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17년 1월 수출입 동향

하이거 2017. 2. 1. 13:17

20171월 수출입 동향

 

담당부서수출입과 등록일2017-02-01

 

 




































 
2017년 1월 수출입 동향


1월 수출 403억달러(+11.2%), 수입 371억달러(+18.6%)


1. 1월 수출입 동향 개요

□ (금액) 1월 수출 403억달러(전년동기대비 +11.2%), 수입 371억달러(+18.6%), 무역수지 32억달러 흑자 기록(60개월 연속 흑자)

 ㅇ 1월 수출․수입은 ‘16.11․12월에 이어 3개월 연속 전년동기대비 증가

   * 3개월 연속 수출증가는 ‘14.4월 이후 33개월만, 3개월 연속 수입증가는 ’14.9월 이후 28개월만에 최초
   * ‘17.1월 외국인 대상 국산품 면세점 판매액은 1.7억불(총 수출 실적에는 미반영)

< 1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 : 억달러, %)

2016년
2017년
1월
11월
12월
1~12월
1월p
수  출
363 (△19.6)
453(2.3)
451(6.4)
4,955 (△5.9)
403 (11.2)
수  입
313 (△20.3)
372 (9.3)
383(8.0)
4,061(△7.0)
371 (18.6)
무역수지
49
81
68
894
32


< 수출입증가율 추이(%) >

< 무역수지(억달러) >



□ (일평균 수출) 일평균 수출은 16.4% 증가로 ‘11.8월 이후 65개월만에, 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도 18.8% 증가로 ‘11.9월 이후 64개월만에 최대증가율 기록

   * 일평균 수출증감률(%) : (‘16.8)▵5.9→(9)▵3.7→(10)▵1.0→(11)▵1.9→(12)4.2→(’17.1)16.4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증감률(%) : (‘16.8)▵9.6→(9)▵3.2→(10)▵3.2→(11)3.7→(12)5.5→(’17.1)18.8
 ㅇ 일평균 수출금액은 18.8억불,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금액은 17.7억불

   * 일평균 수출액(억불) : (‘16.8)16.7→(9)19.5→(10)18.7→(11)18.9→(12)18.4→(’17.1)18.8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액(억불) : (‘16.8)15.4→(9)18.4→(10)17.5→(11)17.4→(12)17.5→(’17.1)17.7

□ (물량·단가) 수출물량은 2개월만에 증가 전환, 단가는 2개월 연속 증가

    * (물량) 반도체․평판DP․석유화학 등 증가 영향
    * (단가) 석유제품․석유화학․반도체․평판DP 등 상승 영향



16.1Q
16.2Q
16.3Q
16.4Q
16.10월
16.11월
16.12월
17.1월p
 *
수출물량증감률(%)
0.7
1.6
▵1.7
▵1.2
▵3.4
+3.3
▵3.3
+5.2

수출단가증감률(%)
▵14.3
▵8.2
▵3.3
+3.1
+0.3
▵0.9
+10.0
+5.7


□ (원화표시 수출) 전년동기대비 +9.7%, ‘15.1월 이후 2년만에 3개월 연속 증가, ’12.2월 이후 59개월만에 최대 증가율 기록



‘16.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7.1월p
*
원화표시 수출증감률(%)
2.2
▵10.5
▵3.3
▵12.1
▵5.1
+3.2
+7.3
+9.7

    * 원/달러 환율(₩/$)  :  ('16.1월) 1,201.7   →  ('17.1월) 1,185.1(▵1.4%)
 
2. 품목별․지역별 수출 동향

□ (주력품목) ‘14.7월 이후 30개월만에 2개월 연속 증가, ’12.2월 이후 4년 11개월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 기록(+12.8%),  13대 품목 중 8개 품목 수출 증가

    * 13대 품목 수출증감률(%) : (‘16.8)1.7→(9)△8.2→(10)△3.6→(11)△1.0→(12)5.7→(’17.1)12.8


* 수출증감률(%) : (석유제품)67.4  (반도체)41.6  (석유화학)34.9  (평판DP)20.8 (철강)8.5  (일반기계)8.0  (컴퓨터)1.1  (차부품)0.0  (섬유)▵2.2  (자동차)▵4.7  (가전)▵16.1  (무선통신기기)△17.0  (선박)△17.5


◇ (증가) 반도체․석유제품․석유화학․평판DP․일반기계 등 8개 품목

  ㅇ (반도체) 스마트폰 탑재용량 증가 및 메모리 단가 상승으로 4개월 연속 증가, 사상 최대 월간 수출실적 기록(64.1억불)

