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2020년도 상반기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발표
통신정책기획과 작성일 2020.08.05.
과기정통부, 2020년도 상반기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발표
‣ 서울시는 임야를 제외한 대부분, 6대 광역시는 도심 및 주요지역에 망 구축
‣ 서울·6대 광역시에서 △ 5G 평균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656.56Mbps, △ 5세대(5G) 이동통신→롱텀에볼루션(LTE) 전환율은 평균 6.19% 수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문용식)은 이용자에게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의 객관적인 품질 정보를 제공하고 조속한 커버리지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2020년도 상반기 5G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ㅇ 이번 평가는 2019년 4월 5G 상용화 이후 최초로 실시된 것으로, 이동통신사의 5G 투자 확대를 촉진하여 ‘디지털 뉴딜’의 핵심인 ‘데이터 고속도로’를 빠르게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 상반기 5G 서비스 품질평가는 서울 및 6대 광역시를 대상으로 △ 5G 커버리지 현황 조사 및 통신사가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커버리지 정보의 정확성 점검, △ 통신품질 평가로 진행되었다.
ㅇ 특히, 이번 평가는 이용자가 일상에서 실제로 체감하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주요 다중이용시설1) 위주로 측정 표본을 선정하고 이용자들의 행태를 반영하여 측정 일시2) 및 동선3) 등을 정하였다.
1) 대규모 점포‧도서관 등 서울‧6대 광역시의 약 1.1만개 다중이용시설(환경부‧한국환경공단) 중 용도 등을 고려하여 선별
2) (예시) 출‧퇴근 시간대(지하철), 주말(놀이공원, 백화점, 유동인구 밀집 거리) 등
3) (예시) 시설 유형별로 유동인구가 많은 주요 측정 포인트(푸드코트, 안내데스크 등)를 선정하여 측정 동선 결정
ㅇ 평가 대상은 ① 옥외(행정동), ② 다중이용시설, ③ 교통 인프라로 구분하여, 커버리지 점검 169개 및 품질평가 117개 등 총 286개의 표본을 점검‧평가하였다.
- 또한, 정부가 직접 품질을 측정하는 정부평가와 함께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로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이용자 상시평가도 진행하였다.
□ 2020년도 상반기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서울‧6대 광역시 5G 커버리지 현황 및 점검 결과 >
① 옥외(행정동)의 경우, ‘20.7월 기준 이동통신사가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커버리지 맵에 따르면, 서울특별시는 3사 평균 약 425.53㎢ 면적에서 커버리지를 구축해 임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는 5G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대 광역시의 경우 약 931.67㎢ 면적에서 5G 커버리지를 구축해 도심 및 주요지역은 5G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통신사별로는 ❶ 서울시는 △ KT(433.96㎢), △ SKT(425.85㎢), △ LGU+(416.78㎢)로 3사 간 차이가 크지 않고, ❷ 6대 광역시는 △ LGU+(993.87㎢), △ KT(912.66㎢), △ SKT(888.47㎢)로 차이가 나타났다.
- 표본 점검 결과, 통신사가 공개하고 있는 커버리지 정보가 실제보다 과대 표시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5G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대형점포1)·백화점2)·여객터미널3)·대형병원4)·전시장5) 등 3사 평균 약 1,275개*이며,
* (출처) 통신사업자가 제공한 5G 이용가능 시설 현황 자료
1) 홈플러스·롯데마트·이마트 등 / 2) 현대백화점·롯데백화점·신세계백화점 등
3) 서울고속버스터미널·동서울터미널·인천종합터미널·부산종합버스터미널 등
4) 서울의료원·충남대학교병원·전남대학교병원 등 / 5) 컨벤션센터·벡스코 등
- 표본 점검 결과, 해당 시설에서 5G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파 신호세기(-105dBm이상)의 비율(이하 ‘5G 가용률’)은 평균 67.93% 수준으로 나타났다.
- 통신사별로는 ∆ SKT는 1,606개 시설에서 5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표본 점검 결과 평균 가용률은 79.14%, △ LGU+는 1,282개 시설, 가용률 60.08%, △ KT는 938개 시설, 가용률 64.56%로 나타났다.
※ 대규모 점포·도서관·전시시설 등 주요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표본점검을 진행하였으며(기업 사옥 등 일부는 표본 추출대상에서 제외), 통신사별 자사 서비스 제공 시설을 대상으로 표본 추출함에 따라 통신사별 점검시설은 상이
③ 교통시설 중 지하철은 지하 역1) 총 649개 중 313개 역에 5G가 구축되었으며, 주요 노선 점검 결과2) 가용률은 평균 76.33%로 나타났다. 각 사별로는 △ SKT 349개 구축, 가용률 79.87%, △ KT 299개 구축, 가용률 79.08%, △ LGU+ 291개 구축, 가용률 70.04%이다.
1) 지상역은 실외 기지국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구축 대상수에 미포함
2) △ 서울·수도권 2‧3‧4‧8‧9호선 및 수인선, △ 부산‧대구 1‧2호선, △ 광주‧대전 1호선
- 통행량이 많은 주요 고속도로 32개 구간1) 중 약 22.33개 구간에 구축 완료되었으며, 주요 노선 점검 결과2) 가용률은 평균 78.21%이었다. 각 사별로는 △ LGU+ 23개 구축, 가용률 69.82%, △ SKT 22개 구축, 가용률 86.49%, △ KT 22개 구축, 가용률 78.33% 수준이다.
1) 경부선(9), 서해안선․영동선․중부선(12), 중부내륙선(3), 기타(8) (‘18년 도로공사)
2) 경부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 전체 구간 점검
- 고속철도의 경우, 주요 노선 점검 결과* KTX는 평균 가용률 76.22%(△ KT 90.45%, △ LGU+ 71.22%, △ SKT 66.99%), SRT는 평균 가용률 74.67%(△ KT 83.40%, △ SKT 80.24%, △ LGU+ 60.37%)로 나타났다.
* KTX : 부산→서울 (상행), SRT : 수서→목포 (하행) 점검
< 서울‧6대 광역시 5G 품질평가 결과 >
ㅇ 5G 평균 전송속도는 다운로드는 656.56Mbps(’19년 LTE 158.53Mbps), 업로드는 64.16Mbps(’19년 LTE 42.83Mbps)로 나타났다.
