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발표-관계부처 및 14개 시도(비수도권) 합동으로 5개년(2021~2025) 기본계획 수립
등록일2021-03-02
‘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발표
- 관계부처 및 14개 시도(비수도권) 합동으로 5개년(2021~2025) 기본계획 수립 -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관계부처 및 비수도권 14개 시도와 합동으로 수립한 ‘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이하 ‘지방대학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ㅇ 이번 방안은 「지방대육성법」제5조에 따라 매 5년마다 수립되는 법정 기본계획으로서, 지난 2월 17일(수)에 개최한 제13차 지방대학 및 지역인재 육성지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되었다.
* 「지방대육성법」 제9조에 따라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차관급 공무원과 지자체장, 대학 총장, 전문가 등 총 20명으로 구성
ㅇ 제2차 기본계획은 지역인재 유출 및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여, 인구유출을 막는 ‘댐’으로서의 지역 협업시스템 구축과 그 핵심 축으로서의 지방대 역할을 재정립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ㅇ 이를 위해 ‘대학과 지역, 미래를 여는 혁신 공동체’라는 비전을 가지고 ‘지방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혁신’, ‘지역인재 정착을 위한 지역 혁신’,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 촉진’이라는 세 가지 정책의 틀을 바탕으로 주요 과제를 설정하였다.
지방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혁신
❖ (방향) 협업에 기반한 동반성장형 지방대학 혁신 지원
❖ (핵심과제) 공유성장형 고등교육 생태계 구축, 지방대 전략적 특성화(글로벌. 디지털), 대학 적정규모 관리 및 한계사학 등에 대한 체계적 관리 강화
□ 첫째, 대학들이 동반 성장하는 고등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및 재정 확충을 지원한다.
ㅇ 먼저 지자체- 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플랫폼을 확대*하여 ‘지역특화형’ 공유대학 모델 창출·확산을 지원하는 한편, 올해부터 추진하는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을 통해 ‘수도권+지방대학’이 공동으로 신기술 분야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 (2020) 3개 플랫폼(4개 시도) → (2021) 4개 플랫폼(8~9개 시도) →단계적 확대
ㅇ 다음으로, 지역혁신 플랫폼 지역을 ‘고등교육 혁신 특화지역’으로 지정하여 최대 6년간 고등교육 규제를 유예하고, 대학 운영과 관련된 핵심 기준의 대폭 완화를 추진한다.
ㅇ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지역 간 균형 제도화*, 국립대 기존 사업의 단계적 개편·통합(2021~) ,「국립대학법」제정(2021~)을 통한 재정 확대 및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아우르는 고등교육 재정 확충을 위한 계획(로드맵)을 수립한다.(~2021.9월)
* 고등교육 재정 투자 방향 내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대학재정배분방향‘ 반영
ㅇ 또한, 지방대학육성법을 개정하여 지방대학 의‧약‧간호계열 및 전문대학원의 지역인재 선발 의무화 및 지역인재 요건을 강화*하고 국가장학금 체제를 개선하여 국립대 공적 역할 강화, 지방대 자체 장학제도 구축 등을 지원한다.
* (현행) 해당 지역 고교 졸업자 → (개정) 비수도권 중학교와 해당 지역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재학기간 내 학교가 소재하는 지역에 거주한 학생
※ ’(가칭) 국가장학금 체제개편 방안 정책연구(2021.상)’ 및 방안 마련(2021)
□ 둘째, 혁신 선도자로서 지방대를 육성하기 위한 전략적 특성화를 지원한다.
ㅇ 먼저 우수 지방대학의 교육 국제화 선도모델을 창출*하고, 정부초정장학사업(GKS)의 지방대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 외국대학과의 온라인 공동 학·석사 학위과정 활성화 등
** (2020) 수도권:비수도권= 6:4 →(~2025) 5:5
ㅇ 또한, ‘3단계 산학협력 선도대학육성사업’을 추진*하여 한국판·지역 뉴딜 인재 양성을 지원한다.(2021 기획 설계 → 2022 기본계획 수립·공고)
□ 셋째, 지방대학의 질적 혁신을 위한 체계적 관리를 강화하고, 전문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을 지원한다.
< 지방대학 관리 방향 : 적정 규모 관리 + 한계사학 등 관리 >
대학 기본역량 진단 등
① 재정지원 선정대학
② 재정지원 미선정 대학
③ 재정지원제한 대학
혁신지원사업 재정 지원을 통해 대학의 적정 규모화 유도
구조개혁 등 지원을 통한 자율 경영 개선 유도
적기 시정 조치 및
폐교절차 체계화
⇒ 2022학년도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 지정 및 「대학의 체계적 관리전략」 발표 (2021.4월)
ㅇ (재정지원 선정대학) ‘대학혁신지원사업’ 내 유지충원율 적용을 통해 대학별 정원 적정 규모화를 추진한다.
ㅇ (재정지원 미선정대학) 재정적으로 곤란하나 회생 가능성이 있는 대학의 경우 스스로 경영개선을 추진할 수 있도록 구조개혁 제도* 등 규제 완화를 추진한다.
* 동일 법인 소속 대학 간 정원 조정 등 구조개혁 제도 개선, 폐교 위기 대학에 대한 지자체의 지원 유도 및 지역사회에 필요한 공간으로 전환 지원 등
ㅇ (재정지원 제한대학 등) 재정지원 제한 대학 등 재정적으로 한계에 다다른 대학에 대해서는 단계별 시정조치(개선권고, 요구, 명령) 및 폐교절차를 체계화하고, 교직원 등을 보호를 위한 신속한 청산 체계를 구축한다.
※ 「사립학교법」, 「사학진흥재단법」 개정 추진(2021)
ㅇ 이와 함께, 전문대의 평생직업교육 역량 강화를 통한 체질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과정 다양화와 유연한 학사제도를 도입하여 성인 대상 학위‧비학위 과정을 확대한다.
