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 통합기술수요조사 공고
등록일2016-12-22 담당부서PD운영지원팀
첨부파일 2018년도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 통합 기술수요조사 공고문(양식포함).hwp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
-
1. 기술수요조사 개요
- 가.
목 적
- ○ 국내 기간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 전략과제를 기획함에 있어 산·학·연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기술수요를 조사하여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 발굴시 기초 자료로 활용- - 대상사업 :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 - 대상분야(20개) : 지식서비스, 지능형반도체, 차세대디스플레이, 산업융합, 임베디드SW, 미래형자동차, 스마트전자,
지능형로봇, 디자인, 바이오·의약, 메디칼디바이스, 화학공정, 기능성섬유, 나노융합, 금속재료, 세라믹, 첨단장비,
첨단기계, 뿌리기술, 조선해양- 나. 조사항목
- ○ 제안기술의 명칭, 지원 필요성, 개발 목표와 내용, 국내외 동향, 기대 및 파급효과
- ○ 비즈니스 모델(지식서비스 분야만 작성)
- 다. 조사대상
조사대상 사업 세부사업 내역사업 PD 기술분야 산업핵심
기술개발
사업
(17)바이오산업핵심바이오바이오·의약나노산업핵심나노융합나노융합지식서비스산업핵심지식서비스지식서비스엔지니어링핵심엔지니어링엔지니어링자동차산업핵심그린카, 스마트카미래형자동차조선해양산업핵심조선해양조선해양산업소재핵심섬유의류기능성섬유세라믹세라믹금속재료금속재료화학공정소재화학공정첨단뿌리기술뿌리기술기계산업핵심제조기반 생산시스템첨단장비연구장비첨단기계로봇산업핵심로봇지능형로봇전자시스템산업핵심의료기기메디칼디바이스전자부품산업핵심주력산업IT융합산업융합융복합디스플레이차세대디스플레이산업융합
원천기술
개발사업
(6)전자정보디바이스디스플레이반도체지능형반도체정보통신미디어홈정보가전스마트전자SW·컴퓨팅SW임베디드SW- ※ PD분야별 세부기술 항목은 [(별첨) 기술수요조사 대상 기술분류표] 참조
- ○ 국내 기간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 전략과제를 기획함에 있어 산·학·연의 창의적이고
-
-
-
2. 기술수요조사서 제안 자격
- ○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에 관심이 있고 참여 의사가 있는 기업, 대학 및 연구소 등에 소속된 자 또는 개인
-
-
-
3. 기술수요조사 및 전산접수 기간
- 가.
기술수요조사 기간 : 2016. 12. 22(목) ~ 2017. 2. 15(수) 까지
- 나. 기술수요조사서 전산접수 : 2016. 12. 22(목) ~ 2017. 2. 15(수), 18시까지
- ○ 기술수요조사서 작성 후 KEIT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http://itech.keit.re.kr/)에서 전산 등록을 하시면 됩니다.
- ※ KEIT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http://itech.keit.re.kr)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온라인사업관리”- “수요조사제안서 제출”-“2018년도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 통합기술수요조사”]를 선택- ※ 기술수요조사서 양식은 첨부파일 또는 해당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다. 기술수요조사 대상 기술분류 : [별첨]의 기술 분류표 참조
- 나. 기술수요조사서 전산접수 : 2016. 12. 22(목) ~ 2017. 2. 15(수), 18시까지
-
-
-
4. 기술수요조사 제안서 작성시 유의사항
- 가.
기술수요조사서 제안시의 주요 고려항목은 내용의 적합성, 원천·핵심 기술 확보 가능성, 중복성 여부 등 입니다.
- 나. 국가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 R&D사업 기술개발과제로 기 지원되었던 과제는 제외합니다.
-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나 산업기술 e-R&D 시스템(www.ernd.go.kr)에서 제안하시는
기술의 중복성을 주요 키워드 중심으로 검색하신 후, 중복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아래의 경우는 기초자료 활용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 전산 접수완료를 하지 않은 경우, 접수기간 이후에 수요조사 제안서를 제출한 경우
- ○ 홈페이지를 통한 접수 및 제출이 아닌 개별적 방법으로 제출하는 경우
- ※ 예시) 방문, 우편 또는 이메일을 통해 기술수요조사서를 제출하는 경우 등
- ○ 첨부파일(수요조사제안서) 등 관련 자료를 누락한 경우, 첨부된 기술수요조사 양식 이외의 양식으로 기술수요조사서를
제출하는 경우- 라. 금번 수요조사는 신규지원 과제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고,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므로 과제발굴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
절차는 없습니다.- ※ 수요조사 반영여부는 수요조사를 통한 차년도 지원대상과제 선정 등 일련의 절차가 완료된 후(‘17년 12월 예상)
이메일로 일괄 안내드립니다.- 마. 제출된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으며, 동 사업의 신규과제 발굴을 위한 참고자료로만 사용됩니다.
