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발표된 美 전기자동차 법안[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기타 해외동향
2016-12-02 | 미국| 로스앤젤레스무역관
- 전기차, 급성장 가능성 높아 -
- 보행자 위해 저속 주행 시 반드시 주행음 발생해야 -
□ 증가하는 미국 전기자동차 시장
ㅇ 세계적으로나 북미지역에서 가장 돋보이는 자동차 시장은 미국 시장임. 미국 자동차 시장은 2015년에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의 매출을 기록함. 2015년 미국 지역에서 판매된 자동차 판매 수는 약 1750만 대임.
ㅇ 이는 2000년보다 약 5.7% 증가된 수치임. 컨설팅 전문기관 PwC는 2018년까지 미국의 자동차 판매율을 긍정적으로 평가함.
ㅇ 블룸버그의 조사에 따르면, 2040년까지 약 4100만 대의 전기자동차 판매될 것으로 예측됨. 이 수치는 2015년보다 약 90배 증가한 것임.
ㅇ 2014년 전 세계적으로 약 46만2000대가 판매됐으며, 2015년 판매량은 약 60% 증가함. 이 기관은 2022년을 기점으로 가솔린으로 운행되는 차량과 전기자동차의 생산 및 운용 비용이 같아질 것이기 때문에, 2022년에 전기자동차 생산 및 판매가 폭발적인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함.
ㅇ Electric Vehicle Transportation 센터기관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4년 미국에서의 전기자동차 판매는 11만8773대의 차량이 판매된 것으로 조사됨.
ㅇ 이 기관의 조사보고서는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약 20%의 판매 증가량이 지속될 경우, 2024년까지 약 400만 대의 전기자동차가 판매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함.
ㅇ 하지만, 2015년 10월 이 기관의 조사에서 2015년 1월부터 8월까지 판매량이 9%가량 떨어져 판매량 예측의 정확성을 유지하기가 힘든 것으로 나타남.
ㅇ 또 다른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의 전기차 판매대수는 약 11만6099개로 2014년의 12만2438대보다 약 5.2% 감소했다고 함. 이는 2015년에 기름 값이 폭락하면서 전기차량보다 기존의 자동차 판매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ㅇ 하지만, 2016년 1~2월 기간에 판매된 전기자동차는 1만4172개로 동기간 2015년의 판매 수 1만3008대보다 증가해, 전기자동차 시장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보임.
ㅇ 미국은 현재 약 20가지의 다양한 전기자동차 모델이 판매되고 있으며, 약 12개의 생산 제조업체 브랜드가 존재함. 또한, 정부에서도 2012년 'EV Everywhere Challenge'라는 프로젝트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시설 및 사용을 촉진시키자는 의미의 프로젝트를 발표함.
ㅇ 현재 미국 이외에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활발한 시장성을 보여주는 국가들은 중국, 노르웨이, 일본, 독일, 네덜란드 등이 존재함.
전기자동차 시장 성장세 추이
자료원: Bloomberg
□ 새로운 자가용 교통수단의 패러다임, 전기자동차
ㅇ 과학의 발전과 함께 자동차의 다양한 기능들은 인터넷과 연결되고, 곧 인공지능의 기능까지 겸비한 자동차들이 시장으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임.
ㅇ 이러한 트렌드는 현재까지 자동차 생산업체들이 활용해오던 기존의 틀을 조금씩 허물고 있으며, 새롭고 혁신적인 방향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는 중임.
ㅇ 전기자동차와 같은 자동차 시장에 혁신이 시작되자, 전통적인 자동차 생산업체들과 컴퓨터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던 기업들 간의 파트너십이 진행되고 있음. 이러한 파트너십이 맺어지며 자동차 안에 들어가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기술은 소비자들의 구매를 결정 짓는 요소가 되고 있음.
ㅇ 블룸버그의 조사에 따르면, 약 54%의 소비자들은 자동차를 구매할 시 자동차에 다양하고 재미있는 기능이 있는 자동차를 결정할 것이라고 대답함. 또한, 약 48%의 소비자들은 이러한 기능은 쉽게 이용이 가능해야 한다고 대답함.
ㅇ 전기자동차와 스마트카 시장의 발전을 위해서 소프트웨어 및 IT 회사들의 자동차 시장으로의 진출은 필수임. 가장 대표적인 기업들은 Apple과 구글(Google)로, IT 네트워크 및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가장 필수적인 스마트카 요소들을 가장 잘 발전시키고 있는 회사들임.