    * D램 현물가격(4Gb, $): (’16.10)2.34 →(11)2.55 →(12)2.72 →(’17.1p)2.99
    * 증감률(%) : (’16.7)▵2.6→(8)2.5→(9)△2.6→(10)1.7→(11)11.6→(12)22.4→(‘17.1)41.6
  ㅇ (석유제품) 제품수출단가 상승으로 ‘12.11월 이후 50개월만에 3개월 연속 증가, ‘11.8월 이후 최대 증가율 기록

     * 수출단가 및 증감률($/B,yoy) : (‘16.1월)40.7 → ('17.1월e)62.0(52.3%↑)
     * 증감률(%) : (’16.7)▵12.1→(8)▵24.5→(9)▵12.0→(10)▵1.4→(11)0.8→(12)14.3→(’17.1)67.4

  ㅇ (석유화학) 수출단가 상승 및 신증설 설비 가동에 따른 생산능력 확대로 ‘14.10월 이후 27개월만에 4개월 연속 증가, ‘14.12월 이후 최대 수출실적 기록(35.3억불)

    * 수출단가($/톤,전년비%) : (’16.1월) 978 → (’17.1월e) 1,139 (16.5↑)
    * 증감률(%) : (’16.7)▵12.5→(8)4.2→(9)▵0.3→(10)0.1→(11)20.0→(12)8.4→(‘17.1)34.9

  ㅇ (평판DP) OLED 수요 지속 증가, LCD 패널 가격 상승 등으로 ’13.5월 이후 44개월만에 3개월 연속 증가, ‘13.1월 이후 최대 증가율 기록

    * 55인치(TV) LCD 가격($/yoy): (’16.1)186 → (’16.12)208(5.6%)→(’17.1)210(12.9%)
    * 증감률(%) : (’16.7)▵19.2→(8)▵7.1→(9)▵3.8→(10)▵4.8→(11)2.4→(12)14.5→(‘17.1)20.8

  ㅇ (일반기계) 對중동(인프라 투자 확대), 아세안(도로건설 SOC 증대) 지역으로의 건설기계 수출 상승세 등에 힘입어 3개월 연속 증가

    * 1.1-20일 수출금액/증감률(억불) : (아세안)3.7(52.3%), (중동)1.9(35.0%)
    * 증감률(%) : (’16.7)▵7.2→(8)▵3.0→(9)▵4.9→(10)▵8.5→(11)14.4→(12)2.1→(‘17.1)8.1

  ㅇ (철강) 철강재 수출단가 상승세 지속으로 ‘14.12월 이후 2년 만에 3개월 연속 증가

    * 철강재 단가 증감률(yoy) : ('16.10)3.0%→(11)7.6%→(12)8.2%→(‘17.1e)10.5%
    * 증감률(%) : (’16.7)▵11.2→(8)4.7→(9)▵4.4→(10)▵0.9→(11)10.7→(12)0.7→('17.1)8.5

  ㅇ (컴퓨터) 기술경쟁력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SSD 중심 수요 증가 및 단가상승으로 9개월 연속 수출 증가

    * 낸드플래시 공급부족으로 ‘17.1분기 SSD 가격 10% 이상 상승 전망(DRAM eXchange)
    * 증감률(%) : (’16.7)39.1→(8)23.3→(9)13.2→(10)7.1→(11)13.1→(12)21.6→(‘17.1)1.1

  ㅇ (차부품) 차량용 구동모터, 가솔린 엔진용 부품품 등 수출 증가로 전년대비 소폭 증가

     * 증감률(%) : (’16.7)▵10.6→(8)2.7→(9)4.2→(10)▵7.2→(11)2.5→(12)▵5.5→(’17.1)+0.0

 ◇ (감소) 선박․가전․무선통신기기․자동차․섬유 등 5개 품목

  ㅇ (선박) 고부가가치선인 LNG운반선, 에탄가스운반선 2척 포함 총 26척 수출

     * 증감률(%) : (‘16.8)89.4→(9)▵13.9→(10)48.7→(11)▵37.6→(12)▵14.1→(’17.1)▵17.5

  ㅇ (무선통신기기) 갤럭시노트7 단종 영향 지속 및 신규전략폰 출시시기 변동(갤럭시 S출시 : ’16년 3월→’17년 4월)영향으로 부분품 수출 감소

