, 구조설계, 부품 개발
o 알고리즘, 프로그램, 앱 개발(필요시 UI 디자인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드론, 로봇, 모빌리티, 영상전송 등 유관 기술 보유기업 참여 필수(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예시: 사용자를 따라 다니며 촬영해 주는 드론)
※ 신개념 액티브 디바이스 기술 연계 디자인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세계적으로 평균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여가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
o 이에 따라 여가활동을 위한 서비스/제품 시장이 급속히 커지고 있음
o 아직까지 일부 최신 기능의 드론 등을 제외하면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 주는 제품들은 극소수 임
o 일정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고, 도출된 아이디어들을 빠른 속도로 상품화 할 수 있는 중소중견기업들을 지원하여 신시장을 창출해야 함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최근 들어 국내에도 다양한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중소중견기업이나 스타트업기업들이 점차 늘고 있는 상황 임
o 좋은 아이디어와 신시장 창출 의지가 있는 기업들을 선별, 사용자 경험을 혁신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지원하여 글로벌 경쟁력 확보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9) IoT 기반의 신선 물류 시스템 디자인 개발
개념
o 신선식품, 헬스케어제품, 바이오의약품, 원예작물 등 유통물류환경에 민감한 고가의 신선제품을 실시간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반복사용이 가능한 스마트수송용기 및 IoT 기반 운영시스템을 접목한 물류시스템 디자인 개발
지원범위
o 운송 중 화물의 실시간 온·습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IoT 기반 디바이스 설계
- 운송장비 및 수송용 컨테이너에 부착하여 실시간 온습도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온·습도 모니터링 복합센서 및 원격제어 디바이스 설계
- 제품 종류별/위치별 온습도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적정 온습도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웹/어플리케이션/UI) 개발
o 반복사용과 장기간 온습도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수송용기 설계
- 실시간 온습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엑티브(active)형(B2B 용)과 저비용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패시브(passive)형(B2C 용)으로 구분하여 개발(두가지 형태 모두 반복사용 및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가능)
o 신선물류에 대한 EESH(Energy, Environment, Safety, Health: 에너지, 환경, 안전, 건강) 표준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 및 실증
- 시범사업 시행 및 결과분석으로 실증 및 표준서비스가이드라인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관련 기술 보유기업 참여 필수(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
※ 신개념 신선 물류 유통 기술 연계 디자인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신선물류는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부가가치가 일반제품의 7∼8배에 달하는 고성장 선진국형 서비스산업
o 민감하고 정확한 온도 조절, 특수포장, 국제운송규정 등에 부합하는 물류기술과 서비스를 갖춘 국내 중소, 중견기업은 거의 없어 대부분의 서비스시장을 해외기업들이 독식하고 있는 실정
o 국제특송 폭증과 국제법규 강화로 특수화물(신선식품, 바이오의약품, 화장품 등)에 대한 실시간 리스크 모니터링 필요성 증대
o 관련기술 및 제품화는 특수화물을 생산하는 중소 제조기업은 물론 중소 물류기업의 물류효율 증대와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화장품, 신선제품 등 우리나라 고부가가치 제품의 주요고객이 되고있는 동남아 및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신선물류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관련 제품, 기술 및 서비스 시장 선점 가능
o 글로벌 고객들에게 국산 제품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이 안전하고 믿을 수 있다는 확신을 주어 시장 확대와 부가가치 상승을 기대
o 용도와 서비스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의약품 및 특수화물용 수동형(passive) 및 능동형(active) 포장용기 개발 및 상업화 가능
o 독일, 미국, 일본 등도 우편화물, 항공화물, 보관물류 등에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특수용기 및 소형 운송수단 개발 등의 사업을 추진 중이며 관련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술적 교두보 마련이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10) 화장품 스마트 패키징 디자인 개발
개념
o 화장품의 유통·사용 중 변질 요인을 최소화 하여 화장품의 유통기한과 개봉 후 사용기간 연장이 가능한 자외선/적외선 차단 소재, 산소 흡수소재를 적용한 패키징 제품
o 화장품의 장기간 사용 시 유통기간 초과, 노광 노출, 산소 노출 등으로 변질되기 쉬운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지시 인디케이터와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 화장품의 적정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패키징 기술이 적용된 제품
지원범위
o 화장품 산폐 및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패키징 기술 개발
- 화장품의 유통기한 및 사용기한의 향상이 가능한 자외선/적외선 차단 소재, 산소 흡수소재가 적용된 고기능성 화장품 패키징 용기 개발
- 화장품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필름 코팅 소재 및 기술 개발
o 화장품 변질 지시 인디케이터와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패키징 기술개발
- 화장품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소형화된 센서 유닛의 개발
- 화장품의 유통기한 및 산화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o 스마트 화장품 패키징 용기 디자인 개발