ㅇ 이들의 자동차 시장의 출현으로 인해 OEM과 같은 생산과정뿐 아니라, 구글과 애플과 같이 자신들만의 독특한 IT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과 기존의 자동차 회사들과의 파트너십은 자동차 시장에서의 성공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 새로운 법안 발표
ㅇ 앞으로 생산될 하이브리드(Hybrid) 및 전기 자동차(electric cars)에 관한 새로운 법안이 11월 14일(미국 기준)으로 통과됨.
ㅇ 새로운 법안은 앞으로 생산될 예정인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들은 저속 주행 시 필히 어떠한 종류의 소리가 발생돼야 한다고 전함.
ㅇ 이번 법안은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들이 주행 시 소리가 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보행자들 관련 사고에 대비해 만들어진 법안으로, 눈이 보이지 않는 장애인들이나 혹은 좋지 않은 시력을 가진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함임을 강조함.
ㅇ 미국 도로교통안전국 NHTSA는 보행자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자동차가 시속 18.6마일(약 29km/h) 이하로 주행할 경우, 필수적으로 주행음을 내도록 규정함.
ㅇ 이번 규정은 오는 2019년 9월 1일부터 적용됨. 제조업체들은 2019년 9월 1일까지 모든 전기 자동차 생산과정 시 주행 소음을 필수적으로 내도록 자동차를 제조해야 하는 의무가 있음. 이 기간 이후에 전기자동차 모델을 내놓을 완성차 업체는 NHTSA의 규정에 맞춰야 함.
ㅇ 미 도로교통안전국의 총무 Anthony씨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의 보급 증가와 함께 전기자동차와 관련된 사건 사고들이 많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대부분 보행자가 전기자동차들의 주행음을 듣지 못해 발생한 사고들이라고 전함. 그는 그렇기 때문에 주행음 장착기능은 전기자동차 산업의 미래에 꼭 필요한 기능이라고 말함.
미 교통도로부 발표자료
자료원: NHTSA
□ 시사점
ㅇ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은 이전의 자동차 시장과는 다르게 기존의 존재하던 자동차 생산 및 부품업체뿐 아니라 다양한 첨단산업의 참여를 일으키고 있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무한 성장 가능성의 시장임.
ㅇ 때문에 미국과 중국과 같이 세계에서 가장 큰 전기자동차 시장을 보유 중인 국가들은 다양한 법안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는 중임.
ㅇ 이번에 수정되는 법안에 따르면 전기자동차들은 저속 주행 시 필히 주행음을 발생시켜야 하며, 이는 모든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함임.
ㅇ 한국 생산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생산 관련 업체들은 미국 수출을 위해 새롭게 개정되는 법안에 대한 정보 파악 및 대응방안 마련이 필수적임.
자료원: Cleantechnica, PwC, nrdc, NHTSA(미 도로교통부) 및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번호 | 제목 | 국가 | 무역관 | 게시일 | 조회수 |
---|---|---|---|---|---|
61576 | 11월 이란 동향 4호(오바마 행정부, 이란 핵합의 보강 시도 외) | 본사 | 본사 | 2016-12-02 | 8 |
61575 | 블랙프라이데이, 칠레 내수시장 진작에 영향 미칠까 | 칠레 | 산티아고 | 2016-12-02 | 12 |
61574 | Prezi의 고향, 헝가리와의 ICT 분야 협력 가능성 | 헝가리 | 부다페스트 | 2016-12-02 | 16 |
61573 | 뜨거워지는 스웨덴 온라인 시장 | 스웨덴 | 스톡홀름 | 2016-12-02 | 22 |
61572 | 독일, Medica 의료기기 수출의 징검다리 II | 독일 | 프랑크푸르트 | 2016-12-02 | 18 |
61571 | 미리 보는 독일 뒤셀도르프 의료기기 전시회(Medica 2016) I | 독일 | 프랑크푸르트 | 2016-12-02 | 21 |
61570 | 일본 자동운전 자동차 세계 제패 노린다(2) | 일본 | 나고야 | 2016-12-02 | 36 |
61569 | 유럽 자동차업계, VW 전기차 개발과 감원 발표에 충격 | 프랑스 | 파리 | 2016-12-02 | 37 |