    * 1.1-25일 수출금액/증감률(억불) : (휴대폰 완제품)4.8(▵6.8%), (휴대폰 부분품)6.2(▵32.1%)
    * 증감률(%) : (’16.7)▵4.1→(8)▵9.0→(9)▵28.0→(10)▵28.1→(11)▵17.9→(12)▵0.9→(’17.1)▵17.0

  ㅇ (가전) 해외공장 생산확대 및 부분품 현지조달 확대에 따라 TV 중심 수출 감소

    * 1.1-25일 수출금액/증감률(백만불) : (TV부분품)64(▵50.7%), (TV완제품)59(▵14.9%)
    * 증감률(%) : (‘16.7)▵17.0→(8)▵10.0→(9)▵17.5→(10)▵2.0→(11)2.2→(12)▵13.5→(’17.1)▵16.1

  ㅇ (자동차)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모델 노후화 등에 따른  글로벌 판매 감소 등 영향

    * 증감률(%) : (‘16.7)▵14.5→(8)▵15.1→(9)▵24.0→(10)▵12.0→(11)1.3→(12)4.7→(’17.1)▵4.7

  ㅇ (섬유) 단가 하락폭 완화에도 불구, 최대 시장인 중국 춘절 시기가 1월로 앞당겨짐에 따라 화섬사․직물 등 수출 감소 영향

    * 단가 및 증감률($/kg, yoy) : (‘16.1)5.15(▵7.3%)→(12)5.00(▵5.4%)→(’17.1e)4.95(▵3.9%)
    * 증감률(%) : (’16.7)▵9.7→(8)2.7→(9)▵0.4→(10)▵8.8→(11)4.8→(12)▵2.1→(’17.1)▵2.2

□ (유망품목) 5대 유망소비재 중 화장품․농수산식품․패션의류 수출 증가, SSD․OLED 수출 증가 지속

    * 증감률(%) : (화장품)25.8,  (농수산식품)4.6,  (패션의류)0.1,  (생활용품)▵1.6,(의약품)▵12.6,   (OLED)37.4,  (SSD)33.8
 ㅇ 화장품은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증가세 지속, 주력시장인 對중국 수출도 증가세 지속

    * 1.1-20일 수출액/증감률(억불) :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2.0(55.0%), (中)0.9(33.8%)
    *  증감률(%) : (‘16.7)42.5→(8)79.3→(9)74.7→(10)43.1→(11)25.1→(12)34.8→(’17.1)25.8

 ㅇ SSD 수출은 8개월 연속 두 자리수 증가율 기록, OLED는 7개월 연속 두 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15.6월부터 20개월 연속 증가

    * SSD 증감률(%) : (‘16.7)42.4→(8)37.3→(9)22.9→(10)17.4→(11)58.8→(12)66.4→(’17.1)33.8
    * OLED 증감률(%) : (‘16.7)15.5→(8)15.9→(9)32.2→(10)26.4→(11)21.0→(12)58.0→(’17.1)37.4

□ (지역별) 對베트남․아세안․중국․일본․CIS․인도․EU 수출 증가 지속, 對중동 수출 증가 전환


* 수출증감률(%) :  베트남 40.7  인도 27.1  CIS 23.1  아세안 19.2  일본 19.2  중국 13.5  EU 13.4  중동8.8  미국▵1.8  중남미▵6.1


 ◇ (증가 지속) 對베트남(12개월 연속), 아세안(4개월 연속), 중국․일본․CIS․인도(3개월 연속), EU(2개월 연속)

  ㅇ (베트남) 현지생산기지向 반도체․일반기계․평판DP 등 수출 호조로 12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7)7.0→(8)22.5→(9)16.9→(10)20.1→(11)38.3→(12)45.5→(‘17.1)40.7
    * 1.1~20일 실적(억달러) : (반도체)3.0(70.5%), (일반기계)2.1(68.8%), (평판DP)1.7(293%)

  ㅇ (아세안) 반도체․석유제품․일반기계․석유화학․철강 등 수출 호조로 4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7)▵4.4→(8)2.7→(9)▵1.2→(10)2.8→(11)21.6→(12)13.6→(‘17.1)19.2
    * 1.1~20일 실적(억달러) : (반도체)7.2(46.1%), (석유제품)4.6(60.5%), (일반기계)3.7(55.3%), (석유화학)3.0(69.9%), (철강)2.6(25.8%)