- 통신사별로는 다운로드 속도 기준 △ SKT는 788.97Mbps, △ KT는 652.10Mbps, △ LGU+는 528.60Mbps 수준이며,
- 유형별로는 △ 옥외(행정동)에서 다운로드는 663.14Mbps, 업로드는 67.18Mbps(다운로드 기준: △ SKT는 773.17Mbps, △ KT는 621.96Mbps, △ LGU+는 594.30Mbps),
△ 주요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에서 다운로드는 653.97Mbps, 업로드는 62.98Mbps(△ SKT는 795.17Mbps, △ KT는 663.94Mbps, △ LGU+는 502.79Mbps) 수준으로 나타났다.
- 세부 유형별로는 평균 다운로드 속도 기준 △ 지하철(역사 885.26Mbps, 객차 703.37Mbps), △ 대학교(770.04Mbps) 등에서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르며, △ KTX(272.75Mbps), △ SRT(368.35Mbps) 등에서 상대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로 직접 측정하는 이용자 상시평가* 결과는 △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22.67Mbps, △ 업로드는 48.25Mbps로 정부평가 결과와 유사하였다.
* 5G 이용자가 배포앱(NIA)을 통해 ’20.1.1∼6.30 중 직접 측정한 결과(유효건수 약 1.5만건)
ㅇ 5G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신규지표)은 △ 다운로드 시 평균 6.19%, △ 업로드 시 평균 6.19%였다.
- 통신사별로는 다운로드 시 기준 △ KT는 4.55%, △ SKT는 4.87%, △ LGU+는 9.14%로 나타났다.
- 유형별로는 △ 옥외(행정동)에서 다운로드 시 기준 2.67%, 업로드 시 기준 3.16%(다운로드 시 기준: △ KT는 2.17%, △ LGU+는 2.60%, △ SKT는 3.23%),
△ 주요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에서 다운로드 시 기준 7.57%, 업로드 시 기준 7.38%(다운로드 시 기준: △ KT는 5.48%, △ SKT는 5.52%, △ LGU+는 11.71%) 수준으로 나타났다.
- 세부 유형별로는 평균 다운로드 시 기준 △ 영화관(0.96%), △ 놀이공원(1.10%) 등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하며, △ 지하철 객차(19.49%), △ 고속도로(16.28%)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한편, ❶ 최초 통신망 연결까지 소요시간인 접속시간(신규지표)은 △ 다운로드 102.24ms, △ 업로드 93.81ms이며, ❷ 지연시간은 30.01ms(LTE ’19년 36.34ms), ❸ 데이터 손실률은 0.57%(LTE 0.85%) 이었다.
- ❶ 접속시간은 다운로드 기준 △LGU+(75.31ms), △KT(109.28ms), △SKT(122.15ms), ❷ 지연시간은 △SKT(28.79ms), △LGU+(29.67ms), △KT(31.57ms), ❸ 데이터 손실률은 △LGU+(0.32%), △SKT(0.59%), △KT(0.79%) 순이다.
□ 과기정통부는 “금번 평가 결과, 통신사들이 5G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커버리지와 품질이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지만, 5G가 데이터 고속도로로써 중요하게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투자를 가속화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ㅇ 또한, “국민이 5G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이동통신사는 상반기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하반기에도 5G 등 망 투자를 지속 확대하길 바란다.”고 밝히며 정부도 5G 투자 세액공제, 기지국 등록면허세 감면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과기정통부는 8월 중순부터 하반기 5G 품질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며, ’20. 12월 이후 하반기 5G 품질평가 결과를 포함한 ‘20년 전체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 붙임 : 2020년 상반기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2020년 상반기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2020. 8.
Ⅰ. 개요
□ (목적) 객관적인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및 품질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상품 선택을 돕고, 사업자의 투자 확대 유도
< 관련 법률 >
o 전기통신사업법 제56조(전기통신역무의 품질 개선 등) ②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전기통신역무의 품질을 개선하고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전기통신역무의 품질 평가 등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o 전기통신사업법 제56조의2(전기통신역무의 정보 제공) ③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정보 제공 현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매년 그 결과를 공표하여야 한다.
□ (추진 경과)
ㅇ 5G 품질평가 자문위원회(연구소·학계·시민단체·법률분야 등) 개최(’20.4월, 서면)
ㅇ ’20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추진계획(안) 수립(’20.3월)
ㅇ 5G 품질평가 측정단말, 측정방법 등 이통 3사 의견수렴(’20.2월~5월)
ㅇ 5G 서비스 품질평가 세부방안 검토 및 측정도구 검증(’20.5월)
ㅇ ’20년 상반기 서울·6대광역시 5G 품질측정 및 결과분석(’20.6월~7월)
□ (평가 대상) 이통 3사가 제공하는 5G 서비스 커버리지 및 통신품질
□ (평가 기간) ’20년 6월 초 ~ 7월 중
< 2020년 상반기 5G 서비스 커버리지‧품질평가 개요 >
구 분 대상서비스 대상지역 대상
사업자
커버리지 ·옥외(행정동) 5G 서비스 커버리지 · 서울·6대 광역시 옥외(행정동) 50개 지역 · SKT
점검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5G 서비스 커버리지 ·서울·6대 광역시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119개 지역 · KT
품질평가 · 옥외(행정동) 5G 서비스 · 서울·6대 광역시 옥외(행정동) 33개 지역 · LGU+
·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5G 서비스 · 서울·6대 광역시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84개 지역
이용자 ·5G 서비스 · 서비스 제공 전 지역
상시평가 (이용자 NIA 속도측정 앱)
