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도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작성일 : 2016. 12. 2. 기초연구진흥과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do?mId=MTE5
교육부 공고 제 2016- 346호
미래창조과학부 공고 제 2016- 531호
2017년도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2017년도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선정지원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6년 12월 2일
<주무부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준식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조무제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 창의적ㆍ도전적 기초연구 강화와 우수 연구자 양성을 통해 기초연구 성과의 질적 향상과 창조경제 실현에 기여
□ 대상사업
○ 개인연구지원
사업
사업목적 및 특성
지원대상
최초 지원
후속 지원
연간
연구비
연구
기간
연간
연구비
연구
기간
자
유
공
모
리더연구
미래의 독자적 과학기술과 신기술 개발을 위해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연구자의 심화연구 집중 지원
이공학분야 교원
(전임․비전임),
공공․민간연구소의연구원
3~8억원
9년
(3+3+3)
3~8억원
3년
중견연구
창의성 높은 개인연구를 지원하여 우수한 기초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리더연구자로의 성장 발판마련
0.5~3억원
1~5년
0.5~3억원
1~5년
신진
연구
신진
연구
신진연구자의 창의적 연구의욕 고취 및 연구역량 극대화를 통해 우수 연구인력으로 양성
이공학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공공․민간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박사학위 취득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
0.5~1억원
(필요시
연구환경
구축비
0.5~1억원
추가 지원*)
1~5년
(연구환경
구축비는 1년)
0.5~1억원
1~5년
생애 첫
연구
연구역량 갖춘 신진연구자의 연구기회 확대 및 조기 연구 정착 유도
기초연구사업 수혜 경험이 없는 4년제 대학의 만 39세 이하 전임교원
0.3억원
1~5년
-
-
* 신진연구자 중 현재 소속기관에 임용(계약) 후 3년 이내인 초기 정착기 연구자에게 연구환경구축비 추가 지원(1년차에 간접비 제외 0.5~1억원 지원)
사업
사업목적 및 특성
지원대상
최초 지원
후속 지원
연간
연구비
연구
기간
연간
연구비
연구
기간
자
유
공
모
이공학
개인
기초
연구
기본연구
이공학분야 풀뿌리 개인기초연구를 폭넓게 지원하여 변혁적 연구기반을 확대하고 국가 연구역량 제고
이공학분야 교원
(전임․비전임),
공공․민간연구소의연구원
0.1~0.5억원
1~10년
*SGER은
2~3년
0.1~0.5억원
최대
10년
보호연구
지역대학
우수과학자
한국형
SGER
학문
후속
세대
양성
박사후
국내연수
이공분야 박사후 연구자에게 국내・외 대학 및 연구소 연수기회를 제공하여 학술연구의 지속성 유지 및 연구능력의 질적 향상 유도
국내・외 대학 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인 자
0.4억원
1년
-
-
박사후
국외연수
국내 대학 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인 자
리서치
펠로우
리서치펠로우 고용연구원
(고용예정자 포함)
0.5억원
3년
이내
-
-
대통령
Post-Doc.
펠로우십
만 39세 이하 국내・외 대학 박사학위 취득자
1.3억원
5년
(3+2)
-
-
전
략
공
모
전략과제
기초연구의 전략성과 목적성 강화하고, 국가 경제․사회적 중요성이 큰 기초연구 분야 지원
이공학분야 교원
(전임․비전임),
공공․민간연구소의연구원
※ X프로젝트는
연구역량을 갖춘
일반인/학생 등 가능
1~3억원
1~5년
0.5~3억원
1~5년
X프로젝트
새로운 시각에서 새로운 문제들을 발굴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문제해결에 과감히 도전하는 연구 지원
자율
1년
자율
1년
○ 집단연구지원
사 업
사업목적 및 특성
지원대상
연간 평균
연구비
연구기간
(최대)
선도
연구
센터
이학분야
(SRC)
우수한 이학 분야의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새로운 이론 형성, 과학적 난제 해결 등 국가 기초연구 역량 강화
이공계 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자 10인 내외 연구그룹
