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과기정통부, 2021년도 선도(리더) 연구자 14명, 선도연구센터 17개 선정

하이거 2021. 6. 27. 15:21

과기정통부, 2021년도 선도(리더) 연구자 14, 선도연구센터 17개 선정

부서 기초연구진흥과

 

과기정통부, 2021년도 선도(리더) 연구자 14명, 선도연구센터 17개 선정

- 국내 최고수준 연구자 및 우수연구집단의 심화연구 지원 -

- 우수한 기초연구성과 도출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 기대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6월 28일(월) 국내 최고수준의 연구자 및 연구 집단을 지원하는 리더연구, 선도연구센터 사업의 선정 및 협약을 완료하였다.

ㅇ 과기정통부는 연구자가 자유롭게 연구주제와 연구비를 제안하는 연구자주도 기초연구사업을 연구자의 역량 단계별로 지원하고 있으며, 

ㅇ 리더연구와 선도연구센터 사업은 1990년대부터 꾸준히 추진해온 대표적인 기초연구 지원 사업으로, 상위 0.3% 이내의 연구자 및 연구 집단만이 지원 받는 사업이다.【참고1】

※ 올해 선정과제 포함 94개(리더연구), 129개(선도연구센터) 과제 지원 중 (’21.6월 기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자주도 기초연구사업 지원 체계 >

초기 연구 정착 우수 성과 창출 최고 수준 연구

개인연구 신진연구 중견연구 리더연구

(연 1.5억원, 5년이내) (연 4억원, 5년이내) (연 8억원, 9년이내)

 

재도약연구

(신진, 중견, 리더연구 수행 중 연구 단절자(전체 국가 R&D 미수행), 0.5억원)

 

생애첫연구  기본연구

(연 0.3억원, 3년이내) (연 0.5억원, 5년이내)

 

집단연구 기초연구실 선도연구센터

(4인 이내, 연5억원 이내, 3년) (10인 이내, 연20억원 이내, 7년)

□ 지난해 11월 공고를 하여 66명의 연구자와 59개의 연구그룹을 대상으로 해외평가, 토론평가, 발표평가 등을 거쳤고, 자연과학, 생명, 의약학, 공학, 정보통신기술·융합분야에서 14명의 리더 연구자와 17개의 선도연구센터를 선정하여 총 329억원을 지원한다.

□ 리더연구의 경우 새로운 반도체 소재 개발을 위해 반결합제어 결정을 연구하는 정보통신기술·융합분야의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 이차전지/반도체 산업에 활용 가능한 탄소다양성구조를 연구하는 화학분야의 울산과학기술원 신현석 교수 등 향후 반도체·소재분야의 초석이 될 수 있는 연구들이 선정되었고,

ㅇ 간세포(KAIST 정원일), 단백질 연구(서울대 윤태영)를 통해 간질환 및 암·종양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는 기초의학/생명 분야의 연구자들도 선정되었다.

ㅇ 이외에도 건설교통, 에너지융합, 화학, 물리 분야에서 선정된 과제들은 스마트 그린 시티, 실내 환경 질 개선, 고효율 촉매 개발 등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21년 리더연구 선정결과 >

분야 선정결과

자연과학 물리(서강대 김현정, 연세대 김근수), 화학(UNIST 신현석, 이화여대 남원우)

생명과학 기초생명(연세대 권호정), 분자생명(서울대 윤태영, 연세대 김성훈)

의약학 기초의학(KAIST 정원일)

공학 건설/교통(연세대 홍태훈), 소재(연세대 문주호), 화공(KAIST 이현주)

ICT·융합 에너지융합(성균관대 박남규, 한양대 김기현), 바이오·의료융합(서울대 전누리)

□ 선도연구센터의 경우 이학분야(SRC), 공학분야(ERC), 기초의과학분야(MRC) 등 학문분야별 연구집단 뿐만 아니라, 지역대학의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특화 분야와 연계하는 지역혁신분야 선도연구센터(RLRC)를 지원하고 있다.

※ SRC : Science Research Center ERC : Engineering Research Center

MRC : Medical Research Center RLRC : Regional-Leading Research Center

ㅇ 올해는 양자컴퓨팅에 응용 가능한 ‘신개념 에피성장 양자 신소재 연구센터’를 포함한 4개의 이학분야 선도연구센터와 자율주행, 반도체공정, 광학 등에서 활용 가능한 주파수 기술을 연구하는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연구센터’ 등 5개의 공학분야 선도연구센터가 선정되었고,

ㅇ 염증성 질환, 지방간, 암, 퇴행성 뇌질환, 종양, 치의학 등 다양한 질병 및 건강관련 연구를 하는 4개의 기초의과학연구센터가 선정되었다.

ㅇ 지역혁신분야 선도연1구센터의 경우 4개의 권역별 지역 산업과 연계한 센터들이 각각 선정되었고, 각 지역에 특화된 바이오산업(경상대, 원광대, 고려대(세종)), 차세대 에너지소재·시스템산업(경북대) 등과 연계해 각 지역의 혁신성장분야의 연구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21년 선도연구센터 선정결과 >

분야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SRC (화학) 전자전달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정택동

(물리학) 신개념 에피성장 양자 신소재 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이규철

(기반생명) 반려동물 질환 연구를 통한 인체 유사질환 발생 인자기전 연구 서울대학교 조제열

(기초생명) 식물가소성 연구센터 서울대학교 노유선

ERC (건설/교통) 초융합 건설 포렌식 연구센터 고려대학교 이종섭

(기계) 다분야 통합 도심항공 모빌리티 핵심기술 개발 센터 서울대학교 신상준

(전기/전자) 컬러변조초감각 인지기술연구센터 부산대학교 김창석

(에너지환경융합/산업기술융합) 도시형생활폐기물 가스화물질 혁신적 전환센터 광주과학기술원 장인섭

(컴퓨터SW/정보기술/통신) 소프트웨어 재난 연구센터 경북대학교 최윤자

MRC (기초/응용의학) 종양가소성 연구센터 경북대학교 이병헌

(기초/응용의학) 선천면역 매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가천대학교 정윤재

(기초/응용의학) 세포교신 제어 연구센터 인하대학교 강주희

(치의학) 메카토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 단국대학교(천안) 김해원

RL (부울경)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 경상대학교 김선원

RC (대경강) 탄소중립 지능형 에너지 시스템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 경북대학교(상주) 노종욱