61568 | 2017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가볼 만한 전시회 10선 | 러시아 | 상트페테르부르크 | 2016-12-02 | 25 |
61567 | Uber, Yandex 우크라이나 택시업계 진출 | 우크라이나 | 키예프 | 2016-12-02 | 21 |
61566 | 스마트워치의 후퇴? 패션업계의 진출? | 미국 | 실리콘밸리 | 2016-12-02 | 36 |
61565 | 2016년 독일 고용시장 동향과 전망 | 독일 | 함부르크 | 2016-12-02 | 29 |
61564 | 폴란드, 무선스피커 시장 급성장 중 | 폴란드 | 바르샤바 | 2016-12-02 | 39 |
61563 | 아르헨티나 안경테 수입제품 가격제한제도 실시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 | 2016-12-02 | 12 |
61562 | 우즈베키스탄 경제특구법 개정, 4개 특구 추가 개설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 | 2016-12-02 | 42 |
61561 | 웰빙식품으로 각광받는 '할랄식품' 인기 | 미국 | 시카고 | 2016-12-02 | 85 |
61560 | 새롭게 발표된 美 전기자동차 법안 | 미국 | 로스앤젤레스 | 2016-12-02 | 55 |
61559 | 日 노인복지시설, 최첨단 IT 시설로 거듭난다 | 일본 | 오사카 | 2016-12-02 | 49 |
61558 | 2016 페루 APEC 정상회담, 주요 성과와 전망 | 페루 | 리마 | 2016-12-02 | 26 |
61557 | 일본, 전자상거래와 가치 소비 | 일본 | 도쿄 | 2016-12-01 | 89 |
61556 | 폴크스바겐 디젤게이트, 스페인에 전화위복되나 | 스페인 | 마드리드 | 2016-12-01 | 86 |
61555 | 독일투자청 GTAI, 현지 진출을 위한 파트너 | 독일 | 함부르크 | 2016-12-01 | 50 |
61554 | 미얀마 페인트 수입시장, 연 10% 성장 | 미얀마 | 양곤 | 2016-12-01 | 122 |
61553 | 라오스 주방기기시장, 작지만 성장할 여지 있어 | 라오스 | 비엔티안 | 2016-12-01 | 85 |
61552 | 인도, 한국산 TDI(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반덤핑 조사 개시 | 인도 | 첸나이 | 2016-12-01 | 111 |
61551 | 헝가리 전력시장에서 살펴보는 기자재 수출 기회 | 헝가리 | 부다페스트 | 2016-12-01 | 107 |
61550 | 독일, LED 조명시장 진출을 위한 팁 | 독일 | 프랑크푸르트 | 2016-12-01 | 100 |
61549 | 호주의 바쁜 아침을 책임지는 식사대용 음료시장 활발 | 호주 | 시드니 | 2016-12-01 | 151 |
61548 | 대만, 힐링 소비가 트렌드 | 대만 | 타이베이 | 2016-12-01 | 180 |
61547 | 미얀마 노동법, 이제는 Business Friendly | 미얀마 | 양곤 | 2016-12-01 | 84 |
61546 | 프랑스, 모바일기기로 즐기는 콘텐츠 노마드 증가세 | 프랑스 | 파리 | 2016-12-01 | 62 |
61545 | 루마니아 저가형 태블릿 수요 급증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 | 2016-12-01 | 56 |
61544 | 캄보디아 보건의료산업 진출 방안 | 캄보디아 | 프놈펜 | 2016-12-01 | 76 |
61543 | 싱가포르 친환경 빌딩 유망품목 동향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2016-12-01 | 65 |
61542 | 인도 2016 한국문화 축제 참관기 | 인도 | 뉴델리 | 2016-12-01 | 60 |
61541 | 인도 국제무역 박람회 2016 참관기 | 인도 | 뉴델리 | 2016-12-01 | 54 |
61540 | 제13회 인도 SME 비즈니스 서밋 참관기 | 인도 | 뉴델리 | 2016-12-01 | 44 |
61539 | 인도네시아 식약청, 의약품 등록절차 간소화 | 인도네시아 | 수라바야 | 2016-11-30 | 117 |
61538 | 프랑스, 초고속인터넷망 구축에 25조 원 투자한다 | 프랑스 | 파리 | 2016-11-30 | 170 |
61537 | 중국, 新 「해관 사후심사 단속 조례」를 살펴보다 | 중국 | 항저우 | 2016-11-30 | 273 |
61536 | 샤프의 AIoT(인공지능x사물인터넷) 홈 어시스턴트를 주목하라 | 일본 | 도쿄 | 2016-11-30 | 182 |
61535 | 2016년 베이징 한중 미래협력플라자 참관기 | 중국 | 베이징 | 2016-11-30 | 86 |