13억원
7년
공학분야
(ERC)
우수한 공학 분야의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원천·응용연구 연계가 가능한 기초연구 성과 창출 및 대학 내 산학협력의 거점 역할 수행
20억원
기초의과학
분야
(MRC)
의·치·한의·약학 분야의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사람의 생명현상과 질병 기전 규명 등 국가 바이오·건강분야 연구 역량 강화
기초의과학 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자 10인 내외 연구그룹
10억원
융합분야
(CRC)
초학제간 융합연구 그룹 육성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제, 국민요구 등 신개념의 창의적 결과물, 세계수준의 신지식 창출
이공계 및 인문/사회/예술 분야 등의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자 15인 내외 연구그룹
20억원
기초연구실
특정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소규모 연구그룹의 형성을 지원하여 기초연구 역량 강화
이공계 대학의 교수
3~5인으로 구성
2~5억원
3년
(후속 3년)
글로벌연구실
해외 우수연구주체와의 심화된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강화 및 국내 연구역량 제고
이공계 대학의 교수 2인, 해외공동연구원 1인 이상으로 구성
5억원
6년
(3+3)
대학중점연구소
대학연구소 지원을 통해 대학에 연구거점을 구축하고 젊은 연구자를 양성하여 대학연구소의 특성화・전문화 유도
이공계
대학 부설연구소
5억원
(간접비 및 단계별 특별기자재구입비
별도 지원*)
9년
(3+3+3)
* 단계별 1차년도에 특별지원기자재 구입비 지원(1단계 2억원 이내, 2~3단계 1억원 이내)
<참고 : 총 연구비 및 연간 평균 연구비 개념>
‣ 총 연구비(B) : 전체 연구기간(A) 동안 지원되는 연구비 총액
‣ 연간 평균 연구비(C) : 연구비 총액(B)을 전체 연구기간(A)으로 나눈 금액
- 연간 평균 연구비(C) = 총 연구비(B) ÷ 전체 연구기간(A)
‣ (예시) 연구비를「(1년차)1억원 → (2년차)1.3억원 → (3년차)0.7억원」 지원받는 경우 총 연구비는 3억원, 연 평균 연구비는 1억원이 됨.
2. 2017년도 신규과제 지원규모(안)
○ 신규과제는 2017년에 선정되는 ‘최초 지원과제’와 2017년 종료과제 중 성과가 우수한 ‘후속연구 지원과제’로 구분하여 지원
- 신규과제 공모대상은 최초지원에 한하며, 성과우수 후속연구 지원은 해당 연구책임자에게 별도로 안내하여 접수·평가·선정
(단위 : 백만원, 개)
구 분
신규과제(전체)
최초 지원
후속(추가)연구 지원
과제수
지원예산
과제수
지원예산
과제수
지원예산
개인
연구
자유
공모
리더연구
7내외
4,026
6내외
3,421
1이내
605
중견연구
1,879내외
248,731
1,577내외
218,545
302이내
30,186
신진연구
(생애 첫 연구)
1,543내외
(1,000)
74,422
(30,000)
1,385내외
(1,000)
66,551
(30,000)
158이내
(-)
7,871
(-)
이공학
개인기초
3,144내외
118,711
3,014내외
113,959
130이내
4,752
학문후속
세대양성
594내외
25,914
594내외
25,914
-
-
전략
공모
전략과제
109내외
10,202
62내외
6,167
47이내
4,035
X프로젝트
개인 소계
7,276내외
482,006
6,638내외
434,557
638이내
47,449
집단
연구
선도연구센터
18내외
16,890
16내외
15,340
2이내
1,550
기초연구실
28내외
10,475
28내외
10,475
-
-
글로벌연구실
8내외
2,480
8내외
2,480
-
-
대학중점연구소
7내외
3,662
7내외
3,662
-
-
집단 소계
61내외
33,507
59내외
31,957
2이내
1,550
합 계
7,337내외
515,513
6,697내외
466,514
640이내
48,999
※ 세부 사항은 별첨 세부 사업 안내문을 반드시 확인 ※ 국회 예산 확정 이후 변경될 수 있음.
3. 신청(수행) 자격 및 참여 제한
□ 신청ㆍ선정과제수
○ (신청) 연구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으로,
- 상반기 1차 총 4과제 신청가능(리더연구 1과제, 중견ㆍ신진연구ㆍ이공학개인기초(한국형 SGER) 중 1과제, 학문후속세대양성(대통령 Post-doc.ㆍ박사후 국내외 연수) 중 1과제, 집단연구 1과제)
- 상반기 2차 총 2과제 신청가능(이공학개인기초(기본ㆍ보호ㆍ지역대학) 중 1과제, 학문후속세대양성(리서치펠로우) 1과제)
※ ’16년 이후 선정된 개인연구과제의 공동연구원은 과제 수행 중에는 개인연구 신규과제 연구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으로 신청이 제한됨.
