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이공학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결과 발표
등록일 2021-06-03
2021년 이공학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결과 발표
◈ 이공 대학중점연구소 33개소, 핵심연구지원센터 18개소 신규 선정으로 대학 내 특성화·전문화된 연구 구심점 구축
◈ 창의적 연구에 도전하는 박사급 연구자 1,668명, 지역대학 연구자와 국가 차원의 보호·육성이 필요한 보호학문분야 연구자 611명 지원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신형식)은 2021년 이공학 학술연구지원 8개 사업의 신규과제 선정 결과를 6월 4일(금)에 발표하였다.
ㅇ 교육부 이공학 학술연구지원사업은 국가 연구개발사업 성과의 핵심이 되는 대학의 학술·연구역량 강화를 목표로, ① 학문후속세대 양성, ② 대학 연구기반 구축, ③ 학문 균형발전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ㅇ 올해는 작년 수준으로 신규 과제를 선정하여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고, 대학 연구소를 대학 내 연구 구심점으로 육성하는 한편,
- 연구 여건이 열악한 비전임 연구자, 보호 분야·지역대학의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지원 범위를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교육부 이공학 학술연구지원사업 구조 》
학문 후속세대 양성 대학 연구기반 구축 학문 균형발전 지원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대학중점연구소 발굴·육성 ∙창의·도전 연구기반 지원
∙박사후연구원 국내외 연수 ∙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 ∙보호연구
∙대통령 박사후 연수(Post-Doc) 연구지원금(펠로십) ∙지역대학 우수과학자
∙학제 간 융합연구
※ (학문후속세대지원) 박사후 국내연수 지원규모 확대(4천5백만원→6천만원) 및 국외연수 3년형 신설
(대학중점연구소) 자율운영형 5개소 선정, 지정공모형(비대면기술, 이공학술연구지원) 2개소 선정
(학문균형발전지원) 창의도전 연구기반 지원 연구비 확대 및 보호연구·지역대학 지원 범위 다양화
《 박사급 고급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맞춤형 지원 》
□ 연구력이 가장 왕성한 시기의 신진연구자가 독립적 연구역량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도록 박사과정생부터 박사학위 취득자, 신진 연구인력으로 이어지는 전 주기적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공백 없이 지원해 기초연구 저변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박사후 국외연수 창의·도전연구
박사과정생 5년 이내 박사취득 박사후연구원, 비전임교원
2천만원/연 4천5백만 원/연 7천만원/연
2021년 355개 2021년 250개 2021년 1,063개
* 박사후 국내연수(2021년 500개)는 6.4.(금)까지 접수 중이며, 8월 중 선정 예정
ㅇ 연구과제는 자유 공모 방식으로, 학문분야별 전문가 평가를 통해 연구자 역량과 연구주제의 창의성·도전성이 높은 과제를 선정하였으며,
- 특히, 미래 선도 학문 분야의 고급 연구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해외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의 장기 연수(3년)를 신설하여 지원한다.
《 대학 연구 거점 구축 및 연구 기반(인프라) 강화 》
□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은 교육부가 1980년부터 우수한 이공 분야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하여 대학 내 우수 연구성과 축적 및 우수 연구인력 양성에 기여하도록 지원하는 대표적 학술지원사업이다.
ㅇ 연구소 운영 실적·계획, 연구인력의 우수성 및 후속세대 양성계획, 대학의 중장기 투자 계획 등에 대한 발표 평가를 통해 신청한 105개 연구소 중 최종 33개 연구소를 선정하였으며, 연구소당 최대 9년간 연 평균 7억 원(자율운영형 11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ㅇ 특히, 올해 선정하는 자율운영형 중점연구소는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소가 자체 발전계획에 따라 다양한 연구를 추진할 수 있도록 연구방향과 연구비 총액만을 정하여 다양한 연구 성과가 대학에 축적·전수될 수 있도록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이번 신규 선정을 통해 이공 분야 대학중점연구소는 총 147개로 확대되며, 약 700여 명의 신진 박사급 연구인력이 전임 일자리를 찾기 전까지 안정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기초과학연구역량강화사업’은 대학 내 산재되어 있는 연구장비를 연구분야별로 모아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핵심연구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전담운영인력의 전문적 연구장비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대학의 연구환경을 개선하고자 2019년부터 추진되었다.