□ (평가지역 선정기준)
ㅇ (커버리지 점검) 권역별 인구수 및 행정구역 분포현황을 고려하여 평가지역 수 분배 및 커버리지 점검 지역 랜덤 추출
- 옥외(행정동) : 서울·6대 광역시 법정동 중 50개 지역 랜덤 추출
-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 이통 3사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5G 구축 시설* 중 119개 지역 랜덤 추출
* 출처: 이통 3사 다중이용시설, 교통 인프라 5G 구축 현황 제출자료(’20.7월 기준)
ㅇ (품질평가) 권역별 인구수 및 행정구역 분포현황을 고려하여 평가지역 수를 분배하고, 옥외(행정동)는 약 30%, 주요 다중이용시설‧교통 인프라는 약 70% 비중으로 선정
- 옥외(행정동) : 서울·6대 광역시 행정동 중 33개 지역 랜덤 추출
-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 이통 3사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5G 구축 시설* 중 84개 지역 랜덤 추출
* 출처: 이통 3사 다중이용시설, 교통 인프라 5G 구축 현황 제출자료(’20.7월 기준)
Ⅱ.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 5G 커버리지 현황 및 점검 결과
1. 5G 서비스 커버리지 현황
□ 5G 서비스 커버리지 맵
ㅇ 이통 3사 홈페이지에 5G 서비스 커버리지 맵 정보를 공개중이며,
- 커버리지 맵상 5G 서비스 커버리지 면적은 이통 3사 평균 서울 425.53km2, 6대 광역시 931.67km2로 나타남
< 5G 서비스 커버리지 현황(’20.7월) >
구 분 SKT KT LGU+
서비스 서울 425.85 433.96 416.78
면적
(km2) 6대 888.47 912.66 993.87
광역시
커버리지 맵
현황
※ 출처 : 이통 3사에서 제작·제공하는 커버리지 맵 현황 제출자료를 바탕으로 서비스 면적을 추산한 결과(’20.7월 기준)
< 권역별 5G 서비스 커버리지 맵 현황 >
구 분 SKT KT LGU+
서울
특별시
부산
광역시
대구
광역시
인천
광역시
광주
광역시
대전
광역시
울산
광역시
※ 출처 : 이통 3사 홈페이지, 고객지원 탭 – 커버리지 맵
2.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 점검 개요
ㅇ (점검대상) 이통 3사 홈페이지(커버리지 맵)에 공개하고 있는 5G 서비스 커버리지 정보(’20년 7월 기준)
ㅇ (점검지역) 서울·6대 광역시 법정동 50개 지역
< 권역별 5G 커버리지 점검 지역(단위: 개) >
구 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합계
커버리지 점검 17 9 6 7 4 4 3 50
ㅇ (점검지표) 정부 점검 결과와 이통 3사가 홈페이지(커버리지 맵)에 공개하고 있는 커버리지 정보의 일치율을 비교하여 과대 표시 비율 산출
□ 점검 방법
ㅇ 평가요원이 측정도구를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도로(이면도로 포함)를 중심으로 측정을 수행하되 충분한 측정횟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규정 속도 이내로 유지
<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지표 >
점검항목 판정 기준
과대 표시 비율 실제 점검한 커버리지 정보보다 통신사가 공개한 커버리지 정보가 넓게 표시된 지역의 비율
□ 결과 공개
ㅇ 점검 결과 이용자에게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불편을 줄 수 있는 서비스 지역의 과대 표시 비율 공개
2.1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결과
□ 점검 결과
ㅇ 이통 3사 모두 과대 표시 지역은 없었음
< 5G 법정동 커버리지 점검 결과(단위: %) >
구 분 평균 SKT KT LGU+
과대 표시 비율 0 0 0 0
3. 주요시설 5G 서비스 커버리지 현황
□ 다중이용시설 5G 구축 현황
ㅇ (다중이용시설) 5G 구축 현황은 이통 3사 평균 1,275개로 나타남
- 사업자별 SKT 1,606개, LGU+ 1,282개, KT 938개로 나타남
< 사업자별 다중이용시설 등 5G 구축 현황(단위: 개소, %) >
구 분 다중이용시설* 기타시설** 합계
건물 내부(인빌딩) 구축 시설 실외기지국 기반 실내서비스 시설
3사 평균 350 638 287 1,275
SKT 335 960 311 1,606
KT 319 303 316 938
LGU+ 397 652 233 1,282
※ 출처: 이통 3사 다중이용시설, 교통 인프라 5G 구축 현황 제출자료(’20.7월 기준)
* 출처: 한국환경공단 다중이용시설 목록 중 서울·6대 광역시 대상으로 재구성
** 다중이용시설 이외 업무시설, 종교시설, 사옥 등
□ 교통 인프라 5G 구축 현황
ㅇ (지하철) 서울․수도권 458개 지하역 중 이통 3사 평균 122개 구축되었으며, 비수도권(부산·대구·대전·광주) 191개역은 전체 노선 5G 개통 완료하여 3사 평균 총 313개 구축
< 권역별·사업자별 지하철 5G 구축 현황(단위: 개소) >
구 분 구축대상 수 구축완료 수
(지하역) 3사평균 SKT KT LGU+
전체 649 313 349 299 291
서울/수도권 지하철 458 122 158 108 100
부산 지하철 91 91 91 91 91
대구 지하철 60 60 60 60 60
대전 지하철 22 22 22 22 22
광주 지하철 18 18 18 18 18
※ 출처: 이통 3사 다중이용시설, 교통 인프라 5G 구축 현황 제출자료(’20.7월 기준)
ㅇ (고속도로) 통행량이 많은 고속도로 주요구간 등 5G 구축 현황은 평균 22.33개이며, SKT 22개, KT 22개, LGU+ 23개로 나타남
< 사업자별 고속도로 주요구간 5G 구축 현황(단위: 개소) >
구 분 구축대상 수 구축완료 수
3사 평균 SKT KT LGU+
고속도로 32 22.33 22 22 23
주요구간*
※ 출처: 이통 3사 다중이용시설, 교통 인프라 5G 구축 현황 제출자료(’20.7월 기준)
* 출처: 한국도로공사, 2018년 고속도로 교통량 통계
4. 주요시설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 점검 개요
ㅇ (점검대상) 대형점포, 영화관, 도서관, 박물관, 병원, 등 이용자가 밀집되는 다중이용시설 및 지하철, 고속도로, 철도 등 교통 인프라
ㅇ (점검지역) 서울·6대 광역시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119개 지역
< 권역별 주요시설 5G 커버리지 점검지역(단위: 개) >
구 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기타 합계
(교통)
전체 39 18 12 15 6 6 6 17 119
건물 내부(인빌딩) 24 12 9 9 3 3 3 12 75
구축 시설
실외기지국 기반 실내서비스 시설 15 6 3 6 3 3 3 5 44
ㅇ (점검지표) 정부 점검 결과를 통해 5G 서비스 이용 가능 비율 산출
□ 점검 방법
ㅇ 이통 3사 각 단말기에 공통 측정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전문요원이 건물 내부(인빌딩)를 도보 이동하면서 측정
- 건물 내부(인빌딩) 각 층을 도보 이동하며 측정하고, 시설 내 이용자가 밀집한 대합실, 쉼터, 푸드코트 등 주요 지점(Hot Spot) 측정
< 주요시설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방법 >
도보 이동 및 주요 지점(Hot Spot) 5G 신호세기 측정