- ○ 제안 사항의 검토·활용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제출된 내용을 관련 전문가 등 제3자에게 공개하거나 제3자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제3자(전문가 등)에 대해서는 법적, 제도적 보안유지 준수의무에 대한 보안서약서를 징구하고 있습니다.
- ○ 제안 기술수요에 대해서는 제안자가 권리 등을 주장할 수 없습니다.
- 나. 국가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 R&D사업 기술개발과제로 기 지원되었던 과제는 제외합니다.
-
-
-
5. 향후 추진 일정
- ○
‘17년 3월 ~ 11월 : 과제 기획
- ○ 2018년도 사업공고 : 2017년 12월 예정
-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2018년도 사업공고 : 2017년 12월 예정
-
-
-
6. 분야별 문의처
- 동
기술수요조사와 관련하여 추가로 필요한 질문은 아래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총괄 및 전산관련 문의처 총괄 및 전산관련 문의처 수요조사 관련 총괄문의 PD운영지원팀 042 - 712 - 9303 전산등록(itech.keit.re.kr) 관련 문의 R&D상담 콜센터 1544 - 6633 - ◆ 기술 관련 문의처
기술 관련 문의처 사업 세부사업 기술분야 이메일(@keit.re.kr) 연락처(053-718-) 산업핵심
기술개발
사업바이오산업핵심바이오·의약chy957702-6050-2125나노산업핵심나노융합jo52188225지식서비스산업핵심지식서비스poweron8239엔지니어링핵심엔지니어링poweron8239자동차산업핵심미래형자동차jslee8486조선해양산업핵심조선해양ygpark8489산업소재핵심기능성섬유jyl8353세라믹yangms8395금속재료mslim8352화학공정chemjang8312뿌리기술ykshin8363기계산업핵심첨단장비hjlee8417첨단기계mglee8422로봇산업핵심지능형로봇biojun8414전자시스템산업핵심메디칼디바이스chung0078452전자부품산업핵심산업융합gunjae8448디스플레이
(융복합디스플레이)smartlion8451산업융합
원천기술
개발사업전자정보디바이스지능형반도체lampjims8454정보통신미디어홈/정보가전gyjeon8446SW·컴퓨팅임베디드SWkhw01048444
-
2018년도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 통합기술수요조사 공고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제17조의 규정에 따라 2018년도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의 신규지원과제 발굴을 위한 기술수요조사를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2016년 12월 22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1. 기술수요조사 개요
가. 목적
목 적
○ 국내 기간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 전략과제를 기획함에 있어 산・학・연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기술수요를 조사하여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 발굴시 기초 자료로 활용
- 대상사업 :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 대상분야(20개) : 지식서비스, 지능형반도체, 차세대디스플레이, 산업융합, 임베디드SW, 미래형자동차, 스마트전자, 지능형로봇, 디자인, 바이오·의약, 메디칼디바이스, 화학공정, 기능성섬유, 나노융합, 금속재료, 세라믹, 첨단장비, 첨단기계, 뿌리기술, 조선해양
나. 조사항목
조사항목
○ 제안기술의 명칭, 지원 필요성, 개발 목표와 내용, 국내외 동향, 기대 및 파급효과
○ 비즈니스 모델(지식서비스 분야만 작성)
다. 조사대상
사업
세부사업
내역사업
PD 기술분야
산업핵심
기술개발
사업
(17)
바이오산업핵심
바이오
바이오·의약
나노산업핵심
나노융합
나노융합
지식서비스산업핵심
지식서비스
지식서비스
엔지니어링핵심
엔지니어링
엔지니어링
자동차산업핵심
그린카, 스마트카
미래형자동차
조선해양산업핵심
조선해양
조선해양
산업소재핵심
섬유의류
기능성섬유
세라믹
세라믹
금속재료
금속재료
화학공정소재
화학공정
첨단뿌리기술
뿌리기술
기계산업핵심
제조기반 생산시스템
첨단장비
연구장비
첨단기계
로봇산업핵심
로봇
지능형로봇
전자시스템산업핵심
의료기기
메디칼디바이스
전자부품산업핵심
주력산업IT융합
산업융합
융복합디스플레이
차세대디스플레이
산업융합
원천기술
개발사업
(6)
전자정보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반도체
지능형반도체
정보통신미디어
홈정보가전
스마트전자
SW·컴퓨팅
SW
임베디드SW
※ PD분야별 세부기술 항목은 [(별첨) 기술수요조사 대상 기술분류표] 참조
2. 기술수요조사서 제안 자격
제안 자격
○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에 관심이 있고 참여 의사가 있는 기업, 대학 및 연구소 등에 소속된 자 또는 개인
3. 기술수요조사 및 전산접수 기간
가. 기술수요조사 기간 : 2016. 12. 22(목) ~ 2017. 2. 15(수) 까지
나. 기술수요조사서 전산접수 : 2016. 12. 22(목) ~ 2017. 2. 15(수), 18시까지
○ 기술수요조사서 작성 후 KEIT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http://itech.keit.re.kr/)에서 전산 등록을 하시면 됩니다.