- 센서 유닛 활용 스마트 기능의 화장품 패키징 디자인 및 시제품* 개발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 화장품 패키징 관련 기업 참여 필수(주관 또는 참여기관)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화장품 용기 산업은 화장품의 부자재 산업으로 전체 화장품 시장의 8∼1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약 9,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화장품 용기를 생산하는 국내 중소·중견 기업들은 우수한 용기 디자인 성형 기술과 설계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화장품의 우수성을 대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개발해 왔음
o 하지만 국내 화장품 용기 생산 중소·중견 기업은 화장품 약품학(cosmeceutical) 개념의 적용으로 제형의 변화로 인해 노광, 산소 노출에 따른 화장품 변질 조절 소재기술의 개발과 변질 지시 기술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화장품 내용물 보존성을 향상할 수 있는 용기 디자인 개발과 내용물의 오염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글로벌 기술 수준에 부합하는 화장품 패키징 기술 개발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화장품 용기 기술 개발은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이 용기 소재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안전성과 기능성을 부여하고 화장품의 가치를 향상할 수 있는 화장품 패키징 용기 개발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음
o 또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화장품 소재로서 천연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원료 개발이 확대됨에 따라 내용물의 변질 방지 및 지시 기술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
o 화장품 품질 유지 기술과 내용물의 안전성 정보 지시 기술이 국내 중소·중견 기업이 보유한 우수한 용기 디자인 성형 기술과 결합된다면 화장품 상품 가치의 향상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디자인전문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11) 친환경 해양레저를 위한 전기보트 디자인 개발
개념
o 친환경 해양레저 환경에 대응하는 초경량·고강도 전기보트로써 속도향상, 저진동 및 저소음, 연료절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가 활용 가능한 무공해 운송기기 디자인 개발
- 전기보트를 레저용도로 개발하기 위한 사용자 UX 강화 디자인 개발
지원범위
o 레저보트 운송기기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 및 CMF 디자인 개발
o 선(船)내 인터페이스 디자인
- 학습, 이해, 조작이 용이한 조정 인터페이스 디자인
- 다양한 탑승자의 신체적 특성을 포용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 수상 위기·가혹환경에 대응하는 디자인
o 운행 효율성 향상 구조 및 설계 기술 개발
- 마찰저항, 연료 손실 저감 및 고양력을 위한 형상 설계 기술
- 경량, 고강도, 고효율 건조기술 구현을 위한 복합소재 성형 기술 개발
- 주요 제어부에 대한 방수 및 방진 설계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보트 개발 관련 기술 및 보트 제조업체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국내 조선업체 시장성장 한계를 극복하고 신규시장 활성화를 위해 창의적 레저보트 모델 및 디자인 기술 개발 필요
o 국내 중소형 해양레저 산업의 발전으로 부품소재, 내외장, 레저장비업, 보관수리업, 레저관광업 등 전후방 산업의 시장 확대 전망
o 정부 추진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및 비전 2020년까지 세계 시장점유율 20% 달성관련 해양레저산업 육성정책 등으로 국내 해양레저산업 및 해외 수출에 큰 수요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됨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미국 및 EU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립공원 내에서 전기보트만을 운영할 수 있는 허가 규정을 신설하여 레저용 전기보트가 널리 보급 될 것으로 예측
o 전기보트에 필수적인 배터리관련 국내기술은 세계기술 대비 최고 수준임
o 해외선진국의 해양레저산업 관련 기업의 97%는 중소기업으로 국내 조선 산업 인프라를 활용한다면 조기에 글로벌 선도기업 도약 가능
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인터넷 공시]
내역 사업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
세부 분야
품목지정
신규 예산
1,300백만원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 신규후보과제 품목지정 리스트]
사업
품목명
지원기간
지원금액
차세대_01
커넥티드기술 기반 소셜로봇 인지·감성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3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580백만원 이내/년
차세대_02
IoT 기술 기반의 개인 건강관리용 신체활동 측정 디바이스 및 스마트 의류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3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580백만원 이내/년
차세대_03
재난 대비를 위한 제품기반 통합 안전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3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580백만원 이내/년
차세대_04
전기차와 연결성을 가지는 도심형 개인 이동기기 디자인 원형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3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580백만원 이내/년
차세대_05
업사이클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선행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35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580백만원 이내/년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1) 커넥티드 기술 기반 소셜로봇 인지·감성 디자인 개발
개념
o 소셜로봇은 사람의 육체적인 노동을 대신하는 기본 로봇과 달리 대화나 몸동작 같은 사회적 행동을 통해 교감하는 감성 중심의 로봇
-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기술 등이 로봇과 접목하여 인간과 상호작용 기능이 강화된 로봇
지원범위
o 커넥티드기술 기반 인지·감성 중심의 기술융합 디자인개발
- 이동성(위치인식)과 구동능력 및 제어기술에 기반한 소셜로봇 디자인 개발
- 간접적인 입력이 아닌 사용자의 신체변화, 움직임, 상황이나 주변환경의 실제적인 변화를 각종 센서(MEMS)를 통해 인지하고 구현할 할 수 있는 인지디자인 기술
- 영상 및 거리정보 기반 환경인식, 행동인식, 음성인식, 지식추론, 음성합성, 사물인터넷 연결성, 소셜행동 등의 기술과 연계되어진 디자인 주도의 HRI관련 감성기술 전반
-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태블릿PC) 및 스마트홈/IoT 제품, 클라우드 등 상호 커넥티드 기반의 UI/UX 디자인 개발
o 커넥티드기술 활용 소셜로봇개발을 위한 디자인융합 표준 프로세스 개발