< 주요시설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지표 >
점검항목 판정 기준
5G 가용률 실제 점검 지역에서 매초 단위 수집된 5G 신호세기(RSRP*) 값이 일정 기준(-105dBm) 이상인 5G 서비스 제공 가능 비율
* RSRP :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4.1 주요시설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결과
□ 점검 결과
ㅇ (다중이용시설) 5G 서비스 가용률은 이통 3사 평균 67.93%
< 다중이용시설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결과(단위: %) >
구분 전체 평균 건물 내부(인빌딩) 실외기지국 기반 실내서비스 시설
구축 시설
5G 가용률 67.93 78.27 49.63
ㅇ (교통 인프라) 5G 서비스 가용률은 이통 3사 평균 76.56%
- 고속도로 5G 서비스 가용률이 78.21%로 가장 높으며, 철도(KTX·SRT) 5G 서비스 가용률이 75.45%로 낮게 나타남
< 교통 인프라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결과(단위: %) >
구분 전체 평균 지하철객차 KTX·SRT 고속도로
(실외) (실외)
5G 가용률 76.56 76.33 75.45 78.21
4.2 주요시설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세부 결과
□ 다중이용시설 점검 결과
ㅇ 지하상가 5G 서비스 가용률이 이통 3사 평균 97.36%로 가장 높으며, 도서관이 평균 53.57%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다중이용시설 유형별 5G 서비스 가용률(단위: %) >
구 분 전체 대형점포 영화관 의료기관 지하상가 여객 박물관 전시장 도서관
터미널
전체 67.93 61.76 72.14 53.6 97.36 96.42 90.41 96.66 53.57
건물 내부(인빌딩) 구축 시설 78.27 74.96 78.77 30.31 97.36 96.42 90.41 96.66 -
실외기지국 기반 실내서비스 시설 49.63 41.95 58.87 69.13 - - - 53.57
- 사업자별 다중이용시설 점검* 결과 SKT는 평균 5G 가용률 79.14%, KT는 평균 64.56%, LGU+는 평균 60.08%로 나타남
* 대형점포, 영화관, 의료기관 등 다중이용시설은 사업자별 점검 지역 및 점검 일시 등이 상이
□ 교통 인프라 점검 결과
ㅇ (지하철 객차) 5G 서비스 가용률은 대전 1호선이 99.89%로 가장 높으며, 서울·수도권 3호선이 26.74%로 가장 낮게 나타남
< 지하철 노선별 5G 서비스 가용률(단위: %) >
구 분 5G 가용률
평균 SKT KT LGU+
전체 76.33 79.87 79.08 70.04
서울 2호선 63.99 67.03 76.22 48.73
· 3호선 26.74 40.74 28.35 11.13
수도권 4호선 45.14 39 46.26 50.16
지하철 8호선 26.96 35.84 38.38 6.65
9호선 88.79 91.38 91.63 83.36
부산 지하철 1호선 96.31 98.76 98.87 91.29
2호선 89.52 97.94 96.6 74.02
대구 지하철 1호선 98.12 98.36 98.75 97.25
2호선 96.1 100 98.45 89.84
인천 지하철 수인선 86.35 90.79 78.9 89.35
광주 지하철 1호선 98.06 98.6 96.53 99.05
대전 지하철 1호선 99.89 100 100 99.67
ㅇ (KTX·SRT) KTX(부산→서울, 상행) 5G 가용률은 평균 76.22%, SRT(수서→목포, 하행) 5G 서비스 가용률은 평균 74.67%로 나타남
< KTX·SRT 5G 서비스 가용률(단위: %) >
구 분 5G 가용률
평균 SKT KT LGU+
전체 75.45 73.62 86.92 65.8
KTX(부산-서울) 76.22 66.99 90.45 71.22
SRT(수서-목포) 74.67 80.24 83.4 60.37
ㅇ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의 5G 가용률이 평균 85.85%로 가장 높으며, 서해안 고속도로 75.59%, 영동고속도로 73.21% 순으로 나타남
< 고속도로 5G 서비스 가용률(단위: %) >
구 분 5G 가용률
평균 SKT KT LGU+
전체 78.21 86.49 78.33 69.82
경부고속도로 85.85 95.32 91.62 70.61
서해안고속도로 75.59 80 65.84 80.93
영동고속도로 73.21 84.16 77.54 57.91
? 5G 품질평가 결과
1. 5G 서비스 품질
□ 평가 개요
ㅇ (평가대상) 이통 3사가 제공하는 5G 서비스(3.5GHz 대역)
ㅇ (평가지역) 서울·6대 광역시 5G 서비스 제공 지역
- 서울·6대 광역시의 옥외(행정동),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
* (다중이용시설) 놀이공원, 주요거리(유동인구 밀집지역), 여객터미널, 대형점포, 백화점, 영화관, 지하상가, 전통시장, 대형병원, 전시장, 대학교
** (교통 인프라) 지하철(역사·객차), 철도(KTX·SRT), 고속도로
< 평가지역 선정기준 >
구분 선정기준 지역수
5G o (옥외(행정동)) 서울 및 6대 광역시 행정 동(洞) 지역 33개
o (다중이용시설) 인구밀집 주요거리, 대형점포 등 건물 내부(인빌딩) 84개
o (교통 인프라) 지하철, 철도(KTX·SRT), 고속도로
합 계 117개
ㅇ (평가지표) 객관적으로 비교가 가능한 접속성공률, 전송성공률, 지연시간, 데이터손실률, 전송속도, 웹 접속 소요시간을 평가
- ‘LTE 전환율’ 및 ‘접속시간’ 신규 평가
- 5G 서비스의 전송성공률 판단 기준인 동영상 전송 최소속도(일정속도)는 5G 서비스의 고속 전송 특징을 고려 12Mbps로 상향(LTE 6Mbps)
※ ’20년 1월 기준, 유튜브 등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권장 전송속도는 12Mbps (1080p 해상도)로 제공 중
< 5G 서비스 평가지표 >
평가 지표 설 명 비 고
접속성공률 측정서버에 접속을 시도하여, 성공한 호의 비율
전송성공률 측정서버에 접속하여 일정속도(12Mbps) 이상으로 전송을 성공한 호 비율
지연시간 측정서버에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 응답신호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
데이터손실률 단말기-사업자 측정서버간의 데이터 송수신시 수신되지 못한 데이터양의 비율
전송속도 단말기-사업자 측정서버 구간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
웹 접속 소요시간 이용자가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한 시점에서부터 단말기에 웹페이지 화면이 모두 표시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LTE 전환율 5G 서비스 중 LTE로 망이 전환되는 비율 신규
접속시간 단말이 망에 접속을 시도하여 연결에 성공한 시간
※ 웹 접속 소요시간 측정 사이트는 이용률이 높은 상위 10개 사이트를 선정하여 측정
ㅇ (평가단말) 5G 기술 방식 품질측정이 가능한 삼성 갤럭시 S20+ 단말 1종, LG V50S 단말 1종, 총 2종 단말
□ 평가 방법
ㅇ (측정방법) 이통 3사 각 단말기에 공통 측정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동일지역, 동일시간대에 전문요원이 이동(차량, 도보)하면서 측정
