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17년 1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KOTRA, 심층보고서]

하이거 2017. 1. 21. 16:47

20171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KOTRA, 심층보고서]

 

20171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총서번호 : GMR 17-002발간일 : 2017-01-20게재일 : 2017-01-20

 

 

http://news.kotra.or.kr/user/reports/kotranews/20/usrReportsView.do?page=1&reportsIdx=6955&orderByType=image&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ReportGbn=title&searchText=&searchAreaCd=&searchIndustryCateIdx=&CSRFToken=3f6b2509-3dfd-4b9c-bad6-e64287455790














2017년.. 1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Global.. Market.. Report.. 17-002
Global.. Market.. Report

1. 2017년 1분기 수출전망 개관 / 2
2. 2017년 1분기 지역별 수출전망 / 2
3. 2017년 1분기 품목별 수출전망 / 3
4. 보조지수 평가 / 5
[부록] KOTRA 수출선행지수 개요 / 7
CONTENTS
목 차

Global..Market.. Report.. 17-002
- 2 -
1... 2017년.. 1분기..수출전망..개관
□ 1분기 수출여건, 3분기 연속 기준치 상회하며 회복에 대한 기대감 증가
. 1분기 수출선행지수가 지난 4분기(51.5)대비 3.2p 상승한 54.7을 기록
하면서, 수출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냄.(50 이상은 前분기 대비 호조)
- 3분기 연속 기준치(50)를 상승하며 상대적인 회복세를 기대하고 있으며,
전년동기와 비교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음. 국제 유가 상
승에 따른 수출입 단가 상승도 수출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KOTRA.. 수출선행지수.. 추이
’15.1Q ’15.2Q ’15.3Q ’15.4Q ’16.1Q ’16.2Q ’16.3Q ’16.4Q ‘17.1Q 증감(p)
56.0 50.1 50.8 46.3 46.5 48.8 59.4 51.5 54.7 +3.2
*.. 신규.. 산식(’17년.. 1분기부터.. 적용)에.. 따라.. 산출된.. 지수임.
2... 2017년.. 1분기..지역별..수출전망
□ 중국·유럽·북미 상승세와 일본·중남미·중동아 등 전분기 대비 부진 전망
. 호조: 중국(60.4), 유럽(60.1), 북미(58.0) 지역의 상대적 호조세
- 중국(+5.4)과 유럽(+9.2)은 前분기 대비 큰 폭으로 지수가 상승하였으며
특히 중국은 소비시장 확대가 긍정적인 요인으로 예상됨.
- 미국(58.0)의 경우도 고용시장 회복과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완만한
성장세가 예상되며, 러시아·CIS(68.2)의 경우 2017년 경제성장률 플러스
전환에 대한 기대가 커지며 수출 증가 전망으로 이어짐.
. 부진: 일본(33.3), 중남미(44.5), 중동아(40.8)는 기준치를 하회
- 일본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을 반영, 2분기 연속 기준치를 큰 폭으로 하회
- 중남미와 중동아 지역은 경기 회복 지연과 정정불안에 따른 영향으로
인해 저조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신규산식 적용 지수 발표> 수출선행지수의 예측력 증대를 위해 기존의 단순계산 방식을 벗어나 복합가중
(오더금액별*지역별 수출비중)을 적용한 신규산식을 개발하여 2017년 1분기부터 개편·적용함.