ㅇ 올해 45개 센터로부터 신청을 받아 서면·발표·현장평가를 거쳐 ‘스마트 사회인프라 핵심연구지원센터(명지대)’ 등 18개소를 선정하였고, 최대 6년(3+3년)간 연구시설·장비비(운영·유지,성능향상 등), 전담운영인력 인건비 등 연 3억~10억 원을 지원한다.
- 특히, 올해의 경우 국가현안 대응형 지정공모를 통해 ‘생물안전 3등급(BL3) 시설을 확보한 연구소’를 대상으로 감염병 연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1개소(최대 6년, 연간 10억 원)를 지정하였다.
현장의 목소리
“병원성 바이러스 등을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 시설을 갖춘 대학이 매우 부족하며, 현재 운영 중인 시설의 경우에도 연구장비의 유지·보수, 연구소 관리·운영을 위한 지원이 미흡하여 대학의 감염병 연구 역량 강화에 한계가 있음”
ㅇ 핵심연구지원센터는 141명의 장비전담인력(박사급 50명)을 고용하고, 지난해(2020.3.~12.) 49,599건의 연구장비 공동 활용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논문 343건, 특허 49건의 실적을 내는 등 연구인력 고용, 장비 공동 활용, 연구 실적 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어,
- 앞으로 대학 내 연구장비 전담인력의 역할을 제고하고 대학이 기초연구 기반을 탄탄히 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여건이 열악한 연구자·학문분야 지원 》
□ 수월성 중심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보완하고자 국가 차원의 보호·육성이 필요한 학문 분야와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대학 연구자에 대한 지원을 통해 학문의 균형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ㅇ 보호연구는 기초학문의 다양성 및 학문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호·육성이 필요한 분야의 연구인력을 지원하고 있다.
- 올해는 98명의 연구자를 선정하여 최소 3년 이상 지원함으로써 연구에 안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ㅇ 지역대학의 교육·연구를 활성화하고자 올해 500명의 지역대학 우수연구자를 선정하였으며, 박사과정생 및 박사후 연구원 채용 시 인건비를 5천만 원까지 추가 지원하여 지역 대학의 연구 저변 확대와 지역사회 고용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ㅇ 또한 올해부터는 과학기술에 인문사회학적 요소를 접목한 융합연구를 지원하고자, 13명의 연구자에게 3억 원 이내 연구비를 3년간 지원하여 기초·초기 연구 단계의 새롭고 혁신적인 미래 선도 학문 분야를 발굴하고 융합 인재를 양성한다.