(호남/제주) 근감소증 3단계 토탈솔루션 선도연구센터 원광대학교 최성규

(충청) 생체시계 기반 항노화 융합연구센터 고려대학교(세종) 백승필

□ 아울러 7월 중으로 금년 선정된 리더연구 및 선도연구센터의 신규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지정서를 수여하고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자 간담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기초연구의 성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새로운 변화는 기초연구에 대한 꾸준한 지원으로 시작된다.”라고 강조하며,

ㅇ “정부는 ’17년부터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기초연구 예산을 대폭 확대해 왔다.”며, “이러한 지원이 혁신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향후 연구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기초연구 지원의 다음 단계도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고1 리더연구 및 선도연구센터사업 추진현황

□ 사업개요

리더연구 선도연구센터

사업목적 ?미래 독자적 과학기술과 신기술 개발을 위해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연구자의 심화연구 집중 지원 ?국내 대학에 산재되어 있는 우수연구 인력을 발굴하여 학문분야별(자연과학/공학/기초의과학 등)로 집중 지원함으로써 우수인재 육성 및 국가 기초연구역량 향상

사업기간 ?1997년 ~ 계속 ?1990년 ~ 계속

지원대상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연구원 ?이공분야/기초의과학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그룹(8~10인 내외)

지원규모 ?연평균 8억원 이내, 9년 지원 ?연 14~20억 이내, 7년 지원

지원현황 ?’21년 6월 기준 94개 지원 중 ?’21년 6월 기준 129개 지원 중

(기초연구수행의지인력*의 상위 0.3%)

* 최근 5년(’16년~’20년) 기초연구사업에  ※ 1990년 이후 31년간 총 375개 센터에 2조 3,392억원 지원

신청/수행 중인 연구자 (34,111명)

□ 리더/선도연구센터 사업을 통한 기초연구 지원성과

ㅇ (학술성과)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기초연구 핵심 역할 측면에서 우수 논문 성과 지속 창출

※ 세계 과학 상위 10개국 SCI 논문 평균 피인용수와 비교해서도 선도연구센터·리더연구의 수준이 높음

구 분 세계 평균 한국 평균 세계 상위 

선도연구센터 리더연구 10개국

평균 피인용 수 6.07 7.66 13.03 21.44 11.2

상대 인용률 0.54 0.69 1.16 1.91 1

(세계 상위 10개국 대비)

ㅇ (사업화·신산업 창출) 연구성과 기반 기술사업화에 성공, 경제·사회 기여

성과명/기업명(수혜이력) 성과 개요

난치성 질환 치료 혁신 ◦포항공대 융합생명공학부을 모태로 '99년 설립, 항체융합단백질 

/ ㈜제넥신 및 유전자 치료백신 제조 원천기술을 국내 제약사에 이전하는 

(포항공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신약 연구개발 코스닥 상장('00) 기업 

선도연구센터(‘91~‘93) ◦시가총액 25,587억원('21.1기준)

우리나라 우주산업 개척 ◦한국과학기술원의 인공위성센터를 시작으로 ‘99년 설립, 우리나라 소형 위성 산업 발전의 근간을 이루며,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 장치제조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코스닥 상장(‘08)기업

/ ㈜쎄트렉아이 ◦시가총액 2,729억원('21.1기준)

(한국과기원)

선도연구센터(‘90~‘99)

micro RNA 생성과정 규명 ◦유전조절물질인 microRNA의 생성과정을 밝혀 줄기세포, 뇌세포, 암세포 등에 적용함으로써 줄기와 기억형성, 암발생과정 등을 이해하는데 기여

/ 김빛내리 ◦現 IBS RNA 연구단장으로, 최근 코로나19바이러스 유전자 지도를 세계 최초로 완성해 백신·치료제 개발에 기여

리더(창의)연구(’07~’11)

참고2 ’21년 리더연구 신규과제 선정 현황

□ 자연과학 4과제

과제명 밴드구조제어연구단 주관기관 연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42.9억원 / ‘21.6~’27.2 (6년)

▲ 연구인력 : 10명(연구원 2명, 연구조원 8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현존 응집물질물리학의 인식 체계를 한 단계 확장시키고, 양자물질의 밴드구조 제어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신개념 미래 양자소자의 메커니즘 고안

- (연구내용) 인공적인 위상학적 상전이를 유도하고, 결정대칭성으로 보호된 독특한 위상학적 양자 상태를 탐색하며, 다체 상호작용과 복합입자를 연구하여 pseudogap의 메커니즘 규명

- (기대효과) 밴드구조 측정과 제어를 통해 전자구조의 관점에서 양자 현상을 연구하여 응집물질물리학의 인식의 틀을 확장시키고, 미래 양자 소자의 메커니즘을 제공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 경력 (3~4개)

연세대 ?연세대 학사(물리학, ‘05)  ?(現)연세대학교 물리학과 부교수(‘19~)

부교수 ?연세대 박사(물리학, ‘10) ?(前)연세대학교 조교수(`17~`19)

?(前)포항공과대학교 조교수(`13~‘17)

김근수 (‘82) ?(前)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박사후연구원(‘10~’13)

과제명 극초단 상변이 연구단 주관기관 서강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42.7억원 / ‘21.6~’27.2 (6년)