지역인재 정착을 위한 지역혁신
❖ (방향)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인재 친화적 정주여건 조성
❖ (핵심과제) 산학협력 촉진을 위한 캠퍼스 등 공간 혁신, 지방대 연구개발(R&D) 역량 강화
□ 첫째, 산학협력 촉진을 위한 캠퍼스 공간 혁신을 추진하여 지역인재 정착과 기업의 유입을 촉진한다.
ㅇ 광역시를 중심으로 산‧학‧연‧관이 융합된 고밀도 혁신공간인 ‘도심융합특구’(~2025년, 5개소) 조성을 지원하고, 이를 ‘지역혁신플랫폼’사업과 연계하여 교육‧창업‧문화‧주거공간 등의 융합을 도모한다.
(교육혁신+지역혁신)
취‧창업 지원 + 정주여건 혁신
ㅇ 또한, 캠퍼스 내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캠퍼스 혁신파크’를 확대*하고, 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내 캠퍼스 이전이 가능하도록 특례 신설을 추진한다.(「대학설립·운영에 관한 규정」개정, 2021)
* (교육부-국토교통부-중소벤처기업부) (2020) 22억 원, 3개소 →(2021) 314억 원, 5개소
□ 둘째, 지방대를 중심으로 지역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미래 일자리 창출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인재에게 친화적인 취‧창업 환경을 조성한다.
ㅇ 지역 고급인력 양성 및 연구개발(R&D) 지원을 위한 ‘지역 연합대학원’ 모델 창출을 지원하고, 지역연구자에 대한 우대정책을 확대한다.
ㅇ 또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의무 채용 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2022년 30%)하고 채용제도 개선을 검토한다.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 촉진
❖ (방향) 중앙-중앙, 중앙-지자체 다양한 층위의 협업 유도
❖ (핵심과제) 지자체 위상 강화, 지역 인재양성 거버넌스 재구축
□ 첫째, 지자체-대학-지역혁신주체 간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지자체의 지역인재 양성 총괄 기능을 강화하고, 주체 간에 적극적으로 협력 할 수 있는 기제를 마련한다.
ㅇ 지자체‧대학‧기업 및 공공기관 장으로 구성되는 심의‧의결 기구인 ‘지역협업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지역별 보유 자원 및 대학 관련 사업 정보를 공유하는 ‘정보통합관리망’ 구축을 지원한다.
ㅇ 또한,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 및 지자체 합동평가 내 ‘대학과의 협력사례’를 포함하여 주체 간 협력을 촉진한다.
□ 둘째, 중앙-중앙, 중앙-지자체 등 다양한 층위의 협력을 활성화한다.
ㅇ「고등교육법」을 개정하여 교육부를 중심으로 대학 재정지원사업에 대한 총괄·조정 기능 강화*를 추진한다.
* 재정지원 기본계획 내실화, 사업 신설·변경 등 협의제 도입, 조사·분석 기능 강화 등
ㅇ 또한, 사회관계장관회의와 시도별 지역협업위원회를 연계하여 지역인재 정책의 총괄조정 체계를 구축한다.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수도권 인재 유출은 교육의 문제뿐 만 아니라 일자리, 정주 여건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종합적이고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라고 언급하고,
ㅇ “지금 이 시점에서 강조되어야 하는 가치는 대학·지역·분야 간 공유와 동반 성장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기관 간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밝히며,
ㅇ “앞으로 5년간 관계부처 및 14개 비수도권 시도가 합동으로 수립한 기본계획의 차질 없는 진행 및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을 통해 대학의 혁신, 나아가 지역의 혁신을 지원하겠다.”라고 덧붙였다.
【붙임】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요약본
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2021∼2025)
요약본
2021. 2.
관계부처 합동
·
차 례
Ⅰ. 추진 배경 1
Ⅱ. 현황 진단 2
Ⅲ. 기본 방향 4
Ⅳ. 핵심 추진과제 5
1. 지방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혁신 추진 5
2. 지역인재 정착을 위한 지역혁신 8
3.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 촉진 11
Ⅴ. 향후 계획 12
[참고] 시도별 기본계획 주요 내용 13
Ⅰ. 추진배경
□ ‘19년 수도권과 세종을 제외한 13개 시도에서 20대 순유출 발생* 수도권으로의 이탈은 직업> 교육> 주택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
* 전북(-4.5%), 전남(-4.2%), 경북·경남(-3.3%), 세종(9.3%), 서울(3.3%) (’20,통계청)
◦ 비수도권 청년의 수도권 이동은 대학 진학단계(10대)에서의 1차 유출, 구직단계(20대)에서의 2차 유출 모두 증가 추세
* 연령별 수도권 순이동률(’09→’19,%) : 10대 0.2 → 0.4, 20대 1.4 → 2.1
◦ 30대 이후는 문화, 자녀교육, 의료 등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에 좌우
* 거주지 선택 좌우 요인은 20대는 좋은 일자리, 30대 이후는 삶의 질 연관 (’18,이찬영)