□ 설세훈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은 “대학은 교육의 혁신과 더불어 교육·연구의 연계를 통해 미래를 책임질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기초 연구의 구심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하며,
ㅇ 교육부가 대학 기초연구 기반 구축과 연구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선정 결과는 한국연구재단 누리집(www.nrf.re.kr), 연구시설·장비종합시스템 누리집(www.zeus.go.kr/apply)에서도 확인 가능
【붙임】1. 박사급 연구자 지원사업 개요 및 선정결과
2.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개요 및 선정결과
3.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 개요 및 선정결과
4. 보호연구·지역대학 우수연구자·학제 간 융합연구 개요
붙임 1 박사급 연구자 지원사업 개요 및 선정결과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ㅇ (사업목적) 박사과정생(석·박통합과정생 및 수료생 포함)의 박사학위 논문 주제와 관련된 창의적·도전적 아이디어 연구를 지원
ㅇ (지원대상) 국내 대학원 박사과정에 전업으로 재학 중인 자 및 수료생
ㅇ (선정결과) ’21년 총 355개 과제 선정
ㅇ (지원내용) 연수활동비 최대 2년(1+1년)간 연 2천만 원 지원
ㅇ (평가절차·내용) 전공분야별 전문가 5인 내외 서면 평가, 연구자의 역량 및 연구환경, 학업과 연구계획의 연계성·발전가능성 등 평가
박사후 국내외 연수
ㅇ (사업목적) 박사학위 취득 후 전임교원으로 임용되는 기간 동안 연구자들의 단절 없는 연구 활동 유지 및 초기 일자리 창출 지원
ㅇ (지원대상) 국내외 대학 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인 자
ㅇ (선정결과) ’21년 박사후 국외연수 250개 과제 선정
※ 박사후 국내연수(500개)는 6월~7월 중 평가를 거쳐 선정 예정(9.1개시)
ㅇ (지원내용) 연수활동비 연 45~60백만 원 지원(국내연수 1~3년, 국외 1/3년)
ㅇ (평가절차·내용) 전공분야별 전문가 5인 내외 서면 평가, 연구자의 역량 및 연구내용의 창의성, 연수 필요성 및 연수기관(지도교수) 적정성 등
창의도전 연구기반 지원
ㅇ (사업목적) 대학 내 연구전담계층으로 고용되는 이공분야 비전임교원에게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연구지원 및 연구능력의 질적 향상 유도
ㅇ (지원대상) 대학 내 비전임교원
ㅇ (선정규모) ’21년 총 1,063개 과제 선정
ㅇ (지원내용) 연구비 1~3년간 연 7천만 원 지원
ㅇ (평가절차·내용) 전공분야별 전문가 5인 내외 서면 평가, 연구내용의 창의성·도전성, 연구자 역량, 연구성과의 기대효과 등
붙임 2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 개요 및 선정결과
□ 사업 개요
ㅇ (사업목적) 대학부설연구소 특성화·전문화를 통한 기초연구 거점 구축 및 우수 신진 연구인력 육성 지원
ㅇ (사업규모) ’21년 기준 총 147개(신규 33개소, 계속 114개소)
ㅇ (지원내용) 연구비(최대 9년(3+3+3년), 연 7~11억 원 이내)
구 분 과제형 기관형 계
자유공모 지정공모 후속지원 자율운영
특징 연구과제의 우수성이 높은 연구소를 선정하여 지원 매년 학계 등으로부터 연구 필요성이 높은 분야를 지정하여 공모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연구소 중 “자립 가능한 연구소” 육성 창의적·도전적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연구소 자율적으로 자체 연구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지원 이공계 全분야 2021년의 경우 이공계 全분야 기초과학분야
대상 대학부설연구소 ① 비대면 기술 대학부설연구소 대학부설연구소
② 과학기술정책
지원 연 최대 7억 원 연 최대 11억 원
규모
지원 최대 9년(3+3+3) 최대 6년(3+3) 최대 9년(3+3+3)
기간
연구소 116개 14개 8개 9개 147개
수 (’21년 신규 26개) (’21년 신규 2개) (‘21년 신규 없음) (‘21년 신규 5개) (33개)
연구소명 조직재생연구소(순천향대학교)
우수성과명 나노 셀룰로오스 기반 외과 치료용 고기능성 치료 소재 개발
주요 성과 [논문] The ISME Journal Enhancement of hemostatic property of plant derived oxidized nanocellulose-silk fibroin based scaffolds by thrombin loading / CARBOHYDRATE POLYMERS 등 5편
[특허] 목재 기반 산화 셀룰로오스와 실크 피브로인을 이용한 다공성 지혈제의 제조방법(’19.10.24) 등 등록 3건, 출원 3건
[언론보도] 빠른 지혈제, 나무로 만든다(’19.5), KBS 특별기획 케미롭게 살아가기(’19.12)
성과 내용 인구의 고령화, 각종 산업재해, 교통사고, 중증질환의 증가에 따라 신체적 기능 손실을 대체하고 외과수술에 필요한 생체소재 기반 메디컬 디바이스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 그러나 현재 임상에 적용되고 있는 치료 소재는 대부분 초고가의 수입제품이라 국산화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OCNF 기반 지혈제, 유착방지제 및 창상치료제를 개발하여 기존 초고가 수입제품의 한계를 극복하였고, 우수한 치료 소재를 개발하여 조기 국산화 실현에 노력중임.