- 측정 시간은 평일, 출·퇴근(지하철), 주말(놀이공원, 주요거리, 백화점 등) 등 평가 대상 지역의 이용자 시설 이용 행태를 고려하여 측정 시간 다변화
ㅇ (측정횟수) 측정 지역별 최소 50회 이상 측정
※ 유동인구 밀집지역(주요거리), 건물 내부(인빌딩) 구축 시설 등은 측정장소 규모에 따라 횟수를 조정하되 통계적 신뢰성 확보를 위해 최소 50회 이상 측정
1.1 5G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 서울·6대 광역시 5G 서비스 품질
ㅇ (전송속도) 이통 3사의 홈페이지(커버리지 맵)에서 공개하고 있는 5G 서비스 제공지역을 대상으로 전송속도를 측정한 결과,
- 5G 서비스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56.56Mbps, 평균 업로드 속도는 64.16Mbps로 나타남
ㅇ (LTE 전환율, 신규지표) 5G 서비스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로,
- 5G 서비스로 다운로드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평균 6.19%, 업로드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평균 6.19%로 나타남
ㅇ (접속시간, 신규지표) 단말이 5G 통신망에 접속을 시도하여 연결 성공에 걸리는 시간에 대한 품질 정보를 평가하는 지표로
- 평균 접속시간은 다운로드 102.24ms, 업로드 93.81ms로 나타남
< 5G 서비스 평가 결과(1) >
구 분 전송속도(Mbps) LTE 전환율(%) 접속시간(ms)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656.56 64.16 6.19 6.19 102.24 93.81
SKT 788.97 75.58 4.87 4.53 122.15 120.79
KT 652.1 63.69 4.55 4.94 109.28 90
LGU+ 528.6 53.23 9.14 9.1 75.31 70.65
※ 전송속도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 허용오차(%P) ±3.31%(다운), ±3.71%(업)
※ LTE 전환율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 허용오차(%P) ±0.01%(다운), ±0.01%(업)
※ 접속시간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 허용오차(%P) ±4.05%(다운), ±4.43%(업)
ㅇ (접속성공률) 5G 측정서버에 접속을 시도하여 5G 서비스 연결에 성공한 비율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로,
- 평균 접속성공률은 다운로드 99.95%, 업로드 99.96%로 나타남
ㅇ (전송성공률) 5G 측정서버와 연결을 성공한 이후 일정속도(12Mbps) 이상으로 끊김 없이 데이터 전송을 성공한 비율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로,
- 평균 전송성공률은 다운로드 99.57%, 업로드 99.71%로 나타남
ㅇ (지연시간) 단말이 5G 측정서버에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 응답신호가 도착할 때까지 시간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로,
- 평균 지연시간은 30.01ms로 나타남
ㅇ (데이터손실률) 단말기와 측정서버 간 데이터 송·수신시 수신되지 못한 데이터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로
- 평균 데이터손실률은 0.57%로 나타남
< 5G 서비스 평가 결과(2) >
구 분 접속성공률(%) 전송성공률(%) 지연시간 데이터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ms) 손실률(%)
전체 99.95 99.96 99.57 99.71 30.01 0.57
SKT 99.97 100 99.82 99.73 28.79 0.59
KT 99.9 99.92 99.41 99.61 31.57 0.79
LGU+ 99.98 99.94 99.49 99.79 29.67 0.32
ㅇ (웹 접속 소요시간) 평균 웹 접속 소요시간은 평균 1.01초로 나타남
< 5G 서비스 웹 접속 소요시간 평가 결과(단위: 초) >
평균 네이버 구글 다음 유튜브 페이스북 티스토리 위디스크모바일 와이고수 트위치TV 인스타그램
1.01 0.87 1.82 0.9 0.76 0.93 0.8 0.71 0.94 1.66 0.67
1.2 5G 서비스 품질평가 세부 결과
□ 전송속도 분포
ㅇ (사업자별) 전체 144,995개 전송속도 측정건 중 400Mbps 이상 700Mbps 미만 측정건이 45,497건(31.38%)으로 가장 많음
- 사업자별 SKT는 700~1,000Mbps, KT와 LGU+는 400~700Mbps측정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사업자별 전송속도 분포(단위: Mbps, 건) >
구 분 0초과 100이상 400이상 700이상 1,000이상 합계
∽100미만 ∽400미만 ∽700미만 ∽1,000미만
전체 8,025 30,955 45,497 39,584 20,934 144,995
(비율) -5.53% -21.35% -31.38% -27.30% -14.44% -100%
SKT 1,424 6,468 12,356 15,393 12,619 48,260
KT 2,337 8,371 16,803 15,226 5,751 48,488
LGU+ 4,264 16,116 16,338 8,965 2,564 48,247
ㅇ (평가지역별) 옥외(행정동)는 12,558건(37.37%),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는 32,939건(29.57%)으로 400Mbps 이상 700Mbps 미만 측정건이 가장 많음
< 평가지역별 전송속도 분포(단위: Mbps, 건) >
구 분 0초과 100이상 400이상 700이상 1,000이상 합계
∽100미만 ∽400미만 ∽700미만 ∽1,000미만
전체 8,025 30,955 45,497 39,584 20,934 144,995
(비율)
옥외(행정동) 1,124 5,509 12,558 11,079 3,331 33,601
(비율) -3.35% -16.40% -37.37% -32.97% -9.91% -100%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인프라 6,901 25,446 32,939 28,505 17,603 111,394
(비율) -6.20% -22.84% -29.57% -25.59% -15.80% -100%
ㅇ (유형별) 유동인구·지하철 객차는 700~1,000Mbps, 건물내부(인빌딩)·고속도로는 400~700Mbps, KTX·SRT는 100~400Mbps 측정건이 많음
<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유형별 전송속도 분포(단위: Mbps, 건) >
구 분 0초과 100이상 400이상 700이상 1,000이상 합계
∽100미만 ∽400미만 ∽700미만 ∽1,000미만
전체 6,901 25,446 32,939 28,505 17,603 111,394
(비율) -6.20% -22.84% -29.57% -25.59% -15.80% -100%
다중이용 건물내부(인빌딩) 2,094 11,469 16,133 14,186 8,635 52,517
시설 유동인구 517 2,404 5,773 6,788 3,406 18,888
교통 지하철객차 1,075 5,381 5,393 5,853 5,351 23,053