□ 지역 간 경제‧사회적 격차는 수도권과 지방간 ‘기울어진 운동장’ 초래, 이로 인한 지방대학의 위기는 대학 소재지 및 규모, 특성별로 상이
◦ 양질의 일자리 및 연구개발 인프라 역시 수도권에 집중*되어 지역 이탈 유인으로 작용, 이로 인해 지방대 우수인재 유입의 어려움 가중
* 매출 1000대 기업: 서울 554, 경기 174, 인천 36, 비수도권 264개(’20. 부산상의)
◦ 최근 5년간(‘16~’20) 대학별 미충원은 수도권<지방, 일반대<전문대, 국립대<소형사립대에서 심화되는 추세
* (미충원 수,명) (’16) 수도권 819 비수도권 5,616 → (’20) 수도권 2,170 비수도권 11,986
(비수도권 충원율,%) (’16) 일반대 98.6 전문대 97.5 → (’20) 일반대 98.7 전문대 90.5(규모별 충원율,%) (’16) 거점국립 99.6 사립소형 88.3 → (’20) 거점국립 99.8, 사립소형 85.4
⇛ 지역 교육‧혁신역량의 핵심으로서의 지방대 역할 정립을 바탕으로 지역 내 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인구 유출을 막는 ‘댐’ 구축 절실
◦ 대학의 체질개선 및 특색 있는 지방대를 집중 육성하여 대학 진학 단계에서의 비수도권 청년 1차 유출방지에 주력
◦ 동시에, 지역사회 내 청년 취업여건 개선 및 정주여건 향상을 통해 비수도권 청년의 2차 유출을 막기 위한 범부처 차원의 협업 추진
Ⅱ. 현황 진단
□ 그간의 성과
제1차 기본계획(’16~’20)은 10개 관계부처와 14개 비수도권 시·도가 합동으로 수립한 최초의 종합계획으로서, 연도별 시행계획 추진·점검으로 성과관리 체계화
◦ (지방대학) 고등교육분야 재정 확충 및 대학 자율성 확대
- ’19년 대학‧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을 신설, 목적형 재정지원사업을 일반재정지원사업으로 확대 통합하고 대학의 자율성 대폭 보장
- ‘국립대학육성사업’ 등 국립대 지원 확대(’17년 2.7조→’20년 3.1조)를 통해 학생 1인당 교육비 상승 견인*
* 거점국립대 학생 1인당 교육비 : (’16) 1,554만원 →(’19) 1,739만원
◦ (지역인재) 지역인재 취‧창업 지원 및 지역산업기반 인재 양성
-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의무화 등 제도적 지원
※ 공공기관 비수도권 지역인재 채용: (’16) 11,253명 →(’19) 19,720명
- 지역기업과 연계한 단계별‧대상별 일학습병행 지원* 및 중소기업 맞춤반 및 계약학과 운영**을 통한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 기여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5)9개교→(’20)151개교, IPP형 일학습병행 (‘15)14개교→(’20)37개교, P-TECH 35개교(‘20), 전문대 재학생 일학습병행 6개교(’20)
** 중소기업계약학과: (‘16) 1,575명 → (’19) 1,868명
◦ (지역사회) 지역 기반 고용서비스, 지역 정주여건 개선 지원 등
- 조례 제정을 통한 ‘지역인재육성지원협의회’ 구성‧운영,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지역 내 훈련수급조사에 기반한 공동 훈련 실시
* 대학, 공공·비영리기관, 사업주단체 등 공동훈련센터에서 1,407개 과정, 42,869명 훈련(‘20)
- 지역 내 문화‧예술 사업 확대 등을 통한 지역 정주 기반 확충
※ (세종) 지역대학 연계 여가·문화 거점공간 조성, (충남)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등
□ 한 계
◦ (대학 간 동반성장 촉진에 한계) 대학정원, 진단평가 등 기존 제도와 혁신 노력 간의 갈등, 개별대학 지원 위주의 재정지원사업 한계 노출
-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및 재정지원사업이 권역 내 대학 간 협업보다는 경쟁을 유도한다는 비판
◦ (지방대학 위기 타개 전략 미흡) 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으나 현장 체감도가 높지 않으며, 대학의 특성화를 위한 체질개선 전략 부족
- 국제화, 평생교육,「한국판 뉴딜」등 새로운 요구 확대에 적기 대응하는 시스템의 근본적인 전환 미흡
☞ [대학혁신] 협업에 기반한 동반성장형 지방대학 혁신 지원 및 복합적인 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한 지방대학 특성화 지원
◦ (일자리 및 R&D 역량 미흡) 양질의 일자리 부족, 지역 R&D 역량 및 관련 고급인재 부족
- 지역인재는 좋은 일자리 부족을, 기업은 좋은 인재의 부족을 호소
- 특히 지역 R&D를 보완할 수 있는 지방대학의 R&D 역량이 미흡
◦ (정주여건 미흡) 청년은 급여 외 문화‧도시 편의시설 등 접근성을 중요하게 여기나 지역 내 청년이 선호하는 인프라 부족
☞ [지역혁신]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인재 친화적 취업환경 조성 등 지방 도시의 생활 매력도 증진
◦ (협업 체계 미비) 지자체와 지방대,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을 위한 조직‧체계의 미비로 인해 지역혁신역량이 분산
◦ (분야별 단절) 중앙의 지방대-지자체 관련 사업은 부처별‧기관별로 분절적으로 이루어져 사업간 시너지 창출을 어렵게 함
☞ [협 업] 중앙-중앙(수평), 중앙-지자체(수직), 지역혁신주체 간(수평) 다양한 층위에서의 협업을 유도하기 위한 체계 마련
Ⅲ. 기본방향
비전
대학과 지역, 미래를 여는 혁신공동체
5
목표
대학과 지역이 함께 하는 혁신인재 양성
정책영역
및
과제
대학혁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인재 기르기
▪지속가능한 고등교육 생태계 전환 지원