□ 선정평가 개요
ㅇ (평가일정) (신청서 접수) ~’21.2.26 / (발표평가) ’21.4.19~4.28
ㅇ (평가체제) 학문 분야별 평가위원회 구성
ㅇ (평가절차) 사전검토 및 발표평가 실시
① 사전검토 ▶ ② 선정평가 ▶ ③ PM협의체 ▶ ④ 종합심사
신청자격 등 평가대상 발표평가 신규과제 선정(안) 마련 이의신청 검토 및
결격사유 검토 → 예비선정 발표 선정결과 최종 심의
→ 최종선정 발표
ㅇ (평가지표) 100% 정성평가
구분 평가항목 평가내용 배점
연구소 연구소 운영 실적 - 연구소 설립 이후부터 특성화‧전문화 노력 등 연구소 운영 실적 20
기반구축 - 현재 연구소 공간 확보 현황, 시설 및 연구 장비, 문헌 보유 현황
-85 연구소 운영 계획 - 연구소 특성화‧전문화 발전 계획(대학의 특성화 발전 방향과 부합도 포함) 20
- 학‧연‧산 협력계획
- 지역 거점연구소로 발전방안(연구소 자생력 확보 방안 포함)
- 학술대회‧세미나 발표 등 성과 공유 계획
연구인력 - 공동연구원, 전임연구인력의 연구 실적ㆍ역량 및 참여 적절성 20
구성 - 연구소장의 행정적‧학문적 역량
- 교육-연구 연계 프로그램의 우수성
- 신진 박사급 연구인력 육성 및 활용계획의 우수성
대학의 연구소 - 중장기 연구소 육성계획 25
육성 계획 - 대학의 인력 확충‧지원 계획(전임연구인력 지원, 행정인력 등)
- 대학의 중장기(사업기간+사업종료 후 5년간) 재정투자 및 시설 확충 계획
연구 연구 수행계획 - 연구주제의 창의성․구체성 15
계획 - 연구내용, 방법의 적합성 및 체계성
-15 - 결과활용 및 기대성과
합계 100
□ 선정결과
구분 대학 연구소명 연구책임자 학문분야
자유공모 울산대학교 화학산업종합연구소 이영일 화학
-26 숭실대학교 우주물질연구소 천명기 물리학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여성건강연구소 양영 분자생명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장철성 기반생명
부경대학교 해양바이오닉스융합기술센터 정원교 기반생명
순천향대학교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 융복합연구소 이용석 기반생명
충남대학교 동물의과학연구소 이종수 기반생명
한림대학교 한국영양연구소 임순성 기반생명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류마티즘연구원 배상철 기초의학
동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김동억 기초의학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의대) 소화기병연구소 명승재 응용의학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약학연구소 한상범 약학
서울대학교 치학연구소 양형철 치의학/한의학/간호학
성균관대학교 나노튜브 및 나노복합구조연구센터 백승현 설계생산
(자연과학캠퍼스)
군산대학교 신재생에너지연구센터 김형주 지반공학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방재연구소 박상덕 수공학
충남대학교 나노공학연구소 윤순길 세라믹재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연구소 권용재 화공재료공정
영남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박용완 ICT기반융합
경북대학교 ICT.자동차융합연구센터 한동석 ICT기반융합
고려대학교 Human-inspired AI 연구소 임희석 컴퓨터·소프트웨어
가천대학교 바이오나노응용연구센터 김종성 바이오·의료융합
한국교통대학교 4D융합기술연구소 황준 바이오·의료융합
부산대학교 환경·에너지 연구소 오정은 에너지·환경 융합·복합
광운대학교 플라즈마바이오과학연구소 최은하 에너지·환경 융합·복합
영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김춘영 다학제 융합·복합