  ㅇ (중국) 반도체․석유화학․평판DP․무선통신기기․석유제품 등 수출 증가로 ‘14.4월 이후 33개월만에 3개월 연속 증가, ’13.8월 이후 41개월만에 두 자리수 증가율 기록

    * 수출증감률(%) : (’16.7)▵9.4→(8)▵5.3→(9)▵9.1→(10)▵11.2→(11)0.2→(12)9.6→(‘17.1)13.5
    * 1.1~20일 실적(억달러,%) : (반도체)16.1(38.4), (석유화학)12.2(70.2), (평판DP)10.9(20.0), (무선통신기기)4.3(36.5), (석유제품)3.7(91.7)

  ㅇ (일본) 철강․석유제품․반도체 등 증가 영향으로 ‘12.3월 이후 58개월만에 3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7)▵2.8→(8)7.5→(9)6.5→(10)▵1.6→(11)12.5→(12)7.8→(‘17.1)19.2
    * 1.1~20일 수출실적(억달러) : (철강)2.0(69.8%), (석유제품)1.8(34.5%), (반도체)0.9(33.2%), (정밀화학)0.8(59.6%), (석유화학)0.7(57.9%)

  ㅇ (인도) 무선통신기기․일반기계․반도체 등 증가 영향으로 ‘15.1월 이후 2년만에 3개월 연속 증가, ’15.3월 이후 월간 최대실적 기록(11.1억불)

    * 수출증감률(%) :  (’16.7)▵10.2→(8)▵0.3→(9)▵9.9→(10)▵19.1→(11)12.0→(12)6.1→(‘17.1)27.1
    * 1.1~20일 수출실적(억달러) : (무선통신기기)1.6(298%), (석유화학)1.1(64.3%), (일반기계)1.1(69.5%), (철강)1.0(51.2%), (반도체)0.5(62.5%)

  ㅇ (EU) 선박․일반기계․자동차 등 증가 영향으로 2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7)▵4.8→(8)▵4.7→(9)▵14.4→(10)3.8→(11)▵23.0→(12)30.8→ (‘17.1)13.4
    * 1.1~20일 실적(억달러,%) :  (선박)6.8(88.1), (일반기계)3.0(37.9), (자동차)2.8(67.8), (차부품)2.6(29.2), (철강)1.4(21.3)

 ◇ (증가 전환) 對중동 수출

  ㅇ (중동) 일반기계․자동차․석유화학 등 증가 영향으로 2개월만에 증가 전환

    * 수출증감률(%) : (’16.7)▵19.3→(8)▵8.0→(9)▵19.1→(10)10.5→(11)10.9→(12)▵5.1→(‘17.1)8.8
      1.1~20일 실적(억달러,%) :  (일반기계)1.9(38.4), (자동차)1.4(56.2), (석유화학)0.9(41.7), (철강)0.9(41.7), (차부품)0.9(87.2)
 ◇ (감소) 對미국․중남미 수출

  ㅇ (미국) 반도체․석유제품․컴퓨터 증가 불구, 석유화학․무선통신기기 등 수출 감소 영향

    * 증감률(%) : (’16.7)▵14.5→(8)▵4.8→(9)▵6.0→(10)▵10.1→(11)3.8→(12)▵2.3→(‘17.1)▵1.8
    * 1.1~20일 실적(억달러,%) : (반도체)1.6(77.9), (석유제품)1.4(268), (컴퓨터)1.0(78.0), (석유화학)0.7(▵43.7), (무선통신기기)2.9(▵0.2)

    - 반도체 장비, 항공기 및 부품 등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16.5%)하여 ‘16년에 이어 1월 對美 무역수지 흑자폭은 전년비 감소

    * 對美 무역수지(억불) : (‘16.1)17.1→(’17.1)10.7, (‘15년)258.1→(’16년)232.6
    * 1.1-20일 對美 수입증가율(%) : (반도체제조용장비)191, (항공기및부품)77.8, (농수산물)36.9

  ㅇ (중남미) 차부품․철강 등 증가 불구, 선박․가전 등 수출 감소영향으로 감소 전환

    * 증감률(%) : (’16.7)▵16.6→(8)▵16.3→(9)▵0.1→(10)▵10.4→(11)▵16.0→(12)5.1→(‘17.1)▵6.1
    * 1.1~20일 실적(억달러,%) : (차부품)1.7(87.8), (철강)1.3(45.8), (자동차)0.9(47.1), (선박)0.7(▵88.1), (가전)0.4(▵14.1)