▪혁신선도자로서 지방대 육성을 위한 전략적 특성화 지원
▪대학의 질적 혁신 촉진을 위한 지원 및 관리
지역혁신
일자리와 활기가 넘치는
매력적인 지방 만들기
▪ 지역인재 정착을 위한 캠퍼스 등 공간 혁신
▪지역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미래 일자리 창출 기반 구축
▪지역인재 친화적 취·창업 환경 조성
+
협 업
▪ 지자체-대학-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기반 구축
▪ 중앙-지자체 협력 활성화
핵심가치
지속가능성
자율
상생
Ⅳ. 핵심 추진과제
1
지방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혁신 추진
‧ 수도권과 지방, 지역 내 대학들이 동반성장하는 고등교육 생태계 구축
‧ 국립대 등 대학혁신 지원을 위한 고등교육 제도 혁신 및 재정 확충
‧ 신산업 인재양성, 국제화 등 전략적 특성화를 통한 지방대 육성
‧ 지역대학의 질적 혁신을 위한 한계사학 등 체계적인 관리
? 지속가능한 고등교육 생태계 전환 지원
➊ 공유성장형 지역고등교육 생태계 구축
◦ (지역 공유·협력 모델) 지역혁신플랫폼을 확대*하여 대학별 강점을 결집한 ‘지역특화형’ 공유대학 모델 창출·확산 지원
* (’20) 3개 플랫폼(4개 시도) → (’21) 4개 플랫폼(8∼9개 시도) → 단계별 확대
◦ (신기술 공유대학 구축)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을 활용하여 수도권 + 지방대학 공동으로 신기술 분야 인력 양성 추진
* ’21 신규사업 → 8개 분야, 48개교 내외, 832억 원 지원
◦ (협업모델 확산) 국립대 주도 지역대학 간 공동교육과정‧학점교류를 활성화하고 복수‧공동학위 수여 등 고등교육 협업 선도모델 창출 지원
* (예시) 대학 간 학점교류(거점대 9개교 및 서울대), 세종 AI/ICT 분야 공동캠퍼스(충남대-공주대-한밭대), 연합대학(강원대-강릉원주대)
◦ (상생‧협력 유도) 24년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를 개편 및 공유대학 활성화를 위한 이동수업 기준 완화* 등 대학 간 협업‧상생 유도
* 참여대학 권역 내 중앙부처‧지자체 및 공공기관 소유 시설 또는 대학과 협약한 산업체‧연구시설 등에서 수업하는 것을 허용(‘21∼)
➋ 지방대학 혁신동력 구축을 위한 제도개선 및 재정지원 확대
◦ (규제 혁신) 플랫폼 지역 중 ‘고등교육 혁신 특화지역’을 추가 지정하여 최대 6년간 고등교육 규제 유예(완화, 적용배제 등)(지방대육성법 ‘21.6.1. 시행)
◦ (국립대 지원 강화) 기존 사업들의 단계적 개편‧통합으로 수도권 대학 및 국립대 법인 수준 재정 확충 및 효율성 제고 도모
- 국립대학 재정확충 및 자율성 확대, 지자체의 투자 유도 등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국립대학법」제정(‘21~)
◦ (재정지원사업 확대) 대학재정지원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사업비 배분 등에서 지역균형 요소* 반영
* 現 대학혁신지원사업 인센티브(사업비 30%) 배분 시 지역강소대학에 가중치 부여 등
◦ (로드맵 수립) 고등교육 재정 확충 로드맵을 수립(∼’21.9)하고, 고등교육 재정투자 방향 내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대학재정배분방향’ 반영
➌ 지방대 우수인재 유입을 위한 유인책 마련
◦ (지역인재 선발 개선) 「지방대육성법」개정을 통해 지방대 의‧약‧간호계열 대학 및 전문대학원의 지역인재 의무선발 및 지역인재 요건 강화* 추진(‘21)
* (현행) 해당 지역 고교 졸업자 → (개정) 비수도권 중학교와 해당 지역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재학기간 내 학교가 소재하는 지역에 거주한 학생
◦ (장학금 확대) 국립대 육성 및 공적 역할 강화, 지방대 자체 장학제도 지원 등 고등교육 정책 방향을 뒷받침할 국가장학금 체제 개선 추진
※ ‘(가칭) 국가장학금 체제개편 방안 정책연구(’21.상)’ 및 방안 마련(’21)
? 혁신 선도자로서 지방대 육성을 위한 전략적 특성화 지원
➍ 전략적 국제화 추진을 통한 글로벌 지방대 육성
◦ (국제화 선도모델 창출) 지역혁신플랫폼 사업 등을 활용하여 우수 지방대의 교육 국제화 선도모델 창출 지원*
* 우수 지방대의 유학생 전담학과 및 외국과의 온라인 공동 학‧석사 학위과정 허용 및 정부초청장학사업(GKS) 지방대 비중 확대, 유학생 연합기숙사 건립 등
➎ 디지털 뉴딜, 지역 뉴딜을 이끄는 혁신인재 양성 지원
◦ (뉴딜인재 양성)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지원사업을 통해 신기술 분야 인재 10만 명 양성, ‘3단계 산학협력 선도대학육성사업(LINC)’을 추진하여 한국판·지역 뉴딜 인재 양성 지원(’22~)
◦ (디지털 인재 양성) 폴리텍 스마트 공장 특화 캠퍼스 및 러닝팩토리 확대, 혁신적인 대학‧기업‧훈련기관이 연계한 K-디지털 훈련모델 구축을 통해 ’25년까지 18만 명의 미래형 핵심 실무인재 양성
? 대학의 질적 혁신을 위한 체계적 관리 지원
➏ 지방대학의 체계적 관리
< 지방대학 관리 방향 : 적정 규모 관리 + 한계사학 등 관리 >
대학 기본역량 진단 등
① 재정지원 선정대학
② 재정지원 미선정 대학
③ 재정지원제한 대학
혁신지원사업 재정 지원을 통해 대학의 적정 규모화 유도
구조개혁 등 지원을 통한 자율 경영 개선 유도
적기 시정 조치 및
폐교절차 체계화
⇒ ’22학년도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 지정 및 「대학의 체계적 관리전략」 발표 (’21.4월)
◦ (재정지원 선정대학: 대학의 적정 규모화 유도) 대학 혁신지원사업 지원 시 유지충원율 적용을 통해 대학별 정원 적정 규모화 추진
- 아울러, 과도한 정원 외 모집확대가 교육 여건 악화 및 지역 간 격차를 심화시키지 않도록 관리