o 디자인융합 프로세스 적용 시범개발*(2건 이상의 시제품 개발)
* UX 시나리오 개발, 제품디자인, 회로개발(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기구설계 등
o 구체적인 제품과 서비스 사업화 제시 및 비즈니스 모델(BM)* 개발
* 시장예측, 목표시장, 사업화 전략, 수익창출 전략 등 포함
※ 해당 제품(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기 확보(예정)된 전문 유관기술 보유기업 및 디자인 전문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국내의 소셜로봇은 초기에 교육용 로봇 위주로 개발, 사회적 행동보다는 교육 컨텐츠 위주로 스마트폰과의 차별화 부족
o 사회적 행동기능의 탑재를 위해 사용자 경험 및 인지/감성 중심의 디자인기술 융합이 필요
o 최근 동향은 스타트업 중심의 소셜로봇 개발이 진행 중이며 디자인을 포함하여 다양한 융합기술을 보유한 중소·중견기업 지원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미국, 일본, 유럽을 중심으로 혁신적이고 구매 가능한 제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서서히 대중의 인식이 제고되는 시점
o 소비자 및 오피스용 로봇 시장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17%씩 성장해 2019년에는 1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o 인공지능과 로봇융합 기술의 다양한 R&D가 추진 중에 있으며, 빅데이터의 접근성 개선, 공공기관의 초기 수요 확대, 특히 디자인 중심의 인지/감성 기술을 통해 글로벌경쟁력 선점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2) IoT 기술 기반의 개인 건강관리용 신체활동 측정 디바이스 및 스마트 의류 개발
개념
o 디자인 주도로 IoT 기술(생체신호 모니터링 센서 및 스마트기기 연동)을 활용한 개인 건강관리 및 운동량 측정 등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의류 제품’ 개발
지원범위
o IoT 센서기반의 생활 밀착형 레저·스포츠 연계 개인건강관리 제품의 니즈 분석을 통한 신체활동 측정 디바이스 및 스마트의류 개발
- 라이딩, 수영, 등산 등 ‘생활 스포츠와 레저활동’에 적합한 IoT 기술융합형 디바이스 및 스마트 의류 제품 디자인 개발
(예시: 라이딩 시 신체활동량 측정, 야간 시인성 확보가 가능한 복합 기능의 스마트 의류 및 관련 용품 디자인과 UX 디자인)
o IoT 센서기술을 활용한 신체활동 측정 스마트 디바이스 및 기능성 섬유소재를 활용한 인체공학적 스마트 의류디자인 개발
o 실내외 레저 및 스포츠 활동에 최적화된 IoT 센서 기반 사용자 PUX(Physical User eXperience) 디자인 연구
o 스마트폰 및 디바이스 구동 APP 등 제품과 연동된 SW 부분 연계개발
o ‘웨어러블’ 및 ‘스마트의류’에 최적화된 디자인 융합 프로세스 개발 및 융합 프로세tm 적용 시제품 개발 (2건 이상의 시제품 개발)
※ UX 시나리오개발, 제품디자인, 회로개발(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기구설계, UI 디자인개발
※ 구체적인 제품과 서비스 사업화 제시 및 비즈니스 모델(BM)* 개발
* 시장예측, 목표시장, 사업화 전략, 수익창출 전략 등 포함
※ 해당 제품(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기 확보(예정)된 전문 유관기술 보유기업 및 디자인 전문기관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국내외 개인 건강관리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능성 레저·스포츠관련 스마트 의류 시장은 급성장 중
o 국내 우수한 ICT기반 네트워크 환경 중심의 IoT 미래형 상품 중 유망한 분야인 ‘개인건강관리’ 및 이와 연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의류’의 융합상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 확보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이종산업(섬유소재 및 의류디자인, IoT센서, ICT 플랫폼, 제품 및 UX디자인 등) 간 협업을 통한 융합제품과 서비스의 개발을 위한 ‘디자인 중심의 기술융합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생활 밀착형 아이디어 기반 혁신 상품 및 신시장 창출 기대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3) 재난 대비를 위한 제품기반 통합 안전디자인 개발
개념
o 온난화로 인한 천재지변과 재난 발생 건 수 증가, 국내 역시 안전지대에서 지진 등 재난 발생 지역으로 위험성 증가 (경주지진 5.8발생 2016년 9월 12일)
o 사회 인프라 기반과 함께 지진 등 재난 발생 시 가정 내 지진 대비 안전용품, 피난 시 상비용품, 지진 발생 시 대응용품 등 다양한 상품군 디자인 개발
- 단기간 내 재난 대비를 위한 제품디자인 기반 안전디자인 개발
지원범위
o 재난 발생 시 대피 및 대비에 대한 예상 시나리오 개발과 이를 기반으로 재난 관련 통합 안전제품 기획 및 전략 수립
o 재난 상황별 관련 기술융합 디자인 개발
- 재난 상황별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 개발
- 재난 상황별 안전용품 디자인 개발
- 재난 대비 상비용품 디자인 개발
- 재난 대비 ICT 연계 제품 디자인 개발 (예:위험사항시 정보 발송수신기 등)
o 사용자 경험과 안전 대응 소프트웨어․서비스의 디자인구현을 위한 표준 기술 개발
o 공공 시설․공간 적용 대상 방재제품 디자인 기술 개발
※ 재난 대비 안전 제품 특화의 아이디에이션 및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 선행 디자인 및 사업화를 위해 기 확보(예정)된 전문 유관기술 보유기업 및 디자인전문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국내 재난 대비 방재용품의 대부분은 수입 제품에 의존하고 있음
o 지진방재와 같은 재난용품 수요가 낮아 국내 중소기업 생산 기반 및 기술이 취약하여 이에 대한 중장기적 기술 개발과 제품 생산 필요성 증가
o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 신사업군 부상 가능성 높음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천재지변 및 지진 등 재난 대비 관련 상품의 경우 대부분 일본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국내 제품은 수요 부족으로 미미한 상황
o 시스템 개념의 제품군과 디자인 융합을 통해 재난용품 시장의 신시장 창출이 기대되며, 글로벌 경쟁력 있는 제품 및 시장 진입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4) 전기차와 연결성을 가지는 도심형 개인 이동기기 디자인 원형 개발
개념
o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기반으로 미래 전기차와 연계된 소형 이동기기의
디자인 원형 개발
지원범위
o 전기차와 연결성을 가지는 시나리오 기반의 UX 디자인 개발
- 대상시장, 사용자, 분야별 미래사용자 UX 시나리오 개발
o 전기차에 수납과 충전이 가능한 미래 도시형 개인 이동기기 디자인 개발
- 개인별 신체 특성에 유연하게 적용되는 기능성 고려
-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서비스 디자인 개발
- 스마트 기기와 커넥팅 기술을 활용한 운송기기 개발
- 미래 도심형 개인 이동기기 디자인 원형 개발
- 미래 전기차 특수성 및 경제성을 고려한 제품 디자인 개발
o 미래환경-기술-디자인 융합 기반의 선행디자인개발을 위한 표준 프로세스 개발