▲ 연구인력 : 5명(연구원 1명, 연구조원 4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물질의 상변이 과정의 새로운 원리를 발견하고 메커니즘을 이해하며, 기존의 펌프-프로브 기법과 복합 기술로 새로운 구조 동역학 연구기법을 개발하고자 함

- (연구내용) 상변화물질, 에너지 관련 물질과 그의 나노 입자들에 대해서 상변이를 측정하고 상변이 과정에서의 원자 간 상호 작용에 의한 주요 메커니즘을 연구

- (기대효과) 4세대 X-선 자유전자레이저를 이용한 기초연구로 국가 대형시설의 효율적 활용에 기여하고 상변화물질에 대한 상변이 정보는 디바이스로의 응용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서강대 ?서강대 학사(물리학, ‘87)  ?(現) 서강대학교 교수(‘02~)

교수 ?서강대 석사(물리학, ‘89)  ?(現)한국여성과총학술위원회 조직위원장(`21~)

김현정 (‘64) ?Purdue University 박사(물리학, ‘98) ?(現)기초과학연구원(IBS) 이사(‘18~)

과제명 산소 화학: 산소분자의 생성-활성화-촉매 반응 주관기관 이화여자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67.2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11명(교수급 공동연구원 3명, 연구원 4명, 연구조원 4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산소분자 활성화 그리고 물 산화 반응에 대한 기초연구와 더불어 광합성계 II를 모방한 물 산화 반응과 유기물의 산화 반응에서의 환경 친화성 촉매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 (연구내용) 산소분자 활성화 반응 연구를 완성하고 ‘Oxo Wall’에 대한 개념 정리, 산소분자 생성에 관여하는 중간체의 구조와 메커니즘 규명

- (기대효과) 공기 중의 산소와 물을 이용한 유기물질의 선택적 산화 반응 촉매 시스템 그리고 물의 산화 반응을 통한 에너지 생성 등의 화학 반응을 개발하여 전 세계의 경제산업 발전에 기여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이화여대 ?California State University 학사(생무기화학, ‘85)  ?(現)이화여자대학교 교수(‘94~)

교수 ?University of California 박사(생무기화학, ‘90) ?(現)교육과학기술부 창의사업단 단장(‘03~)

?(前)홍익대학교 조교수(‘91~’94)

남원우 (‘60) ?(前)UCLA 박사후 연구원 (‘90~’91)

과제명 탄소 및 질화붕소의 동종다형성 연구 주관기관 울산과학기술원

▲ 지원 규모/기간 : 70.9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16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명, 연구원 4명, 연구조원 11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합성이 까다로운 BN 박막구조체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합성하고 물리화학적 특성분석을 진행하고 BN 구조체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개척 소재인 삼원계 화합물 BCN 합성을 시도하여 그 구조와 특성을 이해

- (연구내용) 여섯 개의 work package (WP)를 디자인하여 기존 연구에서의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함

- (기대효과) 반도체 산업에서 혁신적인 돌파구가 될 수 있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 할 수 있으며, 이차전지, 코팅, 멤브레인 등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경북대 학사(화학교육, ‘96)  ?(現)울산과학기술원 교수 (’08~)

?포항공대 석사(화학, ‘98) ?(前)포항공과대학교 연구교수(‘07~’08)

신현석 (‘73) ?포항공대 박사(화학, ‘02) ?(前)University of Cambridge 박사후연구원(‘05~’06)

□ 생명과학 3과제

과제명 저분자 화합물을 활용한 세포소기관 상호소통의 분자사회적 기능 해석 주관기관 연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70.3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11명(연구원 1명, 연구조원 10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저분자화합물을 활용하여 세포 내 분자사회의 네트워크를 규명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하고자 함

- (연구내용) 세포소기관 상호소통 표현형 스크리닝 시스템 구축 및 조절 저분자화합물 발굴, 저분자화합물의 표적 단백질/인접 단백체 규명 및 해당 단백체의 위치, 기능 분석, 저분자화합물에 의해 교란된 세포소기관 상호소통의 분자 메커니즘 규명

- (기대효과) 생명체의 분자소통 기전을 밝히는 획기적인 패러다임 제시 및 혁신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단백질 기능 조절제의 작용기전을 규명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연세대 ?서울대 학사(농화학/응용생명화학, ‘84)  ?(現)연세대학교 교수(‘05~)

교수 ?동경대 석사(생명공학, ‘92)  ?(前)세종대학교 교수(‘99~’05)

권호정 (‘61) ?동경대 박사(생명공학, ‘95) ?(前)Harvard University 박사후연구원(‘95~’98)

과제명 아미노산감응체와 이를 통한 신호전달 연구 주관기관 연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70.3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16명(연구원 12명, 연구조원 4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세포내 아미노산들의 수준을 감지하여 단백질합성과 신호전달 및 대사과정을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단백질복합체의 존재를 밝히고 그 작용 기전과 기능적 중요성을 규명

- (연구내용) MSC를 통한 아미노산 신호전달 매핑, MSC를 구성하는 ARS들의 아미노산 감지 기전 규명, MSC의 아미노산감응체로서 병태생리학적 중요성 입증 

- (기대효과) 시스템적 기능체의 실제적 존재를 세계 최초로 제시하게 될 것이며, 여러가지 아미노산들의 생명항상성 유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연세대 ?서울대 학사(제약학, ‘81)  ?(現)연세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20~)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석사(생명공학, ‘83) ?(前)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01~’20)

?Brown University 박사 (분자유전학 및 생화학, ‘91) ?(前)성균관대학교 부교수(‘94~’01)

김성훈 (‘58) ?(前)MIT Biology 박사후연구원(‘91~’94)

과제명 막 단백질 단분자 연구단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72.2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9명(연구조원 9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인간 막 단백질의 접힘 경로를 관찰할 수 있는 실험적 방법을 단분자 자기집게에 기반하여 확립, 단분자 공면역침강 기술을 개발하여 단백질 상호작용 복합체 검출에 대한 대규모 스크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 마련

