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월 수상자 선정- ㈜우진 박종국 차장, ㈜대동이엔지 박정열 대표이사
작성일 : 2017. 1. 19. 미래인재기반과
「대한민국 엔지니어상」1월 수상자 선정
- ㈜우진 박종국 차장, ㈜대동이엔지 박정열 대표이사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박용현)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월 수상자로 ㈜우진 박종국 차장과 ㈜대동이엔지 박정열 대표이사 등 2명을 선정하였다.
□ 박종국 차장은 유량측정시스템의 측정정확도를 +/-0.1%까지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유체의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거래 공정성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o 그간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국내 유량계측시스템 산업분야에서 향후 주요 산유국을 대상으로 유량계측시스템 공급자 인증을 획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o 박종국 차장은 “지금까지는 유럽 및 미국 회사들과 비슷한 기술력을 보유하면 된다고 생각하였으나 앞으로는 그들보다 나은 기술과 가격경쟁력으로 세계시장에서 선두가 되고 싶다.” 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박정열 대표이사는 파쇄 및 철거 시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해결할 수 있는 굴삭기용 진동리퍼* 및 진동해머**를 개발하여 세계 50여국에 수출함으로써 국내 건설장비 시장의 활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진동리퍼 : 저소음 암반 파쇄 장비
** 진동해머 : 굴착기 몸체에 부착해 암반을 부수는 장비
o 특히 기존의 보편적이었던 유압 회로도를 개선하여 고장발생 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안전장치와, 기어박스 전효율 향상을 위한 기어 구동방식, 오일 순환방식을 개선하였다
o 박정열 대표이사는 “건설경기의 불황으로 건설장비 개발업체들도 어려운 시기를 맞이하고 있으나 어려운 시기일수록 지속적인 투자와 신기술 개발 그리고 핵심인재 육성이 중요하다.” 며 “앞으로 건설기계 장비 분야의 엔지니어로서 차세대 엔지니어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 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 장려와 현장기술자 우대풍토 조성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매월 2명씩 수상자를 선정해 장관상을 수여하고 있다.
<참고자료>
1.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이력
2.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박종국의 연구개발 이야기
3.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박정열의 연구개발 이야기
<참고자료1>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이력
❏ 인적사항
❍ 성명 : 박종국(朴鍾國)
❍ 소속 : ㈜우진 설계파트장
❏ 경 력
❍ 2010.02 ~ 2012.10 쿠웨이트 LPG-4 PROJECT 엔지니어링 총괄
❍ 2013.08 ~ 2015.05 사우디 RABIGH-II PROJECT 엔지니어링 총괄
❍ 2014.05 ~ 2016.10 베트남 NSRP PROJECT 엔지니어링 총괄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이력
❏ 인적사항
❍ 성명 : 박정열(朴正㤠)
❍ 소속 : ㈜대동이엔지 대표이사
❏ 경 력
❍ 1989.10 ~ 1991.05 ㈜수산중공업 기술개발부 대리
❍ 1991.06 ~ 1994.03 정국엔지니어링 기술개발부 과장
❍ 1994.07 ~ 1996.05 ㈜천양기계 기술개발부 부장
❍ 1996.05 ~ 1997.12 ㈜대농중공업 부장
❍ 1997.12 ~ 현재 대동엔지니어링 창업 및 ㈜대동이엔지 대표이사
<참고자료2>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박종국의 연구개발 이야기
o 박종국 차장은 산업의 고도화 및 유가상승으로 인하여 자원에 대한 효율적 사용이 강조될수록 거래를 위한 유량측정 장소가 많아지고 정확한 유량측정이 요구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유량계측기에 대한 연구개발에 관심을 두었다.
o 유량계측기에 대한 상업적인 교정은 ㈜우진의 기술로 가능하였으나,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대형 유량계를 교정하기에는 국내 기술로는 어려움이 있었다.
o 박종국 차장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협소한 공간에 실제 유량환경과 비슷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였고, 유체의 압력 손실, 유체 맥동 분석, 자체 설비의 설계 등을 통하여 최적의 유량을 측정 할 수 있는 설비를 제작하는데 주력하였다.
o 이러한 기술을 토대로 하여, 2015년 경기도 평택에 유량연구 교정센터를 준공하였으며 현재 한국인정기구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유량계 제조사로부터 다양한 교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연 30억원 이상의 매출에 기여 하고 있다.
붙임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연구성과 관련 그림(박종국)
< 붙임 >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연구성과 관련 그림(박종국)
< ㈜우진 평택유량연구센터 유량교정설비 >
- 12,000m3/h 대용량 유량계를 교정하기 위한 기준기와 테스트 라인의 시설 사진
< 유량교정설비 제어실>
- 교정 담당자가 유량계 교정 설비를 제어시스템을 통해서 운전하고 있는 모습
<참고자료3>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박정열의 연구개발 이야기
o 박정열 대표이사는 기존에 암반파쇄에 사용되고 있던 장비의 낮은 파쇄량과 잦은 소모품의 교체, 작업 효율성 및 장비의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으로부터 진동리퍼* 및 진동해머** 개발에 착수하게 되었다.
* 진동리퍼 : 저소음 암반 파쇄 장비
** 진동해머 : 굴착기 몸체에 부착해 암반을 부수는 장비
o 박정열 대표이사는 1997년부터 약 20년간 진동기술의 효율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에 전념한 결과, 국내 최초로 우수한 진동리퍼 및 진동해머 개발에 성공하였다.
o 최초의 개발품은 예상하지 못한 작동불량, 공정과정에서 다루지 못한 문제, 설계의도와 달랐던 실제 구동방식에서 발생하는 이상마모와 고장은 중소기업에서 극복하기엔 쉽지 않았으나 한국기계연구원 등 전문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메커니즘상의 문제를 이겨내며 생산/조립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었다
o 박정열 대표이사가 개발한 진동해머 및 진동리퍼는 수입 제품을 대체하여 국내 주요 건설현장 굴삭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세계 50여국에 수출하고 있다.
붙임 2016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연구성과 관련 그림(박정열)
< 붙임 >
2017년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연구성과 관련 그림(박정열)
<Vibro Ripper : 저소음 고주파 진동으로 암반을 파쇄 하는 장비>
<Vibro Hammer : 90도 꺾이는 구조로 건설 파일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비>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를 연구하는 산업’본격 육성한다- 미래부, 「연구산업 육성전략」 6월까지 수립 (0) | 2017.01.19 |
---|---|
식물 뿌리 모방한 새로운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 저렴한 비용의 안정적인 해수담수화 기술의 대중화 기대 (0) | 2017.01.19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중장기 주파수 종합계획인 「K-ICT 스펙트럼 플랜」확정 (0) | 2017.01.19 |
2017년도 팁스(TIPS) 창업팀 지원계획 공고 (0) | 2017.01.19 |
경기도 “공유경제 확산을 위한 참신한 제안을 받습니다” (0) | 2017.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