지정 비대면 고려대학교 융합소프트웨어연구소 유혁 ICT기반융합
공모
-2 과기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혁신전략정책연구센터 김원준 다학제 융합·복합
정책
자율공모 이화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김동하 화학
-5 아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김승주 화학
포항공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박재모 물리학
숭실대학교 기초과학융합연구소 이윤상 물리학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이우균 기초생명
붙임 3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 사업 개요 및 선정결과
□ 사업 개요
ㅇ (목적) 대학 R&D 역량을 향상과 효율적 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해, 연구 분야별로 전문화된 ‘핵심연구지원센터(Core-Facility)*’ 조성ㆍ운영
* 연구장비 전담운영인력의 시설장비 관리와 연구지원 멘토링이 가능한 연구분야별 시설·장비 공동활용센터로, 대학에 기 구축된 장비를 한 공간에 집적하여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연구지원시설
ㅇ (지원대상) 학과 또는 학문분야 단위로 연구장비를 집적·공동활용하고 전문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대학 연구시설
- 세부 유형 : 신규조성형, 성장지원형, 국가현안 대응형
ㅇ (지원내용) 핵심연구지원센터 초기 조성에 필요한 경비 지원, 연구장비 집적 규모에 따라 센터당 최대 6년(3+3년)간 연 3~10억 원 내외 지원
구분 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 지원
지원 • 연구장비 이전비/유지보수/성능향상비 • 장비전담인력 인건비/교육 훈련비
내역 • 기타 센터운영비
선정 자유공모 지정공모
과제수 • 신규조성 13개소 내외 • (시범) 국가현안 대응형 1개소 내외
• 성장지원 4개소 내외 ※ 대학 내 생물안전 3등급(BL3) 시설을 확보한 연구소 등 집단
지원 • 연 3∼6억원 (간접비 포함) • 연 3∼10억원 이내 (간접비 포함)
연구비 ※ 간접비 : 직접비 15% 이내, 지원인력 인건비를 직접비에 책정한 경우 직접비 10% 이내
※ 기관지원금 의무 부담 : 정부 지원 금액의 10% 이상 현금 의무 부담
(10% 이상 추가 부담시 비율에 따라 선정에 가점 부여)
※ 정부지원금은 매년 연차점검을 통해 조정 예정
지원 • 6년(3+3)
기간
□ 선정평가 개요
ㅇ (평가일정) 신청접수 및 사전검토(~3월 말) → 계획서 서면평가(3.31~4.1) → 계획서 발표평가(4.13~14) → 현장평가(4.21~27) → 최종평가(4.30)
ㅇ (평가체제) 학문 분야별 평가위원회 구성
사전검토 ▶ 선정평가 ▶ 운영위원회 ▶ 종합심의 ▶ 최종 발표
신청자격 등 (1차) (2차) (3차) (4차) 예비선정 결과 및 이의신청 검토 예비선정결과 최종선정
평가대상 서면 발표 현장 최종 최종 심의 및 확정 결과 발표
결격사유 검토 평가 평가 평가 평가
ㅇ (평가지표) 평가항목(100점→90점 환산) + 가점(최대 10점)* 내용을 평가하여 100점 만점으로 평가
* 기관의 지원 의지(5점), 박사급 인력채용 여부(3점), 대학중점연구소사업 수행 여부(2점)
구 분 평가내용
중기(3년) 발전계획의 적절성(60) ◾특정 연구분야에 충분히 특성화된 계획이고, 해당 센터의 필요성 및 조성 시의 파급력이 높은가?
◾사업에 대한 충분히 이해를 바탕으로 계획을 마련하였고, 센터의 중기 발전계획이 명확하고 실현가능한가? 설정한 자체목표가 적절한가?
