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모노그래프(홍삼) 공개[식약처]
등록일 2021-03-31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재평가 결과보고서를 활용하여, 기능성 원료(홍삼)의 안전성과 기능성 정보를 모노그래프로 공유해 드립니다.
첨부파일
홍삼
"면역력 증진, 피로개선, 혈소판 응집억제를 통한 혈액흐름,
기억력 개선, 항산화, 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원료 특성
• 홍삼의 원재료인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전통적으로 우리나라를 비롯 하여 중국, 일본 등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인삼의 원형을 유지하는 1차 가공방법에 따라 수삼, 홍삼, 백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인삼은 현행 「식품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인삼(기타명칭 또는 시장명칭 : 수삼, 백삼, 홍삼, 흑삼, 야산삼, 별직삼, 산양삼, 태극삼, Ginseng, Korean ginseng. 사용부위 : 뿌리, 줄기(수경재배 인삼에 한함), 잎, 열매, 씨앗)], 원재료로 사용하는 인삼근은 「인삼산업법」에 적합 하여야 하며 4년근 이상의 것으로 춘미삼, 묘삼, 삼피, 인삼박은 사용할 수 없으며,
병삼인 경우에는 병든 부분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다."
"• 홍삼은 수삼(Panax ginseng C.A. Meyer)을 증기 또는 기타방법으로 쪄서 익혀 건조
시킨 것을 말하며, 제조과정 중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농다갈색의 색상을 가진다. 수삼을 익혀 건조시키면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g2, Rg3, Rh1, Rh2 등이 생성
되며, 이 성분들은 학습능력 개선, 항혈전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
"• 홍삼의 기능성분(또는 지표성분)은 진세노사이드 Rg1, Rb1 및 Rg3 함량의 합으로
정하고 있으며, 홍삼의 추출방법 등 제조공정에 따라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상이 하나, 제조기준에 따라 기능성원료 원료 1 g 당 진세노사이드 Rg1, Rb1 및 Rg3의
총 함량을 2.5 m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안전성
기능성
평가
• (1) 면역력 증진 : Lee 등(2012)은 백혈병 어린이 30명을 대상으로 홍삼추출물을 1년간 섭취하도록 했을 때 화학요법으로 증가한 혈중의 염증성 사이토카인(IL-2, IL-10, IL-12, TNF-α, INF-γ)이 감소하였음을 보고하였고[1], Suh 등(2007)은 결장암 환자 47명에게 홍삼추출물을 1일 3g씩 3개월간 섭취했을 때 화학요법으로 증가한 혈중의 염증성 사이토카인(IL-8, IL-10)의 감소를 확인하여 홍삼이 증가한 염증성 사이토카 인의 안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하였다[2]. 또한 재평가를 통해 검토한 인체적용 시험보고서(2018)에 따르면 시험참여 1개월 내 상기도 감염이 있던 성인남녀 99명을 대상으로 시험했을 때 림프구 표면 특이항원의 유의적인 증가로 면역 기능이 증진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3].
"• (2) 피로개선 : Yoon 등(2008)은 체육 전공 남자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한 인체적용
시험에서 홍삼 섭취와 지구력 운동을 병행하며 시험하였을 때 홍삼 섭취와 운동을 병행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혈중 젖산 농도가 빠르게 회복되어 유산소 운동수행 능력과 피로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4], 2017년 보고된 인체적용 시험에서는 피로감을 느끼기 쉬운 교대근무 근로자 57명(23~44세)을 대상으로 홍삼을 섭취시킨 결과 섭취 전과 대비하여 근로자의 주관적 피로, 스트레스, 수면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여 피로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하였다[5]. 또한, 건강한 남자 대학생 18명(19~22세)을 대상으로 한 인체적용시험에서 홍삼농축액 섭취(1일 20g 씩 10일간 섭취)가 크레아틴인산효소 수치와 혈중 젖산 수치를 유의하게 감소
시킴으로써 운동으로 인한 근육 부상의 예방과 피로회복 효과를 확인하였다[6]."
"• (3) 혈소판 응집억제를 통한 혈액 흐름 : Shin 등(2007)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180∼250 mg/dl인 만 20~65세의 건강한 성인 87명을 대상으로 홍삼을 1일 1.5g씩 또는 3g씩 8주간 섭취하게 한 인체적용시험에서 홍삼 섭취 시 혈소판 응집이 억제되어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하였고[7], Lee와 Park(1998)과 Lee와 Kim(1995)의 두 편의 논문에서는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한 식이조사에서 홍삼의 장기간 섭취가 혈행 개선 및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하였다[8, 9].
Jovanovski 등(2014)의 건강한 성인 16명(18~65세)을 대상으로 한 인체적용시험 에서는 홍삼 섭취군(3g)에서 유의적으로 혈관 내피 기능을 개선시킴으로써 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 하였다[10]."