2017년.. 1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 3 -
지역별.. 수출선행지수.. 추이
구분 중국 아시아 북미 유럽 중동아 일본 중남미 CIS
’14.4Q 60.3.. 51.4.. 69.8.. 53.1.. 68.3.. 63.6.. 56.5.. 56.5..
’15.1Q 60.8.. 50.3.. 61.9.. 62.1.. 46.5.. 58.5.. 44.0.. 40.9..
’15.2Q 47.1.. 47.5.. 53.5.. 52.8.. 69.8.. 48.8.. 41.6.. 14.8..
’15.3Q 52.0.. 47.2.. 64.3.. 63.4.. 42.6.. 30.6.. 37.9.. 16.7..
’15.4Q 43.1.. 46.3.. 55.4.. 67.9.. 37.2.. 53.5.. 18.5.. 20.2..
’16.1Q 46.0.. 56.1.. 47.5.. 43.7.. 51.6.. 41.7.. 12.5.. 45.1..
’16.2Q 44.9.. 50.1.. 54.5.. 59.2.. 39.9.. 46.7.. 50.6.. 28.1..
’16.3Q 64.4.. 64.0.. 61.6.. 61.4.. 33.9.. 51.8.. 44.8.. 59.8..
’16.4Q 54.8.. 49.7.. 71.4.. 50.9.. 21.7.. 33.1.. 48.8.. 65.7..
’17.1Q 60.4.. 52.3.. 58.0.. 60.1.. 40.8.. 33.3.. 44.5.. 68.2..
증감(p) +5.4.. +2.6.. -13.4.. +9.2.. +19.1.. +0.2.. -4.3.. +2.5..
주1).. 중국은.. 홍콩과.. 대만을.. 포함,.. 2).. 아시아는.. 중국,.. 일본.. 제외한.. 아시아·대양주.. 지역을.. 포함
3... 2017년.. 1분기..품목별..수출전망
□ 자동차부품, 석유제품, 무선통신, 철강제품 등 호전될 전망이나, 자동
차, 반도체의 경우 위축될 것으로 예상
. 호조: 자동차부품, 석유제품 등 수출 양호 전망
- 자동차부품(67.0)의 경우 미국 자동차 내수 시장의 안정세가 지속되는 상황과
중국·EU 등 주요 수출 시장의 경기 안정화를 반영하여 전 지역에서 수출
증가 기대
- 석유제품(59.4)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단가 상승으로 증가세 기대
- 섬유류, 일반기계, 평판디스플레이, 컴퓨터, 식품류, 가전제품, 석유화학
등은 약간 증가하거나 前분기 수준 유지 전망
. 부진: 자동차(42.7), 반도체(42.1) 등 주력품목 수출 부진 전망
- 자동차(-10.3p)의 경우 신흥시장 불안정성 및 국내 업체의 해외 생산 비중
확대에 따라 수출 물량 증가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반영
- 반도체 수출부진 전망은 특히 아대양주·일본지역의 감소세가 영향을 미쳤
으며, 지난 2분기동안 수출호조세를 보인 기저효과로 예측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예상

Global.. Market.. Report.. 17-002
- 4 -
주요.. 품목별.. 수출선행지수.. 추이
품목 ’16.3Q ’16.4Q ’17.1Q 증감(p) 품목 ’16.3Q ’16.4Q ’17.1Q 증감(p)
무선통신 76.4 64.0 61.1 -2.9 철강 47.6 40.8 57.1 +16.3
반도체 60.0 68.5 42.1 -26.4 석유화학 58.2 51.4 50.5 -0.9
평판디스플레이 57.5 50.0 52.2 +2.2 석유제품 41.9 60.0 59.4 -0.6
가전 56.7 36.8 51.4 +14.6 컴퓨터 29.0 37.0 51.7 +14.7
자동차 57.7 53.0 42.7 -10.3 섬유류 51.7 57.8 54.5 -3.3
자동차부품 54.5 48.8 67.0 +18.2 식품류 53.6 43.0 51.5 +8.5
일반기계 47.4 51.5 52.3 +0.8 기타 50.1 57.9 69.9 +12.0
*.. 新.. 유망소비재인.. 화장품·의약품.. 등은.. 기타품목에.. 포함
◈ KOTRA.. 수출선행지수로.. 보는.. 2017년.. 1분기.. 지역별.. 유망품목.. 전망 ◈
... 유럽 평판디스플레이(99.3), 섬유류(98.2), 자동차부품(70.9), 일반기계(66.9)
... 북미 무선통신기기(74.7), 식품류(74.5), 가전제품(70.2), 철강제품(59.9)
... 아시아 가전제품(80.1), 철강제품(76.5), 자동차부품(71.4), 일반기계(62.0)
... 일본 자동차부품(51.3)
... 중국
철강제품(75.3), 무선통신기기(72.3), 자동차부품(70.0), 섬유류(66.3), 식품류(65.0),
일반기계(63.3)
... 중남미 자동차(60.9), 자동차부품(56.1), 가전제품(50.1)
... 중동아 자동차부품(70.2), 석유화학(61.4), 무선통신기기(59.0)
... CIS 자동차부품(73.4)
주1).. 해당.. 지역의.. 관측수가.. 12개미만인.. 품목은.. 제외
.. 주2).. 아시아는.. 동남아·서남아.. 및.. 대양주를.. 포함하며,.. 중국은.. 홍콩·대만을.. 포함