인프라 KTX·SRT 2,092 2,953 1,784 547 41 7,417
고속도로 1,123 3,239 3,856 1,131 170 9,519
※ (건물내부(인빌딩)) : 대형점포, 백화점, 영화관, 지하상가, 대형병원, 전시장 등
(유동인구) : 주요거리, 전통시장, 놀이공원, 대학교
<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세부 유형별 전송속도 분포(단위: Mbps, 건) >
구 분 0초과 100이상 400이상 700이상 1,000이상 합계
∽100미만 ∽400미만 ∽700미만 ∽1,000미만
전체 6,901 25,446 32,939 28,505 17,603 111,394
(비율) -6.20% -22.84% -29.57% -25.59% -15.80% -100%
다 놀이공원 56 188 410 773 600 2,027
중 주요거리 240 1,242 2,881 3,393 1,834 9,590
이 여객터미널 97 1,232 2,156 1,706 1,112 6,303
용 대형점포 1,021 4,252 4,701 2,564 1,199 13,737
시 백화점 217 1,172 1,852 2,683 325 6,249
설 영화관 80 665 1,402 633 154 2,934
지하상가 172 651 1,277 1,562 499 4,161
전통시장 150 738 1,559 1,341 399 4,187
대형병원 225 1,725 1,397 821 26 4,194
전시장 67 328 712 813 194 2,114
대학교 71 236 923 1,281 573 3,084
교 지하철객차 1,075 5,381 5,393 5,853 5,351 23,053
통 지하철역사 174 1,130 1,561 2,439 4,545 9,849
인 KTX 1,310 1,364 716 210 9 3,609
프 SRT 782 1,589 1,068 337 32 3,808
라 철도역사 41 314 1,075 965 581 2,976
고속도로 1,123 3,239 3,856 1,131 170 9,519
□ 평가지역별 5G 서비스 품질
ㅇ (전송속도) 옥외(행정동)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63.14Mbps,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53.97Mbps로 옥외(행정동) 다운로드 속도가 높음
< 평가지역별 전송속도(단위: Mbps)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656.56 64.16 788.97 75.58 652.1 63.69 528.6 53.23
옥외(행정동) 663.14 67.18 773.17 77.78 621.96 66.62 594.3 57.14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인프라 653.97 62.98 795.17 74.71 663.94 62.54 502.79 51.69
ㅇ (LTE 전환율) 옥외(행정동) LTE 전환율은 2.67%,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LTE 전환율은 7.57%로,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의 LTE 전환이 더 많음
< 평가지역별 LTE 전환율(단위: %)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6.19 6.19 4.87 4.53 4.55 4.94 9.14 9.1
옥외(행정동) 2.67 3.16 3.23 3.07 2.17 3.28 2.6 3.14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인프라 7.57 7.38 5.52 5.11 5.48 5.6 11.71 11.44
ㅇ(접속시간) 옥외(행정동) 접속시간은 83.24ms,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접속시간은 109.71ms로, 옥외(행정동)에서 5G 통신망 접속시간이 더 빠름
< 평가지역별 접속시간(단위: ms)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102.24 93.81 122.15 120.79 109.28 90 75.31 70.65
옥외(행정동) 83.24 80.91 102.07 105.34 89.97 74.8 57.69 62.58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인프라 109.71 98.89 130.03 126.87 116.86 95.97 82.24 73.83
□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유형별 5G 서비스 품질
ㅇ (전송속도) 유동인구 밀집지역(주요거리 등, 실외) 다운로드 속도가 724.30Mbps로 가장 높고, KTX·SRT가 320.55Mbps로 가장 낮음
<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유형별 전송속도(단위: Mbps)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653.97 62.98 795.17 74.71 663.94 62.54 502.79 51.69
다중 건물내부 654.09 61.81 795.66 71.68 676.51 62.41 490.1 51.34
이용 (인빌딩)
시설 유동인구 724.3 76.68 869.59 93.78 704.69 75.81 598.61 60.45
교통 지하철객차 703.37 60.23 875.37 72.12 723.42 61.65 511.32 46.93
인프라 KTX·SRT 320.55 35.51 387.01 41.75 311.4 28.89 263.24 35.88
고속도로 477.05 46.77 564.6 62.13 454.59 33.44 411.96 44.73
<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세부 유형별 전송속도(단위: Mbps)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653.97 62.98 795.17 74.71 663.94 62.54 502.79 51.69
다 놀이공원 731.65 75.12 930.7 96.94 684.61 68.32 579.65 60.1
중 주요거리 741.64 80.08 901.31 97.57 723.84 80.41 599.79 62.25
이 여객터미널 694.09 73.61 818.82 78.3 674.79 79.94 588.68 62.58
용 대형점포 561.31 49.67 736.55 63.04 594.11 47.08 353.27 38.91
시 백화점 646.97 49.46 768.55 49.95 747.39 54.12 424.96 44.3
설 영화관 548.24 62.49 621.53 73.28 537.77 62.67 485.42 51.52
지하상가 714.52 65.9 899.43 78.96 629.96 64.28 614.17 54.47
전통시장 647.28 72.56 808.55 91.06 645.81 69.8 487.49 56.82
대형병원 504.44 40.52 599.42 38.27 534.46 42.6 379.45 40.69
전시장 665.19 72.9 786.75 77.01 718.84 88.85 489.99 52.83
대학교 770.04 73.01 815.06 83.91 739.17 75.01 755.88 60.11
교 지하철객차 703.37 60.23 875.37 72.12 723.42 61.65 511.32 46.93
통 지하철역사 885.26 85.99 1,033.02 104.78 926.22 76.04 696.53 77.16