◦ (재정지원 미선정대학: 자율적 구조개혁 지원) 재정적으로 곤란하나 회생 가능성이 있는 대학의 경우 스스로 경영개선을 추진할 수 있도록 구조개혁 제도 등 규제 완화(~‘22)
※ 동일 법인 소속 대학 간 정원 조정 등 구조개혁 제도 개선, 폐교 위기 대학에 대한 지자체의 지원 유도 및 지역사회에 필요한 공간으로 전환 지원 등
◦ (재정지원 제한대학: 체계적 관리 강화) 재정적 한계 대학에 대한 적기 시정조치(단계별: 개선권고,요구,명령) 등 폐교절차 체계화(‘21∼)
- 청산융자금 지원 및 청산 전문기관 운영 등 폐교 교직원 보호를 위한 신속한 청산 체계 구축(사립학교법․사학진흥재단법 개정, ‘21)
➐ 평생직업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체질개선 지원
◦ (전문대학) 교육과정 다양화, 유연한 학사제도를 통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평생직업교육기관으로 체제 전환 지원
- 고숙련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마이스터대’ 도입(5개교, 100억 원)
- ‘후진학 선도전문대학’ 및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모듈형 교육과정, ‘23~)을 통해 성인학습자 대상 학위‧비학위 과정 확대
◦ (지방 강소대학) 대학 평생체제 지원사업 수행 대학 등 우수 지방대 대상으로 정원 외 선발 인센티브 부여* 및 비수도권 일반대학 30세 이상 학습자 정원 외 입학 허용(「고등교육법 시행령」개정)
* 정원 외로만 구성되는 성인학습자 전담학과‧전공 개설 허용
2
지역인재 정착을 위한 지역혁신
‧ 지역인재 정착을 위한 ‘도심융합특구’ 및 대학-산단 연계 등 공간혁신 추진
‧ 지역산업 연계 연합대학원 모델 창출 및 지역 R&D 역량 강화 지원
‧ 공공기관 및 지역기업의 지역인재 채용 확대 및 취․창업 역량 강화 지원
? 산학협력을 촉진하는 캠퍼스 공간 혁신
➊ 도심융합 특구 등 지역청년 친화적 공간 확대
◦ (도심융합특구) 광역시 중심에 산‧학‧연‧관이 융합된 고밀도 혁신공간을 조성(~‘25년 5개소)하고, 범부처 차원의 ’인센티브 메뉴판‘ 제공
- 도심융합특구(국토부)+지역혁신플랫폼(교육부)간 연계로 교육‧창업‧문화·주거공간 등의 융합 도모
(교육혁신+지역혁신)
취‧창업 지원 + 정주여건 혁신
➋ 대학-기업 연계를 통해 일자리가 있는 곳으로 캠퍼스 확대
◦ (캠퍼스 내 기업) 캠퍼스 혁신파크 확대를 통한 대학 내 첨단산업단지 조성, 대학 유휴교지를 활용한 기업‧연구시설 유치 활성화 추진
※ (교육부-국토부-중기부) (’20) 22억 원, 3개소 →(’21) 314억 원 5개소
◦ (산업단지 내 캠퍼스) 혁신도시(산학연 클러스터) 내 캠퍼스 이전 특례 신설을 통해 新교육모델 확산 추진(대학설립운영규정 개정, ‘21)
※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을 대학‧혁신도시‧기업도시 등으로 지정 확대 추진(’21)
? 지역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미래 일자리 창출 기반 구축
➌ 혁신주체 간 연계를 통한 지역 R&D 역량 강화
◦ (지역연합대학원) 지역혁신플랫폼 구축 지역을 중심으로 인력양성 및 지역 R&D 지원을 위한 연합대학원 모델 창출 지원
- 지역혁신플랫폼 법인을 설립주체로 한 연합대학원 모델 또는 공유대학을 대학원 수준까지 확장한 모델 창출 지원
< (예시) 지역 연합대학원 모델 >
◦ (거점 연구중심대학) 국립대학의 기초‧보호학문 육성 및 연구기반 강화 지원, ‘4단계 두뇌한국(BK)21’ 내 대학원 혁신지원비 지원 확대를 통해 자율적인 연구역량 강화 지원
◦ (지역 연구기반) 인문‧이공분야 지역연구자에 대한 우대정책 확대 및 지역별 형평성을 고려한 대학 연구 인프라 구축 지원
? 지역인재 친화적 취‧창업 환경 조성
➍ 공공기관 및 지역기업 채용 기회 확대
◦ (공공기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의무채용 비율의 단계적 확대(∼‘22년 30%) 및 지역인재 채용제도 개선 검토
◦ (지역기업) 지역기업의 지역인재 채용 실태조사, ‘(가칭) 지역인재친화기업 인증제’ 도입으로 채용실적이 우수한 기업 인증 및 인센티브 제공(‘23~)
➎ 지속적인 역량 개발 및 취‧창업 지원
◦ (대학 진로‧취업 교육) ‘대학 진로탐색학점제’ 확대 및「진로교육법」개정을 통한 대학 진로교육 기능 강화(‘21)
- 지역혁신플랫폼 내 ‘지역인재 학사-경력 연계 시스템’ 도입 지원
< (예시) 학사-경력 연계-통합 시스템 구축 >
◦ (맞춤형 지원) 대학‧지역 유관기관 등과 연계한 고교생* 및 재직자 현장 맞춤형 훈련 지원 확대**
* (고교생) 시군구-특성화고-기업-대학 연계 ‘직업교육 혁신지구’ 운영(‘21.신규)
** (재직자) 고숙련 일학습병행(P-TECH) 이후 4년제 대학 편입 등을 통한 후 학습경로 다양화 및 K-Digital 플랫폼을 통한 디지털 융합‧훈련 공유 제공(‘21년 5개권역, 50억 원)
3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 촉진
‧ 지역인재 양성‧활용 정책 추진의 거점으로서의 지자체의 위상 강화
‧ 대학지원사업 총괄‧조정기능 강화 및 상시적 지방대학 및 지역인재 육성 네트워크 지원
? 지자체-대학-지역혁신주체 간 협업기반 구축
➊ 지자체의 지역인재 양성 총괄 기능 강화
◦ (지역협업위원회) 지자체·대학·기업 및 공공기관장 등으로 구성되는 심의·의결 기구인 지역별 ‘지역협업위원회’* 구성·운영(지방대육성법 ‘21.6.1.시행)
* 지자체장 단독 또는 대학총장과 공동 위원장
- 지자체가 대학과 함께 지역혁신 방향을 설정하고 분야별 혁신 추진
◦ (정보통합관리망)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이 보유한 자원 및 대학관련 사업 정보를 공유‧취합, 사업간 연계‧효율화 추진