※ 시장 분석, 상품화 계획, 구조 검토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해당 제품(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기 확보(예정)된 전문 유관기술 보유기업 및 디자인 전문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환경문제와 도심 교통 체증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 전기자동차와 연계된 도심형 근거리 이용의 편리성, 경제성, 효율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운송기기 개발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미래 도심형 개인 이동 수단의 수입대체 및 본 연구개발을 통해 개발된 개인 이동기기의 해외시장 진출
o 전기차 분야에서 개인 이동 수단 연계 상품 시장을 선점하고 기술적 우위 확보
o 글로벌 시장 전기차 활성화에 대한 수요 충족 및 보급 촉진
o 스마트 기기와의 커넥팅 기술을 활용한 운송기기 개발로 이용자의 교통안전 제고, 사회 활동 여건 개선 등 사회적 비용 절감
o 제조활성화, 판매, 서비스와 관련된 일자리 창출 효과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_품목지정
품목명
(5) 업사이클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선행디자인 개발
개념
o 버려지는 생물자원인 업사이클 소재를 활용하여 친환경 제품 및 대체품에 대한 선행디자인 개발
* 업사이클 소재 : 버려지는 자원에 물리적·화학적 가공을 가미함으로써, 부가가치가 향상된 새로운 제품 제작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분이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재 및 마감처리 방식을 통칭
지원범위
o 업사이클 소재(버려지는 식물자원 활용 등)를 친환경 수출시장 대응 제품
으로 적용하기 위한 선행디자인 개발
- (업사이클 소재) 버려지는 식물자원 등 재활용 소재 개선 필요
- (친환경 수출시장) 친환경성을 강조하며 디자인 융합 고려
* 소비자(사용자)가 친환경 제품임을 감성적으로 공감하는 컬러, 마감처리, 이종 소재 간 융복합 개발
o 친환경 수출시장 대응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제품 선행디자인 및 상품기획
- (선행디자인) 기존 상품에 활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업사이클 소재로의 대체를 위한 개발 기획
* 상품기획 예시 : 자동차부품, 소형가전, 건축내외장재, 생활용품(유아용품, 생활소품, 용기, 포장재) 등
- (소재스펙개선) 선행디자인된 상품에 적용할 수 있는 내충격성, 내열성, 마감처리 가능성, 컬러 구현 가능성 등 확보
o 생체인증기술 활용 상품개발을 위한 디자인융합 표준 프로세스 개발
o 디자인융합 프로세스 적용 시범사업(5건 이상의 시제품 개발) 실시
※ 선행 디자인 및 사업화를 위해 기 확보(예정)된 전문 유관기술 보유기업 및 디자인전문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상품기획) 업사이클소재 제품화를 위한 중소기업 상품기획력 강화
- 세계수준 100대비 한국 중소기업 상품기획 역량은 68.1로 나타남(‘07, 중소기업기술통계)
- 충분한 시장/경쟁사/트렌드 분석 없이 대기업의 상품기획에 의존하여 자생력 부족
o (선행디자인) 선행디자인을 통해 제품개발 사이클 단축 및 미래 신시장 창출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리사이클 제품으로 주요 산업별 선진국 시장 진출 전략으로 활용 및 경쟁력
강화
o 석유자원 활용 플라스틱 대체 효과
- 기존 플라스틱이 가지는 석유자원 가격의존도를 낮추는 효과
2017년도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신규후보과제 [인터넷 공시]
내역 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
세부 분야
품목지정
신규 예산
3,864백만원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 신규후보과제 품목지정 리스트]
사업
품목명
지원기간
지원금액
서비스디자인_01
3D 인체스캐닝기술 활용 개인맞춤형 소비재 생산·서비스 플랫폼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02
외국인 한국방문객을 위한 관광서비스 시스템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03
생산 및 유통과 연계된 IoT 플렛폼 기반의 스마트 모듈 디자인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04
중소제조기업, 유통기업, 디자인 전문기업을 위한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및 플랫폼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05
디자인전문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신 디자인 서비스 허브 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06
교육 콘텐츠 및 교구 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07
인터랙티브 케어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08
고령자 헬스케어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09
수면건강 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10
안티에이징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11
리빙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서비스디자인_12
라이프케어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3년 이내
(1차년도) 450백만원 이내/년
(2,3차년도) 600백만원 이내/년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1) 3D 인체스캐닝기술 활용 개인맞춤형 소비재 생산·서비스 플랫폼 개발
개념
o 디자인 주도로 착용감, 인체공학적 사이즈가 중요시 되는 생활소비재의 개인 맞춤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한 제조 플랫폼 개발
지원범위
o 대상 생활소비재 특성에 최적화된 인체 3D D/B활용 프로세스 디자인 개발
- 인체3D data를 활용한 즉각적인 3D 시뮬레이션과 프로토타이핑 기법 개발
(예시: 얼굴 스캐닝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안경 디자인 및 3D D/B기반 제조 플랫폼, 발 스캐닝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제화 디자인 및 3D D/B 기반 제조 플랫폼)
o 개인맞춤화 주문을 위한 가상착용 시뮬레이션 UX 시나리오 및 관련 SW 또는 APP 개발
o 소비자와 제조자, 제조자와 제조자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소비자참여 디자인개발 협업 프로세스 개발
o 중소 제조기업의 관련 종사자들의 플랫폼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제조 서비스 및 상품개발 매뉴얼 설계
o 생산․서비스 플랫폼 및 프로세스 적용 시범 디자인 개발*(2건 이상의 시제품 개발)
* 관련 제품 디자인 및 사업화 전략, 3D D/B, 비즈니스 모델 시범 개발
※ 해당 소비재 관련 디자인전문기업(서비스 디자인 및 제품디자인)과 3D 스캐닝 장비 활용 및 D/B화 관련 전문기업 참여 필수
※ 서비스디자인-제조업 특화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사업화 전략 제시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최근 ‘싱글족(1인가구)’의 증가, ‘나만의 위한 소비’성향이 급격히 확산됨에 따라 ‘개인 맞춤형 및 한정판 제품’에 대한 시장의 니즈는 점차 높아지고 있음