인 KTX 272.75 36.34 360.31 44.16 239.33 34.12 218.6 30.75
프 SRT 368.35 34.68 413.7 39.35 383.46 23.67 307.88 41.02
라 철도역사 745.42 82 888.29 102.82 757.86 89.1 590.1 54.08
고속도로 477.05 46.77 564.6 62.13 454.59 33.44 411.96 44.73
ㅇ (LTE 전환율) 유동인구 밀집지역(주요거리 등, 실외) LTE 전환이 2.85%로 가장 적고, 지하철 객차가 19.49%로 LTE 전환이 많음
<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유형별 LTE 전환율(단위: %)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7.57 7.38 5.52 5.11 5.48 5.6 11.71 11.44
다중 건물내부 5.54 5.08 2.48 1.78 3.69 3.93 10.45 9.53
이용 (인빌딩)
시설 유동인구 2.85 3.17 2.99 2.92 2.23 1.9 3.34 4.7
교통 지하철객차 19.49 19.51 16.06 16.54 16.33 16.65 26.1 25.33
인프라 KTX·SRT 10.39 9.91 8.31 5.78 7.48 7.83 15.39 16.11
고속도로 16.28 16.78 22.41 23.62 7.13 6.73 19.29 19.99
< 다중이용시설·교통인프라 세부 유형별 LTE 전환율(단위: %)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7.57 7.38 5.52 5.11 5.48 5.6 11.71 11.44
다 놀이공원 1.1 0.48 0.15 0.15 2.43 1.29 0.72 0
중 주요거리 2.98 5.07 2.84 3.95 1.79 2.66 4.32 8.6
이 여객터미널 4.54 3.99 4.22 2.52 3.41 3.01 5.99 6.45
용 대형점포 7.39 6.35 2.46 1.34 6.29 6.59 13.41 11.11
시 백화점 3 1.98 1.21 0.46 1.11 0.68 6.7 4.81
설 영화관 0.96 3.61 0 3.33 0.19 3.35 2.69 4.14
지하상가 13.11 12.44 4.82 4.76 6.68 7.4 27.83 25.16
전통시장 4.1 1.55 4.34 2.08 3.21 1.43 4.74 1.14
대형병원 3.29 3.17 1.28 1.19 8.07 7.73 0.53 0.59
전시장 1.93 3.77 2.7 5.14 0 1.65 3.1 4.54
대학교 1.98 1.45 3.56 2.82 2.09 0.67 0.29 0.87
교 지하철객차 19.49 19.51 16.06 16.54 16.33 16.65 26.1 25.33
통 지하철역사 6.66 6.45 1.08 0.62 0.29 0.24 18.6 18.5
인 KTX 11.16 10.74 10.12 7.08 8.21 9.06 15.15 16.08
프 SRT 9.63 9.08 6.51 4.49 6.76 6.6 15.63 16.15
라 철도역사 2.25 0.31 5.27 0.28 1.07 0.47 0.42 0.19
고속도로 16.28 16.78 22.41 23.62 7.13 6.73 19.29 19.99
□ 권역별 5G 서비스 품질
ㅇ (전송속도) 다운로드 속도는 서울특별시가 711.35Mbps로 가장 높고, 부산광역시가 620.29Mbps로 가장 낮음
< 권역별 전송속도(단위: Mbps)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656.56 64.16 788.97 75.58 652.1 63.69 528.6 53.23
서울특별시 711.35 71.34 788 80.68 685.42 72.97 660.63 60.38
부산광역시 620.29 63.46 796.98 75.72 679.88 72.83 384.02 41.85
대구광역시 693 57.37 901.51 70.35 748.33 62.8 429.15 38.98
인천광역시 676.55 71.22 742.08 80.44 618.66 72.44 668.9 60.78
광주광역시 661.86 53.4 791.87 58.07 659.24 35.17 534.46 66.97
대전광역시 645.4 61.17 850.57 81.35 590.38 34.87 495.24 67.28
울산광역시 623.03 65.52 915.86 87.75 601.59 67.92 351.66 40.89
ㅇ (LTE 전환율) LTE 전환율은 대전광역시가 2.27%로 가장 낮고, 울산광역시가 8.17%로 가장 높음
< 권역별 LTE 전환율(단위: %)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6.19 6.19 4.87 4.53 4.55 4.94 9.14 9.1
서울특별시 7.2 7.47 5.57 6 5.67 5.79 10.36 10.62
부산광역시 5.73 6.21 3.68 2.81 2.5 3.7 11 12.12
대구광역시 7.79 6.76 4.42 3.49 6.4 6.64 12.55 10.14
인천광역시 2.68 2.34 3.19 2.62 2.35 2.39 2.51 2.01
광주광역시 2.89 2.98 2.38 2.65 5.36 5.8 0.93 0.5
대전광역시 2.27 4.27 0.97 2.78 1.91 3.9 3.92 6.13
울산광역시 8.17 5.4 7.34 2.93 4.95 3.75 12.21 9.54
ㅇ (접속시간) 접속시간은 울산광역시가 90.30ms로 가장 빠르고, 광주광역시가 123.05ms로 가장 느림
< 권역별 접속시간(단위: ms)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102.24 93.81 122.15 120.79 109.28 90 75.31 70.65
서울특별시 92.33 82.7 99.73 95.27 109.11 84.75 68.15 68.08
부산광역시 90.87 81.91 113.32 117.68 79.91 67.04 79.38 61.01
대구광역시 117.04 96.54 122.94 111.29 146.3 95.29 81.89 83.02
인천광역시 100.69 96.59 152.37 154.74 78.15 78.34 71.55 56.68
광주광역시 123.05 122.77 166.6 172.74 130.19 117.11 72.36 78.47
대전광역시 122.21 120.17 132.7 138.82 157.46 142.7 76.47 78.98
울산광역시 90.3 92.97 125.96 138.34 69.28 68.58 75.66 71.98
□ 지하철 객차 5G 서비스 품질
ㅇ 지하철 5G 서비스 품질평가는 이용자 체감 품질을 반영하기 위해 일부 노선은 트래픽이 집중 발생하는 최번시(출·퇴근시)에 측정
< 지하철 노선별 측정시간 >
구 분 측정시간
출근시 평시 퇴근시
(07:00-09:00) (09:00-18:00) (18:00-20:00)
서울 2호선 O
· 3호선 O
수도권 4호선 O
지하철 8호선 O
9호선 O
부산 지하철 1호선 O
2호선 O
대구 지하철 1호선 O
2호선 O
인천 지하철 수인선 O
광주 지하철 1호선 O
대전 지하철 1호선 O
합 계 3개 노선 4개 노선 5개 노선
< 지하철 노선별 전송속도 및 LTE 전환율 >
구 분 전송속도(Mbps) LTE 전환율(%)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703.37 60.23 19.49 19.51
서울 2호선 560.53 53.65 24.29 25.88
· 3호선 688.99 65.22 62.85 64.55
수도권 4호선 581.49 60.7 48.95 49.18
지하철 8호선 877.56 63.62 61.17 61.91
9호선 758.51 66.04 4.36 3.06