61534 | 꾸준히 성장하는 슬로바키아 유아용 식품시장 |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 | 2016-11-30 | 85 |
61533 | 중소기업 울리는 필리핀발 무역사기 주의보 | 필리핀 | 마닐라 | 2016-11-30 | 2722 |
61532 | 中, 외국 신선식품 온라인 구매 급증 | 중국 | 우한 | 2016-11-30 | 664 |
61531 | 아세안 비관세장벽 ④ - 전기전자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2016-11-30 | 119 |
61530 | 루마니아, 컨슈머 헬스시장 성장세 지속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 | 2016-11-30 | 83 |
61529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스위스 스마트홈 시장 | 스위스 | 취리히 | 2016-11-30 | 379 |
61528 | 카자흐스탄 전자상거래 시장은 성장 중 | 카자흐스탄 | 알마티 | 2016-11-30 | 183 |
61527 | 베네수엘라의 프랜차이즈 사례연구 | 베네수엘라 | 카라카스 | 2016-11-30 | 95 |
61526 | 인도네시아 플라스틱 산업 유망분야는 자동차부품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 2016-11-30 | 208 |
61525 | VR기술 이용해 도약하는 中 산업 | 중국 | 청두 | 2016-11-30 | 137 |
61524 | 에콰도르 인터넷 쇼핑, 해외직구 전성시대 | 에콰도르 | 키토 | 2016-11-30 | 92 |
61523 | 日 LED 시장 블루오션, 식물공장용 LED | 일본 | 오사카 | 2016-11-30 | 416 |
61522 | 파나마 휴대폰 케이스 시장 동향 | 파나마 | 파나마 | 2016-11-30 | 89 |
61521 | ‘착한’ 콜롬비아 기업의 등장 | 콜롬비아 | 보고타 | 2016-11-30 | 78 |
61520 | 멕시코, 이러닝 성장 가능성 높아 | 멕시코 | 멕시코시티 | 2016-11-30 | 161 |
61519 | 태국-중국, 제로달러투어 규제 강화 | 태국 | 방콕 | 2016-11-29 | 134 |
61518 | 활기 띠는 태국 신재생에너지 사업, 매력 요인 및 유의점 [1] | 태국 | 방콕 | 2016-11-29 | 185 |
61517 | 중국, 온라인에서 어떤 가전제품이 잘 팔리나? | 중국 | 칭다오 | 2016-11-29 | 328 |
61516 | 브라질, 자동차 부품 시장 회복세로 전환 | 브라질 | 상파울루 | 2016-11-29 | 179 |
61515 | 日, 2016년 히트 상품 | 일본 | 후쿠오카 | 2016-11-29 | 378 |
61514 | 日, 2017년 히트 예감 상품들 | 일본 | 후쿠오카 | 2016-11-29 | 594 |
61513 | '한- 브라질 신재생 에너지 워크샵' 참관기 | 브라질 | 상파울루 | 2016-11-29 | 81 |
61512 | [무역관 르포] 1인 미디어 시대, 누구나 유명인이 될 수 있다 | 미국 | 로스앤젤레스 | 2016-11-29 | 209 |
61511 | 2016 콜롬비아 국제모터쇼 참관기 | 콜롬비아 | 보고타 | 2016-11-29 | 68 |
61510 | 인도네시아 인프라 시장 두드리는 중국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 2016-11-29 | 244 |
61509 | EU, 전기자전거/E-Bike용 배터리 안전 표준기준 공포 | 독일 | 뮌헨 | 2016-11-29 | 202 |
61508 | 덴마크 건축박람회(Building Green) 관람기 | 덴마크 | 코펜하겐 | 2016-11-29 | 68 |
61507 | 미 대선 결과에 따른 폴란드-미국 간 관계 전망 | 폴란드 | 바르샤바 | 2016-11-29 | 100 |
61506 | 트럼프 당선이 칠레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칠레 | 산티아고 | 2016-11-29 | 128 |
61505 | 2017년, 러시아 폐기물 처리 시장이 바뀐다 | 러시아 | 블라디보스톡 | 2016-11-29 | 176 |
61504 | 극동러, 중고차 절단 편법 수입 증가 | 러시아 | 블라디보스톡 | 2016-11-29 | 115 |
61503 | 독일, 트럼프 당선 후 독-미 간 통상 이슈 전망 | 독일 | 프랑크푸르트 | 2016-11-29 | 127 |
61502 | 스페인, 크리스마스 선물을 알면 소비시장이 보인다 | 스페인 | 마드리드 | 2016-11-28 | 238 |