- 하반기 전략공모 과제는 별도 안내 예정
○ (선정) 신청과제 중 개인연구 1개*, 집단연구 1개 과제만 선정
- 개인연구 : 리더연구, 중견연구, 신진연구, 생애 첫 연구, 이공학개인기초(기본·보호·지역대학·한국형SGER), 학문후속세대양성(대통령 Post-doc.ㆍ박사후 국내외 연수), 전략과제
- 집단연구 : 선도연구센터, 기초연구실, 글로벌연구실, 대학중점연구소
* X프로젝트 제외. 연구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으로 동시 선정될 경우 상위사업(리더연구 > 중견ㆍ신진ㆍ이공학개인기초 > 학문후속세대양성)을 우선 선정함.
※ 생애 첫 연구 신청 및 선정에 관한 사항은 별도 안내 예정(우선선정순위 포함)
주 의
‣ 리더연구 선정과제의 연구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이 포함된 중견ㆍ신진연구ㆍ이공학개인기초ㆍ학문후속세대양성 과제는 탈락되며, 중견ㆍ신진연구ㆍ이공학개인기초 선정과제의 연구 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이 포함된 학문후속세대양성 과제는 탈락됨.
‣ 리더연구와 집단연구(선도연구센터, 기초연구실, 글로벌연구실, 대학중점연구소) 연구책임자로 동시에 신청하여 선정될 경우 집단연구 책임자로만 지원함.
<기초연구사업 신청·선정 과제수>
사 업
신청
선정
상반기 1차
(1월초)
상반기 2차
(3월말)
하반기
(7월초)
개인
연구
자유
공모
이공학
개인기초
기본, 보호, 지역대학
-
1개 과제
신청가능
-
1개과제
한국형 SGER
1개 과제신청가능
-
-
신진연구
-
-
중견연구
리더연구
1개 과제 신청가능
-
-
학문후속세대
양성
박사후 국내·외 연수
1개 과제 신청가능
-
-
대통령
Post-doc.
-
리서치
펠로우
-
1개 과제 신청가능
-
전략
공모
전략과제
-
-
1개 과제
신청가능
집단연구
선도연구센터, 기초연구실,
글로벌연구실, 대학중점연구소
1개 과제 신청가능
-
1개
과제
※ 사업추진 여건 및 예산에 따라 신청 시기는 변동 가능
※ 전략공모(X프로젝트)는 상시 공고, 수시모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 예정
※ 생애 첫 연구 신청 및 선정에 관한 사항은 별도 안내 예정(우선선정순위 포함)
□ 신청 및 수행 제한
○ 기존연구 수행자 신청제한
- 개인연구를 수행 중인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원*은 개인연구 신규과제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원으로 신청 불가
* 2015년까지 선정된 공동연구원은 제외
- 집단연구를 수행 중인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원은 집단연구 신규과제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원으로 신청 불가
※ 개인연구 : 리더연구, 중견연구, 신진연구, 이공학개인기초(기본ㆍ보호ㆍ지역대학ㆍ한국형SGER), 학문후속세대양성(대통령Post-docㆍ박사후 국내외 연수ㆍ리서치펠로우), 전략과제
※ 집단연구 : 선도연구센터, 기초연구실, 글로벌연구실, 대학중점연구소
예외
‣ 수행 중인 과제가 신규과제 개시일로부터 10개월 이내 종료하는 경우
‣ X-프로젝트 연구과제를 수행 중인 연구자
○ 1인 1과제로 수행 제한
- 개인연구사업(자유공모, 전략공모) 내에서 연구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으로 1개 과제만 수행(X-프로젝트 제외)
* 2015년까지 선정된 과제의 공동연구원은 제외
- 집단연구사업(선도연구센터, 기초연구실, 글로벌연구실, 대학중점연구소) 내에서 연구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으로 1개 과제만 수행
예외
‣ 수행 중인 과제가 신규과제 개시일로부터 10개월 이내 종료하는 경우
‣ X-프로젝트 연구과제를 수행 중인 연구자
‣ 기초연구사업 세부사업별 참여율 및 사업별 제한사항은 별첨 세부사업 안내문을 확인
○ 정부R&D 공통사항
- (3책5공) 연구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5개 이내로 하며, 그 중 연구책임자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3개 이내
예외
‣ 신청 마감일로부터 4개월 이내 종료되는 과제, ’15년 이전 선정 신진연구자지원사업(‘16~’18년 후속연구로 선정되는 연구과제 포함),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舊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16년 이후 선정과제 중 연간 평균연구비가 5,000만원 이하인 과제
- (참여제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제재 조치를 받은 연구자는 제재기간이 연구계획서 신청마감일 전일까지 종료되는 경우에만 신규과제 신청 및 참여 가능
4. 신청절차
○ 한국연구재단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http://ernd.nrf.re.kr)에 로그인하여 신청
- 연구책임자 작성 및 등록 ⇒ 주관연구기관(소속기관) 승인
연구책임자의 등록정보갱신
(연구업적 등)
연구책임자의
연구계획서 온라인 등록
주관연구기관의
온라인 등록사항
확인・승인
연구과제
신청완료
연구책임자
연구책임자
주관연구기관장
※ 세부 사항은 별첨 세부 사업 안내문을 반드시 확인
5. 평가방법
구 분
1차 평가
2차 평가
개인
연구
신진ㆍ
중견연구
총 연구비 3억원 이하
온라인서면
-
총 연구비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토론
-
총 연구비 5억원 초과
토론
발표
이공학
개인기초
총 연구기간 5년 이하
온라인서면
-
총 연구기간 6년 이상
토론
-
한국형 SGER
토론
발표
학문후속세대양성
박사후 국내·외/
리서치펠로우
온라인서면
-
대통령 Post-Doc.