부산 지하철 1호선 695.94 65.03 3.2 3.55
2호선 603.98 53.75 8.02 6.53
대구 지하철 1호선 689.82 59.41 4.04 6.07
2호선 783.06 62.22 7.08 6.04
인천 지하철 수인선 655.64 62.27 5.49 3.98
광주 지하철 1호선 812.74 57.7 0.26 0.24
대전 지하철 1호선 732.16 53.16 4.21 3.08
ㅇ (전송속도) 지하철 객차(이동·정차구간) 다운로드 속도는 광주지하철이 812.74Mbps로 가장 높고, 부산지하철이 649.96Mbps로 가장 낮음
< 권역별 지하철 전송속도(단위: Mbps)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703.37 60.23 875.37 72.12 723.42 61.65 511.32 46.93
서울/수도권 693.42 61.85 837.67 73.46 713.48 61.01 529.1 51.07
지하철
부산 지하철 649.96 59.39 857.71 68.81 720.45 72.26 371.74 37.11
대구 지하철 736.44 60.82 926.6 77.31 771.89 72.72 510.84 32.42
인천 지하철 655.64 62.27 805.72 71.37 582.13 63.9 579.06 51.53
광주 지하철 812.74 57.7 974.78 73.46 792.92 13.84 670.53 85.81
대전 지하철 732.16 53.16 966.92 61.04 753.92 67.08 475.64 31.37
ㅇ (LTE 전환율) 서울/수도권 지하철 노선의 LTE 전환율이 40.32%로 가장 높고, 광주지하철 LTE 전환율이 0.26%로 가장 낮음
※ 서울·수도권 지하철은 지하구간 5G 장비를 구축 중이며, 지상구간이 많아 잦은 기지국 이동(핸드오버) 등으로 LTE 전환율이 높음
< 권역별 지하철 LTE 전환율(단위: %)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19.49 19.51 16.06 16.54 16.33 16.65 26.1 25.33
서울/수도권 40.32 40.91 34.61 36.54 35.32 35.33 51.04 50.87
지하철
부산 지하철 5.61 5.04 2.24 3.16 3.31 3.18 11.29 8.79
대구 지하철 5.56 6.06 2.22 1.88 1.55 5.32 12.91 10.98
인천 지하철 5.49 3.98 8.62 3.21 5.36 5.04 2.5 3.7
광주 지하철 0.26 0.24 0 0 0.51 0.49 0.26 0.24
대전 지하철 4.21 3.08 2.1 2.49 3.74 0.59 6.79 6.15
? 5G 이용자 속도측정 앱 상시평가
1. 5G 이용자 상시평가
□ 평가개요
ㅇ (평가대상) 이통 3사의 5G 서비스
※ 국내 미출시 단말 및 해외이용자(로밍) 제외
ㅇ (평가지역) 서비스 제공 지역인 전국 지역
ㅇ (평가지표) 전송속도(다운로드/업로드)
ㅇ (평가단말) 5G 서비스 이용자가 사용하는 모든 단말
ㅇ (평가방법) 5G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NIA 속도측정 배포앱을 다운로드·설치 및 실행하여 직접 속도 측정
- (측정횟수) 정상적으로 측정이 완료된 모든 호
- (평가기간) 2020년 1월 1일 ~ 6월 30일(6개월)
< 2020년 5G 서비스 이용자 상시평가 개요 >
구 분 내 용 비 고
대상 이통3사 5G 서비스 해외 로밍 제외
평가기간 2020년 1월 1일 〜 6월 30일(6개월) -
평가주체 5G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측정 품질 측정앱 사용
측정건수 총 유효건수 14,524건 GPS(위치정보), 단말정보 미포함 데이터 제외
측정단말 5G 서비스 이용자가 사용하는 모든 단말 국내 출시 단말
평가지표 다운로드/업로드 속도 정상적으로 측정이 완료된 호
□ 정부평가와 이용자 상시평가 비교
< 정부평가와 이용자평가 비교 >
구 분 정부평가 이용자평가
평가대상 5G 서비스 전송속도
평가지역 전국 117개 지역 전국 모든 지역
측정건수 총 29,446건 총 유효건수 14,524건
측정기간 6월〜7월(약 2개월) 1월〜6월(6개월)
측정시간 오전, 오후, 저녁 측정자별 상이
단말기 삼성 갤럭시 S20+ 1종 5G 서비스가 가능한 모든 기종
LG V50S 1종, 총 2종
< 단말기 그룹 구분 >
구 분 내 용
5G 서비스가 가능한 전 기종 . (삼성 갤럭시) S10, 노트10+, 폴드, A90, S20, S20+, S20 Ultra, A51, (LG) V50, V50S, Velvet
정부평가 5G 단말과 동일 기종 . (삼성 갤럭시) S20+, (LG) V50S
1.1 5G 이용자 상시평가 결과
□ 평가 결과
ㅇ이용자 상시평가 결과 다운로드 평균 속도는 622.67Mbps, 업로드 평균 속도는 48.25Mbps로 나타남
- 특히, 정부평가 단말과 동일한 기종의 이용자 상시평가 결과 다운로드 평균 속도는 643.75Mbps로 소폭 높게 나타남
< 이용자 상시평가 결과(단위 : Mbps) >
구 분 전체 SKT KT LGU+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5G 서비스가 가능한 전 기종 622.67 48.25 719.79 52.61 599.43 46.58 533 45.05
정부평가 단말과 동일 기종 643.75 48.69 811.52 58.4 633.91 44.91 496.13 43.23
ㅇ (정부평가와 이용자평가 비교) 정부평가 전송속도 결과와 이용자 상시평가 전체 전송속도 결과 비교 시 다운로드 기준으로,
- 정부평가 결과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56.56Mbps, 전 기종의 이용자 상시평가 결과는 다운로드 622.67Mbps로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 특히, 동일 기종의 경우 이용자 상시평가 결과는 다운로드 643.75Mbps로 더욱 근접하게 나타남
※ 평가기간 : 정부평가 6〜7월 / 이용자 상시평가 : 1월〜6월
< 정부평가와 이용자 상시평가 전송속도 결과 비교(단위: Mbps) >
구 분 ’20년 상반기 5G 정부평가 ’20년 상반기 이용자평가
5G 서비스가 가능한 전 기종 정부평가 단말과 동일 기종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전체 656.56 64.16 622.67 48.25 643.75 48.69
SKT 788.97 75.58 719.79 52.61 811.52 58.4
KT 652.1 63.69 599.43 46.58 633.91 44.91
LGU+ 528.6 53.23 533 45.05 496.13 43.23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재공모 (0) | 2020.08.05 |
---|---|
2020년 8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포항공대 홍원빈 교수 선정-초고주파 5세대(5G) 이동통신 안테나 원천기술로 데이터 고속도로 기반 제공 (0) | 2020.08.05 |
금융감독 디지털 전환(DT)의 일환으로 「모바일 전자등기우편 시스템」을 구축하여 금년 12월부터 서비스 제공 (0) | 2020.08.05 |
「마스크 필터용 부직포 긴급수급조정조치」고시 신규 제정-수출 일부 허용함으로써 시장기능 회복 및 수출증대 기대 (0) | 2020.08.05 |
6일부터 화물차·건설기계 과태료 납부기한 3개월 추가 유예-코로나-19 장기화로 징수유예·생계형 운전자 대상 추가 (0) | 202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