◦ (지자체 협의 제도화) 「지방대육성법」개정을 통해 지방대학 육성 방안 및 재정사업 추진 시 지자체 의견 사전 청취 제도화(‘21~)
➋ 지자체-대학-지역혁신주체 간 협력 기제 마련
◦ (협력기제 마련) 지자체 합동평가 지표 내 ‘대학-지역혁신주체와의 협력사례’ 반영, 공공기관 경영평가 지표 내 ‘지역 대학과의 협력 노력 및 성과’ 반영(‘21~)
◦ (혁신도시 연계)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23∼’27) 수립 시 대학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산학연 사업이 발굴‧운영될 수 있도록 유도
◦ (재정지원 반영) 대학재정지원사업 평가 지표 내 ‘지역사회와의 협력‧기여’ 정도 반영(‘21~)
? 중앙-지자체 협력 활성화
➊ 중앙부처 대학재정지원 총괄‧조정 기제 마련
◦ (대학재정지원 총괄) 국가 인재양성 정책의 목표와 투자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중앙부처 대학재정지원사업 총괄‧조정
- 「고등교육법」개정을 통해 총괄‧조정 기능*의 근거 마련(’21)
* 재정지원 기본계획 내실화, 사업 신설‧변경 등 협의제 도입, 조사‧분석 기능 강화 등
◦ (정책 거버넌스) 사회관계장관회의(지방대학육성지원위원회)와 시․도 지역협업위원회를 연계한 지역인재 정책 총괄조정 체계 구축
➋ 상시적인 지방대학 및 지역인재 육성 네트워크 활성화
◦ (지역인재 육성정책 지원) 지역인재육성 정책의 총괄‧조정 기능을 지원하는 ‘(가칭) 지역인재 육성지원센터’ 지정‧운영(’22~)
◦ (중앙-지자체 교류) 교육부와 시‧도간 소통창구 다변화·정례화 및 교육부-지자체-대학 간 인사교류 활성화(’21~)
Ⅵ. 향후 계획
◦ (’21.2월 말) 기본계획 확정 발표
◦ (’21.4~5월) 2021년 지역인재 육성지원 시행계획 수립
참 고
시도별 기본계획 주요 내용
부산
광역시
대학혁신
‧ 해외 유학생 유치를 위한 아세안 유학생 융‧복합 거점센터 건립 및 50+ 생애재설계대학, 노인대학 등 평생교육 거버넌스 구축
‧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 창의적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전공 운영 및 전용 강의실 구축 추진 및 블록체인 대학 ICT 연구센터 운영을 통한 석사급 핵심인력 양성
지역혁신
‧ 해운항만물류 분야 훈련 및 산학연계 인턴십 운영, FAO 세계수산대학 설립 등을 지원하여 해양신산업 육성 지원
‧ 대학 내 영상‧영화‧교육 확대 및 지식기반서비스 인력양성을 위한 부산아시아 영화학교 운영 및 에코델타 지식산업센터 건립 등
협 업
‧ 지역혁신성장계획 공동 수행을 위한 지역혁신선도센터를 지원하고 대학의 지역사회 상생협력 지원사업 등 추진
‧ 지역혁신비전‧전략 제시, 주체 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유대학 플랫폼을 운영하고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 등 추진
대구
광역시
대학혁신
‧ ‘(가칭) 대구 글로벌 인재양성 센터’를 통해 지역대학의 유학생 유치를 지원하고 대구 행복기숙사를 건립하여 안정적인 주거복지 지원
‧ 지역특화산업 해외진출을 선도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지역특화 청년무역전문가 양성’ 및 해외산업체 맞춤형 ‘청해진대학’ 지원
지역혁신
‧ 로봇, 물, 미래형 자동차 등 미래신산업 분야 기업맞춤형 혁신대학 운영(HuStar) 및 혁신 아카데미 운영
‧ 대학-청소년 멘토멘티 매칭 ‘꿈나눔 멘토링’ 및 우리마을 교육 나눔사업, 대학생과 연계한 청소년 지역사회 봉사활동 등 지원
협 업
‧ 지자체-지역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 추진을 위한 지역협력위원회 구성‧운영
‧ 주체 간 협력을 통해 지역현안을 해결하는 대학-기업 연계 대학육성사업 추진
광주
광역시
대학혁신
‧ ‘대학-지자체-공공기관 협력 수요 맞춤형 융복합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ICT, 미래에너지, 도시재생, 농생명 분야 맞춤형 인재 양성
‧ ‘인공지능 대학원’ 지원을 통해 3대 특화분야(헬스케어,자동차,에너지) 집중 AI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석‧박사 통합과정 운영
지역혁신
‧ 에너지 신산업분야 및 ICT 소프트웨어 융복합 분야에 대한 이론 현장 교육 운영을 통해 전문 인력 양성
‧ 지역의 미취업 청년에게 다양한 일 경험을 제공하는 “광주 청년 일경험드림” 운영 및 “공유재산활용 사회실험 청년창업지원” 추진
협 업
‧ 광주-전남지역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주체간 상생 플랫폼 구축 운영을 통해 핵심산업분야(에너지신산업, 미래형 운송기기) 교육혁신 및 지역 맞춤형 인재양성 추진
대전
광역시
대학혁신
‧ 대학과 대덕특구(출연연)의 우수한 융합 연구역량을 활용하여 대전형 창업 특화거리인 ‘대전 스타트업 파크’ 조성
‧ 바이오‧건강분야 연구역량 강화 및 차세대 치료제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지원을 위해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 지원
지역혁신
‧ 지역 대학생들에게 중소기업, 연구소기업, 벤처기업 등에서 직무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대전형 코업(CO-OP) 청년 뉴리더 양성’ 추진
‧ 국방 ICT 융합산업과 연계한 국방 R&D 인력 양성을 위해 국방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벤처기업 육성 및 기술개발 등 지원
협 업
‧ 대전 관내 대학 간 ‘연합교양대학’을 운영하여 교양과목 공동 개설 및 학점교류 추진