o 생활소비재 관련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맞춤형 디자인, 생산, 설계 및 제조’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관련 D/B를 활용한 플랫폼을 자력으로 구축하여 활용하기에는 투자여력이 부족할 것으로 판단됨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특정 제품군(안경, 제화 등)에 최적화된 개인맞춤형 제조·생산 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와 연계된 비즈니스를 하는 중소기업이 플랫폼 상의 D/B 및 관련 정보 활용을 통해 국내 및 글로벌 시장에서 생활소비재 경쟁력 확보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2) 외국인 한국방문객을 위한 관광서비스 시스템 개발
개념
o 외국인 한국방문객 및 국내 여행자, 또는 잠재 관광객의 현지, 사전 체험이 가능한 관광서비스 시스템
o 수요자 중심의 관광서비스 시스템 개발로 서비스디자인 주도의 콘텐츠 개발 및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 관광·여행 콘텐츠를 최적화하여 지원할 수 있는 신개념 디바이스로 제조기반의 기업이 서비스를 활용하여 新시장 창출 및 글로벌시장 진출이 가능한 제품
지원범위
o 사용자 중심의 다양한 관광 서비스 콘텐츠 개발(예시)
- 스마트폰 연동 앱 및 위치기반 저용량 자율지도
- 관광자원의 증강현실 콘텐츠(사전체험, 현장 실내외 체험 등)
- 다국어 지원(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o 서비스디자인프로세스 기반의 사용자 리서치 및 시나리오 개발
o 콘텐츠 구현이 가능한 제품(디바이스) 디자인 및 시제품* 개발
* 실제 양산 제품과 동일한 성능, 구조를 지닌 시제품
o 관광서비스와 제품(디바이스)의 연계를 통한 비즈니스(수익화) 모델 개발
o 지속적인 빅데이터 확보 및 분석, 제품 개발에 반영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구축
o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검증 및 데이터 확보
o 서울-전국 주요도시-글로벌 주요도시로 콘텐츠 개발 확대 및 서비스
※ 연차별 주요도시의 서비스 시행과 아울러, 콘텐츠의 질적 수준 및 서비스 구현 제품(디바이스)의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증
(예시: 1차년도 서울/ 2차년도 제주/ 3차년도 도쿄 등)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외국인 한국방문객 확보를 통한 국가수익 확대 및 관련 기업 수익 개선
o 자유여행화 시장 확대에 따른 관광 수익 다변화
o 관광여행 지원에 따른 지속적인 한국방문객 확대로 관련 기업 활성화
o 관련 디바이스 개발 기업의 기술력 확보 및 수익화
o 서비스디자인 기반 기술 수익화로 지속적 콘텐츠 개발 유도
o 글로벌 시장 확대 유도로 수익성 개선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외국인 한국관광객 확대를 통한 국가 수익 개선
o 다양한 서비스 및 제품(디바이스)의 실질적 상용화로 해외 기술 수출 확대
o 글로벌 지역 확대를 통한 비즈니스모델 글로벌화 가능
o 서비스융합 비즈니스모델과 단독형 비즈니스모델 구축을 통한 수익다변화 및 글로벌화 가능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3) 생산 및 유통과 연계된 IoT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모듈 디자인 개발
개념
o 생산,유통과 연계된 IoT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모듈 디자인 개발
지원범위
o 생산,유통과 연계된 IoT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모듈 디자인 개발
o 스마트 모듈 시스템과 연결성을 가지는 콘셉트 시나리오 개발
o 생산,유통라인의 특성에 유연하게 적용되는 기능성을 가진 스마트 모듈 디자인 개발
- 경제성과 미래 스마트 모듈 시스템 특수성에 맞게 설계된 제품 개발
o 상황모니터링, 재고관리 등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서비스 디자인 개발
o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등 미래 생산/유통라인에 대응하는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모듈 기반의 디자인 원형 개발
o 시장 분석, 상품화 계획, 구조 검토, 1:1 디자인 모델제작/평가
o 스마트 모듈 시스템의 선제적 표준화 및 표준특허 창출
※ 최종 산출물은 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신개념 스마트 모듈 기술 연계 디자인 특화의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한-중 기술격차가 좁혀지며 제조경쟁력의 위기상황 도래
o 4차 산업혁명의 부상, 기존 제조업의 패러다임에 대응하는 글로벌시장 제조분야의 혁신적 스마트 모듈 시스템 모델 발굴 시급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웨어하우스, 스토어 등 생산,유통 분야와 연계된 IoT 플랫폼 기반 스마트 모듈 시장의 표준화 선점
o 히든챔피언(강소기업)의 제조경쟁력 유지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4) 중소제조기업, 유통기업, 디자인 전문기업을 위한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및 플랫폼 개발
개념
o 디자인 주도로 소비재(생활)산업 분야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 소비재(생활)산업 분야의 혁신적인 디자인을 출품하고, 이를 다각적 관점에서 평가한 자료를 부가하여 온라인마켓에 전시, 생산자(제조, 유통)가 자신의 상품개발에 적합한 디자인 펀딩에 참여하도록 하는 서비스 및 온라인 시스템 개발
지원범위
o 콘텐츠 구축 : 체계적으로 수집된 선행 디자인 자료들을 토대로 초기 시스템 운영을 위한 콘텐츠* 기반 조성
* 콘텐츠 유형: 제품 디자인, 3D 모델링, 디자인 목업(3D), 워킹 목업 등
o 시스템 개발 : 출품 관리, 펀딩요청, 참여, 경쟁, 계약 및 펀딩금액 에스크로 (대금보장제)관리, 디자인 사용성/기술성/시장성 평가 관리, 회원별 관리가 포함된 플랫폼 시스템 개발
o 평가체계 구축: 평가전문가 네트워크 구성, 디자인기업의 검증과 디자인 검증, 평가 방법론 및 평가지표 개발, 평가 프로세스 정립 및 평가관리 시스템 개발
o 비즈니스 모델 개발: 플랫폼 사용자들의 적극적 참여 유인체계를 마련하고 디자인 기업특성 및 제품화단계, 제품특성 등을 고려한 수익배분모델 개발
o 시범 운영 : 시범 운영을 통한 사용자 VOC 확보, 사업화 검증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디자인 혁신기업 주도의 제품 개발을 통한 중소기업 제품 고부가가치화 및 디자인·제조 산업 융합 국내 산업 발전의 새로운 모멘텀 형성 필요
o 디자인 전문기업은 제품 혁신을 위한 디자인 역량은 갖추고 있으나, 제품화를 위한 금융, 제조, 상품개발 전주기 관리 역량 등을 보유하고 있지 못함
o 다수의 중소 제조·유통 기업은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인적, 물적 인프라 및 네트워크는 갖추고 있는 반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혁신 역량은 부족한 실정임