- (연구내용) 단분자공면역침강 기술을 개발하여, 암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 상호작용 복합체에 상 분리현상을 통해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비정형 단백질들을 찾고, 암 특이적 단백질 상호작용 복합체를 찾는 연구 수행

- (기대효과) 삼중음성 유방암이나 다발성 골수종과 같이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 암종에 대하여 새로운 표적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서울대 ?서울대 학사(전기전자제어공학, ‘98)  ?(現)서울대학교 교수(‘17~)

교수 ?서울대 석사(전기공학, ‘00) ?(前)연세대학교 과학원 교수(‘16~’17)

?서울대 박사(전기공학, ‘04) ?(前)한국과학기술원 교수(‘07~’16)

윤태영 (‘76) ?(前)University of Illinois 박사후연구원(‘05~’06)

과제명 간내 글루타메이트와 비실질세포 기능 연구 주관기관 한국과학기술원

▲ 지원 규모/기간 : 68.9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7명(연구조원 7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간을 단순 대사장기로 취급해 적절한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고 있음을 고려하여 현재의 견해와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의 인식전환을 하고자 함 

- (연구내용) 간질환의 발생시 주요인자로서 글루타메이트성 신호전달을 규명하고자 함

- (기대효과) 간질환에 대한 학문적 패러다임 전환 및 혁신적 치료제 개발 기여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한국과학기술원 ?경북대 학사(수의학, ‘99) ?(現)한국과학기술원 교수(‘09~)

교수 ?경북대 석사(수의학, ‘01) ?(前)미국립보건원(NIH)박사후연구원(‘05~08)

정원일 (‘74) ?경북대 박사(수의학, ‘04) ?(前)경북대학교 박사후연구원(‘04~05)

□ 의약학 1과제

 

과제명 인간 중심의 스마트 그린 시티를 위한 새로운 자가학습 기반 통합 관리 플랫폼 개발(NEW LEARN CITY 4.0) 주관기관 연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70.3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12명(연구조원 12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실 기반으로 수집되는 건물환경·에너지 성능 관련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 해석, 진단, 적용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

- (연구내용) 거주자 중심 건물환경·에너지 성능 모니터링 기술, 거주자 중심 건물환경·에너지 성능 해석 기술, 거주자 중심 건물환경·에너지 성능 진단 기술, 거주자 중심건물환경·에너지 성능 적용 기술, 거주자 중심 건물환경·에너지 성능 통합기술로 구성

- (기대효과) 건설관리 분야에서 나아가, 정보통신기술, 인간공학기술까지 통합한 융·복합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연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연세대 ?연세대 학사(건축공학, ‘97)  ?(現)연세대학교 교수(‘09~)

교수 ?Purdue University 석사(건설시공 및 관리, ‘03) ?(前)서울시립대학교 조교수(‘06~’09)

홍태훈 (‘73) ?Purdue University 박사(건설시공 및 관리, ‘05)  ?(前)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05~’06)

□ 공학 3과제

과제명 스핀-그린수소 연구단 주관기관 연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70.3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22명(연구원 1명, 연구조원 21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기존 마이크로 및 나노 단위의 미세구조 개질 및 표면처리를 통한 태양광-수소 변환 효율의 한계점을 돌파하고, 물 분해 과정 내 산소발생 과정에서의 과전압을 크게 줄임으로써 STH 효율의 향상을 도모

- (연구내용) 수분 안정성을 확보한 카이랄 페로브스카이트 재료 기반 스핀제어 시스템의 개발, CISS 현상을 기반으로 한 “스핀-그린 수소 생산 시스템”의 구현 및 개발

- (기대효과) 차세대 스핀트로닉스의 개발 및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기존 나노 단위 전략에 머물러 있던 한계를 돌파하여, 물 분해 효율의 비약적인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연세대 ?연세대 학사(세라믹공학, ‘90)  ?(現)연세대학교 교수(‘00~)

교수 ?University of Florida 석사(재료공학, ‘95) ?(前)일본통상성 나고야 공업기술원 초빙연구원(‘98~‘00)

문주호 (‘67) ?University of Florida 박사(재료공학, ‘96) ?(前)미국M.I.T재료공정센터 박사후연구원(‘96~’98)

과제명 불균일계 원자 촉매 제어 주관기관 한국과학기술원

▲ 지원 규모/기간 : 67.6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15명(연구원 2명, 연구조원 13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표면 반응 자리로 작용하는 활성 금속 원자의 배열 구조 및 전자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한 불균일계 원자 촉매를 개발

- (연구내용) 계층구조 원자촉매의 구현, 실제 반응 조건에서의 엄밀한 분석, 실제 공정 적용으로 구성

- (기대효과) 귀금속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활성, 선택성, 내구성을 갖는 촉매는 새로운 화학 공정을 도입하는 기업들에게 핵심 경쟁력이 될 것으로 기대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 학사(화학공학과, ‘98)  ?(現)한국과학기술원 교수(‘14~)

교수 ?서울대 석사(화학공학과, ‘00)  ?(前)연세대학교 조·부교수(‘07~’14)

이현주 (‘7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박사(화학공학과, ‘05) ?(前)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박사후연구원(‘05~’07)

□ ICT· 융합 3과제

과제명 항암 임상시험을 위한 종양-면역 사이클 칩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72.2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14명(연구원 2명, 연구조원 12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종양-면역 사이클 체외 모델 개발 및 모델 기반 임상 시험 신뢰성 확보

- (연구내용) 환자 기반 전이성 종양 미세환경 모델, 환자 기반 면역 미세환경 모델 개발 및 검증, 체외 종양-면역 사이클 구현 및 환자 맞춤형 항암제 선별 시스템 개발