2017년.. 1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 5 -
4...보조지수..평가
□ 보조지수가 전체적으로 소폭 하락한 가운데 품질경쟁력지수는 기준치 상회
. 수입국경기지수(46.7)는 6분기 연속 기준치 하회로 불안정성 반증
- 유럽(57.0)과 북미(60.2) 지역에서 높은 지수를 나타내며 회복 전망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前분기 대비 하락
- 일본(45.5)의 경우 확장적 재정 정책에 따른 소비·투자 활성화에 대한
기대로 前분기 대비 상승(+8.0)하였으나 엔화 약세에 대한 우려를 반영
하여 여전히 기준치는 하회하는 양상
. 가격경쟁력지수(46.1)는 3분기 연속 하향 추세로 기준치를 하회
- CIS(51.8), 중동아(51.5), 아시아(50.7) 등에서 가격경쟁력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일본(46.4), 유럽(43.6) 등 지역에서 기준치를 하회하는 양상
. 품질경쟁력지수(56.5)는 前분기보다 2.2p 하락하였으나 기준치 상회
- 유럽(+0.7), 중동아프리카(+1.7p) 지역에서 前분기 대비 상승하였으나 지속적
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기준치를 상회함.
- 일본은 지난 분기를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기준치를 하회하고 있어 관리 필요
KOTRA.. 보조지수.. 추이
구분 ’15.4Q ’16.1Q ’16.2Q ’16.3Q ’16.4Q ‘17.1Q 증감(p)
수입국경기지수 45.1 47.3 43.9 44.8 48.2 46.7 -1.5
가격경쟁력지수 47.5 48.0 50.7 48.4 47.9 46.1 -1.8
품질경쟁력지수 54.8 54.3 56.0 56.2 56.3 54.1 -2.2
’17년.. 1분기.. 지역별.. 보조지수
구분 중국 아시아 북미 유럽 중동아 일본 중남미 CIS
수입국경기지수
44.0 46.3 60.2 57.0 35.6 45.5 30.7 43.5
(-0.8) (-9.6) (+1.3) (+4.8) (+0.1) (+8.0) (-8.6) (+3.9)
가격경쟁력지수
41.5 50.7 50.2 43.6 51.5 42.4 47.7 51.8
(-2.8) (+1.2) (-3.1) (-3.6) (+2.4) (-7.2) (-1.4) (+2.2)
품질경쟁력지수
51.4 55.1 57.7 55.5 59.5 46.4 56.4 50.7
(-2.5) (-2.6) (-4.0) (+0.7) (+1.7) (-5.7) (-1.7) (-3.4)
.. *.. (.. )는.. 前분기.. 대비.. 증감.. 수치(p)

Global.. Market.. Report.. 17-002
- 6 -
부록 KOTRA.. 수출선행지수.. 개요
1. KOTRA 수출선행지수 개관
. 조사목적 : 한국제품을 수입하는 바이어의 오더 증감여부를 조사하여
해외관점에서 보는 객관적인 우리나라 수출전망 지표로서 제공
. 조사내용 : 해외 바이어 대상 한국산 수입 오더금액의 前분기 대비
변동여부(증가·유지·감소)를 조사하고 이를 지수화하여 산출
- 보조지수(한국제품의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 수입국 경기)에 대해
서도 설문하여 지수 작성
. 2017년 1분기 조사대상 바이어
- 조사기간 : 2016년 12월 1일 ~ 12월 20일
- 응답자수 : 해외바이어 및 주재상사 근무자 2,281명
- 지역별 응답자 내역 : 유럽(464명), 북미(226명), 아대양주(403명), 일본(112명),
중국(364명), 중남미(244명), 중동아(329명), CIS(139명)
2. 수출선행지수 산출방법
. 지수해석 : 지수는 0~100의 값을 가지며, 지수가 50 이상이면 前분기
대비 수출경기 호조, 50 미만이면 수출경기 부진을 의미
. 신규 산식 개발 : KOTRA는 수출선행지수의 공신력 제고를 위한
예측력 증대를 위해 산식개선작업을 시행하였으며, 2017년 1분기부터
신규 산식을 적용
- 기존의 일괄 계산방식을 벗어나 복합가중(지역별 수출비중 및 응답
바이어의 분기별 평균 오더금액 비중)을 적용하여 실제 현장 분위기 반영