o 소비재(생활)산업 분야에서 이러한 디자인·제조 산업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 생산자와 출품된 디자인을 활용하고자 하는 중소 제조, 유통 기업을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 및 서비스 운영이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디자인기업 수익 구조 개선 및 디자인 전문인력 고용 창출 기회 제공
o 제품·디자인 융합을 통한 중소 제조․유통 기업 제품 고부가가치화
o 디자인 및 제조·유통 기업 거래 활성화를 통한 신시장 창출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5) 디자인전문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신 디자인 서비스 허브 구축
개념
o 디자인전문기업(제조 특화기업 포함)의 글로벌 시장 진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디자인전문기업(제조 특화기업 포함)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합 채널 및 서비스가 부재한 상황
o 디자인전문기업(제조 특화기업 포함)의 서비스 영역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디자인 서비스 정보 허브 필요
o 글로벌 잠재 고객사 발굴을 위한 홍보, 협업 및 보유 전문기술 정보 공유 등 디자인 서비스 허브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시스템 운영 모델 발굴 필요
지원범위
o 디자인전문기업(제조 특화기업 포함)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디자인 서비스 정보 허브 구축
o 글로벌 디자인 및 제조업계가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 기업 현황조사 및 분석 (제품, UX/ UI, CMF, 금형, 제조, 유통, 광고 등)
o 글로벌 디자인 비즈니스 지원 허브 서비스 발굴
- 지원시스템 운영모델 개발 및 프로세스 단계별 프레임워크 기획
- 국내외 타분야의 선진 서비스 벤치마킹 및 핵심 서비스 도출
- 과제 완료 후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제시
o 글로벌 디자인 시스템 개발 및 시범 운영
- 디자인 종합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응용프로그램 개발 (Web/ App)
- 서비스 시범 운영 및 홍보, 관리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글로벌 디자인 및 제조시장에 디자인전문기업(제조 특화기업 포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흥시장 창출
o 글로벌 시장 진출 경험이 적은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시스템 및 운영 모델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지원 가능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글로벌 시장에 디자인전문기업(제조 특화기업 포함) 정보 제공을 통해 신흥시장 진출의 통로로 활용
o 디자인전문기업(제조 특화기업 포함)의 현황 및 역량 파악을 통해 업체 간 협업 및 지식 공유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6) 교육 콘텐츠 및 교구 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개념
o MOOC, STEAM 등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론, 개념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디바이스, 교구 등을 통해 쉽게 실험하고 만들어 볼 수 있는 교육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
o 기 개발 또는 개발 중인 교육 콘텐츠 및 교구 분야 기술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 새로운 사용자 경험 창출을 통해 혁신적인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제품(콘텐츠)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신사업 모델 개발
지원범위
o 교육 콘텐츠 및 교구 주요 제품(군)의 사용자 중심 서비스 컨셉 개발
o 사용자 중심의 컨셉 구현이 가능한 제품 및 서비스 제공(Service Delivery) 체계 개발
o 제품-서비스-제조가 연계된 디자인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제품(디바이스, 교구) 기반의 교육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
- 신기술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제품, 서비스가 결합된 비즈니스모델 개발
* 예시 : IoT 및 챗봇 기술을 활용 인공지능을 체험하도록 하는 장난감 및 교육 서비스
o 제품-서비스 프로토타입 및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 전략 기반 시범사업(시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사업화 제품(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신개념 제품-서비스 연계 디자인 특화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 산업디자인전문회사 및 관련 기술 보유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조기교육의 높은 관심과 영유아기 창의성 교육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장난감, 교구 등에 대한 수요가 높지만 여전히 수입품 선호가 큰 상황에서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확보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세계적으로 STEAM 교육 등에 관심이 집중되는 트렌드를 고려하여 장난감, 교구에 IoT, 챗봇, 로봇, 인공지능 등 기술 융합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7) 인터랙티브 케어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개념
o 바이오센서 기반으로 한 인체 증상 데이터 수집, 기록, 분석, 진단을 통한 인터랙티브 케어 콘텐츠와 플랫폼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o 기 개발 또는 개발 중인 인터랙티브 케어 분야 기술(제품)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 새로운 사용자 경험 창출을 통해 혁신적인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제품(콘텐츠)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신사업 모델 개발
지원범위
o 인터랙티브 케어 분야 주요 제품(군)의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컨셉 개발
o 사용자 중심의 컨셉 구현이 가능한 제품 및 서비스 제공(Service Delivery) 체계 개발
o 제품-서비스-제조가 연계된 디자인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서비스를 위한 UX/UI 시나리오 및 선행 디자인 개발
o 제품-서비스 프로토타입 및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 전략 기반 시범사업(시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 증상 관리 인터렉티브 케어 플랫폼 최적화 기술 개발 및 시범 적용을 통한 검증
