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MS 윈도우 파일공유기능(SMB 프로토콜) 취약점 예방 위한 보안 업데이트 당부
담당자 취약점분석팀 등록일2020-03-13
KISA, MS 윈도우 파일공유기능(SMB 프로토콜)
취약점 예방 위한 보안 업데이트 당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김석환)은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
윈도우 제품의 파일공유기능(SMB 프로토콜)을 통해 악성코드를 설치·
실행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됨에 따라, 사용자 긴급 보안 업데이트
적용 등 보안 강화를 당부한다고 2020. 3. 13.(금) 밝혔다.
이번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제품은 윈도우 10(버전 1903, 1909) 및
서버(버전 1903, 1909)이며, 2017년 전 세계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했던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취약한 PC에
악성코드를 전파할 수 있어 보안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해당 윈도우 제품 사용자는 MS 누리집 또는 윈도우 업데이트 기능을
통해 보안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한다. MS는 이번 취약점의 위험성과
파급력을 감안해 패치가 배포되기 전 임시 대응 방법을 제공했으며,
패치 개발 후 긴급 업데이트를 공지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KISA보호나라 보안 공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MS 윈도우 SMB 취약점 관련 보안 공지 확인 경로
(KISA) KISA 보호나라(https://www.boho.or.kr) → 자료실 → 보안공지→ 1288번 공지
(MS) https://portal.msrc.microsoft.com/en-US/security-guidance/advisory/CVE-2020-0796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
- 2 -
KISA는 MS 보안 업데이트 발표 직후 보안 공지를 통해 윈도우 사용자에게
보안 업데이트를 권고했으며, 국내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및 국내
기업 보안담당자를 대상으로 신속한 윈도우 보안업데이트 적용을 즉시
안내했다. 또한, SMB 취약점과 관련한 국내·외 이상 징후 및 사고 사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KISA 신대규 사이버침해대응본부장은 “SMB취약점 패치가 적용되지
않으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감염 및 다른 시스템으로의 전파가
이뤄질 수 있는 만큼 이용자의 적극적인 보안 업데이트를 당부한다”며,
“KISA는 이로 인한 사이버 침해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신속한
상황 전파 및 모니터링 강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3 -
붙임 윈도우 최신 업데이트 방법
□ 업데이트 대상 윈도우
o 윈도우 10(버전 1903, 1909)
o 윈도우 서버(버전 1903, 1909)
□ 업데이트 확인
o ① “시작” -> ② “설정” -> ③“업데이트 및 보안” -> ④“Windows 업데이트”
① “시작” 버튼 클릭
e
② “설정” 버튼 클릭
③ “업데이트 및 보안” 클릭
- 4 -
④ “Windows 업데이트” 클릭
□ 문의사항
o Microsoft 고객센터: 1577-9700
o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민원센터: 국번없이 118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시설, 실내 체육시설, 유흥시설에 대한 15일 간 운영 중단 권고 (0) | 2020.03.21 |
---|---|
핀테크 기술지원센터 입주기업 모집 (0) | 2020.03.21 |
KISA, 코로나19 이슈 악용한 랜섬웨어 공격 대비 보안 강화 당부 (0) | 2020.03.21 |
생명연, 코로나19(COVID-19) 연구정보 포털 오픈-코로나19 유전체 서열 등 연구정보 제공을 통해 진단법·치료제·백신 개발 연구 지원 (0) | 2020.03.21 |
항암제 내성 관련된 ‘일차섬모’ 생성 원리 규명했다-세포내 신호전달(윈트 세포신호전달)에 의한 ‘일차섬모’형성 원리 규명 (0) | 2020.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