※ KEIT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http://itech.keit.re.kr)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온라인사업관리”- “수요조사제안서 제출”-“2018년도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 통합기술수요조사”]를 선택
※ 기술수요조사서 양식은 첨부파일 또는 해당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다. 기술수요조사 대상 기술분류 : [별첨]의 기술 분류표 참조
4. 기술수요조사 제안서 작성시 유의사항
가. 기술수요조사서 제안시의 주요 고려항목은 내용의 적합성, 원천․핵심 기술 확보 가능성, 중복성 여부 등 입니다.
나. 국가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 R&D사업 기술개발과제로 기 지원되었던 과제는 제외합니다.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나 산업기술 e-R&D 시스템(www.ernd.go.kr)에서 제안하시는 기술의 중복성을 주요 키워드 중심으로 검색하신 후, 중복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아래의 경우는 기초자료 활용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전산 접수완료를 하지 않은 경우, 접수기간 이후에 수요조사 제안서를 제출한 경우
○ 홈페이지를 통한 접수 및 제출이 아닌 개별적 방법으로 제출하는 경우
※ 예시) 방문, 우편 또는 이메일을 통해 기술수요조사서를 제출하는 경우 등
○ 첨부파일(수요조사제안서) 등 관련 자료를 누락한 경우, 첨부된 기술수요조사 양식 이외의 양식으로 기술수요조사서를 제출하는 경우
라. 금번 수요조사는 신규지원 과제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고,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므로 과제발굴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 절차는 없습니다.
※ 수요조사 반영여부는 수요조사를 통한 차년도 지원대상과제 선정 등 일련의 절차가 완료된 후(‘17년 12월 예상) 이메일로 일괄 안내드립니다.
마. 제출된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으며, 동 사업의 신규과제 발굴을 위한 참고자료로만 사용됩니다.
○ 제안 사항의 검토․활용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제출된 내용을 관련 전문가 등 제3자에게 공개하거나 제3자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제3자(전문가 등)에 대해서는 법적, 제도적 보안유지 준수의무에 대한 보안서약서를 징구하고 있습니다.
○ 제안 기술수요에 대해서는 제안자가 권리 등을 주장할 수 없습니다.