- (기대효과) 환자 유래 세포 기반의 종양-면역 시스템을 미세유체칩 내에 구현하여, 항암제 효능 체외 평가를 통해 임상시험 효율 극대화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서울대 ?Northwestern Universtiy 학사(재료공학, ‘91) ?(現)서울대학교 교수(‘09~)

교수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박사(재료공학, ‘97) ?(前)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조·부교수(‘01~’09)

전누리 (‘69) ?Harvard University 박사(의학, ‘09) ?(前)Harvard University 박사후연구원(‘97~’01)

과제명 무광촉매 및 첨단 기능성 환경소재에 기반한 고효율 정화 체계 구축 주관기관 한양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71.1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23명(연구원 8명, 연구조원 15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고효율 및 고경제성을 띈 선도적인 공기정화 관련 소재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첨단 소재기반의 새로운 공기청정기술의 구축을 시현하고자 함

- (연구내용) 기능성 열촉매소재 개발 및 메커니즘 연구, 고효율 대체 촉매소재 기술 개발, 실제 환경의 적용을 위한 대형화 기술 및 기능평가기술 개발

- (기대효과) 환경정화에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실용형 환경소재들을 다양하게 개발함으로써, 공기청정과 관련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기술을 도출하는데 기여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한양대 ?한양대 학사(자원공학, ‘84) ?(現)한양대학교 교수(‘14~)

교수 ?플로리다 주립대 석사(환경화학, ‘86) ?(前)세종대학교 교수(‘99~’14)

?남플로리다대학교 박사(환경화학, ‘92) ?(前)상지대학교 조교수(‘95~’98)

김기현 (‘61) ?(前)남플로리다 주립대 박사후연구원(‘92~’94)

과제명 반결합제어 결정 연구단 주관기관 성균관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71.8억원 / ‘21.6~’30.2 (9년)

▲ 연구인력 : 19명(연구원 3명, 연구조원 16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다이나믹 거동을 내재한 반결합-반결합 밴드구조 설계를 통하여, 트랩이 존재하지 않는 (trap-free) 특성과 100% 형광 재결합이 가능한 새로운 반도체를 개발

- (연구내용) 반결합제어 결정 설계 및 합성, 반결합제어 결정의 unusual 특성 연구 및 박막화 기술, 반결합제어 결정 기반의 광전자 소자 이론한계 효율 구현

- (기대효과) 반결합제어 결정은 전통적인 반도체에서는 찾을 수 없고 구현할 수 없는 특이한 광전자 특성을 구현하는 데 있으므로, 과학 및 산업적으로 비약적 도약이 예상

▲ 연구책임자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성균관대 ?서울대 학사(화학, ‘88) ?(現)성균관대학교 교수(‘09~)

교수 ?서울대 석사(무기고체화학, ‘92) ?(前)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99~’05)

?서울대 박사(무기고체화학, ‘95) ?(前)미국 NREL 박사후연구원(‘97~’99)

박남규 (‘60) ?(前)이화여자대학교 박사후연구원(‘95~’96)

 

참고3 ’21년도 선도연구센터 신규과제 현황 (17개)

 

□ SRC(이학) 4과제

센터명 신개념 에피성장 양자신소재 연구센터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105.3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67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1명, 연구원 7명, 연구조원 명 50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신개념 에피성장법을 이용한 양자신소재 제조 및 응용 연구

- (연구내용) 이론 및 계산을 통한 새로운 물성의 양자신소재를 제안하며, 신개념 에피성장법을 이용하여 양자신소재를 제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양자신소재의 새로운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신개념 양자소자를 제조

- (기대효과) 상용화를 염두에 둔 신개념 에피성장법을 개발하여 양자신소재를 제조하고 이를 양자 소자로 응용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신산업을 창출함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 경력 (3~4개)

서울대 ?서울대 학사(물리학, ‘90)  ?(現)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09~)

교수 ?서울대 석사(물리학, ‘92)  ?(前)포항공과대학교 교수(`99~`09)

?Northwestern University 박사 ?(前)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박사후연구원(`97~‘99)

이규철 (‘67) (반도체 물리학, ‘97) ?(前)글로벌연구실사업(‘15~’21), 창의연구지원사업(‘04~’13)

 

센터명 전자전달 연구센터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105.3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91명(교수급 공동연구원 9명, 연구원 10명, 연구조원 72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도전적 연구 영역인 전자전달과 관련된 광범위한 주제를 화학 반응의 관점에서 해체한 뒤 기초과학적 질문을 기준으로 재정의하고, 이에 답하고자 함

- (연구내용) 표면에서의 전자전달(Surface), 전자전달이 일어나는 주변 환경(Surroundings), 전자전달이 참여하는 화학 반응(Subsequent Reactions)으로 분류한 “3S”의 관점에서 전자전달과 관련된 화학의 근본적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함

- (기대효과) 전자전달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통해 사회가 필요로 하는 기초과학 지식과 이론을 제공하고,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원천 기술 확보에 기여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서울대 ?서울대 학사(화학, ‘91)  ?(現)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07~)

교수 ?서울대 석사(분석전기화학, ‘93)  ?(現)서울대학교 분자과학연구소 소장(‘20~)

정택동 (‘68) ?서울대 박사(분석전기화학, ‘97) ?(前)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원장(‘18~’20)

센터명 식물 가소성 연구센터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105.3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47명(교수급 공동연구원 9명, 연구원 5명, 연구조원 33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식물의 핵심 생존전략인 가소성의 근본적 특성과 조절 기전을 규명하며, 전주기적(세포→분열조직→발달) 가소성 조절의 과학적 근거를 밝히고자 함

- (연구내용) 식물에 탁월한 세포 가소성의 기전 및 진화를 규명하고, 세포 가소성이 발달 가소성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로서의 분열조직 조절 및 유지 기전을 규명하며, 발달단계 전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식물 고유의 발달 가소성 유도 기전을 규명