※ 최종 산출물은 사업화 제품(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신개념 제품(기술 및 제조)-서비스 연계 디자인 특화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 산업디자인전문회사 및 관련 기술 보유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환자 중심 의료시장 패러다임에 맞는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필요
o 바이오센서 기반의 실시간 증상 관리 서비스 개발과 임상 현장의 실태가 파악 가능한 인터랙티브 케어 플랫폼 구축 필요
o 의료기관의 인터랙티브 케어 콘텐츠 개발 및 플랫폼 기술 구현을 위한 알고리즘 및 기술과, 스마트 UX/UI 서비스 및 디자인 개발이 가능한 중소기업 및 디자인전문기관과의 융합 연구가 요구됨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글로벌 의료 서비스 시장에서 선진기술 확보 및 디자인 선점
o 바이오센서 헬스 케어의 융합을 통한 혁신형 건강플랫폼 구축 : 기존 신산업과 차별화된 임상 + 환자 + u-health + IT 융합신산업 창출 기술을 통해 의료기관, 센서․장비업체, 통신사업자, 디자인전문기업 등 다양한 산업체의 유기적 참여로 국내 고급 소비재 분야뿐만 아니라 u-health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8) 고령자 헬스케어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개념
o 기 개발 또는 개발 중인 고령자 헬스케어 분야 기술(제품)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 새로운 사용자 경험 창출을 통해 혁신적인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제품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신사업 모델 개발
지원범위
o 고령자 헬스케어 분야 주요 제품(군)의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컨셉 개발
o 사용자 중심의 컨셉 구현이 가능한 제품 및 서비스 제공(Service Delivery) 체계 개발
o 제품-서비스-제조가 연계된 디자인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 고령자 건강 모니터링 서비스 도출 및 UX 시나리오 개발
- 신체노화 단계별 고령자 라이프스타일 패턴 분석
o 제품-서비스 프로토타입 및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 전략 기반 시범사업(시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사업화 제품(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신개념 제품(기술 및 제조)-서비스 연계 디자인 특화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 산업디자인전문회사 및 관련 기술 보유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고령화 추세에 따른 고령층의 신체 기능의 저하로 노인성 질환의 치료 및 재활, 건강상태 점검 등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의 욕구 증대 등 중소, 중견기업이 진입하기 유리한 분야
o 중소, 중견기업 기반으로 선행 기술을 개발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고령자의 주요 질환과 증상에 특화된 제품 및 서비스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선점하고 기술적 우위 확보 필요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IoT 기술이 접목된 고령자 건강관리 서비스 디자인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9) 수면건강 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개념
o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수면건강 증진을 위한 IoT기반의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제품 및 서비스 개발
o 기 개발 또는 개발 중인 수면건강 분야 기술(제품)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 새로운 사용자 경험 창출을 통해 혁신적인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제품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신사업 모델 개발
지원범위
o 수면건강 분야의 주요 제품(군)의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컨셉 개발
o 사용자 중심의 컨셉 구현이 가능한 제품 및 서비스 제공(Service Delivery) 체계 개발
o 제품-서비스-제조가 연계된 디자인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수면 중 자세, 움직임, 맥박 등 수면 건강관리 트래킹 및 분석
- 사용자 경험 중심의 신개념, 신기술(IoT 등) 연계
o 제품-서비스 프로토타입 및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 전략 기반 시범사업(시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사업화 제품(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신개념 제품(기술 및 제조)-서비스 연계 디자인 특화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 산업디자인전문회사 및 관련 기술 보유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무수면환자 10만명
o 양압기(CPAP)는 현재 200만원 이상의 고가, 국내의 경우 아직 국산화된 사례가 없고 전량 수입(높은 가격으로 인해 양압기의 대중화에 걸림돌)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수면무호흡치료기의 경우 현재 북미 시장이 가장 크며, 아시아 시장은 유럽에 이은 3위 규모를 차지
o 양압기 해외 시장은 2012년 38억불에서 2019년에 64억불로써 매년 10%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출처: www.sleepreviewmag.com)
o 1985년 호주에서 스타트업으로 시작하여 미국으로 진출한 레즈메드가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필립스 레스피로닉스가 점하고 있고, 두 회사가 미국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음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10) 안티에이징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개념
o 삶의 질 향상을 중요시하는 트렌드와 바이오, 의료 기술 혁신이 더해지면서 안티에이징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이 빠르게 발전
o 기 개발 또는 개발 중인 안티에이징 산업분야 기술(제품)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 새로운 사용자 경험 창출을 통해 혁신적인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제품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신사업 모델 개발
지원범위
o 안티에이징 산업분야의 주요 제품(군)의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컨셉 개발
o 사용자 중심의 컨셉 구현이 가능한 제품 및 서비스 제공(Service Delivery) 체계 개발