토론
발표
전략과제
토론
발표
리더연구
토론
해외서면+발표+토론
집단연구
선도연구센터
토론
발표
기초연구실
토론
발표
글로벌연구실
토론
해외서면+발표
대학중점연구소
발표
-
※ 세부평가계획에 의해 변경 가능
※ 생애 첫 연구 평가계획은 추후 별도 수립 및 안내
※ 사업별 평가 항목 및 배점은 별첨 세부사업 안내문을 반드시 확인
6. 연구비 및 연구기간 평가 안내(신진ㆍ중견·전략과제·이공학개인기초)
○ 연구내용에 대한 정성평가와 함께 연구비/연구기간 적정성을 검토 및 조정
< 조정방법 >
구 분
연구비/연구기간 조정 방법
신진 ‧ 중견·전략
총 연구비 3억원 이하
온라인 평가 → 패널심의
총 연구비 3억원 초과~5억원 이하
토론평가
총 연구비 5억원 초과
발표평가
이공학
개인기초
총 연구기간 5년 이하
온라인 평가 → 패널심의
총 연구기간 6년 이상
토론평가
※ 세부 사항은 별첨 세부 사업 안내문을 반드시 확인
7. 신청기간
□ [상반기 1차] 리더연구, 중견연구, 신진연구, 이공학개인기초(한국형 SGER),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 국내·외 연수, 대통령 Post-Doc.), 글로벌연구실*
○ 접수 : 2016.12.26.(월) 09:00 ~ 2017.1.5.(목) 18:00
○ 주관연구기관 승인 : ~ 2017.1.6.(금) 18:00
* 글로벌연구실 접수 마감은 2017.1.12.(목) 18:00 까지(주관연구기관 승인 1.13(금) 18:00)
□ [상반기 1차] 선도연구센터, 기초연구실, 대학중점연구소
○ 접수 : 2017.2.13.(월) 09:00 ~ 2017.2.20.(월) 18:00
○ 주관연구기관 승인 : ~ 2017.2.21.(화) 18:00
□ [상반기 2차] 이공학개인기초(기본연구, 보호연구, 지역대학우수과학자), 학문후속세대양성(리서치펠로우)
○ 접수 : 2017.3.23.(목) 09:00 ~ 2017.3.30(목) 18:00
○ 주관연구기관 승인 : ~ 2017.3.31.(금) 18:00
※ 생애 첫 연구 및 하반기 전략공모 과제는 별도 안내 예정
8. 추진일정(안)
일 정
추진내용
2016. 12월
·2017년도 신규과제 신청 공모
2017. 1월
·상반기 1차 신규과제 접수
2017. 2월~3월
·상반기 1차 신규과제 선정평가
2017. 3월
·상반기 1차 개인연구(신진, 중견) 신규과제 연구 개시(예정)
·상반기 2차 신규과제 접수
2017. 4월~5월
·상반기 2차 신규과제 선정평가
2017. 6월
·상반기 1차 개인연구(리더) 신규과제 연구 개시(예정)
·상반기 1차 집단연구 신규과제 연구 개시(예정)
※ 한국형 SGER, 대통령 Post-Doc. 포함
·상반기 2차 개인연구 신규과제 연구 개시(예정)
2017. 7월
·하반기 신규과제 접수(전략과제)
2017. 8~10월
·하반기 신규과제 선정평가
※ 박사후 국내·외 연수 9월 1일 연수개시
2017. 11월
·하반기 신규과제 연구 개시(예정)
※ 추진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9. 기타사항
□ 과제 협약 시 연구비 집행 윤리서약서 제출 안내
○ 작성대상 : 과제에 선정된 연구자(연구책임자)
○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연구개발비를 투명하게 집행하기 위해 준수해야 할 사항 등을 서약하여 제출
□ 학생연구원 실지급액 하한선 안내
○ 대상과제 : 2017년 협약체결 과제(신규, 계속 포함)
○ 적용대상 : 연 평균 연구개발비가 1억원 이상인 사업 과제
- (舊)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리더연구자지원사업 등
- 개인연구(신진·중견연구, 전략공모 중 해당과제, 리더연구), 집단연구(선도연구센터, 기초연구실, 글로벌연구실)
○ 학생인건비 하한선 적용방법 : 개인별 실지급액 기준으로 석사과정 월 80만원, 박사과정 월 120만원 이상 보장
○ 적용기간 : 과제 협약기간
※ 하한선 적용 예외
- 학생 요청 : 학업 등의 사유로 학생 요청 시 참여율 및 실지급액 조정 가능
- 연구책임자 요청 : 지원대상 학생 수 과다 등의 사유로 연구책임자 요청 시 전문 기관 검토 결과에 따라 한시적으로 예외 인정
※ 세부 사항은 별첨 세부 사업 안내문을 반드시 확인
□ 질병관리본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인체유래물 이용 안내
질병관리본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으로부터 인체유래물*을 분양받아 연구에 이용하려는 연구자는 반드시 담당부서(질병관리본부 생물자원은행과(분양 대표전화 1661-9070))에 사전 확인 후, 자원 활용이 가능한 과제에 한해 신청
* 인체유래물, 혈청, 혈장, 소변, 혈액유래 DNA, LCL유래 DNA 등
□ 2017년도 타부처 연구개발사업 상향식(자유공모) 공모 현황