5. 향후 추진 일정
향후 일정
○ ‘17년 3월 ~ 11월 : 과제 기획
○ 2018년도 사업공고 : 2017년 12월 예정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6. 분야별 문의처
동 기술수요조사와 관련하여 추가로 필요한 질문은 아래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총괄 및 전산관련 문의처
수요조사 관련 총괄문의
PD운영지원팀
042 - 712 - 9303
전산등록(itech.keit.re.kr) 관련 문의
R&D상담 콜센터
1544 - 6633
< 기술 관련 문의처 >
사업
세부사업
기술분야
이메일
(@keit.re.kr)
연락처
(053-718-)
산업핵심
기술개발
사업
바이오산업핵심
바이오·의약
chy9577
02-6050-2125
나노산업핵심
나노융합
jo5218
8225
지식서비스산업핵심
지식서비스
poweron
8239
엔지니어링핵심
엔지니어링
poweron
8239
자동차산업핵심
미래형자동차
jslee
8486
조선해양산업핵심
조선해양
ygpark
8489
산업소재핵심
기능성섬유
jyl
8353
세라믹
yangms
8395
금속재료
mslim
8352
화학공정
chemjang
8312
뿌리기술
ykshin
8363
기계산업핵심
첨단장비
hjlee
8417
첨단기계
mglee
8422
로봇산업핵심
지능형로봇
biojun
8414
전자시스템산업핵심
메디칼디바이스
chung007
8452
전자부품산업핵심
산업융합
gunjae
8448
디스플레이
(융복합디스플레이)
smartlion
8451
산업융합
원천기술
개발사업
전자정보디바이스
지능형반도체
lampjims
8454
정보통신미디어
홈/정보가전
gyjeon
8446
SW·컴퓨팅
임베디드SW
khw0104
8444
<별첨1>
2018년도 산업기술 중장기 R&D사업 기술수요조사서
(2페이지 이내로 작성)
1. 기술 개요
기 술 명
기 관 명/
지역/구분
ex. 서울대
서울(○), 부산( ), 대구( ), 인천( ), 대전( ), 울산( ), 광주( ), 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경남( ), 경북( ), 제주( ), 국외(국가명기)
대기업(○), 중견기업( ), 중소기업( ), 대학교( ), 정부기관( ), 연구소( ), 협회/연구조합( ), 학회( ), 기타( )
기술분야
1순위(대분류) * 필수
2순위(대분류) * 필요시
ex. 로봇
ex. 의료기기
1순위(중분류)
1순위(소분류)
2순위(중분류)
2순위(소분류)
ex. RT융합
ex. 의료서비스로봇
ex. 재활 및 복지기기
ex. 이동/생활 지원기기
기술 유형 ①
(유형중 택1)
혁신제품형
(종료TRL 7~8단계)
○
원천기술형
(종료TRL 5단계)
로열티창출형
로열티비용절감형
○
기타
기술 유형 ②
(해당하는 경우)
글로벌 협력형
○
대중소기업협력형
○
2. 지원 필요성
o (시장)
o (기술)
o (제안기술 유형 결정 사유)
* 시장적·기술적인 측면에서 필요성을 기재
* ‘제안기술 유형’ 결정 배경 또는 사유를 명시적으로 간략히(3줄 내외) 기재하되,
→ 특히, 비용절감형은 해외로부터 기술을 수입하고 있는 현황 등을 기재, 혁신제품형은 수출가능성 등을 기재
3. 목표 및 내용
목표
필요 기술
o
o
4. 국내·외 동향
국내 동향
o
o
해외 동향
o
o
* “글로벌 협력형”을 선택한 경우는 협력대상 및 내용에 대해 필수 기재
5. 기대 및 파급효과
o
o
* 응용처 등을 기재
<별첨2>
중장기R&D사업 기술수요(과제) 유형 비교
□ 기술수요(과제) 유형 ①
구분
혁신제품형
원천기술형
정의
◆ (정의)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접목한 제품
◆ (정의) 제품을 개발․생산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기술로서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원동력이 되는 기술
◆ (특성) ① 세계 최초·최고의 기술로 원천특허 확보 또는 기술선점 효과가 큰 기술 ② 창조적 기술로 선행특허가 있더라도 다수의 응용기술을 파생시킬 수 있는 기술
◆ (유형) 3개 유형
▫ (로열티창출형) 선행특허가 없는 세계 최초·최고 기술로, 원천특허 확보를 통해 기술매출이 가능하여 세계시장 선점이 필요한 기술
▫ (로열티비용절감형) 국내기업들이 주력제품 개발에 활용하는 핵심기술로 로열티를 지불하고 해외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기술