기능성
평가
• (4) 기억력 개선 : Yeo 등(2012)에서는 건강한 성인남성 15명(19~25세) 대상 시험에서 홍삼 섭취 시 섭취 전과 비교하여 인지능력 평가 지표인 ERP(event-related potential)의 유의적인 개선이 확인되었고[11], Jeong 등(2015)은 건강한 성인남녀 51명(18~65세) 에게 홍삼 분말을 1일 1g씩 8주간 섭취 시켰을 때 인지능력 평가지표(CVLT 검사)의 유의적인 개선과 전전두엽 피질에서의 반응 억제, 백질 미세구조 무결성을 향상시키 는데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12]. 또한 Mariage 등(2020)은 건강한 남녀 50명 (18~65세) 대상으로 홍삼 분말을 1일 약 0.7~0.8g씩 2주간 섭취 시켰을 때 주의력, 기억력 및 스트레스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하였다[13].
"• (5) 항산화 : Kim 등(2012)은 건강한 성인 57명(20~65세) 대상으로 홍삼을 1일 3g
또는 6g을 8주간 섭취 시켰을 때 산화된 LDL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혈중 항산화 효소 활성이 증가하는 등 산화스트레스 지표를 개선시켜 항산화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 하였고[14], Lee 등(1998)은 건강한 흡연자 15명(19~31세)을 대상으로 홍삼을 1일 1.8g씩 4주간 섭취 시켰을 때 산화적 DNA 손상 및 단백질 산화를 유의적으로 감소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15]. 이청무 등(1999, 2000)은 두 편의 인체적용시험에서 건강한 여대생 대상 홍삼 섭취 또는 홍삼과 비타민 섭취 시 항산화 효소 증가와 과산화 지질 생성의 억제를 확인하였고[16, 17], 김성수 등(2006)은 남자대학생 40명 대상 시험에서 운동을 병행한 홍삼 섭취(1일 0.9g씩 12주)시 혈중 항산화 효소가 증가되고 과산화지질 생성을 억제하여 항산화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하였다[18]. 또한, 폐경기 여성 71명(45~60세)이 홍삼 섭취(1일 3g씩 12주)시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로 산화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9]."
"• (6) 갱년기 여성의 건강 : Kim 등(2012)은 폐경기 여성 63명(45~60세)을 대상으로
홍삼을 1일 3g씩 12주간 섭취 시켰을 때 갱년기 증상과 관련 있는 쿠퍼만 지수나 안면 홍조 등이 유의적으로 개선되고, 심혈관 질환 개선 지표에서도 유의적인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20]. Ogita 등(1990)은 갱년기 증상이 있는 여성 83명 대상 시험에서 홍삼 분말 섭취 시 갱년기 증상이 섭취 전 대비 감소하는 것을 보고하였고 [21], Tode 등 (1999, 2003)이 보고한 두 편의 폐경기 여성 12명 대상 시험에서 홍삼 분말 섭취로 불안 척도(STAI 점수)와 쿠퍼만 갱년기 지수(KI) 등이 섭취 전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갱년기로 인한 증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23]. 또한 Kikuchi 등 (2003)은 폐경기 여성 9명을 대상으로 홍삼 분말을 섭취 시켰을 때 섭취 전과 대비하여
KI와 심혈관 질환 지표(혈중 PAI1)가 유의적으로 개선됨을 보고하였다[24]."
섭취량
및 섭취 시 주의사항
"• 섭취량
- 각 기능성별 인체적용시험에서 확인된 홍삼 원료의 섭취량은 0.9 g에서 9 g까지 확인 되었으며, 원재료, 제조방법이나 추출용매 등에 따라 홍삼원료 1g당 지표성분인 진세노 사이드 Rg1, Rb1 및 Rg3의 함량은 다양하다. 현재 홍삼의 기능성 별 정해진 1일 섭취량은 “면역력 증진, 피로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기능성은 3~80 mg, “혈소판 응집억제를 통한 혈액흐름, 기억력 개선, 항산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기능성은 2.4~80 mg, “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기능성은 25~80 mg 이며, 1일 섭취량은 인체적용 시험에서 확인된 섭취량으로 설정하게 되나 과량 섭취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기능성에
대한 지표성분의 일일섭취량 상한은 일괄 80 mg으로 설정하였다."
"• 섭취 시 주의사항
- 홍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혈소판 응고를 감소시키며, 혈당 저하 효과를 강화할 수 있으므로 당뇨치료제와 혈액항응고제 복용 시 섭취에 주의해야한다는 주의사항이 설정 되었고[25], 국내·외 이상사례와 주요 외국 모노그래프에서 홍삼 섭취로 인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확인되어 알레르기 체질에 대한 주의사항이 추가되었으며[25, 26, 27, 28], 섭취하는 개인의 체질이나 특성에 따라 홍삼 섭취로 인한 이상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상사례 발생 시 섭취를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는 주의사항이 설정되었다."