61501 | 한국 제품에 관심 지대한 2016 Feel Korea Fair | 필리핀 | 마닐라 | 2016-11-28 | 163 |
61500 | [전문가 기고]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의 기회와 성공을 위한 조건들 | 중국 | 상하이 | 2016-11-28 | 419 |
61499 | 대서방 식품수입금지, 러시아에 독인가 득인가 | 러시아 | 모스크바 | 2016-11-28 | 153 |
61498 | 2016 마이애미 스킨케어 & 스파 전시회 참관기 | 미국 | 마이애미 | 2016-11-28 | 94 |
61497 | 中 신규 건강정책 발표, 건강서비스 산업에 주력 | 중국 | 샤먼 | 2016-11-28 | 461 |
61496 | [무역관 르포] 러시아도 이제 스마슈머가 시장을 주도하는 시대 | 러시아 | 모스크바 | 2016-11-28 | 331 |
61495 | 브라질 온라인시장, 블랙프라이데이 매출 급증 | 브라질 | 리우데자네이루 | 2016-11-28 | 226 |
61494 | Masala Family Festival 2016 전시회 참관기 | 파키스탄 | 카라치 | 2016-11-28 | 138 |
61493 | 아르헨티나, 3년 만에 통계조작국 오명 벗어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 | 2016-11-28 | 159 |
61492 | 말레이시아, 대규모 태양광 프로젝트 쿼터 배정 임박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 2016-11-28 | 243 |
61491 | 브라질 제조업 지원정책, WTO 규정 위반! | 브라질 | 상파울루 | 2016-11-28 | 252 |
61490 | 美 2017년 해상 컨테이너 운임 하락 전망 | 미국 | 뉴욕 | 2016-11-28 | 354 |
61489 | 테슬라, 전기차 100만 대 시대 어떻게 여나 | 미국 | 디트로이트 | 2016-11-28 | 441 |
61488 | 빠르게 성장하는 체코 온라인시장, 소비자 트렌드 짚어보기 | 체코 | 프라하 | 2016-11-28 | 178 |
61487 | 핀란드, 러시아발 훈풍을 탈 수 있을까? | 핀란드 | 헬싱키 | 2016-11-28 | 119 |
61486 | 인도 식품 가공산업 동향 | 인도 | 뭄바이 | 2016-11-28 | 172 |
61485 | 향후 30년간 자동차 산업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 미국 | 디트로이트 | 2016-11-28 | 454 |
61484 | 스벅보다 집에서, 미국 홈카페 시장동향 | 미국 | 워싱톤 | 2016-11-28 | 251 |
61483 | [무역관 르포] 폴란드, 은색주머니를 공략하라 | 폴란드 | 바르샤바 | 2016-11-28 | 137 |
61482 | 스마트, 패셔너블한 홍콩 안경시장 | 홍콩 | 홍콩 | 2016-11-28 | 168 |
61481 | 오스트리아, 새로운 투자 인센티브 시행으로 투자 활성화 기대 | 오스트리아 | 빈 | 2016-11-28 | 139 |
61480 | 네덜란드가 그려보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미래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 | 2016-11-28 | 328 |
61479 | [무역관 르포] 눈 앞에 펼쳐지는 또 다른 현실, 가상·증강현실 | 미국 | 로스앤젤레스 | 2016-11-28 | 314 |
61478 | 中 사이버보안법 시행 예정, 인터넷 단속 강화된다 | 중국 | 베이징 | 2016-11-28 | 469 |
61477 | 고공 행진하는 한국 화장품, 내년부터 캐나다서 무관세 | 캐나다 | 토론토 | 2016-11-25 | 891 |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자료)산업부, 한중 통상관계 점검회의 개최-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입규제, 비관세장벽, 현지 진출기업 애로사항 등 점검 (0) | 2016.12.02 |
---|---|
카타르 발주 120억 달러 프로젝트 참여 협력키로- 제4차 한-카타르 고위급 전략협의회, 서울에서 개최 (0) | 2016.12.02 |
2017년도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0) | 2016.12.02 |
2016년도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 결과 공고 (0) | 2016.12.02 |
글로벌 빅데이터·핀테크 트렌드 및 신사업 기회 세미나 (한국은행 공동) (0) | 2016.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