▫ (기타) 로열티창출형 및 비용절감형에 해당하지 않는 원천기술형 기술
주관기관
기업체 주관
대학․출연연 또는 기업체 주관
사업기간
3년 이내
3∼5년
TRL
과제종료
7,8단계까지
과제종료 5단계까지
□ 기술수요(과제) 유형 ②
구분
정의
글로벌 협력형
◆ (대상기술) 국내 연구역량만으로는 개발목표 적시 달성이 힘든 기술 또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해외기관 협력이 필요한 기술 등
※ 기획시 해외기관 협력 필요성을 검토하여 해외기관 의무 참여 등을 RFP에 명시 예정
◆ (과제유형) 원천기술형, 혁신제품형 제한 없음
대중소기업
협력형
◆ (대상기술) 대기업-중소·중견기업 간 협력이 필수적인 기술
※ 기획시 대기업 주관 또는 참여 필요성을 검토하여 해당 내용을 RFP에 명시 예정
※ 참고(대기업 주관 가능 과제유형)
유형
내 용
고위험형
미래기술개발 또는 글로벌 시장 창출을 위해 대규모 자금 투입이 필요하며 리스크가 큰 과제
시스템형
대기업은 전체 시스템을 설계하고 중소·중견기업들은 요소기술을 통합·개발하는 과제
수요연계형
대기업이 중소·중견기업 등 타 주체와 연계하여 개발기술의 수요처 또는 소재 공급처로서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과제
◆ (과제유형) 혁신제품형
<별첨3>
기술수요조사 대상 기술분류표
※ 본 기술분류는 PD분야별 세부기술내용 안내를 위한 기술분류로서,
공통운영요령 제16조에 따른 산업기술분류(별표1)와는 상이함
PD분야(20)
중분류(106)
소분류(478)
바이오·의약
의약바이오
단백질의약품
항체의약품
백신
균주/효소의약품
바이오인공장기
세포치료제
조직재생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원료의약품(저분자의약품)
천연물의약품
약효 및 안전성 평가기술
시약/진단제
cGMP 생산기반기술
기타 의약바이오 제품/기술
산업바이오
표준화 및 인증기술
바이오정밀화학소재
바이오플라스틱
건강기능성식품
기타 산업바이오 제품/기술
융합바이오
바이오진단기기
바이오마커 활용 기술
바이오분석기기
기타 융합바이오 제품/기술
그린바이오
식물공장 관련 기술
형질전환생물체
친환경화학작물보호제
미생물작물보호제
기타 그린바이오 제품/기술
나노융합
나노소자
나노 기억소자
나노 CMOS로직소자
나노기반 전자소자
나노 광소자
나노기반 유연소자
나노 센서소자
나노소재
초경량/고강도 나노복합소재
고전도성 나노복합소재
인쇄전자용 나노소재
전자파차폐흡수소재
나노 필름소재
나노잉크소재
다공성 나노소재
나노촉매
나노바이오
차세대 나노진단 제품 및 기기
지능형 나노치료제 및 기기
나노웰빙제품
생체분자 나노분석장비
나노기반 농수산식품
나노에너지·환경
나노융합 연료전지
나노융합 태양전지
나노융합 이차전지
나노융합 단열소재
미소에너지 하베스팅
나노 환경촉매
나노 흡착분리 소재
나노공정·측정·장비
나노 박막장비
나노점·선 합성 및 정렬장비
나노패터닝 장비
나노 화학·구조 분석장비
SPM·광융합 나노측정 장비
나노물성측정장비
나노 안전성
나노안전성관련 측정/분석기술
나노물질 유해성평가 기술
나노물질 노출평가 및 노출저감
나노제품 안전성 기술
지식서비스
제품혁신
지원 서비스
스마트 제품 및 서비스
제조업 서비스화, 서비스 제조화
프로세스혁신
지원 서비스
기획·설계혁신
데이터 기반의 최적 의사결정, 공정혁신
유통·물류혁신
조직·관리혁신
사회문제 해결형 서비스
사회안전 및 재난예방 서비스/시스템
공공서비스 혁신
공공정보 활용
인간생활 융합형 서비스
생활건강 케어
스마트 라이프(편안/안전/퀘적/즐거움)
인적역량 강화
서비스 디자인
지원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개발
사용자 관점 서비스 디자인, UI/UX
서비스 운영기술 지원 서비스
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서비스 시스템, 최적 운영/관리
업종별 최적운영 지원 플랫폼
지식서비스
공통기반기술
지식 창출 : 인공지능, 빅데이터, 인지/감성
지식관리, 지식기반 구축
엔지니어링
발전
복합/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설계/운영/관리
수처리&환경
담수화/정수/공정수 처리시스템 설계/운영/관리
대기/하폐수/폐기물 처리시스템 설계/운영/관리
오일&가스
원유 정제/고도화
석유화학/고분자 공정
전통/비전통 에너지
연료전환
육상/해상 플랜트 공정설계
엔지니어링 공통
선행설계(기본설계, FEED)
해석(공정/장치/안전/신뢰성)
프로젝트 기획(경제성/Risk)
지능형 PM/PMC
다차원 모델링, 협업환경 구축
지능형 플랜트 운영/관리