3. 가공단계별 수입 동향

□ 1월 수입은 ‘14.9월 이후 28개월만에 3개월 연속 증가

    * 수입증감률 : (’16.8)0.9→(9)▵1.6→(10)▵4.8→(11)9.3→(12)8.0→(‘17.1)18.6

  ㅇ 주력산업의 선제적 투자 확대로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 증가세 지속 및 원유 수입 증가 등으로 ’12.2월 이후 59개월만에 두자리수 증가

< 품목별 수입증감률(1.1∼31일 기준, %) >

자본재

+15.7
(컴퓨터기억장치)20.6   (반도체제조용장비)77.2
(전동기와발전기)13.0  

중간재

+7.3
(프로세스와콘트롤러)▵3.6   (액화천연가스)26.4
(메모리)28.2  (무선통신기기부분품)14.6

소비재

▵2.5
(1,500cc초과가솔린차)14.1   (돼지고기)0.0
(코트 및 자켓)14.2  (쇠고기)19.7

1차산품

+60.3
(원유)81.6   (유연탄)98.7
(옥수수)▵17.5  (철광)39.2

4. 특징 및 평가

□ 1월 수출은 ‘13.1월 이후 4년만에 두자리수 증가를 기록하였으며, 수출 품목․시장․주체․방식 등 수출구조 혁신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 되고 있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

 ㅇ 특히, ① OLED(37.4%)․MCP(25.0%)․SSD(33.8%) 등 주력품목 내 고부가가치 유망품목의 수출 급증, ② 주력품목 중 8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고 4개 품목은 두자리수 증가를 기록하는 등 주력품목이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시현하여 1월 수출 증가를 견인

□ 아울러 ‘16.11월 이후 3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함으로써 우리 수출이 완연한 회복세를 시현

 ㅇ 수출이 3개월 연속 증가한 것은 ‘14.4월 이후 33개월만에 최초이며, ’11.10월 이후 5년 3개월만에 조업일수 1일 감소에도 불구 수출이 증가

 ㅇ 일평균 수출이 ’11.8월이후 65개월만에 최대증가율을 기록하고, 주력품목 수출증가율도 ’12.2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

    * 일평균 수출증감률(%) : (‘16.8)▵5.9→(9)▵3.7→(10)▵1.0→(11)▵1.9→(12)4.2→(’17.1)16.4

□ 품목별로는 ‘14.7월 이후 30개월만에 주력품목 수출이 2개월 연속 증가,

 ㅇ 반도체가 메모리단가 상승으로 사상 최대 월간 수출실적 기록(64.1억불), 석유제품이 50개월만에 3개월 연속 증가, 석유화학이 ‘14.12월 이후 최고 수출실적을 기록하면서 전체 수출금액 증가를 주도

□ 지역별로는 對베트남․아세안․중국․CIS․일본․인도․EU 수출 증가가 지속되고, 對중동 수출이 증가로 전환되었으며,

 ㅇ 특히, 對중국 수출이 ‘14.4월 이후 33개월만에 3개월 연속 증가, ’13,8월 이후 41개월만에 두 자리수 증가율을 기록(13.5%)한 것이 주요 특징
□ 2월 수출은 주력품목들의 수출물량 및 단가상승 등으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나,

 ㅇ 전 세계 보호무역주의 확대, 중국의 성장둔화 등 하방리스크로 인해 긴장의 끈을 놓을 수는 없는 상황

□ 정부는 수출플러스 기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수출구조 혁신 가속화, 보호무역 확산 적극 대응 등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계획

 ㅇ 특히, 수출 상담회 및 무역사절단 파견 등 수출 관련 주요 행사를 최대한 앞당겨 추진하여 수출 회복세가 지속되도록 노력하고,

   * 상담회 및 사절단 파견 : 전체 315건 중 1분기 48회, 상반기 192회(61%) 개최(전년동기대비 각각 65%, 36% 확대)

ㅇ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수출 바우처’ 등 주요 수출지원사업의 기업 모집을 조기에 추진하여 연초부터 기업의 수출 활동 촉진할 예정

   * 사업 공고 :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사업(’16.12월), 수출바우처(’17.2월초)

□ 또한, 신산업 육성을 위하여 “OLED,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바이오화장품 등 67개 기술을 신산업 R&D 세액공제 대상 기술에 신규로 추가”하고,

 ㅇ 수입 부가가치세 납부 유예 대상을 기존의 수출 중소기업에서 수출비중 50% 이상인 중견기업으로 확대할 계획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