‧ 다양한 청년들의 시정 참여와 소통으로 청년 주도 정책 발굴 및 반영을 위한 대전 청년 네트워크(대청넷) 운영
울산
광역시
대학혁신
‧ 대학의 우수한 인력‧시설을 활용한 베이비부모 은퇴자 평생학습 지원(울산 지역학, 울산 아카데미, 인문예술학 등)
‧ 대학의 연구거점 구축과 기술개발‧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지역 내 3D 프린팅 융합기술센터, 미래자동차 연구소 설립‧운영
지역혁신
‧ 친환경, 스마트화라는 제조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차, 조선해양, 석유화학 산업의 산업구조 고도화
‧ 실무역량 위주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울산 이노베이션 스쿨 및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등을 조성하여 지역특화 실무인재 양성
협 업
‧ 지역 산업 생태계 혁신을 위한 지역혁신 플랫폼을 조성하여 유연성과 개방성을 가진 교육혁신을 주도
‧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원자력혁신센터 지원 등 산업육성 및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초광역’ 대학협력기반 구축
세종시
대학혁신
‧ 국내 최초의 신개념 공동캠퍼스를 조성하여 AI‧BI‧ET 분야 대학 중점 유치를 통한 융‧복합 전문인력 양성
‧ 시-대학-공공기관-지역산업체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현장밀착형 교육인프라 구축 및 지역인재 공동양성기반 조성(고려대 자율주행 모빌리티 연구소 신설 및 미래모빌리티학과 개설 준비)
지역혁신
‧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자동차, 첨단신소재‧부품 등 지역혁신전략 산업분야별 대학-기업 간 연계‧협력 강화
‧ 지역 창업수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한 세종창업키움센터를 운영하고 대학생 고용 증대를 위한 대학일자리센터 운영
협 업
‧ 통합 지역인재 채용설명회 추진 및 정보 공유 등 충청권 취업확대를 위한 공동 노력 강화 및 지역 정주 유도
강원도
대학혁신
‧ K-CLOUD PARK, 스마트 토이 조성 등 지역전략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도내 SW 융합인력 양성을 위한 SW 중심대학 지원사업 추진
‧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지역 인프라(지자체-대학-공공기관)를 활용한 실무학습 및 융합보완 교과목 개편‧신설
지역혁신
‧ 강원도 지역혁신성장계획에 따라 6대 핵심분야 육성을 위한 맞춤형 기업역량 강화 및 성장단계별 기술/사업화 지원 추진
‧ 핵심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지역산업맞춤형 인력양성사업’ 추진 및 대학-지자체-산업체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연구개발 및 인재 채용
협 업
‧ 지역혁신플랫폼 구축에 필요한 기반 마련
‧ 지역별‧산업별 인력수급 전망에 따른 지역대학 간 관련 학과별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지자체+중심대학+협력대학 연합 프로젝트 추진
충청
북도
대학혁신
‧ 충북지역 핵심산업(바이오 ICT 융합분야, 화장품 뷰티) 맞춤형 교육 훈련 프로그램 및 취업 연계 지원 등을 통해 고급인력 집중 양성
‧ 오송 바이오 캠퍼스와 연계한 R&D 교육과정을 통해 생명공학 등 분야별 맞춤형 인력 양성
지역혁신
‧ 도내 바이오 관련 중소기업에 지역 청년의 취업을 지원하는 “충북인재 지역안착 프로젝트” 추진 및 충북전략산업분야 기업의 석‧박사 청년 취업 지원
‧ 중소(중견)기업 미혼 청년근로자 및 청년농업인의 초기 목돈형성을 지원하여 장기근속 및 복지향상을 지원하는 “충북행복결혼공제” 지원
협 업
‧ 충북 바이오헬스 산업 원스톱 플랫폼, 학술교류‧취창업 네트워크 구축 및 기업 수요조사 및 컨설팅을 추진하는 지역혁신 플랫폼 운영
충청
남도
대학혁신
‧ 대학 내 산학협력 단지를 조성하고 융합 바이오 기업을 대학 내 유치, 대학과의 공동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
‧ 도내 대학을 충남학 거점대학으로 선정하여 지역주민의 도민으로써 정체성 및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만성적 간호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간호장학사업’과 ‘지역인재육성지원사업’ 연계 추진
지역혁신
‧ 그린-디지털 분야 스타트업 혁신 기업 지원 인프라와 도시 재생을 통한 주거 문화 환경 개선을 결합한 스타트업 파크 복합형 “INNOST” 조성
‧ 천안‧아산 R&D 집적지구에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상용화 제품 기술개발 및 지원센터 구축
협 업
‧ 대전‧세종‧충남 대학 연구소 TP, 기업 등 지역혁신주체들의 협업으로 ‘미래 모빌리티’ 분야 육성을 위한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 추진
‧ 충남대학 지역인재 육성지원협의회 정례 운영으로 현안과제 정책수립 지원
전라
북도
대학혁신
‧ ‘새만금 신재생에너지산업 전문인력양성센터’를 지원하여 태양광 및 풍력 발전설비 구축 및 기업 인주에 대응하는 지역인재 육성
‧ 전문화 및 체계화된 스마트팜 교육 운영을 위한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 운영 및 한국농수산대학 내 품목별 현장중심 기술경영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전문 농업인력 양성