미래형
자동차
전기자동차
전지시스템
충전시스템
구동/제어시스템
차체/샤시시스템
연료전지자동차
연료전지 스택
운전장치 및 제어시스템
수소저장시스템
전기동력시스템
차체/샤시시스템
하이브리드자동차
구동/제어시스템
전력전장시스템
에너지 저장시스템
차체/샤시시스템
천연가스 자동차
엔진제어 시스템
연료분사 시스템
연료저장 시스템
클린디젤 자동차
동력발생 및 전처리 시스템
후처리 시스템
엔진제어 시스템
가솔린 자동차
동력발생 및 전처리 시스템
후처리 시스템
엔진제어 시스템
자동차 안전 기술
센싱시스템
액츄에이팅시스템
수동안전시스템
운전보조시스템
사고 예방/회피 시스템
(반)자율주행시스템
자동차 편의 기술
HMI 시스템
자동차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운전 지원 단말 시스템
자동차용 무선 통신 기술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융합 기반 기술
Eco-ITS연계시스템
In Vehicle Network 기술
자동차용 SoC 기술
자동차용 임베디드 기술
시험 및 표준화기술
조선해양
조선
고효율 친환경 선박 기술
극한지 운항 선박 기술
여객/레저용 선박 기술
조선 설계/생산성 향상 기술
해양플랜트
해양 플랫폼 기술(Offshore Platform)
상부 공정 시스템 기술(Topside)
해저 생산 및 처리 설비 기술(Subsea)
기능성섬유
패션섬유
프리미엄 패션의류
제조공정혁신
의료/생활용
테크니컬 섬유
친환경·고감성·고기능성 섬유
보호용 섬유
스마트 섬유
인테리어·웰빙 섬유
스포츠·레저 용품
산업용
테크니컬 섬유
수송·해양용 섬유
에너지·환경 산업용 섬유
바이오·메디컬 섬유
산업자재(생산설비/토목건축용)
세라믹
광·전자 소재
유전ㆍ절연 세라믹
압전 세라믹
센서 세라믹
자성 세라믹
광기능성 세라믹
도전성 및 반도성 세라믹
기타 광ㆍ전자 세라믹
에너지·환경 소재
에너지 저장ㆍ변환 세라믹
분리ㆍ유해성분 제거기능 세라믹
재활용 기능성 세라믹
기타 에너지ㆍ환경 세라믹
기계·구조 소재
내화ㆍ내열 세라믹
구조 및 기계가공성 세라믹
절삭ㆍ연마ㆍ연삭용 세라믹
극한환경용 세라믹
세라믹/탄소섬유 및 기타 복합 소재
바이오 소재
조직재생용 세라믹
체외진단용 세라믹
바이오매스 분리공정용 세라믹
기능성 화장품용 세라믹
기타 바이오 세라믹 소재
생활세라믹 소재
도자기ㆍ타일ㆍ벽돌
시멘트ㆍ콘크리트
유리ㆍ법랑
기타 생활세라믹 소재
세라믹공정 기술
분체제조 및 원료합성 기술
성형ㆍ소성ㆍ가공 기술
결정성장 기술
박막 및 코팅 기술
기타 세라믹공정 및 부품ㆍ모듈화 기술
금속재료
Mobile Metal
자동차
철도
우주항공
조선
Safety-Infra Metal
건설토목
원자력
인프라 안전/편의
국방안보
SoC
Energy Metal
발전플랜트
해양플랜트
에너지 네트워크
비전통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
수소 에너지
Smart Metal
바이오
정보통신
전략희소 금속소재
3D 프린팅소재
Green Process
Zero emission
4R(Reduce, Reuse, Recycle, Replace)
CO2 삭감 기술
Energy Saving
원료사용
화학공정
소재
에너지·자원 효율 공정산업
탄소소재
기초유분
대체원료
공정고도화
정보전자소재
Touch Panel 소재
편광판 소재
BLU 소재 및 OLED 소재
차세대 디스플레이 패널 소재
반도체용 공정소재
산업·수송용고분자소재
산업용 고분자 소재
구조용 고분자 소재
수송용 고분자 소재
표면기능소재
점/접착 소재
염/안료 소재
도료/기능성코팅소재
화장품소재
환경·에너지 화학소재
환경소재
에너지소재
뿌리기술
주조
사형주조기술(Sand Casting)
금형주조기술(Permanent Mold Casting)
다이캐스팅기술(DieCasting)
특수주조기술(Special Casting)
주조재료기술(Casting materials)
금형
플라스틱금형기술(Plastic Mold Technology)
프레스금형기술(Press die Technology)
특수금형기술(Special Mold Technology)
소성가공
단조기술(Forging technology)
압출/인발성형기술(Extrusion/Drwaing technology)
판재성형기술(Sheet metal forming technology)
압연기술(Rolling technology)
특수성형기술(Special forming technology)
열처리
침탄기술(Carburizing)
질화기술(Nitriding)
전경화기술(Total Hardening)
국부경화기술(Local Hardening)
표면처리
도금기술(Plating tech.)