구분
사업명
연구
유형
공모방식
신규
예산
신규
과제수
공고일
공고분야
미래부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사업 외 18개
개인/
집단
자유공모/
품목지정
258,418
867
’16.12.
이후
전 학문분야 등
산림청
산림생명자원
소재발굴연구 외 2개
개인
자유공모
9,529
55
’17.1.
생명과학/
산림자원학 등
산업부
소재부품산업
전문기술개발사업 외 32개
집단
자유공모/
품목지정
365,551
1,039
’16.12.5.
이후
섬유 등
국토부
국토교통기술
촉진연구 외 2개
개인
자유공모
29,562
133
’16.12.19. 이후
건설/교통
해수부
미래해양산업
기술개발 외 3개
개인/
집단
자유공모
12,831
48
’16.12.
해양/수산
농진청
농업첨단
핵심기술개발
집단
자유공모
2,271
27
’17.1.10
농업분야
중기청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외 9개
개인/
집단
자유공모/
품목지정
570,220
6,178
’16.12.
이후
전 학문분야 등
문체부
문화기술
연구개발 외 2개
집단
자유공모
5,265
22
’17.1.
이후
기술개발 등
(문화산업 관련)
(단위 : 백만원, 개)
※ 기 공고된 사업, 신규예산이 없는 사업은 제외
※ 사업 추진 여건에 따라 신규과제 수 및 공고시기 변동 가능
※ 세부 사항은 별첨자료(2017년 정부부처 연구개발사업 상향식 공모안내) 확인
10. 문의처
○ 사업신청관련 문의: 한국연구재단
구 분
연 락 처
리더연구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042-869-6822)
중견연구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042-869-6824,6825)
신진연구
[신진연구]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042-869-6821)
[생애 첫 연구]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042-869-6622)
전략과제,
X-프로젝트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042-869-6825)
이공학개인기초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지원팀(042-869-6066)
학문후속세대양성
[국내·외 연수/대통령 Post-doc.]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지원팀(042-869-6063)
[리서치펠로우]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지원팀(042-869-6067)
선도연구센터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042-869-6826)
기초연구실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042-869-6822)
글로벌연구실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042-869-6622)
대학중점연구소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지원팀(042-869-6063, 6068)
○ 제도·정책관련 문의 : 교육부 학술진흥과(044-203-6871, 6876)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진흥과(02-2110-2373, 2376)
붙임 : 1. 2017년도 상반기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안내(세부사업별)2. 2017년도 정부부처 연구개발사업 상향식 공모안내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타르 발주 120억 달러 프로젝트 참여 협력키로- 제4차 한-카타르 고위급 전략협의회, 서울에서 개최 (0) | 2016.12.02 |
---|---|
새롭게 발표된 美 전기자동차 법안[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기타 해외동향 (0) | 2016.12.02 |
2016년도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 결과 공고 (0) | 2016.12.02 |
글로벌 빅데이터·핀테크 트렌드 및 신사업 기회 세미나 (한국은행 공동) (0) | 2016.12.02 |
『2017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참가업체 모집 (0) | 2016.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