2017년.. 1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 7 -
기존식 신규.. 산식(2017년.. 1분기부터.. 적용)
(오더금액.. 증가.. 바이어.. 비중x1..
+.. 유지.. 바이어.. 비중×0.5).. ×.. 100
.. *.. 오더금액.. 증가.. 및.. 유지.. 바이어.. 비중을..
바탕으로.. 지수산출
**.. 증감원인.. 분석을.. 위해..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 수입국경기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지수.. 산출
..   
.  

..
.  
.
... .
.
.. *.. 기존.. 산식에.. 바이어.. 분기별.. 평균.. 오더금액.. 및..
지역별.. 실제.. 수출비중의.. 가중치.. 반영
**.. 지역별.. 지수.. 및.. 보조지수(가격·품질경쟁력,..
수입국경기지수)는..각각..오더금액.. /..지역수출비중..적용
산식.. 개선사항.. 비교
..
*.. 신규.. 산식은.. 민간경제연구소.. 전문가가.. 개발하였으며,.. 통계.. 전문가.. 자문단과.. 검증하였음.
수출선행지수
수입국경기지수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
연도 분기 기존.. 지수 신규.. 지수
2009 4분기 51.0.. 65.3.. 62.9.. 51.1.. 56.2..
2010 1분기 50.6.. 59.4.. 61.9.. 52.0.. 57.6..
2010 2분기 51.6.. 63.0.. 61.4.. 50.0.. 59.1..
2010 3분기 53.2.. 63.7.. 62.5.. 49.6.. 56.6..
2010 4분기 52.8.. 56.4.. 59.8.. 51.7.. 58.3..
2011 1분기 52.8.. 54.9.. 59.4.. 52.3.. 57.6..
2011 2분기 57.5.. 66.6.. 57.8.. 53.1.. 58.2..
2011 3분기 57.9.. 66.0.. 55.3.. 48.9.. 57.2..
2011 4분기 53.6.. 57.1.. 47.2.. 51.8.. 56.7..
2012 1분기 51.6.. 48.8.. 44.7.. 52.5.. 59.3..
2012 2분기 51.7.. 51.0.. 51.1.. 52.2.. 59.3..
2012 3분기 54.0.. 55.2.. 46.6.. 51.4.. 58.9..
2012 4분기 50.7.. 49.7.. 42.2.. 50.0.. 58.4..
2013 1분기 51.8.. 58.0.. 48.6.. 48.4.. 56.8..
2013 2분기 54.1.. 64.7.. 57.4.. 49.6.. 57.9..
2013 3분기 55.8.. 62.8.. 54.4.. 49.2.. 57.1..
2013 4분기 51.9.. 52.3.. 51.4.. 49.1.. 56.0..
2014 1분기 52.7.. 50.7.. 51.0.. 49.5.. 55.9..
2014 2분기 51.9.. 55.7.. 52.8.. 50.1.. 56.8..
2014 3분기 51.4.. 59.4.. 53.7.. 45.1.. 56.1..
2014 4분기 52.1.. 59.5.. 52.8.. 46.0.. 56.1..
2015 1분기 52.0.. 56.0.. 53.5.. 49.6.. 55.9..
2015 2분기 48.5.. 50.1.. 50.2.. 49.9.. 56.5..
2015 3분기 51.9.. 50.8.. 51.1.. 47.2.. 55.1..
2015 4분기 48.6.. 46.3.. 45.1.. 47.5.. 54.8..
2016 1분기 50.0.. 46.5.. 47.3.. 48.0.. 54.3..
2016 2분기 47.8.. 48.8.. 43.9.. 50.7.. 56.0..
2016 3분기 50.0.. 59.4.. 44.8.. 48.4.. 56.2..
2016 4분기 49.6.. 51.5.. 48.2.. 47.9.. 56.3..
2017 1분기 50.6.. 54.7.. 46.7.. 46.1.. 54.1..
신규.. 산식을.. 적용한.. 개정된.. KOTRA.. 수출선행지수.. 및.. 보조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