도장기술(painting tech.)
건식코팅기술(dry coating tech.)
습식코팅기술(wet coating tech.)
용접접합
용접공정기술(Welding process)
용접기자재기술(Welding equipment)
용접재료기술(Welding consumable)
칩레벨접합기술(Chip level joining)
표면실장접합기술(Surface mount joining)
첨단장비
정밀가공시스템
고속/복합 가공시스템
초미세 가공시스템
하이브리드 가공시스템
대형 절삭/성형시스템
3차원 적층제조시스템
재구성 유연 생산시스템
사출성형시스템
디지털 생산운영/서비스 솔루션
마이크로/나노 생산시스템
기능성 마이크로/나노 구조체 생산시스템
롤투롤 연속 생산시스템
융복합 디바이스 생산시스템
고속/대면적 측정/검사 시스템
섬유기계
방사/방적/사가공기
제직/편직기
염색/가공설비
편성/자수 시스템
부직포 및 산업용 제조설비
첨단기계
건설기계
친환경 고효율 동력전달시스템
지능형 작업시스템
극한작업 및 특수목적용 건설기계
농업기계
고성능 고효율 농업용 동력 시스템
지능형 융복합 농업용 자동화 시스템
농작업기계 및 부품
승강기
친환경 승강기 시스템
지능형 운영시스템
초고속, 초고층용 승강기 시스템
분석장비
광 분석장비
화학 분석장비
융합 분석장비
기타 분석장비
계측장비
광 계측장비
전자 계측장비
융합 계측장비
기타 계측장비
시험장비
재료물성 시험장비
기후환경 시험장비
전기계측 시험장비
기타 시험장비
지능형로봇
로봇제품군
중소기업 제조로봇
첨단제조로봇
생활지원로봇
교육문화로봇
농축수산로봇
건설교통해양로봇
의료로봇
국방안전로봇
기타 융합 제품, 서비스
공통기술
인식 지능
판단 지능
동작 지능
부품
플랫폼
기타 관련 기술
로봇화 기술
로봇화 기술
메디칼
디바이스
치료기기
수술/중재적 치료기기
방사선/초음파/광 치료기기
인공장기
한의학기반치료기기
융복합 및 기타 치료기기
생체현상
계측기기
생체신호 측정/진단기기
임상화학 및 생물분석기기
분자유전진단기기
한의학기반진단기기
영상진단기기
초음파 영상진단기기
X선 영상진단기기
MRI
핵의학영상진단기기
광학영상진단기기
융복합 및 기타 영상진단기기
재활 및 복지기기
감각/운동 기능 재활훈련기기
이동/생활 지원기기
신체/인지/감각기능 지원기기
기타 재활 및 복지관련 기술/기기
의료용재료
구조 복원용 재료
생체재료
기타 체내삽입형 재료
의료정보 및 기기관리
원격 및 재택 의료기기
의료정보 시스템 및 U-HER
평가 및 안전관리(규격/품질/평가/안전)
산업융합
주력산업
IT융합
차량 IT 융합 기술
조선해양 IT 융합 기술
항공 IT 융합 기술
섬유 IT 융합 기술
에너지 IT 융합 기술
산업 간 융합
IT-BT-NT 융합
의료, 헬스 서비스 융합
커머스, 유통, 금융 서비스 융합
교통, 건설, 공공, 안전 서비스 융합
주력산업
고도화
제품/제조-서비스 융합, O2O 서비스 융합
제조/공정 지능화/자동화, 진단/예측
예측 유지보수 서비스, 유연/맞춤형 생산
IIoT HW/SW 플랫폼
주력산업
지능화/자동화
IT 융합 서비스 플랫폼, Open API, PaaS/SaaS, DevOps 플랫폼
인공지능, 가상/혼합 현실 (AR/VR/MR), CPS (Cyber-Physical System) 기반 산업환경 구축 및 생산성 최적화, 안전, 관리
멀티모달 센싱, 데이타 퓨전, IoT
주력산업
빅데이터
주력산업 제조/공정 빅데이터
주력산업 제품/사용자 빅데이터
빅데이터 처리, 분석, Offloading
에너지 최적화
에너지 하베스팅
에너지/전원 자립형 초저전력 구동
무선 전력 전송
웨어러블
웨어러블 입력, 출력, UI/UX, 처리, 전원 기술
웨어러블 신체 착용/부착/이식형 기술
웨어러블 소재, 부품, 센서 및 반도체,
유연 디스플레이/전지/기판
웨어러블 SW 플랫폼 및 개발환경, 웨어러블 기기용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보안기술
차세대
디스플레이
(융복합
디스플레이)
LCD
LCD 모듈
LCD용 공정 장비
LCD 소재부품