- (기대효과) 식물 재분화 기반 생명공학 발전에 기여(세포 수준), 식량, 바이오매스 및 의약품 산업에 기여(분열조직 수준), 작물 분자육종 및 기후변화대응에 기여(발달 수준)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서울대 ?서울대 학사(식물학, ‘89)  ?(現)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05~)

교수 ?서울대 석사(생물학, ‘91)  ?(前)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생부학장(‘16~’18)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前)한국식물학회 부회장(학술위원장)

노유선 (‘66) 박사(생화학, ‘98) (‘15~’16)

 

센터명 비교의학기반 반려동물 질환 연구를 통한 인체 유사질환 발생 인자와 기전 연구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105.3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79명(교수급 공동연구원 9명, 연구원 13명, 연구조원 57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비교의학 기반 반려동물 질환 연구를 통한 인체 유사질환 발생 인자 및 기전규명

- (연구내용) 반려견 중심 암과 노화의 비교의학적 연구기반을 구축하고, 비교의학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체 유방암과 노화 연관 질환 발생 기전을 연구

- (기대효과) 국내·외 반려동물 및 사람 의료시장에 활용되어 반려동물과 사람 모두의 의료복지 향상과 동물-사람-환경을 아우르는 원헬스의 초석 정립을 통한 사회·경제 전반의 신 가치 창출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서울대 ?서울대 학사(수의학, ‘89)  ?(現)서울대학교 수의학과 교수(‘11~)

교수 ?서울대 석사(수의생리학, ‘91) ?(現) 한국단백체학회장 (’18 ~ ‘21)

?The Ohio State University  ?(前)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수(‘03~’11)

석사(세포생리, ‘97) ?(前)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박사후연구원(‘01~’03)

?The Ohio State University 

조제열 (‘66) 박사(세포생리, ‘99)

□ ERC(공학) 5과제

센터명 초융합 건설 포렌식 연구센터 주관기관 고려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13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96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1명, 연구원 3명, 연구조원 82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재난·재해를 대비하여 상/하부 및 물환경 인프라 전체를 초융합하는 통합기술로써, “초융합 건설 포렌식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함

- (연구내용) 인프라 관련 재난예측을 위한 사전탐지기술부터, 정밀진단에 의한 사후감식, 재난 재현 및 역추적 기술,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및 보강기술, 인프라의 성능향상기술까지 포함하여, 4차산업 기술을 활용한 건설중심의 융·복합연구

- (기대효과) 국내 인프라의 재해/재난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국가적 차원의 국민안전과 생활환경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고려대 ?고려대 학사(토목공학, ‘91)  ?(現)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교수(‘05~)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석사(지반공학, ‘93)  ?(前)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연구원(‘04~’05)

이종섭 (‘68)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박사(지반공학, ‘03) ?(前)현대건설 기술연구소 (주임)연구원(‘93~’99)

 

센터명 다분야 통합 도심항공 모빌리티 핵심기술 개발 센터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13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88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1명, 연구조원 77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도심항공 모빌리티 개발의 핵심으로 적용될 수 있는 분야별 요소기술 개발

- (연구내용) 운용 조건에 따른 다양한 UAM 형상 설계 및 인공지능 기반 자율비행 및 고차정확도 전산해석 기법 개발, 다분야 통합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구축 및 정밀성 검증

- (기대효과) 머신러닝 기반의 형상 설계기법,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비행, 비행체의 고정밀 해석기술 등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도심항공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경쟁력 보유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서울대 ?서울대 학사(항공우주공학, ‘89)  ?(現)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03~)

교수 ?서울대 석사(항공우주공학, ‘91) ?(現)국방부 지정 고속복합형 무인 회전익기 특화 연구실 실장 (‘17~’2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석사(항공우주공학, ‘99) ?(前)University of Michiga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박사(항공우주공학, ‘01) 박사후연구원(‘01~’03)

신상준 (‘67) ?(前)국방과학연구소 헬기체계실 연구원(‘91~’96)

센터명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연구센터 주관기관 부산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13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63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1명, 연구원 7명, 연구조원 45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기존의 고정된 단일 파장 레이저의 성능에 한정되어온 광계측 기술의 한계 돌파를 위해, 자유롭게 색을 바꾸는 원천적 컬러변조 개념을 기반으로 초감각 3차원 이미징 광계측 기술과 광계측 빅데이터의 인지 판단 시스템 기술을 구현

- (연구내용) 신개념 파장변조 레이저의 공진 구조 설계 및 구현, 초감지 광센서의 광계측 데이터 획득 및 영상화 구현, 광계측 빅데이터 인지 시스템 연구

- (기대효과) 주파수 영역 광계측의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을 주도, 원천적 컬러변조 개념의 세계적 연구 중심지 역할, 응용 기술의 산학 연계로 국가 경쟁력 기여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부산대 ?KAIST 학사(전기및전자공학, ‘96)  ?(現)부산대학교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05~)

교수 ?GIST 석사(정보통신공학, ‘99) ?(前)Beckman Laser Institute and Medical Clinic 박사후연구원(‘04~’05)

?Johns Hopkins University  ?(前)한국통신 가입자망 연구소 전임연구원(‘99~’00)

김창석 (‘73) 박사(전기컴퓨터공학, ‘04)

 

센터명 소프트웨어재난 연구센터 주관기관 경북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13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86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3명, 연구원 1명, 연구조원 72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시스템 수준의 재난상황을 신속하게 분석하고 프로그램 소스코드 수준의 오류원인까지 파악하며, 파악된 오류코드를 자동수정하여 재난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는 재난신속대응 및 재발방지를 위한 STAAR 프레임워크를 개발