o 제품-서비스-제조가 연계된 디자인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o 제품-서비스 프로토타입 및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 전략 기반 시범사업(시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사업화 제품(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신개념 제품(기술 및 제조)-서비스 연계 디자인 특화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 산업디자인전문회사 및 관련 기술 보유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현재 국내 안티에이징 시장은 약 11.9조 원 규모로 연평균 10 10.1%씩 성장하고 있다. 사장의 약 75%를 화장품 소비재가 차지하며 성장을 주도하고 있고 의료가 18%, 서비스가 7%를 차지(삼성 경제연구소 2014)
o 미용관리․서비스 영역, 미용기기(뷰티 가전 등) 등 중소․중견기업 주도의 우수기술 확보가 가능한 산업 분야로 집중되어 국내외 시장 경쟁력 있음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안티에이징 산업은 의료, 미용, 화학, 의류, IT 등 이종산업 간의 활발한 융합이 필요하며,
o 이는 글로벌 경쟁력 있는 국내 산업분야이기도 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 높음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11) 리빙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개념
o 삶의 질 향상을 중요시하는 트렌드와 스마트 홈 기반의 제품 및 서비스 품질이 빠르게 발전
o 기 개발 또는 개발중인 리빙 산업분야 기술(제품)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 새로운 사용자 경험 창출을 통해 혁신적인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제품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신사업 모델 개발
지원범위
o 스마트 홈 기반 리빙 산업분야의 주요 제품(군)의 사용자 중심 서비스 컨셉 개발
o 사용자 중심의 컨셉 구현이 가능한 제품 및 서비스 제공(Service Delivery) 체계 개발
o 제품-서비스-제조가 연계된 디자인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스마트 홈 서비스 연동 융복합기(스마트 가전, 스마트 가구 등) 및 제조 등 비즈니스 모델
o 제품-서비스 프로토타입 및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 전략 기반 시범사업(시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사업화 제품(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신개념 제품(기술 및 제조)-서비스 연계 디자인 특화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 산업디자인전문회사 및 관련 기술 보유기업 참여 필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유럽은 Horizon 2020을 통해 생활밀착형 융합서비스 중심의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고 있는바,
o 리빙산업은 스마트 홈 환경 기반의 서비스 융합을 통해 가치 확대가 가능하며, ICT 융합 가전, 가구 등 중소․중견기업 주도의 신시장 창출 기대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유럽은 Horizon 2020을 통해 생활밀착형 융합서비스 중심의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고 있는바,
o 이는 리빙산업(제품-서비스 연동)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글로벌 경쟁력 있는 국내 산업분야이기도 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 높음
2017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서비스디자인기반제조업신생태계구축_품목지정
품목명
(12) 라이프케어 산업분야 서비스디자인 융합 제품 디자인개발
개념
o 안전한 삶·편리한 삶·건강한 삶을 구현하기 위한 라이프케어 제품 및 서비스에 따라 적용 가능한 수요 산업을 설정
o 기 개발 또는 개발 중인 라이프케어 산업분야 기술(제품)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 새로운 사용자 경험 창출을 통해 혁신적인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제품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신사업 모델 개발
지원범위
o 라이프케어 산업분야의 주요 제품(군)의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컨셉 개발
o 사용자 중심의 컨셉 구현이 가능한 제품 및 서비스 제공(Service Delivery) 체계 개발
o 제품-서비스-제조가 연계된 디자인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 라이프케어 산업의 방향을 안전한 삶/편리한 삶/건강한 삶 중에서
수요 산업을 설정하여 제품-서비스 연계 비즈니스 모델 개발
o 제품-서비스 프로토타입 및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 전략 기반 시범사업(시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 최종 산출물은 사업화 제품(양산제품)과 구조·성능·외관이 동일한 시제품
※ 신개념 제품(기술 및 제조)-서비스 연계 디자인 특화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전략 제시
※ 산업디자인전문회사 및 관련 기술 보유기업 참여 필수
중소·중견기업
지원필요성
o 미래 인구사회의 변화로 인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등장과 산업 및 기술적 수요에 선제적인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 강조
o 삶의 질 향상에 대한 높아진 기대와 고령화 사회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 할 수 있는 생활편의 기술 등의 발달이 신산업 창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중소·중견기업의 기회로 작용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성
o 선진국은 사물인터넷 적용을 중심으로 인간 삶의 편의·편리, 건강증진 제품과 서비스가 개발되어 시장에 출시되고 있음
o 우수 ICT융합 기술을 보유한 국내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 높음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의 항공우주 및 위성 기술의 민간겸용 사용[GT 심층보고서] (0) | 2016.11.30 |
---|---|
KEIT, 『2016 MMR(MOTIE Medical-device R&D) Fair』 개최-기업과 병원 간 공동연구 성공사례 공유 및 협력 방안 상담 (0) | 2016.11.30 |
[행사안내] K-ICT NET챌린지 캠프 시즌3 시상식 및 KOREN 워크샵 개최 (0) | 2016.11.30 |
2016 전자정부大賞 경진대회 발표평가 및 시상식 안내 (0) | 2016.11.30 |
2017년 K-ICT 디지털콘텐츠 플래그십 프로젝트 수요조사 공고 (0) | 2016.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