OLED
소형 AMOLED 모듈
대형 AMOLED 모듈
AMOLED용 공정 장비
AMOLED용 소재부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공정 장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신기능 디스플레이
공간형 디스플레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반사형 디스플레이
입력장치 및 UI/UX
기타 신기능 디스플레이
융합 디스플레이
수송기기용 디스플레이
교육용/퍼블릭 디스플레이
기타 융복합 디스플레이
지능형
반도체
반도체 소자
메모리소자
로직소자
아날로그 및 혼성반도체 소자
전력반도체 소자
기타 소자
반도체 공정
전공정 기술
후공정 기술
측정/분석/검사 기술
반도체 장비
전공정 장비
후공정 장비
측정/분석/검사 장비
반도체 소재/PCB
반도체 소재 및 가공기술
Gas 및 케미컬
PCB
시스템반도체
고주파반도체
디스플레이 SoC
멀티미디어 SoC
바이오/의료기기 SoC
센서반도체
스토리지 SoC
자동차 SoC
전력/에너지 반도체
통신/방송 SoC
프로그래머블 로직 반도체
프로세서 SoC
SoC 공통기술
스마트전자
홈플랫폼
정보가전 미들웨어
홈클라우드
홈빅데이터해석
유무선 통신
실감형 가전
3D 카메라
3D 스캐너
실감 TV 및 모바일 디스플레이
실감형 헤드마운트 기기
홀로그램 프린팅
지능형 융합 가전
미디어가전
케어가전
보안가전
냉난방가전
환경 및 에너지가전
주방가전
소형가전
3D 프린터
광중합형(PP)
재료압출형(ME)
접착제분사형(BJ)
재료분사형(MJ)
분말적측용융형(PBF)
고에너지직접조사형(DED)
3D 프린팅 공정 최적화 기술
3D 프린팅 후처리 기술
LED 광소자
LED 제조장비
기판 및 원료
비가시광 LED
가시광 LED
패키지 소재
패키지 공정
LED 융합
LED 융합엔진
LED 메디바이오 융합
LED 수송융합
LED IT융합
LED 해양 융합
LED 농생명 융합
LED 문화관광 융합
기타
LED/OLED조명
LED 조명 엔진/부품
실내외 조명 기구
스마트 조명시스템
OLED 조명 소재/부품
OLED 조명용 공정 장비
OLED 광원기술
광소재
광학 부품
광소재
광계측 및 센서
광계측
광센서
가공용 레이저
매크로 프로세싱
마이크로 프로세싱
의료용 레이저
레이저 치료
레이저 진단
통신용 레이저
텔레콤 광모듈
데이터콤 광모듈
컴퓨터콤 광모듈
IT컨슈머
정보입출력기기
정보저장기기
영상표시기
임베디드SW
임베디드SW
임베디드 운영체제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포함)
임베디드 미들웨어 및 핵심 컴포넌트
임베디드 SW 개발 환경
전자기기용 임베디드 SW 응용 및 서비스
차량용 임베디드 SW 응용 및 서비스
항공전자용 임베디드 SW 응용 및 서비스
조선용 임베디드 SW 응용 및 서비스
기계/로봇용 임베디드 SW 응용 및 서비스
의료기기용 임베디드 SW 응용 및 서비스
임베디드 SW 공학 기술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헬스케어를 통한 미래 보건의료 모습을 한 눈에 헬스케어 미래관(Future Healthcare Exhibition) 공식 개관 (0) | 2016.12.22 |
---|---|
TTA, 세계최초 USB Type-C™ 충전기(Certified USB Charger) 시험소자격 획득 (0) | 2016.12.22 |
핀테크 Demo Day in 베이징 개최 (0) | 2016.12.22 |
스마트폰으로 신분증 찍으면 개인정보 감춰진다-ETRI,「증강형 프라이버시 마스킹」기술 개발 (0) | 2016.12.22 |
차세대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발표-행자부, 표준프레임워크 AI기반 지능형 전자정부에 활용 (0) | 2016.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