- (연구내용) 소프트웨어(SW) 불확정성을 불식시키는 SW재난 탐지기술, SW의 불건전성을 해결하는 SW재난 대응기술, SW의 불완전성을 극복하는 SW재난 재발을 방지하는 기술연구 (예: 재난상황모델링, SW자동테스팅, SW오류위치 자동추정, SW자동패치생성 등)

- (기대효과) 사회 기반 SW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실용화 기술을 확보하여, 사회 안전 보장 체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자본을 제공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경북대 ?연세대 학사(수학, ‘91) ?(現)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교수(‘06~)

교수 ?연세대 석사(수학, ‘93) ?(現)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편집부회장(‘20~)

?University of Minnesota 석사(Computer Science, ‘99)  ?(前)Fraunhofer Institute for Experimental Software Engineering 연구원(‘03~06)

최윤자 (‘68) ?University of Minnesota 박사(Computer Science, ‘03) 

센터명 도시형 생활폐기물 가스화 물질 혁신적 전환 선도연구센터 주관기관 광주과학기술원

▲ 지원 규모/기간 : 135억원 / ‘20.7~’27.2 (7년)

▲ 연구인력 : 87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3명, 연구원 11명, 연구조원 63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도시형 생활폐기물(MSW)의 친환경 처리 및 업사이클링 기술 개발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원천 기술 확보

- (연구내용) MSW 유래 합성가스형 전가스 전환용 생물기술 연구, 합성가스 반응 후 잔여 CO2 전환용 촉매, 반응기술 개발, 합성가스 유래 유, 무기 부산물 회수, 안정화, 고부가화 기술 개발

- (기대효과) 폐기물 에너지, 자원화 기반 업사이클링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및 대안 기술로 실적용 및 다양한 관련 기술 시장 진입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광주과학기술원 ?고려대 학사(식품공학, ‘90)  ?(現)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교수(‘05~)

교수 ?고려대 석사(식품공학, ‘92)  ?(前)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92~’05)

?University Wales at Swansea ?특허기술상(충무공상, ‘03), 

장인섭 (‘67) 박사(생물화학공학, ‘00) 과학기술진흥유공자(대통령표창, ‘21)

 

□ MRC(기초의과학) 4과제

센터명 종양 가소성 연구센터 주관기관 경북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94.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46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2명, 연구원 9명, 연구조원 25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종양 가소성 제어에 관점을 둔 보다 선택적이고 효과적인 암 치료기술 개발

- (연구내용) 암세포와 기질세포의 가소성 제어를 위한 생체친화형 소재의 표적 치료제 개발, 종양 대사 가소성 조절 기전 및 신규 타겟 규명, 종양 가소성 관련 엑소좀 ncRNA와 단백질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 및 액상생검 기술 개발

- (기대효과) 표적성과 가소성 제어 및 면역관문단백질 블롯킹 기전의 항암 바이오신약 개발 및 암세포와 기질세포의 가소성 관련 조절 기전과 신규 바이오마커 개발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경북대 ?경북대 학사(의학, ‘89)  ?(現)경북대학교 의학과 교수(‘03~)

교수 ?경북대 석사(생화학, ‘91) ?(現)의학한림원 정회원(‘20~)

이병헌 (‘64) ?경북대 박사(생화학, ‘95) ?(前)종양 이형성 및 네트워크 제어 연구센터(MRC) 센터장(‘14~’21)

 

센터명 세포교신 제어 연구센터 주관기관 인하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94.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54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1명, 연구원 19명, 연구조원 24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조직 미세환경 조절 핵심기전인 세포교신의 이상에 의한 난치성질환의 병리기전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세포교신 제어기술을 확보하여 세포교신 기반의 진단·치료기술을 개발

- (연구내용) 세포교신 질환병리 분자표적의 발굴 및 기전 연구, 세포교신 제어를 통한 표적질환 진단·치료기술 개발

- (기대효과) 세포교신 기반의 난치성질환 복합 병리기전에 대한 이해와 세포교신 제어 연구개발 표준 제시 및 난치성 신경질환·암악성화 분야 연구개발 선도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인하대 ?인하대 학사(의학, ‘95)  ?(現)인하대학교 의예과 교수(‘03~)

교수 ?인하대 석사(약리학, ‘97)  ?(前)저산소표적질환 연구센터 (MRC) 부센터장(‘18~’21)

강주희 (‘71) ?인하대 박사(약리학, ‘00) ?(前)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약리학분야 전문위원(‘18~’20)

센터명 선천면역 매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주관기관 가천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94.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44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0명, 연구원 18명, 연구조원 16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선천면역세포의 기능이상 및 염증 강화 기전 규명을 통해 만성염증질환의 발병원인을 새롭게 규명하고, 선천면역세포의 활성을 모니터링하고 조절 할 수 있는 치료기술을 제시하고자 함

- (연구내용) 조직 특이적 선천면역세포 제어기전 규명 및 활성조절 타겟 발굴, 만성염증질환 바이오마커 발굴과 선천면역세포 활성조절약물 및 전달체 개발

- (기대효과) 만성염증질환의 발병 기전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고, 선천면역세포의 항상성 복구 중심으로 염증 조절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킬 수 있는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가천대 ?이화여대 학사(의학, ‘02) ?(現)가천대학교 의예과 교수(‘06~)

교수 ?이화여대 석사(의학, ‘06) ?(前)University of Cincinnati

?이화여대 박사(의학, ‘09) 방문교수(‘13~’14)

정윤재 (‘77) ?(前)Osaka University 연구원(‘05~’06)

센터명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 주관기관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 지원 규모/기간 : 94.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44명(교수급 공동연구원 11명, 연구원 12명, 연구조원 21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구강 조직 내 메카노바이올로지 제어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이용한 생체모사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 구강 맞춤형 질환 치료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 (연구내용) 메카노바이올로지 기반 세포 제어인자를 분석하고 생역학적-생화학적 신호변환 기전 규명함. 메카노바이올로지 기반 구강조직 생체모사시스템을 구축하여 구강 오가노이드 기술 개발 및 구강질환 극복을 위한 치료 전략을 수립