◾대학이 센터 육성 및 지원을 위한 체계를 갖추고 있고, 센터가 안정적으로 조성・운영・정착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 충분히 지원할 의지가 있는가?
구축・운영계획의 적절성(40) ◾집적 대상 장비의 연관성 및 상태, 장비 집적 규모, 공간 확보, 센터 조직 체계 구축 등 시설구축계획이 적절한가?
◾참여인력 및 전담운영인력이 적절히 배치(전담운영인력 정규직 고용 포함)되었고, 공동활용, 역량 강화, 교육, 운영비 확보 등 운영계획이 구체적이고 우수한가?
※ 세부 유형별 평가 배점을 달리하여 평가함
□ 선정결과
구분 대학 센터명 연구책임자
신규조성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 융합분석센터 류종식
-13 경희대학교 다중차원 물질 융복합 연구센터 박용섭
부산대학교 신물질 양자현상 통합해석 연구지원센터 황춘규
이화여자대학교 신약개발연구코어센터 권영주
원광대학교 바이오메디컬 소재 분석·이미징 지원센터 최성규
포항공과대학교 마이크로바이옴 핵심연구지원센터 이승우
동아대학교 신경중개연구솔루션센터 고형종
경북대학교 차세대 시퀀싱 핵심연구지원센터 신재호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지원센터 김종일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핵심지원연구센터 김재균
인하대학교 지속가능한 에너지 부품소재 핵심연구지원센터 최진섭
가천대학교 Cell to In-vivo 이미징 핵심연구지원센터 백현만
부산대학교 부산대 하이브리드 제조혁신 엔지니어링 센터 박상후
성장지원형 서울대학교 극한물성측정 핵심연구 지원센터 김기훈
-4 전북대학교 고온플라즈마응용연구센터 문세연
명지대학교 스마트 사회인프라 핵심연구지원센터 김철영
서울대학교 극한상태 재료/구조 성능평가 연구지원센터 (극한성능실험센터) 조재열
국가현안대응형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어성국
-1
붙임 4 보호연구·지역대학 우수연구자·학제 간 융합연구 개요
보호연구
ㅇ (사업목적) 기초학문의 다양성·균형성을 유지하고, 국가 차원의 보호·육성이 필요한 분야의 연구를 지원하여 학문의 균형적 발전 유도
ㅇ (지원대상) 학술진흥법 제2조제5호 연구자 중 연구기반 취약분야에서 연구의 유행을 따르지 않고 본인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
ㅇ (선정결과) ’21년 총 98개 과제 선정
ㅇ (지원내용) 연구비(3~10년), 연 1.3억 원 이내 지원(학문후속세대 인건비 20% 포함)
ㅇ (평가절차·내용) 학문분야별 평가자 평가, 보호연구 지원의 적합성 및 연구자 연구 실적·역량, 중장기 연구계획의 적절성 등
지역대학 우수연구자
ㅇ (사업목적) 수도권 대비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역의 과학기술 연구역량 제고 및 우수 연구인력 양성 지원
ㅇ (지원대상) 지역대학의 전임 및 비전임 교원
ㅇ (선정결과) ’21년 총 500개 과제(후속과제 26개 포함) 선정
ㅇ (지원내용) 연구비(3~10년), 연 5천만 원 이내 지원(박사생, 박사후 채용 시 5천 추가 지원)
ㅇ (평가절차·내용) 전공분야별 전문가 5인 내외 서면 평가, 연구자의 교육·연구 업적 및 연구역량, 연구주제의 창의성 및 기대효과, 연구기간 적절성 등
학제 간 융합연구
ㅇ (사업목적) 미래 선도형 학문 분야 발굴 및 융합 인재 양성
ㅇ (지원대상) 대학 전임교원
ㅇ (선정결과) ’21년 총 13개 과제 선정
ㅇ (지원내용) 연구비(3년), 연 3억 원 이내 지원
ㅇ (평가절차·내용) 전공분야별 전문가 10인 내외 평가, 연구주제의 융합연구 필요성 및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로 구성 여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