지역혁신
‧ 지역대학 식품계열 학생의 식품가공분야 실습과 견학을 통한 창업능력 향상을 지원하고 초기 창업기업에 사업화 자금 지원 등
‧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 운영으로 고급기술과 전문능력을 갖춘 농업마이스터 양성
협 업
‧ ‘전라북도 농생명연구협의체’를 운영하여 참여기관 간 기술‧정보 교류 및 분야별 융‧복합 공동 R&D 과제 발굴
‧ 전라북도 지역인재 채용 협의회 및 지역인재 육성지원협의회 운영
전라
남도
대학혁신
‧ 미래산업 연구인재, 중화권 전문인재, 전남 스타 100인, 이공계 진로체험 등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나갈 글로컬 인재 발굴
지역혁신
‧ 전남 6대 전략산업(블루이코노미)와 지자체-대학 지역혁신사업(2대 핵심분야)으로 미래성장 동력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연계
‧ 블루 이코노미 6대 핵심분야의 핵심기업 청년 일‧경험 지원
협 업
‧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을 통해 초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전라남도, 광주광역시 15개 대학, 30개 지역혁신기관 참여)
‧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지역인재채용협의회 운영
경상
북도
대학혁신
‧ 경북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및 오픈뱅크 운영, 지역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지원 등을 통해 경북형 뉴딜을 이끌어갈 맞춤형 인재양성 지원
‧ “기업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프로젝트”(HuStar)를 추진하여 실무중심 교육+ 기업인턴 근무연계를 지원하는 분야별 혁신 아카데미 운영
‧ 인공지능 핵심기술 및 고도 학술연구를 통해 AI 석‧박사급 인재양성(포스텍 AID 인재: 국제 공동연구 및 글로벌 인턴십 통해 AI 고급인재 양성)
지역혁신
‧ 신재생에너지 보급, 신재생에너지산업 생태계 조성 및 R&D 기반 구축 등 그린뉴딜 신재생에너지 산업 클러스터 조성
‧ 산업인공지능분야 핵심기술 석‧박사 융합교육과정 운영 등을 통해 인공지능 활용 융‧복합형 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협 업
‧ “경상북도 지역발전을 위한 대학과의 협력 조례” 제정‧시행(‘21.1.)
‧ 기업 맞춤형 취업연계 프로그램 운영 및 융복합 연계전공 운영, 현장 교육 등 대학-공공기관-지자체 인프라 공동 활용 기반 구축
경상
남도
대학혁신
‧ “경남형 공유대학 USG”를 통해 공동 교양과정 및 대학 간 연계를 통한 융‧복합형 전공을 운영하고, 학-석사 연계-현장연계 Lab 운영(스마트 제조 엔지니어링 분야, 스마트 제조 ICT, 스마트 공동체 분야)
‧ “드론 활용서비스 산업 교육기반 확립”을 통해 드론 플랫폼 구축, 드론교육 콘텐츠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구축 지원
지역혁신
‧ “스마트 제조엔지니어링” 육성을 위해 산학연관 협력형 제조혁신 인력수급 플랫폼을 구축하고 해당 분야 기술개발 연구 지원
‧ “스마트 제조 ICT” 육성을 위해 ICT 기술개발센터 구축 및 빅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확산
협 업
‧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을 추진하여 지역발전 선순환 구조 구축
‧ 대학취업지원 위원회 연계 지방대학‧지역인재 육성지원 네트워크 구축
제주도
대학혁신
‧ 제주 ‘산업 매칭형 문제기반 학습’ 체계 구축을 위한 전담 센터를 지정하고 교육과정‧교과목 개발, 플랫폼 등을 운영 지원
‧ 신에너지산업‧스마트 그리드 산업 선도전문인력 양성 및 석‧박사급 고급인재 육성, 대학-산업체-연구원과의 연구 플랫폼 구축 지원
지역혁신
‧ 제주 빅데이터 센터 및 통합플랫폼 고도화를 통한 공공데이터 개방 추진 및 AI 기반 기능 확산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지원
‧ 디지털 뉴딜 기반 D.N.A 관련학과 대상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운영 지원 및 해양‧관광분야, 신규 항공산업분야 기반 조성을 위해 전문인력 양성 기관과 협업 네트워크 구축
‧ 지역 전략산업과 일자리 발굴을 연계한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인 “일하는 청년 제주로 프로젝트”를 통해 선취업 후교육 지원
협 업
‧ 제주도 ‘사립대 관할권’ 관련 제주형 지방대학 특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및 지원체계 개선 추진
‧ 온라인 디지털 전환 협업 플랫폼 구축을 위해 언텍트-온텍트 결합 교육서비스, 에듀테크 산업 확대, 클라우드 구축 등을 추진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도 제1회 교육부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0) | 2021.03.02 |
---|---|
2021년 초중고 학생 교육급여·교육비, 지금 신청하세요!-집중신청기간: 3월 2일(화)~19일(금) (0) | 2021.03.02 |
희귀 항암제 '루타테라주' 환자지원 프로그램 시행 (0) | 2021.03.02 |
유전질환 치료제.항암제 등 8종 희귀의약품 지정 공고 (0) | 2021.03.02 |
식약처, 얀센社 코로나19 백신 허가심사 착수 (0) | 2021.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