- (기대효과) 치과영역에서 맞춤형 치료를 가속화시켜 효율적인 진료와 치료를 가능케하며, 현재 손상된 조직을 치유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의약품, 줄기세포 치료제, 바이오 소재 등에 접목하여 미래 의료산업에 이바지할 것임.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단국대 ?서울대 학사(무기재료공학, ‘97) ?(現)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수(‘05~)

(천안) ?서울대 석사(재료공학, ‘99) ?(現)Journal of Tissue Engineering 편집장(’10~)

교수 ?서울대 박사(재료공학, ‘02) ?(前)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 연구원(‘00)

김해원 (‘74) ?(前)UCL Eastman Dental Institute 연구원(‘03~’04)

 

□ RLRC(지역혁신) 4과제

센터명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연구센터 주관기관 경상국립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101.2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44명(교수급 공동연구원 8명, 연구원 18명, 연구조원 18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세포공장 개발을 통한 항노화 기능성 바이오소재 실용화 플랫폼 구축 및 확산

- (연구내용) 생합성 부품 개발 및 미생물 세포공장을 이용한 항노화 기능성 소재 생산, 식물기반 합성생물학적 세포공장 활용 항노화 바이오신소재 개발, 유용 대사체 발굴 및 기전 규명을 통한 항노화 기능성 소재 발굴 및 평가

- (기대효과) 항노화 바이오소재 생산 원천기술 확보 및 우수한 연구능력을 가진 전문 연구인력 양성을 통해 권역 내 항노화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경상국립대 ?연세대 학사(식품공학, ‘90) ?(現)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01~)

교수 ?KAIST 석사(생물공학, ‘92) ?(前)UC Berkeley 박사후연구원(‘99~’01)

김선원 (‘67) ?KAIST 박사(생물공학, ‘96) ?(前)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96~’99)

 

센터명 탄소중립 지능형 에너지시스템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주관기관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 지원 규모/기간 : 95.2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35명(교수급 공동연구원 8명, 연구원 3명, 연구조원 24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제로에너지 스마트 플랜트 및 스마트팜 응용을 위한 탄소중립 지능형 에너지 소재 및 시스템 개발

- (연구내용) NT-IT-ET 간 다학제적 융복합 연구를 통하여 고효율/친환경 에너지 플랫폼 및 운용 스마트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에너지 변환 기술, 에너지 수송 및 저장기술, 에너지 진단/운용기술 등의 요소기술 확립하고자 함.

- (기대효과)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기술의 표본 제시를 통하여 침체된 경북 지역 산업의 혁신을 주도하며 확보된 원천기술을 통해 중장기적인 지역 비즈니스 모델 창출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경북대 ?연세대 학사(재료공학, ‘04)  ?(現)경북대학교 나노소재공학부 조교수(‘18~)

(상주) ?연세대 석사(금속공학, ‘06)  ?(前)삼성종합기술원 전임연구원(‘11~’18)

노종욱 (‘77) 교수 ?연세대 박사(금속공학, ‘11) ?(前)UC Berkeley 방문연구원(‘08)

센터명 근감소증 3단계 토탈솔루션 선도연구센터 주관기관 원광대학교

▲ 지원 규모/기간 : 89.73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40명(교수급 공동연구원 8명, 연구원 12명, 연구조원 20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근감소증 3단계 토탈솔루션 플랫폼 구축. 데이터 표준모델 정의, 진단 및 치료제 핵심 기술 구현, 기술의 실증 및 전문화를 통한 지역혁신형 센터 실현

- (연구내용) 근감소증의 통합적인 이해와 진단 표준 제시, 근감소증 조기진단과 예방 솔루션 제공 및 근감소증 개선제/치료제 개발로 지역사회 고위험 노인환자 안심 체계 구축

- (기대효과) 근감소증 관리를 통한 초고령화 사회 문제 해결 및 지역 바이오헬스케어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한 고용창출과 국가경쟁력 제고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원광대 ?경북대 학사(생화학, ‘95)  ?(現)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13~)

교수 ?Central Conn State University  ?(前)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Instructor(‘10~’12)

석사(생물학, ‘98)  ?(前)Brigham & Women’s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박사후연구원(‘04~’05)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박사(발생학, ‘04)

최성규 (‘70)

센터명 생체시계 기반 항노화 융합연구 센터 주관기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 지원 규모/기간 : 101.25억원 / ‘21.6~’28.2 (7년)

▲ 연구인력 : 36명(교수급 공동연구원 7명, 연구원 9명, 연구조원 20명 등)

▲ 주요 연구 내용

- (연구목표) 수면장애 중심의 노화문제 해결을 위해 생명의 핵심 제어 시스템인 생체시계를 기반으로 접근하여 기존 항노화 연구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전환하고 맞춤형 항노화 통합 솔루션 개발을 하고자 함

- (연구내용) 항노화 통합솔루션 개발을 위한 생체시계 중재 수면제어 연구 시스템 구축 및 원천기술 확보. 수면증진/개선 기능성 바이오 소재 및 수면케어 디지털 치료제 등 핵심기술의 고도화 및 최적화를 통한 맞춤형 수면-항노화 통합 솔루션의 상용화

- (기대효과) 항노화 원천기술 확보 및 수면장애 개선을 통한 국민보건 증진

▲ 연구책임자(센터장)

성명 소속 학 력 주요경력 (3~4개)

고려대 ?서울대 학사(농화학, ‘95)  ?(現)고려대학교 생명정보공학과 교수(‘08~)

(세종) ?서울대 석사(화학공학, ‘97)  ?(前)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장(‘18~‘20)

백승필 (‘72) 교수 ?서울대 박사(화학공학, ‘03) ?(前)교토대학교 JSPS, JST 연구원(‘03~‘08)