참고문
헌
"• 1. Lee J M et al. The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inflammatory cytokines after chemotherapy in children.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6(4), 383 (2012)
• 2. Suh S O & Kim J. Prospective study for Korean red ginseng extract as an immune modulator following a curative surgery in patients with advanced colon cancer. 최신고려인삼연구, 251-260 (2007)
• 3. 홍삼의 면역증진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단일기간,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 대조, 비교 인체적용시험, 영업자 제출자료(2018)
• 4. Yoon S J et al. Effects of red ginseng supplementation on aerobic. anaerobic performance, central and peripheral fatigue.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2(3), 210-219 (2008)
• 5. 홍삼 섭취가 교대근무 근로자의 피로, 스트레스, 수면의 질 및 관련 바이오마커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보고서, (2017)
• 6. Jung H L et al. Effects of Red Ginseng Intake on Muscle Injury Due to Eccentric Exercise.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15(2), 88-91 (2010)
• 7. Shin K S et al.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on blood circulation in healthy volunteer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1(2), 109-116 (2007) [홍삼 농축액의 혈행개선 기 능성평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이중맹검-무작위 대조 임상연구, 충북대학교 보고서 (2007)]
• 8. Lee J H & Park H J. Effects of intaking of red ginseng products on human platelet aggregation and blood lipid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2, 173- 180 (1998)
• 9. Lee J H & Kim S H. The effect of the long-term ginseng intakes on serum lipids profile and hemostatic factors in human. Korean J Nutr, 28(9), 862-871 (1995)
• 10. Jovanovski E et al. Modulation of endothelial function by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nd its components in healthy individual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ardiovascular therapeutics, 32(4), 163-169
(2014)"
참고문
헌
"• 11. Yeo H B et al.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on cognitive and motor function: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6(2), 190 (2012)
• 12. Jeong H S et al.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on White Matter Microstructure and Cognitive Functions: A Focus on Intrusion Errors.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22(2), 78-86 (2015)
• 13. Mariage P A et al. Efficacy of Panax ginseng Meyer Herbal Preparation HRG80 in Preventing and Mitigating Stress-Induced Failure of Cognitive Functions in Healthy Subjects: A Pilot,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Crossover Trial. Pharmaceuticals, 13(4), 57 (2020)
• 14. Kim J Y et al. Beneficial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on lymphocyte DNA damage,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LDL oxidation in healthy participant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Nutrition journal, 11(1), 47 (2012)
• 15. Lee B M et al. Inhibition of oxidative DNA damage, 8-OHdG, and carbonyl contents in smokers treated with antioxidants (vitamin E, vitamin C, β- carotene and red ginseng). Cancer letters, 132(1-2), 219-227 (1998)
• 16. 이청무 & 김태영. 홍삼투여가 운동시 항산화효소 및 과산화지질의 변화에 미치 는 영향. 운동과학, 8(3), 473-483 (1999)
• 17. 이청무. 스포츠생리학/홍삼과 비타민 E 투여가 혈중 항산화효소 활성도 및 과산 화지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39(1), 476-488 (2000)
• 18. 김성수 등. 장기간 최대운동과 홍삼투여가 최대운동시의 항산화 효소 및 지질과 산화 변화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8(1), 233-242 (2006)
• 19. Seo S K et al.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in postmenopausal women: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54(3), 753-757 (2014)
• 20. Kim S Y et al. Effects of red ginseng supplementation on menopausal symptom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postmenopausal women: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nopause, 19(4), 461-466 (2012)"
참고문
헌
"• 21. Ogita S. Clinical Effectiveness of Korea Ginseng on Climacteric. Korean J Ginseng Sci, 14(2), 162-166 (1990)
• 22. Tode T et al.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psychological functions in patients with severe climacteric syndr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 Obstetrics, 67(3), 169-174 (1999)
• 23. Tode T & Kikuchi Y.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psychological functions in patients with severe climacteric syndromes: a comprehensive study from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KAMPO-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7(3), 110-114 (2003)
• 24. Kikuchi Y et al. Clinical usefulness of Korean Red ginseng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severe climacteric disturbance.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7(3), 98-102 (2003)
• 25. 인삼, NMCD (2020)
• 26. 음영욱 등. 증례: 홍삼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1 예. 천식 및 알레르기, 26(2), 151- 154 (2006).
• 27. Kakisaka Y et al. Panax ginseng: a newly identified cause of gynecomastia.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28(2), 143-145 (2012)
• 28. 인삼, NINH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